-
#6-2Python/Jupyter notebook 2023. 1. 16. 21:22
# 용례 1 class MyClass: i = 12345 def f(self): return 'hello world' MyClass.f(1)
Out[2]:'hello world'
In [ ]:In [3]:class Complex: def __init__(self, realpart, imagpart): self.r = realpart self.i = imagpart # 다른 함수 선언 가능. 선언할 경우, r과 i를 사용 가능 # 그리고, 아래 셀의 코드처럼 counter 변수를 만들 경우, counter도 사용 가능
In [4]:x = Complex(3.0,-4.5)
In [6]:x.i
Out[6]:-4.5
In [7]:x.counter = 1
In [8]:while x.counter < 10: x.counter = x.counter * 2
In [9]:x.counter
Out[9]:16
In [10]:del x.counter
In [11]:x.counter
--------------------------------------------------------------------------- Attribut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AppData\Local\Temp\ipykernel_24584\2310944956.py in <module> ----> 1 x.counter AttributeError: 'Complex' object has no attribute 'counter'
In [12]:x.i + x.r
Out[12]:-1.5
In [13]:r
--------------------------------------------------------------------------- Nam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AppData\Local\Temp\ipykernel_24584\1313387711.py in <module> ----> 1 r NameError: name 'r' is not defined
In [ ]:In [14]:import pandas as pd
In [15]:df = pd.read_csv('./시청자미디어재단_체험형미디어교육_20221109.csv', encoding='cp949')
In [18]:df.to_csv('./미디어.tsv', sep='\t', encoding='cp949') # sep='\t' 설정시 tsv로 작동
In [19]:df = pd.read_csv('./미디어.tsv', encoding='cp949', sep='\t')
In [ ]:In [21]:# median: 중간값 list1 = [1,2,3,4,5,6,7]
In [24]:df = pd.DataFrame(list1)
In [25]:df.mean()
Out[25]:0 4.0 dtype: float64
In [26]:df.median()
Out[26]:0 4.0 dtype: float64
In [27]:df = pd.DataFrame([1,2,3,4,5,6])
In [28]:df.mean()
Out[28]:0 3.5 dtype: float64
In [29]:df.median()
Out[29]:0 3.5 dtype: float64
In [30]:df = pd.DataFrame([1,2,3,4,5,99999])
In [31]:df.mean()
Out[31]:0 16669.0 dtype: float64
In [32]:df.median()
Out[32]:0 3.5 dtype: float64
In [33]:df = pd.read_csv('./미디어.tsv', sep='\t', encoding='cp949')
In [38]:df.fillna(456)
Out[38]:Unnamed: 0센터명강좌명강사명교육시작일자교육종료일자강좌내용교육대상구분교육방법구분운영요일강좌정원수데이터기준일자01234...94959697980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456 이수현,김민호 2022-11-12 2022-11-26 상설미디어체험(뉴스앵커체험 등) 일반 오프라인 토 25 2022-11-09 1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찾아가는미디어나눔버스 체험 교육 김도경,이수현 2022-11-21 2022-11-21 456 청소년 오프라인 월 25 2022-11-09 2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찾아가는미디어나눔버스 체험 김도경,이수현 2022-11-22 2022-11-22 찾아가는미디어나눔버스 체험 청소년 오프라인 화 25 2022-11-09 3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찾아가는미디어나눔버스 체험 김도경,이수현 2022-11-23 2022-11-23 찾아가는미디어나눔버스 체험 청소년 오프라인 수 25 2022-11-09 4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찾아가는미디어나눔버스 체험 김도경,이수현 2022-11-25 2022-11-25 찾아가는미디어나눔버스 체험 청소년 오프라인 금 25 2022-11-09 ... ... ... ... ... ... ... ... ... ... ... ... 94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찾아가는 미디어나눔버스(TV뉴스체험) 류은애,김은자 2022-11-30 2022-11-30 TV 뉴스 제작 및 영상합성 크로마키 체험 중학생 오프라인 수 25 2022-11-09 95 충북시청자미디어센터 TV체험(뉴스체험) 미정 2022-11-01 2022-11-30 아나운서, 기자, 기상캐스터 등 역할을 나누어 뉴스 제작 과정을 체험해보는 프로그램 초등학생 이상 오프라인 월,화,수,목,금,토 15 2022-11-09 96 충북시청자미디어센터 라디오체험(DJ체험) 미정 2022-11-01 2022-11-30 라디오 프로그램을 작가, DJ, 게스트가 되어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해보는 체험 초등학생 이상 오프라인 월,화,수,목,금,토 15 2022-11-09 97 충북시청자미디어센터 유아 크로마키 체험 미정 2022-11-01 2022-11-30 유아 대상 크로마키를 통해 다양한 놀이를 해보는 체험 6~7세 오프라인 월,화,수,목,금,토 15 2022-11-09 98 충북시청자미디어센터 AI 체험 미정 2022-11-01 2022-11-30 인공지능에 대해 이해하고 머신러닝을 여러 방법으로 알아보는 체험 초등학생 이상 오프라인 월,화,수,목,금,토 15 2022-11-09 99 rows × 12 columns
In [ ]:In [ ]:- 이전에 전달받은 test.csv 파일을 열고, Sex column을 삭제한 뒤 진행
- 이름을 읽어들여서 성별을 파악한 뒤, Sex column에 등록
- Age 항목의 결측치를 파악해 아래 중 하나 수행
- 결측치를 0으로 대체 (fillna 함수 이용 가능)
- 전체 값의 평균으로 대체 (mean 함수 이용 가능)
- 중앙값으로 대체 (median 함수 이용 가능)
- 남성이며 나이가 10대인 사람을 O, 아닌 사람을 X로 표기해 check column을 만들어 저장
- 해당 파일을 result.tsv 파일로 저장
- 전부 다 하셨으면 아래 분석을 해 보세요
- sibsp와 fare와의 관계성이 있는지 확인해보기
- embarked와 ticket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해보기
- 꼭 상관관계 분석을 하지 않더라도, 경향성만 보면 됩니다
In [65]:df = pd.read_csv('./test.csv', index_col=0)
In [66]:df_copy = df.copy()
In [67]:df.drop('Sex', axis=1, inplace=True) # df = df.drop('Sex', axis=1)
In [68]:df.head()
Out[68]:PclassNameAgeSibSpParchTicketFareCabinEmbarkedPassengerId8928938948958963 Kelly, Mr. James 34.5 0 0 330911 7.8292 NaN Q 3 Wilkes, Mrs. James (Ellen Needs) 47.0 1 0 363272 7.0000 NaN S 2 Myles, Mr. Thomas Francis 62.0 0 0 240276 9.6875 NaN Q 3 Wirz, Mr. Albert 27.0 0 0 315154 8.6625 NaN S 3 Hirvonen, Mrs. Alexander (Helga E Lindqvist) 22.0 1 1 3101298 12.2875 NaN S In [50]:df['Name'].unique()
Out[50]:array(['Kelly, Mr. James', 'Wilkes, Mrs. James (Ellen Needs)', 'Myles, Mr. Thomas Francis', 'Wirz, Mr. Albert', 'Hirvonen, Mrs. Alexander (Helga E Lindqvist)', 'Svensson, Mr. Johan Cervin', 'Connolly, Miss. Kate', 'Caldwell, Mr. Albert Francis', 'Abrahim, Mrs. Joseph (Sophie Halaut Easu)', 'Davies, Mr. John Samuel', 'Ilieff, Mr. Ylio', 'Jones, Mr. Charles Cresson', 'Snyder, Mrs. John Pillsbury (Nelle Stevenson)', 'Howard, Mr. Benjamin', 'Chaffee, Mrs. Herbert Fuller (Carrie Constance Toogood)', 'del Carlo, Mrs. Sebastiano (Argenia Genovesi)', 'Keane, Mr. Daniel', 'Assaf, Mr. Gerios', 'Ilmakangas, Miss. Ida Livija', 'Assaf Khalil, Mrs. Mariana (Miriam")"', 'Rothschild, Mr. Martin', 'Olsen, Master. Artur Karl', 'Flegenheim, Mrs. Alfred (Antoinette)', 'Williams, Mr. Richard Norris II', 'Ryerson, Mrs. Arthur Larned (Emily Maria Borie)', 'Robins, Mr. Alexander A', 'Ostby, Miss. Helene Ragnhild', 'Daher, Mr. Shedid', 'Brady, Mr. John Bertram', 'Samaan, Mr. Elias', 'Louch, Mr. Charles Alexander', 'Jefferys, Mr. Clifford Thomas', 'Dean, Mrs. Bertram (Eva Georgetta Light)', 'Johnston, Mrs. Andrew G (Elizabeth Lily" Watson)"', 'Mock, Mr. Philipp Edmund', 'Katavelas, Mr. Vassilios (Catavelas Vassilios")"', 'Roth, Miss. Sarah A', 'Cacic, Miss. Manda', 'Sap, Mr. Julius', 'Hee, Mr. Ling', 'Karun, Mr. Franz', 'Franklin, Mr. Thomas Parham', 'Goldsmith, Mr. Nathan', 'Corbett, Mrs. Walter H (Irene Colvin)', 'Kimball, Mrs. Edwin Nelson Jr (Gertrude Parsons)', 'Peltomaki, Mr. Nikolai Johannes', 'Chevre, Mr. Paul Romaine', 'Shaughnessy, Mr. Patrick', 'Bucknell, Mrs. William Robert (Emma Eliza Ward)', 'Coutts, Mrs. William (Winnie Minnie" Treanor)"', 'Smith, Mr. Lucien Philip', 'Pulbaum, Mr. Franz', 'Hocking, Miss. Ellen Nellie""', 'Fortune, Miss. Ethel Flora', 'Mangiavacchi, Mr. Serafino Emilio', 'Rice, Master. Albert', 'Cor, Mr. Bartol', 'Abelseth, Mr. Olaus Jorgensen', 'Davison, Mr. Thomas Henry', 'Chaudanson, Miss. Victorine', 'Dika, Mr. Mirko', 'McCrae, Mr. Arthur Gordon', 'Bjorklund, Mr. Ernst Herbert', 'Bradley, Miss. Bridget Delia', 'Ryerson, Master. John Borie', 'Corey, Mrs. Percy C (Mary Phyllis Elizabeth Miller)', 'Burns, Miss. Mary Delia', 'Moore, Mr. Clarence Bloomfield', 'Tucker, Mr. Gilbert Milligan Jr', 'Fortune, Mrs. Mark (Mary McDougald)', 'Mulvihill, Miss. Bertha E', 'Minkoff, Mr. Lazar', 'Nieminen, Miss. Manta Josefina', 'Ovies y Rodriguez, Mr. Servando', 'Geiger, Miss. Amalie', 'Keeping, Mr. Edwin', 'Miles, Mr. Frank', 'Cornell, Mrs. Robert Clifford (Malvina Helen Lamson)', 'Aldworth, Mr. Charles Augustus', 'Doyle, Miss. Elizabeth', 'Boulos, Master. Akar', 'Straus, Mr. Isidor', 'Case, Mr. Howard Brown', 'Demetri, Mr. Marinko', 'Lamb, Mr. John Joseph', 'Khalil, Mr. Betros', 'Barry, Miss. Julia', 'Badman, Miss. Emily Louisa', "O'Donoghue, Ms. Bridget", 'Wells, Master. Ralph Lester', 'Dyker, Mrs. Adolf Fredrik (Anna Elisabeth Judith Andersson)', 'Pedersen, Mr. Olaf', 'Davidson, Mrs. Thornton (Orian Hays)', 'Guest, Mr. Robert', 'Birnbaum, Mr. Jakob', 'Tenglin, Mr. Gunnar Isidor', 'Cavendish, Mrs. Tyrell William (Julia Florence Siegel)', 'Makinen, Mr. Kalle Edvard', 'Braf, Miss. Elin Ester Maria', 'Nancarrow, Mr. William Henry', 'Stengel, Mrs. Charles Emil Henry (Annie May Morris)', 'Weisz, Mr. Leopold', 'Foley, Mr. William', 'Johansson Palmquist, Mr. Oskar Leander', 'Thomas, Mrs. Alexander (Thamine Thelma")"', 'Holthen, Mr. Johan Martin', 'Buckley, Mr. Daniel', 'Ryan, Mr. Edward', 'Willer, Mr. Aaron (Abi Weller")"', 'Swane, Mr. George', 'Stanton, Mr. Samuel Ward', 'Shine, Miss. Ellen Natalia', 'Evans, Miss. Edith Corse', 'Buckley, Miss. Katherine', 'Straus, Mrs. Isidor (Rosalie Ida Blun)', 'Chronopoulos, Mr. Demetrios', 'Thomas, Mr. John', 'Sandstrom, Miss. Beatrice Irene', 'Beattie, Mr. Thomson', 'Chapman, Mrs. John Henry (Sara Elizabeth Lawry)', 'Watt, Miss. Bertha J', 'Kiernan, Mr. John', 'Schabert, Mrs. Paul (Emma Mock)', 'Carver, Mr. Alfred John', 'Kennedy, Mr. John', 'Cribb, Miss. Laura Alice', 'Brobeck, Mr. Karl Rudolf', 'McCoy, Miss. Alicia', 'Bowenur, Mr. Solomon', 'Petersen, Mr. Marius', 'Spinner, Mr. Henry John', 'Gracie, Col. Archibald IV', 'Lefebre, Mrs. Frank (Frances)', 'Thomas, Mr. Charles P', 'Dintcheff, Mr. Valtcho', 'Carlsson, Mr. Carl Robert', 'Zakarian, Mr. Mapriededer', 'Schmidt, Mr. August', 'Drapkin, Miss. Jennie', 'Goodwin, Mr. Charles Frederick', 'Goodwin, Miss. Jessie Allis', 'Daniels, Miss. Sarah', 'Ryerson, Mr. Arthur Larned', 'Beauchamp, Mr. Henry James', 'Lindeberg-Lind, Mr. Erik Gustaf (Mr Edward Lingrey")"', 'Vander Planke, Mr. Julius', 'Hilliard, Mr. Herbert Henry', 'Davies, Mr. Evan', 'Crafton, Mr. John Bertram', 'Lahtinen, Rev. William', 'Earnshaw, Mrs. Boulton (Olive Potter)', 'Matinoff, Mr. Nicola', 'Storey, Mr. Thomas', 'Klasen, Mrs. (Hulda Kristina Eugenia Lofqvist)', 'Asplund, Master. Filip Oscar', 'Duquemin, Mr. Joseph', 'Bird, Miss. Ellen', 'Lundin, Miss. Olga Elida', 'Borebank, Mr. John James', 'Peacock, Mrs. Benjamin (Edith Nile)', 'Smyth, Miss. Julia', 'Touma, Master. Georges Youssef', 'Wright, Miss. Marion', 'Pearce, Mr. Ernest', 'Peruschitz, Rev. Joseph Maria', 'Kink-Heilmann, Mrs. Anton (Luise Heilmann)', 'Brandeis, Mr. Emil', 'Ford, Mr. Edward Watson', 'Cassebeer, Mrs. Henry Arthur Jr (Eleanor Genevieve Fosdick)', 'Hellstrom, Miss. Hilda Maria', 'Lithman, Mr. Simon', 'Zakarian, Mr. Ortin', 'Dyker, Mr. Adolf Fredrik', 'Torfa, Mr. Assad', 'Asplund, Mr. Carl Oscar Vilhelm Gustafsson', 'Brown, Miss. Edith Eileen', 'Sincock, Miss. Maude', 'Stengel, Mr. Charles Emil Henry', 'Becker, Mrs. Allen Oliver (Nellie E Baumgardner)', 'Compton, Mrs. Alexander Taylor (Mary Eliza Ingersoll)', 'McCrie, Mr. James Matthew', 'Compton, Mr. Alexander Taylor Jr', 'Marvin, Mrs. Daniel Warner (Mary Graham Carmichael Farquarson)', 'Lane, Mr. Patrick', 'Douglas, Mrs. Frederick Charles (Mary Helene Baxter)', 'Maybery, Mr. Frank Hubert', 'Phillips, Miss. Alice Frances Louisa', 'Davies, Mr. Joseph', 'Sage, Miss. Ada', 'Veal, Mr. James', 'Angle, Mr. William A', 'Salomon, Mr. Abraham L', 'van Billiard, Master. Walter John', 'Lingane, Mr. John', 'Drew, Master. Marshall Brines', 'Karlsson, Mr. Julius Konrad Eugen', 'Spedden, Master. Robert Douglas', 'Nilsson, Miss. Berta Olivia', 'Baimbrigge, Mr. Charles Robert', 'Rasmussen, Mrs. (Lena Jacobsen Solvang)', 'Murphy, Miss. Nora', 'Danbom, Master. Gilbert Sigvard Emanuel', 'Astor, Col. John Jacob', 'Quick, Miss. Winifred Vera', 'Andrew, Mr. Frank Thomas', 'Omont, Mr. Alfred Fernand', 'McGowan, Miss. Katherine', 'Collett, Mr. Sidney C Stuart', 'Rosenbaum, Miss. Edith Louise', 'Delalic, Mr. Redjo', 'Andersen, Mr. Albert Karvin', 'Finoli, Mr. Luigi', 'Deacon, Mr. Percy William', 'Howard, Mrs. Benjamin (Ellen Truelove Arman)', 'Andersson, Miss. Ida Augusta Margareta', 'Head, Mr. Christopher', 'Mahon, Miss. Bridget Delia', 'Wick, Mr. George Dennick', 'Widener, Mrs. George Dunton (Eleanor Elkins)', 'Thomson, Mr. Alexander Morrison', 'Duran y More, Miss. Florentina', 'Reynolds, Mr. Harold J', 'Cook, Mrs. (Selena Rogers)', 'Karlsson, Mr. Einar Gervasius', 'Candee, Mrs. Edward (Helen Churchill Hungerford)', 'Moubarek, Mrs. George (Omine Amenia" Alexander)"', 'Asplund, Mr. Johan Charles', 'McNeill, Miss. Bridget', 'Everett, Mr. Thomas James', 'Hocking, Mr. Samuel James Metcalfe', 'Sweet, Mr. George Frederick', 'Willard, Miss. Constance', 'Wiklund, Mr. Karl Johan', 'Linehan, Mr. Michael', 'Cumings, Mr. John Bradley', 'Vendel, Mr. Olof Edvin', 'Warren, Mr. Frank Manley', 'Baccos, Mr. Raffull', 'Hiltunen, Miss. Marta', 'Douglas, Mrs. Walter Donald (Mahala Dutton)', 'Lindstrom, Mrs. Carl Johan (Sigrid Posse)', 'Christy, Mrs. (Alice Frances)', 'Spedden, Mr. Frederic Oakley', 'Hyman, Mr. Abraham', 'Johnston, Master. William Arthur Willie""', 'Kenyon, Mr. Frederick R', 'Karnes, Mrs. J Frank (Claire Bennett)', 'Drew, Mr. James Vivian', 'Hold, Mrs. Stephen (Annie Margaret Hill)', 'Khalil, Mrs. Betros (Zahie Maria" Elias)"', 'West, Miss. Barbara J', 'Abrahamsson, Mr. Abraham August Johannes', 'Clark, Mr. Walter Miller', 'Salander, Mr. Karl Johan', 'Wenzel, Mr. Linhart', 'MacKay, Mr. George William', 'Mahon, Mr. John', 'Niklasson, Mr. Samuel', 'Bentham, Miss. Lilian W', 'Midtsjo, Mr. Karl Albert', 'de Messemaeker, Mr. Guillaume Joseph', 'Nilsson, Mr. August Ferdinand', 'Wells, Mrs. Arthur Henry (Addie" Dart Trevaskis)"', 'Klasen, Miss. Gertrud Emilia', 'Portaluppi, Mr. Emilio Ilario Giuseppe', 'Lyntakoff, Mr. Stanko', 'Chisholm, Mr. Roderick Robert Crispin', 'Warren, Mr. Charles William', 'Howard, Miss. May Elizabeth', 'Pokrnic, Mr. Mate', 'McCaffry, Mr. Thomas Francis', 'Fox, Mr. Patrick', 'Clark, Mrs. Walter Miller (Virginia McDowell)', 'Lennon, Miss. Mary', 'Saade, Mr. Jean Nassr', 'Bryhl, Miss. Dagmar Jenny Ingeborg ', 'Parker, Mr. Clifford Richard', 'Faunthorpe, Mr. Harry', 'Ware, Mr. John James', 'Oxenham, Mr. Percy Thomas', 'Oreskovic, Miss. Jelka', 'Peacock, Master. Alfred Edward', 'Fleming, Miss. Honora', 'Touma, Miss. Maria Youssef', 'Rosblom, Miss. Salli Helena', 'Dennis, Mr. William', 'Franklin, Mr. Charles (Charles Fardon)', 'Snyder, Mr. John Pillsbury', 'Mardirosian, Mr. Sarkis', 'Ford, Mr. Arthur', 'Rheims, Mr. George Alexander Lucien', 'Daly, Miss. Margaret Marcella Maggie""', 'Nasr, Mr. Mustafa', 'Dodge, Dr. Washington', 'Wittevrongel, Mr. Camille', 'Angheloff, Mr. Minko', 'Laroche, Miss. Louise', 'Samaan, Mr. Hanna', 'Loring, Mr. Joseph Holland', 'Johansson, Mr. Nils', 'Olsson, Mr. Oscar Wilhelm', 'Malachard, Mr. Noel', 'Phillips, Mr. Escott Robert', 'Pokrnic, Mr. Tome', 'McCarthy, Miss. Catherine Katie""', 'Crosby, Mrs. Edward Gifford (Catherine Elizabeth Halstead)', 'Allison, Mr. Hudson Joshua Creighton', 'Aks, Master. Philip Frank', 'Hays, Mr. Charles Melville', 'Hansen, Mrs. Claus Peter (Jennie L Howard)', 'Cacic, Mr. Jego Grga', 'Vartanian, Mr. David', 'Sadowitz, Mr. Harry', 'Carr, Miss. Jeannie', 'White, Mrs. John Stuart (Ella Holmes)', 'Hagardon, Miss. Kate', 'Spencer, Mr. William Augustus', 'Rogers, Mr. Reginald Harry', 'Jonsson, Mr. Nils Hilding', 'Jefferys, Mr. Ernest Wilfred', 'Andersson, Mr. Johan Samuel', 'Krekorian, Mr. Neshan', 'Nesson, Mr. Israel', 'Rowe, Mr. Alfred G', 'Kreuchen, Miss. Emilie', 'Assam, Mr. Ali', 'Becker, Miss. Ruth Elizabeth', 'Rosenshine, Mr. George (Mr George Thorne")"', 'Clarke, Mr. Charles Valentine', 'Enander, Mr. Ingvar', 'Davies, Mrs. John Morgan (Elizabeth Agnes Mary White) ', 'Dulles, Mr. William Crothers', 'Thomas, Mr. Tannous', 'Nakid, Mrs. Said (Waika Mary" Mowad)"', 'Cor, Mr. Ivan', 'Maguire, Mr. John Edward', 'de Brito, Mr. Jose Joaquim', 'Elias, Mr. Joseph', 'Denbury, Mr. Herbert', 'Betros, Master. Seman', 'Fillbrook, Mr. Joseph Charles', 'Lundstrom, Mr. Thure Edvin', 'Sage, Mr. John George', 'Cardeza, Mrs. James Warburton Martinez (Charlotte Wardle Drake)', 'van Billiard, Master. James William', 'Abelseth, Miss. Karen Marie', 'Botsford, Mr. William Hull', 'Whabee, Mrs. George Joseph (Shawneene Abi-Saab)', 'Giles, Mr. Ralph', 'Walcroft, Miss. Nellie', 'Greenfield, Mrs. Leo David (Blanche Strouse)', 'Stokes, Mr. Philip Joseph', 'Dibden, Mr. William', 'Herman, Mr. Samuel', 'Dean, Miss. Elizabeth Gladys Millvina""', 'Julian, Mr. Henry Forbes', 'Brown, Mrs. John Murray (Caroline Lane Lamson)', 'Lockyer, Mr. Edward', "O'Keefe, Mr. Patrick", 'Lindell, Mrs. Edvard Bengtsson (Elin Gerda Persson)', 'Sage, Master. William Henry', 'Mallet, Mrs. Albert (Antoinette Magnin)', 'Ware, Mrs. John James (Florence Louise Long)', 'Strilic, Mr. Ivan', 'Harder, Mrs. George Achilles (Dorothy Annan)', 'Sage, Mrs. John (Annie Bullen)', 'Caram, Mr. Joseph', 'Riihivouri, Miss. Susanna Juhantytar Sanni""', 'Gibson, Mrs. Leonard (Pauline C Boeson)', 'Pallas y Castello, Mr. Emilio', 'Giles, Mr. Edgar', 'Wilson, Miss. Helen Alice', 'Ismay, Mr. Joseph Bruce', 'Harbeck, Mr. William H', 'Dodge, Mrs. Washington (Ruth Vidaver)', 'Bowen, Miss. Grace Scott', 'Kink, Miss. Maria', 'Cotterill, Mr. Henry Harry""', 'Hipkins, Mr. William Edward', 'Asplund, Master. Carl Edgar', "O'Connor, Mr. Patrick", 'Foley, Mr. Joseph', 'Risien, Mrs. Samuel (Emma)', "McNamee, Mrs. Neal (Eileen O'Leary)", 'Wheeler, Mr. Edwin Frederick""', 'Herman, Miss. Kate', 'Aronsson, Mr. Ernst Axel Algot', 'Ashby, Mr. John', 'Canavan, Mr. Patrick', 'Palsson, Master. Paul Folke', 'Payne, Mr. Vivian Ponsonby', 'Lines, Mrs. Ernest H (Elizabeth Lindsey James)', 'Abbott, Master. Eugene Joseph', 'Gilbert, Mr. William', 'Kink-Heilmann, Mr. Anton', 'Smith, Mrs. Lucien Philip (Mary Eloise Hughes)', 'Colbert, Mr. Patrick', 'Frolicher-Stehli, Mrs. Maxmillian (Margaretha Emerentia Stehli)', 'Larsson-Rondberg, Mr. Edvard A', 'Conlon, Mr. Thomas Henry', 'Bonnell, Miss. Caroline', 'Gale, Mr. Harry', 'Gibson, Miss. Dorothy Winifred', 'Carrau, Mr. Jose Pedro', 'Frauenthal, Mr. Isaac Gerald', 'Nourney, Mr. Alfred (Baron von Drachstedt")"', 'Ware, Mr. William Jeffery', 'Widener, Mr. George Dunton', 'Riordan, Miss. Johanna Hannah""', 'Peacock, Miss. Treasteall', 'Naughton, Miss. Hannah', 'Minahan, Mrs. William Edward (Lillian E Thorpe)', 'Henriksson, Miss. Jenny Lovisa', 'Spector, Mr. Woolf', 'Oliva y Ocana, Dona. Fermina', 'Saether, Mr. Simon Sivertsen', 'Ware, Mr. Frederick', 'Peter, Master. Michael J'], dtype=object)
In [60]:name_list = [n.split(',')[1].split(' ')[1] for n in df['Name']]
In [61]:set(name_list)
Out[61]:{'Col.', 'Dona.', 'Dr.', 'Master.', 'Miss.', 'Mr.', 'Mrs.', 'Ms.', 'Rev.'}
In [70]:change = {'Col.':'M', 'Dona.':'F', 'Dr.':'M', 'Master.':'Unknown', 'Miss.':'F', 'Mr.':'M', 'Mrs.':'F', 'Ms.':'F', 'Rev.':'M'}
In [69]:df_copy[df_copy['Name'] == 'Oliva y Ocana, Dona. Fermina']
Out[69]:PclassNameSexAgeSibSpParchTicketFareCabinEmbarkedPassengerId13061 Oliva y Ocana, Dona. Fermina female 39.0 0 0 PC 17758 108.9 C105 C In [72]:df['sex'] = name_list
In [74]:df.replace({'sex':change}, inplace=True)
In [75]:df
Out[75]:PclassNameAgeSibSpParchTicketFareCabinEmbarkedsexPassengerId892893894895896...130513061307130813093 Kelly, Mr. James 34.5 0 0 330911 7.8292 NaN Q M 3 Wilkes, Mrs. James (Ellen Needs) 47.0 1 0 363272 7.0000 NaN S F 2 Myles, Mr. Thomas Francis 62.0 0 0 240276 9.6875 NaN Q M 3 Wirz, Mr. Albert 27.0 0 0 315154 8.6625 NaN S M 3 Hirvonen, Mrs. Alexander (Helga E Lindqvist) 22.0 1 1 3101298 12.2875 NaN S F ... ... ... ... ... ... ... ... ... ... 3 Spector, Mr. Woolf NaN 0 0 A.5. 3236 8.0500 NaN S M 1 Oliva y Ocana, Dona. Fermina 39.0 0 0 PC 17758 108.9000 C105 C F 3 Saether, Mr. Simon Sivertsen 38.5 0 0 SOTON/O.Q. 3101262 7.2500 NaN S M 3 Ware, Mr. Frederick NaN 0 0 359309 8.0500 NaN S M 3 Peter, Master. Michael J NaN 1 1 2668 22.3583 NaN C Unknown 418 rows × 10 columns
In [76]:df['Age'].unique()
Out[76]:array([34.5 , 47. , 62. , 27. , 22. , 14. , 30. , 26. , 18. , 21. , nan, 46. , 23. , 63. , 24. , 35. , 45. , 55. , 9. , 48. , 50. , 22.5 , 41. , 33. , 18.5 , 25. , 39. , 60. , 36. , 20. , 28. , 10. , 17. , 32. , 13. , 31. , 29. , 28.5 , 32.5 , 6. , 67. , 49. , 2. , 76. , 43. , 16. , 1. , 12. , 42. , 53. , 26.5 , 40. , 61. , 60.5 , 7. , 15. , 54. , 64. , 37. , 34. , 11.5 , 8. , 0.33, 38. , 57. , 40.5 , 0.92, 19. , 36.5 , 0.75, 0.83, 58. , 0.17, 59. , 14.5 , 44. , 5. , 51. , 3. , 38.5 ])
In [78]:df['Age'].fillna(0, inplace=True)
In [ ]:# df['Age'] == float('nan') 잘못된 방법 # df['Age'] == df['Age'] 올바른 방법
In [79]:df
Out[79]:PclassNameAgeSibSpParchTicketFareCabinEmbarkedsexPassengerId892893894895896...130513061307130813093 Kelly, Mr. James 34.5 0 0 330911 7.8292 NaN Q M 3 Wilkes, Mrs. James (Ellen Needs) 47.0 1 0 363272 7.0000 NaN S F 2 Myles, Mr. Thomas Francis 62.0 0 0 240276 9.6875 NaN Q M 3 Wirz, Mr. Albert 27.0 0 0 315154 8.6625 NaN S M 3 Hirvonen, Mrs. Alexander (Helga E Lindqvist) 22.0 1 1 3101298 12.2875 NaN S F ... ... ... ... ... ... ... ... ... ... 3 Spector, Mr. Woolf 0.0 0 0 A.5. 3236 8.0500 NaN S M 1 Oliva y Ocana, Dona. Fermina 39.0 0 0 PC 17758 108.9000 C105 C F 3 Saether, Mr. Simon Sivertsen 38.5 0 0 SOTON/O.Q. 3101262 7.2500 NaN S M 3 Ware, Mr. Frederick 0.0 0 0 359309 8.0500 NaN S M 3 Peter, Master. Michael J 0.0 1 1 2668 22.3583 NaN C Unknown 418 rows × 10 columns
In [80]:query_expr = "sex == 'M' and 10 <= Age < 20"
In [81]:df.query(query_expr)
Out[81]:PclassNameAgeSibSpParchTicketFareCabinEmbarkedsexPassengerId8979279529541001100710591079110411221161120212091232124412953 Svensson, Mr. Johan Cervin 14.0 0 0 7538 9.2250 NaN S M 3 Katavelas, Mr. Vassilios (Catavelas Vassilios")" 18.5 0 0 2682 7.2292 NaN C M 3 Dika, Mr. Mirko 17.0 0 0 349232 7.8958 NaN S M 3 Bjorklund, Mr. Ernst Herbert 18.0 0 0 347090 7.7500 NaN S M 2 Swane, Mr. George 18.5 0 0 248734 13.0000 F S M 3 Chronopoulos, Mr. Demetrios 18.0 1 0 2680 14.4542 NaN C M 3 Ford, Mr. Edward Watson 18.0 2 2 W./C. 6608 34.3750 NaN S M 3 Davies, Mr. Joseph 17.0 2 0 A/4 48873 8.0500 NaN S M 2 Deacon, Mr. Percy William 17.0 0 0 S.O.C. 14879 73.5000 NaN S M 2 Sweet, Mr. George Frederick 14.0 0 0 220845 65.0000 NaN S M 3 Pokrnic, Mr. Mate 17.0 0 0 315095 8.6625 NaN S M 3 Cacic, Mr. Jego Grga 18.0 0 0 315091 8.6625 NaN S M 2 Rogers, Mr. Reginald Harry 19.0 0 0 28004 10.5000 NaN S M 2 Fillbrook, Mr. Joseph Charles 18.0 0 0 C.A. 15185 10.5000 NaN S M 2 Dibden, Mr. William 18.0 0 0 S.O.C. 14879 73.5000 NaN S M 1 Carrau, Mr. Jose Pedro 17.0 0 0 113059 47.1000 NaN S M In [83]:df.query(query_expr).index
Out[83]:Int64Index([ 897, 927, 952, 954, 1001, 1007, 1059, 1079, 1104, 1122, 1161, 1202, 1209, 1232, 1244, 1295], dtype='int64', name='PassengerId')
In [84]:df['check'] = 'X'
In [85]:for i in df.query(query_expr).index: df.loc[i, 'check'] = 'O'
In [88]:df[df['check'] == 'O']
Out[88]:PclassNameAgeSibSpParchTicketFareCabinEmbarkedsexcheckPassengerId8979279529541001100710591079110411221161120212091232124412953 Svensson, Mr. Johan Cervin 14.0 0 0 7538 9.2250 NaN S M O 3 Katavelas, Mr. Vassilios (Catavelas Vassilios")" 18.5 0 0 2682 7.2292 NaN C M O 3 Dika, Mr. Mirko 17.0 0 0 349232 7.8958 NaN S M O 3 Bjorklund, Mr. Ernst Herbert 18.0 0 0 347090 7.7500 NaN S M O 2 Swane, Mr. George 18.5 0 0 248734 13.0000 F S M O 3 Chronopoulos, Mr. Demetrios 18.0 1 0 2680 14.4542 NaN C M O 3 Ford, Mr. Edward Watson 18.0 2 2 W./C. 6608 34.3750 NaN S M O 3 Davies, Mr. Joseph 17.0 2 0 A/4 48873 8.0500 NaN S M O 2 Deacon, Mr. Percy William 17.0 0 0 S.O.C. 14879 73.5000 NaN S M O 2 Sweet, Mr. George Frederick 14.0 0 0 220845 65.0000 NaN S M O 3 Pokrnic, Mr. Mate 17.0 0 0 315095 8.6625 NaN S M O 3 Cacic, Mr. Jego Grga 18.0 0 0 315091 8.6625 NaN S M O 2 Rogers, Mr. Reginald Harry 19.0 0 0 28004 10.5000 NaN S M O 2 Fillbrook, Mr. Joseph Charles 18.0 0 0 C.A. 15185 10.5000 NaN S M O 2 Dibden, Mr. William 18.0 0 0 S.O.C. 14879 73.5000 NaN S M O 1 Carrau, Mr. Jose Pedro 17.0 0 0 113059 47.1000 NaN S M O In [ ]:df.to_csv('./result.tsv', sep='\t')
In [ ]:
- sibsp와 fare와의 관계성이 있는지 확인해보기
- embarked와 ticket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해보기
In [90]:df['SibSp'].unique() # 0과 나머지로 분류
Out[90]:array([0, 1, 2, 3, 4, 5, 8], dtype=int64)
In [91]:df['Fare'].unique()
Out[91]:array([ 7.8292, 7. , 9.6875, 8.6625, 12.2875, 9.225 , 7.6292, 29. , 7.2292, 24.15 , 7.8958, 26. , 82.2667, 61.175 , 27.7208, 12.35 , 7.225 , 7.925 , 59.4 , 3.1708, 31.6833, 61.3792, 262.375 , 14.5 , 61.9792, 30.5 , 21.6792, 31.5 , 20.575 , 23.45 , 57.75 , 8.05 , 9.5 , 56.4958, 13.4167, 26.55 , 7.85 , 13. , 52.5542, 29.7 , 7.75 , 76.2917, 15.9 , 60. , 15.0333, 23. , 263. , 15.5792, 29.125 , 7.65 , 16.1 , 13.5 , 7.725 , 21. , 7.8792, 42.4 , 28.5375, 211.5 , 25.7 , 15.2458, 221.7792, 10.7083, 14.4542, 13.9 , 7.775 , 52. , 7.7958, 78.85 , 7.8542, 55.4417, 8.5167, 22.525 , 7.8208, 8.7125, 15.0458, 7.7792, 31.6792, 7.2833, 6.4375, 16.7 , 75.2417, 15.75 , 7.25 , 23.25 , 28.5 , 25.4667, 46.9 , 151.55 , 18. , 51.8625, 83.1583, nan, 12.1833, 31.3875, 7.55 , 13.775 , 7.7333, 22.025 , 50.4958, 34.375 , 8.9625, 39. , 36.75 , 53.1 , 247.5208, 16. , 69.55 , 32.5 , 134.5 , 10.5 , 8.1125, 15.5 , 14.4 , 227.525 , 25.7417, 7.05 , 73.5 , 42.5 , 164.8667, 13.8583, 27.4458, 15.1 , 65. , 6.4958, 71.2833, 75.25 , 106.425 , 30. , 7.8875, 27.75 , 136.7792, 9.325 , 17.4 , 12.7375, 0. , 20.2125, 39.6 , 6.95 , 81.8583, 41.5792, 45.5 , 9.35 , 93.5 , 14.1083, 7.575 , 135.6333, 146.5208, 211.3375, 79.2 , 15.7417, 7.5792, 512.3292, 63.3583, 51.4792, 15.55 , 37.0042, 14.4583, 39.6875, 11.5 , 50. , 12.875 , 21.075 , 39.4 , 20.25 , 47.1 , 13.8625, 7.7208, 90. , 108.9 , 22.3583])
In [102]:df_l = df[df['SibSp'] < 1] df_h = df[df['SibSp'] >= 1]
In [126]:df_h
Out[126]:PclassNameAgeSibSpParchTicketFareCabinEmbarkedsexcheckPassengerId893896899901904...129812991301130313093 Wilkes, Mrs. James (Ellen Needs) 47.0 1 0 363272 7.0000 NaN S F X 3 Hirvonen, Mrs. Alexander (Helga E Lindqvist) 22.0 1 1 3101298 12.2875 NaN S F X 2 Caldwell, Mr. Albert Francis 26.0 1 1 248738 29.0000 NaN S M X 3 Davies, Mr. John Samuel 21.0 2 0 A/4 48871 24.1500 NaN S M X 1 Snyder, Mrs. John Pillsbury (Nelle Stevenson) 23.0 1 0 21228 82.2667 B45 S F X ... ... ... ... ... ... ... ... ... ... ... 2 Ware, Mr. William Jeffery 23.0 1 0 28666 10.5000 NaN S M X 1 Widener, Mr. George Dunton 50.0 1 1 113503 211.5000 C80 C M X 3 Peacock, Miss. Treasteall 3.0 1 1 SOTON/O.Q. 3101315 13.7750 NaN S F X 1 Minahan, Mrs. William Edward (Lillian E Thorpe) 37.0 1 0 19928 90.0000 C78 Q F X 3 Peter, Master. Michael J 0.0 1 1 2668 22.3583 NaN C Unknown X 135 rows × 11 columns
In [107]:fare_l = df_l['Fare'].mean() fare_h = df_h['Fare'].mean()
In [109]:print('1인 탑승객의 요금 평균: $%.3f, 다인 탑승객의 요금 평균: $%.3f' %(fare_l, fare_h))
1인 탑승객의 요금 평균: $25.987, 다인 탑승객의 요금 평균: $55.765
In [ ]:In [111]:df['Embarked'].unique()
Out[111]:array(['Q', 'S', 'C'], dtype=object)
In [113]:df['Ticket'].unique()
Out[113]:array(['330911', '363272', '240276', '315154', '3101298', '7538', '330972', '248738', '2657', 'A/4 48871', '349220', '694', '21228', '24065', 'W.E.P. 5734', 'SC/PARIS 2167', '233734', '2692', 'STON/O2. 3101270', '2696', 'PC 17603', 'C 17368', 'PC 17598', 'PC 17597', 'PC 17608', 'A/5. 3337', '113509', '2698', '113054', '2662', 'SC/AH 3085', 'C.A. 31029', 'C.A. 2315', 'W./C. 6607', '13236', '2682', '342712', '315087', '345768', '1601', '349256', '113778', 'SOTON/O.Q. 3101263', '237249', '11753', 'STON/O 2. 3101291', 'PC 17594', '370374', '11813', 'C.A. 37671', '13695', 'SC/PARIS 2168', '29105', '19950', 'SC/A.3 2861', '382652', '349230', '348122', '386525', '349232', '237216', '347090', '334914', 'F.C.C. 13534', '330963', '113796', '2543', '382653', '349211', '3101297', 'PC 17562', '113503', '359306', '11770', '248744', '368702', '2678', 'PC 17483', '19924', '349238', '240261', '2660', '330844', 'A/4 31416', '364856', '29103', '347072', '345498', 'F.C. 12750', '376563', '13905', '350033', '19877', 'STON/O 2. 3101268', '347471', 'A./5. 3338', '11778', '228414', '365235', '347070', '2625', 'C 4001', '330920', '383162', '3410', '248734', '237734', '330968', 'PC 17531', '329944', '2680', '2681', 'PP 9549', '13050', 'SC/AH 29037', 'C.A. 33595', '367227', '392095', '368783', '371362', '350045', '367226', '211535', '342441', 'STON/OQ. 369943', '113780', '4133', '2621', '349226', '350409', '2656', '248659', 'SOTON/OQ 392083', 'CA 2144', '113781', '244358', '17475', '345763', '17463', 'SC/A4 23568', '113791', '250651', '11767', '349255', '3701', '350405', '347077', 'S.O./P.P. 752', '347469', '110489', 'SOTON/O.Q. 3101315', '335432', '2650', '220844', '343271', '237393', '315153', 'PC 17591', 'W./C. 6608', '17770', '7548', 'S.O./P.P. 251', '2670', '2673', '29750', 'C.A. 33112', '230136', 'PC 17756', '233478', '113773', '7935', 'PC 17558', '239059', 'S.O./P.P. 2', 'A/4 48873', 'CA. 2343', '28221', '226875', '111163', 'A/5. 851', '235509', '28220', '347465', '16966', '347066', 'C.A. 31030', '65305', '36568', '347080', 'PC 17757', '26360', 'C.A. 34050', 'F.C. 12998', '9232', '28034', 'PC 17613', '349250', 'SOTON/O.Q. 3101308', 'S.O.C. 14879', '347091', '113038', '330924', '36928', '32302', 'SC/PARIS 2148', '342684', 'W./C. 14266', '350053', 'PC 17606', '2661', '350054', '370368', 'C.A. 6212', '242963', '220845', '113795', '3101266', '330971', 'PC 17599', '350416', '110813', '2679', '250650', 'PC 17761', '112377', '237789', '3470', '17464', '26707', 'C.A. 34651', 'SOTON/O2 3101284', '13508', '7266', '345775', 'C.A. 42795', 'AQ/4 3130', '363611', '28404', '345501', '345572', '350410', 'C.A. 34644', '349235', '112051', 'C.A. 49867', 'A. 2. 39186', '315095', '368573', '370371', '2676', '236853', 'SC 14888', '2926', 'CA 31352', 'W./C. 14260', '315085', '364859', '370129', 'A/5 21175', 'SOTON/O.Q. 3101314', '2655', 'A/5 1478', 'PC 17607', '382650', '2652', '33638', '345771', '349202', 'SC/Paris 2123', '113801', '347467', '347079', '237735', '315092', '383123', '112901', '392091', '12749', '350026', '315091', '2658', 'LP 1588', '368364', 'PC 17760', 'AQ/3. 30631', 'PC 17569', '28004', '350408', '347075', '2654', '244368', '113790', '24160', 'SOTON/O.Q. 3101309', 'PC 17585', '2003', '236854', 'PC 17580', '2684', '2653', '349229', '110469', '244360', '2675', '2622', 'C.A. 15185', '350403', 'PC 17755', '348125', '237670', '2688', '248726', 'F.C.C. 13528', 'PC 17759', 'F.C.C. 13540', '113044', '11769', '1222', '368402', '349910', 'S.C./PARIS 2079', '315083', '11765', '2689', '3101295', '112378', 'SC/PARIS 2147', '28133', '112058', '248746', '315152', '29107', '680', '366713', '330910', '364498', '376566', 'SC/PARIS 2159', '349911', '244346', '364858', '349909', 'PC 17592', 'C.A. 2673', 'C.A. 30769', '371109', '13567', '347065', '21332', '28664', '113059', '17765', 'SC/PARIS 2166', '28666', '334915', '365237', '19928', '347086', 'A.5. 3236', 'PC 17758', 'SOTON/O.Q. 3101262', '359309', '2668'], dtype=object)
In [119]:df['Ticket2'] = [int(t.split(' ')[-1]) for t in df['Ticket']]
In [130]:['330911'][-1]
Out[130]:'330911'
In [117]:df['Embarked'].unique()
Out[117]:array(['Q', 'S', 'C'], dtype=object)
In [125]:for i in df['Embarked'].unique(): x = df[df['Embarked'] == i]['Ticket2'].mean() y = df[df['Embarked'] == i]['Ticket2'].min() z = df[df['Embarked'] == i]['Ticket2'].max() print(f'{i}의 경우 최소 {y}, 최대 {z}, 평균 {x} 값입니다')
Q의 경우 최소 3130, 최대 383162, 평균 294730.89130434784 값입니다 S의 경우 최소 2, 최대 3101315, 평균 330352.14814814815 값입니다 C의 경우 최소 2079, 최대 349256, 평균 31081.58823529412 값입니다
In [ ]:In [ ]:In [132]:pd.DataFrame([ { "정책용어": "BRT(간선급행버스체계)", "생성배경": "신도시 개발 등에 따른 통행 거리 증대와 수도권 주민의 교통난을 해 소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고급 대중교통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고, 과도한 지하철 적자 문제에 대응한 저비용·고효율의 대중교통시스템이다. 도심지역의 도로와 교통시설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이 낮아지며 교통체증이 지속되어 필요해진 개념으로서, 2005년 말부터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에 시범적 으로 시행하고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콜롬비아 보고타시는 Transmilenio 사업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주민투표를 시행하여 주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기반으로 사업 을 추진하였다. 노선체계는 BRT 노선 보통 및 급행으로 나누고 급행은 2개 또는 3개 정류장마다 정차함으로써 속도를 높였다. 브라질의 꾸리찌바시는 BRT 인프라 구축을 위해 1965년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1974년부터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계획을 기반으로 중앙정부의 지원 없이 단계별로 구축하여 확장했다. 통합 노선망은 버스전용차로를 달리는 급행버스와 간선버스, 지역과 환승센터를 연결하는 지선버스, 그리고 환승센터를 순환하는 순환버스로 구성된다. 일본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는 통상의 버스 차량을 이용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을 말하며 신 교통시스템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해외에서는 BRT의 일종으로 인식하고 있다. 1989년 후쿠오카시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박람회의 수송수단으로 처음 도입된 이후, 2001년 최초로 실용화된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5), BRT 편람 모창환 외 1명(2007), 간선급행버스체계(BRT)운영체제의 기초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수도권 교통본부 홈페이지(www.mta.go.kr)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보도자료(15-136호) ", "작성자":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 }, { "정책용어": "뿌리산업특화단지", "생성배경":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뿌리산업은 뿌리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업종이거나 뿌리기술에 활용되는 장비 제조업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종을 말한다.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뿌리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업종으로 자동차, 조선, IT 등 최종 제품의 품질경쟁력 제고에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뿌리산업은 청동기시대 무기류·장신구 제작을 위한 주조에서 시작하여 제조업의 발전과정에서 산업의 핵심 요소로서 역할을 담당해 왔다. 최근 국내외에서 엄격해지는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 전력 등 에너지비용 상승에 대한 뿌리기업의 비용부담 완화, 뿌리기업들의 집적화를 통한 고도화·첨단화,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산업단지 조성 등을 유도하기 위해서 정부는 2013년부터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산업통상자원부(2014), 뿌리산업 특화단지 8곳 추가 지정, 보도자료(2014. 9.1) 산업통상자원부(2015), 뿌리산업 특화단지에 대한 정부지원 비율 10%-30% 상향 조정, 보도자료(2015. 2.12) 산업통상자원부(2017), ’17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지원사업 신청 접수, 보도자료(2017. 3.20) 산업통상자원부(2019), 뿌리산업 특화단지 4개 추가 지정, 보도자료(2019. 7.2) 산업통상자원부(2021), 뿌리 특화단지 혁신을 통해 주력산업 도약 발판 마련, 보도자료(2021. 6.23) ", "작성자": "송우경(산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MZ세대",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00733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MZ Generation] (한경 경제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4621cid=42107categoryId=42107 위키백과: MZ세대 https:\/\/ko.wikipedia.org\/wiki\/MZ%EC%84%B8%EB%8C%80 ", "작성자":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창조산업 클러스터", "생성배경": "세계경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경제 시대를 지나 지식기반경제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향후에는 창의성이 국가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의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국에서 창조경제가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탈산업화와 탈물질적 가치체계의 확산에 따라 창의성이 지역발전의 핵심적인 결정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경제운영의 패러다임을 그간의 모방ㆍ응용을 통한 추격형 성장전략에서 탈피하여 국민의 창의성에 기반한 선도형 성장전략으로 전환하기 위해 창조산업의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2013년에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을 확정 발표하고 3대 목표, 6대 전략, 24개 추진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 "용어설명": "영국의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2001년)는 창조산업을 개인의 창의성, 기술, 재능 등을 이용해 지적재산권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부와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창조산업 클러스터는 동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들이 공간적으로 집적하여 긴밀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지리적 집중체로 규정할 수 있다. 창조산업 클러스터는 복잡한 창조적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창의적 인재 확보를 전제로 하며 종사자의 내적 열정과 창의성, 숙련의 다양성 등을 요구한다. 따라서 창조산업 클러스터는 창조산업을 주도하는 창조적 인력이 선호하는 추가적인 입지요인들을 충족시켜 줄 필요가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창조산업의 수도권 편중이 매우 심하고 문화산업진흥지구 및 문화산업 클러스터 등 물리적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창조산업의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지원 시스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입지적 측면에서도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특성에 부합하는 계획입지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된 파주 출판도시와 일반산업단지로 조성된 부산 센텀시티 등이 대표적인 창조산업 클러스터로 거론되고 있다. ", "해외사례": "영국에서는 1998년에 Creative Britain, 미국에서는 2000년에 Creative America라는 계획을 통해 창조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문화창의산업(2005년) 등을 통해 창조산업의 육성을 천명하고 있다. 창조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는 영국으로 전통 숙련기술을 통해 예술적 가치가 뛰어난 문화예술품과 명품 소비재를 생산하는 특산지에 창조산업 클러스터를 집중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탈공업화로 인해 도심 공동화 현상을 보이던 브루클린이 맨해튼으로부터 파급된 문화예술활동을 받아들여 창조산업 클러스터로 변모한 사례 등이 대표적이다. ", "참고자료문헌": "신동호(2011),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의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국 경제지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김성은, 이명훈(2011), 도시의 창조적 인력ㆍ기반ㆍ관용이 창조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6권 제5호 노춘석(2009), 영국 창조산업의 사례분석 및 벤치마킹 방안, 한국콘텐츠진흥원 이희연, 황은정(2008), 창조산업의 집적화와 가치사슬에 따른 분포특성 : 서울을 사례로, 국토연구 제58권 구문모(2005), 창조산업의 경제적 기여와 서울시의 정책적 함의,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4호 Creative Britain : New Talents for the New Economy ", "작성자":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제주국제자유도시", "생성배경": "제주국제자유도시는 기업활동에 최대한 편의를 제공하고 최적의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여 제주도를 국내· 외 투자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국제적인 동북아시아의 중심도시로 만들고자 추진되었다. 제주도를 국제적인 관광· 휴양도시, 첨단지식산업도시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국제자유도시로 육성· 발전시키기 위하여「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을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으로 변경하여 2002년 1월 26일 공포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2002년부터 10년간에 걸쳐 지역의 자원을 합리적, 효율적으로 개발·이용·보존하며 미래의 여건변화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성공적인 ‘제주국제자유도시’의 건설과 ‘세계 평화의 섬’ 조성을 통해 관광·휴양도시인 동시에 첨단지식·물류·금융 등이 결합된 동북아시아의 거점복합기능도시로 도약시키고자 하였다. ", "용어설명": "제주국제자유도시(Jeju Free International City)는 무비자 입국 및 외국의 전문인력 장기체류 등 사람들의 자유로운 이동이 허용되며, 관제면제와 무역 규제완화 그리고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이 촉진되는 외환거래 규제완화를 통해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되는 동북아시아 중심도시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제주지역 개발계획이다. 즉, 제주를 국가 개방의 거점으로 개발하는 동시에 제주도민의 소득 및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였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총 29조 원을 투자하여 제주도를 홍콩, 싱가포르와 비견되는 동북아 일류의 국제자유도시로 육성하는 국가전략사업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사업이 추진되었다.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하여 특별법을 제정하여 국제자유도시개발계획이 수립되었다. 주요 내용은 첫째, 제주의 강점인 청정 환경을 바탕으로 하여 국제적인 관광산업과 항공·물류산업, 첨단과학 및 연구·교육산업, 1차 산업 등을 육성하는 것이다. 둘째, 제주도를 국제적인 자유투자지역으로 만들어 지역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주요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셋째, 국제자유도시를 추진하기 위한 특례법을 제정하고 중장정부 차원의 전담개발기구 및 지원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계획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제주를 사람, 상품, 자본 및 지식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국제적 경제, 관광 거점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건설교통부(2003),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디지털제주문화대전 홈페이지(jeju.grandculture.net) 제주국제자유도시 홈페이지(freecity.jeju.go.kr) 제주특별자치도(2007), 특별자치도 출범, 그 간의 성과와 과제 ", "작성자":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 }, { "정책용어": "디지털뉴딜",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제7차 비상경제회의, (2020.07.14.) 한국판 뉴딜 2.0 추진계획, 제4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 (2021.07.14) ’21년 디지털 뉴딜 실행계획, 한국판뉴딜 관계장관회의(제8차), (2021.01.06.) 디지털뉴딜 홈페이지, https:\/\/digital.go.kr\/front\/intro\/introMain.do 디지털뉴딜 로드맵(2020-2025), (2021) ", "작성자":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재정자주도",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홈페이지(http:\/\/index.go.kr) ", "작성자":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 }, { "정책용어": "지역상생포럼", "생성배경": "지역발전정책을 둘러싸고 발생한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지역 상호간 갈등은 지방은 물론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아울러 ‘더불어 잘사는 지역발전’을 위해 수도권-비수도권, 도시-농촌 등 지역간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국가적 관점에서 상생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지역상생포럼이 창립되었다. ", "용어설명": "지역상생포럼은 지역과 국민 속으로 들어가 새로운 정책 방향에 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공론화의 구심점 역할을 위해 창립하게 되었다. 특히 지역현장에서의 의견을 중시하는 상향식 포럼 운영 방식으로 기존 지역발전 패러다임인 지역간 경쟁·갈등형 구조에서 협력·소통형 구조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내부자료(2012) ", "작성자": "이정록(전남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n" }, { "정책용어": "농가소득안정직불제", "생성배경": "WTO\/FTA에 의한 개방확대와 더불어 농가소득 및 농가경영 불안정이 심화되면서 경영안정을 도모하고 장기적으로 농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농촌의 활력을 유지하는 정책수단의 하나로 소득안정직불제 도입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원칙적으로 시장개방이나 자연재해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나 수량변동이 큰 작물을 대상으로 하며, 경영리스크가 큰 일정규모 이상의 농가를 대상으로 경영안정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t ", "용어설명": "한ㆍ미 FTA 피해대책의 일환으로 주요 농산물의 가격 하락이나 생산량 감소 등으로 주업농의 당해연도 농업소득이 기준소득보다 낮아질 경우 격차의 일부를 직불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가격이나 수량의 변화에 의해 경영 위험이 큰 일정규모 이상인 전업적인 농가를 대상으로 한다.\t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 현행 운영되고 있는 직불제로는 쌀소득보전직불제를 비롯하여, 친환경직불제, 경관보전직불제, 조건불리지역직불제, 경영이양직불제, FTA피해보전직불제, 밭농업직불제 등이 있다.\t ", "해외사례": "미국의 소득안정직불제 미국의 소득안정직불제는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해 농가소득을 지지하거나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소득정책의 핵심은 품목별 생산비 기준의 목표가격(생산비 기준)을 설정하고, 다양한 직불제로서 이를 보장하는 방식을 강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소득안정형직불제는 ① 융자제도, ② 고정직불, ③ CCP (또는 ACRE), 그리고 ④ 각종 수입보험 등 복수의 정책수단을 통하여 일정 수준의 농업소득을 보장하며, 소득안정망으로서 효과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의 소득안정직불제의 구조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2011),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동향과 농가소득안정 직불제의 쟁점분석에서 인용 캐나다의 농업 소득안정 프로그램(AgriStability) 농가의 대규모 소득감소에 대한 경영안정을 목적으로 운영되며, 농업소득이 기준소득의 85% 이하 감소 시 경영안정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본의 호별소득보상제도 농가소득 감소, 쌀 과잉문제 해소, 논ㆍ밭농업 활성화, 자급률 향상 등을 목적으로 2010년 쌀을 대상으로 한 모델사업을 거쳐 2011년 전면 도입되었다. 이 제도의 특징은 ‘쌀을 감산하는’ 동시에 ‘전략작물을 증산하여’ 자급률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2011),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동향과 농가소득안정직불제의 쟁점 분석 남숙경(2009), 농가소득안정을 위한 직접지불제의 개선방안 이광규(2007), WTO 쌀협상에 따른 농가소득 안정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곤(2010), 농가소득 안정과 직접지불제 개편 전농 정책실(2004), 소득안정 직불제의 문제점과 목표소득지지 정책 도입의 필요성 장상환(2002), 직불제 도입으로 농가소득 안정을 : 농업회생의 정책방향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 }, { "정책용어": "QWL 밸리", "생성배경": "한국의 산업단지는 1964년 구로공단을 시작으로 2010년 현재 총 901개의 산업단지가 지정되어 있다. 전국 산업단지들의 총생산액은 약 844조 원으로써 우리나라 국내 총생산액의 약 72%에 달할 정도로 한국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착공 후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산업단지가 51개(2010년 6월 기준)로, 가동 중인 국가 및 일반산업단지(227개)의 22%에 육박하여 생산성 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이들은 여전히 단순 생산 공간에 머물고 있어 창조적 인재와 기업을 유치하고 지식기반경제를 선도하는 공간적 거점으로 기능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0년 10월 27일 전국 51개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3터(일터, 배움터, 즐김터)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QWL 밸리 조성계획을 발표하였다. 시범사업지구로 반월·시화, 남동, 구미, 익산 등 4개 산업단지를 지정하고 3년(2010년 하반기~2013년 상반기) 동안 약 1조 3,7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주요 사업 내용은 쾌적한 일터, 안전한 키움터, 즐거운 놀이터, 꿈이 있는 배움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QWL 밸리의 4가지 기능 출처 : 윤종언, 2011, 근로자의 꿈을 실현하는 QWL 밸리 첫째, 쾌적한 일터 만들기를 위해 지원시설 및 복지시설(주차장, 기숙사형 오피스텔, 체육시설)의 확대, 기반시설(주차장, 도로, 하천 정비 등)의 확충, 업종고도화 촉진(지식산업센터-구 아파트형공장, 집적화단지 조성 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둘째, 안전한 키움터 만들기를 위해 산업단지 내 국·공립보육시설을 확대하여 중소기업의 경제적 부담과 관리문제를 덜어주는 한편, 산업단지 내 녹지와 공원을 활용하여 보육환경의 쾌적성과 건립 비용의 최소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셋째, 즐거운 놀이터 만들기를 위해서는 산업단지 이미지 개선 및 근로자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별 브랜드 공모 및 각종 문화 보급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단지별로 산업단지의 날을 제정하여 지자체와 주민이 함께하는 음악회, 체육행사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넷째, 꿈이 있는 배움터 만들기를 위해 산업단지 내에 대학 캠퍼스와 기업연구소, 기숙사와 지원시설 등을 입주시켜 일과 학업을 병행토록 하는 ‘산·학융합지구’를 시범지구의 중심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QWL 밸리의 성격을 가진 대표적인 해외 사례는 스웨덴의 시스타(KISTA), 프랑스의 소피아앙티폴리스(Sophia Antipolis), 핀란드의 울루 테크노폴리스(Oulu Technopolis) 등을 들 수 있다. ", "참고자료문헌": "윤종언(2011), 근로자의 꿈을 실현하는 QWL 밸리, 지역과 발전, Vol. 4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0), 노후 산업단지를 젊은이가 모이는 선진국형 기업밸리로 재창조 산업통상자원부(2011), 일하며 배우는 복합 산업공간의 창조를 위한 ‘산학융합지구’ 조성 방안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1), 산업단지에 대학이 간다 최윤기 (2011), 산업단지 내 대학캠퍼스를 조성하는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지역과 발전, Vol. 5 ", "작성자": "이종호 교수(경상대학교) \n" }, { "정책용어": "녹색건축인증제(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생성배경": "2002년부터 시행되었던 친환경건축물인증제(국토해양부와 환경부 공동고시)와 2006년부터 시행되어 온 주택성능등급표시제 대상 및 인증기준이 중복됨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3년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의 시행과 더불어 개정된 제도이다.\t ", "용어설명": "2013년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의 시행과 더불어 개정된 통합인증제로,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과 자원절약형·자연친화적 건축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다. 인증기관의 장은 인증신청을 받으면 인증심사단을 구성하여 인증기준에 따라 서류심사와 현장실사(現場實査)를 하고, 심사 내용 점수, 인증 여부 및 인증 등급을 포함한 인증심사결과서를 작성한다. 녹색건축인증 등급은 최우수(그린1등급), 우수(그린2등급), 우량(그린3등급) 또는 일반(그린4등급)이다. 녹색건축물로 인증이 되면 지방세 감면, 건축물 기준 완화, 환경개선부담금 경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의해 녹색건축의 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는 국토교통부가 정한 인증기관에 신청하여야 한다. 녹색건축 인증기준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재료 및 자원, 물순환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 등 7개의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공동주택, 복합건축물(주거), 업무용 건축물, 학교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소형주택, 기존 공동주택, 기존 업무용 건축물, 그 밖의 건축물로 구분된다.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 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 또는 지방공단, 초·중등 교육법 제2조 또는 고등 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중 국·공립학교의 경우, 전체면적의 합이 3,000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별도의 건축물을 증축하는 경우 우수등급 이상의 녹색건축 예비인증 및 본 인증을 취득하여야 한다. 녹색건축인증 절차는 설계도면 및 관련 서류로 평가하는 예비인증과 준공도면 및 관련서류, 현장심사를 시행하는 본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녹색건축인증마크 출처 :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3). p.17. 녹색건축인증절차는 설계도면 및 관련서류로 평가하는 예비인증과 준공도면 및 관련서류, 현장심사를 실시하는 본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인증절차 출처 : 녹색건축인증제 통합운영시스템(http:\/\/www.g-seed.or.kr\/?sd=1sc=1_4) 본 인증 절차 출처 : 녹색건축인증제 통합운영시스템(http:\/\/www.g-seed.or.kr\/?sd=1sc=1_4) * 총괄기관 : 국토교통부\/환경부 * 운영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인증기관 :LH 토지주택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감정원, 크레비즈인증원, 한국교육환경연구원, 한국그린빌딩협의회,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한국환경건축연구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현재 용어의 사용":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6조(녹색건축의 인증) 및 시행령, 시행규칙,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54조 녹색건축물의 확대에서 인증과 관련된 내용 및 녹색건축물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 "해외사례": "친환경건축 관련 인증제도로 영국의 BREEM(BRE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미국의 LEED(Leadership in Environmental and Energy Design, 독일의 DGNB(Deutsche Guetersiegel Nachhaltiges Bauen), 일본 CASBE (Comprehensible Assessment System for Built Environment Efficiency) 등의 인증제도가 있다. 녹색건축인증기준 평가체계 비교 출처 : 권혁삼 외(2013). p.437.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3), 녹색인증건축물의 감정평가기법 및 제도화 방안 연구 : 친환경인증 공동주택 및 업무용 빌딩을 중심으로, 국가건축정책위원회 대한설비건설협회(2012), 녹색건축물 효율화 정책 및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263호, pp.50~57 권혁삼, 김지현, 김정곤(2013),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4(4), pp.435~447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ltm.go.kr) 녹색건축인증제 통합운영시스템(http:\/\/greenbuilding.re.kr) LEED 홈페이지(http:\/\/www.usgbc.org) ", "작성자":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 }, { "정책용어": "재정자립도(Financial Independence Rate)",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홈페이지(http:\/\/index.go.kr) ", "작성자":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 }, { "정책용어": "지역행복생활권사업", "생성배경": "박근혜정부는 이전 정부의 기능 분산형 균형발전정책(세종시 건설, 혁신도시·기업도시 건설 등)과 광역경제권 정책(30대 선도프로젝트, 광역경제권선도산업 육성 등)이 매년 심화되고 있는 지역간 양극화 등 지역 문제 해결에는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고, 지역의 주민들이 일상 생활에서 정책 성과를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중점 추진하는 것으로 지역발전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HOPE프로젝트(2013.7월)을 통해 주민의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6대 중점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17개 실천과제가 확정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이다.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은 박근혜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이라 할 수 있는데, 지역 주민이 어디서나 생활의 불편이 없도록 기초인프라를 확충하고, 일자리, 교육·문화·복지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행복생활권’ 즉, 인접한 기초지자체들이 자율적으로 협의하여 구성한 생활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을 의미한다. 지역발전위원회는 2014.3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본격 추진하기에 앞서 중추도시권 20개, 도농연계권 14개, 농어촌권 21개, 수도권시범생활권 8개 등 63개 지역행복생활권의 구성을 완료하였다. 지역행복생활권은 종전 ‘5+2 광역경제권’처럼 중앙정부가 획일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지자체 간의 자율적 협의에 의한, 즉 시·군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인근 지역 및 시·도 협의를 거치는 지역 주도의 상향식으로 구성되었다. 지역행복생활권 유형별 구성 출처 : 지역위(2014), ’15년 지역행복생활권사업 추진계획 ", "용어설명":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은 기초지자체가 발굴한 주민 불편해소 과제를 중점 지원함에 있어서 기존의 개별 부처별 지원방식에서 탈피하여 지역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부처별 협의를 통해 각종 사업을 조정, 패키지 지원하는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사업 추진주체 또는 지원내용에 따라 ①지역생활권과제(기초지자체간 연계·협력사업, 기초지자체 단독사업), ②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③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역생활권과제’는 생활권내 주민들의 불편 없는 생활을 위해 기초 인프라, 일자리, 교육·문화·복지서비스를 확충하는 사업들로서 관계 부처 관련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 부처가 (지역발전위원회와의 협의를 통해) 직접 지원하며, (지역행복생활권에 속하는 시·군 간의 공동 추진 여부에 따라) 생활권을 구성한 시·군들이 협업을 통해 각종 시설물, 서비스(상하수도, 의료서비스연계, 도농간 일자리 연계 등)를 생활권 내 연계 및 공동활용토록 하는 연계·협력사업과 주민생활 밀착형으로 주민 불편해소 및 삶의 질 개선(슬레이트 지붕철거, 가축분뇨처리 등)과 직결되는 단독사업으로 구분된다.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은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사업선정 및 지원을 직접 수행하며, 5대 중점분야를 중심으로 각종 시설·서비스연계, 지역자원의 공동 개발·관리 등을 포괄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새뜰마을 사업)’는 위험잠재지역(건물, 축대 등의 노후붕괴 위험지역, 산사태, 상습침수 등 자연재해 우려지역), 생활환경이 비위생적인 지역, 생활인프라가 미흡한 지역(상하수도, 소방도로, 급경사, 재래식 화장실 등의 문제가 있는 지역) 등 주거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삶의 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추진 중인 사업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14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지방의료원 33개와 적십자병원 5개소가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 운영평가에서는 각 지역거점 공공병원이 ①양질의 의료, ②합리적 운영, ③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 ④공공적 관리 등 4가지 영역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된다.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 중 지역거점 공공병원 육성 사업에 투입되는 국고 지원은 중앙정부의 일반회계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총 2,743억 원이 지원되었다. 이 중 지방의료원은 연간 최소 171억 원에서 최대 864억 원이 지원되어 합계 2,303억 원이 지원되었고, 적십자병원은 시설보강과 장비보강 사업에만 총 440억 원이 지원되었다. ", "해외사례": "일본의 공공의료기관은 ‘국립기관’과 ‘공적의료기관’으로 구분되며, 공적의료기관은 도도부현, 시정촌(공립), 일적(일본적십자사), 제생회, 후생연, 북해도사회사업협회, 국민건강보험단체연합회 등이 경영하는 병원을 말한다. 이중 자치단체 설립 공공병원의 첫 번째 역할은 지역의 중핵병원으로서 소규모병원이라도 지역의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내과·외과 외에도 소아과·정형외과·안과·피부과·산부인과 등 종합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과 유사하게 전쟁을 겪은 바 있는 베트남은 2000년대 들어서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서 저소득층과 오지 지역 주민을 위한 말라리아 관리를 증진시키고, 저소득층 가계, 전쟁 피해자 및 군인을 위한 의료보험의 도움을 확대하는 등 보건의료분야 수혜 정도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5), 보도자료 2건(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신규 42개 선정,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사업대상 85개소 선정) 지역발전위원회(2014), ’15년 지역행복생활권사업 추진계획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행복생활권·특화발전프로젝트(제10차 지역발전위원회 의안자료) 지역발전위원회(2014), 보도자료(전국 56개 지역행복생활권 구성)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행복생활권사업 관계부처 합동 설명자료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4), 생활권협력사업 사례자료집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행복생활권 가이드라인 해설집 1) ①지역행복생활권 기반 확충, ②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③교육여건 개선 및 창의적 인재 양성, ④지역문화 융성, 생태 복원, ⑤ 사각 없는 지역 복지ㆍ의료, ⑥ 지역균형발전 시책의 지속 추진 2) NIMBY 해소, 응급의료, 주민안전, 일자리 연계, 생활인프라(상하수도, 가스 등)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초광역 클러스터", "생성배경": "클러스터의 참여주체들은 상호의존성 또는 보완성으로 연결되어 경쟁과 협력을 통해 호혜적 이익을 창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능적 상호보완성은 단일 클러스터의 국지적인 범위에서뿐만 아니라 광역적인 공간 범위에서 클러스터 간에 활발하게 발생한다. 초광역 클러스터 구축의 필요성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단일 클러스터로는 확보하기 어려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는 데 초광역 클러스터가 유리하다. 둘째, 초광역 클러스터는 혁신주체 간에 상호 복합적인 연결체제를 형성하여 다양한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가 있다. 셋째, 정책적으로 클러스터를 관리·육성하기 위한 기구를 광역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운영비용 절감, 인력 및 정책수단 활용 등의 측면에서 효율성을 제고할 수가 있다. 혁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특정 공간내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규모의 공간 사이에서 일어나는 혁신 창출활동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초광역 클러스터의 중요성은 더욱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용어설명": "초광역 클러스터는 광역행정구역을 초월하여 다수의 중·소규모 산업 클러스터가 거점 클러스터와 상호 연계되어 형성되는 허브-스포크형 클러스터로 정의할 수 있다. 초광역 클러스터는 시·군·구 뿐 아니라 시·도의 광역행정구역을 초월하여 형성되어있는 클러스터를 말한다. 산업활동 또는 산업지원활동은 행정구역을 초월하여 발생하는 속성을 갖고 있으나, 중앙정부 또는 지자체가 주도하는 산업정책은 행정구역을 단위로 시행되고 있다. 가령 울산의 자동차산업 클러스터는 동남권뿐만 아니라 대구, 경북지역과도 연계를 갖는 초광역 클러스터이지만 광역경제권 단위에서 동남권과 대경권은 엄연히 다른 지원 대상 공간이다. 따라서 기업간 연계 활동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통해 행정적 경계를 넘어서는 기업활동 공간인 초광역 클러스터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지역계획적 관점에서 해안 에너지·관광벨트, 서해안 신산업벨트, 남해안 선벨트, 남북 교류·접경벨트, 내륙권 등 초광역 개발권 계획이 추진되고 있으나 클러스터 관점에서 본다면 공간적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고 기업간 연계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는 약점이 있다. 이외에 광역경제권간 연계·협력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이 역시 지역간 협력에 중점을 둔 것으로 클러스터간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 않아 엄밀한 의미에서의 초광역 클러스터에 대한 지원사업은 매우 취약한 실정에 있다. ", "해외사례": "암스테르담, 헤이그, 로테르담, 유트레히트를 연결하는 편자 모양의 광역도시권인 란트슈타트 홀란드, 나라와 고베의 문화적 자산과 항구도시인 고베, 오사카의 상업 및 산업기능이 어우러져 독특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는 일본의 간사이 지역 등이 초광역 클러스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 "참고자료문헌": "보도자료: ‘남-해양관광·서-국제물류·동-에너지’ 초광역 개발(2008), 국토해양부( www.mltm.go.kr)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8),신지역균형발전정책 추진 구상 최상철(2008), MB정부의 국가균형발전 방향과 전략,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산업연구원(2003), 동남권 초광역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타당성 조사 지역발위원회원 홈페이지( www.region.go.kr) ", "작성자": "홍진기(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지방 자주재원", "생성배경": "지방 자주재원에 대한 논의는 1985년 국무총리실 지방자치실시연구위원회를 설치하면서 시작되었고, 참여정부가 「지방분권특별법」과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을 재정하면서 지방 자주재원의 제도적인 틀을 마련하였다. ", "용어설명": "지방 자주재원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원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수입을 말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은 지방세, 세외수입,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지방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방세와 세외수입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의사에 따라 부과˙징수한다는 의미에서 자주재원(자체재원)이라 부른다. 즉, 자주재원에는 지방세와 세외수입이 있고, 이와 대비되는 의존재원에는 중앙에서 오는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등이 있다. 용어설명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상황 개선을 위해 기존 지방세제의 틀을 대폭 개편하여 2010년부터 지방소비세와 지방소득세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지방소비세는 국세인 부가가치세 세수의 5%를 재원(세원)으로 하여 광역자치단체세로 설정하고, 그 배분은 권역별 가중치를 고려한 배분지표를 활용하여 정하고 있다. 또한 지방소득세는 현행 주민세 소득을 그대로 명칭만 변경하는 방식으로 도입하되, 종업원할 사업소세를 포함한다. 한편 지방소비세 및 지방소득세 신설에 따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재정 격차가 심화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매년 지방소비세 수입 중 일부를 지역 상생발전기금으로 조성하여 비수도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 세목별 조세제도 출처 : 한국조세연구원, 홈페이지(국내 세목별 조세 제도)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남황우(2006), 특집 :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지방의 세원개발 방안 ;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세원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지방세, No.5 이영희, 김대영(2006), 지방의 자주재원 확충 및 세수 불균형 완화, 한국지방재 정학회 세미나자료집, 한국지방재정학회 한국조세연구원 홈페이지(www.kipf.re.kr) ", "작성자": "이정록 교수(전남대학교) \n" }, { "정책용어": "지역발전지수", "생성배경": "지역별 발전정도 및 잠재역량 등 여건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지역 내 특정 부문별로도 진단·평가가 가능한 실용적 지표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지역발전지수를 개발하였다. 지역발전지수는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속하는 전국 160개 시·군을 분석 단위로 삼았다. 이 지표를 통해서 시·군의 상대적인 현황 진단, 지역발전정책의 목표 설정, 정책의 모니터링과 성과 측정 등에 합리적 의사결정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서는 2007년, 2008년 2년간의 지역발전지수(RDI: Regional Development Index)를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 방안’ 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RDI를 활용하여 2009년 12월 지역발전위원회 및 동아일보와 함께 지면을 통하여 발표하였으며, 2010년에는 기존의 지역발전지수(RDI)를 보완하는 작업을 통해 기초생활권 종합발전지표를 개발하고 역시 동아일보를 통해 지역경쟁력 지수로 발표하게 되었다. 그 이후 2012년, 2014년 격년으로 지역발전지수는 동아일보를 통해 발표된 바 있다. ", "용어설명": "지역발전지수는 시·군 지역을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로서 개념화하고 각 영역의 발전 정도에 따라 주민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각 영역별로 발전 정도를 공식적, 객관적 통계 자료를 토대로 지수를 구성해 지역별 진단 및 상호 비교를 시도한다. 따라서 종합진단지표로서 지역발전지수(RDI)는 생활서비스 지수, 지역경제력 지수, 삶의 여유 공간 지수, 주민활력 지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지역발전지수를 구성하는 네 개의 세부 지수들이 기초생활권 내의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를 의미한다. *종합진단지표 지역발전지수(RDI)=부문별 지수의 합(생활서비스 지수 + 지역경제력 지수 + 삶의 여유 공간 지수 + 주민활력 지수) *삶터: 생활서비스 지수, 일터: 지역경제력 지수, 쉼터: 삶의 여유 공간 지수, 공동체의 터: 주민활력 지수 지역발전지수 개념 출처 : 송미령 외(2007,2008) 각 부문별 지수는 객관적 통계자료만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수행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매년 가중치를 조정`하게 된다. 가장 최근의 분석 결과는, 생활서비스 지수는 0.359, 지역경제력 지수는 0.246, 삶의 여유 공간 지수는 0.179, 주민활력 지수는 0.217를 적용하였다. 지역발전지수(RDI)의 부문별 가중치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2, 2014)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송미령 외(2007, 2008),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 재편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외(2012), 2012 지역발전지수를 활용한 농어촌 실태 분석과 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심재헌 외(2014), 2014 지역발전지수(RDI)를 통해서 본 농어촌 삶의 질 실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동수, 박형진, 전창욱, 문정호, 송미령, 류정아(2010), 광역경제권 모니터링 지표 및 기초생활권 창조 지표 개발 연구, 용역 보고서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메타버스",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 제119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2020) 메타버스(Metaverse), 새로운 가상 융합 플랫폼의 미래가치, 제186회 한림원탁토론회, (2021) 로그인(Log In) 메타버스 : 인간×공간×시간의 혁명, 이승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 메타버스 비긴즈(BEGINS) : 5대 이슈와 전망, 이승환, 한상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 메타버스와 미래전략, 월간 SW 중심사회 5월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 VR·AR디바이스 동향 및 시사점, NIPA 이슈리포트(2020-08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 미래연구포커스, Vol49. STEPI, (2021) 메타버스(Metaverse), 어디까지 해봤니?, 노경탁 등, 유진투자증권, (2021) [다시 찾아온 메타버스] 기획시리즈, 아주경제, (2021) [피할 수 없는 흐름, 메타버스] 기획시리즈, 월드투데이, (2021) [메타버스 근무일지] 기획시리즈, BLOTER, (2021) Metaverse Roadmap Overview @ http:\/\/www.metaverseroadmap.org\/overview),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 "작성자":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그린리모델링", "생성배경": "이상기온 현상이 증가하며 에너지 사용량은 늘어나고 있으나 원전가동 중단 등에 따른 에너지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이와 같이 매년 거듭되는 에너지 위기를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에너지 수요저감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건축물은 에너지 사용량의 21%를 차지하여 감축잠재력이 높으며, 발전소에 비하여 단기간 공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 수요 감축에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에너지 위기 극복,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국민들의 에너지비용 부담 경감을 위하여 기존 건축물의 단열성능 개선 등을 포함하는 그린리모델링 제도를 도입하였다. ", "용어설명": "그린리모델링이란 환경친화적 건축물 리모델링을 의미하며,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및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그린리모델링을 건축물의 단열개선 등을 통하여 에너지 성능을 20% 이상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책적으로 규정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12.2.22제정)에 근거하여 그린리모델링 사업 모델을 개발하였다. 2013년에는 녹색건축물 조성 활성화 및 민간부문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성공모델 창출을 목적으로 시공지원사업 및 설계지원사업을 포함하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을 선정하여 지원하였다. 2015년에는 시공지원사업 부문에 서귀포 의료원 등 5개소와 사업기획지원사업 부문에 태백석탄박물관 등 28개소를 선정하여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으로 지정하였다. 이 사업은 그동안 신축 건축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성능 개선이 어려운 기존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해외사례": "그린리모델링사업은 영국에서 추진 중인 그린딜(Green Deal) 사업, 독일의 건축물을 개보수 시 에너지절감 정도에 따른 보조금 및 저리융자 지원제도, 프랑스의 에너지절약 개보수 비용을 무이자로 융자하는 에코론 제도 등과 유사하다.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3), 건축물 에너지 수요절감을 위한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방안, 경제관계장관회의자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 건축주 부담 줄여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 “그린리모델링 사업자를 모집합니다!” 국토해양부(2013),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선정 공모, 공고 제 2013-113호 녹색건축포털 그린투게더(www.greentogether.go.kr) 에너지경제연구원(2011), 건물에너지 효율개선을 위한 재정지원 방안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 홈페이지(Department of Energy Cimate Change) (www.gov.uk\/government\/organisations\/department-of-energy-climate-change) 독일연방 교통, 건설, 도시개발부 홈페이지(http:\/\/www.bmvbs.de) 프랑스의 에코론 제도(www.developpement-durable.gouv.fr\/L-eco-pret-a-taux-zero.html)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리빙랩",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준한·한재각(2017), 에너지 전환을 위한 리빙랩의 경험: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의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리빙랩 사례를 중심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Working Paper_201708. 성지은 외(2021), 『혁신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에서의 최종 사용자 조직화 모델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박인용(2016),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성지은·송위진·박인용(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309-333. 성지은·한규영·정서화(2016),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과학기술학연구』, 제16권 제2호. 성지은ㆍ송위진ㆍ김수은(2020),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 확산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ㆍ송위진ㆍ정병걸ㆍ최창범ㆍ윤찬영ㆍ정서화ㆍ한규영(2017),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송위진 외(2014),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에서 사용자 참여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송위진·정서화(2016),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제185호. ", "작성자": "성지은(과학기술정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LEADER(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동연대)", "생성배경": "유럽연합이 추진하는 농촌개발 프로그램 중 가장 혁신적이면서 성공 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LEADER(Liasons Entre Actions de Development de l’Economie Rurale) 프로그램은 1991년에 시작되어 LEAER I, LEADER II, LEADER+, LEADER++ 등의 사업 단계로 진화해 왔다. LEADER 프로그램의 탄생은, 1990년대 들어 유럽연합이 생산주의(productivist) 농업정책에서 탈생산주의(post-productivist) 농촌정책으로 농정의 무게중심을 이 동시킨 것과 깊이 관련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는 농촌공간의 우선적 기 능을 식량생산에 두어 왔다. 그러나 차츰 농촌공간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내용이 다 변화되고, 농촌지역의 인구사회적 구성도 크게 변화했다. 세계화와 더불어 진행된 지방화, 우루과이 협정 등의 정치경제적 환경 변화가 맞물리면서 기존 공동농업정책 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결과로, 1980년대 말에 유럽연합에서는 공동농업정책을 개혁하기 시작했고, 공동농업정책의 토대였던 부문적(sectoral) 접근방법을 탈피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특정 농촌지역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정책개입에 구 조정책자금(Structural Funds)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더불어 지역적(territorial)1) 접근, 다부문적(multi-sectoral) 접근, 참여적 접근(participatory approach)을 표방하는 내생적(endogenous) 농촌발전 전략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구체화시킨 정책 수단이 바로 LEADER 프로그램이다. ", "용어설명": "LEADER 프로그램은 그 의미를 직역하면 ‘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 동연대’의 프랑스어 표현이다. 지역적, 다부문적, 참여적 접근 방식을 강조하는 농촌 개발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에 걸 맞는 사업의 구조는 수직적, 수 평적 네트워크로 요약된다. 수직적으로는 지방활동그룹(Local Action Groups, LAGs), 국가나 지방정부가 위임한 중간조직(Intermediary Body, IO), EU 집행 위원회 농업위원회의 세 층위에 걸친 파트너십의 구조로 되어 있다. 수평적으로는 사업들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유럽연합 농업위원회가 기능을 위탁한 민간조직으로 ‘지역개발을 위한 유럽 정 보 연합(Association Europeene d’Information sur le Development Local, AEIDL)’이 창설되어 LEADER에 참여하는 모든 기구, 조직들 간 네트워크의 중심 에 위치하면서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지원과 조정 기능을 수행하였다.2) U 농업위원 회는 AEIDL 외에도 별도의 ‘지리적 보고그룹(Geographical rapporteurs)’을 두 어 LAGs과 기타 행정기구들이 요청하는 자문에 대한 기술적 지원과 프로젝트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도록 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정섭(2001), EU 농촌개발 프로그램: EU의 국가 간 협력사업 성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김정섭(2002), “유럽의 농촌발전 전략과 LEADER 프로그램” 농정연구, 농정연구센터 김정섭ㆍ권인혜(2010),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강화 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제17권 제3호 김태연(2007), “EU 및 영국의 농촌과 농촌정책.” 송미령ㆍ박주영 편, 선진국 농촌정책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경 외(2002), 상향식 농촌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농정연구센터 송미령 외(2010), 농어촌 통합형 지역개발 모델 정립 및 실행계획 수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오현석 외(2006), 유럽연합 농촌정책 발전과정 연구, 지역아카데미 최정섭ㆍ권오복ㆍ김성용(199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ommission of European Communities(1997), CAP 2000: rural development. Brussels: DG Ⅵ European Observatory(March 2001), “LEADER II - Lessons from the past, tools for the future”, Rural Innovation, Dossier no.11 1)‘territorial’이라는 표현은, ‘central’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local’이나 상당한 광역의 지리적 경계를 함의하는 ‘regional’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지역적’이라고 표현했으나, 특정 공간의 물질적, 상징적 고유성을 특히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2)AEDIL은 농촌개발 관련 연구자들 및 활동가들의 네트워크 조직이다. AEDIL은 a) LAG에 대한 기술 적 지원, b) 관련 정보의 수집, 분석, 전파, c) 세미나, 포럼 등의 조직, 지원, d) 농업위원회 요구에 따른 공식 문서 및 보고서의 작성, e) 일반 대중들에게 LEADER 프로그램을 홍보하기 위한 출판사업, f) LEADER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기술적 지원 등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 3)LEADER의 대상 지역은 인구 1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의 유럽의 모든 농촌지역이다. 사업계획의 타당성 은 a) 통합주제와의 일치성, b) 지역사회 내 특정 사회적 범주의 주민들에게 미치는 효과, c) 지역 특성과 의 일치성, d) 사업의 실험적 성격, e) 방법의 타 지역으로의 전파가능성, f) 농촌개발정책의 주류를 이 루는 기타 구조정책들과의 보완성 등의 측면에서 검토된다. LAGs의 구성과 관련해서는 a) 인적 구성 비, b) 조직의 내부 구조, c) 행정적 \/ 재정적 역량의 세 측면에서 검토된다. 4)구조정책자금은 유럽사회기금(European Social Fund: ESF), 유럽지역개발기금(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 ERDF), 그리고 유럽농업지도보증기금(European Agricultural Guidance and Guarantee Fund: EAGGF)으로 조성된다. LEADER를 통해 집행되는 지원금은 EAGGF의 지도부문 (Guidance Section), ESF, 그리고 ERDF 중 하나 이상에서 출연된 것이다. ESF, ERDF, 그리고 EAGGF의 조성목적과 운영지침은 각각 EU 규칙 2084\/93, 2083\/93, 그리고 2085\/93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ESF의 경우 주로 고용안정을 위한 정책 수단의 재원으로 사용되며, ERDF는 중소기업 및 환경 관련 분야에의 인프라 투자, EAGGF의 지도부문 기금은 농촌 인프라의 개발과 개선, 농촌 문화유산의 보호, 관광의 촉진 등에 사용된다.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생성배경": "일반농산어촌지역은 전체 국토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낙후되고 생활환경이 불편하여 청년들의 도시이동과 인구고령화 현상으로 지역 내 인구가 감소하여 마을 공동화 현상은 물론 지역사회의 침체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한다는 취지하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가 2010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었고 포괄보조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일반농산어촌 개발 사업은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를 개편하면서 등장하였다. 농산어촌의 활성화 및 인구유출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 추진의 주목적이다. ", "용어설명": "농산어촌의 농촌어메니티(rural amenities) 증진 및 계획적인 개발을 통하여 인구 유지 및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별 특색 있는 자원의 개발을 통하여 지역주민 소득증대와 더불어 기초생활수준을 높이기 위해 일반농산어촌 개발 사업이 추진되었다. 사업 대상은 지방자치법 제7조에 따른 도농복합시의 읍·면 및 특수상황지역을 제외한 군 지역이다.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 현황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2014), 일반농산어촌개발 사업설명회 참고자료. 충남발전연구원(2014), 농촌중심지 육성 및 정비사업의 성과분석과 향후 추진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발전사업 편람. 충남발전연구원(2014), 농촌중심지 육성 및 정비사업의 성과분석과 향후 추진전략. 1)제10조(주민 생활기반 확충과 지역 발전역량 강화), 제34조(생활기반계정사업의 세입과 세출), 제35조의 2(제주특별자치도계정의 세입과 세출), 제35조의3(세종특별자치시계정의 세입과 세출), 제40조(포괄보조금의 지원) 2)제 38조(농어촌 지역종합개발 계획의 수립ㆍ시행), 제29조(농어촌의 기초생활여건 개선), 제39조(농어촌 거점지역의 육성) 3)제 52조(농어촌 생활환경 정비 원칙)내지 제71조(기술지원 등) ", "작성자": "은희창 지역사업본부장(㈜인포마스터) \n" }, { "정책용어": "BID\/TOD특정지구, 계획지구", "생성배경": "2차대전 이후 교통수단으로서 자동차가 대중화됨에 따라 미국의 도시들은 고속도로와 간선도로가 도시외곽으로 연결되어 수평적으로 확산되면서 주택지의 교외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이는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 자동차중심의 교통체계 및 통행패턴으로 인해 교통혼잡의 심화, 대기오염의 악화, 환경훼손 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자동차 중심의 사회에 대한 반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는 에너지와 자원의 절약, 환경파괴, 생태계 및 자연보호, 지구온난화와 같은 문제에 공감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자동차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대중교통중심의 개발(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미국 외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연구와 도시개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정에서 도시 외곽지역에 안전하고 깨끗한 대형 쇼핑몰이 대거 등장하게 되면서 도심의 상업지역은 점차 경쟁력을 잃기 시작하였다. 교외의 대형 쇼핑몰은 중산층 소비자들을 흡수해 갔고, 도심의 상업활동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건물과 주택의 자산가치도 점차 하락해감에 따라 세금에 의존하는 지자체의 재정도 부실해져 갔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상업개선지구(BID;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 "용어설명": "TOD는 대중교통지향적인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개발전략으로, 자가용승용차에 의존하는 도시에서 탈피하여 대중교통이용에 중점을 둔 도시개발 방식이다. 이 개념은 1993년 미국 건축가 피터 캘솝(Peter Calthope)이 「The Next American Metropolis」에서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TOD는 도심지역을 대중교통체계가 잘 갖추어진 대중교통지향형 복합용도의 고밀지역으로 정비하고, 외곽지역은 저밀도의 개발과 자연생태환경 보존을 추구한다. 이는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한 교통체계와 고밀개발 및 복합적 토지이용을 통해 도시공간구조의 효율성과 쾌적성을 달성하려는 계획이며, 대중교통의 거점지역을 중점 개발하여 통행수요 감소와 보행 및 자전거 등 친환경적인 교통수단 이용을 촉진하는 도시개발방식이라 할 수 있다. TOD의 목적은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를 구현하고 도시의 무분별한 외연적 확산을 억제하며 환경오염의 감소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철, 버스 등 대중교통중심의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교통시스템 구축, 정거장을 중심으로 한 도보접근 가능지역에 중심상업지역 배치로 업무·주거·여가시설 등을 효과적으로 혼합, 자가용 이용의 억제 및 교외의 환승주차장 설치, 고밀개발지에 보행자 위주의 교통시설 건설 및 환승과 접근이 용이한 교통시스템 구축으로 보행과 대중교통과의 연계성 제고, 자전거 및 도보로 통행이 가능하고 보행에 매력이 있는 환경조성, 자동차의 속도 저감을 위한 시설의 설치 등 다양한 계획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도심의 상업지역의 경우,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정에서 심각한 쇠퇴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상업개선지구(BID)의 개념이 나타났다. BID는 특정 지역의 건물주나 사업주로부터 세금을 제외한 추가 자금을 모금하여 정부에서 제공해 왔던 공공서비스를 민간과 정부가 함께 운영하는 조직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제도로서, 도심상업지역의 환경개선과 지역전체의 효과적인 재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BID는 1960년대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어 1980년대에 미국에 도입되었으며 이후 영국 등으로 확산되었다. BID는 도시의 환경개선을 위해 환경미화, 방범강화, 지역홍보, 직업훈련 등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는 BID를 설립하고 운영에 지원하며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역할을 맡는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곽동화(2012), TOD이론의 발전과 입지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2(3), 한국디지털인테리어학회 김미경(2005), 영국의 상업개선지구(BID) 도입, 국토(283호), 국토연구원 매일경제, 매일경제용어사전(terms.naver.com) 서울특별시(2012),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 \n" }, { "정책용어": "투자선도지구",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n\n\n\n\n\n\n\n\n\n\n\n\n\n" }, { "정책용어": "평생학습도시\/행복학습센터", "생성배경": "평생학습도시 및 평생학습센터는 인생 100세 시대에 대비하여 지역 평생학습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전 생애에 걸쳐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민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읍ㆍ면ㆍ동까지 이어지는 국가 평생교육 추진체제 완성을 통한 모든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목표로 평생교육진흥원(시ㆍ도), 평생학습도시(시ㆍ군ㆍ구), 행복학습센터(읍ㆍ면ㆍ동)으로 이어지는 추진체제 일환으로 구축되었다. ", "용어설명": "평생학습도시는 시ㆍ군ㆍ구 시책과 연계한 평생교육 서비스를 통해 학습공동체 형성 및 학습형 일자리 확대를 목적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한 사업으로 첫째, 개인의 자아실현, 사회적 통합증진,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 하여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공동체 건설을 도모하는 총체적 도시 재구조화(restructuring) 운동을 추진한다. 둘째,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에 대한 기관간 연계, 지역사회간 연계, 국가간 연계를 통해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지역 시민에 의한, 지역 시민을 위한, 시민의 지역사회 교육운동을 전개한다. 셋째, 지역별 특성이 부각될 수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재능기부 등 사회환원 활동으로 연계한 사업 운영을 지원하고, 넷째, 정책개발, 평생학습동아리, 평생교육기관 연계체제 구축, 박람회 개최 등 평생교육 기반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기 지정된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현안을 반영한 평생교육 특화사업 개발ㆍ운영 촉진을 위한 특성화 평생교육 사업을 지원한다. 평생학습도시 전국현황 (행복학습센터) 행복학습센터는 평생학습도시와 연계하여 읍ㆍ면ㆍ동 단위에서 주민과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수요에 대응한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근거리 학습 접근성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한 사업으로 첫째, 주민의 근거리 학습권 보장을 위한 읍ㆍ면ㆍ동 단위 행복학습센터를 운영하며, 세부사업으로 행복학습센터 설치 또는 지정을 통한 시설ㆍ공간 확보, 행복학습센터 공통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수요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학습동아리 운영 등을 통한 마을단위 창조학습공동체 형성을 추진한다. 둘째, 평생교육 전문인력 및 행복학습매니저를 확보 및 배치한다. 전담인력 배치로 읍ㆍ면ㆍ동 주민과의 직접 소통을 강화하고, 각 센터간 연계ㆍ협력을 추진하며, 거점센터인 평생학습도시는 전문인력 필수, 읍ㆍ면ㆍ동 센터는 행복학습매니저를 양성 후 배치한다. 주민 대상으로 평생학습과 사회실천에 참여하도록 돕는 학습 및 취업상담을 하며, 이때 학습메니저는 지역주민의 평생학습 수요를 파악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고, 학습동아리 운영 등 주민의 평생학습 활동을 지원한다. 행복학습센터 전국현황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www.nile.or.kr) ", "작성자": "정택영 책임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 }, { "정책용어":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생성배경":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이라는 용어는 2010년부터 추진된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개편과 함께 등장하였다. 당시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는 광역계정, 지역계정, 제주발전계정으로 구분되었다. 광역계정은 중앙정부 부처에서 예산 편성을 하는 지역발전사업의 묶음이고, 지역계정은 중앙정부 시˙도 및 시˙군˙구에서 예산 편성을 하는 지역발전사업의 묶음이다. 그래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이 구분된다.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은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의 하나이다.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은 시˙도가 자율로 예산을 편성하여 지역발전사업을 하는데 과소투자의 우려가 있는 시˙군˙구 지역발전사업에 대하여 계속사업 및 신규사업의 소요를 별도로 산정해서 시˙군˙구별 예산 한도를 배분하는 체계로 되어 있다. 기능별 사업 구분의 방식을 취하는 시˙도 자율편성사업과는 달리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은 지역의 특성을 중심으로 사업을 구분한다. 지역 특성에 따른 구분은 도시, 농산어촌, 특수상황지역 등과 같은 3개의 기본적 구분에 더하여 지역의 낙후도를 감안하여 성장촉진지역을 추가로 설정한다. 그래서 이를 3+1 지역 구분 방식으로 부르기도 하였다.1) 바로 이때 도시로 구분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발전사업을 하는 경우, 이를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이라 한다. 지역발전특별회계의 시·군·구 자율편성사업 구분도 출처 : 기획재정부(2014.5.2.),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에서 발췌, 수정 ", "용어설명":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이란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에 따라 지자체가 스스로의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도시활력증진지역에 해당하는 기초 지자체에 예산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특별˙광역시의 구˙군 및 시 지역 중 도농복합형태의 시를 제외한 지역이다.2) 다만, 도농복합시 중에서 지방자치법 제3조 제3항에 따른 특별시˙광역시가 아닌 인구 50만 명 이상의 시(대도시)는 도시활력증진지역에 해당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특별법(2015.1.1.)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4.3.10.) 지역맞춤형 도시활력증진사업 신규사업 발굴 기획재정부(2014.5.2.)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송미령˙권인혜(2011),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홍경구 외(2013),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현황과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제372호. 1)최근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는 지역발전특별회계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회계의 구조 중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의 3+1 지역 구분에 더하여 지역행복생활권이 추가되었다. 지역행복생활권은 2개 이상 시˙군 및 다부처 연계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권역이다. 2)2015년 기준으로 전국 99개 시˙군˙구가 이에 해당한다. 3)2015년 기준으로 183개 사업에 대해 1,042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었다.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생성배경": "중앙정부에서 직접 기획·관리하는 현행 사회서비스 공급 체계로는 전국 각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 충족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보건복지부는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사업 내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적인 사회서비스 개발 사업을 매년 예산 배정 이전에 보고받아 심사 및 선정 절차를 진행해옴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서비스 투자 자율성을 크게 제약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또한 신생아, 산모, 노인, 가사, 간병 등 기존 여러 가지 돌봄서비스의 제공이 서로 괴리된, 소위 ‘칸막이 현상’으로 지역별 수요 변화에 대한 정부의 탄력적 대응이 곤란하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전국에 사회서비스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수요자 중심적 공급 체계 개편을 추진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이다.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기존의 사회서비스 공급 방식 및 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다. 수요자 중심의 지역사회서비스 혁신을 위해 사업 운영 시 지방의 재량을 대폭 확대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중앙정부는 거시적 사회서비스 정책 및 품질 관리에 중점을 두고, 지방정부는 미시적 사업 관리 및 재원 한도 내에서 자율적 사업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지역별, 가구별로 다양한 특성과 수요에 부합하는 차별적인 사회서비스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발굴, 예산 및 서비스를 집행함으로써 지역 주민이 체감하고 만족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지역 시장 형성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발굴하고 수요자의 구매력을 보전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사회서비스 시장 형성 및 일자리 창출까지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사회서비스 부문에서의 인적 자본 형성, 건강 투자, 고령 근로 촉진 등 사회 투자적 성격의 사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도록 권고하여, 궁극적으로 향후 전국의 각 지역 단위에서 미래의 성장 동력 확보 및 사회적 약자 및 취약 계층에 대한 사회경제적 자립 기반을 스스로 확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n 기존 방식과 지역자율형의 패러다임 비교 출처 : 보건복지부,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메뉴얼, 2014 \n ", "용어설명":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란 복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이 필요한 주민에게 복지, 보건 의료, 교육, 주거, 문화, 환경 등의 분야에서 지역 특성 및 주민 수요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2014년 기준으로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지역적으로 수요 변화의 특성이 강한 세 가지 사회서비스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건복지부의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대범위의 단위 사업에 해당한다. 그리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지원사업, 가사간병방문관리사지원사업이 현재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내의 중범위 내역 사업에 해당된다. 그리고 2013년부터 이러한 중범위 내역사업 세 가지가 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으로 통합된 것이다. 소범위의 자체개발사업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내 단일 또는 복수의 시·군·구, 시·도가 개발한 사업으로 기준 정보가 관리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때, 자체개발사업은 개별적으로 사업 코드가 부여된 단위를 기준으로 하며, 여러 지역의 공동 코드가 부여된 경우 사업 코드와 사업 개발 지역의 양자 기준을 종합하여 판단한다.\n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 구조 출처 : 보건복지부, 2014년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2014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보건복지부(2013),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2013 보건복지부(2014),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2014 보건복지부(2014),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메뉴얼, 2014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제10998호, 약칭: 사회서비스이용권법), 2012.8.5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23581호), 2012.2.5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보건복지부령 제163호), 2012.10.25 \n ", "작성자": "홍미영(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선임연구위원) \n " }, { "정책용어": "도시광산 프로젝트", "생성배경":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광물자원의 수입과 광석 채취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도시광산 프로젝트는 자원의 새로운 원천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도시광산 혹은 도시광산 산업이 부상한 것은 중국 등 신흥공업국이 성장하면서 주요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여 도시광산의 규모가 기대 이상으로 크다는 예측이 나오면서부터다. 희유금속은 자원편재가 심하고 매장량이 적어 기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채산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여기에 특정 국가에 편중된 희유금속의 경우 국가 단위의 공급통제 정책을 추진하면서 각국의 물량 확보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영향을 미친다.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은 광물자원 및 스크랩의 수출입을 통제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중국은 대부분의 금속에 수출부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는 일부 희유금속 광종에 대해서는 외국인 투자까지 금지하면서 희유금속의 국외유출을 막고 있다. 도시광산이 대두한 다른 배경으로는 천연자원의 고갈 위험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휴대폰,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 공급증가는 단계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단기적으로 수급불균형 해소가 어렵다. ", "용어설명": " 도시광산(Urban Mining)이란 산업원료인 광물금속이 제품 또는 폐기물 형태로 생활주변에 소량으로 넓게 분포되어 양적으로 광산규모를 가진 형태를 의미한다. 폐가전·산업폐기물 등에 축적된 금속자원 중 재활용을 거쳐 자원화 할 수 있는 금속 또는 산업으로, 고철스크랩 폐기계설비 등의 사업계 폐기물과 폐자동차·폐휴대폰 등 생활계 폐기물로 구분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 도시광산활성화를 위한 정책 관계부처합동(2011),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1~2015)” 정은미(2010), 도시광산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황용우 외(2012), “국내 도시산산업 현황분석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부(2009), 도시광산 활성화를 위한 정책 패키지 마련, 지경부 보도자료, 2009.7. ", "작성자": "정은미(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LIS(Local Innovation System)", "생성배경": "교육부는 2020년부터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일명 RIS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이 사업의 특징은 지자체가 대학 등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자율적으로 지역혁신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임 LIS(Local Innovation System -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가 2020년 7월 10일부터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임) 는 현재 누구에게나 통용된 용어라고는 할 수 없으나, 흔히 지자체라고 하면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를 구분하는 것처럼, LIS도 RIS(Regional Innovation System)를 세부화한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음 현재 교육부가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일명 RIS사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초지자체와 전문대학(소규모대학)이 중심이 되어 효율적인 협력체계(LIS, Local Innovation System)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됨 - 국가 차원의 Top-Down방식도 필요하지만 기초자지체 차원 Bottom-Up방식이 더 요구됨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대학신문, RIS(광역 중심)와 LIS(기초 중심)의 체계적 구축, 한광식, 2021. 7. 27 교육부(2021),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2021. 2 국가교육회의, 대학·직업교육 혁신 방안과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 2020. 7. 10 한국연구재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수정·보완 방안 - 전문대학 산학연협력 활성화, 178~183pp 2020. 12 ", "작성자": "한광식(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저성장시대", "생성배경": "우리사회가 60~70년대의 고도 성장기, 안정적 성장기를 지나 저성장시대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긴요하다. 성장동력 창출의 지체 및 미흡, 고령화, 저출산 등은 저성상시대의 지속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저성장시대는 가계와 기업은 물론이고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추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대표적인 나라가 일본이다. 일본은 오랫동안 저성장시대에 빠져 있는데, 대략 1980년대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전쟁이 시작되고 끝나는 시점부터 1950~1970년대까지는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10%대를 유지하는 호황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의 버블과 1990년대의 버블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정책대응에 있어 오류가 있었으며, 이때의 경제성장률은 4%였고, 그 이후로 제로(zero) 성장시대가 이어지고 있다. 2012년부터 아베정부는 양적완화, 확장적 재정정책 등을 통해 저성장시기를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그 결과 일본에서는 신도시나 산업개발이 거의 중단되고 있으며 신도시의 경우 노인 등 경제적 약자의 수용소가 되고 있다. 소비 형태에 있어서도 소유보다는 임대, 저축 확대 등이 거의 일상화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이준구·이창용, 경제학 원론, 문우사, 2015 MBC 스페셜, “저성장시대의 살아남기,” 2016년 8월 ", "작성자": "김현호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성장기금", "생성배경": "지역성장기금(Regional Growth Fund, RGF)은 영국 정부의 투자 인센티브 지원제도 중 하나로 정부의 재정지출 삭감에 따라 위험에 처한 지역의 민간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2020년 중반까지 557,000개의 일자리 창출 목표)을 지원하기 위해 2011년에 도입되었다. 지역성장기금이 생성된 가장 큰 이유는 이전까지 공공부문에 의존적인 속성을 갖고 있던 지역공동체가 민간주도의 성장 경로로 이행할 수 있게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에 있다. ", "용어설명": "지역성장기금(Regional Growth Fund, RGF)은 2010년 7월 영국 보수당 연정정부가 기존 노동당 지역정책의 근간이었던 RDA(Regional Development Agencies)를 폐지하고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s)를 설립하면서, 이를 위한 재정지원책으로 내놓은 정책이다. 현재 지역성장기금의 목표는 장기적인 경제성장에 유의미한 잠재력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민간부문의 일자리를 추가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민간부문의 투자를 활성화하는 것에 두고 있다. 지역성장기금 재원규모는 총 32억 파운드로 기금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젝트가 ‘지속가능한 민간부문에 대한 추가적인 성장의 제고’, ‘현행 공공부문 의존지역에서의 경제의 재조정(rebalance)’, ‘RGF의 지원이 없다면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는 경우’, ‘재정투자의 효율성(value for money)’, ‘국가지원 준수’ 등의 기준들을 충족해야 한다. 지역성장기금은 주로 지역개발과 연관된 새로운 시설을 신축하거나 기존시설을 증축 또는 개량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교육훈련, 일자리 지원 등 그 적용범위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그림 1 참조).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에서는 중장기 계획으로 전략경제계획(Strategic Economic Plan)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부와 LEP가 소위 성장협상을 통해 합의하게 됨으로써 그 실효성을 갖는다. 이런 과정 속에서 2014년 7월 영국정부는 39개 LEP와 체결한 제1차 성장협상을 발표했으며, 투자재원의 주된 용도는 청년교육훈련, 일자리창출, 주택건설, 교통 및 정보네트워크 등 인프라 건설로 하였다. LEP의 재정지원 및 Growth Deal 출처 : DCLG, 2014, Strategic Planning the bigger picture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4), 민관의 파트너십 구축한 영국 GOV.UK 홈페이지, 지역성장기금 가이드(www.gov.uk\/guidance\/regional-growth-fund-programmes-guide)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y Industrial Strategy 지역발전위원회(2014), 영국 보수당 연정의 지역발전 재정지원제도-지역성장기금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뉴딜정책(도시재생 뉴딜사업)", "생성배경": "뉴딜정책(도시재생뉴딜사업)은 2013년 6월에 제정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도시재생특별법)」에 근거하여 추진해 온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도시재생 뉴딜(매년 10조 원대 규모의 도시재생 뉴딜로 노후주택 지원 및 생활여건 개선하겠습니다)”을 반영하여 도시정비, 임대주택 건설 등을 한층 더 강화한 종합적인 도시정책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을 ①지역별 여건 및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의 효용을 제공할 수 있는 도시재생 추진1), ②편의시설에 대한 주민 선호도, 미래 개발방향 등을 고려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추진2), ③지역주민 중심의 적합한 개발방식 선정3) 등과 같이 지역주민 중심의 사업으로 전환하여 추진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7), 보도자료(5~9월 기간) 미래도시 창생과 재생을 위한 국회의원 연구모임(2017), 문재인정부 도시재생 뉴딜정책 어떻게 이뤄져야 하나 바른정당 도시재생˙스마트시티 특위(2017), 도시재생, 스마트시티를 만나다 도시재생사업단(2013), 함께하는 희망 도시재생 1) (예) 주택보급률이 100%에 미달하는 서울시의 경우, 주거환경 개선보다 주거공급 중심의 도시재생 집중 2) (예) 도로, 마을주차장, 공원, 어린이집 등 편의시설의 획일적 확충보다 지역별 여건에 맞게 전략적 선택 3) (예) 저층 노후주거지가 많은 원도심의 경우 주거환경 개선보다 전면철거를 통한 재개발이 더 효율적 4) 도시재생이 시급하고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으로 경제기반형 2곳(부산, 청주), 근린재생형 11곳(서울 종로, 광주 동구, 군산, 목포, 영주, 창원, 천안, 대구 남구, 공주, 순천, 태백)이 선정되어 있다. 5) 읍면동 기준 국내 도시의 2\/3(2,200여 개)가 쇠퇴 중이나 정부 지원은 전국적으로 46곳에 불과하고, 국비와 지방비를 합한 재정 지원은 연 3,000억 원 수준이었다. 6) 역사˙문화 복원, 차별화된 경관˙건축, 역세권 청년주택, 공공임대상가,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사업, 찾아가는 복지, 소형주택 에너지성능 강화, 청년 창업 등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규제프리존",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n\n\n\n\n\n\n\n\n\n\n\n\n\n\n\n" }, { "정책용어":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 "생성배경": "국내 식품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 및 식품산업 수출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식품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이 집적된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를 조성하여 RD중심·수출지향형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하에 형성되었다. ", "용어설명": "전북 익산시 왕궁면에 2015년까지 총 5,535억 원(민자 포함)을 투자하여 150여개의 식품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이 집적된 RD·수출지향형 국가식품전문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역할 및 효과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1. 2. 24 ", "현재 용어의 사용":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는 농림축산식품부, 전라북도, 익산시가 ‘글로벌 식품시장의 新중심’이라는 비전과 ‘2020년 세계 5대 식품클러스터 진입’을 목표로 추진하는 한국형 고부가가치 식품전문국가산업단지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 현황 위치 : 전북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 일원(호남고속도로 익산IC로부터 5분) 사업기간 : ’09년~’15년(7년) 투자규모 : 1단계 239만㎡(72만평, 국가식품산업단지) 총사업비 : 5,535억 원(민자 포함) 산단조성(3,119억 원), RD 등 기업지원시설(1,588억 원), 기업지원 서비스(828억 원) 국내·외 식품기업 145개, 민간연구소 10개 이상 유치 고부가가치 기능성식품군, 전통발효식품군, 유기가공식품군을 집중 육성 식품전문국가산업단지 내 국제적 규모의 6개 H\/W 시설 구축 및 4개의 S\/W사업 지원 H\/W 시설 :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식품기능성평가센터, 식품품질안전지원센터, 식품패키징지원센터, 시험생산시설(pilot plant), 임대형공장 등 S\/W 사업 : 인력양성지원, 식품특화기술개발, 기업지원, 식품기능성평가지원 출처 :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www.foodpolis.kr\/info\/info1.php) ", "해외사례": " 네덜란드 : Food Valley 와게닝겐대학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이 결합된 대표적 식품 수출 클러스터로 2000년 클러스터 로드맵 발표 이후 단기간에 세계적 클러스터로 성장 유럽 물류 중심지인 입지를 활용하여 수입 원료를 첨단기술과 접목하여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개발·수출을 주도. 70여개 식품기업, 20여개 연구소, 1,000여개 연관업체가 입주하여 연간 640억 달러 정도의 매출을 달성 Nestle, Unilever, Danone, Monsanto, Heinz 등의 세계적 기업이 참여하고 있음 덴마크스웨덴 : Oresund Cluster Oresund대학과 연구기관, 글로벌 기업간 혁신적 RD 체계 구축 14개 대학으로 구성된 Oresund대학과 식품연구기관, 글로벌 기업간 혁신적 RD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간 980억 달러 정도의 매출과 6만 1천여 명의 고용 달성 Nestle, ARLA, TetraPak, Danish Crown Beauvais 등의 세계적 기업이 참여하고 있음 Proviva 브랜드(건강기능식품)는 기업과 농업인이 win-win하여 상업화한 사례임(연간 600억 원 정도의 매출을 달성) 미국 : Napa Valley 미국 캘리포니아 포도 주산지에 RD를 결합하여 프리미엄 와인 생산 및 관광객 (연간 1,900만 명 유치) 연간 520억 달러 정도의 매출, 고용인원 30만9천명, 글로벌 브랜드(Mondavi 등) 개발 이탈리아 : Emilia-R. Cluster 지역의 중소기업과 조합을 중심으로 햄, 치즈, 파스타 등의 전통적 특산품을 생산하고, 대학 중심의 대규모 지방연구기관을 설립함 연간 540억 달러 정도의 매출, 고용인원 10만 명, Labelling을 통한 철저한 품질관리체계 구축 프랑스 : Vitagora 프랑스 부르고뉴주 디종(Dijon)시에 위치하고, 식품기업(64개), 연구소(35개), 교육기관(8개), 지자체(7개), 협동조합(8개) 등이 모여 있는 RD 중심의 식품클러스터(www.vitagora.com) 매주 정부차원의 운영현황 보고회의를 개최하고, 식품기업이 이사회의 이사로 다수 참여하는 등 민관협력체계가 잘 구축된 클러스터 EU집행위, 중앙 및 지방정부에 지원하는 약 1,400억 원 규모의 120여개 연구프로젝트(국가 프로젝트 26개)를 수행함 주요 회원사 : Lactalis(유제품), Danone(유제품), Senoble, Unilever(차류 등), Lesieur, Merck Medication, Familiale, SEB 등 캐나다, 태국, 포르투갈 정부 등과의 교류협력 체결 ", "참고자료문헌": "김정욱 외 2명(2012), 산업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국가식품클 러스터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종은, 송채헌(2010),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한 전문 물류센터 필요성에 관한 연구 농림축산식품부(2010),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기본계획 수립 농림축산식품부(2012), 국가식품클러스터 종합계획(안)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 }, { "정책용어": "국토종합계획", "생성배경": "6.25 전후, 저성장과 낮은 소득수준, 고실업, 높은 인구증가율 등으로 인한 좌절감과 패배의식이 팽배하였다. 이후 총체적인 경제난국을 타개하기 위한 종합대책으로 국토개발을 포함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2~1966)에 착수하였다. 또한, 헌법 제120조 제2항과 1963년 10월 제정된 국토건설종합계획법을 근거로 1972년에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였다. 2000년 수립된 현재의 제4차 계획부터는 개발에 초점을 두던 기존 시각에서 탈피하여 개발과 환경의 조화 및 관리에 중점을 두기 위하여 「국토종합계획」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용어설명": "국토종합계획은 국토의 체계적인 이용·관리 및 보전을 위하여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장기적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이는 국토기본법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법정 계획이자 국토분야 최상위 계획으로서, 도계획, 시·군종합계획 등 다른 법정계획의 지침 역할을 하며, 교통, 수자원, 주택 등 부문계획과 주요 지역계획 수립시에 국토종합계획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1972년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이 최초로 수립·시행된 이후, 총 4차례 국토계획(3회 수정)이 수립되었으며, 현재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이 시행 중이다. 국토종합계획 수립경과 국토계획 수정계획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 -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1991)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계획(1987~1991)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92~1999) -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0~2020)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국토형성의 기본골격 출처 : 대한민국정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 "현재 용어의 사용": "국토종합개발계획은 제1차 계획(1972~1981년)부터 제3차 계획(1992~2001년)까지 사용되었고 제4차 계획(2000~2020년)부터는 국토종합계획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토종합계획으로 바꾼 이유는 첫째, 국토를 ‘개발’보다는 ‘관리’라는 관점에서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도록 사업을 이끌어가기 위해서이다. 둘째, 생활수준이 향상되며 더욱 높아진 ‘삶의 질에 대한 국민적 기대’를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셋째, 과거의 국토계획이 물리적 수단 공급에 주안점을 두어온 데 반해 제도적 측면과 운영의 소프트웨어, 그리고 수요자 측면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계획의 기본 틀 출처 : 대한민국정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 "해외사례": "우리나라의 국토종합계획은 프랑스의 France 2020, Territories 2040 등의 계획, 독일의 연방공간정비계획(Raumordnungsplðne) 및 일본의 국토형성계획(國土形成計劃)과 그 성격이 유사하다. ", "참고자료문헌": "권영섭 외(2015), 미래 국토를 선도하는 국토종합계획의 발전방안 연구 김동주(2012), 대한민국 국토종합계획 40년의 성과와 미래과제, 국토연구원, 국토계획 수립 40 주년 기념 국토계획 40년의 평가와 미래 세미나 대한민국정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박양호(2011), 더 큰 대한민국의 국토청사진,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국토 통권 제351호, 국토연구원·독일의 연방공간정비계획 국토연구원(2008), 상전벽해 국토 60년: 국토 60년사 정책편 일본의 국토형성계획(國土形成計劃)(www.mlit.go.jp\/common\/000019219.pdf)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농공단지", "생성배경":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수도권과 일부 거점 도시들을 중심으 로 시행된 한국의 급속한 산업화 정책은 경제 선진국의 기틀 마련이라는 성과를 창 출했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물리적으로 소외된 농어촌지역이 급격히 쇠락 했고, 이로 인해 발생한 농어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농공단지 조성이 부상하였다. 1980년대 농어촌 지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확보, 지역주민의 고용 확대, 도농 간 격차 해소 등을 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발전 속도가 느린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1983년 ‘농어촌 소득원 개발 촉진법’을 제정하고, 1983년부터 농공단지 조성사업 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84년 전국 7개 시범농공단지를 시작으로 1990년 지 자체로의 지정·승인권 이양, 1997년 농공단지 활성화 대책 발표, 2007년 구조고도 화 추진 등의 과정을 거치며, 2016년 기준 427개의 농공단지가 조성되었다. ", "용어설명":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이 살고 있는 농어촌 지역에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와 농어촌의 격 차를 줄여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기 위해 조성한 산업단지의 한 종류이다. 농공단지는 농어촌지역에 농어민의 소득증대를 위한 산업을 유치·육성하기 위 하여 지정된 산업단지이다. 농공단지개발 및 운영에 관한 통합지침에 의하면, 430 농공단지의 구조고도화 및 지역특화산업의 육성을 위해 전문단지, 지역특화단 지, 일반단지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농공단지는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정하며, 산업통상자원 부 장관 및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농촌 지역에 지정된 일반산업단지 또는 도시첨 단산업단지를 농공단지와 동일하게 지원할 수 있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과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등에 근 거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강원발전연구원(2015), 농공단지 고도화와 지역일자리 창출, 정책메모 450호 대구경북연구원(2011), 지역농공단지 리모델링으로 특화발전 꾀하자, 대경 CEO Briefing 제312호 충북발전연구원(2011), 충북지역 농공단지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4), 농산업육성을 위한 특화농공단지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농어촌 6차산업", "생성배경": "고령화˙과소화 등 농가 인구감소로 인한 생산인력 부족 등 농촌 전반의 활력이 저하되고, FTA 확산 등 본격적인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업의 자생적 성장기반이 위축되면서 농촌경제의 악순환이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농업농촌의 어려운 상황과 농촌 경제 활력 저하, 고령화˙과소화, 지역의 성장 역량 저하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하여 농업˙농촌의 고유한 자원과 발전경로에 입각한 농촌 활성화 전략의 목적에서 6차산업화를 추진하였다. 농업의 6차산업화 추진배경 출처 :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 "용어설명": "6차산업은 농업(1차산업)과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식품˙특산품 제조˙가공(2차산업) 및 유통˙판매, 문화˙ 체험˙관광 서비스(3차산업)등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근거법령 :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14.6.3, 시행‘15.6.3)) 예를 들면, 알밤의 경우 kg당 100원에 판매되는 하(下)품을 가공하여 500원에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전분을 만들어서 판매하고 이 전분이 밤묵으로 재탄생하게 되면 몇 배의 매출로 전환하게 된다. 추가로 알밤을 활용한 체험행사의 개발˙운영, 밤껍질의 천연염 매제로 활용한다면 관광상품이 되는 등 다양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농업의 6차산업의 활용 예시 출처 :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6차산업의 원활한 정책추진을 위하여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14.6) 제정되어 체계적인 6차산업화 정책수립 및 추진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후 제1차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15~‘19)이 수립되었으며, 지역별 6차산업 활성화 지원센터가 구축 및 운영 중이다. 이외에도 6차산업 우수경영체 인증제도, 6차산업 경영체 대상 금융지원, 6차산업 경영체 경영 컨설팅 지원 등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통하여 2017년 현재 1,219명의 6차산업 인증사업자가 운영 중에 있다. 6차산업의 유형 구분 가공 음식 유통 관광 개별 농가 서산 참샘골호박농원 제주청정원 양평 다물한과 안동 화련 서산 소박한 밥상 공주 미마지 봉화 파머스마켓 홍성 풀무우유평촌목장 남원 안터원 목장 여주 은아목장 횡성 에덴양봉원 영동 사토미소 법인 등 단체 평택 미듬영농조합 보령 돼지마블로즈 영주 미소머금고 함양 상림영농조합 옥연가 당진 신평 양조장 세종 뒤웅박고을 파주 장단콩연구회 언니네 텃밭 김포 엘리트농부 예산 사과와인 제주 귤림성 원주 돼지문화원 마을 단위 양양 송천떡마을 서천 달고개모시마을 횡성 금나루 무지개마을 남원 흥부밥상 삼례 비비정마을 진도 운림예술촌 상주 승곳마을꾸러미 안동 삼배마을유통 파인토피아 봉화꾸러미 아산 외암민속마을 창원 감미로운 마을 단양 한드미마을 시군 및 광역단위 김포 인삼쌀맥주 문경 오미자 고창 복분자 제천 약채락 문경 산채비빔밥 완주 로컬푸드협동조합 고창 황토배기유통 진안 로컬푸드사업단 양평 농촌나드리 화선 산천어축제 고창 창보리밭축제 출처 :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정도채(2016),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작성자": "안홍기 연구위원(국토연구원) \n" }, { "정책용어": "희망이음 프로젝트", "생성배경": "희망이음 프로젝트는 지역에도 일하기 좋은 기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청년인재들이 수도권 및 대기업을 선호하여 타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지역의 일하기 좋은 기업을 발굴하여 지역 청년인재의 기업 탐방을 통해 지역 우수기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상호 정보교류의 장을 마련해 지역 내 일자리의 미스매치 완화 및 취업연계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용어설명": "희망이음프로젝트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시·도 지자체에서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지역 우수기업과 지역 청년(대학생·고등학생) 간의 교류를 통해 지역기업에 대한 청년 구직자의 인식을 개선하고, 일자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는 대국민 프로젝트이다. 희망이음프로젝트는 교육부가 주도하는 전국 51개 산학협력의 LINC대학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하는 전국 1천 개의 지역 우수 기업 간 소통창구를 조성함으로써 청년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지역 우수기업 선정 및 청년들에게 효과적으로 홍보, 희망탐방과 이음탐방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지역 청년들에게 기업탐방 기회 제공, ‘우리지역 일하기 좋은 기업’ 현판 수여 등을 통해 기업의 대외신임도 제고 및 재직자들의 자긍심 고취, 지역 우수기업 특전 제공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희망이음프로젝트 홈페이지(www.hopelink.kr) 산업통상자원부, KIAT, ITP(2014), 지역기업·대학생 교류활성화사업 기업참가 및 탐방 안내자료 산업통상자원부, KIAT(2015), 보도자료(2015 희망이음 프로젝트 발대식 안내)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 }, { "정책용어": "농지은행", "생성배경": "한국농어촌공사는 1994년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에서 타결된 10년간의 쌀시장 개방 유예 기간이 끝남에 따라, 국내 쌀 시장개방에 대비하기 위해 2005년부터 농지은행을 도입ㆍ운영하고 있다. 이 농지은행은 농지시장의 불안정 요소를 최소화하고 농지시장의 가격 및 수급안정을 도모하며, 비농민의 농지소유 허용이 농지투기문제로 전환되지 않고 전업농 육성 및 농업구조 개선을 가능하도록 하는 농지관리기구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 또는 체계이다. ", "용어설명": "농지은행은 농지 매매와 장기 임대차, 교환, 분합 등을 통해 영농규모의 확대 및 농지 집단화를 촉진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농가소득 증대, 영농규모화사업을 통한 농업경쟁력 강화 도모를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의 주요사업으로는 농지임대수탁사업, 농지매도수탁사업, 경영회생지원사업, 농지매입비축사업, 농지매매사업, 농지임대차사업, 농지교환ㆍ분합사업, 과원규모화 매매사업, 과원규모화 임대차사업, 농지연금, 2030세대 지원 등이 있다. 농지임대수탁 : 농지법(6조와 22조)을 근거로 하여 2005년 10월부터 시행되었다. 직접 농사를 짓기 어려운 농지소유자로부터 임대위탁을 받아 농가나 농업법인에 임대하는 방식으로, 농지은행은 임차료를 받아 수수료를 공제하고 소유자에게 임대료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농지매도수탁 : 2006년 4월부터 시행되었다. 농지를 팔려고 하지만 매수자를 찾을 수 없는 소유자나 농지처분명령을 받은 농지소유자로부터 매도위탁을 받아 매입자를 물색하여, 농지를 대신 매도해 주는 방식이다. 경영회생지원을 위한 농지매입 : 자연재해나 부채의 증가 등으로 경영위기에 처한 농가의 농지와 농지에 딸린 농업용 시설 등을 농지은행에서 매입하여 그 매각대금으로 부채를 청산하게 함으로써 경영정상화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한, 한국농어촌공사가 매입한 농지는 해당농가에 장기 임대하고, 임대기간 중에 우선매입권을 보장해 준다. 농지매입비축 : 농지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경우에만 시행한다. 농지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계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또는 그러한 우려가 있는 지역의 농지를 매입한 뒤, 전업농이나 신규 창업농 등의 수요자에게 매도하거나 임대하는 방식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 현재 농지은행제도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농지은행 사이트(www.fbo.or.kr)를 참고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해외사례": "일본의 농지은행은 시정촌농업위원회가 농지의 임대차 및 매매 등 소위 농지유동화와 구조정책을 적극적이고 합리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조직이다. 이는 농지보유합리화사업, 특히 농업경영기반강화촉진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농지유동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980년에 농용지이용증진법 제정, 농지법 및 농업위원회법 개정 이후 농지은행활동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주체로서 ‘농지은행’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일본의 농지은행은 기본적으로 시정촌농업위원회가 농지유동화와 구조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보조기관으로 운영해 온 것으로, 주요업무는 시정촌 내에서 농지의 권리 이동, 주로 농지의 이용권 이동의 콘트롤센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참고자료문헌": "김홍상, 김경덕(2004), 농지은행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래정책연구실(2010), 농지은행 활성화 김수석, 황의식, 허주녕(2007), 농지은행 활성화 및 유휴농지 관리방안 연구 임세화(2011), 농지은행 경영회생지원사업의 옵션가치 추정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 }, { "정책용어": "도시농업", "생성배경": "세계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공간으로 소규모 도시텃밭(City Farm)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소득과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딸기 따기, 벼 베기 등 체험형 농업을 통해 흙을 만지고 자연을 접하면서 정서함양을 도모하고 있으며, 도심 열섬화와 환경문제 등으로 도시공간에서 생태환경을 보전하고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시민에게 제공하는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도시농업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도시민에게 쾌적한 녹색 공간(Green space) 제공, 소일거리 제공, 정서순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에서 텃밭을 보급하는 등 도시농업이 활발하게 시작되고 있으며, 청소년의 정서함양, 원예치료 등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 "용어설명":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도시농업’을 도시지역에 있는 토지, 건축물 등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여 농작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행위(산림, 조경 제외)로 농업(農業)이 아닌 취미와 여가 또는 학습과 체험 등의 농사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도시농업의 유형은 공간적 범위와 목적에 따라 주택활용형, 근린생활권, 도시형, 농장형··공원형, 학교 교육형 등 5가지로 구분된다. 도시민이 도시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농사활동을 말하며, 고층건물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빌딩형 식물농장, LED·지열·태양광 등을 이용한 식물공장, 주말농장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도시농업의 시작은 1994년 ‘농어촌정비법’의 농어촌 휴양사업의 일환인 관광농업과 도시 주변의 주말농장에 대한 지원제도가 계기가 되었다. 그 후 2003년 도시주민의 주말농원 수요가 증가하여 1,000㎡에 한정하여 도시주민의 텃밭용 농지소유를 허용하게 되었다. 2011년 6월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0%(500만 명) 이상을 도시농업에 참여시키는 내용을 담은 ‘도시 농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도시텃밭 확대(40 → 7,200개소), 주말농장 확대(200 → 800개소), 도시농업공원 조성(지자체별 1개소 이상 설치), 도시빌딩 녹화,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도시농업 인프라 구축 추진 등이다. 2011년 11월에 제정되고 2012년 5월부터 시행된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로 도시농업을 육성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은 5년 단위의 도시농업 육성계획, 도시농업 지원센터 설치와 전문인력 양성, 공영 및 민영 도시농업 농장의 개설 및 지원 등 도시농업을 육성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2013년 6월 농림축산식품부는 도시농업법 제5조(종합계획의 수립) 규정에 따라 제1차 도시농업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육성계획은 ‘도시농업 활성화로 도농 상생 및 삶의 질 향상’을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2017년까지 도시텃밭 면적 1,500ha와 도시농업 참여자 200만 명 달성, 도시농업 참여만족도 개선 등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2011년 전국적으로 서울시와 6개 광역시에 도시농업 관련 조례가 제정되어 있으며, 서울시 관내 15개 기초자치단체와 서울시 이외 33개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운영하고 있다. ", "해외사례": "외국 도시농업의 주요 동향은 먼저 식량 위기에 대응하는 ‘먹을거리 생산형 도시농업’이다. 미국의 봉쇄정책으로 인한 쿠바(1990)의 도시농업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외 소련붕괴로 인한 모스크바 시민의 60%가 도시농업에 참여, 세계 1,2차 대전(1899-1920)에도 영국, 독일, 미국에서 도시농업의 보편화, 싱가포르의 도시국가 한계 극복을 위한 가금류 사육이나 채소 재배 일상화, 아프리카의 많은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도시빈민 구제를 위한 도시농업이 해당한다. 또한, 도시민의 여가활동으로 활용되는 ‘여가형 도시농업’이 있다. 독일 클라인가르텐, 일본의 시민농장, 우리나라의 주말농장 등이다. 여가형 도시농업은 서구의 ‘가드닝 활동’으로 집안에서 앞뜰과 뒤뜰, 그리고 아파트 베란다에서 이루어지는 텃밭과 정원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생활형 도시농업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제 해결방안으로 ‘공동체형 도시농업’을 들 수 있다. 영국 랜드셰어(Land share), 독일의 클라인가르텐도 사회복지적 성격을 담고 있다. 특히, 밴쿠버와 시애틀과 같은 북미의 도시농업은 40여 년간 공동체 운동과 결합하여 ‘커뮤니티 가든’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왔다(1960-70년대). ", "참고자료문헌": "경기개발연구원(2012), 경기도 도시농업활성화 방안 서울연구원(2012), 서울시 도시농업 현황과 시사점, 서울경제 6월 서울도시농업(2013), 서울시 도시농업 마스터플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0), 도시농업의 비전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2), 주간 농업·농촌동향, 2012. 6. 25 Vol.26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도시재생사업(도시재생선도지역)", "생성배경": "1980년대 이후 대규모 계획적 주거용지와 산업용지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구도심은 오히려 쇠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외곽 신시가지 개발로 인한 구도심의 인구 감소, 제조업이나 전통시장 등의 쇠퇴, 공공기관의 이전 등 도심 내 경제적 기반상실로 도시기능이 약화된 것이다. 구도심은 건축물이 노후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반시설 비율도 절대적으로 열악하고, 사회복지시설, 문화체육시설 등의 사회공공서비스가 농어촌 지역보다 낮은 수준으로 자립적인 재생추진이 어렵다는 점이 인식되면서 정부 차원에서의 도시재생사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도시재생은 도시커뮤니티 유지 및 활성화 과정으로서 기존 거주자의 지속적 생활여건 확보의 물리적인 측면, 사회·문화적 기능회복의 사회적 측면, 도시경제 회복의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방식의 정비개념이다. 즉, 도시재생사업은 정부가 지원하고 주민이 중심이 되어 종합적으로 도시를 재생시키는 사업이다. 종합적 도시재생이란 도시쇠퇴문제가 단순히 주택 노후화가 아닌 실업, 노령화, 보육, 건강, 교육, 범죄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인 만큼 그 처방도 물리적 정비 중심에서 경제, 사회, 문화까지도 포괄하는 종합적 방식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 중심에는 실제 거주하는 주민이 자신이 살아가는 터전인 생활권의 재생계획 수립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각 부처 간 특성에 따른 개별적 지원방식이 아니라 부처협업패키지를 지원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그 성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개별적·산발적 사업 추진→다양한 사업을 융·복합한 종합계획 출처 : 도시재생사업단, 함께하는 희망도시재생 ", "현재 용어의 사용": "무분별한 도시재생지역의 지정 난립을 방지하고 본격적인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 2013년 12월까지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기준 등을 포함하는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을 마련하고, 도시재생이 시급하고 파급효과가 큰 지역을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하여 2014년부터 계획수립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2014년 9월 도시재생활성화지원조례 표준안을 마련하고 2014년 11월부터 도시재생 선도지역 11곳 사업 본격 착수하여 진행되어 오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은 새로운 경제기능의 도입, 기존의 산업기능·업종 전환을 통해 고용기반을 창출하고 주변 지역으로 경제회복효과를 낼 수 있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과 지역특색을 살려, 침체된 중심시가지의 경제 활성화와 낙후한 근린 주거지역 생활환경 개선을 통해 공동체 유지를 할 수 있는 근린재생형행 도시재생사업이 있다. ‘16년도 도시재생사업은 최대 35곳을 선정할 계획으로 도시 내 공공청사 이전부지, 역세권, 폐항만, 노후산단 등을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재활성화 하는 도시경제기반형(5곳)과 중심상권 및 근린주거지 활성화를 위한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9곳), 일반 근린재생형(19곳)으로 구분하여 선정되어 사업이 추진 중이다. ", "해외사례": "선진국에서는 도시재생이 실천적인 사업과 연계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커뮤니티 운동과 중심시가지 활성화 사업이 연계되어 있고, 일본에서는 마을 만들기 운동차원의 사업이 연계되어 있으며, 영국에서는 근린지역 재생운동(New Deal for Community)과 연계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7.4),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안」입법 예고 도시재생사업단(2013), 함께하는 희망 도시재생 백원국(2013), 주민참여형 도시재생,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자료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5), 쇠퇴도시를 다시 살리는 도시재생사업 착수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6), 신규 도시재생사업 33곳 확정 등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말산업육성", "생성배경": "FTA 시대 농어촌의 새로운 소득원으로서 말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시책으로, 농어촌형 승마시설 확충, 말산업 관련 전문 인력 육성, 승마 인구 저변 확대 등을 기초로 말산업을 축산업의 발전과 농어촌 활성화의 동력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이다. 말산업 관련 업종으로는 말 생산업, 사육업, 이용업, 조련업, 장제업, 재활 승마 지도업, 경마 운영업 등이 있으며, 농가의 말 생산·판매·농어촌 관광과의 연계 등을 통한 대체 소득원 창출과 도농교류, 농어촌 체험마을 활성화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n ", "용어설명": "말산업은 1, 2, 3차 산업이 복합된, 성장 가능성이 높은 6차 산업으로 5개년 계획을 충실하게 추진할 경우, 경제규모 2.8조에서 3.8조 원, 말 두수 3만 두에서 5만 두, 사육농가 1,900호에서 3,000호, 일자리 2만 개에서 3만 개, 승마장 300개소에서 500개소, 승마인구 25,000명에서 5만 명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기타 도농교류 활성화,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 승마 대중화를 통한 국민 건강증진 기여, 재활 승마를 통한 장애인 치료, 청소년 신체발달 및 정서함양, 게임중독 예방 등에 기여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정부는 말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지역을 말산업 특구(말의 생산·조련·유통·이용 등에 필요한 인프라를 갖추고 말산업을 권역별로 육성·발전시킬 수 있는 특화된 지역)로 지정해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미국 켄터키 주, 프랑스 노르망디 주, 영국 뉴마켓 주 등이 말 산업을 지역 특구의 형태로 발전시킨 사례이다. 복합산업으로서의 말산업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2012). 말산업육성5개년종합계획 보도자료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축산식품부는 2012년 7월 말산업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는데, 승마시설 확충, 전문 인력 양성, 특구 지정 등 기반조성 분야와 전문 승용마 도입 및 생산농장 육성, 우수마 도입 등 경쟁력강화 분야, 학생 체험승마 및 승마대회 확대 등 승마 수요 확충분야, 말 방역관리, RD 강화 등 지속 성장기반 구축분야의 총 4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말산업육성법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말산업육성 종합계획의 추진을 위하여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2014년 1월 2일 제주특별자치도가 제1호 말산업 특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경상북도가 제2호, 경기도가 제3호 말산업 특구로 지정되었다.\n ", "해외사례": "해외국가의 말산업 현황 구분 주요현황 미국 말 사육두수 : 920만두 말산업 참여인구 : 460만 명(말소유자, 근로자, 서비스 제공자 등) 말산업 고용창출 : 140만 명(풀타임 근로자 45만 명) 영국 말 사육두수 : 96만두 말산업에 관심 있는 인구 : 500만 명(승마인구 240만 명) 말산업 고용인구 : 직접 5만 명, 간접 10~20만 명 호주 말 사육두수 : 120만두 승마협회 회원 수 17,600명, 등록 승용마 70,000두 말산업 고용인구 : 20만 명 프랑스 말 사육두수 : 90만두 승마장 7,500개, 승마인구 150만 명(클럽회원 52만 명) 말산업 고용인구 : 11만 명 독일 말 사육두수 : 100만두 승마장 7,600개, 승마인구 160~170만 명(클럽회원 75만 명) 말산업 고용인구 : 30만 명 일본 말 사육두수 : 80,700두 승마장 990개, 승마클럽회원 7,1000명 - 승마클럽 이용자는 연간 135만 명 이상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2012). 말산업육성5개년종합계획 보도자료.\n ", "참고자료문헌": "강민수(2012), 제주특별자치도 말산업 특구지정, 제주발전포럼 pp. 32-37 친환경축산(2012), 말산업 육성 5개년 계획 이렇게 추진된다, 친환경축산 12: pp.48-54 황주홍의원실(2013), 말산업 육성 발전을 위한 주요 현안 심포지엄 자료집, 서울: 황주홍의원실.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www.mafra.go.kr) 한국마사회 홈페이지(www.kra.co.kr) 말산업포털(www.horsepia.com) \n ", "작성자":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n " }, { "정책용어":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생활문화센터)", "생성배경":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백세시대를 대비하여 은퇴 후 여가 ·문화 활동, 자원봉사 기회 확대 및 문화예술·체육 관련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복합 공간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으며, 2014년도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이후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역 유휴공간 및 시설을 활용한 생활권 단위의 복합문화센터를 조성하여, 지역사회 문화동호회 활동의 거점 공간으로 사용하여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참여형 공간조성을 목표로 한다.\n ", "용어설명":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시설로서, 단순히 건물을 조성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소통과 공존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의 문화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지역별 동호회 활동을 거점으로 도서관, 문예회관 및 마을회관 등을 리노베이션하고, 전문자원봉사자 중심으로 운영하여 지자체 등의 운영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활동을 통한 생활밀착형 예술 프로그램을 확대할 뿐 아니라 지역 예술가들이 상주·활동할 수 있는 사회적 선순환구조를 형성할 예정이다.\n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지역민의 문화여가 향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복합형 커뮤니티센터(공연, 전시, 도서 등) 확보를 위해 2014년 130억 원 예산을 신규 편성해서 문화동호회 활동의 거점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사업단지 유휴공간, 폐 산업시설 등을 문화예술로 재창조하여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산업단지·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14년, 125억 원)’이 추진된 바 있다.\n유사한 사례로 부산문화재단이 위치한 ‘창의문화촌@감만’은 폐교가 된 옛 동천초등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해 만든 복합문화커뮤니티 공간이다. 이곳은 부산문화재단의 사무공간과 문화예술인이 상주하며 창작활동을 펼치는 창작공간, 각종 예술교육시설, 커뮤니티 홀 및 주민복지시설인 감만종합사회복지관이 갖춰져 있으며, 예술가의 창작과 주민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복지가 한데 어우러지는 복합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14년 명칭공모를 통해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를 생활문화센터로 변경하였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참여 욕구를 증가시키기 위해 리모델링 사업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2015년 지원규모는 20~30개로 총 120억 예산을 지원했다. 지자체는 생활문화센터 조성이 가능한 유휴시설 또는 기존시설의 부지와 건물(또는 공간)을 확보(지자체 소유시설을 원칙으로 하며, 예외적으로 공공시설 장기사용(10년 이상) 시 신청가능)하고 총 조성사업비의 70% 이상을 지방비로 확보하여야 한다.\n ", "해외사례": "캐나다 토론토의 아트스케이프(Artscape)는 버려진 공간을 재생해 예술가들의 거주 및 작업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문화자산을 형성하는 창조적인 도시개발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http:\/\/torontoartscape.org\/).\n ",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2013),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업무계획 서수정(2013), 문화예술의 창작소, 도시재생의 중간지원조직 토론토 아트스케이프, 건축과도시공간 류정아(2012), 지역문화 정책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년 생활문화센터 조성 지원 사업 안내 \n ", "작성자": "이희정(한양대학교 교수)\n " }, { "정책용어": "새마을운동 세계화\/지구촌 새마을운동", "생성배경": "새마을운동은 농촌개발 모델로서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UN은 아프리카 빈곤퇴치 프로그램의 하나로 새마을운동을 선택할 만큼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의 새마을운동은 농촌개발과 농촌부흥을 위한 국가정책으로 시작되어 의식전환, 소득증대, 농촌빈곤퇴치 등 경제발전과 근대화의 원동력이 되었고, 새마을운동 세계화를 통해 이런 경험을 원조에 활용하여 개도국의 자립역량을 배양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국제원조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원조의 덫에 빠지는 수원국의 문제와 원조피로가 누적되는 공여국의 문제를 탈피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UN의 새천년 개발목표 달성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권령민(2012), 경상북도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새마을운동 세계화 활용 방안,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보고서 임한성(2012), 경상북도의 아프리카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단계별 추진계획,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보고서 임형백(2012), 새마을운동의 세계화와 공적개발원조 적용을 위한 과제, 한국지방자치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4(1), pp. 131-150 노은주(2016),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의 시군 참여 활성화 방안,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보고서 ", "작성자": "이재훈 원장(경북테크노파크) \n" }, { "정책용어": "생활문화공동체", "생성배경": "도시화가 확대되면서 이웃 간 소통 단절, 동네 단위의 공동체의식 상실, 삶의 피폐화, 지역 간 문화 격차 확대와 같은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문화예술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아마추어들의 다양한 활동은 문화체험 및 향유 욕구가 사회 저변에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생활 속에 내재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함양 및 문화예술 영역을 확대하고, 문화소외지역 주민들의 문화향유권 제고를 통해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용어설명": "생활문화공동체는 파편화된 현대사회의 문화소외지역(예: 임대아파트단지, 서민단독주택밀집지역, 농·산·어촌 등) 주민들이 역량 있는 문화예술단체 혹은 예술가와 함께 자생적·주체적·자발적으로 지역의 고유한 역사·문화·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공동체를 만들고, 공동체 활동을 기반으로 문화예술 활동과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연대적 삶을 이어가고자 하는 하나의 방향성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즉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은 ‘개인의 행복을 국가경영의 중심에 둔다’는 국정 지침에 의거 문화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매개로 공동체 문화 회복 및 지역의 변화 유도, 지역주민의 일상 속 문화 향유 기회 제고, 문화적 격차 해소, 문화를 통해 소통하는 사회 조성 등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생활문화공동체 구축은 2008년부터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 확정된 후 복권기금 문화나눔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18개 마을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2013년 연속단체 15개, 일반 공모를 통해 신규로 선정된 13개 단체 등 총 28개 단체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여 총 34,637명(핵심주민 4,711명, 일반주민 29,926명, 문화예술 전문 인력 745명)이 혜택을 받았다. 한편 2015년도에는 총 12개 단체 내외에 주민 간담회 및 수요조사, 운영전략 개발을 위한 사전 활동 및 문화예술 활동을 매개로 한 공동체 형성(기반) 활동 등에 4억 6,4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지원현황(2013) ", "해외사례": "스웨덴 베스테르노를란드 주의 경우 근로현장에서의 문화 활동이 근로자의 삶의 질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크로쿠스’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미국 전미교육협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는 2001년 Creative Communities Project를 통해 공공주택에 살고 있는 청소년 5,400여 명을 대상으로 예술교육을 실시하였다. 미국 시카고의 행동하는 문화(Culture in Action)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고등학생, 공공주택 거주자, 에이즈 환자, 여성 단체 등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와 작가들을 연결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2013 문화예술정책백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8), 문화클럽 조성 및 활성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생활문화공동체 현황 조사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결과 자료집 : 우리 동네 예술 동네 ", "작성자": "이봉구 교수(동의대학교) \n" }, { "정책용어": "연구개발지원단", "생성배경": "교육과학부가 ‘지방RD사업의 효율성 제고방안(2006년 12월)’의 이행을 위한 실천과제의 하나로서 ‘지역별 RD전담기구의 설치˙운영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 규정에 근거하여 2007년 부산의 연구개발지원단을 최초로 선정˙지원하였다. 이후 충북(2008년), 대구˙전북(2009년), 경기(2010년), 광주(2012년) 등의 순으로 연구개발지원단의 설치˙운영 지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였으나, 당시에는 지원단별 국비지원 규모가 1억 원 이내에 머물러 RD전담기구로서의 실질적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t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과학기술부(2013.2), 2013년도 연구개발지원단 신규사업 공고(제2013-61호) 교육부(2013), 2013년도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시행계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6),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보고서 (지역연구개발활성화사업)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http:\/\/www.nrf.re.kr) 한국연구재단(2015), 지역연구개발활성화사업 추진실적(상위평가 자료) 1) 2012~2015년 기간에는 지역기초연구활성화사업의 내역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2016년부터 산학연협력활성화지원사업의 내역사업으로 변경됨. 2) 연구개발지원단의 국비 지원규모(억 원) : 2011년 3, 2012년 6, 2013년 24, 2014년 32, 2015년 31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 },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생성배경": "글로벌 경쟁력과 정치적 자율성을 가진 대도시권 지역(Global City-Region)이 국가를 대신하여 새로운 경쟁 주체로서 세계무대에 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민생활 및 경제활동의 범위가 확장되어 단위행정구역의 경계를 넘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는 연계·통합적 경제권 육성이 시대적 대세가 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그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새로운 지역발전 모델로서 광역경제권 전략을 채택하였다. 광역경제권 정책은 세계 경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대내적으로는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광역경제권 창조를 목표로 삼고 선도 프로젝트의 추진, 관련 기반 구축, 추진 체계의 마련 등을 통해 지역특화발전을 추구한다. ", "용어설명": "광역경제권(Economic region)은 지역간 연계 및 협력을 통해 지역경쟁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경제·산업권과 역사·문화적인 동질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 권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이명박 정부의 지역정책 패러다임(2008년 1월,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한 ‘새 정부의 창조적 광역발전전략’)에서는 인구, 산업집적, 도시입지, 인프라, 경제흐름, 역사문화 특수성, 지방행정과 지역정서 등을 기준으로 인구 500만 내외의 5대 광역경제권(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과 인구 100만 전후의, 비교적 독립적인 경제권인 2개 특별광역경제권(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으로 구성되었다. 즉, ‘5+2’ 광역경제권을 설정하여 지역 특성에 따라 각각의 특화발전 비전을 제시하였다. ‘5+2’ 광역경제권의 특화발전 비전 출처 :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 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09). ", "해외사례": "영국은 지역정책에 광역경제권 전략을 도입한 선두주자로서, 1998년 잉글랜드를 9개의 경제권역으로 구분하면서 광역경제권 정책을 실시하였고, 2004년에는 북동부권, 북서부권, 요크셔·험버권간 연계협력(The Northern Way)도 시행하였다. 각 광역경제권 정책은 1998년 본격 출발한 지역개발청(RDA)에 의해 주도되었다. 프랑스는 기존의 도(데파르트망)를 확대하고 광역경제권에 해당하는 22개 지역(레지옹)을 신설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하였고 전국을 6개 광역경제권, 즉 슈퍼지역으로 설정한 2020년 장기 발전구상을 발표하고 추진 중이다. 일본은 2005년 8대 광역권으로 구분하고(도호쿠권, 수도권, 호쿠라쿠권, 츄부권, 긴키권, 츄코쿠권, 시코쿠권, 큐수권), 전국계획과 광역계획을 분리하여 중앙과 지방의 역할과 기능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글로벌시대의 주요국 지역발전 패러다임 변화 여건변화 국민국가\/영토국가시대 (’90년대 이전) → 글로벌경제시대 EU출범(’93), WTO출범(’95) 지역발전 패러다임 행정구역 중심 광역발전 국가별 정책 영국 42개 카운티 (1997) → 8개 광역지방계획권(Region) 프랑스 22개 레지옹 (2000) → 6개 광역권(Grandes Regions)구상 일본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 (2005) → 8개 광역지방행정구역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 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09).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2009), 전략지역발전위원회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 신지역발전정책 시리즈 2.(2009), 한국산업기술재단, 지식경제부 OECD(2007), Competitive Regional Clusters: National Policy Approaches 공감코리아 뉴스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 }, { "정책용어": "농어촌 유산", "생성배경": "인류가 소중하게 보전해야 할 가치 있는 자원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제도는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세계문화유산이 주로 독특한 지형지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달리 물리적인 것을 뛰어넘어 그것을 형성하는 산업 활동, 문화 활동 등과 생물·경관·지식체계 등이 폭넓게 결합된 총체적 자원으로서 다른 차원의 유산 제도가 논의되었다. 특히 산업화, 도시화 등으로 점차 사라져 가는 농어업·농어촌 자원 중에서도 자부심을 가지고 후대에도 지속 가능한 형태와 정신으로 유지·보전시키는 동시에 그 가치를 확대 창출할 필요가 있는 자원들은 농어업 유산 또는 더욱 확대된 개념의 농어촌 유산으로 지정,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용어설명": "농어업 유산자원은 어떤 국가나 민족 또는 산업주체가 지역사회나 자연환경에 적응, 극복하면서 수 세기 동안 구축하고 발전시켜 온 문화나 전통 및 경관 중 농경 활동이나 어로 활동 등과 결합된 유무형의 자원을 말한다. 그러므로 농어촌 유산은 농어업이라는 산업적 성격의 유산 자원을 포함하여 농어촌의 생활, 역사, 전통, 경관, 문화 등과 연관되어 보전해야 할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자원을 통칭한다.\t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어촌 주민이 지역사회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랜 기간 동안 형성·진화해 온 보전·유지 및 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전통적 농어업활동시스템과, 이의 결과로서 나타난 농어촌의 경관 등 모든 산물을 농어업 유산으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농어업 유산제도를 2012년에 도입하였다. 농촌 자원의 보존·관리·가치화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14년에는 농촌자원 보전관리 방안을 담아 농수산생명자원의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농림축산식품부 및 해양수산부 공통으로 제정한 바 있다. 농어촌 유산의 대상은 전통적 농어업 활동 시스템의 결과로 나타난 다양한 범위의 경관 등 모든 산물을 대상으로 삼으며, 지정 기준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GIAHS: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기준을 바탕으로 한다. 지정 절차는 시·도나 시·군에서 유산자원을 조사·발굴하여 농림축산식품부에 신청하면 농어업유산자원지정심의위원회에서 현장조사를 거친 후 그 기준에 적합하면 국가 농어업유산으로 지정하고 FAO에 등재하고 있다. 유산자원으로 지정되면 1단계로 멸실, 훼손, 변형자원은 복원하여 유산자원의 가치, 품격, 전통성 등을 갖추도록 하고, 2단계로 유산자원의 가치를 저하시키거나 방문객에게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3단계로 유산자원을 관광 상품화하여 농어촌의 소득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FAO의 GIAHS에 세계농업유산으로 지정·신청한다는 방침이다. 2014년 4월 1일에 청산도 구들장논, 제주도 흑룡만리 돌담밭 등 2개소가 국가중요 농업유산으로 지정, FAO에 등재되었다. 구례 산수유농업과 담양 대나무밭은 국가중요 농업유산 제3호와 4호로 지정되었다. 2022년까지 국가중요농업유산 25개소, 세계농업유산 10개소를 등재할 예정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의 경우는 농촌다원적자원활용사업을 활용하여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지역은 농업유산의 보전·활용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게 되며, 유산자원의 복원, 주변 환경 정비, 관광자원 활용 등에 필요한 예산 지원도 받게 된다. 지역당 3년간 10.5억 원 규모이다. ", "해외사례": "FAO에서는 세계환경자금(Global Environment Fund)의 지원을 받아 차세대에 계승해야 할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업이나 생물 다양성 등을 가진 농업유산을 보전할 목적으로 2002년에 GIAHS를 도입하였다. GIAHS에서 지정되는 대상은 독창적인 농업제도 및 생태경관 지역, 농업생물 다양성의 보전지역, 고유한 농사지식 체계의 적응지역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탈리아 남부의 계단식 레몬밭, 사하라사막의 오아시스농장, 이란의 고대 지하 관개수로, 일본의 전통적 따오기 공생농법 등 총 19종이 등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청산도 구들장논과 제주 돌담이 국가농업유산이자 FAO에 세계농업유산으로 이름을 올렸다. ", "참고자료문헌": "강승진(2012), FAO 세계중요농업유산 (GIAHS) 등록을 위한 제주지역 과제와 추진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JDIFOCUS 136호 김경두(2012), 농어업 유산제도의 도입, 지역과 발전 제8호 김정희(2013), 미래를 이끄는 과거, ‘농어업유산’, 나라경제 2013 3월호. 농림축산식품부(2013),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1), 농업·농촌 유산 (遺産)제도 도입 추진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농어업 유산제도 본격 도입 윤원근, 최식인(2012), 한국 농어업·농어촌 유산 발굴과 보전, 농업전망 20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다랑이논연구회(2011),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송미령, 권인혜, ‘농어촌의 자원을말한다 (제2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자료집)’ 5-3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Yehong Sun, Myriam Jansen-Verbeke, Qingwen Min, Shengkui Cheng(2011), Tourism Potential of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Tourism Geographies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생성배경": "거점중심의 지역정책에서 탈피하여 수도권 집중 및 지역 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통해 지방의 자립을 촉진하기 위하여 참여정부 초기에 입법되었다. 외환위기 이후 수도권에 인구와 지역 총생산이 집중하는 현상을 해소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전략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2004년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그 후 수차례의 개정을 거쳤다. ", "용어설명":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하 법)(제1조)에서는 동법이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과 지역 간의 연계 및 협력증진을 통하여 지역경쟁력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 목적임을 밝히고 있다. 법은 총 5장(제1장 총칙, 제2장 지역발전 5개년 계획 등, 제3장 지역발전 시책의 추진, 제4장 지역발전위원회 등, 제5장 지역발전특별회계)으로 구성되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강현수(2003), 국가균형발전특별법(안)의 쟁점과 과제, 공간과 사회(20), 공간환경학회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방안 :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과 특별회계 신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산업자원부, 기획예산처(2003), 「국가균형발전특별법」 : ‘모두가 잘 살기 위한 첫걸음’ 한표환(2004),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과 상생적 국토발전전략, 국토(269) 기획재정부 홈페이지(www.mosf.go.kr) ", "작성자":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 \n" },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생성배경": "기존의 지역산업육성은 지역전략산업을 선정하고 기업지원의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는 부족했다는 반성으로 지역의 신성장동력과 연계한 지역산업육성을 통해 시·도간, 연계·협력 및 규모의 경제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사항이 이명박 정부에서는 광역경제권별로 2~4개 선도산업을 대표산업으로 육성하여 지속적인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였다. 또한 RD부터 생산·판매에 이르는 전·후방산업이 동반 발전함으로써 권역 내 부가가치 창출이 극대화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5+2 광역경제권’별로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산업군을 말한다.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식경제 통합기술 청사진, 신성장동력 등 국가차원의 산업기술 정책과의 정합성 차원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1단계(2009년7월-2012년4월)에서는 총 12개의 선도산업 20개의 프로젝트에 703개 기업, 1,100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총 7,622억 원이 투입되었다. 한편, 현재 진행 중인 2단계(2012년5월-2015년4월)에서는 총 22개의 선도산업에 40개의 프로젝트가 선정되어 추진 중에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은 1단계의 시행착오를 거쳐 2단계 사업이 정착되고 있다. 2012년 5월에 시작된 2단계 사업은 오는 2015년 4월까지 지역 중소·중견 기업 1,650개사를 지원해 약 2만 5,000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하고, 약 10조 원의 매출 증대효과를 거두는 목표를 설정했다. 정부는 2단계 사업 과제를 고용성과 중심으로 평가하는 ‘고용창출형 RD’로 전면 전환하였다. 그리고 석·박사급 연구인력 채용을 조건으로 하는 채용조건부 RD를 전체 RD 사업의 10% 규모로 시범 도입한다. 또 전문학사 및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출신 인력을 채용할 경우 채용장려금을 지원해 일자리 창출을 유도할 예정이다. 광역경제권별 선도산업 권역 1단계 선도산업 2단계 선도산업 충청광역경제권 New IT, 의약바이오 의약바이오, 차세대에너지, New IT, 융합기계부품 호남광역경제권 신재생에너지, 친환경부품소재 신재생에너지, 라이프케어, 광융복합, 친환경수송기계 대경광역경제권 그린에너지, IT융·복합 그린에너지, IT융·복합, 스마트기기 부품, 첨단융합소재 동남광역경제권 수송기계, 융합부품소재 에너지플랜트, 그린화학소재, 수송기계, 조선해양 강원광역경제권 의료융합, 의료관광 기능성 신소재, 바이오메디컬, 헬스케어 제주광역경제권 물산업, MICE(관광레져) 풍력서비스, 차세대 식품융합, MICE ", "해외사례": "영국은 North England 지역에서 디지털산업, 헬스케어과학기술, 의료기기, 첨단소재 및 공학산업을, 프랑스는 MEDICEN 지역에서 고기능 건강과 생체의학 분야, 분자의학 산업을, 일본은 近畿圈(긴기)지역에서 미래형 정보 가전·로봇, 고기능 소재, 에너지 관련 장치·기기, 바이오, 환경산업을 특화하고 있다. 광역경제권 2단계 선도산업 추진현황 출처 :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2단계 육성정책 방향, 일자리 창출 중심의 신지역산업 발전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12).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글로벌경쟁의 조건-해외광역클러스터, 신지역발전정책 시리즈 3(2009), 한국산업기술재단, 지식경제부 ‘정부 5+2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2단계 사업 본격 착수’, 디지털타임스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 }, { "정책용어": "마을리더", "생성배경": "마을은 일반적으로 도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주로 농림업, 수산업, 목축업과 같은 1차 산업에 의해서 생활하는 지역사회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정부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행정자치부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마을단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마을단위로 지역주민을 이끌거나 사업의 운영주체로 활동할 수 있는 리더들이 필요하게 되었다.\n ", "용어설명": "마을리더는 주민들 스스로가 자신의 마을을 살기 좋게 만들기 위해 편익 증진, 경제, 교육, 문화, 복지, 환경, 도시재생, 경관 등의 분야에서 공동으로 하는 사업을 직접 이끌거나 협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즉, 주로 마을 대표, 이장, 추진위원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마을리더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마을단위의 마을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사업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역개발사업(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이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 등), 행정자치부의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역공예마을육성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을리더는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 수행자이다. 특히 농어촌지역의 마을리더는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의 리더로서 농어촌마을 운영에 대한 시행착오 최소화, 포괄보조사업 등 정부사업의 이해를 돕고, 도농교류활동 및 농어촌지역의 변화를 주도하는 지역리더이다.\n ", "해외사례": "유럽의 대표적인 농촌개발 프로그램인 ‘리더(LEADER·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동연대)’는 유럽 농업인들의 자존심으로 통한다. 농촌현장을 존중하는 것은 물론 농촌주민의 자율성을 반영해 예산을 지원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받아들인 ‘혁신적이고 매우 성공적인 농촌개발 전략’이기 때문이다. 리더 프로그램 추진의 대표적 성공사례로는 영국의 ‘동부 더럼 리더’를 들 수 있다. 동부 더럼 리더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이 주체다. 유럽연합(EU)이 농촌개발을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1991년 도입했다.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각종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중앙정부는 자금만 지원하고, 운영은 주민자치단체에 맡긴다. 특히 운영체계를 ‘EU 집행위원회 농업위원회-EU회원국 및 지자체-LAG(관광·환경·청소년 등 부문별로 주민들이 참여해 만든 조직)’의 3단계로 분리해 지원하는 자금과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n ", "참고자료문헌": "박광범(2012), 지역적 특성과 리더에 의한 농촌마을만들기의 지속가능성 고찰 오승영, 박천오, 진종순(2010),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연구 김남선(2010), 마을평생교육리더 양성과정 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 황영모(2010), 농촌리더 역량이 생산자 조직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n " }, { "정책용어": "농어촌 뉴타운", "생성배경": "2009년 이명박정부의 농정 5대 미래전략 과제의 하나였던 농어촌 뉴타운은 도시에 거주하는 30, 40대 젊은 인력을 농어촌으로 유치하여 지역 농수산업의 핵심인력으로 성장토록 지원하며, 젊은 세대 유치를 통한 미래 농어업 승계자 확보, 농어업 경쟁력 제고 및 농어촌 활력 증진 도모를 목적으로 추진되었다.\t ", "용어설명": "농어촌 뉴타운은 도시민들이 귀농을 하고자 해도 농어촌의 열약한 생활환경, 자녀교육 및 복지, 영농기반, 친교기반 등의 미비로 귀농으로 연결되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맞춤형 영농지원, 양질의 자녀교육 및 복지환경, 쾌적하고 저렴한 주택공급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함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석종, 주석중(2011), 농어촌 뉴타운조성사업의 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원근(2012), 농어촌 뉴타운사업의 내실화를 위한 로드맵 한국농촌건축학회(2008), 우리나라의 농어촌 뉴타운 조성방안 한국농촌건축학회(2008), 농어촌 뉴타운 계획과 주택모델 사례연구 대전일보(2014.6.6), ‘옛 단양 농어촌 뉴타운’ 분양 순풍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사)지역특화자원사업화연구센터 회장) \n" }, { "정책용어": "귀농·귀촌", "생성배경": "한국에서의 귀농· 귀촌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실직으로 인한 생계형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8년 이후에는 금융위기와 베이비부머 은퇴, 전원생활 선호 등 사회, 경제적 요인이 결합되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통계청 발표자료에 따르면 2012년 한 해에 2만 7천여 가구, 4만 7천여 명이 귀농귀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2011년의 1만 503가구, 2010년 4,067가구와 비교할 때 비약적으로 증가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 "용어설명": "귀농은 농업생산에 종사하려는 목적으로 외부 도시지역으로부터 농촌지역에 신규 전입하는 이동을 의미하며, 귀촌은 도시지역으로부터 농촌지역에 신규 전입하였으나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인구 이동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참고로 귀농· 귀촌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자아실현형 : 도시의 삶에서 벗어나 생태적 삶을 통해 정신적 풍요를 얻으려는 유형 영농목적형 : 상대적으로 도시보다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농업, 농촌에서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찾고자 하는 유형 농촌체류형 : 농촌에 살면서 도시의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유형 전원생활형 : 복잡한 도시보다 농촌에서 여가와 노후를 보내려는 유형 ", "현재 용어의 사용": "중앙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사업 농림축산식품부는 2009년에 ‘귀농귀촌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귀농귀촌 정착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종합대책에는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신축 자금 등 융자사업과 주택 수리, 귀농인의 집 조성, 귀농 농업인턴, 귀농 컨설팅 등 보조사업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타 부처 및 지자체 등과의 업무 조정으로 현재까지 추진되고 있는 것은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신축자금 융자사업 등이다. 2012년에는 귀농귀촌 가구 2만 호를 정책 목표로 설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만 7천여 가구가 귀농귀촌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중앙단위의 귀농귀촌정책 추진 주체별 역할과 업무구분을 완료하기도 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귀농귀촌을 위한 종합적인 시책개발과 예산지원을 담당하면서 귀농 이전 단계의 교육을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에 위탁하여 추진하고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은 귀농귀촌 종합상담과 정보 제공, 도 농업기술원 및 시· 군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교육 및 귀농귀촌사업의 체계적인 추진과 귀농귀촌자 사후관리와 농업기술지원을 맡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표준설계도 및 농지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농협중앙회에서는 귀농창업자금 대출과 유통지원을 주관하고 있다. 지방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사업 지방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사업의 조레의 주요내용은 귀농귀촌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지원자격과 내용이 중심이며, 지원대상의 연령과 지원범위는 지역별로 상이하다. 다양한 가치관과 경험을 갖고 있던 귀농귀촌인들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조례를 개정하는 시· 군이 늘어나고 있다. ※ 현재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귀농· 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 ) 참조 ", "해외사례": " 미국 : 미국은 귀농인들이 은퇴 농업인의 토지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초보 귀농인들에게 농장 구입비 지원 등 정부 주도로 귀농인(초보 농업인)연합회를 조직해 선배 귀농인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 일본은 2012년 4월부터 시행된 ‘신규귀농종합지원사업’을 통해 45세 이하의 청년층에게 준비기간(2년)과 독립기간(5년)의 총 7년에 걸쳐 급여 형태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도시민의 농업 부문 유입을 늘리기 위해 정부· 기관 및 민간단체에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유럽연합(EU) : 유럽연합(EU)은 2015년부터 귀농한 지 5년 이하인 40세 이하 농업인을 집중 지원할 계획으로, 1인당 연간 수령액은 회원국별로 차이는 있지만 평균 986유로를 지급할 예정이다. 영국 : 영국은 신규의 젊은 귀농인들에게 멘토링, 저금리 융자, 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대학연계교육 프로그램 및 보조금지급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최윤지(2013),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귀농귀촌정책의 현황과 과제 김부성(2013), “귀농귀촌 유치와 활성화 방안”, 강원농수산포럼 자료집 오수호(2013), 귀농·귀촌 가구의 이주·정착 특성과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이수행, 이상훈(2012), 한국 농업의 새로운 트렌드 : 귀농·귀촌 황정임, 최윤지(2012), 귀농귀촌인 영농활동 및 정주지원연구, 농촌진흥청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사)지역특화자원사업화연구센터 회장) " }, { "정책용어": "남해안 선벨트", "생성배경": "본래 선벨트(Sunbelt)는 스노우벨트(Snowbelt)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미국의 첨단산업이 밀집하여 신산업지역을 형성한 남부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미국의 남부지역이 갖는 지정학적 특성과 도시성장의 상징성을 우리나라에 접목시킨 개념이 ‘남해안 선벨트’이다. 남해안 선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남해안에 연접한 35개 시·군·구(부산해안권 9구 1군, 전남해안권 4시 12군, 경남해안권 6시 3군)이다. ", "용어설명": "세계 각국은 경쟁력 있는 거대 경제집적지 육성을 위해 국경과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초광역 단위의 지역개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대국인 중국과 일본에 둘러싸인 반도국가로서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에 있어,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국토의 지경학적 잠재력을 최대한 살리는 대외지향형 국토개발 전략이 긴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정부는 세계경제 대응형 국토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초광역개발 구상을 발표하였고 그 중의 하나가 남해안 선벨트이다. 남해안 선벨트는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하는데 첫째는 미국 남부지역과 유사하게 한반도에서 가장 온화한 기후조건과 많은 청정일수를 가진 남해안 일대가 향후 인구와 신산업의 성장지역이 될 것이라는 상징적 의미이다. 다른 하나는 수도권에 대응하는 대극의 신성장축이다. 남해안 선벨트 구상은 영·호남의 남해안을 하나의 초광역개발권으로 통합하여 지역감정 해소와 국가통합, 국토균형발전 등을 도모하고 수도권 대극(對極)의 동북아 신(新) 경제·물류·휴양 허브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남해안 선벨트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남해안권발전종합계획이 마련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에 근거하여 2020년까지 부산·전남경남의 3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남해안권개발 방안과 주요사업을 발굴 제시한 ‘남해안권발전종합계획’ 이전 단계부터 현재까지 통용되고 있는 용어이다(「동·서·남해안 및 내륙권발전특별법」으로 개정). ", "해외사례": "남해안 선벨트는 미국의 선벨트뿐만 아니라 유럽의 첨단산업 중심의 중소도시 발전축인 골드바나나(yellow-banana)와 성격이 유사하다. 유럽의 선벨트(골드바나나) 출처 :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세계의 지역혁신 체계. ", "참고자료문헌": "세계의 지역혁신체계(2004),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안) 요약(2012.4), 국토해양부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2010), 부산광역시·전라남도·경상남도 이정록(2009), 남해안 선벨트의 국책화와 향후 과제, 지방행정연구소 2009년도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 지역발전위원회,지식경제부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도시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생성배경": "1994년 일본에서 지역재생 및 지역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지역 문제해결은 지역 내부의 활동부터 시작하여, ‘지역을 위하여’, ‘사람을 위해서’ 등의 문제를 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로 사업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세계 경제위기 이후 지역 재생적 측면보다는 지역산업의 새로운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사업성을 추구하는 형태의 커뮤니티비즈니스를 지향하였으나 최근 도시재생 및 도시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하나로 공동보육˙공동교육, 마을부엌사업 등과 같이 지역공동체에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도시형 커뮤니티비스니스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t ", "용어설명": "일반적으로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생활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지역이 직면한 지역사회 문제를 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 잠재자원을 활용해 비즈니스 방식을 도입하여 해결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금까지 정부나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와 달리 주민 스스로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을 위하여 비즈니스 원리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창출된 수익을 다시 지역으로 환원하는 ‘지역순환경제활동’으로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형태 등이 이에 해당된다.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사업 대상지에 따라 농어촌형, 도시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업 내용에 따라서는 관광교류 분야, 환경 분야, 복지˙보건˙의료분야, 창업취업 지원, 사회적 약자 돌봄 분야, 마을 만들기 분야, 문화˙예술˙스포츠 분야, 산업자원 연계 분야, 생활지원 분야로 구분 가능하다. 농어촌형 커뮤니티비즈니스는 마을 만들기 사업, 농특산물 판매, 관광교류 사업 등이 연계 추진되어 농어촌 일자리 및 소득창출 등을 추구한다. 반면, 도시형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원도심재생, 재래시장 활성화, 저소득층 중심으로 복지 및 의료, 교육, 문화적 수혜 범위 확대, 자원 리사이클 사업 등의 전개를 통하여 지역공동체 재생 및 경제 활성화, 공공서비스 제공 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홍선(2012), 일본 요코하마의 특별한 카페, 희망제작소 호소우치 노부타카(2007),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비즈니스 커뮤니티비즈니스 시범사업단(2010), 커뮤니티비즈니스 시범사업 매뉴얼 이은애(2012),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의 평가 및 개선과제, 서울경제 조달호(2012), 서울형 사회적 기업 성과 및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주영(2013), 도시재생의 해법, 울산발전연구원 협동조합 홈페이지(http:\/\/www.coop.go.kr) 경기도(2004), 수도권 공장 신·증설 규제의 합리적 개선방안 연구 ", "작성자": "김효정 대표이사(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n" }, { "정책용어": "도농교류", "생성배경": "근대화, 도시화의 과정에서 도시와 농촌은 분열과 대립의 과정을 겪어 왔다. 공업의 발전은 농업으로부터 축적된 잉여의 이전을 토대로 했으며, 도시의 발전은 농촌으로부터의 인적·물적 자원 이동을 전제로 하였고, 공업과 도시의 발전은 농업과 농촌의 상대적인 저발전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견해는 도시와 농촌간의 관계에 대한 종속론 또는 갈등론적 시각이라 할 수 있다.\t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수립배경 출처 : 임상봉 외(2004), 14면에서 재인용. 하지만 최근 이러한 갈등론적 시각에 대한 대안으로 양자를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면서 존속하는 공생적 관계로 이해하려는 시각이 나타났다. 도시는 녹지 공간의 축소, 인구 집중,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농촌은 과소화, 경제적 활력 저하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도시와 농촌은 상대적인 면에서 각자의 장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자가 서로 교류를 하면 도농 간의 상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이 나타난 것이다. 도농교류의 종류 인적교류 물적 교류 교육·생활·문화체험 휴양·여가 활동 자매결연 1사1촌 운동 연수, 강좌 개최 고향 방문 행사 자원봉사, 일손 돕기 소식지 및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교류 귀농, 외지인 거주 제2고향 갖기 산지 직거래 인터넷 농특산물 판매 농특산품, 공예품 판매 농업위탁경영, 계약재배 휴양단지, 별장 분양 농작물, 과수, 가축 분양 땅, 주택 매매 외지인 사업 경영 및 투자 환경농업 교육 농사·수확, 농장 체험 농촌자연학습, 체험학교 바른 식생활 캠프 역사문화탐방, 전통체험 농촌생활·문화 체험 농업·지역산업 현장 견학 지역·마을축제, 행사 개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농촌관광 관광농원 주말농원 실버농장 농촌지역테마관광 민박, 펜션 운영 낚시, 등산, 야영 ·MTB, ATV ", "용어설명": "도농교류란 사람, 물품, 서비스, 정보, 문화 등 도시와 농촌 간에 이루어지는 모든 상호작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와 농촌 사이에서 인간적 신뢰를 바탕으로 네트워크나 자매결연 등을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품·정보·자본·서비스 등 양방향적, 반복적, 지속적으로 교환되고 거래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농촌관광, 그린투어리즘, 녹색관광 등 다양한 용어와 혼용되거나 비슷하게 이해되기도 하지만, 도농교류는 자연에 대한 이해와 농촌의 활성화와 같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사람의 교류에서부터 농산물·특산물과 같은 상품, 관광·휴양·체험 서비스, 정보, 문화, 자본 등의 교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므로 녹색관광이나 농촌관광보다는 더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도농교류가 강조되는 이유는 도시와 농촌의 상호교류를 통해 농촌의 공동화를 치유하고 지역 활성화를 가능케 하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러한 기대를 바탕으로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하여 농촌진흥청, 산림청, 행정자치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다양한 정부 부처에서 도농교류와 관련된 정책 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다. 도농교류센터 운영, 1사1촌 운동, 도농교류협력사업을 비롯하여 관광농원사업, 농어촌휴양단지사업, 주말농원 사업,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 등 다양한 농촌관광 육성 관련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2007년에는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 중에 있다. 이와 함께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은 물론 각 대학 및 학교 도서관을 연계하여 교수ㆍ학습ㆍ연구 활동 및 교과학습과 지식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지식정보자원 통합ㆍ제공의 상호 협력 기반 조성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한 도서관 시설ㆍ장서ㆍ전문 인력의 운영 내실화 및 관련 법ㆍ제도 정비도 추진할 계획이다. ", "해외사례": "유럽 국가 중에서 프랑스는 2차 대전 이후에 그린투어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농촌관광이 시작되어 상당히 일찍 시작된 나라에 속한다. 일반 도시민이 값이 비싼 바캉스를 대체하여 농촌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휴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독일은 1960년대 후반에 농촌관광이 시작되었는데, 농외소득 향상과 이농 억제가 주목적이었다. 영국은 1970년대에 본격화되었으며, 농촌의 자연·경관 유지 보전과 농가의 경영 다각화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일본은 1980년대에 본격화되었으며, 전 국민에게 농촌에서 즐기는 여유 있는 휴가를 보급하고 농촌지역 활성화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 "참고자료문헌": "김병률 외(2000),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시현 외(2003), 우리나라 농촌관광 발전 방향 및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임상봉 외(2004), 도농교류의 유형별 수요분석 및 교류방안에 관한 연구, 농식품부·농어촌연구원 유정규 외(2006), ‘도농교류·정주지원기구’ 설립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규천 외(2012), 일사일촌 농촌사랑 운동의 추진 실태와 발전 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작성자": "채종현 부연구위원(대구경북연구원) \n" }, { "정책용어": "기업도시", "생성배경": "기업도시는 민간 기업이 산업·연구·관광·레저 분야 등에 걸쳐 계획적·주도적으로 자족적인 도시를 개발·운영함으로써 민간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수도권의 과밀 문제를 해소하고 지방의 자립적·혁신적 발전역량을 확충하기 위한 분산정책의 하나로 기업도시와 함께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건설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 "용어설명": "기업도시는 산업입지와 경제활동을 위하여 민간 기업이 산업·연구· 관광·레저·업무 등의 주된 기능과 주거·교육·의료·문화 등의 자족적 복합기능을 고루 갖추도록 개발하는 도시를 말한다. 기업도시 유형에는 산업교역형(제조업과 교 역 위주의 기업도시), 지식기반형(연구·개발 위주의 기업도시), 관광·레저형(관광· 레저·문화 위주의 기업도시)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05년부터 전국 6곳(원주, 충주, 태안, 무주, 무안, 영암·해남) 에 시범사업의 형태로 추진 중인 기업도시 중 무주(2011.1)와 무안(2013.2)은 개 발구역이 지정 해제되고 4개 기업도시는 착공되어 본격적으로 개발·분양 중이다. 원주와 충주는 지식기반형, 태안과 영암·해남은 관광·레저형으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 "해외사례": "도요타시는, 1938년 고로모시에 도요타 자동차가 공장을 설립한 이후 1959년 지명을 도요타시로 개명하고 기업과 지자체가 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자동차 제품과 지역발전이란 눈부신 성과를 실현하였다. 인구 5만 명의 고로모시가 도요타 자동차의 입지로 35만 명의 도요타시로 발전한 사례다. 전국 기업도시 현황 출처 :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 2013.6.10. ‘민간정부, 기업도시 활성화 위해 발 벗고 나섰다’.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2), 지역발전정책의 성과와 향후과제 국토교통부(2015), 기업도시사업, 본격 개발·분양 추진 중 한국토지공사(2005), ‘세계의 혁신도시를 가다’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업도시개발특별법」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korealand.tistory.com) ", "작성자": "송우경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녹색성장(green growth)", "생성배경":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변화와 글로벌 에너지·자원고갈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었다. 특히 화석연료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고 지구온난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는 중화학, 전자산업 등 기존 주력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t ", "용어설명": "녹색성장은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성장으로서,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로 신성장동력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신(新) 국가발전 패러다임이다. 녹색성장은 핵심 주력산업의 녹색화, 저탄소형 녹색산업 육성, 가치 사슬의 녹색화 등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환경과 경제 양축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국토, 도시, 건물, 주거단지 등 우리 생활 모든 곳에서의 녹색생활 실천 및 녹색산업 소비 기반을 마련하여 삶의 질 개선 및 생활의 녹색혁명을 추진함과 동시에 국제적 기후변화 논의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국가발전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활용된다.\t 녹색성장 추진 방향 출처 : 녹색성장 추진 방향, 양수길(2010.11) ", "현재 용어의 사용": "이명박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을 목표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2010년 1월 31일 제정·시행)에 근거하여 녹색성장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목표·추진전략·중점추진 과제 등을 포함한 녹색성장 국가전략을 수립하였다. 녹색성장 3대 전략은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삶의 질 개선 및 생활의 녹색혁명, 국제기대에 부합하는 국가위상 정립’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환경과 경제 양축의 시너지 극대화,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 육성:국민소득증대 및 일자리 창출, 산업구조 녹색화 및 청정에너지 확대: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저탄소형 국토개발, 생태공간 조성확대, 녹색교통체계·대중교통 활성화, 녹색소비를 통한 녹색시장 조성\/ 국제기후변화 논의에 적극적 대응, 녹색 가교국가로서 글로벌 리더십 발휘 등 8대 과제가 추진되고 있다. 국가 녹색성장 3대 전략 출처 : 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http:\/\/www.greengrowth.go.kr) ", "해외사례": "미국의 경우, 오바마 행정부는 「경기부양법」(ARRA)을 통해 에너지 관련 산업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에너지 정책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주요정책으로 인식하고 에너지의 대외 의존도를 줄여 ‘에너지 독립’을 실현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http:\/\/www.greengrowth.go.kr) 대한민국 건국 60년 대통령 경축사(2008. 8. 15) 산업통상자원부(2009), 해외정책연구 양수길(2010), ‘녹색성장 추진방향’, 대전시 녹색성장 세미나 발표자료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 }, { "정책용어": "복합시설", "생성배경":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는 사업들의 유사중복을 방지하고 시설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서는 둘 이상의 시설을 복합화하여 건설하는 사업에 대해서 정부가 회계의 세출예산을 편성할 때 우선 반영하고 사업별로 지원규모·보조비율 등에 차등을 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39조 제2항)\n ", "용어설명": "특정 기능의 시설물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기능의 시설물로 집적하여 설계·건축·운영함으로써 시설비(건축비), 운영비 등을 절감하고 이용자 증가 등으로 시설활용도 제고(운영수익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복합시설의 종류로는 교육기반 복합시설, 문화기반 복합시설, 체육기반 복합시설 기타 교통기반 복합시설 등 여러 가지 유형을 들 수가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기획재정부에서는 지역발전특별회계(이하 “지특회계”라고 한다) 예산 편성을 위하여 지자체가 신청한 차년도 예산안에 대하여 복수의 지특회계사업간 복합시설뿐 아니라 일반회계 등 타 회계 사업과 지특사업 시설을 통합 설치하는 경우, 신규로 신청하는 지특사업이 기 추진 중이거나 완공된 시설물의 활용도를 제고하거나 기능을 다양화하기 위한 경우, 사업추진 과정에서 기본\/실시설계 통합발주사업, 부지공동이용 등으로 사업비가 절감되는 경우에 복합시설 사업으로 인정하여 우선 반영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단, 사업모델이 이미 전국적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경우, 당초 사업자체가 연계사업 등을 지원하는 사업인 경우, 주무부처의 계획·조정등에 따라 지자체간 협력·연계하는 경우, 동종(예시 : 체육관+운동장+헬스시설) 또는 유사 시설(예시 : 고추장, 된장, 육젓 등 장류 제조시설) 등의 복합시설 사업인 경우에는 예산편성상의 우대에 해당되는 시설로 인정하지 않는다. 복합시설의 예 경상남도 마산 중리초교 복합시설 \/ BTL사업(2008년 준공) ·학교+문화시설+생활체육시설\n·추진주체 : 교육청+지자체\n·총사업비 : 지자체 50억 원\n·운 영 권 : 지자체\n·소 유 권 : 지자체 20년간 서울, 금호초교 복합시설 \/ 재정사업(2001년 준공) ·학교+주차장+체육관+수영장+헬스장 등\n·추진주체 : 성동교육청+성동구청\n·총사업비 : 교육청 110억 원+구청 114억 원\n·교육청은 체육관, 수영장 등 학생 무료 이용(년 60억 원 절감), 구청은 학교부지 무상사용(1,200평, 60억 원 절감) \n 유사개념\n 지자체간 연계사업이란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효과가 미치는 사업을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자체간 협약, 계약, 약정 등에 의하여 사업비를 분담하고 단일 목적의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관련 시설 등의 허브화, 광역화가 촉진되거나 개별적으로 추진하였을 때보다 사업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을 일컫는다. 개별 지자체마다 중복 추진하지 않고 관련 지자체 주민들이 공동 이용할 수 있는 단일 시설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개별 지자체로서 수행하기 곤란한 대형 사업에 대한 공동투자의 경우, 지자체간 특화된 자원, 산업, 기능, 인프라를 상호보완 및 연계하기 위한 제반 사업의 경우에 해당하며 이 역시 예산편성상의 우선 반영과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n 임대형 민자사업 방식인 BTL(Build Transfer Lease) 방식에 의하여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학교 복합시설의 경우 학교부지에 지역주민의 수요가 많은 도서관, 체육관, 수영장 등 문화시설과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등 복지시설과 주차장을 함께 건립하여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사용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시설은 지역문화 커뮤니티센터의 기능, 주민의 문화복지시설을 교육자원으로 활용하는 평생교육시설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함으로써 부족한 도시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비용절감 효과 등이 우수하여 정부에서도 국고보조금 우대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n ", "해외사례": "일본 이치가와시의 제7중학교의 ‘학교+보육시설+문화센터+요양시설’.\n ",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2014),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이성룡 외(2011),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학교시설 복합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n ", "작성자": "이여진 지역사업평가센터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n \n" }, { "정책용어": "과학비즈니스벨트", "생성배경":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명박 정부의 대선 공약 사항이었던 ‘국제과학기업도시 벨트 조성’ 사업을 구체화한 것으로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환경을 구축하고 기초연구와 비즈니스가 융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2009년 1월 13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을 확정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1년 12월 31일 공포)과 동법 시행령(2011년 11월 1일 공포)이 제정되었다. 그리고 동법에 근거하여 2011년 12월 2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 과학비즈니스벨드는 거점지구를 대전 대전연구개발 특구에, 기능지구를 충북 청원군과 충남 천안시, 그리고 세종시에 각각 조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의 50개의 대덕연구개발특그에 25개를 배치하고 나머지는 광주, 대구, 포항, 울산에 각각 분산 배치될 예정이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과학비즈니스벨트와 유사한 사례로는 독일의 드레스덴(Dresden)과 미국의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 Research Triangle Park) 등을 들 수 있다. 독일의 드레스덴은 정부 주도로 기초과학연구소(Max Planck)를 유치한 뒤 프라운호퍼연구소 등 20여 개의 국내외 연구기관과 폭스바겐, AMD 등 다수의 다국적 기업들을 유치함으로써 5,000여 명의 과학자들이 지식기반 도시화를 주도하여 인구와 고용의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미국의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는 1965년 선도기관으로 국립환경보건연구원을 유치한 것을 계기로 120여 개의 연구기관과 170여 개의 첨단기업들이 입주함으로써 세계적인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성장하였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와 기능지구 출처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 "참고자료문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시행계획(2012),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2012년~2017년)(2011),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안)(2009),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www.isbb.go.kr)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시행령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홍보 블로그(blog.naver.com\/isbb2030) ", "작성자": "이종호(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n" }, { "정책용어": "경제자유구역", "생성배경": "경제자유구역은 외환위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세계 유수기업을 유치하여 자국을 국제비즈니스 중심지로 육성하고자 하는 노력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2002년 대통령의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육성 기본구상’ 발표 및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 마련, 2003년 경제자유구역 기획단 설치 및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이하 경자법)」(2002년 12월 제정, 2003년 7월 시행) 등을 통해 추진 중인 제도이다. 해외 투자자본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각종 인프라, 세제, 행정 인센티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경제활동에 대하여 글로벌 수준의 규제완화, 관세 및 조세 감면 등의 예외 조치를 허용해주는 경제특구이다. 이러한 경제자유구역은 산업·상업·물류·주거단지가 어우러진 복합개발 방식으로 국제비즈니스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산업용지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외국인투자지역 및 산업단지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 "용어설명": "경제자유구역은 「경자법」에 근거하여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영환경과 외국인의 생활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외국인투자를 촉진하고 나아가 국가경쟁력의 강화와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정·운영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은 지난 10년간 기획·초기개발(2002~2007년) 및 본격개발·제도개선(2008~2012년)의 과정을 거치면서 외국인투자(FDI) 실적이 증가한 결과, 2012년 24.3억 불, 2013년 11.5억 불, 2014년 18.2억 불을 유치하였으며 2014년에는 우리나라의 전체 외국인투자(189.6억 불)의 9.6%를 차지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경제자유구역 외국인투자(FDI) 유치실적 추이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내부자료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5), 보도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11), 한국경제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의 과제 산업통상자원부(2010),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산업통상자원부(2009), 경제자유구역내 국내기업 입주촉진방안 1)경제자유구역 성과평가는 2010년에 첫 도입된 이후 전년도 성과를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하는 제도로서 2014년도의 경우 종합순위에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이 1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2위를 각각 차지하였음. 2)장기간 개발지연을 방지하고 개발지연에 따른 주민 재산권 침해 관련 민원 해소를 위해 「경자법」에 새로이 도입된 ‘지정 해제의 의제(擬制)’ 제도에 따른 결과임.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복합혁신센터", "생성배경": "복합혁신센터는 국토교통부가 2018년 2월 발표한 혁신도시 시즌 2과 2018년 10월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2018-2022)을 근거로 ‘혁신도시 정주여건’ 제고를 위하여 혁신도시에 부족한 정주인프라(문화\/체육\/복지)시설과 창업지원 공간을 융\/복합하여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역주민들의 수요가 높은 수영장, 공연전시장, 문화센터 등을 융합 설치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정주여건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활SOC복합문화시설이나 복합문화센터, 복합커뮤니티센터 등과 유사하나 「혁신도시법」에 의한 혁신도시 10개를 대상으로 정주 인프라와 창업공간을 지역별 실정에 맞게 융합하여 추진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 "용어설명": "복합혁신센터는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34조(회계의 세입과 세출) ‘정주환경개선비용에 대한 지원’을 근거로 정주인프라(문화\/체육\/복지)와 스타트업\/사회적 기업 창업공간을 융합한 복합주민커뮤니티 시설이다. 도서관, 전시관, 문화센터, 전시\/공연장 등 문화시설과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주민커뮤니티시설 등을 한곳에 집약하여 주민 이용편의를 극대화하고, 기업 활동을 위한 사무공간, 회의실 등을 설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한다.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가 입주하여 센터운영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 「혁신도시법」 제47조의 3에 의거 설치\/운영되며, 혁신도시 시즌2 핵심업무와 센터운영 및 유지관리 업무 수행 국비 1,054억 원을 투입하여 2018년부터 2021년까지 3개년 사업으로 공모를 통해 전국 10개 혁신도시별 1개씩 건립\/추진하는 사업이며, 혁신도시별로 지역수요와 기존 인프라 등을 고려하여 주민편의, 창업 및 일자리 지원기능 등이 집적된 복합혁신센터 설치계획을 수립하였다. 혁신도시별 복합혁신센터 건립계획안(2018) 구분 주요 시설 부산 동삼동 혁신지구가 필요로 하는 보육·문화인프라 위주(어린이집, 문화강좌센터, 체육시설 등)로 구성 대구 교육인프라(육아교육ㆍ어린이집, 도서관, 문화센터, 대학 산학협력센터 등)에 특화하여 구성 광주전남 교육·문화시설(수영장, 육아지원시설, 문화교실, 동아리룸, 청년창업지원센터 등)을 위주로 구성 울산 운동 및 여가생활을 위한 시설(다목적체육관, 문화강좌실 등)을 위주로 구성 강원 혁신도시 테마를 살려 체육·건강시설(수영장, 건강증진지원센터, 사회적경제기업 판매ㆍ전시시설 등)위주로 구성 충북 정주여건 전반(고용·창업지원센터, 지역사회공헌센터,실내어린이놀이터 등)을 위주로 조성 전북 30~40대 맞벌이 거주자 지원시설(학습정보실, 육아나눔지원센터, 문화정보실 등)으로 구성 경북 젊은 층 위주의 유입으로 교육·문화시설(도서관, 소공연장, 청년취ㆍ창업 센터 등)위주로 구성 경남 육아 및 일자리 여건 강화를 위한 시설(실험ㆍ실습실, 전시실, 기업지원실, 보육시설 등)으로 구성 제주 보육·생활·체육시설(체육시설, 어린이집, 작은도서관, 놀이방 등) 위주로 구성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혁신도시시즌2 추진방안, 관계부처, 2018.2 국토교통부(2018.2.26.), 보도자료 국토교통부(2018.9.19.), 보도자료 국토교통부(2018.10.25.), 보도자료 국토교통부\/혁신도시발전추진단,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안)주요내용, 2018.10.25 국토교통부(2019.5.13.), 보도자료 국토교통부(2019.9.23.), 보도자료 부산혁신지구 복합혁신센터 건립기본구상, 부산연구원, 2020 ", "작성자": "김효정(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농어촌특별세", "생성배경":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타결 및 WTO체제 출범으로 농·수산물 수입개방이 현실로 닥치자, 농어민을 보호하고 농어업 및 농어촌의 위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정부는 1994년 7월 농어촌특별세를 도입하였다. 2004년 6월까지 한시적으로 농어촌 구조개선 사업에 농어촌특별세를 운영하기로 하였으나 2003년 한·칠레 FTA가 논의되는 과정에서 10년을 연장하기로 함에 따라 과세 시한은 당초보다 연장되어 2014년 6월까지가 되었다. 2014년 기획재정부는 농특세 적용기한을 또다시 10년 연장하는 내용의 세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각종 FTA가 체결되는 상황에서 농림·어업 분야의 필요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농어촌특별세를 10년 더 유지하는 내용의 ‘농어촌특별세법 일부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기 때문이다. ", "용어설명": "농어촌특별세는 농·어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농어촌의 산업기반시설 확충 및 농어촌 지역개발사업 등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확보할 목적으로 도입한 목적세이다. 농어촌특별세의 납세의무자는 소득세·법인세·관세·취득세 또는 등록세의 감면을 받는 자, 법인세과세표준 금액이 5억 원을 초과하는 법인, 특별소비세 납세의무자 중 일정한 자, 증권거래소 및 장외 중개회사에서 양도되는 주권을 대체 결제하는 회사, 취득세 또는 레저세의 납세의무자, 종합부동산세의 납세의무자 등이다. 「조세특례제한법」 등에 의한 감면세액과 특별소비세, 취득세 등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0.15~30%의 세율로 과세하는 부가세적 형태로 운영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세청(2012), 개정세법 해설 김상겸(2009), 조세체계 단순화를 위한 목적세제 개편 방안 : 교육, 농어촌 특별세, 교통에너지환경세, 산업연구, 제33권 제1호(2009년 3월) pp.21-41 김용택(1994), 농어촌특별세 운용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윤권, 윤두섭(2007), 정치적·행정적 맥락 하의 예산집행 낭비 요인 분석 : 농어촌 구조개선 사업과 농어촌특별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1권 제2호 김준영(2003), 농어촌특별세와 농업재정 김준오(1999), 농어촌특별세에 의한 농업 부문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농협 조사 월보 단국대학교 협동문화경제연구소(2000), 15조원 농어촌특별세 사업 추진상황 중간평가 박현석, 이희범(2009), 목적세 정비 등 조세체계 간소화 방안, 기획재정부 임형백, 조중구(2004), 농어촌 구조개선사업의 발전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제36권 제3호, 147-166 장원석, 김호, 허승욱, 김성철(2000), 농어촌특별세 사업의 성과와 추진방향, 농업 경영·정책연구 전국농민회총연맹 전농정책실(2003), 농특세법 개정에 대하여, 농민의 길, 통권3호, 19-25 전동흔(2007), 지방세 해설 : 지방세 가산세와 농어촌 특별세가산세의 적용범위, 지방세, 제2호 통권 100호. 73-102 한국세무학회 편집부(2012), 농어촌특별세법 한국조세연구원(2010), 재정통계 : 전화세 예산 및 징수\/인지세 예산 및 징수\/방위세 예산 및 징수\/농어촌 특별세 예산 및 징수, 한국조세연구원 재정포럼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스마트혁신지구", "생성배경": "‘스마트혁신지구’에 대한 관심은 2021년 중소벤처기업부가 낙후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개별기업이 구축하기 어려운 공동활용 스마트플랫폼 조성을 지원하고자,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사업 공모를 시작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스마트플랫폼’은 민간기업의 투자를 전제로 제조혁신 지능형 체제, 지능형 인공지능(AI) 물류, 기업 공동활용공간, 친환경 공동기반 등 현장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성되도록 하고 있다. ", "용어설명": "‘스마트혁신지구’제도는 지역별·산업별 특성에 따라 지자체가 자유롭게 계획을 마련하되, 사업 취지에 맞게 지역 내 그린 스마트화 관련 사항을 중점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 혁신지구의 주 개념은 ‘스마트 공동시설’과 ‘친환경인프라’를 중심으로 한 중앙-지방-민간의 상호연계협력형 스마트 공동활용 플랫폼에 있다. 스마트혁신지구 개념 출처 : 대전세종연구원(2021), 대덕구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방안 연구 ‘스마트 공동시설’은 IOT, AI 등을 활용한 기반시설의 디지털화 및 Post-코로나 대비 비대면화 대응을 위한 인프라 조성과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친환경 인프라’는 기후·환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친환경소재 등) 인프라 관련 시설 조성 및 시스템 구축이 주 내용으로, 태양광, 태양열 및 폐기물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 시설, 배기가스 등에 포함된 수분과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대기오염방지시설 등이 해당된다. 공동활용스마트플랫폼 예시 지원 항목 세부 지원내용 스마트 공동시설 스마트 제조 공동 플랫폼 빅데이터, AI, 로봇 등을 도입한 시험 및 테스트베드 공간, AR 기술을 도입한 시제품 시뮬레이션 공간 등 스마트 물류 공동 플랫폼 Iot, AI 기술 등을 활용한 다품종 공유형 디지털물류시스템 등 Post-코로나 공동 플랫폼 Post-코로나를 대비하여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비대면 회의시스템, 제품홍보를 위한 AR\/VR 활용 스튜디오 등 친환경(그린) 인프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시설, 환경관리를 위한 폐기물 처리 또는 미세먼지 저감시설 등 * 스마트그리드 : ICT 기술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높인 지능형 전력망시스템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2021),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사업 공모계획, 공고 제2021-290호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중소벤처기업부(2021),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사업 공모계획, 공고 제2021-290호 대전세종연구원(2021), 대덕구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방안 연구 국토교통부(2019),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 "작성자": "장효천(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로컬크리에이터",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 K-Startup: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https:\/\/www.k-startup.go.kr\/homepage\/businessManage\/businessManageFunction.do?mid=30653sid=588itemSeq=300040bizCategoryCode=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로컬크리에이터 및 메이커, 지역혁신과 창업의 문 활짝 열다! (2019.10.11.)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창업국가 조성’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4,517억원 지원 (2020.01.02.)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지역경제 이끌어 갈 로컬크리에이터 140개 과제 선정 (2020.06.04.)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2:1의 경쟁률, 지역 청년들 로컬크리에이터에 열광 (2020.04.02)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지역가치 창업가’ 250개 팀 모집 (2021.03.24.) 비로컬: [로컬의시대(2)] 어느 때보다 '로컬'의 의미가 복잡한 시대 http:\/\/belocal.kr\/View.aspx?No=660827 비로컬: [로컬의시대(4)]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로컬'을 창조한다 http:\/\/belocal.kr\/View.aspx?No=760624 비로컬: [로컬의시대(6)] 로컬크리에이터에서 로컬스타트업으로 http:\/\/belocal.kr\/View.aspx?No=832386 ", "작성자":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사업", "생성배경": "경제활동 범위의 글로벌화, 세계 각국의 지역정책 광역화 추세에 대응하여 지역정책의 중점을 ‘5+2’ 광역경제권 중심으로 전환함에 따라 광역경제권의 특성과 여건에 맞고, 새로운 성장동력화가 가능한 1~2개 ‘신성장 선도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광역경제권 사업을 신설하여 지원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지식경제부 홈페이지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 }, { "정책용어": "지역디자인센터(RDC)", "생성배경": "지역디자인센터는 지역균형 발전적인 측면에서 지역 산업디자인의 개발촉진 및 진흥을 위하여 산업디자인진흥법 제11조의2에 의해 지역 디자인 특화사업·진흥사업·기반구축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독일 지역디자인센터_Design Zentrum Nordrhein-Westfalen_www.red-dot.org 1955년 독일 에센의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는 주 정부의 지원과 지역 단체들과의 협력체계를 확보하며 지역 내 기업들에게 디자인기업 연계 및 자문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Reddot design award”가 있다. 글로벌 디자인 어워즈로 세계3대 디자인어워즈(IF(독일). IDEA(미국), REDDOT(독일)) 중 하나이다. 규모면에서 세계최대의 산업디자인 교류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독일 레드닷 디자인사이트(www.red-dot.org) 독일 레드닷 디자인박물관 일본 지역디자인센터_고베디자인센터, KIITO http:\/\/kiito.jp 1927년(구관), 1932년(신관)에 시공한 2개의 건물로 이루어진 고베의 생사검사소를 리노베이션하여 2012년 8월 ‘디자인크리에이티브센터-고베’로 새롭게 개관. 지상 4층 건물로 디자인 세미나, 강연, 전시, 이벤트를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시민을 위한 디자인, 방재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가이드를 꾸준하게 진행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치빗코베(꼬마고베)_꿈의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지진ITSUMO프로젝트_재난발생시 피해 최소화 매뉴얼 디자인 중국 지역디자인센터_광동산업디자인단지(Guangdong Industrial design City) https:\/\/gidc.cc 광동산업디자인단지(GIDC)는 광동성 포산시(佛山市)에서 건축면적 70,000평 규모, 총 21억위안(한화 3,477억) 투자하여 2009년 개관하였다. 광동지역 일대를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첨단 산업지구로 키우겠다는 의지로 디자인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여 포산시로 입주를 원하는 디자인전문기업에게 창업지원과 사무실, 1~2명이 살 수 있는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입주기업 300여개사, 디자이너 8,3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광동공업디자인성(GIDC) 디자인전문기업 사무공간과 주거공간 입주기업 디자인어워드 수상작 상설 전시장 ", "참고자료문헌": "산업디자인진흥법 제11조의2 (지역디자인센터의 설치 등) 광주디자인진흥원 (http:\/\/www.gdc.or.kr ) 부산디자인진흥원 (https:\/\/www.dcb.or.kr )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 (http:\/\/www.dgdc.or.kr ) 대전디자인진흥원 (http:\/\/www.didp.or.kr ) 강원디자인진흥원 (http:\/\/www.gidp.kr\/gidp ) 레드닷디자인어워즈 (www.red-dot.org ) 일본고베디자인센터 (http:\/\/kiito.jp ) 광동산업디자인단지 (https:\/\/gidc.cc ) ", "작성자": "이경남(대구경북디자인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사회적기업", "생성배경":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속히 증가하는 실업률과 심화된 양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고령화와 저출산문제, 전통가족구조의 해체 등으로 사회서비스 수요증가에 따른 사회서비스 부문의 고용확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 활동의 증가에 따라 새로운 해법으로 등장하게 된 제도이다. 사회서비스에 대한 공급확대를 통한 적극적 고용창출전략으로 2003년부터 사회서비스 일자리사업을 추진하였다. 사회서비스 일자리사업은 고용노동부를 비롯하여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산림청, 문화재청 등 다양한 정부부처에서 참여하고 있으며 연도별 예산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공공근로사업이나 자활사업 등 정부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안정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고용노동부를 중심으로 사회적일자리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이라는 양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유럽형 사회적기업 제도 도입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2007년 1월 3일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되었고 2007년 7월 1일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되면서 2007년 10월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사회적기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및 조직을 말한다. 사회적 목적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또는 사회서비스 제공, 지역사회발전 및 공익증진, 민주적 의사결정구조(서비스수혜자, 근로자,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 참여), 수익 및 이윤발생 시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재투자(상법상 회사, 이윤 ⅔이상)이다. 영업활동은 비영리법인단체˙조합˙상법상 회사 등 다양한 조직형태를 인정하며, 유급근로자 고용, 영업활동을 통한 수입이 노무비(인건비)의 30%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 「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7조의 규정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관을 말한다. 사회적기업육성법 제2조에 ‘취약 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과 ‘주주나 소유자를 위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우선적으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이를 위해 이윤을 사업 또는 지역공동체에 다시 투자하는 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회적 목적에 따라 사회적기업을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일자리제공형(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제공), 사회서비스제공형(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제공), 혼합형(일자리제공형+사회서비스제공형), 기타형(사회적 목적의 실현여부를 고용비율과 사회서비스 제공비율 등으로 판단하기 곤란한 사회적기업), 지역사회 공헌형(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이다. 예비사회적기업은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과 “부처형 예비사회적기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목적 실현,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창출 등 사회적기업 인증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수익구조 등 일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기관을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정하여 장차 요건을 보완하는 등 향후 사회적기업 인증이 가능한 기관이다. “부처형 예비사회적기업”은 사회적목적 실현,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창출 등 사회적기업 인증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기관으로서, 중앙부처장이 지정하여 장차 요건을 보완하는 등 사회적기업 인증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다.\t 사회적기업의 개념 출처 : 사회적기업연구원(http:\/\/www.rise.or.kr\/02\/01.php) 출처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http:\/\/www.socialenterprise.or.kr\/kosea\/info.do) 사회적기업의 역사적 흐름 출처 : 고용노동부(2011), 희망의 미래 함께 가는 길 - 쉽게 이해하는 사회적기업 가이드북. p14 사회적기업 인증과 지역형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의 요건 비교 (단위 : %) 구분 사회적기업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 법령 사회적기업육성법 조례 또는 규칙 요건 ①조직형태 ①조직형태 ②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할 것 ②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할 것 ③사회적 목적 실현(취약계층 고용˙사회서비스제공 등) ③사회적 목적 실현(취약계층 고용˙사회서비스제공 등) ④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구조 ⑤영업활동을 통한 수입(매출액이 노무비의 30% 이상) ⑥정관˙규약 등을 갖출 것 해당없음 ⑦배분 가능한 이윤의 2\/3이상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상법상 회사의 경우) ④배분 가능한 이윤의 2\/3이상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필요한 기관에 한함) 출처 : 고용노동부(2012), (예비)사회적기업재정지원사업시행지침, p.9 사회적경제 사회(공동체)의 보편적 이익과 구성원들의 민주적 의사결정, 노동중심의 수익배분, 사회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등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화폐적˙비화폐적 자원을 배분, 생산, 소비, 교환, 분배하는 조직들로 구성된 하나의 경제영역이다.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경제 조직 사회적 경제조직은 각 조직의 고유한 사회적 목적 실현을 추구하는 기업으로서, 구성원과 공공을 위한 목표, 경영의 자율성, 민주적 의사결정과정, 수익 배분에서 자본보다 사람과 노동을 중시 등의 원칙을 따른다. \n설립 목적과 근거에 따라,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조직이 있다.\n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창출과 사회서비스 확충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사회적기업 육성법)이며, 마을기업은 마을공동체에 기반하여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동적 관계망을 통해 주민들의 욕구와 지역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기업, 협동조합은 공동소유, 민주적 운영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이루려는 사람들의 자발적 결성조직(협동조합기본법 및 개별 협동조합법), 자활기업은 저소득 실업자의 경제적 자활(자립)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생산 활동을 하는 기업(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다. ", "해외사례": "유럽의 경우 사회적 경제 및 3섹터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비교적 오래 전부터 형성되어 있었던 반면 미국은 비영리조직을 통해서 발전되어 왔다. 사회적기업의 모태는 1960년대 말 이탈리아의 사회연대협동조합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1970년대에 이미 사회적기업 형태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사회적기업은 유럽과는 상이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사회적기업보다 사회적기업가라는 용어의 비중이 더 크다. 그 이유는 사회적기업의 등장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 유럽의 경우, 실업과 사회적 배제에 대한 대응으로 제3섹터의 활동변화 과정에서 사회적기업이 탄생한 반면 미국은 비영리단체의 기부나 자선기금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다. 그러나 재정적자가 누적되자 비영리단체에 대한 중단되면서 비영리단체는 재정확보 차원에서 사회적기업가의 혁신과 기업가정신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부터 비영리단체와 협력하여 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하기 위한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많은 재단에서 사회적기업가에게 자문과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2000년대에 들어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했는데, 이는 유럽의 영향도 있지만 유럽과는 달리 제3섹터 및 대안경제에 대한 시민사회의 잠재된 열망이 컸기 때문이다. 아시아권에서도 정부차원에서 사회적기업 또는 제3섹터에 적극적 관심을 보여 왔다. 이는 대부분의 국가가 1990년대 중반 경제위기 이후 평생직장과 종신고용의 허상이 무너지면서 복지제도의 개혁과정에서 취약한 공적서비스를 확충하는 수단으로 사회적기업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대부분 아시아국가에서는 유럽 및 미국의 영향으로 두 가지 접근방식이 혼재하는데 민간의 경우 유럽식 접근방법을 정부나 연구자들은 미국식 접근방법을 보이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고용노동부(2012),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시행지침 고용노동부(2015), 2015년도 사회적기업 인증 업무매뉴얼 김종범(2010), 유럽의 사회적기업 : 성과와 한계, 세계지역연구논총 28집 1호˙오내원 외(2010),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성과 평가와 지원방안 -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1\/2차 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은선(2009), 사회적기업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영국,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7권 4호 사회적기업연구원 홈페이지(http:\/\/www.rise.or.kr)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홈페에지(http:\/\/www.socialenterprise.or.kr)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11),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 사회적기업 성장단계별 지속가능성 분석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생성배경":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을 범국민적 차원으로 확대하고 농어촌 활력운동의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는 ‘함께하는 우리 농촌운동’을 전개하였다. 자조, 자립, 협력을 바탕으로 특색 있는 마을 만들기 추진 등을 통해 농촌공동체를 활성화한다는 방향 하에 색깔있는 마을을 2013년에 3,000개 육성하고, 2017년까지 5,000개로 확대·육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t ", "용어설명":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이를 특성화·사업화·산업화함으로써 마을의 경제적·사회적 활력을 높이는 것이다. 마을의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소득을 증대하는 등 경제적 활력 높이기뿐만 아니라 복지, 문화수준 향상 등 주민들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활동을 하는 모든 마을을 대상으로 삼는다. 여기서 마을의 색깔은 농업생산, 유통가공에서 도농교류, 농촌개발 및 생활여건 개선에 이르기까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형태의 마을 발전 요소를 포괄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절대적인 유형 구분은 아니지만, 농업형, 유통가공형, 도농교류형, 생활기반형, 생활만족형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 접근하기도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2013),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우리 농어촌 마을의 백만 가지 색깔을 찾아라 농림축산식품부(2011), (사례로 보는)색깔있는 마을만들기 : 기본공통교재 ·농림축산식품부(2011), (사례로 보는)색깔있는 마을만들기 : 표준공통교재 농림축산식품부(2011), 색깔있는 마을만들기 사례집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농어촌 고유의 자원을 살려 색깔있는 마을 만든다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색깔있는 마을 이끌어갈 농어촌 현장활동가 육성 농림축산식품부(2012), 색깔있는 마을만들기 : 현장포럼 운영 매뉴얼 스마일 재능뱅크 홈페이지(http:\/\/www.smilebank.kr) 윤광일(2011), 도시와 농어촌의 상생 발전을 위한 ‘스마일 농어촌운동’, 지역발전위원회, 지역과 발전 가을호 Vol.5 함께하는 우리 농어촌 운동 홈페이지(http:\/\/www.woorichon.kr) ", "작성자":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 }, { "정책용어": "시가화조정구역", "생성배경": "'시가화조정구역’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직접 또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의 요청을 받아서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을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다(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9조 제1항, 제32조 제1항). 시가화조정구역에서는 국방상 또는 공익상 사업시행이 불가피한 것으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요청에 따라 국토교통부 장관이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목적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도시·군계획사업만 시행할 수 있다. 도시·군계획사업이란 아래의 기반시설 중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된 도시·군계획시설을 설치·정비 또는 개량하는 사업을 말한다(「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6호 제11호). 도로·철도·항만·공항·주차장 등 교통시설 광장·공원·녹지 등 공간시설 유통업무설비, 수도·전기·가스공급설비, 방송·통신시설, 공동구 등 유통·공급시설 학교·운동장·공공청사·문화시설·체육시설 등 공공·문화체육시설 하천·유수지(遊水池)·방화설비 등 방재시설 화장시설·공동묘지·봉안시설 등 보건위생시설 하수도·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 다만, 시가화조정구역에서는 마을공동시설, 공익시설·공공시설, 광공업 등 주민의 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필요한 다음의 행위에 한정하여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의 허가를 받아 그 용도변경 행위를 할 수 있다(「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81조제2항제2호 및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8조 별표 24). 관계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건축된 건축물의 용도를 시가화조정구역에서의 신축이 허용되는 건축물로 변경하는 행위 공장의 업종변경(오염물질 등의 배출이나 공해의 정도가 변경전의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함) 공장·주택 등 시가화조정구역에서의 신축이 금지된 시설의 용도를 근린생활시설(수퍼마켓·일용품소매점·취사용가스판매점·일반음식점·다과점·다방·이용원·미용원·세탁소·목욕탕·사진관·목공소·의원·약국·접골시술소·안마시술소·침구시술소·조산소·동물병원·기원·당구장·장의사·탁구장 등 간이운동시설 및 간이수리점으로 한정함) 또는 종교시설로 변경하는 행위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원상회복명령 혹은 벌칙(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내 벌금)을 부과한다. ", "용어설명":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및 계획적·단계적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도는 시·도지사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도시·군관리계획에 의해 결정·고시한 구역을 말한다.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구역의 한 종류이며, 시가화조정구역에서는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농업, 임업 또는 어업용 건축물 건축 등을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도시의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위하여 도입된 시가화조정구역은 다음에 해당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① 도시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개발을 제한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지역, ② 도시의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개발을 유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 ③ 국가의 주요정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적 토지이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지역 등이다. ", "해외사례": "일본에서는 도시계획법에서 계획적인 도시개발 유도 및 무질서한 시가화 현상을 방지하고자 시가화구역과 시가화조정구역을 정하고 있다. 시가화구역은 약 10년 동안 우선적으로 도시적 개발을 실시할 구역으로서 주거, 상업, 공업 등의 용도가 지정되어 있는 반면에 시가화조정구역은 용도 지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외에서의 주거수요 급증과 지역 활성화의 필요성에 적절히 대응하고, 스프롤 문제에 대응하는 토지이용의 질서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가화조정구역 내에 지구계획을 수립하도록 법으로 정해놓고 있다. 프랑스의 우선시가화지역(ZUP), 장기정비지역(ZAD), 정비확장지역(ZAC) 등도 유사한 사례로 볼 수 있다. ", "참고자료문헌": "김제국, 중정검유(1998), 각국 시가화 억제 구역제도의 구성원리와 개발규제에 대한 비교 고찰 : 영국 그린벨트, 일본 시가화조정구역, 미국 오레곤주 농업전용 지역 그리고 한국 개발제한구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33(3). 63-78 마상열(2004), 지방도시의 시가화조정구역 내 개발실태를 바탕으로 한 도시계획법 34조8호3의 활용운용방침 및 방책에 관한 연구 : 토요하시시를 사례, Toyohashi University of Technology 박사학위논문 박재길, 이동우, 송미령, 박시현, 이규천, 성주인(2003), 도·농통합형 정주기반형성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 국토연구원 손용훈, 윤문영(2011),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의 경관인식, 한국조경학회지 39(5), 101-110 이삼수, 와다이사무, 이양재 (2010), 일본의 국토 및 토지이용계획상 토지이용의 조정 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5(3) 황한철(2004), 농촌계획 관점에서 본 국토계획법의 개선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2) 통권 23호: 51-60 Ken NAMBA, Yu SHIBATA, Masanori SAWAKI, Kunihiro NARUMI (2008), An Examination of Planning Process for Non-Agricultural Urban Quarter of the Urbanization Control Area in Hyogo Prefecture(Session03: Urban Spatial Structur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ity Planning 2008,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 MIKUNI MASAKATSU(ChibaUniv.,Fac.ofEng.)(2004), Thereal stateand problem so fthe changeinl and use in the urbanization control area. A case study in Inage-ward, Chiba-city.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Transactions of AIJ) 524호. 185-190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정책용어": "전원마을", "생성배경": "정부는 1990년대 말부터 귀농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1990년대 중반 귀농운동본부 등 민간부문 사회단체가 주도하여 도시민들의 귀농을 촉진하는 운동이 조금씩 저변을 넓혀가고 있었다. 그런데 1997년 외환위기 직후의 폭발적인 귀농 인구 증가는 정부차원의 귀농 정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지금에 이르는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정책사업의 종류는 다양하다. 이러한 사업 중 낙후된 농어촌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어촌 활력증진과 도·농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4년부터 전원마을조성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농어촌 지역에 쾌적하고 다양한 형태의 주거공간을 조성하여 도시민의 농어촌유입을 촉진함으로써 농어촌 지역 활성화 도모할 목적으로 조성되는 마을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역특성을 살린 마을을 조성하여 여유롭고 쾌적한 삶의 공간을 제공하고, 도시민의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농촌지역을 활성화하며, 지역 주민간 공동체 형성을 강화하여 마을의 지속적인 유지·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전원마을조성사업은 현재 포괄보조금사업 중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신규마을 조성 및 재개발에 포함되어 추진되고 있다. 사업내용은 농촌인구 유지 및 지역 활성화 도모를 위해 새로운 마을의 조성 및 기존 마을의 재개발을 지원하고자 택지조성 및 주택건축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도로, 상·하수도 등 마을기반시설 설치 및 단지조성, 부지정리, 주택건축 및 분양·임대, 마을 커뮤니티 형성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인근마을에 대한 기반시설 설치 지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시행자는 시장·군수, 한국농어촌공사, 마을정비조합 등 농어촌정비법 제 56조 해당자이며, 지원대상지역은 수도권(서울·경기)과 광역시를 제외한 농촌의 면지역(성장촉진지역은 읍 포함)이다. 보조금 지원대상은 마을정비구역지정 이후 소요되는 세부설계비, 마을기반 조성 및 공동이용시설 사업비,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마을회관 설치 및 마을운영·관리 프로그램 개발이다. 마을의 규모(주택신축 기준)에 따라 사업비 범위 안에서 차등지원(국고 70%, 지방비 30%)하고 있다. 사업추진 방식은 입주자 주도형(동호회, 지방이전기업 등 입주예정자가 사업부지를 확보하여 제안한 주택건축 등 계획을 시장·군수가 마을조성계획에 반영, 추진하는 방식)과 공공기관 주도형(시·군 또는 한국농어촌공사가 사업부지 확보 및 마을 조성계획을 수립하여 입주자 모집 등 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 "해외사례": "시니어계층 유입을 위한 일본의 정책 현황을 살펴보면, 일본 내에서는 단카이세대의 대량 퇴직을 배경으로 지방회귀의 움직임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도시에서 지방으로의 이주·정주를 위한 다각적인 측면에서 정책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원 정책은 1) 총무성 교류 거주 사업, 2) 지방자치단체별 추진 사업, 3) 지역활성화 센터 내 이주·교류 추진기구를 통한 교류 사업 등 3가지 분야로 나뉘어 살펴볼 수 있다. 관련용어 및 개념 전원생활 국어사전에 의하면 전원생활이라 함은 “도시를 떠나 전원에서 한가하게 지내는 생활”이라 정의되어 있다. 전원이라 함은 도시 근교와 농어촌(읍·면)지역으로서 자연환경이 좋은 곳이며, 위치상으로 도시에서 떨어진 시골이나 교외를 뜻한다. 전원생활은 도시근교 및 농어촌의 자연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적인 안정감을 추구하는 삶이다. 전원주택 전원주택은 아직 법적 혹은 건축적 용어로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넓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도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도시계획구역 외 지역에 도시의 주거환경에서 벗어난 2~3시간 소요 거리에 위치한 곳으로서 가족이나 친지들과 함께 전, 답, 야산 등을 배경으로 농촌, 어촌이나 산촌 등에 있는 전원적 또는 목가적 분위기의 주택이다. 상시주거 또는 주말이나 휴가기간에 이용할 정기주거 목적으로 건축한 단독, 연립, 빌라와 같은 주택이다. 기본적으로 전원에 있는 주택, 혹은 전원생활을 위한 주택으로 도시 주택과는 개념적, 지역적으로 정반대의 의미를 가지며, 전원이라는 공간적인 입지의 친자연적 이미지를 내포한 인본주의의 주거유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원주택단지 전원주택단지(전원주거단지)라는 용어는 아직 학술적으로나 제도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보편적인 의미로는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지 않은 지역에서 전원적인 주거환경 향유를 목적으로 개발된 일단의 주택지역’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의 과밀하고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벗어나 자연환경 속에서 거주할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주택단지로서 기존의 전원주택이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개별적으로 입지해서 발생했던 주거의 방범과 안정성, 기반시설미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택이 군집을 이루어 개발되는 형태의 전원주택지’이다. ", "참고자료문헌": "김승희(2009), 시니어계층의 이주 및 정주지원을 위한 일본의 정책사례, 강원발전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2011), 전원마을조성사업 지침 농림부, 한국농촌공사(2006), 전원마을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박현철(2011), 전원마을조성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농어촌공사(2010), 전원마을조성사업 추진 매뉴얼 최연정 외(2002), 대안주거로서의 전원주택 추구 현상,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2호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 \n" }, { "정책용어": "주민학습조직", "생성배경": "2000년대 들어 도심의 쇠퇴현상, 주민재정착 및 정체성 없는 지역재개발, 소득격차의 심화 등으로 인한 지역사회의 붕괴 및 지역사회 발전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행정이 감당하기에는 능력의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1990년대 이후 꾸준히 로컬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민들은 지역발전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자본으로서 문화가 강조되는 시대에 주민들의 자기 지역에 대한 정체성, 이해, 관심 및 책무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물리적 변화보다 주민들에 대한 교육이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보다 본질적 요소로 등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주민참여의 전제조건으로서 주민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주민학습의 선행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지역발전의 요소가 되어 가고 있다. ", "용어설명":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은 기업교육에서 나온 용어로, 기업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키워내고, 조직 구성원들의 새롭고 창의적인 사고 양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함께 학습하는 훈련 조직이다. 개인학습과 팀학습, 조직학습으로 조직 내외적으로 정보를 발굴하여 조직의 전 구성원이 공유함은 물론 일상적 업무활동에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재창출하여 이를 조직 전체에 전파 보급함으로써 성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지역사회에 적용한 것이 주민학습조직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최병두(2003),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공동체운동, 한국도시연구소, 「도시공동체론」, 57-80, 한울아카데미 최승범(2007), 미래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위한 한국형 지방거버넌스 모형구축, 2007년도 한국정책평가분석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최승범(2008), Community 재생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주민학습 체계의 미래방향,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한국교육개발원(2003), 평생학습: 지식강국으로의 첫걸음 홍숙희(2001),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 \n" }, { "정책용어": "지역발전투자협약 제도", "생성배경": "대형 국책 사업의 입지 선정을 둘러싼 지역 간의 과도한 경쟁과 갈등, 국론 분열,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등이 자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는 국책 사업의 투자재원 부담과 사업의 성패 등에서 중앙정부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는 추진 방식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진단되었다. 따라서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지역개발 사업이라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책임과 역할을 공유하여 추진하는 것이 지방자치단체 간의 국책 사업 유치를 위한 무한경쟁을 방지하고 사업 추진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가 힘을 얻게 되었다. 이에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가 도입되기에 이른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이나 지방자치단체 상호 간에 지역발전을 위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사업내용 및 투자 분담 등이 포함된 지역발전투자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제20조 제1항)”고 규정하고 있다. 더불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발전투자협약에 따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매년 필요한 예산 편성 등 협약 이행을 위한 조치를 해야 한다(제20조 제2항)”고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및 「농어촌정비법」에서도 협약에 의한 지역개발사업 추진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에서는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시행자와 지역종합개발사업 시행에 관한 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제38조7)”고 규정하고 있으며, 「농어촌정비법」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농어촌 정비에 관한 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제125조)”고 규정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역발전투자협약이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지역개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투자 분담, 성과 관리 등에 대하여 상호협약을 체결하는 제도이다. 협약을 체결한 사업은 연차별 투자계획에 따라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반영을 의무화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적 추진과 더불어 정부 정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한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는 시ㆍ군에서 시ㆍ도지사에 의견을 제출하면 지역발전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기획재정부에서 승인하고 협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각종 법령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는 실제 활발히 집행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 "해외사례": "프랑스에서는 1984년부터 5차에 걸쳐 계획계약(Plan Contract)을 체결하여 왔으며, 국가경쟁력 및 지역발전을 위한 주요 사업들에 계획계약을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제도 도입에 따라서 야기되었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을 예방하고 지역 간 격차 해소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에도 지방간협력법(Interlocal Cooperation Act)을 통한 지방정부 상호간의 협력 및 지원 관련 협약 체결 규정이 있다.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구 건설교통부)(2001), 지역발전협약제도: 실천모형정리방안 김동주(2011), 해외의 도시권 정책사례와 시사점, 국토정책브리프 제325 박양호(2003), 프랑스의 계획계약제를 벤치마킹한 한국형 「지역발전협약제도」 필요, 국토정책브리프 제13호 박양호, 이원섭(2000), 지역개발 투자협약제도 도입방안, 국토연구원 배준구(2004), 프랑스 계획계약의 운영 메카니즘과 함의, 사회과학연구 제20집 1호, 35-77 안영훈(2007), 중앙-지방정부간 관계 재정립을 위한 계약방식도입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와 프랑스 계획계약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원섭(2005), 통합국토를 향한 지역간 공동발전 방안 연구(Ⅲ): 제도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이원섭(2011),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 실천 방안, 국토정책브리프 제319호 산업통상자원부(2004), 지역발전투자협약 해외조사, 산업자원부 균형발전정책과(편)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여성친화도시", "생성배경": "우리나라는 최근 경제 수명과 기대 수명의 증가로 노인층과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빈곤계층, 아동이나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변화하는 시대에 다양화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도시의 기존 공공시설은 본래 의미와는 다르게 학생 등의 젊은 계층만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이거나 특정계층이나 집단의 전유물이 되어버린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 친자연적 도시환경이나 공적 시설을 구축, 설계함에 있어서 사회적 약자, 특히 여성이 키워드로 등장하였다. 이는 도시의 여성들이 대개 노인과 어린이,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존재이자 이들 약자를 돌보면서 직업활동과 사회참여도 해야 하는 이중, 삼중의 역할을 떠맡고 있기 때문이다. ", "용어설명": "여성친화도시의 의미는 “그 도시가 여성만 살기 좋다”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주축이 된 가족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밑바탕에 깐 인간 친화적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시작단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여성친화도시는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여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의 수많은 공공시설(공원, 도서관, 공공용지, 보행로 등)은 그 지역과 시민 모두의 시설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배려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의 눈높이가 아니라 그에서 소외되는 사람들의 눈높이에 맞게 공공시설과 서비스가 운영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여성친화도시가 갖는 규범적 의의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따른 불편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남녀 모두가 행복한 도시가 되는 것에 있다. 이는 기존의 도시공공재(public good)와 정책(public pllicy),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 등에 대해 성별이슈가 제기됨으로써 물리적 환경을 비롯한 경제적 제약 혹은 사회·문화적 제약에 대한 사회적 약자들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찾기 시작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향후 도시가 보다 사회적 약자와 여성친화적 장소로 탈바꿈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이후 사회적 약자, 그 중에서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여성’의 입장에서의 새로운 시각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들은 현대 도시여성들의 생활 속 불편과 불안요소를 없애고 직업과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여성 친화적인 도시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여성이 살기 좋게 하는 행복 지향적인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 서울이나 경기도, 부산 등의 몇몇 대도시와 지방도시들에서는 여성친화도시의 개념을 도시계획과 재개발 분야에 도입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여성정책 및 양성평등정책과 연동하여 지역의 각종 정책에도 도입되고 있는데, 최근 여성가족부는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여성친화도시를 지정하고 있다. ", "해외사례": "여성친화도시의 개념은 유럽의 독일(뮌헨\/하노버), 영국(런던), 오스트리아(비엔나), 캐나다(몬트리올) 등지에 유사하게 도입되어 있으며, 여성친화도시의 용어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다만, 여성친화성, 양성평등도시, 도시의 성별영향분석평가 등의 용어와 관련제도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부산여성가족개발원(2009), 여성이 살기 좋은 도시 부산 만들기(Ⅰ), 연구보고서 여성가족부(2009), 여성친화도시 조성 기준 및 발전 방향, 연구용역보고서 여성가족부(2010), 여성친화도시 조성 매뉴얼 연구, 연구보고서 ", "작성자": "홍미영 선임연구위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 " }, { "정책용어": "산학협력 선도대학", "생성배경": "기존의 산학협력 사업은 대학과 산업체 및 연구소간의 관점을 달리하고 있었다. 즉, 연구관리 중심 및 활동 교원에 대한 보상과 유인도의 저조 등으로 체계적인 산학협력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 비밀유출 우려와 정부·대학 주도의 협력 추진으로 자발적 참여가 결여된 기업 그리고 유사중복 문제 및 공과대학 중심의 지원 등으로 산학협력을 대학 전반으로 확산하는 것이 미흡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육성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은 대학-기업이 공동으로 지역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과 기술개발을 통해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의 공생발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즉, 산학협력을 통해 대학교육 시스템을 개선하여 취업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지역산업 수요를 반영한 대학의 특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그동안 공과대학 중심의 산학협력을 대학 전체로 확산하고 산학협력이 교육·연구와 더불어 대학의 주류 활동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대학 체제 개편을 중점 지원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주요 지원 내용으로는 지역·산업체의 수요를 반영한 특성화 교육 및 취·창업 지원,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 체제 개편, 산학협의체 및 기술개발·협력 등 기업 지원 분야로 구분되어 있다. 지역(광역경제권) 및 산학협력 유형 등을 고려하여 5대 권역별로 기술혁신형, 현장밀착형으로 구분하여 지원하였다.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비전 및 전략 출처 : 교육부. 대학산학협력백서, 2010 유형별 수행 내용 구 분 목 표 지원 대상 예산 수행 내용 기술 혁신형 ·창의적 기술 인재 및 혁신적 연구인력 양성 ·원천·혁신 기술개발 및 기술 사업화 지원 학부+ 대학원 30~50 억 원 ·교수 임용, 승진제도 개선 ·특성화 분야 지원 ·현장실습 학점제 운영 ·캡스톤 디자인 운영 ·취·창업 교육 ·산학협의체, 산학협력가족 회사 운영 현장 밀착형 ·현장 맞춤형, 창의적 기술인력 양성 ·현장 애로 기술개발 및 기술 이전 지원 학부 중심 20~40 억 원 출처 : 교육부. 대학산학협력백서, 2010 ", "용어설명": "정부는 2011년 5월 산학협력 지원을 통한 개방형 혁신역량 제고, 청년취업 미스매치 해소, 대학의 역할 및 책임 확대 그리고 대학 구조조정 및 특성화를 추진하고자 그동안 정부가 지원해온 산학협력 관련 재정지원 사업인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력양성사업’과 ‘산학협력 중심대학 육성사업’ 그리고 ‘지역거점연구단 육성사업’을 통합 개편하여 2012년부터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육성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참여정부의 신산학협력 비전 및 추진전략 교육부(2011), 2010 대학산학협력 백서 교육부(2011),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안) 강정화(2011),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디지털 정책연구 제9권 제3호 ", "작성자": "류세선 센터장(한국금형산업진흥회) \n" }, { "정책용어": "마을기업", "생성배경": "외환위기 이후 계속된 고용없는 성장의 구조화, 재정건전화 기조 속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한 마을만들기 사업은 관주도 지원방식으로 추진되어 불요불급한 사업추진 및 서비스 과잉공급 등 초래하였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간접적으로만 지원하고 주민주도로 내실있는 경영을 통해 지역문제와 과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고, 지역실정을 제일 잘 아는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거버넌스를 통해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만든 정책이다.\n ", "용어설명": "지역에 산재한 각종 특화자원(향토·문화·자연자원 등)을 활용, 지역공동체에 기초한 비즈니스를 통해 안정적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단위 기업 혹은 지역주민 주도로 지역의 인재와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문제 해결과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 지역공동체 활성화사업을 총칭한다. 즉, 마을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각종 자원을 활용하여 안정적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단위의 기업이다. ‘마을’이란 용어는 지리적으로 타지역과 구분되는 경계를 가지면서 지역 내부에 상호이해관계나 정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곳(「지방자치법」 제3조 제3항에 따른 동(洞), 리(里) 또는 동법 제4조의2 제4항에 따른 행정동·리 및 자연마을, 마을연합(읍(邑), 면(面) 등 포함)이다. ‘주도적으로’란 용어는 마을주민 출자가 총 사업비의 10%이상이며, 출자한 주민이 참여하는 의사결정 구조를 이룰 것을 의미한다. ‘지역 각종 자원’은 지역의 특성화된 자연자원, 인적자원, 가공제품, 축제 등 유무형의 자원(’10년 향토자원 조사를 통해 발굴된 5만여개의 지역 자원 활용(www.oneclick.or.kr))이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행정안전부는 2010년부터 ‘자립형 지역공동체 육성사업’이란 명 칭으로 커뮤니티 비즈니스 육성사업을 시작하다가 2011년부터는 ‘마을기업 육성사 업’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종래의 ‘지역공동체사업’은 추 진주체를 강조한 명칭이지만 커뮤니티 비즈니스에서 지역성(지역밀착성)이 가장 큰 본질적 특성임을 감안하여 사업영역을 강조한 ‘마을기업’으로 개칭하였다. 사업유형은 지역자원 활용형 마을기업(지역특산품·자연자원 활용사업, 전통시장· 상가 활성화사업, 공공부문 위탁사업)과 친환경·녹색에너지 마을기업(쓰레기·폐기 물 처리 및 자원재활용 사업, 자연생태관광·자전거활용 등 녹색에너지 실천사업), 생활지원·복지형 마을기업(저소득 취약계층 지원사업,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으로 구 분한다. 다양한 마을기업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술기반형 강소 마을기업과 유통형 마을기업, 마을기업 다변화로 도시형 마을기업과 농촌형 마을기업을 추진하고 있다. 마을기업이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과 구분되는 점은 지역성으로, 지역주민 의 자발적 활동을 통해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는 점이다. 즉, 마 을기업은 법인으로서 최소 5인 이상이 출자하면 된다는 점에서는 ‘협동조합’과 유사 하지만, 출자자 및 고용인력 70% 이상이 해당지역 주민이어야 한다는 점과 지역자 원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사회적 기업이 취약계층에 대 한 일자리 제공, 사회서비스 지원, 사회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마을기업 은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지역사회 발전을 강조한다. 마을기업과 관련한 용어 및 개념은 사회적기업과 농어촌공동체회사, 커뮤니티 비 즈니스를 들 수 있다(사회적기업 관련용어 및 개념 참조).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의 비교 구분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사업주체 공동출자자(최소 5인 이상, 주민 70%이상) 대부분 대표자 1인 공동출자자 5인 이상 사업대상 지역주민 취약계층 일반시민 및 이익집단 사업목적 지역문제 해결, 지역사회공헌, 지역경제발전, 지역커뮤니티활성화 취약계층고용창출(자활 및 고용중심), 사회복지서비스 증진 조합원의 경제적 이익(공동수익배분중심) 주관기관 행정안전부 및 지자체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n ", "해외사례": "영국에서 시작하고 일본에서 발달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유사한 개념이다. 마을기업 사회적기업연구원(www.rise.or.kr\/03\/01.php)\n ", "참고자료문헌": "김효섭 (2012),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의 비교,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사회적기업연구원 홈페이지(www.rise.or.kr)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11),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 사회적기업 성장단계별 지속가능성 분석 행정자치부(2011, 2012, 2015), 마을기업육성사업시행지침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2013), KB daily 지식 비타민 : 마을기업에 대한 이해 및 현황 \n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n " }, { "정책용어": "마을협정(마을협약)제도", "생성배경":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지역 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지방자치제도의 정착으로 주민참여방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환경의 형성 및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갈등 사안에 대처하기 어려운 기존 법령 체계에 대한 보완으로 주민이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주도할 수 있는 구속력 있는 절차나 제도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n ", "용어설명": "협정제도는 주민과 주민간의 합의와 자율에 의해 지역의 경관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합리적 관리 및 보전을 목적으로 주민들의 주도에 의해 기획·성립되고 관리되는 제도를 말한다. 협정제도는 일정 구역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나 ‘건축법’, ‘경관법’ 등에 의한 용도지역제 및 경관계획 등의 일반적인 내용을 포괄하는 토지이용규제를 적용한다는 측면에서 지구단위계획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개인의 발의에 의해 양호한 지역 환경을 조성·보전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선진화된 개념의 제도라고 할 수 있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처음으로 주민주도형 도시계획의 대표적인 제도인 건축협정제의 도입 방안이 제시되었다. 건축협정제는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입법화를 추진했지만 용도(종교시설 등), 주민 합의율, 세입자 참여 등이 쟁점 문제로 부각되면서 건축협정 도입에 관련된 건축법 개정은 유보된 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 근거법을 가지며 기본적인 형식을 갖춘 협정은 경관협정이다. 경관협정은 2007년 경관법이 제정되면서 경관계획, 경관사업 등과 함께 경관법의 주요 내용으로 도입되었다.\n ", "해외사례": "일본의 협정제도는 크게 건축협정, 녹지협정, 마치즈쿠리협정, 경관협정으로 나눌 수 있다. 마치즈쿠리협정(마을만들기)의 경우 그 범위와 목적이 다양하여 목적에 따라 주택 및 주거환경 마치즈쿠리, 경관 마치즈쿠리, 방재 마치즈쿠리 등으로 다양하게 세분화하기도 한다. 시기별로 보면 1950년대 제정된 건축협정을 시작으로 1970년대 녹지협정과 마치즈쿠리협정이 도입되었고, 2005년 경관법 제정으로 경관협정이 도입되었다.\n ", "참고자료문헌": "성주인(2005), 농촌 경관관리 실태와 정책 방안 :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외(2009), 농어촌 경관관리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외(2011), 일본의 농어촌 토지이용제도 사례 및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병대 외(2009), 일본의 경관협정을 통한 마을 만들기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9(1), 71-81 원세용 외(2011), 주거환경관리를 위한 주민협정항목의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2) 장성화 외(2008), 민간주도형 도시디자인 관리 방안 연구 ; 주민협정제도를 중심으로, 전북발전연구원 \n ", "작성자": "채종현 부연구위원(대구경북연구원)\n " }, { "정책용어": "정보화마을", "생성배경": "정보화마을사업은 인터넷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농촌, 어촌 그리고 산촌과 같이 정보화에 소외된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과 전자상거래 등 정보콘텐츠를 구축하여 도시와 지역 간의 소득격차, 정보격차를 줄이며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 "용어설명": "정보화마을사업은 2001년부터 안전행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경쟁력 있는 선진국형 농어촌 구현에 중점을 두고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 정보콘텐츠 구축 등 관련 사업을 통하여 농어촌지역을 비롯한 정보소외지역에 정보생활화를 유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며, 지역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고양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01년 1차 25개 마을 구축을 시작으로 현재 8차에 이르는 사업까지 370개 마을을 선정하여 인터넷 회선, 마을 정보센터 구축 등 정보화 기반사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각 마을 홈페이지, 전자상거래 시스템, 도농간 자매결연 사업 등 농촌 정보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정보화마을사업은 안전행정부가 지자체의 추천을 받아 사업계획서와 현지 실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된다. 마을별 수익모델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해외사례": "블랙스버그 전자마을(Blacksburg Electronic Village, 미국의 블랙스버그 전자마을(이하 BEV, www.bev.net))은 지역 내 대학(버지니아공대)이 주도하여 지역 커뮤니티를 구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미국 최초의 전자마을이다. 블랙스버그는 인구 38,000명의 소도시이지만 주민들 대부분이 버지니아 공대와 연관된 주민이다. 정보화마을 출처 : www.invil.org BEV 버지니아공대의 기술적인 지원 하에 블랙스버그 시 당국, 지역 시민단체, 기업, 시민 등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블랙스버그의 주민활동을 도와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발전했다. 그러나 일부 서비스(추가 메일용량, 추가 커뮤니티 용량)에서는 유료화를 시행하고 있다. BEV의 사례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온라인에서 공동체 내지는 커뮤니티 구성을 위해서는 중앙 내지는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BEV도 지방대학의 연구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지만 적극적인 지방정부의 지원으로 인해 다양한 공동체의 구성과 주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BEV의 사례는 초기의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제안되었지만 시민과 지역정부, 기업, 학교가 연계되어 다양한 정책의견의 수립, 의제설정, 정책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례이다. 그리고 BEV의 사례는 인터넷을 활용한 지역 거버넌스(local E-governance)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된다. 아울러 지역의 협력과 네트워크를 구축해 시민의 삶과 질을 개선하여 사회적 자본형성과 축적까지 가능함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나파밸리(Napa Valley) 사례 광활한 포도산지를 바탕으로 와인이라는 상품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양조장(winery)별로 자사의 고유제품명을 부여하여 홍보 및 마케팅에 주력하여 인지도를 높인다.(예. DOMAIN CARNEROS, Robert Mondavi) 또한, 방문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사의 제품에 동화되도록 5개국 언어로 제작된 비디오, 와인의 생산과정 견학, 와인 종류별 특징 설명 및 제품 시음, 판매로 이어지는 마케팅 과정이 돋보이는 마을이다. ", "참고자료문헌": "이재우(2012),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 이용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정보화마을, 지역정보화 추진정도를 중심으로 박영민(2012), 정부정책의 사회자본 형성기능과 성과에 대한 영향 연구 : 정보화마을사업(Information Network Village)에 대한 실증연구 이자성, 김종숙(2011), 정보화마을의 자립운영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경상남도 정보화마을을 중심으로 지인구(2010), 우리나라 정보격차해소와 관련한 법제도 연구 : 정보화 마을을 중심으로 정수현, 구철모, 이대용(2010), 정부주도의 농촌 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 모델의 성공요인과 수익성에 대한 연구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사)지역특화자원사업화연구센터 회장) \n" }, { "정책용어": "동해안 에너지벨트",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동해안 에너지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동해안에 연접한 강원, 경북, 울산 3개 시·도의 15개 시·군·구이다. 본디 에너지벨트는 동해안 고성에서부터 울산까지 360km에 달하는 지역이 전국 어느 지역 보다 에너지 관련 산업이 많이 분포해 있고 발전 잠재력이 높기 때문에 붙여진 용어이다. 특히 동해안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원자력(고리, 울진, 경주), 석유화학(울산) 등 풍부한 에너지와 향후 LNG 인수기지(삼척), 수소연료전지·바이오매스·태양광(포항과 울산), 양성자 가속기 개발(경주), 메탄 하이드레이트(울릉도 인근 해저), 풍력발전단지(영덕) 등의 사업이 모두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여 그 특징을 살려 에너지벨트로 지칭하고 있다. 에너지산업 외에도 동해안에는 지역마다 풍부한 관광자원, 해양자원, 기간산업 등이 분포하여 관광벨트, 해양자원벨트, 에너지벨트, 기간산업벨트 등 소벨트가 형성되어 있다. 동해안의 청정해양을 중심으로 관광휴양과 그린에너지, 첨단산업이 조화된 이들을 통칭하여 블루 파워벨트라고도 한다. 생성배경 글로벌 시대 세계경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외개방형 국토구조 형성과 초광역성장지대 육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추진한 초광역개발권 구상 중의 하나이다. 동해안 지역은 대외적으로는 유라시아 진출 및 남북교류 거점지대로서의 역할과 러시아 연해주, 중국 동북 3성, 북한 동해안, 일본 서부지역을 잇는 환동해권의 중추지역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내적으로는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및 부품, 조선 등 국가기간산업의 중추지역이자 전국 발전량의 18%를 차지하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다.\t ", "현재 용어의 사용": "2007년 12월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 제정, 2008년 12월 초광역개발권 기본 방향 발표 이후 동해안권 3개 시·도(경북·울산·강원)가 공동으로 동해안 1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동해안권 발전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 "해외사례": "동해안 에너지벨트는 동해안 7번 도로를 따라 에너지산업이 분포해 있다는 점에서, 입지해 있는 산업의 성격은 다르나 미국의 보스턴 외곽 첨단산업이 집적한 루트 128, 영국의 M4 코리더 등과 유사하다. 미국 보스턴 루트 128(左)과 영국의 M4 코리더(右) 출처 : http:\/\/www.mcgrathics.com\/personal\/maps\/3maps.htm 미국 보스턴 루트 128(左)과 영국의 M4 코리더(右) (계속) 출처 : Chan, Roy et al. M4 Corridor ", "참고자료문헌": "박형서(2010), 동해안 블루벨트 개발의 비전과 추진전략, 국토 340호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2009), 지역발전위원회, 지식경제부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메가시티", "생성배경": "경제공간 단위의 세계화 및 광역화와 관련하여 메가시티(mega-city), 세계도시(global city), 글로벌 도시지역(global city-region), 메가시티 리전(Mega city region), 슈퍼리전(super region), 메가리전(mega region), 다중심도시지역(polycentric urban region) 등이 정책개념으로 등장했다. 현재 비수도권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간 광역연합을 구축하여, 수도권 일극 중심에서 벗어나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지역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으로써 메가시티가 추진되고 있다. ", "용어설명": "메가시티라는 말은 ‘매우 큰 도시(very large city)’ 라는 뜻이고 메가시티를 결정하는 유력한 기준은 도시의 인구이다. 메가시티를 판단하는 기준은 3백만, 8백만을 거쳐 1천만까지로 점점 바뀌어 왔다. UN은 The World’s Citiesin 2018 보고서를 통해 인구가 1천만 명 이상인 도시를 메가시티(megacity)라고 부르고, 전 세계적으로 메가시티의 수는 2018년 33개 정도이며, 2030년에는 43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복수 거점들간의 기능적 연계를 개념화하는 연구가 유럽에서 진행되었는데, 대표적으로 홀과 패인(Hall and Pain, 2006)의 메가시티리전으로 런던, 파리 등 세계도시뿐 아니라 네덜란드 란스타드(Randstad)와 독일 라인-루르(Rhine-Ruhr) 등의 지역까지 포괄하는 다중심성을 강조한다. 메가시티리전은 10~50개 도시들이 물리적으로는 이격되어 있지만, 기능적으로는 1개 이상의 대도시권 주변으로 연계되고 클러스터화된 공간을 의미(Hall and Pain, 2006:3)한다. 한편 1990년대 이후 중국의 주강 삼각주 및 장강 삼각주, 일본의 도쿄-오사카(Tokaido) 등이 부상하면서 아시아의 거대한 인구집중 및 광역적 성장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메가리전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예성·하혜영(2021), ‘지방자치단체 광역연합 추진현황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 제1801호 금성근·이정석(2019), ‘부울경 광역권 형성 촉진방안 - 광역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부산연구원 박경현·이윤석·허동숙·최예술·정준호·강민규(2020),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 연계 발전 방향' 국토연구원 이상대(2020), ‘수도권도 살고, 지방도 사는 메가시티 전략’,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No. 433 이정훈외(2020), ‘한반도 메가리전 발전 구상: 경기만 남북 초광역 도시경제권 비전과 전략’, 경기연구원 ", "작성자": "김봉원(지역사회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이노카페", "생성배경": "참여정부에서는 지방의 내생적 발전을 통해 지방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자립형 지방화’를 지역정책의 핵심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기존의 지역산업육성정책과 더불어 ‘산업형 지역혁신체제 시범사업(안)’에 따라 지역혁신특성화(RIS)사업을 착수하였다.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제2차 국정과제 회의 시 ‘교류와 미팅의 장’을 통한 혁신확산 필요성이 대두 (2003년 6월 대구 구상)되면서 이를 위해 기존 지역혁신특성화(RIS)사업에 이노카페·네트워크허브운영 사업(Inno-CafeHub)을 반영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이후 2007년 산업자원부에서는 지역혁신특성화(RIS) 사업 개편을 통해 이노카페· 네트워크허브운영 사업(Inno-CafeHub)을 기존의 지역혁신특성화(RIS)에서 분리하여 2009년까지 신규 이노카페를 선정·지원하였다. ", "용어설명": "지역 안의 산업계, 학계 및 연구 분야 전문가들의 비공식적 의견교환 장소를 말한다. 민간 차원의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혁신적 아이디어 창출과 자발적 혁신 분위기 조성을 도모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오피니언 리더의 적극적인 역할로 기업 중심의 상호이해 증진을 도모하고, 다양한 교류와 만남의 장을 형성하여 비공개적이고 심도 있는 암묵지(tacit knowledge)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노카페는 한때 산업통상자원부가 수행기관을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비정형화된 여러 형태의 카페 모델을 발굴한 바 있다. 포항 테크노파크 이노카페·컨택센터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1), 지역산업지원사업안내서 ", "작성자": "류재선(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現 쿠보텍 대표이사) \n" }, { "정책용어": "지역공동체\/공동체복원", "생성배경": "고용없는 성장이 고착화되고 취업여건이 악화되어 일자리 창출이 매우 부진하며, 도시화의 진전과 무분별한 난개발로 도시의 공동체 터전이 공동체가 사라지고 있고, 농어촌 지역도 급속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공동체의 해체가 가속화되어 생활의 기초단위인 마을조차 유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배경이 되어 지역공동체 복원과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발전을 촉진하려는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공동체 주도의 지역발전이라는 새로운 대안적 접근이 모색되고 있다. ", "용어설명": "일정한 지역을 주요 기반으로 하며, 지역주민과 생활전반에 걸쳐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고, 공동의 목표와 가치라는 정서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사회적 조직단위이다. 다의적 개념으로 지리적 영역(지역적 변수), 사회적 상호작용(사회적 변수), 공동유대감(문화적, 심리적 변수)이라는 세 가지 기본 개념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지역이나 장소를 함께 공유하면서 지속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유대감, 소속감을 가지고 공동의 목적과 가치를 같이하는 집단으로 정의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지역공동체 관련사업의 유형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마을 단위 지역개발사업의 일환으로써 1970년대 이후부터 행정자치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농산어촌 지역을 대상으로 한 소도읍개발사업,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지역만들기 사업 등이며, 작목반과 사업단, 영농(어)조합 등의 공동체 조직이 주체가 되어 정부와 자치단체 예산을 투입한 재정사업으로 추진한 것이 해당한다. 둘째, 풀뿌리운동형 지역공동체사업으로, 지역사회에서 주민들과 함께 시민운동의 영역에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전체의 공동체적 변화를 꾀하려는 활동이다. 자생적으로 조직화된 마을공동체 또는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빈곤층 자활, 주거복지, 환경개선, 테마형 마을만들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자조와 공조의 비영리 자원봉사적 성격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해당된다. 셋째, 기업형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활동에 기초하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사회적 경제활동을 말하며 고용노동부의 사회적기업과 안전행정부의 마을기업,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어촌공동체회사가 해당된다. 넷째, 협동조합형 지역공동체로서 상부상조의 전통적 공동체 가치에 기초하여 공동 혹은 협동활동을 수행하는 지역공동체사업이다. 전통적으로 ’60년대 이후 1차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자조합과 서민금융을 담당하는 협동조합, 소비자를 위한 생활협동조합 등이 운영되어 왔으며, 개별 특별법에 의한 협동조합의 설립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11년 12월 29일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어 다양한 분야의 협동조합이 활성화되고 있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작지만 가치 있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과제를 발굴, 국민행복 정책 공감도제고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08년 취약주민 주거지역 내 「동네마당 조성사업」을 시작, ’10년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4년부터는 시설조성사업과 병행하여 공동체활성화 프로그램 조성사업을 추가하였다. ", "해외사례": "일본의 지역공동체는 활동단체에 의한 NPO법과 TMO(Town Management Organization) 설립에 대한 중심시가지활성화법에 의하여 시민기업가형, 7인 유지형, 지역공동체형, 실업자형으로 구분된다. 이탈리아와 영국, 핀란드 등 유럽의 지역공동체 사업은 환경형(자동차 렌트, 자전거 재활용 등을 통한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및 연계시스템의 강화)과 마을만들기형(지역식품의 유통망 확보를 통한 판매량 증가로 지역식품산업의 발전과 신선한 식품의 제공)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윤소영(2009), 공동체 활동 관련 사례분석 및 지원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최승범(2008), Community 재생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주민학습 체계의 미래방향,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염돈민(2010), 지역공동체사업(CB) 및 사회적기업 육성전략,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브리프 제81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2), 주민주도형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KRILA Newsletter 제37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3), 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 정립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행정자치부(2015), 희망마을만들기 및 지역공동체활성화 사업공모지침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 \n" }, { "정책용어": "지역브랜드", "생성배경": "서구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공공부문이 가지고 있는 딱딱한 이미지와 경직된 조직을 타파해야 한다는 의식과 함께 기업가적 정부(Entrepreneurial Government)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도 기존의 행정에 그치지 않고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경영의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수출ㆍ투자ㆍ관광 등의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국가나 지역의 이미지를 개선하여 원산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졌다. ", "용어설명": "지역브랜드는 지역 그 자체의 브랜드와 지역의 특징을 살린 상품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브랜드의 가치를 함께 높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실현하는 활동으로 지역브랜드의 개념은 아래 그림과 같다. 지역브랜드 출처 : 저자 작성 ", "현재 용어의 사용": "1991년부터 지방화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각 시ㆍ도에서는 지역홍보를 위한 노력들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지역특산품 브랜드 구축, 홍보 광고, 관광개발, 지역축제 운영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홍보 및 발전을 꾀하고 있다. 또한, 참여정부 시대부터는 국가균형발전을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전국이 고루 잘 사는 균형사회의 건설’이라는 비전 아래 혁신주도형 지역발전을 추진함에 따라 지역브랜드는 지역 PR(Public Relations) 및 마케팅의 일환으로 다양하게 추진되게 되었다. ", "해외사례": "뉴욕, I♥NY 1966년 파업으로 뉴욕시 경제가 취약해진 상황에서 John Lindsay 시장이 착안하여 Herald Tribune지의 한 기자는 ‘funny city’라는 표현을 만들어 냈다. 시장은 이 표현을 이용하여, 뉴욕시가 극장과 박물관이 풍부하고 문화적인 많은 일들이 생기는 도시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캠페인으로 연결하였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뉴욕시 브랜딩 시도 중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1970년대 재정위기의 막바지에 전개되었다. 당시 시내에서 범죄는 창궐하였고, 금고는 비었다. 기업과 종업원들은 도시를 떠났다. 공포가 도시를 엄습하였고 관광은 쇠퇴일로에 있었다. 도시는 과거의 영화와 위용을 잃어버렸다. 1975년 뉴욕 주는 이러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광고회사와 연계하여, 시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I Love New York(I♥NY)’의 초안을 탄생시켰다. 1976년 뉴욕 출신의 유명 그래픽 디자이너 Milton Glaser가 현재의 ‘I♥NY’ 로고를 완성하였다. 그 이후 ‘I♥NY’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가장 성공적인 브랜드 캠페인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이 캠페인은 다양한 기념품에 연계되어 오늘날까지 활용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한광식 외(2012), 농업 4.0 시대의 지역브랜드 성공전략, 백산출판사 이소영(2012),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지역브랜드 육성 전략, 지역발전위원회 한충민(2012), 지역브랜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역발전위원회 박준수(2011), 행정프로세스 관점에서 본 지역브랜드 활성화 방안 - 광주, 전남 지자체 브랜드 관리실태를 중심으로 신순철 외(2010), 지역브랜드가 살아야 지자체가 산다, 디지털북스 한국지역진흥재단(2010), 대한민국 지역브랜드, 한국지역진흥재단 염명배(2010), 지역브랜드 가치와 지방재정 : 7대 도시를 중심으로 강형기(2010), 지역브랜드의 개발과 경영 김미희, 박덕병, 노경희, 손은호(2010),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브랜드 개발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 }, { "정책용어": "선도 프로젝트", "생성배경": "2000년대 말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전세계적인 금융 불안이 수출과 내수의 감소, 민간투자 위축 등으로 이어지는 등 실물경기 침체가 우려되던 상황에서 교통물류 SOC에 대한 과감하고 체계적인 투자가 필요함에 따라 부각되었다. ", "용어설명": "선도 프로젝트란 이명박 정부가 ‘5+2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에 필수적인 성장거점과 광역 기반시설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사회간접시설(SOC) 중심의 개발계획으로, 총 30대 선도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선도 프로젝트 선정은 신규 사업을 중심으로 하지만, 기존 사업도 사업 내용 보완을 통하여 광역발전을 선도할 수 있다면 참여할 수 있다. 주요 선도 프로젝트에는 수도권의 제2외곽순환도로 건설과 도시철도 확충, 충청권의 자족형 세종시 건설과 고속도로 신설, 호남권의 새만금 조기개발, 광주외곽순환도로 건설, 서남해안 다도해 개발이 포함된다. 또한 강원권의 동서고속도로 건설과 원주-강릉 철도 건설, 대경권의 고속도로 건설과 대구외곽순환도로 건설, 동남권의 신공항 건설과 부산외곽순환도로 구축, 제주권의 서귀포 크루즈항과 영어교육 도시 조성 지원이 포함된다. 선도 프로젝트 출처 :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채, 부록, 해외의 지역발전정책 동향, 지역발전위원회(2009). ", "현재 용어의 사용": "2008년 제2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선정된 30대 선도 프로젝트는 수도권(3건), 충청권(5건), 호남권(5건), 동남권(5건), 대경권(5건), 강원권(4건), 제주권(3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도 3조 5천억 원의 국가재정이 투입된 이후 매년 4~6조 원의 국가재정이 투입되었으며 2013년까지 추진된다. 이와 같은 30대 선도 프로젝트의 추진에 따라 8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되고 약 100조 원에 달하는 생산유발 효과 등 막대한 경기부양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일본 등과 치열한 동북아 허브경쟁 등 교통물류 분야의 경쟁력이 곧 글로벌 국가경쟁력으로 직결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세계최고 수준의 SOC 확충이라는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해외사례": "항만 분야 선도 프로젝트와 관련된 해외사례로는 시드니 다링하버, UAE 팜아일랜드,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런던 도크랜드 등이 있다. 또한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과 관련한 사례로는 두바이 국제공항자유무역지역, 싱가포르의 센토사섬, 홍콩의 오션월드 등이 있다.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국토해양부 정책 QA ‘30대 선도프로젝트 선정’(2008.9.10), 재정부뉴스,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제자유도시(http:\/\/freecity.jeju.go.kr)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 }, { "정책용어": "지역산업발전 로드맵", "생성배경": "참여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2조), 「산업발전법」(제8조),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제3조, 제3조의2) 및 동법시행령 (제7조의3)에 근거하여 2002년부터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은 수도권을 제외한 13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지역산업·경제 여건에 적합한 전략산업을 선정하여 집중 지원함으로써 지역혁신역량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었다. 정부는 2008년부터 시작되는 2단계 사업 추진을 위해 1단계 사업의 성과 등을 발전적으로 검토하고 2단계 사업의 방향을 구상하였는데 그 핵심이 되는 것이 지역산업발전 로드맵(RIRM:Regional Industrial Road Map)이다. ", "용어설명": "RIRM(Regional Industrial Road Map)은 지역별 전략산업의 중장기 발전비전, 단계별 추진목표 및 세부 전략 등을 구체화한 실행계획이다. 산업연구원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지역전략산업기획단(現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등이 중심이 되어 수립하였다. 지역별 산업발전 로드맵의 주요 내용은 권역 내 산업클러스터 및 전후방 연관구조 분석, 권역별 전략산업 및 특화 분야 선정, 산업발전 비전과 발전 시나리오 그리고 특화분야별 부문 로드맵 수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스스로 지역 내 전략산업의 투자 우선순위 조정, 전략산업별 중점 추진산업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내용으로 지역전략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중앙정부는 지역별 전략산업의 여건 및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영수, 김선배(2007), 지역산업정책 10 년의 성과와 과제-지역산업진흥사업을 중심으로 박종화(2009), 지역산업정책 형성과정에서의 경로 의존성 : 대구권 산업발전로드맵 수립과정의 경험, 국토연구 제61권, pp.235~254 김영철, 김진찬(2011), 대구경북 전략산업에 대한 고찰, 경영경제 제41집 제1호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 }, { "정책용어": "BK(두뇌한국)21 플러스", "생성배경": "BK21 플러스는 대학원생에 대한 안정적 재정지원으로 대학의 연구기반 강화 및 우수한 학문후속세대 양성에 기여한 ‘BK21사업(1단계: 1999~2005, 2단계: 2006~2012)’과, 해외학자 국내 유치를 통한 국내 대학의 교육·연구 풍토 혁신과 해외 인지도 상승에 기여한 ‘WCU사업(2008~2012)’의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여 통합 도출된 후속사업 개념이다.\n ", "용어설명": "BK21 플러스사업은 21세기 창조경제를 주도할 석박사급 최고급 창의인재를 양성하고, 대학 교육·연구의 창의적 분위기 제고 및 독창적인 성과 창출의 허브로서 대학의 역할 강화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BK21 플러스 사업의 기본방향은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석박사급 창의인재 양성과 연구중심대학 기반강화 및 지역대학원의 교육·연구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7년간(2013년~2019년까지) 580개 사업단을 선정, 총 3조 3143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사업유형은 첫째, 융합분야 중심 대학원 국제협력강화 등을 통한 연구경쟁력 강화 유도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인재양성형, 둘째, 특화분야 고급 실용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특화전문인재양성형, 셋째, 학문 전분야 최우수 대학원 육성 및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지원을 목표로 하는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으로 구분된다.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출처 : BK21 플러스 사업 홈페이지(bkplus.nrf.re.kr) 분야별 지원방향 및 중점 지원분야 유형 지원방향 중점 지원분야 글로벌 인재양성형 미래 국가발전 핵심분야의 대학 교육 연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 창조경제 육성을 위한 융합형 RD 분야 등 특화 전문인재양성형 새롭게 부각되는 고부가가치 특화분야 및 국가전략분야 등의 고급 실무형 전문인력 양성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전분야로 하되, 산업·공업디자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문화콘텐츠, 관광, 정보보안, 특수장비 등 특화된 분야를 중심으로 한 대학원 우선 지원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형 학문분야별 창의적 미래 핵심인재 양성 사업단과 사업팀은 각각 분리하여 선발 출처 : BK21 플러스 사업 홈페이지(bkplus.nrf.re.kr)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창조경제를 이끌 핵심분야의 고급 전문인력이 연간 1만 8,500명(과학기술분야 1만 5,700명, 인문사회분야 2,800명) 이상 육성할 예정이며, 특히 기존 BK21 및 WCU사업에 비해 지방대학에 대한 지원 비중을 크게 확대함으로써 지역산업을 이끌 첨단 기술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실적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도 함께 강조함으로써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대학원 체제 구축을 완성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밀착형 석박사급 인재도 꾸준히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교육부(2013), BK21 플러스 기본계획 김성수(2013), 한국 대학원지원정책의 진화과정 분석; BK21 및 WCU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7(2) BK21 플러스 사업 홈페이지(bkplus.nrf.re.kr) \n ", "작성자": "이희정 교수(한양대학교)\n " }, { "정책용어": "산학협력단", "생성배경": "성공적인 산학협력은 새로운 기업 창출과 고용 확대를 넘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대학의 입장에서는 귀중한 연구자금이 조달될 수 있고, 대학 연구성과가 상업적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학생의 성공적인 취업이 촉진될 수 있다. 한편, 기업의 입장에서는 제품과 공정혁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해결 방안을 획득할 수 있으며, 미래의 시장 창출을 도울 수 있는 획기적인 원천기술을 창안할 수 있다. 무엇보다 우수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회가 된다. 즉, 산학협력은 지역경제와 국가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기술혁신의 원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기인하여 1990년대 중반부터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일부 대학에서 산학관련 사업들을 추진하였으며, 2003년 개정된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본격적으로 국내 대학에 산학협력단이 설치되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스웨덴 정부는 소위 주요 대학 도시에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지원과 신생기업에 대한 자금투자, 특허지원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기술가교망(Technology Transfer)’과 대학 내에 기업체와의 계약연구와 연구결과물의 상업적 활용을 촉진하는 ‘우수연구센터(RD Center)’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덴마크는 실제 관련 기업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박사과정 프로그램’ 및 기업과 대학의 협력과제 지원을 통해 기업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지원하는 HTF(The Danish National Advanced Technology Foundation)를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도 같은 지역과 같은 분야에 있는 기업, 교육기관 및 연구소를 하나로 묶어 시너지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쟁거점(Pole de competitivite), 공공연구 활동과 다른 사회경제 주체, 특히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Carnot 연구회(Instituts Carnot)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김환식, 나승일 (2001), 대학중심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부(2011), 2010 대학산학협력 백서 교육부(2011), 대학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단 역량강화 방안(안) ", "작성자": "류세선 대표이사(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現 쿠보텍) \n" }, { "정책용어": "지역산업기술 로드맵", "생성배경": "2005년 정부는 지역의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 기술 확보 차원에서 ‘지역산업기술 로드맵(RTRM)’을 작성토록 하였다. ‘제1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 수립 시(2004년 8월) 16개 시·도별로 각각 4대 전략산업을 선정하였는데, RTRM에는 주로 이들 전략산업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세부실천 방안을 포함한다. 당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을 중심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13개 지자체와 함께 지역산업기술 로드맵의 대상기간, 세부기술 분야 등에서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작성하였다. 지역산업기술 로드맵(RTRM)의 역할 연구개발(RD) 기획 및 과제 발굴·선정 지침서 역할 지역전략산업의 중장기 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이정표 역할 미래 수요를 파악하여 요구 제품을 도출하고 타깃 핵심기술을 도출 도출된 기술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인 기술관련 의사결정 자료 제공 신규 시장 창출, 기술우위 등 효율적인 제품화 전략을 위한 나침반 역할 출처 : KEIT, 4+9개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지역산업기술지도 발표회, 2006,08,31. ", "용어설명": "RTRM(Regional Technology Road Map)은 국가 RD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략기술·부품소재·지역산업·중기혁신·에너지 등 대형 RD 사업을 통합·연계하는 투자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각 사업별 프로그램 간 유사과제의 중복 지원이 우려되는 비효율적 자원배분 구조를 개선하고 전략을 강화할 목적으로 수립된 지역산업 기술지도이다. 16개 시·도별로 선정된 총 64개 전략산업 중 비RD 분야인 관광·문화 등을 제외한 59개 핵심 산업기술에 대해 작성되었다. 또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과제지원 및 발굴, 지역전략산업의 중장기 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이정표 제시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인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되었다. 지역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 및 시나리오에 적합한 단계별 기술 수요를 조사하고 이에 부합하는 연구·기술개발 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지역의 혁신역량에 대한 상세하고 풍부한 DB를 구축하여, 지역산업의 기술지도(RTRM)를 작성하도록 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윤윤규, 이재호(2004), 지역산업육성과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13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6), 지역산업기술로드맵 (RTRM)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 지역산업발전계획 가이드라인 산업통상자원부(2014), 보도자료(14개 시·도 지역산업발전계획(안) 확정)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 }, { "정책용어": "U턴기업(reshoring)지원제도", "생성배경": "과거 선진국에 위치한 기업들은 인건비 상승 등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한 중국·인도 등 개도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했는데, 여기서 오프쇼링(off-shoring)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이후 신흥시장국의 임금 상승으로 이전된 곳에서도 비용문제에 직면하자, 다시 생산기지를 본국으로 이전하는 리쇼링(reshoring)이 활발해지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극심한 경기침체와 실업사태에 직면하고 있는 각국 정부는 국내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대적인 U턴기업(reshoring)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현재 자국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대적인 리쇼링 캠페인을 펼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으로 복귀한 기업에 각종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 "용어설명": "생산비용 등을 이유로 해외에 나간 자국 기업이 다시 국내로 돌아오는 현상으로, 기업의 생산기지 해외이전을 뜻하는 오프쇼링(off-shoring)의 반대 개념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자리창출을 위한 핵심 국정과제로 제시했으며, 한국 정부는 「해외진출 국내복귀기업(U턴기업) 지원제도」라는 이름으로 추진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도 2012년 3월 U턴 기업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5월에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U턴기업지원센터」를 설치하여 리쇼링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2013년 6월에는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U턴기업법)」을 제정함으로써 U턴기업 지원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U턴기업으로 선정되면, 청산컨설팅 지원, 산업단지 및 경제자유구역 우선 입주, 국내 입지·설비투자 보조금, 고용보조금, 해외인력에 대한 비자지원, 자금융자, 신용보증, 수출보증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해외사례": "미국은 한국보다 늦게 유턴지원정책을 마련했으나 애플, 포드, GM, GE 등이 대거 동참하고 있으며, 미국정부의 유턴정책 입안과정과 반대급부(유인)에 대한 대응은 향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대만의 유턴정책은 대중국 경제의존 탈피라는 정치적 동기가 강하고, 대만과 중국의 FTA인 ECFA를 활용한다는 측면도 있다. 특히 대만의 ECFA 활용성과 관련된 부분은 한국에도 시사점을 준다. 한국의 유턴정책이 한·EU\/한·미 FTA 체결이라는 수출환경의 변화로 촉진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10년 전부터 생산혁신을 통해 이를 준비해 왔으며, 한 예로 NECPC의 중국으로부터의 일본 내 생산거점 이전이다. 이를 위한 생산혁신에 있어 작업자의 소인수, 제품의 다품종, 납기의 단기간 등이 리쇼링 실현의 절대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박문각(2013), 시사상식사전 이언경(2013), 미국의 리쇼링 (Reshoring) 추진 동향 분석, 해양수산 vol.3 no.2 (2013 년 여름호) pp.132-149 임민경, 여지나(2013),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유턴 유형화 및 유턴정책 개선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 }, { "정책용어": "관광두레", "생성배경": "관광두레 사업은 기존의 하드웨어 조성 위주의 관광개발에서 탈피해 정부 또는 지자체가 이미 조성한 공공시설(자원)을 활용하고 주민 주도로 지역의 관광자원을 연계해 관광사업화 함으로써 지역 내 수익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관광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기획하였다.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숙박, 식음, 여행알선, 운송, 오락과 휴양 등의 관광사업을 경영하는 관광사업체를 성공 창업하고 자립 발전하도록 지원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기본계획 수립, 예산 지원 등을 담당하며,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총괄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한국관광공사는 홍보, 마케팅을 중점적으로 수행한다. 시·군·구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사업이 이루어지며, 2013년 8월 경기 양평, 강원 양구, 충북 제천, 전북 부안, 경북 청송 등 5개 시·군을 시작으로 매년 신규 사업대상지를 선정한다. ", "용어설명": "관광두레는 ‘관광’과 ‘두레’를 조합해서 명명한 정책사업 명칭이다. 관광은 비즈니스를 의미하고 두레는 주민공동체를 상징한다. 요컨대 관광두레란 주민 스스로 자기 지역의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서로 연계해 먹거리, 기념품, 숙박, 체험 등 관광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관광사업 공동체다. 과거 농촌사회의 공동 노동 조직과 같이 주민공동체가 협력하여 관광객을 맞이하고, 지역주민에게 관광의 혜택이 돌아가도록 한다. 시군구 단위의 관광두레 사업은 관광두레 프로듀서(PD)라고 불리는 지역 활동가를 중심으로 3개년에 거쳐 현장밀착형으로 추진되며, PD를 중심으로 주민공동체의 발굴, 사업계획 수립, 멘토링과 교육훈련 등 주민맞춤형 지원, 경영 경험과 역량 강화를 위한 파일럿 사업, 지역 내·외부의 네트워크 구축 등 안정 성장과 자립 경영을 위한 전 과정을 지원하고 육성한다. 2013년 5개 지역을 시작으로 2014년 20개 지역, 2015년 11개 지역, 2016년 8개 지역을 신규 선정하였으며, 매년 말 평가를 통해 사업 계속 추진 지역과 당해 년 완료 지역이 결정된다. 2017년 2월 말 기준 37개 지자체 154개의 주민사업체가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소득과 일자리 창출 등 정량적 성과뿐 아니라 ‘우리 지역 관광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해 보자’는 자발성과 인식 전환이 나타나는 등 정성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민공동체 주도의 관광사업체 성공 창업과 자립 경영이 관광두레 사업의 정의이자, 동시에 목표이다 관광두레 개념도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관광두레 주민이 만드는 창업 생생스토리」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관광두레 성과지표 개발 및 관리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관광두레 주민이 만드는 창업 생생스토리 관광두레 블로그(blog.naver.com\/tourdure) ", "작성자": "박주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n" }, { "정책용어":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생성배경": "2000년대 초반 이후 정부RD 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국가RD 사업이 강화되면서 RD투자 증대가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투명한 범부처 RD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NTIS 구축계획 마련(2004년), 총괄주관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선정(2005년), ISP(정보전략계획) 및 ITA(정보기술아키텍처) 수립(2005~2006년) 등을 거쳐 2007년부터 부처별(기관별)로 산발적으로 관리되고 있던 국가RD 정보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1단계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시작하였다. 2010년에는 1단계 정보시스템 구축사업(2007~2009년)이 완료됨에 따라 국가과학기술 지식인프라로의 도약 필요성 등 정책적 수요를 반영하여 2단계(2010~ 2012년) NTIS 고도화계획을 추진하였고, 3단계(2013~2015년)에서는 정보 공동활용 극대화를 위한 NTIS 창조·공유계획을 추진하였고, 4단계(2016~2020년)부터는 공급자 위주의 정보제공 방식에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NTIS로 개편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차세대계획을 추진 중 이다. ", "용어설명":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NTIS : National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는 연구개발의 기획에서 활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과학기술기본법」 제26조, 동법 시행령 제40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제25조 등에 근거하여 국가RD를 수행하고 있는 관련 부처·청(16개 대표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 국가가 진행하는 RD 관련 정보(330개 표준정보)를 한 곳에서 실시간으로 서비스하는 국가RD 정보지식포털을 말한다1).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발전단계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現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부자료(2015)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미래창조과학부(2015), 이용자 중심의 NTIS 서비스 추진계획(내부자료)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13), 2012 과학기술연감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발전정보협력컨퍼런스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2013.5.24), 창조·공유의 NTIS 3.0 시대 개막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2013.12.5) 2013년 NTIS 성과보고회 개최 미래창조과학부(2013), NTIS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검증 매뉴얼 미래창조과학부(2016), NTIS 4.0 발전계획 1) 일본(e-RD), 미국(NSF), EU(CORDIS) 등 선진국에서도 분야별로 과학기술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과제, 인력, 성과, 연구시설·장비 등 종합적인 정보가 서로 연계되어 있는 포털시스템은 NTIS가 세계 최초이다. 2) 국가RD 현황에 대한 다양한 조사·분석 결과와 각 부처의 참여제한, RD공고 및 관련규정 등을 수집하여 제공하며, 과제기획 시 선행과제와의 유사성을 연구자가 직접 검토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3) 사업관리, 인력, 성과, 연구시설·장비 등 국가RD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지표를 제공한다. 4) RD 지식 교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집단에서 생성된 전문지식이 필요할 때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환경의 지식공유 서비스로서 RD 백과사전, 지식 QA 뿐만 아니라, 장비 사이버 멘토링,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KISTI의 과학향기, 사이언스올 사전 등 협력 콘텐츠를 제공한다. 5)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를 기준으로 기술 간의 연관관계 및 기술의 연도별 과제 수, 예산 정보 등을 제공한다. 6) 연구자들의 발표논문 분석을 통해 중점분야 주제와 유사성이 높은 연구자들과 그 연구자들 간의 공동 협업관계를 제공한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혁신센터",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류세선 센터장(한국금형산업진흥회)\n" }, { "정책용어": "초광역개발권사업", "생성배경": "글로벌 시대에 대응한 국가경쟁력 제고와 지역 상생을 선도하는 초광역 성장지대를 육성함과 동시에 동아시아의 장소 경쟁에 부응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대외개방형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토의 신성장축을 구상하면서 대두되었다. ", "용어설명": "초광역개발권 발전정책은 글로벌 시대를 대비하는 중장기 개방형 국토발전 전략으로서 대외적으로 동북아시대 및 통일에 대비한 미래형 국토전략이다. 대내적으로는 광역경제권간 연계·협력에 기반을 둔 지역간 상생발전 전략이다. 이를 위해 동북아 초국경적 협력 개발 기반 구축, 광역경제권간 기능 연계 및 네트워크 구축으로 신성장축 구현, 하천·산맥 등을 활용하는 국토의 녹색성장 잠재력 극대화 등을 목표로 추구하는 사업이다. 기존의 광역경제권 사업이 지역간 연계 및 협력을 토대로 권역 내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과 지역특화발전 등을 추진하는 사업이라면, 초광역개발권사업은 주로 시·도와 광역경제권을 초월하여 산업·자원·성장거점 등을 연계함으로써 국가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사업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가 국토해양부·행정안전부 등과 함께 마련한 초광역개발권은 대외개방형 4대 벨트와 내륙특화벨트로 설정한다. 동·서·남해안권과 접경지역을 대외개방형 4대 초광역개발권으로 설정하여 유라시아와 환태평양을 지향하는 정(井)자형 국토개발축을 제시하고, 4대 초광역개발권과 연계하여 내륙권의 산업·특화자원 등의 초광역적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내륙특화벨트를 지정하였다. 4+α초광역개발권은 동해안에너지·관광벨트, 서해안 신산업벨트, 남해안 선벨트, 남북 교류·접경 벨트의 4대 벨트와 내륙특화벨트를 의미한다. 초광역개발권 개념도 출처 :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 부록, 해외의 지역발전정책 동향, 지역발전위원회(2009) ", "해외사례": "미국은 초국경·초광역 지역발전정책으로 11대 거대지역(Mega-Regions) 형성에 주목하면서 2050년에 대비한 초장기적 국가경쟁력 강화전략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특히 11대 거대지역 중 오대호와 캐스캐이디어(포틀랜드, 시애틀, 벤쿠버)에서 미국과 캐나다 사이 지형·환경·인프라 등을 공유하는 거대지역이 형성되고 있다. 남부 캘리포니아의 거대지역에서는 미국과 멕시코간 초국경적 협력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초국경·초광역 지역발전정책 출처 :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 부록, 해외의 지역발전정책 동향, 지역발전위원회(2009)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국토해양부 정책 QA 이데일리 종합 NEWS 정성훈(2009), 초광역개발권의 개발방향과 성공적 추진을 위한 관리방안, 대한지리학회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 }, { "정책용어": "분권형 지방자치", "생성배경": "세계화 시대 경제개방의 대응 주체로서 지역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면서 OECD 선진국들은 국가권한의 획기적인 지방이양과 자치역량 제고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1년 지방자치를 시행하여 지난 20년 동안 부분적 성과를 달성하였지만 중앙정부의 권한이 여전히 강하여 실질적인 자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2003년 지방분권 3대 특별법의 하나로서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08년 2월 「지방분권특별법」의 전면 개정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지방분권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행정권한의 지방이양 미흡, 재정분권의 미약, 자치입법권의 범위 협소 등 분권형 지방자치를 달성하는 데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n ", "용어설명": "분권형 지방자치란 국가의 한 구성요소로서 일정한 구역을 갖추고 독립된 법인격을 가진 지방자치단체가 자치권을 갖고 지역의 정책을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책임 하에 집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추진 중인 권한의 재배분과 지방이양 수준의 행정분권만이 아니라 입법분권, 재정분권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적어도 분권형 행정체계, 분권형 입법체계, 분권형 재정체계를 갖출 경우 분권형 지방자치라고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분권형 지방자치의 추진 방식으로서, 보다 실질적인 중앙권한 지방이양, 지방소득세ㆍ소비세의 도입을 통한 지방재정의 건전성 확보, 조례제정 근거규정 일제정비ㆍ확대 및 조례 청구권자 확대 등을 통한 자치입법권의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큰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세계화ㆍ지방화의 외부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과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 "해외사례": "영국은 최근 자치입법권을 광역자치단체로 이양하는 방식으로 지방분권국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프랑스는 「지방이양일괄법」 제정을 통해 중앙권한을 포괄적ㆍ일괄적으로 지방이양 하였고 최근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지방정부의 자치재정권ㆍ자치입법권을 보장하는 등의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일본 역시 「지방분권일괄법」 제정을 통해 중앙권한을 포괄적ㆍ일괄적으로 지방이양하고 도주제 추진을 통해 지방정부의 자치고권(자치재정권ㆍ자치입법권ㆍ자치조직권ㆍ지역계획고권)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분권형 지방자치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n ", "참고자료문헌": "김민훈(2011), 영국의 지방분권과 지방재정제도 개혁 동향,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제52권 제2호 김찬동 외(2011), 지방자치 20년의 도시정책 성과와 전망 : 서울시 행정관리 분야의 지방분권수준과 관련하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조성호(2010), 한국의 지방분권국가 구축을 위한 시론적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국가법령정보센터,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 \n ", "작성자": "권영섭 선임연구위원(국토연구원)\n \n" }, { "정책용어": "지역전략산업", "생성배경": "수도권과 지방 간 불균형 심화로, 이를 해소할 필요성이 증가하였고, 외환위기 이후 지방산업이 더욱 위축된 상황에서 1999년부터 지역혁신체계 구축, 지역별 주력산업 발전, 지방과학기술 육성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전략산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지역전략산업은 지역의 비교우위와 경쟁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지역별 산업 집적도를 반영하였다. 1999년~2003년 동안 4개 지역(대구, 부산, 광주, 경남)을 대상으로 한 1단계 사업이 진행되었고 2002년~2007년에는 수도권을 제외한 기타 9개 지역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였으며, 2008년~2012년까지는 ‘5+2 광역경제권’ 선도 산업과 병행하여 차기 지역전략산업(Post 4+9)으로 추진되었으며, 2013년~2014년에는 지역전략산업과 지역특화산업을 통합˙조정한 신특화산업이 지원되었고, 2015년부터는 63개 시도주력산업과 16개 경제협력권산업 등으로 재편되었다. 지원 내용으로는 기업 지원의 기반이 되는 H\/W적 ‘인프라 구축’, RD 과제를 지원하는 ‘기술개발’,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 인력양성, 마케팅 지원과 같은 패키지 형태의 ‘기업지원 서비스’가 중점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는 인적자원이 취약한 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학과 연구기관과의 산학연협력 관계 확충을 통하여 지역혁신체계의 강화를 추구한 것이다. 이 사업을 위해 1999년부터 2012년까지 3조 7,500억 원의 국비가 투입되었으며, 사업유형별 재원비중은 건축 및 장비구축 위주인 인프라 구축 43%, 기술개발 39%, 기업지원 서비스 11%, 기타 7% 등이다. 지역산업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지역의 여건 및 특수성에 입각하여 핵심 성과목표를 지역이 자율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성과목표와 연관성이 높은 전략산업에 지역의 가용자원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사업추진 형태를 변경, 종래 중앙 주도의 하향식(Top-down)에서 지역의 기획기반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 "용어설명":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근거하여 지역 내 의견수렴 및 지역혁신협의회 심의를 거쳐 16개 광역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4대 전략산업을 자율적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지역전략산업’이라 칭하였다. 지역전략산업의 현황 출처 : 지역발전위원회(2016)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2008), 차기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Post 4+9) 추진계획 산업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산업기술재단(2008), 13개 시˙도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본 타당성조사 보고서 KIAT(2009), 2010년 지역산업진흥계획수립지침, 산업통상자원부 KIAT(2010), 2011년 지역산업진흥계획수립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16) \n ", "작성자": "최재홍 교수(경북대학교)\n " }, { "정책용어": "초광역개발권", "생성배경": "초광역개발권 전략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광역경제권 상생발전의 신성장 지대 구축이라는 비전 하에, 동북아의 초국경적 경제협력 강화, 초국경 및 초광역 인프라 구축, 신성장동력 육성 및 거점 연계 강화, 지역간 공유자원을 활용한 지역공동발전, 통일에 대비한 국토기반 조성 등 5대 추진전략을 갖추고 있다. 정부는 초광역개발권으로 4대 대외개방형 벨트와 3대 내륙특화벨트를 제시하였고 2009년 4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초광역개발권 권역 설정 근거를 마련하였다. 4대 벨트는 동·서·남해안권과 접경지역을 포함하여 설정된 권역으로 정(井)자형의 국토개발축을 나타낸다. 해안권과 접경지역에 대한 초광역개발권 종합계획(해안권은 2010년 12월, 접경권은 2011년 7월에 각각 수립)에 따르면, 남해안벨트는 동남권과 호남권, 동해안벨트는 강원권과 대경권 및 동남권, 서해안벨트는 수도권과 충청권 및 호남권, 접경지역벨트는 수도권과 강원권을 포함한다. 2011년 8월에 발표된 내륙 초광역개발권 기본구상에 따르면, 내륙벨트는 태백·설악산권-소백산권-덕유산권-지리산권을 잇는 백두대간벨트, 원주-충주-오송-세종-대덕-전주 구간을 포괄하는 내륙첨단산업벨트, 대구-광주간 연계협력벨트 등 3개 내륙특화벨트로 권역이 설정되었다. 각 벨트(권역)별 개발을 위한 기본 구상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해안에너지·관광벨트는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에너지·관광산업벨트로 조성되며, 남해안 선벨트는 동북아 경제·물류 거점과 세계적인 해양관광·휴양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수도권에 대응하는 국토 남부의 신성장지대 조성을 추진한다. 서해안 신산업벨트는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하는 지식·첨단산업의 융·복합화를 추진하며, 남북교류·접경벨트는 한반도 중심의 생태·평화벨트로 육성된다. 백두대간벨트는 한반도의 생태축인 백두대간을 초광역 생태 네트워크로 보전·관리하고, 농산촌마을 정주환경 개선과 접근 인프라 확충을 추진한다. 내륙첨단산업벨트는 과학기술·첨단산업의 거점과 내륙 문화·관광지대로 육성한다. 대구-광주연계협력벨트는 의료·광산업 등 신성장동력을 육성하고 대구, 광주의 연구개발특구간 상호 연계와 문화·학술·인적교류를 촉진하여 영·호남 대표거점으로 개발한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보도자료: ‘남-해양관광·서-국제물류·동-에너지’ 초광역 개발(2008), 국토해양부( www.mltm.go.kr) 문정호(2010), 열린공간 및 지역육성을 위한 초광역개발권, 지역과 발전, vol. 2 ‘내륙 초광역개발의 기본구상은 이렇습니다’(2011), 지역발전 정책동향, vol. 4, 지역발전위원회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2010), 지역발전위원회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방향’ 소개 웹사이트 ", "작성자": "이종호(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n" }, { "정책용어": "탄소 밸리",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탄소 밸리는 항공기,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등의 핵심소재로 대두되고 있는 탄소소재의 국산화 및 산업화를 앞당기기 위해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탄소소재 관련 교육·연구기관, 기업지원기관,기업체 등을 특정지역에 집적화하는 클러스터, 즉 집적화단지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광역경제권거점기관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탄소 밸리구축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전라북도는 동사업과 연계하여 탄소소재 관련 개발 제품의 성능 분석을 위한 테스트베드가 구축되어 있다. 즉, 전주 친환경 첨단복합단지와 완주 테크노밸리 일대를 탄소소재 중심의 테마형 집적화단지(Carbon Valley)로 조성하고 ‘탄소소재 생산 집적지’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밸리 구축사업 개념도 ", "해외사례": "미국은 1996년 미국 에너지성과 Oak Ridge 국립연구소가 주최한 ‘Carbon Product Industry Vision’ 워크숍에서 탄소소재 기술개발 전략을 논의하고 실행한 결과, 최근 일련의 계획들이 점차적으로 가시화 되고 있다. 탄소소재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일본에서도 탄소소재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1992년 ‘Carbon Alloy’라는 개념을 도입해 JSPS(일본학술진흥회), MITI(통상산업성)를 중심으로 국가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지식경제부 보도자료(2011), 꿈의 소재로 부상하는 탄소소재 산업화 시동 전라북도 보도자료(2009), 탄소밸리 구축 완성도 제고를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 문희성(2010), 소재기술혁신의 Enabler 탄소소재, LG 경제연구원 한국탄소융합기술원 홈페이지(www.kctech.re.kr) ", "작성자": "류세선(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現 쿠보텍 대표이사) \n" }, { "정책용어": "첨단의료복합단지", "생성배경": "첨단의료산업 분야에서 아시아 최고의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의료RD 허브라는 비전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든지 첨단제품 개발에 필요한 연구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글로벌 수준의 종합적 연구 공간 제공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첨단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환경친화적 녹색융합의 첨단의료복합단지라는 실천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조성지역은 대구 경북(신서)과 충북(오송)이 선정되었으며 총 조성면적은 216만㎡(신서 103만㎡, 오송 113만㎡)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핵심인프라(신약개발지원센터\/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첨단임상시험센터(병원))와 연구지원시설(실험동물센터(Bio Resource센터 포함)\/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및 편의, 벤처연구시설(원스톱행정센터\/커뮤니케이션센터\/벤처연구센터)이 건립되고 있다. 사업기간은 2009년-2038년(단지조성 2009년-2012년)이며 총 8조 6천억 원 내외(2개 지역)가 들어가는데 이 중 시설 및 운영비로 약 3조 7천억 원, RD투자로 약 4조 9천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각종 규제의 대폭적인 완화와 함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최근 정부에서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 의료 인프라로서 기능 정립, 기반기술 구축, 기술 공유체계 확립 등 국가적인 의료 RD 기반·기술의 거점 및 글로벌 RD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교과부·지경부·복지부로 분산되어 있는 행정관리 및 재정지원 체계를 복지부로 일원화했다. 2013년 확정된 첨단의료복합단지 제2차 종합계획에 따르면 정부,지자체, 민간 합동으로 2016년까지 연구개발비 등 약 1조원을 투입하고 연구인력 확대, 핵심연구지원시설의 활용도 제고, 우수연구기관의 유치 및 산학연간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글로벌 첨단의료산업의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경과 2005년 : 제1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위원장:국무총리)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 결정 ’05.10 2007년 : 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방안 확정 ’07.6 2008년 :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08.3 \/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구성(위원장:국무총리) ’08.11 2009년 : 대구 신서지구, 충북 오송지구 2곳을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선정 \/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09.8 2010년 : 단지별 조성계획 결정 \/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수립 \/ 첨단의료복합단지 착공 대구: 합성신약, IT 기반 첨단의료기기로 각각 특성화 추진 오송: 바이오신약, BT 기반 첨단의료기기로 각각 특성화 추진 2012년 : 의료연구개발지원기관, 편의시설 구역 등 단지조성 완료 2013년 : 각종 시설·장비 시험가동 및 운영 \/ 제2차 종합계획 확정 2016년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1차 입주기업 모집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모형 규제특례 의료법 외국 의료인(외국의사, 치과의사)의 단지 내 의료기관에서 의료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 허용 건강보험법 단지 내 의료기관에서 의료 연구개발을 위한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기술을 임상대상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요양급여 인정 약사법, 의료기기법 의료연구개발기관에서 연구개발한 의약품·의료기기 제조 시 제조업 허가 및 시설규정 등 미적용 연구목적 의약품·의료기기 수입 허가 및 신고 간소화 의약품·의료기기 제조·수입품목 허가 기준 등에 대한 국제규범 적용 생명윤리법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분과위원회를 설치, 별도 심의 단지 내 기관은 공동으로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활용 출입국관리법 외국인 연구자에 대한 체류기간 상한 연장(2년→5년) 특허법 단지 내 연구개발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 심사 인센티브 세제지원 세법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세 및 지방세 감면 국·공유재산 사용·매각 등 국·공유재산의 사용·수익·대부·매각 등의 수의계약 허용 사용·수익·대부기간 : 20년 범위 내(갱신가능) 매입 대금의 분할납부 허용(20년) 임대료 감면(입주지원) 토지나 건물 등의 임대료 감면 자금지원 숙소, 편의시설 등 부대시설 설치 지원 고용보조금 및 교육훈련보조금 등 지원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자금 조성 및 지원 입주의료연구개발기관에 대한 투자를 위한 투자조합 결성 지원 의료 연구개발에 대한 융자지원 휴·겸직 허용 대상 : 공무원이 아닌 국·공립연구기관의 연구원 내용 : 의료연구개발지원기관 및 입주 의료 연구개발기관의 근무를 위해 휴·겸직 허용(3년 이내) 주요 시설 및 기능 핵심인프라 신약개발지원센터 신약후보물질 평가·최적화, 산·학·연 공동연구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 설계·시제품 제작·성능평가, 산·학·연 공동연구 첨단임상시험지원센터 민간시설로서 첨단제품의 임상시험단계에서 실패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장 조기진입을 뒷받침하기 위한 글로벌 수준의 초기단계, 소규모 임상시험 인프라시설 첨단제품 임상시험 기술 등을 단지 밖 지역 임상시험센터 등에 확산·전파 해외 임상연구병원과의 협력 등을 통한 아시아 임상시험 중심기지 역할 수행 연구지원 시설 실험동물센터(Bio Resource센터 포함) 실험용 동물사육 및 관리, 연구용 세포·시료 보관 및 관리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임상시험용신약생산시설 연구기관 입주 및 편의시설 One-stop 행정서비스 및 편리한 정주환경을 제공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미국 텍사스 휴스턴 메디컬센터, 덴마크-스웨덴 메디콘밸리, 싱가포르의 바이오폴리스, 중국 푸동의료단지, 상하이 국제의학원 구역, 캐나다 밴쿠버 의료단지, 일본 고베 의료단지 등을 들 수 있다. ", "참고자료문헌": "보건복지부(2013), 2012 보건복지 백서 국가법령정보센터,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작성자": "이여진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테크노파크", "생성배경":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지역 중심의 자발적 혁신체계 구축을 위해 산·학·연을 연계하는 네트워크의 구심체로서 테크노파크를 조성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지역산업정책이란 개념이 태동하였다. 1995년 12월 기술하부구조확충 5개년 계획 수립을 계기로 공업단지 확충 중심의 산업정책과 개별기업 중심의 기술개발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지역기술혁신의 구심체로서 테크노파크 사업을 추진하였다. 1997년 4월 구)산업자원부에서 시범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자를 공모하였고 1997년 12월 송도, 경기, 충남, 광주, 대구, 경북 테크노파크 등 6개를 시범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자로 지정하였다. 1998년 9월에는 법률 제5578호로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이 제정되어 테크노파크 설립·운영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었다. ", "용어설명": "테크노파크는 기술을 의미하는 테크놀로지(technology)와 공간을 의미하는 파크(park)의 합성어로 기술 및 연구개발과 그 주체인 대학과 연구소 및 기업이 모여 활동하는 공간을 지칭하는, 계획적 개발이 내포된 개념이다. 미국의 대학연구단지협회와 영국의 국제사이언스파크협회의 정의를 종합하면, 테크노파크는 연구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대학 및 연구기관과 생산을 담당하는 기업 사이에서 고부가가치산업을 중심으로 기술 이전을 촉진하여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신상품과 신공정 개발을 지원하는 중개 기능 단지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테크노파크의 개념 및 정의를 조작적으로 정의해 보면 ‘지역의 산·학·연·관의 역량을 결집하여 관련조직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기술혁신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기업의 기술혁신과 신기술창업을 촉진함으로써 지역발전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공원이자 기술혁신 조직체’라고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1997년 6개의 시범 테크노파크 지정을 계기로 포항, 부산의 2개 민간 주도형 테크노파크가 추가로 조성되었다. 2003년, 2004년에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남, 울산 테크노파크가 추가 지정되었으며 2005년 민간 TP로 경기대진, 서울 테크노파크가 지정되었다. 2008년에는 대전, 2010년 제주를 끝으로 국내에는 현재 18개의 테크노파크가 조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대 초반까지 테크노파크는 모법인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에서 정하고 있는 창업보육 등 6대 목적사업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2000년대 초반 이후 지역산업진흥사업 추진이 본격화 되면서 ‘지역산업발전계획 수립, 사업평가관리, 인프라구축, 네트워킹’ 등 역할이 추가되었다. 테크노파크는 그동안 지역산업진흥사업 추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별 전략산업이 해당 지역의 핵심산업으로 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각 지역별 테크노파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테크노파크가 산업정책기획기능을 담당하는 ‘정책기획단’과 기업지원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지원단’ 및 해당 지역 특화산업 기반의 ‘특화센터’ 등으로 조직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 동남아시아, 중동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개발도상국에서 지역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검증된 모델로서 한국형 TP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실제로 카자흐스탄, 아랍에미레이트, 베트남에 한국형 TP 모델을 수출한 바 있다. 국내 테크노파크 현황 ", "해외사례": "해외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산업기술력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1970년대부터 테크노파크와 같은 단지를 경쟁적으로 조성하기 시작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200여 개가 운영되고 있다. 영국의 사이언스파크, 미국의 리서치파크, 프랑스의 소피아앙티폴리스, 일본의 가나가와 사이언스파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참고자료문헌": "김계수(2002), 한국테크노파크의 종합경영관리시스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권영섭, 변세일(2003), 지역별 지식기반산업 육성과 지역혁신체제 구축방안, 국토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7), 2단계 테크노파크 조성사업 프로그램 기획보고서 한국테크노파크협의회 홈페이지 ( www.technopark.kr) ", "작성자": "류세선 대표이사(한국금형산업진흥회) \n" }, { "정책용어": "문화관광 연계·협력", "생성배경": "지역 관광개발에서 연계·협력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문화관광 연계·협력으로 이어졌다. 문화관광 연계·협력은 복수의 지역에서 하나의 관광브랜드를 지향함으로써 심화되는 지역간 문화관광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또한 광역적 연계·협력은 지역별 관광기능의 차별화와 전문화를 유도하여 민간사업의 수익성과 공공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n ", "용어설명": "문화관광 연계·협력 사업은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정부는 기초생활권,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으로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을 수립하고, 기존 행정구역을 넘어서는 연계·협력 사업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지자체간 연계·협력 사업은 광역경제권간 연계·협력과 기초생활권간 연계·협력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문화관광 부문의 사업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문화관광 부문의 광역경제권 연계·협력 사업으로는 미래사회 적응을 위한 대충청권 녹색생태관광사업(충청권), BY2C 연계·협력 사업(대경권), DMZ 인접지역의 커뮤니티비즈니스형 지리공원조성 사업(강원권), 제주 유배문화의 녹색관광 자원화를 위한 스토리텔링콘텐츠 개발(제주권), 증강체험형 개별 관광 테마파크 상품 생산기반 확립(제주권) 등이 추진되었다. 기초생활권 시·군간 연계·협력 사업으로는 생태관광 금강연계 사업(공주시 등 6개 시·군), 영산강 History Tour(장성군 등 8개 시·군), 지리산권 자전거 둘레길 조성사업(장수군 등 7개 시·군), 지리산 Eco Village 조성사업(장수군 등 7개 시·군), 중부내륙 중심권 관광 상품개발 및 공동마케팅(평창군 등 6개 시·군), 지질 관광코스 및 프로그램 개발(평창군 등 4개 시·군) 등이 추진 중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문화관광 연계·협력 사업은 공동마케팅, 관광루트 및 관광상품 공동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공통의 자원을 활용하여 이해관계의 상충 없이 실질적 효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문화관광 연계·협력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공동사업 발굴과 지역사회에서의 공감대 형성이 요구된다.\n ", "해외사례": "일본도 우리와 유사한 문화관광 연계·협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관광청에서는 2010년 「관광권의 정비를 통한 관광여객 내방 및 체재 촉진에 관한 법률(光の整備による光旅客の訪及び在の促進にする法律)」을 제정하고, 관광자원 연계로 2박 3일 이상 체재가 가능한 관광권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관광권’이란 자연·역사·문화 등 연계 가능한 관광자원이 일체화된 복수의 자치단체 구역으로, 연계를 통하여 관광 매력성과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고자 설정된 개념이다. 일본 관광권 정비사업 개념 출처 : http:\/\/www.mlit.go.jp\/\n ", "참고자료문헌": "김영준(2011), 지역문화관광과 연계·협력, 지역과 발전 제5호, 지역발전위원회 한눈에 보는 기초생활권 발전계획(2010), 지역발전위원회 꿈이 있고 살고 싶은 지역창조: 기초생활권 연계협력 이야기(2009), 지역발전위원회 관광권 정비에 따른 관광객 방문 및 체류촉진에 관한 법률, 일본 관광청 \n ", "작성자": "김영준(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 연구위원)\n " }, { "정책용어": "가축분뇨 자원화", "생성배경": "전 세계적으로 가축 사육형태가 규모화됨에 따라 가축분뇨 발생량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축분뇨를 퇴비, 액비, 에너지로 이용하는 자원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가축분뇨는 오염부하량이 큰 수질오염원이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작물에 양분을 공급하고 토양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질 자원이다. 따라서 가축분뇨를 자원화함으로써 환경오염 방지, 온실가스 저감, 화학비료 대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용어설명": "가축분뇨는 오염부하량이 큰 수질오염원이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축분뇨 자원화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할 뿐 아니라 화학비료를 대체하여 농가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축분뇨 자원화 기술로는 퇴비화(Composting), 액비화(Liquefaction), 에너지화(Energy recovery) 등이 있다. 퇴비화(Composting) : 가축분뇨를 톱밥 또는 왕겨 등과 섞어 산소를 공급해주며 미생물학적 분해과정을 거쳐 유기질 퇴비를 얻는 기술 액비화(Liquefaction) : 가축분뇨가 호기성 미생물의 호흡을 통해 유기산, 암모늄, 인산염 등으로 분해되어 안정화된 액상비료를 얻는 기술 에너지화(Energy Recovery) : 바이오 가스 : 가축분뇨가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가수분해-산 생성-메탄 생성 단계를 거치며 분해되어 열량이 있는 메탄가스를 생산하는 기술 고체연료 : 가축분뇨를 고온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펠릿 형태로 성형ㆍ건조하여 열원 공급을 위한 연료로 만드는 기술 가축분뇨 자원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분뇨 종합정보시스템(www.nias.go.kr\/envi)을 참고하면 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13년 5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의 기본방향은 선 지역별 가축분뇨 적정처리에 필요한 시설 확충, 후 가동률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사후관리 집중 등이다. 이와 관련하여, 2017년까지 달성할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은 ①퇴ㆍ액비 공동자원화시설 및 에너지시설 확충을 통해 자원화율 91%, 공동자원화율 17% 목표 달성 ②고품질 퇴ㆍ액비 생산체계 구축 ③민간전문관리기구 설립 등 사후관리 체계 개선 ④제도개선, RD 확대 및 평가ㆍ포상 등 4개 과제이며, 세부 16개 과제로 되어 있다. ", "해외사례": "일본의 퇴ㆍ액비센터 기본적으로 농가에서 처리하고 남은 물량을 수거하여 자원화하고 있으며, 지역특성에 맞는 유기물자원화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가고시마현(鹿兒島縣) 미나미사쓰마시(南薩摩市) 농협 관내에는 카세다(加世田), 카와베(川?), 마쿠라자키(枕崎) 3곳의 퇴비센터가 있으며, 연간 약 1만 7,500톤의 가축분뇨를 수집하여 8,850톤 내외의 퇴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도치키현 모테기마치(茂木町)의 유기물자원화센터에서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우분, 낙엽, 왕겨 등을 이용하여 퇴비를 생산하고, 액상분뇨는 장기간 폭기(수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는 과정) 후에 목초지, 옥수수 재배지에 무료로 살포하고 있다. 독일의 윈데(Juhnde) 마을 가축분뇨, 에너지작물, 우드칩 등을 바이오매스로 활용하여 전기와 열을 생산하고, 바이오가스 생산과정에서 남은 부산물은 유기질 비료로 만들어 농가에 무료로 공급하고 있다. 착수단계에서는 마을주민, 연구기관(쾨팅엔대학 주도), 정부(에너지작물기구, 식품농림소비보호부)간의 충분한 협의과정을 거친다. 2011년 한 해 동안 4,000MWh의 전력을 생산하여 3,200MWh를 마을 자체적으로 소비하고, 나머지는 연방전력회사에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했다. 바이오매스 부산물로 만든 유기질 비료는 화학비료 사용을 25% 가량 줄이고, 제초제와 살충제 사용을 1\/3 수준으로 줄여 마을의 유기농업 토대를 마련했다. 벨기에 플라망지역 가축분뇨 과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LM(Vlaamse Landmaatschappij ; 농지공간 파트너란 의미의 벨기에 언어)이란 단체를 만들고 그 안에 가축분뇨 수급 및 컨설팅을 담당하는 분뇨은행(Manure Bank)을 두어 가축분뇨 액비로 인한 오염부하를 최소화하고 있다. 분뇨은행은 EU의 지표수 질소 농도 기준인 50mg\/L 이상 지역에서 생산되는 분뇨를 기준 이하 지역에서 액비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가축분뇨 수급과 농민들의 환경교육 업무를 담당한다. 미생물로 처리된 액비는 플라망지역의 조사료와 옥수수 밭에 환원하고 공휴일에는 액비 살포가 금지되며, 지중 살포를 통해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조승희(2012), 가축분뇨를 이용한 자원순환 활성화 방안, 리전인포 제290호 김원태(2011), 일본의 가축분뇨 자원화 우수사례 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태성(2011), 가축분뇨 자원화 이용현황과 당면과제, NHERI 리포트 제156호, 농협경제연구소 농림축산식품부(2013),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 류종원 외1명(2013), 경축순환농업을 위한 가축분뇨 자원화 웹기반 정보은행 구축 정광화 외4명(2012), 국내 가축분뇨 자원화 방법별 시설유형 및 적용기술 분석 하욱원(2012), 2012년 가축분뇨 해양투기 금지 이후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 김재호(2008), 가축분뇨 자원화에 관한 연구 환경부(2012), 가축분뇨 관리 선진화 종합대책 정민국 외4명(2011), 가축분뇨 자원화 연구 개발 투자의 경제성 평가 ", "작성자": "한광식 교수 (김포대학교) \n" }, { "정책용어":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 "생성배경": "산업단지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기업의 공간적 집적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와 지역 간 균형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개발연대에 조성된 대부분의 산업단지는 기업들의 생산 활동에 필요한 인프라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많은 문제점을 노정하게 되었다. 참여정부에서는 2004년 6월 제45회 국정과제회의를 통해 7개 시범단지(창원, 구미, 울산, 반월·시화, 광주, 원주, 군산)를 선정하고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t ", "용어설명":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단지에 업종별로 산·학·연 협의체(미니 클러스터)를 구성해 활발한 산·학·연 협력을 유도함으로써 산업단지를 혁신적 지식과 기술이 창조되고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한 사업을 말한다. 다시 말해 산·학·연간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여 산업단지를 고부가가치 산업클러스터로 변화시키는 것이 사업의 주된 목적이다.\t ", "현재 용어의 사용": "2005년 4월에 7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하였고 2007년 11월에는 성과 확산을 위해 5개의 산업단지(남동, 성서, 녹산, 대불, 오창)를 추가 지정하였다. 2009년 4월에는 사업 명을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에서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으로 변경하였다. 2010년 2월부터는 광역경제권에 맞추어 193개 산업단지(거점단지 25개, 연계단지 168개)를 사업 대상에 포함하였고 2015년 1월에는 전국 산업단지로 사업 범위를 확대하였다. 사업의 기본모형은 산·학·연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네트워킹 사업을 통해 발굴된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이를 사업화함으로써 성과를 창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미니클러스터 운영을 통해 발굴된 협업수요를 RBD 과제로 지원하는 RBD 네트워크 운영사업, 연구개발과제의 발굴·수행·관리를 지원하는 기업성장지원센터 운영사업, 프로젝트형 산·학·연 협의체를 구성·지원하는 테마클러스터사업 등이 있다. ", "해외사례": "영국의 트래포드 파크, 스페인의 포블레노우 등의 사례가 있으나 산업단지가 쇠퇴한 지역을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재개발한 것으로,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노후 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를 목적으로 하는 우리의 경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한국산업단지공단·산업자원부(2007), 한국산업클러스터 백서 지역발전위원회(2010), 2010년도 중앙부처 지역발전사업 편람 산업통상자원부(2012),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 추진계획 한국산업단지공단(2015),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RD) 사업개요 ", "작성자":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마을만들기", "생성배경": "1970년대 이후 주민운동의 형태로 간헐적으로 찾아볼 수 있으나,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요소의 본질에 적합한 활동은 정치적 민주화가 진행되고 지방자치가 부활된 1990년대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의 마을만들기 발전과정을 크게 3단계로 구분하면 첫 번째는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주민모임 전개시기(1990~1994), 두 번째는 주민주도의 주거환경개선 운동시작시기(1995~1997), 세 번째는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차원의 다양한 시도기(1998~현재)로 구분할 수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구 삼덕동, 경기 안산시 등에서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그린파킹, 동네벽화조성 등 마을만들기 형태의 여러 개별사업이 진행되었고 광주북구, 전북 진안군 등에서도 지자체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 지자체별로 마을만들기에 관련된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제도적인 틀을 갖추어 가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 중앙정부 차원에서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실행한 것을 계기로 2007년부터 마을만들기 조례를 제정하는 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농촌개발정책에 대한 반성과 새롭게 변화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새로운 농촌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사업들은 통칭 “마을만들기사업” 또는 “마을가꾸기 사업”으로 불리고 있다.\n ", "용어설명": "‘마을만들기’란 지역을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사람간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뜻한다. 협의의 마을만들기란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주체가 연대 및 협력하여 주변의 주거환경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마을의 활력과 매력을 높여 생활의 질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지속적인 활동이다. 이는 주민 스스로가 마을의 주인으로 거듭나고 주민 간에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어 주민들이 더불어서 함께 살아가는 지역공동체를 창조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한다. 광의의 마을만들기란 각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바탕으로 타 지역과의 교류와 협동에 의한 실천 운동이며 미래의 도시 및 국가성립의 기본적인 명제로 동이나 구까지 포함하는 공간적 개념과 공동체 문화 등과 같은 사회적 개념을 총칭한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우리나라에서 마을만들기 운동은 정치, 문화, 예술, 건축, 농업,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목적, 내용, 방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의 마을만들기 운동은 마을 디자인, 마을 가꾸기, 마을 만들기, 마을진흥사업, 생태마을운동, 공동체 운동, 주민자치운동 등으로 볼 수 있다.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은 약 14개 사업으로 주로 2000년을 전후로 다양한 부처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농수산식품부는 2001년도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농촌관광을 농림부의 주요 업무 영역으로 채택할 것을 명시하고 2002년도부터 녹색농촌체험 시범마을로 선정·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유사한 목적으로 2002년부터는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의 마을만들기 사업은 마을권역으로 확대되어 2004년부터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과 거점면 면소재지 개발사업 등으로 확대 추진되고 있다. 이밖에 농협에서 추진하던 마을가꾸기 경진대회를 농협과 농수산식품부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2006년부터 농촌건강장수마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행정자치부는 2001년 마을단위 지원사업인 아름마을 가꾸기 시범사업을 도입하여 추진하였으나 타 사업과의 중복성을 고려하여 현재 중단된 상태이며 2003년부터 읍을 지원대상으로 하는 소도읍육성종합계획, 또한 2006년부터 마을권역대상 지원사업인 “살기좋은 지역만들기”사업과 2007년부터 마을단위 지원사업인 “참살기좋은 지역만들기”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밖에 2002년부터 마을단위 농촌 정보격차해소와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정보화마을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밖에 산림청에서는 1994년부터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을, 환경부는 2001년부터 공모제방식으로 자연생태우수마을지정사업, 문화관광부에서는 2004년부터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사업을 추진하였다.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는 조례와 지원센터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n ", "해외사례": "일본의 마을만들기는, 1960년대 이후 주민, 전문가, 그리고 지자체에 의해 ‘마찌쯔꾸리’가 태동하면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일본은 행정 주도로 조례를 제정하고 마을만들기 정보센터를 설치하여 각종 사회서비스 및 지역네크워크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의 경우 마을만들기는, 도시 내 지역에 기반을 둔 다양한 근린 공동체와 커뮤니티 조직을 기반으로 하여 정부의 정책 파트너로서 지역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커뮤니티 운동 성격으로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 주요내용은 도시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주택도시부(HUD)에서 산하의 커뮤니티를 계획하고 개발청(CPD)을 통하여 지방정부, 주정부, 국가, 지역사회 단체들 간의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커뮤니티 스스로가 경제개발 및 재활성화 전략을 추진해갈 수 있도록 재정 및 기술 지원, 지역마다 경제발전 전문가가 있어, 정부와 긴밀히 협조할 수 있다. 시정부조직과 별도로 공동체 건설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근린공동체 담당부서와 근린공동체 사업단의 구축, 근린공동체 매칭펀드 조성 등 주민참여를 촉진시키는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커뮤니티를 거버넌스 구축의 핵심단위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독일은 지방분권과 지방자치가 역사적으로 잘 발달되어 동서독 통합 이후 사회적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지역단위 정책을 실행하고 있는데, 그 한 예가 사회도시 프로그램이다. 이는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경제의 자생력을 키우고 사회통합, 공동체의 회복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서, 1999년 시작되어 2008년 기준 523지구, 326개 커뮤니티에서 실행되었다. 사회도시 구축사업의 주요 내용은 고용, 교육 및 직업훈련, 사회자본의 확충, 다양한 집단의 공동체 생활, 공공장소 및 주거지 환경개선 등이다.\n ", "참고자료문헌": "김선직(2009), 마을만들기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지경배(2010), 마을만들기 사업의 커뮤니티 비즈니스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정재희(2012),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본 마을만들기 - 마을만들기 해외사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대한건축학회지 vol 56, n6 이주헌·최찬환(2012), 국내의 마을만들기 지원제도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제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v.14 n.1 \n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n " }, { "정책용어": "어메니티 자원", "생성배경": "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악화된 도시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개인위생, 공중보건의 청결함과 건강성 등을 추구하는 도시계획의 새로운 목표이자 원리로서 어메니티(Amenity)가 부각되었다. 20세기 들어와 도시환경의 편리성과 안전성 그리고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자 생태적 건강성은 물론 문화적 향토성까지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OECD(1997)에서는 농촌어메니티를 농촌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요소로 사회구성원들에게 휴양적, 심미적 가치를 제공하는 자원으로 주목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보고서에서 농촌의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농촌어메니티를 적극 개발하도록 명시함으로써 농촌 지역개발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 활용되고 있다. ", "용어설명": " 어메니티는 인간과 환경의 교감에서 쾌적함, 유쾌함, 매력성, 즐거움, 긍정적인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의 속성이나 인간의 심미적 상태를 지칭하는 복합 개념이다. 어메니티 자원은 그러한 어메니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자 어메니티 지향형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발굴, 창출, 활용해야 할 대상이기도 하다. 어메니티 자원에 대한 분류는 자연, 문화, 사회 자원으로 하기도 하고, 생명·안전어메니티, 자연어메니티, 역사·문화어메니티, 미적어메니티, 편리어메니티, 개성·종합어메니티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OECD에서는 어메니티의 생성 기원, 존재의 형태, 재산권의 주체 등에 따라 어메니티를 분류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 어메니티라는 용어가 유행하면서 부산(1994), 경기(1998) 등 많은 지자체에서 어메니티 플랜을 수립한 바 있으며 서천군은 군정 캐치프레이즈를 ‘어메니티 서천’으로 삼기도 하였다. 현재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전국적인 어메니티 자원 DB를 구축하고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연관 정보를 제공한다. ", "해외사례": " 영국에서는 1967년 ‘공중 어메니티법(Civic Amenities Act)’과 1974년 ‘도시·농촌 어메니티법(Town and Country Amenities Act)’을 제정함으로써 도시공간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포괄적 공간계획의 원리이자 수단으로 어메니티를 활용하였다. ", "참고자료문헌": "김세용(2008), 국토 어메니티 자원 발굴을 통해 경쟁력 있는 지역발전 모색, 국토연구원 김영주(2012),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어메니티자원 분류체계 재정립, 농촌계획, 18(1), 1-8 김은자, 이정원(2010),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 공모전을 통한 어메니티 자원활용 및 마을계획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7(4), 877-895 김현호, 오은주(2007),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발전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농촌어메니티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www.rural.rda.go.kr) 박상욱(2010), 도시재생을 위한 어메니티 활성화방안 연구 :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재철(2011), 진안군 농촌 어메니티 자원 분석을 통한 읍·면별 어메니티 증진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9(6), 12-20 손경숙(2009), 연구 및 정책대상으로서의 어메니티 어프로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61-276 오형은, 조중현(2011), 농촌체험마을의 어메니티 평가 경향 연구, 농촌사회, 21(1), 7-48 유명한(2011), 농촌지역 어메니티 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단양군 어메니티 자원을 중심으로, 정보디자인학연구, 16(0), 67-79 윤희정(2008), 도시민의 농촌어메니티자원 체험욕구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1), 28-37 이상현, 최진용, 배승종, 오윤경(2009), GIS 및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농촌 마을 관광중심성 분석 : 농촌어메니티 자원 및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5(1), 47-59 이재준, 최석환, 김선회(2010), 국토 어메니티 평가지표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8(1), 25-38 임창수(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정남수, 정호현(2010), 농촌경관자원 조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2008 농촌어메니티 100 선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6(4), 171-178 천명수(2012), 어메니티자원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 도시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추미애(2004), WTO 하의 한국 농촌발전 전략 연구 : 농촌어메니티 개발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OECD(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 "작성자": "송미령(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 { "정책용어": "뿌리산업", "생성배경": "뿌리산업은 국내 주력기간산업과 新성장동력산업의 기반임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작업환경 등을 이유로 3D(Dirty, Difficult, Dangerous) 업종으로 인식되어 젊은 층의 취업기피 대상이 되어 왔다. 정부는 이러한 뿌리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저평가 현상을 개선하고, 첨단화를 통해 뿌리산업의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2011.7), 「뿌리산업 특화단지의 지정 및 관리지침」(2014.1) 등 제도적 근거를 마련, 뿌리산업을 재조명하고 있다.\n ", "용어설명":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등을 통해 소재를 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기초 공정산업을 말한다. 주조, 금형, 용접, 소성가공 등 제품의 형상을 제조하는 공정과 열처리, 표면처리 등 소재에 특수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구분된다. 뿌리산업은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으나 최종 제품에 내재되어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오랜 전통과 기술력을 갖춘 뿌리산업군이 첨단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명품 제조업의 탄생을 견인하고 있다. 스위스의 손목시계, 쌍둥이 칼, 독일의 벤츠 등 세계적인 명품은 모두 튼튼한 뿌리산업의 토대 위에서 탄생하였다 6대 뿌리산업 주 조 금 형 용 접 소성가공 표면처리 열 처 리 정부는 뿌리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근거하여 뿌리산업 특화단지를 지정·고시하였다. 뿌리산업 특화단지는 경기 몰드밸리(금형), 경기 시흥 도금산업 클러스터(표면처리), 광주 금형 특화단지(금형), 전북 군산뿌리산업 특화단지(금형, 소성가공, 용접), 전북 완주 뿌리산업 특화단지(금형, 용접) 등 5곳이다.\n ", "해외사례": "일본은 ’90년대 ‘잃어버린 10년’을 극복하고 제조업 강국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모노쯔쿠리 국가 전략 비전을 제시하고, 「모노쯔쿠리 기반기술진흥 기본법」(’99) 및 「모노쯔쿠리 기반기술 고도화법」(’06)을 제정하여 모노쯔쿠리 기반기술에 대한 정부 Rtrms_cptn>국내 뿌리기업 분포도(’12년) 권 역 지 역 기업수(%) 산업단지 입주수(%) 수요산업 수도권 경인·중부 15,660(62.6) 4,117(26.3%) 전자·통신·자동차 동남권 부산·경남 5,033(20.1) 848(16.9%) 조선·중공업·자동차 대경권 대구·경북 877(13.7) 758(22.1%) 전자·소재·기계 호남권 광주·전라 644(3.5) 540(61.7%) 전기·전자·자동차 합계 24,997(100) 6,263(25.1%) 출처: 지식경제부(2012.12.04.), 보도자료,(주력산업과 동반성장하는 뿌리산업 생태계 구축)\n ",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2), 12년, 뿌리산업의 ACE 산업화 원년으로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년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국가법령정보센터,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n ", "작성자": "송우경 연구위원(산업연구원)\n \n" }, { "정책용어": "성별영향분석평가", "생성배경": "일반적으로 양성평등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성 형평성(gender equity)의 개념은 여성과 남성을 처우함에 있어 “여성과 남성이 처해있는 신체적 환경적 조건과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여건에 있을 때는 그 다른 여건을 고려하여 다르게 처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성 형평성은 ‘결과의 평등’을 이루기 위한 ‘조건의 평등’을 의미한다. 즉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성평등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이다. 이에 대한 해법을 찾는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성별영향분석평가’인 것이다. ", "용어설명": "성별영향분석평가란, 일반적인 공공정책과 사업에서 나타나는 성 차별적 영향을 제거하고 모든 정책과 사업이 균등한 수혜를 가져올 수 있도록 정책과 사업을 기획 및 집행을 하기 위하여 사전에 그 정책이 여성과 남성에게 가져올 결과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즉 정부정책과 사업, 법제 등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평등적 대안을 만들어가기 위한 도구(tool)이다. 성별영향분석평가는 특정 정책 또는 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여성과 남성의 삶의 현실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자원과 책임 및 권한에 있어서의 성별 불평등 현상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자원의 분배와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제도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데 활용된다. 성별영향분석평가는 정보를 체계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정책의 형성, 시행 및 평가과정에서 생산되는 각종 자료를 재구성함으로써 각 단계에서 성 관련 쟁점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검토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성별영향분석평가는 제도적으로 성별영향분석평가법(법률 제 11046호, 2012. 3. 16) 및 동법 시행령(대통령령 제 23656호, 2012. 3. 16)에 근거하고 있다. 현행법상에 성별영향분석평가 대상은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제정·개정을 추진하는 법령(법률·대통령령·총리령·부령 및 조례·규칙을 말한다), 법률에 따라 3년 이상의 주기(週期)로 수립하는 계획,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해당 기관의 주요한 정책으로서 추진하는 사업의 계획, 「지방재정법」 제41조제2항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의 단위사업 등이다. 따라서 성별영향분석평가의 대상이 되는 정책은 비단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수립·시행하는 모든 일반정책이 성별영향분석평가의 대상이 된다. 즉 제도나 정책, 사업계획에서 나타나는 성 차별적 영향을 제거하고 모든 정책이 성평등 방향으로 기획·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사전에 그 정책이 여성과 남성에게 가져올 결과를 검토, 분석하는 것을 지칭하는 데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사업은 중앙은 2004년, 지방은 2005년 시범분석을 시작해 현재는 전국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로 확대·실시되고 있으며, 주무부처는 여성가족부이다. ", "해외사례": "해외에서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과 같이 여성정책에 있어 선도적 지위에 있는 국가들과 세계은행이나 ILO와 같은 국제기구 등을 주축으로 성 주류화 전략이 추진되어 오다가 현재는 유럽을 비롯한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에서 성별분석 가이드라인이나 지침 등을 통하여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특히 캐나다 등 연방제 국가들에서는 내각에서 성평등(성별) 분석을 포함할 수 있는 지침을 세울 것을 요구하고, 중앙의 여성정책 담당기구와 인적자원개발부, 법무부 등 정부부처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 공공정책과 프로그램의 성별영향분석(gender impact analysis)을 시행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여성가족부(2013), 성별영향분석평가 지침 홍미영 외(2011), 부산지역 공원이용 만족도 성별영향평가, 부산여성가족개발원 ", "작성자": "홍미영 선임연구위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 \n" }, { "정책용어": "슬로시티", "생성배경": "슬로시티의 출발은 느리게 먹기(slow food)+느리게 살기(slow movement)운동에서 유래되었으며, 1999년 10월 ‘위협받는 달콤한 인생(la dolce vita)의 미래를 염려’한 이탈리아의 몇몇 시장들이 모인 모임(Citta lenta=Cittaslow=Slowcity)에서 시작되었다. ", "용어설명": "슬로시티란 ‘느린 도시’라는 뜻으로 ‘향토인으로 하여금 자연 속에서 살면서 마을의 고유 먹거리와 지역의 고유문화를 느끼며 삶의 질을 향유하는 동시에 도시인(관광객)에게 마음의 고향을 제공하는 공동체 운동’을 말한다. 슬로시티는 현대문명을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자는 이념이 아니라, 보다 인간적인 삶을 추구하기 위해 느림의 미학을 강조한 생활의 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인간성 회복과 자연의 시간에 대한 인간의 기다림을 표방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인간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오래갈 미래(ancient future)를 위한 슬로시티 운동의 진정한 목적은 ‘자연(nature)과 전통문화(culture)를 잘 보호하고 동시에 경제 살리기를 추진하여 진짜 사람이 사는 따뜻한 사회,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국제슬로시티의 모토는 International network of cities where living is easy로 편한 삶, 즉 삶의 질을 위한 국제적인 연결망 구축이다. 슬로시티 운동은 ① 철저한 자연생태보호 ②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 ③ 제철·제때의 식재료와 유기농법 ④ 지역특산품·공예품 지킴이 ⑤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와 정직한 진정성 유지 등의 다섯 가지 지침을 설정하고 있으며, think globally act locally란 지방의 세계화, 즉 세방화(glocalization)를 표방한다(슬로시티\/홈페이지). 슬로시티 구성요소 출처 : 황영모(2011), 슬로시티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전북발전연구원. ", "해외사례": "슬로시티에는 2002년 7월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2016년 8월 기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29개국 189개 도시가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탈리아 74곳, 폴란드 17곳, 독일 12곳, 한국 11곳으로 국제슬로시티 중 4번째로 많은 곳이 슬로시티로 지정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까지 이탈리아 이외의 나라 중 가장 많은 12곳이 슬로시티로 지정되었으나, 2013년 최초의 슬로시티 중 한 곳인 장흥군이 탈락 되어 현재 11곳(신안군 증도, 완도군 청산도, 담양군 창평면 삼지천 마을, 경남 하동군 악양면(차 재배지로서 세계 최초), 충남 예산군 대흥면, 남양주시 조안면, 전주 한옥마을, 상주시 이안면, 청송군 파천면, 영월 김삿갓, 제천시 수산 박달재)이 슬로시티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이탈리아에 국제슬로시티연맹본부가 있으며, 전 세계 슬로시티 지정 도시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자매 도시 간 교류협력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슬로시티 홈페이지(http:\/\/www.cittaslow.kr) 황영모(2011), 슬로시티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전북발전연구원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 }, { "정책용어": "포괄보조금(Block Grants) 제도", "생성배경": "부처 간 이해관계에 따른 칸막이와 자치단체의 자율성 제약, 유사사업의 중복투자, 지역간 과당경쟁 등 국고보조금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적 장치이다. 이는 유사사업의 과감한 통폐합, 자치단체의 재정운영 자율성 확대, 자치계획권의 신장 등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2010년 기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가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면서 본격화되었다. ", "용어설명": "일반적으로 보조금은 용도제한의 범위, 재원의 교부기준, 지방비 부담의 유무, 재원규모의 제한성 여부 등으로 일반보조금과 특정보조금으로 구분한다. 일반보조금(general grants)은 자치단체가 자유롭게 용도를 선정하고 집행할 수 있으며 일정한 공식에 근거하여 교부액을 산정한다. 특정보조금(categorical grants)은 해당 사업에만 지출하도록 용도를 제한한다(국고보조금이 대표적). 포괄보조금(block grants)은 특정보조금과 일반보조금의 중간 형태로, 특정보조금에서 출발하되, 용도제한과 중앙정부의 정책재량에 의한 교부기준의 자의성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보조금으로 일정한 공식으로 산정하여 교부하며 유사사업을 통한 하나의 사업군(block)은 자치단체에 예산편성권 및 사업선택권을 부여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0여 개에 달하는 사업을 24개의 포괄보조사업(19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5개의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통합하여 사업군 내에서는 자율적으로 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시·도단위에서 생활기반계정사업의 한도액(ceiling)을 설정하면, 시·도는 한도액 범위 내에서 관할 시·군에 대한 한도액을 산정하여 교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행복생활권 사업 등을 추가하여 36개의 포괄보조금 사업(30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6개의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추진 여건 미성숙, 집행지연, 실 집행률 저조 사업에 대해서는 세출구조조정을 실시하여 포괄보조사업의 내실화를 도모하고 있다. ", "해외사례": "우리나라 포괄보조금 제도는 미국의 CDBG(Community Development Block Grant), 영국 RDA의 지역개발보조금(Single Pot 등), 일본의 지역재생기반강화교부금 등과 성격이 유사하다. 포괄보조금의 특징 출처 : 지역발전위원회 내부자료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지역발전을 향한 행복한 동행(지역의 민관 자율형 협력체계 구축모델과 사례) 신두섭(2011), 포괄보조금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제, 지역발전위원회 조기현(2011), 포괄보조금제도의 운용실태와 발전방향, 한국지방재정논집 제17권 지역발전위원회(2011), 2012년도 지역발전사업 평가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송미령, 권인혜(2011),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영국통상산업부(DTI) 홈페이지(www.dti.gov.uk) 기획재정부(2014),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 "작성자": "민선정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시·도자율편성사업", "생성배경": "최근 지역발전정책의 큰 변화 중 하나는 지역의 분권과 자율성 강화이다. 이는 지역이 주체가 되는 지역발전정책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 변화에 따라 기존 특정보조금이 사용 용도와 조건 등에 있어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세부적이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 및 자유재량을 저해한다는 판단하에 2010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새롭게 개편하면서 200여 개 지역개발사업을 18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4개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통합하고 포괄보조금으로 운용하도록 하였다(기획재정부, 2010년 5월). 현재는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가 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면서 20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5개 시군구자율편성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괄보조금이란 지자체별 예산편성 한도를 부여하고 지자체가 한도 내에서 필요한 사업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 "용어설명": "20개 시·도 자율편성사업은 각 시·도가 신청한도 내에서 자율적으로 예산을 신청하며, 포괄보조사업 목적에 부합하는 범위에서 사업의 세부내용을 자율적으로 기획·설계할 수 있다. 시·도 자율편성사업은 다시 시·도가 직접 수행하는 사업과 시·군·구가 직접 수행하는 사업으로 구분되며, 어떤 사업을 시·도가 수행하고, 시·군·구가 수행할 것인지 여부는 시·도가 사업의 광역적 성격 및 성과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판단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시·도 자율편성사업의 추진 절차는 관할 시·군·구의 신청, 지방비 부담능력 및 시·도 발전계획에 따라 시장·군수의 의견을 수렴한 후 시·도가 배분된 재원한도 내에서 종합 조정하여 각 부처에 예산을 신청하고 각 주관 부처는 요구 내용의 적정성, 조정 방향 등을 검토 후, 검토의견을 첨부하여 기재부에 예산을 요구하게 된다. 시·도 자율편성사업 역시 시·군·구 자율편성사업과 마찬가지로 소관 부처는 사업지침과 사후관리 등의 제한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하여 광역지자체의 사업기획·추진 자율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시·도 자율편성사업의 신규 사업의 경우 대상사업, 투자효율성, 시급성·집행가능성 및 물량, 단가의 적정성 등 철저한 사전 타당성을 검증하고 사전 행정절차를 이행하도록 하였다. 지자체 간 공동연계사업·시설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주민 체험도가 높고 사업효과가 명확한 사업을 우선 추진하도록 하였다. ", "해외사례":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은 포괄보조금으로 운용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CDBG(Community Development Block Grant), 영국 RDA의 지역개발보조금(Single Pot 등), 일본의 지역재생기반강화보조금 등과 성격이 유사하다. ", "참고자료문헌": "신두섭(2011), 포괄보조금 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제, 공감코리아 정책기고 기획재정부(2014),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기획재정부(2015), 보도자료(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운영 방향 설명)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 }, { "정책용어": "지역일자리 목표공시제", "생성배경": "지방자치단체별 경제 및 고용 여건의 편차가 커 중앙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일자리대책으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및 고용서비스 제공에 한계를 인식하여 마련된 제도이다.\n ", "용어설명": "지방자치단체장이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제시하고, 중앙정부는 지자체의 일자리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컨설팅, 인센티브 등을 지원하고, 그 추진 성과를 확인ㆍ공표하는 지역고용 활성화 전략이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고용노동부가 201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제도로 민선 자치단체장이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지역 주민들에게 제시하고, 중앙정부는 그 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컨설팅, 인센티브 등을 지원하는 중앙-지방간 일자리 협력 사업이다. 기본방향은 ① 자치단체의 자발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 지원, ② 중앙정부와 자치단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 ③ 자치단체와 지역고용 관련주체 간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이다. 첫째, 자치단체의 자발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 지원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률적인 정책이 아닌 자치단체 스스로가 지역의 여건에 맞는 일자리 관련 사업 발굴 및 정책을 추진하고, 구호 수준의 일자리공약을 넘어서서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 모델을 구축한다. 둘째, 중앙정부와 자치단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중앙과 지방이 소통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대책을 추진하고, 특히 자치단체장이 일자리에 깊은 관심을 두고 일자리 친화적인 지방행정을 펼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중앙정부와 자치단체가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고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운영한다. 특히, 중앙정부는 컨설팅, 경진대회 등을 통하여 자치단체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지원하고 우수사례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셋째, 자치단체와 지역고용 관련주체 간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자치단체와 지역의 다양한 고용 관련 주체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지역의 일자리 문제를 대처해 갈 수 있도록 추진하고 지역고용심의회(지역 노ㆍ사ㆍ민ㆍ정 협의체), 지역고용포럼 등과 연계하여 효과성을 제고한다. 공시내용은 일자리목표와 일자리대책으로 구분하되, 일자리목표는 공통목표와 개별목표로, 부문별 사업계획은 정부부문(직접일자리창출 외 5개 부문)과 민간부문(기업 등 유치 외 2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공시한다. 일자리목표에서 공통목표는 임기 중 달성코자 하는 연차별 고용률과 취업자 수 증가 및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증가와 상용근로자 증가 목표이다. 그리고 개별목표는 각 자치단체의 특성에 맞춰 추진하고자 하는 일자리대책의 개별 사업목표로서 정부부문은 직접일자리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일자리 인프라 구축, 기타이며, 민간부문은 기업 등 유치, 신설 및 확장, 기타에 대한 목표치를 제시한다. 일자리대책에서는 다양한 지역 여건 분석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대책을 발굴ㆍ공시하도록 하였고 정부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자치단체장 임기 동안의 종합계획과 매년 연차별 세부계획을 수립한다.\n ", "해외사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지역 고용정책의 세계적 동향을 고려하더라도 타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제도이며 국내에서 처음 시행된 정책이다. 공시제 사례로는 부동산 가격 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한 주택가격 공시, 대학공시제도(www.academyinfo.go.kr), 학교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 )의 학교정보공시, 공공기관의 경영정보통합공시시스템(알리오시스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공시, 성과공시제도, 지식자산공시제도,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공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이 있다.\n 관련용어 및 개념\n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고용부)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으며, 2011년부터 사업비를 민간 경상보조에서 지자체 경상보조로 변경하여, 고용노동부가 지자체와 사업계약을 체결하여 지자체가 사업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구조를 만들었다. 이처럼 지자체의 지역 일자리창출에 대한 책임성이 강화되면서 중앙정부, 지자체, 지역 노사단체, 지역 고용센터, 지역 교육훈련기관, 시민단체 등이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지역의 고용인적자원 개발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지역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하여 해당 지역의 자치단체 주도로 비영리단체(또는 법인)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지역주민의 일자리창출, 고용촉진, 능력개발 등을 추구하는 특화사업과 이와 관련된 지역고용 포럼사업과 연구사업을 말한다. 사업유형은 「특화사업」(지역차원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 고용 촉진, 능력 개발 등을 추구하는 사업)과 「포럼사업」(지역 내 고용관련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하여 지역의 고용이슈를 발굴ㆍ공론화시키고 지역고용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과 관심을 제고시키기 위한 사업), 「연구사업」(지역차원의 고용문제에 대한 실태분석 및 대안제시 등을 위한 지역별 연구사업), 「패키지사업」(위의 특화사업, 포럼사업, 연구사업 중 2개 이상이 결합된 사업으로 특화사업은 반드시 포함), 「프로젝트사업」으로 구분한다. 사업선정단계에서는 광역 자치단체 지원사업과 기초 자치단체 지원사업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기초 자치단체 지원사업」은 광역 자치단체 단위로 소속 기초 자치단체가 고용 관련 비영리법인(또는 단체)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을 발굴ㆍ제안하면 광역 자치단체 단위로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지원사업을 선정하는 방식이다. 「광역 자치단체 지원사업」은 광역 자치단체가 고용 관련 비영리법인(또는 단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을 발굴ㆍ제안하면 고용노동부 본부에서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지원사업을 선정하는 방식이다.\n ", "참고자료문헌":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www.reis.or.kr) 고용노동부(2010, 2011), 지역일자리공시제 추진방안 고용노동부(2015),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가이드라인 고용노동부(2010), 지역일자리공시제 매뉴얼 고용노동부(2011), 지역일자리공시제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도출 고용노동부(2010, 2011, 2015),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시행지침 김대성(2011), 전남지역 일자리공시제 내실화 방안, 리전인포 제239호 남병탁(2011), 경북지역 일자리공시제 추진현황 및 과제, 한국지역경제연구, 19집 남병탁(2012),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의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지역경제연구, 22집 모성은(2011), 지역 일자리공시제 발전방안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20집 \n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n" }, { "정책용어": "산업클러스터", "생성배경": "1980년대 초 이탈리아 북부지역(The Third Italy)의 국지적 산업지구를 중심으로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 간 협력이 기업의 경쟁력 및 부가가치를 높이며, 산업 및 지역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 시작하였다. 1990년 하버드 대학교의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가 「국가의 경쟁우위(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라는 책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설명하는 다이아몬드 모델을 제시하고 국가의 핵심적인 경쟁력은 소수의 지역클러스터(regional cluster)에 의해 주도된다고 주장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OECD가 국가혁신 체제의 주요 주제의 하나로 혁신클러스터를 다루기 시작함으로써 선진국에서 관련 연구와 정책적 관심이 획기적으로 증대되기 시작하였다.\t ", "용어설명": "산업클러스터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OECD(1999년)는 클러스터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사슬에 연계된 독립성이 강한 기업들과 지식생산기관(대학, 연구기관, 지식제공 기업), 연계조직(지식집약적 사업서비스, 브로커나 컨설턴트 등), 고객의 네트워크로 정의하였다. 마이클 포터는 클러스터를 특정 분야의 상호 연관된 기업체, 전문적인 부품 공급자, 서비스 공급업체, 관련 산업의 기업체 그리고 대학, 연구소, 협회 등이 함께 모여 일정 지역 내에서 경쟁 또는 협력하는 집중체로 정의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클러스터란 일정 지역에서 산업발전과 관련된 혁신주체들이 기능적 연계와 공간적 집적을 이룸으로써 산업생산 체계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체계와 기업지원 체계가 효율적으로 접합된 지리적 집중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일정한 공간적 범위 내에서 기업, 대학, 연구소, 기업지원기관 등이 모여서 상호 교류하고 협력과 경쟁을 하면서 산업발전의 시너지를 가져온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효한 정책수단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다양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클러스터 내에 위치한 기업들은 각종 혁신주체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시너지와 외부효과를 창출함으로써 클러스터 바깥의 기업보다 성장속도, 혁신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클러스터 이론에 입각한 본격적인 정책시행은 2003년 9개 시·도를 대상으로 추진된 지역산업진흥사업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2002년에 기획되어 2003년 참여정부의 출범과 함께 시행된 지역산업진흥사업은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집적지에 연구개발과 기업지원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전략산업 중심의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하였다. 2004년 6월에는 ‘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화 추진방안’이 발표되고 2005년부터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한 혁신클러스터 사업(現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이 추진되었다. 2005년에는 연구개발 위주의 대덕연구단지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하고 산업 기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후 에서는 2~3개 시·도를 묶은 광역경제권을 대상으로 클러스터 정책의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고자 노력하였다. ", "해외사례": "클러스터의 세계적인 성공사례들은 매우 많다. 대표적인 클러스터로는 미국의 실리콘밸리, 루트 128, 리서치트라이앵글 파크, 핀란드의 울루, 스웨덴의 시스타, 독일의 바덴뷔르템베르크, 영국의 캠브리지사이언스 파크 등이 있다. 일본의 경우는 경제산업성이 기존 산업 중심의 ‘산업클러스터 프로젝트’를, 문부과학성이 대학과 연구기관 중심의 ‘지적클러스터 창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산업연구원·한국산업단지공단(2001), 지역산업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국토연구원(2001), 지식정보화시대의 산업입지 및 군집체계 연구 마이클 포터(200), 경쟁론 산업연구원(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사례 연구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5), 선진국의 혁신클러스터 ", "작성자":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이란 전 국토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국을 기초생활권,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의 공간단위로 구분하고, 각 권역의 특성에 맞는 정책을 통해 단계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지역개발정책은 주로 행정구역(시·도, 시·군·구)을 공간단위를 설정하여 사업을 추진하였지만, 새로운 지역발전정책에서는 기초생활권(163개), 광역경제권(5+2, 7개), 초광역개발권(4+3, 7개)을 공간단위로 설정하고 있다. 기초생활권은 지역주민의 기본적인 삶의 질 향상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주민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권역으로서 국민이 전국 어디에 살든지 최저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생활공간이다. 따라서 그 목표는 163개 시·군을 대상으로 교육, 의료, 복지, 문화 등 기본적인 삶의 질 수준의 향상에 있다. 광역경제권이란 지역간 연계 및 협력을 통한 지역경쟁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제·산업권과 역사·문화적인 동질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 권역으로서 자립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규모를 기반으로 한 경쟁력 공간이며, 그 목표는 지역의 경쟁력 강화에 있다. 초광역개발권은 지역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역경제권간 또는 다른 광역경제권에 속하는 지방자치단체간의 산업·문화·관광 및 교통 등의 연계·협력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성배경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은 기존의 행정구역 중심의 산술적 균형 탈피, 지방분권과 자율을 통한 지방주권 강화, 규모의 경제와 광역화를 통한 협력,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상생발전, 대외지향형 지역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을 기초생활권,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으로 구분하고 단계적인 지역개발을 통하여 국토의 잠재역량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2009), 지역발전위원회, 지식경제부 한눈에 보는 기초생활권 발전계획(2010년-2014년), 지역발전위원회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2조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성인지 예산", "생성배경": "정책수행 과정에서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양성평등하게 편성,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정부의 예산과정에 성인식(gender awareness)및 성 관점(gender perspective)을 적용함으로써 재정자원의 남녀 차별적 배분효과를 시정하여 양성평등이라는 사회적 형평(social equity)을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용어설명": "성인지 예산은 모든 예산의 성평등 효과를 분석하고 적절한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성평등에 대한 정치적 의지를 현실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정부정책이 양성평등과 무관해 보이더라도 의도하지 않게 성 불평등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정부의 예산이 남성과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예산이 수반되는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정책의 성별 형평성과 공정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지 예산은 예산의 편성·집행·결산 등 재정운용의 전 과정에서 성별영향을 고려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성지원이나 양성평등을 위한 개별사업단위의 예산에 국한된 개념이 아니며, 재정 운용 전반에 걸친 제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규범적으로 성인지 예산의 의미는 두 가지 측면을 내포한다. 먼저 한 측면은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양성이 평등하게 편성,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특히 강조하고 있는 점은 성인지 예산이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하거나, 성평등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는 특정 범주의 예산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성인지 예산은 정부의 예산을 “여성의 예산과 남성의 예산으로 이분법적인 구분을 하자”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순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의 예산을 늘리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도 아니다. 여성과 남성이 양적으로 동일한 예산 혜택을 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과 남성의 수요를 잘 반영한 혜택이 제공되도록 만들자는 뜻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 중앙정부는 제도적으로 「국가재정법(제26조, 제57조)」을 개정(2006.10.4)하여 2010 회계연도부터 성인지 예·결산서를 작성 국회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재정법 제정시 성인지예산제도 근거를 2006년에 마련하여 2010년 회계연도 예·결산서부터 적용되었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성인지예산서 작성 교육 및 시범사업이 실시되었고 2009년 기회재정부는 2010년도 성인지예산서를 국회 제출했다. 이후 2010년에 국가재정법이 개정되면서 대상사업을 기금까지 확대하고 분석 내용에 성평등 기대효과, 성별수혜분석, 성과목표를 명시토록 하였다.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재정법(제36조의2, 제53조의2)」을 개정(2011.3.8)하여 2013 회계연도부터 성인지 예·결산서를 지방의회에 제출토록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지방자치단체는 2012년도부터 성인지예산서를 작성해 각 지방의회에 제출, 심사를 받고 있다. ", "해외사례": "성인지 예산은 현재 세계 90여 개국에서 시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이 제도는 2000년대 들어 프랑스, 영국, 독일, 스위스,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등 유럽 선진국에서 적극적 도입·시행 중이다. 성인지 예산이 세계적으로 공통성을 갖는 부분은 정부예산이 남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이고, 제도의 운영에 있어서는 국가별로 동기, 초점, 추진(활동) 주체, 운영 방법과 수준, 정부 내의 주도 부문과 수준(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에 있어서 다양성이 나타나고 있다. 성인지 예산이 현재 세계의 많은 나라에서 실시 중에 있지만, 현재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각 대륙과 국가별로 제도의 형태와 운영방식 등에서 일정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달리 말해, 각 국가와 정부, 그리고 지역의 사정과 환경에 따라 이 제도는 탄력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홍미영 외(2011), “지방정부 성인지 예산의 도입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5권 4호 국가법령정보센터, 「국가재정법」 국가법령정보센터, 「여성발전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지방재정법」 대한민국국회(2010), 2011년도 성인지예산서 대한민국국회(2010), 2011년도 성인지기금운용계획서 기획재정부, 여성가족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1), 2012년도 성인지예산서 작성 매뉴얼 행정자치부(2012),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 담당공무원 워크숍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예산센터 홈페이지(http:\/\/gb.kwdi.re.kr) ", "작성자": "홍미영 선임연구위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 \n" }, { "정책용어": "선도산업", "생성배경": "2008년 9월 지식경제부는 광역경제권별 신성장 선도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하고 ‘5+2 광역경제권’별로 선도산업을 선정하였다. 이는 지속적인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추구하고자 선정된 산업이다. 선도산업은 지역의 신성장동력과 연계한 지역산업 육성을 통해 시·도간 연계·협력 및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용어설명": "2009년부터 추진된 ‘지역발전 5개년 계획’에서 5개 광역경제권(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과 2개 특별경제권(강원, 제주)으로 구성된 ‘5+2 광역경제권’별로 선도산업을 선정하여 지역의 대표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선정된 선도산업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글로벌 스탠더드에 근접한 상품화가 가능한 분야에 집중하여 RD에서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 동반 발전함으로써 권역 내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도록 지원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2009년-2011년 동안 진행된 1단계 사업에서는 권역별 1,2개의 선도산업이 선정되어(총 12개) 고용 창출 17,600명, 매출 8.8조 원, 수출 55억 불을 성과목표로 설정하였고 2012년부터 3년 동안 추진되는 2단계 사업에서는 총 22개 선도산업으로 개편되어 3년 후 고용 창출 25,000명, 매출 10조 원 달성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 중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발전 5개년 계획(2009), 지식경제부 선도산업개요, 대경선도산업지원단 ", "작성자": "최재홍(경북대학교 교수) \n" }, { "정책용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생성배경":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이하 ‘특별지역’)이란 산업 구조조정 등 경제위기로 지역내 대규모 휴폐업·실직 등 위기에 봉착한 경우 범부처가 합동으로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는 경제·산업분야의 특별재난지역이라 할 수 있다. 16.10.31 조선(造船)밀집지역 대책의 일환으로, 향후 자동차·철강·석유화학 등 특정산업 위기가 지역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대비해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17.6.22)을 통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제도 도입에 필요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법률안 가.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정의 규정 신설(제2조제8호의2 신설) 1) 현행 특수상황지역은 접경지역 또는 개발대상도서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경제적 위기로 인하여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지역을 포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 2) 지역의 주된 산업이 위기에 처하여 지역경제여건이 악화되거나 악화될 우려가 있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지역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신설하여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함. 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지정 절차(제17조 신설) 1) 시ㆍ도지사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지정 대상 행정구역 및 지원 내용을 기재하여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지정을 신청하도록 함.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지정 신청을 받은 경우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결과에 따라 지정 여부, 지원 내용 등을 결정하고 시ㆍ도지사에게 통보하여야 하며, 이를 관보에 공고하여야 함. 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지정 해제(제17조의3 신설)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지정 기간이 종료되지 아니하더라도 경제상황이 호전되어 지원의 필요성이 없어진 경우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협의하여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지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함. 특별지역 6대 부문 지원프로그램 예시 ① 금융·세재 : 융자지원, 신용보증, 국세·지방세 납부기한 연장, 신산업펀드 등 ② 신규 수요 창출 : 공공조달 참여 확대, 신규시장 개척 수출 기업 지원 등 ③ 고용지원 : 고용유지지원금, 지역일자리, 실직자 지원, 재취업 지원 등 ④ 사업재편·지역특화발전 : 사업다각화, 업종전환 투자보조금 지원 등 ⑤ 지역혁신역량 구축 : 정부 RD지원, 산학융합지구, 스마트공장보급 등 ⑥ 지역상권활성화 : 전통시장 현대화, 관광활성화 지원, 맞춤컨설팅 등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지역간 연계·협력사업(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생성배경": "과거 성장 우선주의 시대의 지역정책은 지역총생산(GRDP)등 거시적 총량지표를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두어 대규모 산업단지, 대형 인프라 등 주민이 일상생활에서 체감하기 어려운 지역발전 사업이 추진되었다. 경제성장으로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국민이 삶의 질을 더 중시하게 됨에 따라, 지역정책의 목표도 주민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고 지역정책의 공간적 범위도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등 실체가 불분명하여 일반 국민이 체감하기 어려운 공간보다는 주민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생활권 단위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지역 정책에서는 수도권-비수도권, 도시-농촌 등 이분법적인 접근으로 인한 지역갈등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대도시와 중소도시, 도시와 농어촌 등이 연계하여 상호 협력하는 상생의 지역발전 모델이 필요하고, 지역의 성장잠재력 확충, 인프라 및 공공서비스 공급의 효율성 확보, 광역적 도시문제 해결 및 낙후지역 지원을 위해 지역 간 상생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인 틀과 여건 마련이 시급했다. 이에 따라, 지역 간 연계·협력은 지역발전정책 중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고, 전국 어디서나 양질의 기초인프라, 일자리, 교육, 문화, 의료·복지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주민의 일상생활 공간인 지역행복생활권이 도입되었다. ", "용어설명": "지역행복생활권1) 연계협력사업은 행정구역 단위가 아닌 주민의 일상 생활 공간을 단위로 하여 주민에게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인 지역발전정책 사업이다. 연계·협력이란 두 개 이상의 주체가 관계를 맺고 공동의 목표를 향하여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 차원에서의 연계·협력이란 지역 내 연계·협력과 지역 간 연계·협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지역 내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사업추진 과정에서 효율성과 효과성을 추구하기 위한 추진 방법이다. 후자의 경우 지자체 간 협약·계약·약정 등에 의하여 사업비를 분담하여 단일 목적의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관련 시설 등의 허브화·광역화가 촉진되거나 개별적으로 추진하였을 때보다 거래비용을 줄이고 편익을 공동으로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개별 지자체마다 중복 추진하지 않고 관련 지자체 주민들이 공동 이용할 수 있는 단일시설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개별 지자체로서 수행하기 곤란한 대형사업에 대한 공동투자, 지자체간 특화된 자원·산업·기능·인프라를 상호보완 및 연계하기 위한 제반사업 등이 이에 해당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은 기존 행정구역단위의 정책관행에서 탈피하여 2개 이상의 지자체가 자발적으로 주민 생활공간을 토대로 구성된 생활권 에 기초생활인프라·교육·주민안전 등 주민체감형 사업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거두고 주민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역발전위원회는 지자체간 협력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 주도의 연계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하여 32개 신규사업을 선정하였고,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을 지원 하고 지역의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기 위해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으로 확대·개 편하고 35개 신규사업을 선정했으며, 2015년 주민복지증진과 밀접한 님비해소, 주민안전, 일자리창출, 교육 및 의료질 개선, 생활인프라 등 5대 중점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하고, 광역지자체의 책임성 강화 등 사업추진방식을 내실화하여 42개 신규사업 을 선정하였다. 2016년에는 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줄 소프트웨어 위주의 사업 및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지역에서부터 실현시키기 위한 31개 신규사업 선정되었 고, ’14년, ’15년 계속사업에 450억원, ’16년 신규사업에 200억원의 예산이 지원되고 있다.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사업추진체 출처 : 2016년 지역발전사업 편람 ", "해외사례": "미국의 각 주에서는 지방정부 간 협력법(Interlocal Cooperation Act)을 제정하여 지자체 간의 협력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지방정부의 재원 및 역량 부족으로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필수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접한 지방정부와 협약을 체결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방시기 보편화 되어 있다. 지방정부간 협력을 통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는 홍수 통제, 행정, 토지이용게획 수립, 건축물 관리, 교육, 보건, 공원·여가, 치안, 소방, 교정, 응급진료, 교통, 하수·폐기물 처리, 경제 개발, 도서관·박물관, 인력·장비·건물의 공동사용, 발전 및 송배전, 용수공급 등 매우 다양하다.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16), 2016년도 지역발전사업 편람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행복생활권 가이드라인 해설집 1)2개 이상의 시군구를 주민의 일상생활 공간으로 묶어서 생활권내 주민들에게 관련 시군구가 연계하여 기초인프라, 일자리, 교육·문화·복지 서비스를 제공(’16년 현재, 전국 63개 생활권 구성) ", "작성자": "윤태웅 전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재정기금제도(Regio Star, Singlepot, 유럽지역개발기금(ERDF) 등)", "생성배경": "기금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일정한 금액을 미리 확보해두고 회계연도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을 말한다. 민간 부문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도 기금을 마련하여 운용할 수 있다. ○○장학기금, ○○발전기금 등이다. 재정기금이란 중앙정부의 재정구조 속에서 조성, 운용되는 기금을 말하는데, 재정이라는 용어를 붙이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중앙정부 재정은 크게 예산과 기금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예산은 매년 계획을 세워 국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야 집행할 수 있는 반면, 기금은 그처럼 까다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특징이 있다. 어느 정도 경직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예산(일반회계, 특별회계)과 달리 기금제도는 특정한 자금을 경제상황이나 국민의 요구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각 부처가 경쟁적으로 기금을 설립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지역발전정책 관련 기금으로는 우리나라의 지역상생발전기금, EU의 유럽 구조 및 투자기금(EU Structural Investment Funds)이 대표적이다. ", "용어설명": "우리나라 중앙정부가 운용하는 기금(재정기금)은 총 64개로, 사업성 45개, 사회보험성 6개(국민연금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기금, 고용보험기금, 산업재해보상보험 및 예방기금, 공무원연금기금, 군인연금기금), 계정성 5개(양곡증권정리기금, 공적자금상환기금, 복권기금, 공공자금관리기금, 외국환평형기금), 금융성 8개(기술신용보증기금,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농어가목돈마련저축장려기금,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 무역보험기금,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이다. 기금은 국가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특정한 자금을 신축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하여 법률로써 설치한다. 즉, 기금은 세입세출예산에 의하지 않고 특정사업을 위해 보유ㆍ운용하는 특정자금이다. 국가고유의 일반적 재정활동에 초점을 둔 예산과 달리 기금은 국가의 특정목적사업을 위해 특정자금을 운용하며 출연금ㆍ부담금 등을 주요재원으로 하고, 특정수입과 지출의 연계가 강하며, 합목적성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자율성과 탄력성이 강하다는 점 등에서 예산과 차이가 있다. 그러나 기금도 국가재정운영의 일부분으로 국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서 기금설치와 운영 계획 수립, 결산 등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예산과 동일하다. 2015년 기금수입은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 사회보장성기금의 수입 증가에 따라 2014년 대비 6.4% 증가한 133.6조원으로 전망된다. 2015년 기금지출 규모는 국민연금 등 사회보험성기금 급여지출을 중심으로 증가하여 2014년 대비 9.8% 증가한 115.3조원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 「2015년도 나라살림 예산개요」, 2015.2 산업연구원 지역발전연구센터, ‘창조경제에 맞는 지역경제 활성화 종합대책(안)’, 2015.1 www.kipf.re.kr\/TaxFiscalPubInfo\/Fiscal-BudgetAndFund ec.europa.eu\/contracts_grants\/funds_en.htm ", "작성자": "장재홍(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지방창생", "생성배경": "아베내각(제2차)은 지방이 각자의 특성에 맞게 자주적으로 지속가능한 사회를 창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14년 9월 3일 내각관방에 ‘마을·사람·일창생본부’(통칭 ‘지방창생본부’) 설치를 각의 결정하고, 동년 11월 ‘마을·사람·일창생법’이 제정되었다. ", "용어설명": "‘지방창생’은 일본의 국가적 과제인 저출산·인구감소문제 극복 및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인 방법으로 지역의 고유자원을 발굴하여 가치를 창조하고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2차 아베내각의 핵심시책이다. 지방창생을 성공시키기 위해 내각부특명담당대신을 신설하고, 총리대신 자신이 지방창생본부 본부장을 맡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內閣官房 まち·ひと·しごと創生本部: www.kantei.go.jp\/jp\/singi\/sousei 總務省 まち·ひと·しごと創生推進本部: www.soumu.go.jp\/main_sosiki\/singi\/machi_hito_shigoto 內閣官房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基本方針(2015年6月30日閣議決定) ", "작성자": "박노보(일본컨설팅센터 센터장) \n" }, { "정책용어": "균형발전지표", "생성배경": "균형발전지표는 문재인 정부의「국가균형발전 비전과 전략」에서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균형발전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18년 2월). 이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균형발전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위원회와 지표 검증을 위한 검토위원회를 운영하였다. 그리하여 지역의 발전수준을 객관적·주관적으로 종합 진단하는 균형발전지표를 개발하여 다양한 균형발전정책에 활용하고 있다(‘19년 8월). ‘18.2~9 : 정부출연 연구기관(8개) 전문가로 지표개발 전문위원회 운영 ‘19.3~7 : 균형발전지표 검토위원회(연구기관, 통계청 등 8명) 운영 ‘19.8 :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균형발전지표 확정 ‘20.8 : 지자체 지역사회조사에 균형발전지표 항목(주관지표) 포함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21), 2020년도 국가균형발전에 관한 연차보고서 김재훈 외(2020),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균형발전지표의 활용방안 연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책연구용역보고서 정종석 외(2021), 균형발전지표 보완 및 활용 확대 방안 연구, 국가균형발전 정책박람회 발표자료 ", "작성자": "김현우(산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사이언스 파크(해외사례)", "생성배경": "1970년대 이후 선진 각국은 전통 기간산업의 쇠퇴와 구조조정에 따른 새로운 산업자본의 유치, 낙후지역의 개발 및 지역 간 균형발전 등을 목표로 다양한 지역개발정책을 시행하게 되었고, 그 중 대표적인 정책이 혁신클러스터라는 새로운 전략이었다. 산업발전과 관련된 혁신주체들이 기능적 연계와 공간적 집적을 이루고 있는 혁신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사이언스파크(Science-Park)라는 개념이다. ", "용어설명": "국제사이언스파크협의회(IASP)는 사이언스파크를 ‘정책, 프로그램, 수준 높은 공간과 시설, 그리고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경제개발에 있어 핵심역할을 수행하는 고도로 전문화된 유형’으로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대학과 기업 간 지식과 기술교류를 촉진 기업, 기업인, 기술자 간 의사소통 촉진 혁신, 창조 및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필요한 환경의 제공 인큐베이션과 스핀오프 메커니즘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촉진하고 중소기업의 성장을 가속화 지역 내 기업의 국제화를 촉진 전체 399개사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IASP의 조사에 의하면 사이언스파크 내에서는 RD 활동이 가장 활발하고, 그 외에도 교육훈련, 기술지원 및 컨설팅서비스(법률, 회계, 중개 등)도 주요한 역할 중 하나로 조사되고 있다. 사이언스파크 내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활동 사이언스파크는 기본적으로 공공사업으로 출발하였으나 최근 민간주도나 공공-민간 협력방식의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민간주도형, 유럽은 민간주도형과 정부주도형이 혼재돼 있는 형태, 우리나라와 일본 및 기타 개발도상국에서는 정부주도형으로 조성 및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IASP의 회원사 대상 조사결과에 따르면 50.4%가 공공주도형, 35.3%가 공공-민간 혼합형, 나머지 14.3%가 민간주도형으로서 아직은 전체적으로 공공부문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이언스파크 조성 및 운영방식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식경제부, 한국산업기술재단(2009), 해외 광역클러스터 IASP 홈페이지(www.iasp.ws) ", "작성자": "류세선(한국금형산업진흥회 센터장\/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n" }, { "정책용어": "산학융합지구", "생성배경": "정부는 2010.10월 제74차 국민경제대책회의를 통해 전국에 노후화된 51개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3터(일터, 배움터, 즐김터)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QWL(Quality of Working Life)1) 밸리 조성계획」을 발표하였다. 산업융합지구 조성은 이 계획의 추진을 위한 5대 정책과제2)의 하나로서 ‘성장의 꿈을 키울 수 있는 배움터 형성’ 즉, 근로자 평생 학습 및 학생의 현장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2011년부터 본격 착수되었다. ", "용어설명": "산학융합지구는 (기반시설의 외형적 측면에서) 생산 중심의 기존 산업단지에 대학(산업단지캠퍼스)과 기업부설연구소를 공간적으로 통합하여 産과 學이 융합될 수 있는 거점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내용적 측면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근로자가 자기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학위 취득 경로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등 평생학습 기회를 확대(先취업-後진학 지원을 위한 근로자 특별전형, 중소기업 계약학과 개설 등)하고, 또 산업단지 내 기업과 긴밀하게 연계된 현장 중심의 교육으로 현장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산학융합형 교육시스템(프로젝트 Lab, RD인턴십의 정규교과화 등)을 도입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RD-인력양성-고용’이 선순환되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 산학융합지구이다. 산학융합지구 조성 기본모형(개념도) 「QWL 밸리 조성계획」의 발표 이후, 2011년 지식경제부와 교육부는 각각 산업단지에서의 대학 설립과 운영을 허용하기 위한 각종 규제완화 및 제도 개선(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 대학설립운영 규정 개정 등)을 시행하였고, 지식경제부는 시범 사업3)의 일환으로 6개소의 산학융합지구(2011년 시화, 군산, 구미, 2012년 대불, 오송, 울산)를 선정ㆍ지원하였다. 산학융합지구 조성의 추진 경과 구분 시기 내 용 사업 기획 2010.06. 산학융합클러스터 조성방안 (제6차 국가고용전략회의, 지경부ㆍ교과부 공동) 2010.10. QWL 밸리 조성계획 (제74차 국민경제대책회의, 관계부처 합동) 제도화 2011.02. (교육부) 대학설립운영 규정 개정 - 산업단지캠퍼스 설치 관련 규제 완화 2011.07. (지경부)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 - 산학융합지구 지정 및 지원, 산업단지 내 조성에 따른 규제 완화 2012.12. (지경부)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ㆍ 대학의 산업단지 입주자격 전면 허용 등 규제완화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내부자료(2015.12.)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식경제부, QWL 밸리 조성계획(2010)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추진현황(2015) 1) 근로생활의 질을 의미하며, 보수 이외에 직무생활의 만족과 동기,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제반 요인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2) ① 근로생활의 질을 높이는 산업단지 구축, ② 성장의 꿈을 키울 수 있는 배움터 형성, ③ 즐겁고 안전한 산업공간 조성, ④ 산업단지 고용창출 역량 강화, ⑤ 친환경 녹색 산업단지로의 전환 촉진 3) 「QWL 밸리 조성계획」 발표 시, 지구별로 400여 명의 학생, 3~4개 학과 규모의 산업단지 캠퍼스, 200여 개의 기업연구소 입주가 가능하도록 2만㎡ 규모로 조성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4) 시화(2012.11월), 군산(2013.11월), 구미(2014.3월), 오송(2015.3월), 대불(2015.9월) 등 5개 지구는 산업단지캠퍼스 및 기업연구관 공사를 완료하여 현재 이용 중이다. ", "작성자":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자유무역지역", "생성배경": "자유무역지역은 관세유보, 조세감면 등 관세법과 대외무역법 등 관계 법률에 대한 특례와 지원을 통하여 자유로운 제조·물류·유통 및 무역활동을 보장함으로써 무역 진흥, 국제물류 원활화 및 지역개발 등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이다. 우리나라 자유무역지역의 연원은 1970년 1월 법률 제2180호에 의하여 정부에서 제안한 수출자유지역설치법안이 확정됨에 따라 설정된 수출자유지역으로, 마산과 익산이 대표적이다. 마산은 1971년 3월, 익산(당시 이리)은 1993년 10월 각각 완공되었다. 2000년 7월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마산수출자유지역과 이리수출자유지역이 마산자유무역지역과 익산자유무역지역으로 확대, 개편되었고, 군산자유무역지역이 새롭게 지정되었다. 2002년 대불자유무역지역, 2004년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인천국제공항이 추가 지정되었다. 2005년에는 동해, 율촌, 2009년에는 김제, 울산, 평택·당진항, 포항항이 새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 익산자유무역지역이 지정 해제됐다. 정부는 2000년대 이후 자유무역지역 조성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 "용어설명": "자유무역지역은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2014.1.21, 일부개정)에 근거하여 지정, 운영되고 있다.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관계 시·도지사와의 협의를 거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자유무역지역의 지정을 요청할 수 있다. 자유무역지역의 유형은 산업단지형, 항만형, 공항형으로 구분된다.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른 자유무역지역의 유형별 지정요건은 다음과 같다. 산업단지형은 공항 또는 항만에 인접하여 화물을 국외의 반출·반입하기 쉬운 지역이어야 한다. 공항형은 연간 30만톤 이상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고, 정기적인 국제 항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물류터미널 등 항공화물의 보관, 전시, 분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지역 및 그 배후지의 면적이 30만제곱미터 이상이고, 배후지는 해당 공항과 접하여 있거나 전용도로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공항과의 물품 이동이 자유로운 지역으로서 화물의 보관, 포장, 혼합, 수선, 가공 등 공항의 물류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지역이어야 한다. 항만형은 연간 1천만톤 이상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고, 정기적인 국제 컨테이너선박 항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3만톤급 이상의 컨테이너선박용 전용부두가 있어야 한다. 또한 육상구역의 면적 및 그 배후지의 면적이 50만제곱미터 이상이고, 배후지는 해당 항만과 접하여 있거나 전용도로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항만과의 물품 이동이 자유로운 지역으로서 화물의 보관, 포장, 혼합, 수선, 가공 등 항만의 물류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지역이어야 한다. 주요 인센티브는 관세 등 특례, 저렴한 임대료, 외투기업 조세감면, 규제 완화 등이다. 관세 등 특례란 자유무역지역에 반입된 외국물품은 관세 등을 유보하고 관세영역(자유무역지역 외 국내지역)으로 반출할 때 부과하는 것이다. 또한 수출용 원재료, 입주업체 간 공급하는 외국물품과 용역 등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 영세율을 적용한다. 임대료는 부지가액의 1% 수준으로 「국유재산법」상 임대료(2.5%)에 비해 매우 저렴하며, 외국인투자기업으로서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엔 무상임대한다. 외투기업에 대해서는 지원대상 업종별로 투자규모에 따라 국세 최대 7년간, 지방세 최대 15년간 감면 혜택을 부여한다. 규제 완화 측면에서는 장애인·유공자·고령자 의무고용 등의 적용을 배제하고, 교통유발부담금을 면제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지역혁신성장계획", "생성배경": "지역혁신성장계획은 지역주도의 혁신성장을 추진하기 위하여, 국가균형발전사업과 관련이 있는 중앙행정기관 간 협의를 거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에서 의결(‘19.8)된 「지역혁신체계개편방안」에 따라,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별로 수립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지역혁신성장계획은 개별 부처별로 지역단위에서 추진해오던 RD, 산업·기업육성 등 지역혁신 지원과 관련된 각종 사업들을 시·도의 혁신성장 방향에 맞게 시도 주도로 연계·조정·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부처별 부문별 발전 계획 시도별 지역혁신성장계획 이를 위해, 14개 시·도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가이드라인(‘19.11, ’21.2)에 따라, 부처별로 시도단위로 추진해 오던 지역혁신사업들의 추진내용과 실태를 진단하고, 시도관점에서 각 사업들을 실질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3년 단위의 지역혁신성장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시·도는 산업여건 및 혁신성장 방향을 고려한 ‘지역혁신전략산업’을 선정한 후, 해당산업 육성을 위한 시도별 전략을 혁신성장계획에 반영하고, 개별 사업·과제 단위가 아닌 계획단위에서의 성과목표를 마련하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지침(‘21.10)에 따라 시·도별 성과평가를 자체적으로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 혁신성장계획 수립의 대상이 되는 지역혁신사업 부처 회계 세부사업명 비목 ’21예산 산업부 (6) 균특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 출연 83,879 균특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출연 9,000 균특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 출연 112,350 균특 사회적경제혁신성장(RD) 출연 5,793 균특 사회적경제혁신성장 출연\/보조 24,610 균특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RD) 출연 11,748 중기부 (2) 균특 지역특화산업육성 출연 86,879 균특 지역특화산업육성+(RD) 출연 126,079 과기부 (4) 균특 지역연구개발혁신지원 출연 12,738 균특 연구개발특구운영 및 인프라지원 출연\/보조 9,670 균특 지역균형발전 SW·ICT 융합기술개발 출연 10,635 균특 지역SW산업진흥지원 출연\/보조 12,511 교육부 (2) 균특 산학협력고도화지원(지역선도대학육성) 출연 7,500 일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출연 171,000 총 계(14) 684,392 (단위:백만원) 이렇게 수립된 지역혁신성장계획은 Ⅰ.지역혁신성장여건, Ⅱ.지역혁신성장전략, Ⅲ.지역혁신전략산업별 육성계획, Ⅳ.연도별 추진계획 등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혁신성장계획 목차 Ⅰ. 지역혁신성장 여건 1-1. 지역산업 및 기업 현황 1-2. 시장·기술·정책 동향 1-2-1. 시장 동향 1-2-2. 기술 동향 1-2-3. 정책 동향 1-3. 시사점 Ⅱ. 지역혁신성장전략 2-1. 비전 및 목표 2-1-1. 비전과 목표 2-1-2. 지역혁신전략산업 및 핵심품목 도출 2-2. 지역혁신성장전략 2-2-1. 혁신산업 육성방향 2-2-2. 가용 정책수단 및 혁신자원 Ⅲ. 지역혁신전략산업별 육성계획 3-1. 연차별 성과목표 및 추진과제 3-2. 혁신산업별 육성계획 Ⅳ. 202X년 추진계획 4-1. 202X년도 사업별 지원계획 총괄 4-2. 신규사업 4-2-1. 신규혁신사업1(관련 혁신산업) 4-2-2. 신규혁신사업2(관련 혁신산업) (붙임1) 재정 투자계획 (붙임2) 공통 성과목표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관계부처 합동), ‘지역이 주도하는 혁신성장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개편방안’, 2019. 8. 국가균형발전위원회(관계부처 합동),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2019. 1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21년도 지역혁신성장계획(안)’, 2020. 5.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지역혁신성장계획 시행관리 및 제2차 계획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2021. 2.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22년도 지역혁신성장계획(안)’, 2021. 5.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22년 지역혁신성장계획 평가지침’, 2021. 10. ", "작성자": "서정하(한국산업기술진흥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Compact City", "생성배경": "압축도시(Compact City)라는 용어는 1973년 조지 단치그(George Bernard Dantzig)와 토마스 사티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두 수학자는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꿈꾸는 이상적인 전망으로써 이후 도시계획에 영향을 끼쳤다. 근대 도시이론은 건물의 고층화와 표준화, 기능주의에 근거한 용도 분리, 보차분리와 도로 확폭, 전원지향이라는 잠재적인 수요를 위한 오픈스페이스의 확보를 강조하였으나 이는 교통량, 도시범죄율 증가, 인간성 상실, 인간관계 파편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근대 도시이론의 대안으로 미국의 뉴어버니즘(new urbanism),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일본과 유럽의 콤팩트 시티(compact city)가 제시되었다. ", "용어설명": "콤팩트 시티는 도시의 확산을 억제하고 주거, 직장, 상업 등 일상적인 도시기능들을 기성 시가지 내부로 유입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거 밀도와 토지의 혼합이용을 유도하는 도시계획 개념이다. 기존의 도시개발 모델이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확산형 도시계획 모델인 반면, 콤팩트 시티는 시가지 경계 안쪽으로 밀집된 개발을 통하여 효율적인 공공교통 제도를 도입한 도시계획 모델이다.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걷기, 자전거 타기를 권장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여 좋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콤팩트 시티의 특징은 기능의 분산이 아닌 집중, 기능의 분리가 아닌 혼합, 그리고 고밀도의 건축물과 같은 도시지역의 집중적인 이용으로 볼 수 있다. ※ 유럽위원회에서 제시한 특징 : 도시계획과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의 연계성 강화, 고정적인 용도지역제의 지양, 분산된 집중을 통한 다핵화 추구, 도시의 경제적 수행력과 활력 증대를 통해 미래의 도시성장을 기존의 도시 내에서 수용 등. ", "현재 용어의 사용": "콤팩트 시티와 함께 사용되는 용어로는 스마트 성장과 친환경 압축도시 등이 있다. 스마트 성장(smart growth)은 학교와 완벽한 시가지를 포함한 다양한 주거형태를 갖춘 복합개발을 목표로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자가 다니기 편한 걷기 중심으로 집적된 도시개발과 교통계획 이론을 말한다. 스마트 성장이라는 용어는 주로 미국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유럽국가는 정부정책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뜻인 친환경 압축도시(eco-compact city)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친환경 압축도시는 흩어져 있는 자원의 이동을 감소시키고 자원을 절약하여 오염발생을 줄일 수 있다. 콤팩트 시티는 에너지 절약적인 도시형태의 대표적인 개념으로서, 지속가능한 개발과 함께 환경적 측면과 삶의 질 측면에서 장점을 지니고 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사람들이 모여 살면 이동거리가 짧아지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 늘면서 이동수단의 에너지 소비량, CO2 배출량을 줄여 환경부하를 줄인다. 삶의 질 측면에서는 이동거리 축소로 편리함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1992년 리우회의에서 채택된 의제(Agenda) 21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구체화할 수 있는 도시공간 구조를 모색하게 된 이후, 다양한 연구와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콤팩트 시티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OECD에서도 콤팩트 시티에 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콤팩트 시티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 ", "해외사례": "콤팩트 시티 요소를 도입해 도시개발ㆍ재개발한 추진사례로는 영국의 런던 템즈강변의 도클랜드지구, 일본의 도야마시 등을 들 수 있다. 도클랜드지구는 토지의 고밀이용ㆍ복합이용, DLR(Dockland Light Railway)에 의한 대중교통, 보행자 위주의 도로 등 콤팩트 시티 조성의 요소들을 도입하여 재개발을 추진한 사례이다. 도클랜드의 개발이전 강변 모습(좌)과 현재 강변 모습(우) 일본에서는 콤팩트 시티의 개념이 1990년대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야마시는 LRT(Light Rail Transit)라는 도시철도를 중심으로 콤팩트 시티를 계획한 도시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그대로 방치하면 퇴화될지도 모르는 도야마현의 철도를 도야마시에 LRT를 도입함으로써 도시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대중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되 환경부하가 적은 도시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이후 일본의 도시계획 안에는 콤팩트 시티의 개념이 포함되게 되었다. 2015년에 수립ㆍ결정된 국토형성계획에는 2008년을 정점으로 본격적인 인구감소 시대에 대응하고자「대류촉진형 국토형성」을 기본목표로 설정하고 ‘콤팩트(compact)+네트워크(network)’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콤팩트 시티를 실현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시정촌별로 입지적정화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시기능유도구역, 거주유도구역 지정을 필수요건으로 하는 콤팩트한 도시 만들기와 공공교통에 의한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콤팩트 시티 실현을 위한 공간구조 전략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 ", "참고자료문헌": "임희지(2001), 지속가능한 도시조성을 위한 신전통주의 계획이론 분석연구, 국토연구 32권, 국토연구원 진영환 역(2006). 마쓰나가 야쓰마쓰, 도시계획의 신조류. 한울아카데미 이현숙(2013). 하나키 게이스케: 콤팩트 시티, 지속가능한 도시만들기의 한계와 가능성, e-interview, 국토 통권381호. 국토연구원 ", "작성자": "차미숙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행정통합", "생성배경": "행정구역은 국가의 정치ㆍ행정적 목적에 따라 구획되기 때문에 인위적인 성격이 강하며, 주민의 생활편의에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생활권과는 다르다. 우리나라는 1994-5년 이후 읍을 시로 승격하여 분리시키는 행정구역 개편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45개의 시ㆍ군 통합을 단행하였고, 2009년 자율적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하였다. 현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접한 지방자치단체와 행정통합에 나서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출산율 감소 등에 따라 소멸위험에 직면했거나 공동생활권인 지자체 간 통합을 통해 행정력 낭비를 막고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의도이다. ", "용어설명": "행정구역의 개편은 통합방식과 분리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합방식은 하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를 통합하여 단일의 지방자치단체로 개편하는 것으로 개별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능력을 보완하거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하는 경우가 많다(한표환, 2013). 국내 사례로는 1994~1995년 진행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와 2009년 자율적 행정구역 통합이 해당된다. 이에 비해 분리방식은 지방자치단체의 수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개별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구역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국내의 1994년 이전의 읍, 시의 승격과 함께 및 직할시 승격이 해당된다(한표환, 2013). 행정구역 통합의 긍정적 효과는 행정 효율성, 주민생활의 편의성 증대, 광역행정의 효율성 수행, 지역정주체계의 균형적 발전 등이며, 행정구역 통합의 부정적 효과는 행정수요의 이질성 문제, 주변지역의 종속화, 주민 접근성 저하, 하향식 경제개발의 가능성, 도시지역의 재정투자 약화 등을 거론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1995년의 시ㆍ군 통합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8개 도에서 총 40개의 통합시가 탄생하였다. 이로써 시는 통합 전 68개에서 통합 후 67개로 감소했으며, 군은 136개에서 97개로 감소하였다. 특히 경상북도 및 충청남도의 모든 시와 경상남도 및 전라북도의 1개 시를 제외한 모든 시가 통폐합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북이 10개로 가장 많고, 경남 9개, 충남 5개, 전북 5개, 강원 4개, 전남 3개, 경기 2개, 충북 2개의 순으로 통합시가 발족되었다. 구분 관할구역수 통합 전 동합 후 시 군 일반시 통합시 군 계(9) 68 136 27 40 97 경기 19 17 16 2 15 강원 7 15 3 4 11 충북 3 10 1 2 8 충남 5 15 0 5 10 전북 6 13 1 5 8 전남 6 21 3 3 18 경북 10 24 0 10 14 경남 10 19 1 9 11 제주 2 2 2 2 2009년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은 자율적 행정구역 통합이다. 이는 통합방식에 기초한 자율적 개편을 의미하는 것으로 행정안전부(2009)는 지방행정구역의 개편절차에서 통합의 건의와 최종 확정이 당사자 결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자율의 의미로 제시하고 있다. 정부의 자치단체 자율통합의 추진계획에 따라 여러 지역에서 통합 논의가 있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창원·마산·진해시만 주민투표를 거쳐 2010년 7월 1일에 통합자치단체가 출범하였다. 하지만, 이 당시의 자율적 행정구역 통합이 중앙정부에 의한 하향식 통합이라는 비판이 있었으며, 더 이상의 행정구역 통합 논의는 제기되지 않았다. 이후 1994년부터 논의되었던 청주시와 청원군이 4차례의 시도 끝에 2014년 주민투표를 거쳐 통합이 이루어졌다. 현재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 등 지역적 차원에서 광역화 논의가 확대되고 있으며, 경제, 행정, 문화, 사회기능을 공간적으로 광역화, 통합함으로써 기존에 분절화된 행정구조에 기인했던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현재 광역 단위의 행정통합 추진은 대구와 경북, 광주와 전남, 부산과 울산, 경남 등에서 논의 중이다. 권역 진행상황 통합인구수(명) 대구+경북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구성 현재 의견수렴 등 공론화 작업 진행 2021년 4월 대구·경북 행정통합 기본계획 확정 2022년 7월 통합자치단체 출범 5,053,452 광주+전남 광주·전남 단체장, 2020년 11월 행정통합 논의 합의 군공항 이전 문제로 이견 보이면서 논의 중단 2021년부터 진행할 예정이었던 연구용역도 시작 못해 3,299,690 부산+울산+경남 동남권 메가시티의 일환으로 다양한 통합 방법 논의 개정된 지방자치법(특별지방자치단체) 범위 내에서 논의키로 2022년 3월까지 특별지자체 설치 목표 7,863,154 대전+세종+충남+충북 2020년 11월 4개 시·도지사간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추진 합의문 발표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공동 수행 충청권 광역철도망 등 충청권 광역사업 공동추진 5,540,657 주 : 통합인구는 202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 기준 출처 : 머니투데이(2021.2.21.) “행정통합, 지방이 뭉친다” 수정 ", "해외사례": "영국은 이층제와 단층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잉글랜드에는 County와 District의 2계층이 있는 곳과 단층제(Unitary Authority)인 곳이 있다.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등은 자체가 의회와 내각을 가진 지방정부이며 그 소속 하에 단층제의 지방자치단체를 갖고 있으므로 자치계층으로는 2층제라고 볼 수 있다. 대도시의 경우에는 그 소속구역에 준 지방자치단체인 Parish가 있다. 우리나라와 비교할 때 계층이 같거나 준자치계층을 하나 더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안성호, 2006: p.110). 영국은 1974년부터 1995년까지의 행정체제인 자치 2층제의 틀은 유지하면서 행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잉글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에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수를 줄이면서 통합하였다. 독일의 지방정부는 주(Land, 州)정부ㆍ크라이스(Kreis)ㆍ게마인데(Gemeinde)로 우리 보다 1계층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주는 지방국가로서 성격을 가지고 지방자치단체보다는 훨씬 강한 자치권을 가진 지방정부이므로 자치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대개의 주에서는 크라이스보다 상위에 주보다는 하위에 광역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고 있다(이기우, 2008: p.8). 따라서 독일에서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은 광역자치단체인 주와 주 간의 통폐합보다는 크라이스와 크라이스 사이, 혹은 최소 기초자치단체인 게마인데와 게마인데 사이의 통폐합이 주로 이루어 졌다. 일본의 자치계층은 한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도부현(都道府縣)과 시정촌(市町村)의 2계층으로 이루어진다. 일본은 1990년부터 일련의 정치개혁이 일기 시작하여 그 여파가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의 분권개혁 운동까지 미쳤다. 시정촌구역개편의 중요한 사건은 1890년의 정촌합병(町村合倂)과 1953년의 정촌합병촉진법(町村合倂促進法)에 의한 합병이다. 전자는 명치 22년(1889)에 일본에서 시제ㆍ정촌제가 시작되었을 때, 일본 정부는 약 7만 1천여 개였던 시정촌(대부분은 촌임)을 약 반년만에 5분의 1에 가까운 15,859개의 시정촌으로 줄였다. 후자는 소화 28년(1953)에서 31년(1956) 사이에 이루어진 정촌합병촉진법에 의한 합병의 진행이다. 소화 28년 10월에 9,868개였던 시정촌(시는 286개)이 3년 후 3,975개로 줄고, 한꺼번에 시가 200개 이상 늘어났다. 그 후 일본에서는 1970년부터 2006년까지의 시정촌합병이 많이 이루어졌다. 1955년 전후 일본의 시정촌합병이 실제의 도시와 행정적인 도시를 일치시키는 작업이었다면, 이후 시정촌합병은 기존의 행정도시와 생활권으로서의 도시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이다. ", "참고자료문헌": "금성근·이정석(2019), ‘부울경 광역권 형성 촉진방안 - 광역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부산연구원 김병국, 금창호, 권오철(2009), ‘지방행정체제의 개편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김예성·하혜영(2021), ‘지방자치단체 광역연합 추진현황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 제1801호 류형철·권혁준·이강민(2021), ‘ 대구경북행정통합 공론 활동과 향후 과제’, 대경CEOBRIEFING 제643호 박종관(2012),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추진 현황과 향후 과제- 행정구역 개편을 중심으로’, 「입법과 정책」제4권 제1호 한표환(2013), ‘행정구역 자율통합정책의 비판적 고찰’, 지방행정연구 제27권 제3호 통권 94호 행정안전부(2009), ‘(주민의 삶의 질 개선과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치단체 자율통합 지원계획 연구자료’ ", "작성자": "김봉원(지역사회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통합 데이터 지도",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위키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74860 데이터 댐,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19692cid=42107categoryId=42107 과기정통부, 통합 데이터지도와 민간 데이터 유통 플랫폼 첫 연계, 2021.07.22.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pageIndex=5bbsSeqNo=94nttSeqNo=3180520searchOpt=ALLsearchTxt= 혁신생태계와 국내 데이터 플랫폼 현황과 전망,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webzine.koita.or.kr\/201912-specialissue\/02-%ED%98%81%EC%8B%A0%EC%83%9D%ED%83%9C%EA%B3%84%EC%99%80-%EA%B5%AD%EB%82%B4-%EB%8D%B0%EC%9D%B4%ED%84%B0-%ED%94%8C%EB%9E%AB%ED%8F%BC-%ED%98%84%ED%99%A9%EA%B3%BC-%EC%A0%84%EB%A7%9D ", "작성자": "정택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스마트시티&UCity", "생성배경": "2000년대 초반 전 국토에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통신인프라 구축이 완료된 후 건설과 정보통신을 융합하여 도시관리 효율성 확보 및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2005년 화성 동탄에 최초로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인 유비쿼터스도시(U-City) 건설을 추진하였다. 이후 2008년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본격적으로 U-City를 추진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U-City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유비쿼터스도시기술을 활용하여 건설된 유비쿼터스도시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비쿼터스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를 말한다(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4), U-City 활성화 지원계획 ", "작성자": "이재용(국토연구원 스마트녹색도시연구 센터장) \n" }, { "정책용어": "지역안전지수", "생성배경": "지역안전지수는 지자체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로 2015년 7월 29일 2013년 안전통계를 활용하여 화재, 교통사고 분야 안전지수를 시범 공개한 이후 지역안전지수를 통해 자치단체별로 취약한 안전관리 분야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자체별 맞춤형 안전개선 사업 추진을 유도하기 위해 2015년 11월 정식으로 2014년 안전통계를 활용한 7개 분야의 지역안전지수를 발표하였다. ", "용어설명": "지자체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로 매년 전년도 안전관련 주요통계를 위해지표(사망ㆍ사고건수), 취약지표(위해지표 가중), 경감지표(위해지표 경감)로 구분해 도출한다. 등급은 시ㆍ도, 시ㆍ군ㆍ구 등 지역유형별로 그룹지어 최고 1에서 최저 5까지 부여하고 분야는 ① 화재, ② 교통사고, ③ 자연재해, ④ 범죄, ⑤ 안전사고, ⑥ 자살, ⑦ 감염병으로 7개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안전지수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6조의8에 근거하고 있으며, 지역안전지수 산출은 사망ㆍ사고발생 통계 등의 위해지표, 위해를 가중시키는 취약지표 및 감소시키는 경감 지표로 구분된 지표를 산출식에 따라 계산된다. 지역안전지수=100 - (위해지표 + 취약지표 - 경감지표) 지역안전지수 핵심지표 분야 위해지표(7) 취약지표(19) 경감지표(12) 자연재해 자연재해 사망자수 시가화율, 제방면적 재정자주도, 구거면적, 유지면적, 구조구급대원수 화재 화재 사망자수 산림면적,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업체수 병상수, 재정자주도, 도시지역면적 교통사고 교통사고 사망자수 산림면적,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업체수 병상수, 재정자주도, 도시지역면적 범죄 5대 강력범죄 발생건수 총전입자수, 인구밀도, 기초수급자수, 제조업 업체수, 음식점 및 주점업 업체수 경찰관서수 안전사고 안전사고 발생건수 하천면적, 산림면적, 재난약자수, 시군구외 전입자수, 건설업 종사자수, 제조업 종사자수 의료보험료 수납액 자살 자살 사망자수 고령인구수, 혼인귀화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기초수급자수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수 감염병 감염병 사망자수 건강보험급여실적, 고령인구수, 기초수급자수, 도시지역면적 의료기관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출처 : 국민안전처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민안전처 홈페이지(www.mpss.go.kr )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www.safemap.go.kr) 국민안전처 블로그(blog.naver.com\/safeppy) 국민안전처 보도자료(2015. 7. 28), 지자체별 안전수준 알 수 있는 안전지수 공개 ", "작성자": "이여진(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지역사업평가센터장) \n" }, { "정책용어": "지리적 표시제", "생성배경": "1995년 WTO의 「무역관련지적재산권협정(TRIPs)」에 따른 지리적 표시보호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우리나라의 우수한 지리적 특산품을 보호하여 농산물 및 가공품의 품질 향상, 지역특화산업의 육성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해 지리적 표시등록제도가 도입되었다. ", "용어설명": "지리적 표시제란 우수한 지리적 특성을 가진 농산물 및 가공품의 지리적 표시를 등록˙보호함으로써 지리적 특산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지리적 특산품 생산자를 보호하여 우리 농산물 및 가공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소비자에게 충분한 제품구매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지리적 표시제의 법적 근거는 「농수산물품질관리법」이며, 동법의 제2조 제1항 제8호에는 지리적 표시제에 대한 정의가, 제32조에는 지리적 표시의 등록 및 관리에 관한 세부사항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적 표시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요건은 다음과 같다. ① 유명성 : 해당 품목의 우수성이 국내나 국외에서 널리 알려져야 하고 ② 역사성 : 해당 품목이 대상지역에서 생산된 역사가 깊어야 하며 ③ 지역성 : 해당 상품의 생산, 가공과정이 동시에 해당 지역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④ 지리적 특성 : 해당 품목의 특성이 대상지역의 자연환경적(지리적, 인적) 요인에 기인하며 ⑤ 생산자의 조직화 : 해당 상품의 생산자들이 모여 하나의 법인을 구성해야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정부에서는 2002년부터 지리적 표시제를 실시하여 2017년 11월에 이르기까지 총 104호의 농산물이 등록되어 있다. 제1호는 2002년 1월에 등록된 보성녹차이며, 뒤를 이어 하동녹차, 고창복분자주, 영양고춧가루, 의성마늘, 괴산고추, 순창전통고추장 등 종류와 숫자에 있어서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 12월 93번째 지리적 표시제로 고령감자가 등록되었다. (상세한 사항은 웹사이트 참조: www.naqs.go.kr, 농산품인증지리적표시) ", "해외사례": "유럽연합(EU)에서는 지리적 표시 등록제도로서 원산지 명칭보호(Protected Designation of Origin: PDO)와 지리적 표시보호(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 PGI)로 구분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AOC’나 이탈리아의 ‘DOC’, 스페인의 ‘denomination de origen’은 모두 원산지 명칭보호(PDO)를 의미한다. (상세한 사항은 웹사이트 참조: www.naqs.go.kr) PDO와 PGI의 차이점 :\n원산지 명칭보호(PDO)는 원료의 생산과 가공과정 모두가 해당지역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지만, 지리적 표시보호(PGI)는 생산, 제조 및 처리과정 중 어느 하나라도 지역과 연계성이 있으면 이 범주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원료를 외지에서 가져오더라도 어느 지역의 특수한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되면 PGI에 해당되며 보호수준은 PDO와 동일하다. 등록현황 : 2000년 3월 기준 527개 품목이 등록되어 있으며(PDO 326개, PGI 201개), 국가별로 살펴보면 프랑스 112, 이탈리아 101, 그리스˙포르투갈 각각 76, 독일 60, 스페인 48개 등이, 품목별로는 치즈 139, 과일˙채소 109, 육류˙육가공 133, 광천수 31개 등이 등록되어 있다. 보호내용 : 다음의 표시에 의해 보호상품의 명칭이 부당하게 이용되는 경우 처벌을 가하고 있다. ① 지리적 표시에 대한 유사˙허위표시, 번역이 되어 사용되는 경우 ② ‘양식’, ‘유형’, ‘방식’, ‘어느 산’, ‘모조품’, 및 ‘유사한’ 등의 표현을 수반하여 소비자에게 혼동을 유발하는 모든 표시 ③ 내˙외부포장, 광고물 또는 관계서류, 용기의 포장 등에 잘못된 또는 오인케 하는 표시 프랑스의 지리적 표시제도 :\n 도입배경 : 프랑스에서는 1900년대를 전후하여 외국산 포도 및 포도주에 밀려 자국산 포도 관련 산업이 위기(품질하락, 가격폭락, 표시문란)를 맞자 포도주산업의 부흥을 위해 AOC(원산지명칭보호)제도를 도입하였고, 1935년에 ‘포도주 및 증류주 국가위원회’를 설치, 1947년에 INAO(국립원산지명칭관리소)를 설치하면서 AOC제도가 본격화되었다. 1955년에는 치즈에 대한 보호체계를 확립하고 1990년에 기타의 모든 농산물 및 식료품에 대해 확대 적용하여 프랑스의 AOC(원산지명칭보호)제도는 품질관리, 농가소득보장, 소비자보호 등 모든 면에서 성공적인 제도로 평가되고 있다. 등록현황 : 현재 와인, 증류주, 치즈 기타 버터, 농축우유, 건포도, 당근, 간, 천연수 등이 PDO(원산지명칭표시, 약 550개) 혹은 PGI(지리적표시, 약 150개) 보호대상으로 등록되어 있다. 등록 및 관리운영 : INAO(Institute National les Appellation d’Origine)이 등록 및 관리업무를 총괄하는데 생산자단체(가공 및 유통업체 포함)들이 신청하면 지방자치단체에서 검토한 후 INAO에 제출하고 전문가 그룹의 검토를 거쳐 품목별 규정에 대한 초안을 마련한 다음 농무성에 제출하면, 농무성에서 최종적으로 승인한다. 벨기에 Bel’Ardenne 회사의 지리적 표시 사례 :\n 회사개요 : 1902년에 설립한 DETRY라는 육가공업체의 방계공장으로 Wallon지방 Bastonge군에 위치하고 있다. 주요 생산품목은 햄과 소시지, 베이컨 등 11종류의 돈육가공품으로 주당 약 20톤씩을 생산한다. 원료는 현지에서 100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가져오지만 지역의 전통적인 제조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지리적 표시 보호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지리적 표시 내용 : 1991년 벨기에 정부로부터 ‘Jambon d’Ardenne’라는 지리적 표시 사용을 허가받고, 그 후 1996년 7월 EU규정에 의해 지리적 표시(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 PGI)로 등록되었다. 햄이 지리적 표시 품목으로 선정된 이유는 너도밤나무와 참나무 톱밥에 향신료를 첨가한 약한 불에 8주 이상 서서히 그을리는 지역의 고유한 제조방법을 따르기 때문이다. 햄만이 지리적 표시 품목으로 등록되었기 때문에 같은 회사에서 제조하는 돈육가공품인 소시지나 베이컨 등은 지리적 표시를 할 수 없다. 생산물에 대한 지리적 표시는 품질을 확인하는 방법이 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차별화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타사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입장을 선점하게 된다. 지리적 표시품에 대한 품질확인 및 검사 : ‘PPOMAG’란 검사기관이 정부와 계약에 의해 생산량을 확인, Stamp를 공급하고 수시로 표본을 추출하여 지리적표시의 성실한 이행여부를 확인한다. 생산업체는 생산계획과 실제 생산량을 PROMAG에 신고해야 한다. 생산량에 따라 15∼30일간 사용할 Stamp를 미리 판매하는데 Stamp 당 10BF(약 250원)이다. ", "참고자료문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www.naqs.go.kr) 농림축산식품부(2009), 지리적 표시제의 농식품 부가가치 창출 및 농촌지역개발에 미치는 효과분석 국가법령정보센터,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시행령」,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시행규칙」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2009), 지리적 표시 제도의 운영현황, Foodsafety 전문정보 10 김태곤(2002), ‘EU, 지리적 표시제 논의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작성자": "황지욱 교수(전북대학교) \n" }, { "정책용어": "유럽의 지역과 도시 주간(Open Days)", "생성배경": "2003년도에 EU 지역위원회가 브뤼셀 지역의 대표자들을 EU로 초대하여 국제기구를 일반 방문자에게 공개하는 ‘Open Days’ 개념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현재는 EU 집행위원회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유럽 최대의 지역정책 행사로 발전하여 다양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였다. ", "용어설명": "유럽의 지역과 도시 주간-OPEN DAYS」는 유럽지역위원회(Committee of Regions, CoR)와 집행위원회의 지역정책 총국(European Commission’s Directorate-General for Regional Policy, DG REGIO)이 주최하여 유럽의 고용과 성장, 거버넌스 구축, 결속정책(cohesion policy)을 위한 지역 간 협력 사례 등에 대해 토론하는 연례행사로 매년 10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4일에 걸쳐 개최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OPEN DAYS 홈페이지 : http:\/\/ec.europa.eu\/regional_policy\/opendays\/od2015\/index.cfm ", "작성자": "이여진(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지역사업평가센터장) \n" }, { "정책용어": "관계인구",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윤정구·조희정 역. 2021.『인구의 진화: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관계인구 만들기』. 서울: 더가능연구소.) 田中 輝美. 2020.10.16.“관계인구란 무엇인가:그 의미와 의의.”내각부지방창생추진사무국 관계인구포럼 발표문(온라인회의) https:\/\/www.chisou.go.jp\/sousei\/about\/kankei\/forum_20201016.html 총무성 관계인구 포털 https:\/\/www.soumu.go.jp\/kankeijinkou ", "작성자": "조희정(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광역연합", "생성배경": "1990년대 들어 국가 간 경쟁보다 지역 간 또는 대도시권 간 경쟁이 세계경제의 주된 경쟁 패러다임으로 인식되면서 인접 지역 간 협력, 통합, 연대 즉 광역화를 통한 규모 및 범위의 경제 추구가 중요한 정책의제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광역화는 정치적 측면(통치기구)과 정책적 측면(정책의 효과성, 효율성 제고)으로 구분하여 논의할 수 있다. 통치기구 측면에서는 행정구역의 통합이나 광역 지방정부 수립이 주된 논점이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지역 간(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 및 연대의 강도(强度)와 공간적 범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권한, 업무, 조직, 추진체계를 보이게 된다. 광역연합도 그 중 하나이다. ", "용어설명": "광역연합은 정책적 광역화의 한 가지 유형으로 볼 수 있는데, 일본의 제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인 정책이나 제도상의 용어로는 아직 사용되지 않고 있다. 영어로는 regional union이나 local union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일본에서는 간사이광역연합(關西廣域連合)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간사이광역연합은 regional union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인구, 경제력, 공간 범위 측면에서 웬만한 국가 규모를 능가한다. 간사이광역연합과 함께 이명박정부의 광역경제권 구상 과정에서 관심의 대상이 된 미국 포틀랜드 대도시권(Greater Portland)은 local union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간사이광역연합과 포틀랜드 대도시권의 공통점은 지방자치단체나 국가의 위임사무를 추진하는 조직과 기구가 확립되어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명박정부의 광역발전위원회 및 동 사무국이 명확한 역할과 조직을 갖추지 못한 채 유명무실하게 운영되다가 현 정부에서 폐지된 것과 대조적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장재홍 외 , 「한국지역정책의 새로운 도전 : 효율과 형평의 동태적 조화」, 산업연구원, 2012 정재희 외 , “영남권 경제공동체실현, ‘간사이광역연합’은 어떻게 했나?”, 「경남정책 Brief」, 경남발전연구원, 2012 조판기 , “포틀랜드의 광역정부와 광역계획”,「국토」, 국토연구원, 2000 www.oregonmetro.gov www.greaterportlandinc.com ", "작성자": "장재홍(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그린뉴딜", "생성배경": "한국판 뉴딜의 일환인 그린뉴딜은 새로운 감염병인 코로나19 계기로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성에 기초한 국가발전전략인 저탄소사회 전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추진하게 된다. 주요 선진국들은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친환경산업 육성 등 차원에서 저탄소 경제·사회로 이행 중이다. 반면, 국내의 경우에는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적으로 증가(‘00년~’17년 동안 연 평균 2%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탄소 중심 산업 생태계가 유지되고 있어 경제·사회의 과감한 녹색전환을 이루기 위해 탄소중립(Net-zero) 사회를 지향점으로 그린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 "용어설명": " 그린뉴딜이란 그린(Green)과 뉴딜(New Deal)을 합친 합성어로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을 의미하며,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해 나가면서 기후위기에 대응함과 동시에 재생에너지 및 친환경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기부양과 일자리를 창출에 기여함에 있다. 한국판 그린뉴딜은 탄소 중립을 위한 녹색전환 측면에서 도시·공간 생활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의 3대 분야 및 8개 세부과제로 추진한다. - ‘25년까지 총사업비 73.4조원(국비 42.7조원) 투자, 일자리 65.9만개 창출 계획이다. 기후변화 대응 강화, 친환경 경제구현을 위해 녹색 인프라(국비 12.1조), 신재생에너지(국비 24.3조), 녹색산업 육성(국비 6.3조) 등에 집중 투자한다. 그린뉴딜 3대 분야 8개 추진과제 1.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2.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3.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①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② 국토·해양·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③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④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⑤ 에너지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⑥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⑦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녹색산단 조성 ⑧ RD·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자료 : 관계부처 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 "현재 용어의 사용": " 그린뉴딜에서는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 파급력인 큰 사업, 단기 및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사업, 그린화 관련 국민 체감도 높은 사업,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사업, 민간투자 확산·파급력이 높은 사업을 중심으로 5대 대표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 이의 정책사업 목표 달성 위해 2025년까지 약 56.3조를 투자할 계획이다. 그린뉴딜 관련 5대 대표과제 과제 내용 및 주요 투자사업 그린 스마트 스쿨 안전하고 쾌적한 녹색환경과 온·오프 융합 학습공간 구현을 위해 전국 초중고 에너지 절감시설 설치 및 디지털 교육환경 조성 ‘22년까지 총사업비 5.3조원(국비 1.1조원)투자, 일자리 4.2만개 창출 ‘25년까지 총사업비 15.3조원(국비 3.4조원)투자, 일자리 12.4만개 창출 스마트그린 산단 산업단지를 디지털 기반 高생산성(스마트)+에너지 高효율·低오염(그린) 등 스마트·친환경 제조공간으로 전환 ‘22년까지 총사업비 2.1조원(국비 1.6조원)투자, 일자리 1.7만개 창출 ‘25년까지 총사업비 4.0조원(국비 3.2조원)투자, 일자리 3.3만개 창출 그린 리모델링 민간건물의 에너지 효율 향상 유도를 위해 공공건축물이 선도적으로 태양광 설치·친환경 단열재 교체 등 에너지 성능 강화 ‘22년까지 총사업비 3.1조원(국비 1.8조원)투자, 일자리 7.8만개 창출 ‘25년까지 총사업 5.4조원(국비 3.0조원)투자, 일자리 12.4만개 창출 그린 에너지 태양광·풍력(육상, 해상)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대규모 RD·실증사업 및 설비보급 확대 ‘22년까지 총사업비 4.5조원(국비 3.7조원)투자, 일자리 1.6만개 창출 ‘25년까지 총사업비 11.3조원(국비 9.2조원)투자, 일자리 3.8만개 창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온실가스·미세먼지 감축 및 글로벌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해 전기·수소차 보급 및 노후경유차·선박의 친환경 전환 가속화 ‘22년 총사업비 8.6조원(국비 5.8조원)투자, 일자리 5.2만개 창출 ‘25년 총사업비 20.3조원(국비 13.1조원)투자, 일자리 15.1만개 창출 자료 : 관계부처 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참고 재작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이 국회를 통과(’21.8.31), 법률이 제정(’21.9.24) 되어 그린뉴딜에서 추진하는 탄소중립을 향한 경제·사회의 과감한 녹색전환이 법적 근거 토대로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 "해외사례": "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EU 집행위원회는 기후변화를 ‘인류가 당면한 가장 큰 위기’로 규정하며, 이 도전에 맞서는 ‘새로운 성장전략(New Growth Strategy)’으로 유럽 그린딜을 제안하였다.(2019.12) 유럽 그린딜은 모든 EU 회원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2050년까지 순 탄소배출(net CO2 emission)을 ‘0’으로 만들고, 이를 통해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것을 제1목표로 삼는 것이다. 에너지, 산업, 건축, 수송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탄소배출을 감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유럽 기후법(European Climate Law)」을 발의하고 탄소국경세를 도입하는 등의 후속조치를 취하고 있다. [주요 정책 분야] 유럽 그린딜의 주요 정책 분야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초점을 맞춘 4개 분야(에너지, 산업, 건축, 수송)와 친환경 농식품,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존이다. - 청정에너지, 지속가능한 산업, 자원의 효율적 건축, 지속가능한 수송, 친환경적 농식품 관리체계,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존 분야 등에 계획대로 추진중이며, 이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최소 1조 유로(한화 약 1,400조원)를 투자 및 유치할 계획이다. “유럽 그린딜의 주요 정책수단 추진 현황” (장영욱, 오태현, 이현진, 윤형준, 2020, p. 5) 시기 내용 정책 분야 2020년 1월 유럽 그린딜 투자계획(European Green Deal Investment Plan) 및 공정전환체계(Just Transition Mechanism) 발표 투자계획 2020년 3월 유럽 기후법(European climate law) 법안 유럽의회 제출 에너지 유럽산업전략(European Industrial Strategy) 채택 산업 순환경제 행동계획(Circular Economy Action Plan) 제안 산업 2020년 5월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략(‘Farm to Fork’ Strategy) 발표 농식품 2030 생물다양성 전략(EU Biodiversity Strategy for 2030) 발표 생태계 2020년 7월 에너지시스템 통합 및 수소전략(EU strategies for energy system integration and hydrogen) 채택 수송 자료: European Commission, A European Green Deal, https:\/\/ec.europa.eu\/info\/strategy\/priorities-2019-2024\/european-green-deal_en(검색일: 2020. 9. 11). “유럽 그린딜 투자계획” (장영욱 외, 2020, p. 9) ", "참고자료문헌": "관계부처합동,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2020.7.14.)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시행 2022.9.25.) (법률 제18469호, 2021.9.24., 제정) 장영욱, 오태현, 이현진, 윤형준. (2020). 유럽 그린딜이 한국 그린뉴딜에 주는 정책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24), 1-19. 조지혜, 이창훈, 신동원. (2020).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그린 뉴딜 추진 방향. 환경포럼, 248, 1-3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형 그린뉴딜 전략개발 연구」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021.1) Ajl, M. (2021). A People’s Green New Deal: Obstacles and Prospects. Agrarian Sou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2), 371-390. Galvin, R., Healy, N. (2020). The Green New Deal in the United States: What it is and how to pay for it. Energy Research Social Science, 67, 101529. ", "작성자": "배도용(한국산업기술진흥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지역경제분석시스템(RESAS)", "생성배경": "RESAS(Regional Economy Society Anayzing System)는 일본 내각부 지역창생본부(마을·사람·일자리창출본부)에서 일본내 각 지역의 다양한 빅데이터(기업간거래·사람의 유동·인구동태 등)를 수집하여, 알기 쉽도록 시각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가 효과적으로 ‘지방판 종합전략’을 수립ㆍ실행ㆍ검증(PDCA)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이다. ", "용어설명": "각 지방자치단체가 정책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 부처의 통계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쉽지 않으며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빅데이터를 따로따로 구입하는 것도 재정적 및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나 민간에서 보유하고 있는 빅데이터를 국가가 일괄해서 구입·정비해서 시각화툴을 개발하여 지방자치단체 및 일반 시민이 언제든지 웹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RESAS는 ‘산업맵’, ‘인구맵’, ‘관광맵’, ‘지방자치단체비교맵’의 4개 메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시스템은 지방자치단체의 직원과 관계자만 사용할 수 있는 영역과, 일반시민 누구나 볼 수 있는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일반인용만으로도 상당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RESAS를 활용하여 SNS 등을 통해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정보를 분석·가공하여 공개하고 있다. 지역경제분석시스템 RESAS 초기화면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일본 마을·사람·일 창생본부 홈페이지(resas.go.jp) ", "작성자": "이여진(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지역사업평가센터장) \n" }, { "정책용어": "생태도시", "생성배경": "생태도시는 1975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의 리차드 레스터(Richard Register) 등이 자연과 균형을 이루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시생태(Urban Ecology)라는 비영리단체를 설립하면서 정립된 도시개념이다. 생태도시는 1902년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전원도시이후 탄생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전원도시는 산업혁명 이후 영국 런던의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한 대기오염 등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도시로서 도시생활의 쾌적함과 자연환경이 결합된 저밀도의 경관도시·계획도시로서 사회·경제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도시개념이다. 생태도시의 기본원리는 ‘삼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으로부터 배워 온 것으로, 도시의 자립성과 순환성을 갖춘 생태체제로 기능하는데 있다. ", "용어설명": "생태도시는 도시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환경보전과 개발을 조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도시개발·도시계획·환경계획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된 개념으로서 “도시를 하나의 유기적 복합체로 보아 다양한 도시 활동과 공간구조가 생태계의 속성인 다양성·자립성·순환성·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도시”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도시의 탄소발생을 저감시키거나 흡수하고자 하는 저탄소 녹색도시가 출현하게 되었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전원도시, 친환경 생태도시, 지속가능도시에 탄소저감과 흡수, 신재생에너지가 결합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생태도시, 지속가능도시, 저탄소 녹색도시 개념도 출처 : 국토해양부 등 6개 부처, 녹색도시·건축물 활성화 방안(2009.11.5.) 전원도시, 생태도시, 저탄소 녹색도시 개요 구분 배경 개념 적용사례 전원도시 (1900년대) ·1902년 영국 하위드(Ebenezer Howard)에 의해 주창됨 ·산업혁명 후 영국의 도시문제 해소차원 ·도시생활의 쾌적함과 자연환경이 결합된 저밀도의 경관도시·계획도시로서 물리적인 도시시설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유토피아 ·영국 레치워스 ·영국 웰윈 등 생태도시 (1970년대) ·지구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환경보전과 개발을 조화시키기 위해 새롭게 대두 ·도시를 하나의 유기적 복합체로 보아 다양한 도시활동과 공간구조가 생태계의 속성인 다양성·자립성·순환성·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도시 ·브라질 꾸리찌바 ·독일 슈트트가르트 ·영국 밀턴 케인즈 ·일본 고베 등 저탄소 녹색도시 (2000년대)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지구의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 ·온실가스 배출 중 기회변화에 가장 영향이 큰 탄소완화를 위해 가능한 발생되는 탄소를 저감시키고 발생된 탄소를 최대한 흡수하고자 계획한 도시 ·영국 토트네스 ·독일 프라이부르크, 보봉 ·일본 키타큐슈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해양부 등, 2009, 녹색도시·건축물 활성화 방안 김형국 편저, 2011, 녹색성장 바로 알기, 나남 왕광익 등, 2009, 녹색성장형 국토발전전략 연구-토지이용부문, 국토연구원 사) 환경과 자치 연구소 엮음, 2005, 생태도시를 향한 발걸음. 도서출판. 전망 시민환경연구소 편, 2001, 생태도시로 가는 길, 도요새 전의찬 등, 2012, 2016(개정증보판), 기후변화 27인의 전문가가 답하다, 지오북 ", "작성자": "김선희 선임연구위원(국토연구원) \n" }, { "정책용어":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생성배경":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일상생활과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시장에서의 신뢰가 핵심적인 문제라는 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부터이다. 한 사회의 문화, 특히 그 사회의 신뢰 수준과 사회규범 그리고 공동체에 대한 의무 등이 경제 효율성이나 경제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면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은 ‘사회적 자본’이라고 부르자고 사회학자들이 제안하면서 발전해오고 있다.(Coleman, 1988; Putnam, 1995; Fukuyama, 1995; 유석춘 외, 2003). Schultz 등은 중요한 생산요소로서 자본(physical capital), 인적자본(human capital, 근로자의 숙련 수준, 지식, 건강 등 개인적으로 체득하여 내화한 생산요소),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Schultz, 1961). ", "용어설명": "사회적 자본은 그 개념을 어떤 맥락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정의가 달라진다. 대체로 사회적 자본은 사회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 공동 목표를 효율적으로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자본을 이르는 말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협력과 사회적 거래를 촉진시키는 일체의 신뢰, 규범 등 사회적 자산을 포괄하여 말한다. 국토계획 및 지역개발 부문에서 사회적 자본을 “일정 지역 내 주민 상호간 이익을 위하여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조정 및 협동 등을 총칭하는 집단적 지능”으로 정의한다(국토연구원, 2008). 이는 인간간의 신뢰관계, 사람들 간의 공유되는 규범, 사람들 간의 네트워크와 관계로서 지역사회에 내재되어 있고, 사람들 간의 사회관계를 규정하는 것 개념이다. 퍼트남(Putnam, 1995)은 사회적 자본은 인적자본과는 별개로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협력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나 규범, 신뢰와 같은 사회조직화의 특성을 갖는다고 하였으며, 콜만(Coleman, 1988)은 사회적 자본은 개인 내부에 체화된 것이 아니라 개인들 사이의 관계에 존재하는 특이한 자본, 개인이 소유하는 것이 아닌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이며, 사회구조(사회규범, 신뢰, 연결망)로부터 온다고 하였다. 신뢰와 사회적 자본과 연결망의 긴밀한 관계성은 은행과 은행원, 이발소와 면도사 등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으며, 사회적 자본 축적은 어민조합 공동체를 통한 어장공동관리 성공 등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의 정의 출처 : 김선희·소진광·한경원 외(2008)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선희·소진광·한경원 외(2008), 국토관리분야의 사회적자본 확충방안(Ⅰ). 경기:국토연구원 김용학(2007), 사회연결망 분석. 서울:박영사 소진광(1999),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지여사회개발논리. 지역사회개발연구. 24(1) Haplern, D(2005), Social Capital. Cambridge: Polity ", "작성자": "김선희 선임연구위원(국토연구원) \n" }, { "정책용어": "COR(유럽지역위원회)", "생성배경": "유럽지역위원회(The Committee of the regions, CoR)는 1992년 마스트리트 조약1)(Maastricht Treaty, 유럽연합조약)에 따라 설립되었고 1994년 3월 총회를 개최하여 발족하였다. 유럽지역위원회는 유럽시민과 유럽연합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유럽연합 법률의 70% 이상이 지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럽시민의 참여와 함께 지역 의견을 대변할 장치가 필요하다. 마스트리트 조약은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유럽연합이사회(Council of the EU),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로 하여금 지역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의사결정이나 법제화 과정에서 지역위원회의 의견을 받도록 의무화하였다. ", "용어설명": "지역위원회는 경제사회위원회와 함께 유럽연합의 2대 자문기구로서 28개 회원국에서 선출된 350명의 지역대표로 구성된다. 국가별로는 인구 규모에 따라 최소 5명에서 최대 24명까지 분포한다. 지역대표는 광역(regional) 및 기초(local) 지역의 지사, 시장, 의원 등 주민의 투표로 선출된 인사들이다. 이들은 지역위원회를 통해 출신지역에 영향을 미치게 될 법률 제정 및 개정에 관해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지역위원회 위원은 회원국의 제청에 따라 유럽연합이사회가 임명하며 임기는 5년이며, 의장은 위원이 선출하되 임기는 2년 6개월이다. 유럽연합의 최고법인 조약(treaties)은 회원국들에 의해 체결되며, 2차 법(secondary laws)은 집행위원회가 법안을 제출하고 유럽의회와 이사회가 공동으로 결정한다. 집행위원회는 법안을 발의하기 전에, 유럽의회와 이사회는 정책을 결정하기 전에 지역위원회와 경제사회위원회의 자문을 거쳐야 한다. 이것이 행해지지 않으면 지역위원회는 유럽사법재판소에 제소할 수 있다. 이는 정책결정 과정이 보다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유럽연합의 법률제정 과정에서 지역위원회의 역할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은경, 2008, EU 지역정책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http:\/\/builder.hufs.ac.kr\/user\/eu\/index.action http:\/\/cor.europa.eu\/en\/about\/Pages\/index.aspx\/ http:\/\/europa.eu\/about-eu\/institutions-bodies\/cor\/index_en.htm www.mofa.go.kr\/countries\/index.jsp?menu=m_40 1) 참고로 마스트리트 조약은 1992년 2월 7일, 네덜란드의 마스트리트에서 유럽공동체(European Communities) 12개 회원국이 서명하고 국내 비준절차를 거쳐 1993년 11월 1일부터 발효한 조약으로 현재 유럽연합(European Union)의 근간이 되는 조약이다. ", "작성자": "이원섭(국토연구원 기획경영본부장) \n" }, { "정책용어": "국가혁신시스템(NIS)와 지역혁신시스템(RIS)", "생성배경": "지역혁신시스템론에 비해 시기적으로 다소 앞서 혁신시스템론을 국가경제정책의 가장 중요한 틀로서 체계화하고자 한 것이 국가혁신시스템론이다. 경제 발전에 있어서 혁신의 중요성은 일찍이 슘페터(1912)에 의해 제기되었으나, 주류 경제학계에서는 상당기간 동안 이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다가 1982년에 출간된 Nelson과 Winter의 기념비적 저작 이후 슘페터적 관점은 재조명을 받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혁신적 기업가 개인의 역할을 강조한 슘페터의 단선적 논리만으로는 혁신활동의 이해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분명해지면서 혁신활동의 시스템적, 상호작용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다(Rosenberg 1976, Freeman 1987). 이와 함께 1980년대 중반 유럽에 비해 원천기술이나 기초과학 수준이 낮은 일본의 국제경쟁력이 왜 유럽에 비해 강한가 하는 데 대한 학계의 관심이 “일본형 시스템”에 대한 연구(C. Freeman, R. Nelson)로 이어진 것도 국가혁신시스템론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고 할 수 있다. 국가혁신시스템론의 대표적인 학자들은 C. Freeman(1987), B-A. Lundvall(1988, 1992), R. Nelson(1993) 등이 있다. 국가혁신시스템론이 학계와 정책당국들에 의해 폭넓은 주목을 받게 되면서 혁신시스템 개념의 다양한 층위로의 확장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즉, 글로벌혁신시스템, 지역혁신시스템, 산업(부문별)혁신시스템 등의 등장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심적인 것은 지역혁신시스템론이라고 할 수 있다(Cooke, 2005). 국가혁신시스템론은 국가를 하나의 동질적 구성체로 보고 국가 단위의 혁신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Cooke을 비롯한 일군의 학자들 사이에 여러 산업과 다수의 비동질적 지역들의 집합체인 국가를 단위로 하나의 혁신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반성이 일어나게 되었다. 특히 상호작용적 학습의 필수 요인은 암묵지의 교환 또는 비시장적 상호의존(untraded interdependencies)관계(Dosi, 1988)의 구축이며, 이에는 주체 간의 지리적 근접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되게 되었다. 즉, 상호 신뢰관계의 구축과 혁신 네트워크의 형성에 보다 적합한 지리적 단위는 국가가 아닌 지역이라는 점이 강조되면서 지역혁신시스템론이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P. Cooke(1992)에 의하면 국가혁신시스템론은 시스템들을 유형별로 구분하지 않았으며, 모든 연구 대상 지역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미비점을 바로잡고자 하는 과정에서 지역혁신시스템론이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는 것이다(Cooke, 1992; Braczyk et al, 1998). ", "용어설명": "‘미스터 NIS’로 불리는 Lundvall은 혁신시스템을 ‘새롭고 경제적으로 유용한 지식의 창출, 확산, 활용과정에 참여하는 요소들과 그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관계’로 규정하고, 국가혁신시스템을 ‘국민국가(nation state) 내에서의 그러한 요소들 및 그 상호작용관계’로 규정하였다(Lundvall, 1992). 현대 경제에서 가장 근본적인 자원은 지식이며, 가장 중요한 과정은 상호작용적 학습(interactive learning)인데,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은 산업화 과정의 원동력인 학습 과정 가속화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는 것이다. 지역혁신시스템은 논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종합하면 ‘상호작용적 학습의 적정 단위로서의 지역 내의 혁신 주체들 간의 신뢰(trust)와 호혜성(reciprocity)을 토대로 지식의 창출, 확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협력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장재홍, 2003). 지역혁신시스템의 기본 모형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장재홍,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구축방향”,「KIET 산업경제」, 산업연구원, 2003 장재홍: “혁신시스템과 클러스터; 그 개념과 상호관계”, 「e-KIET 산업경제정보」, 산업연구원, 2004 장재홍, 「지역혁신정책과 지역균형발전 간의 관계 분석 및 정책 대응」, 산업연구원, 2005 장재홍, “지역정책의 논거와 패러다임”, 「지역정책」, 제1권 제1호 권두논문, 한국지역정책학회, 2014 Braczyk, H., P. Cooke and M. Heidenreich(eds.), Regional Innovation Systems, UCL Press: London, 1998 Cooke, P.,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ompetitive Regulations in the New Europe”, Geoforum 23, 1992, pp. 365-382 Freeman,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s in Historical Perspective”,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vol. 19, no. 1, 1995 Freeman, C., Technol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Lessons from Japan, Pinter, London, 1987 Lundvall, B-A., “Innovation as an Interactive Process: From User-Producer Interaction to the National System of Innovation”, in G. Dosi, C. Freeman, R. Nelson, G. Silverberg and L. Soete(eds.), Technical Change and Economic Theory, Pinter: London, 1988 Lundvall, B-A. (ed).,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Pinter Publishers, London, 1992 Malerba, F., “Sectoral Systems - How and Why Innovation Differs across Sectors”, in Fagerberg et al.(ed.),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London, 2004, pp. 380-406 Nelson, R. and S. Winter, An Evolutionary Theory of Economic Chang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1982 Nelson, R. (e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3 Porter, M. E. 1999. “Cluster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November-December 1999 Rosenberg, N., Perspectives on Tech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76 Schumpeter, J. A.,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 (original German edition published in 1912) ", "작성자": "장재홍(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일본특구제도(일본 지역개발특구)", "생성배경": "일본 정부는 2000년대 이후 경기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특구정책을 추진해 왔는데, 2002년 구조개혁특구, 2011년 종합특구, 2013년 국가전략특구 등이 그 것이다. ‘구조개혁특구’는 “구조개혁 없이는 성장도 없다”는 슬로건 하에 2002년 12월 ‘구조개혁특별구역법’을 제정한 후 2003년 4월부터 시행한 것이다. 그리고 2011년 8월에는 ‘지역의 책임 있는 전략, 민간의 지혜와 자금, 중앙정부의 선택과 집중’이라는 세 가지를 기조로 하는 새로운 ‘종합특구’제도를 만들었다. 그리고 2013년에는 총리 주도형의 ‘국가전략특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t ", "용어설명": "구조개혁특구는 경기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규제개혁을 통해 민간사업을 확대하고 수요를 증진하기 위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게 특정 지역을 한정하여 규제를 완화하는 제도이다. 한편, 종합특구는 ‘국제전략종합특구’와 ‘지역활성화종합특구’로 분류되며, 제도운영 측면에서 ① 종합적 지원방식 ② ‘중앙과 지방 협의회’ 설치 ③ 다양한 참가자로 구성된 ‘지역운영협의회’라는 세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끝으로 국가전략특구는 그간 구조개혁특구(2002년), 종합특구(2011년) 제도가 시행되었으나 지자체에서 운영을 주도하면서 경제성장으로 연결될만한 대담한 제도개혁에 소극적이었다고 평가하고, 중앙주도형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대대적인 규제완화를 수반하는 3대도시권 중심의 특구제도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경기개발연구원, 일본특구정책 개요, 2013.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베노믹스 국가전략특구 구상의 주요 내용과 평가’, 2013.05.23. 산업연구원, ‘아베노믹스 신성장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13.7. 일본수상관저 일본경제재생본부, ‘일본재흥전략-Japan is Back’, 2013.6. ", "작성자": "장효천(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원장) \n" }, { "정책용어": "로컬에너지", "생성배경": "로컬에너지(Local Energy)라 함은 일정한 지역 안에서 에너지원을 자체 조달하여 에너지를 생산·공급하고, 그 에너지를 지역 안에 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태양광·태양열, 풍력, 지열, 수력, 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 조력 등의 재생에너지1)는 (에너지 고갈 없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가 생산된 해당 지역에서 소비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로컬에너지로 지칭하고 있다.\n ", "용어설명": "로컬에너지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석에너지와 핵에너지를 단순히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을 해외에서 조달하여 특정한 장소에서 에너지를 생산한 다음에 전국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현재의 중앙집중형 에너지시스템이 여러 가지 문제점2)을 안고 있기 때문에 지속 불가능하다고 보고, 수년전부터 전국 어느 지역에서나 에너지를 조달·생산·공급할 수 있는 로컬에너지를 기반을 한 지역분산형 에너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즉, 화석에너지와 핵에너지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경성에너지시스템(hard energy system)’을 태양광·태양열, 풍력, 지열, 수력, 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 조력 등의 재생에너지 중심의 ‘연성에너지시스템((soft energy system)’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로컬에너지는 (개념적으로 연관이 있는) ‘지역에너지 전환’, ‘에너지 자립’, ‘분산형 에너지’, ‘친환경에너지’ 등을 의미하는 용어로도 통용되고 있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경남발전연구원(2012), 에너지 분권화와 지역당면과제 국무조정실 등(2014), 「친환경에너지타운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기반 구축」 연구 국회 로컬에너지 정책포럼(2014), 지역분산형 발전과 에너지 민주주의 국회입법조사처(2013),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산업통상자원부(2014),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2015), 2015 지역에너지 통계연보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2012), 지역에너지 자립을 모색한다 전북발전연구원(2014), 전북형 에너지 자립 시범마을 조성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2014), 농촌 지역에너지 전환을 위한 과제 환경부 보도자료(2015, 2016) \n 1) 정확한 명칭은 재생가능 에너지이며, 땅속 마그마에 의해 생기는 지열과 달의 중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조력을 제외하면 (바람, 물의 흐름, 생물체 등은 태양에너지의 변형이나 축적으로 생겨나기 때문에) 모두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임. 2) 화석에너지와 핵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에너지시스템은 화석에너지의 고갈 위기, 온실가스 배출, 핵발전소 안전성 우려, 환경적·사회적 갈등(원전 입지, 송전탑 건설 등), 경제적 손실(장거리 송전에 따른 전력손실 및 송전비용 증가)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음. 3) 「에너지법」 제7조에 따라 광역지자체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에너지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함. 4) 서울 노원·성북·강동, 경기 수원·안양·안산, 전북 완주, 전남 순천, 강원 인제 등 다수의 기초지자체가 자발적으로 지역에너지계획을 수립하거나 에너지 자립화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n " }, { "정책용어": "적정기술", "생성배경":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의 개념은 영국 경제학자 슈마허(E. F. Schumacher)의 ‘중간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이라는 용어에서 시작되었다. 슈마허는 저서 「작은 것이 아름답다」(1973년)에서 소규모 자본과 소박한 기술로 지역 주민의 빈곤을 해결하고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인간의 얼굴을 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중간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이라고 명명하였다. 그 후 ‘중간’이라는 용어가 기술적으로 미완의 단계를 의미하거나 첨단기술보다 열등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점에서 1980년대 들어와 의미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적정기술’로 불리게 되었고, ‘착한 기술’, ‘대안기술’, ‘따뜻한 기술’ 등으로도 통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적정기술이란 용어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함께 전국민 과학화 운동의 일환으로 처음 등장하였고, 2000년대 중반 이후 對개도국 과학기술 ODA정책의 일환으로서 적정기술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 박 대통령각하께서 제창하신 전국민의 과학화운동은 궁극적으로 국민생활의 향상과 국가발전에 그 목표를 두고 있는 만큼 새마을운동과 상호 유기적이고 보완적 수단으로 병행시킴으로 서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 새마을운동은 새마을 현장에 지역특성에 맞는 적정기술을 이식시킴으로서 새마을운동을 새로운 차원에서 유도하여야 하며 지역 간 기술이전에 역점을 두어 농촌과 도시의 지역격차와 농업과 공업 및 그 외의 산업과의 격차, 그리고 고소득과 저소득 계층 간의 격차를 줄이는데 목표를 두고 추진하여 ... 출처 : 이도영(2013), 한국 적정기술 정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과학기술정책 제23권 제4호) ", "용어설명": "적정기술은 당초 1970년대 식민지와 저개발국에 대한 선진국식 개발프로젝트의 부작용과 한계에 대한 자성적 비판에서 대두된 개념이다. 자본과 기술을 가진 선진국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을 때 저개발국 국민들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권리도 누리지 못한 채 살아가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것이 바로 ‘적정기술’이다. 이러한 슈마허의 개념 이외에도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는데, 바커 한스(Barkker Hans)는 적정기술을 의, 식, 주, 건강과 교육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 필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술로 정의하고, 하위 20%의 사람들이 혜택 받지 못하는 기술은 적정기술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미국 국립적정기술센터(NCAT)에서는 적정기술을 ‘활용되는 상황에 비추어 비용과 규모 면에서 적합한 도구 또는 전략’이라는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적정기술의 개념 및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적정기술의 주요 특징으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첫째, ‘현지의 필요’를 해소하기 위한 특화된 기술 또는 제품으로서 특정 지역, 특정 환경에서 거주하는 현지인들과의 협력을 통해 ‘현지의 필요’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예: 20번 이상의 세탁 후에도 살충효과가 지속되는 Permanet 등). 둘째, 단순히 노동력 대체가 아니라 노동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도구의 개발로 복잡한 훈련 없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예: 물 운반을 도와주는 큐드럼,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머니 메이커 펌프’등). 셋째, 현지의 자원 및 재료를 최대한 활용하므로 자원 및 재료의 지속가능한 획득 및 경제적 운영이 가능하다(예: D-lab1)). 넷째, 외부로부터의 재정, 에너지 공급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함으로써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독립성과 생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예: 식수가 부족한 지역에 빗물을 식수로 바꿔주는 휴대용 정수기(생명빨대), 팟인팟 냉장고, 전기를 생산·저장하는 소켓 축구공, 태양광 충전 휴대용램프 등). 제3회 전국새마을기술지도 사례발표회 致辭(과학기술처 장관, 1978.8) 제품명 제품 개요 큐드럼 (Q drum) (개발자)P.J.andJ.P.S. Hendrikse① 쉽게 굴릴 수 있도록 고안된 도넛형(지름 50cm)의 플라스틱 용기② 75리터 물의 운반 가능③ 깨끗한 물의 공급처로부터 수킬로미터 떨어진 지역 주민의 수인성 전염병(장티프스, 콜레라) 예방에 도움을 줌 생명빨대 (Life straw) (개발자) Torben Vestergaard Frandsen① 오염된 물에서 박테리아, 기생충 등을 걸러주는 25cm 길이의 휴대용 정수기(활성탄 사용)② 약 1000리터의 오염된 물 정수 가능(가격 3.5달러)③ 15마이크론 이상의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인성 질병(장티프스, 콜레라, 이질, 설사)을 예방에 도움을 줌 머니 메이커 펌프 (Money Maker Pump) (개발자) Robert Hyde, Martin Fisher, Mark Butcher, and Adblikadir Musa①무게 약 2kg의 족동식 펌프로서 전기나 연료 없이 순전히 사람이 페달을 밟아 내는 힘만으로 지하 7m의 물을 끌어올릴 수 있음② 8시간 동안 2에이커의 농지에 물 공급 가능③ 건기에 야채나 과일을 재배하는 소규모 농업(연중배재)이 가능하여 농가소득에 크게 기여 팟인팟 냉장고 (Pot-in-Pot cooler) (개발자) Mohammed Bah Abba① 큰 항아리 안에 작은 항아리를 넣은 뒤 그 사이를 젖은 모래로 채우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작은 항아리 속의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추는 원리② 오지에서 수확한 농산물의 보관 문제 해결③ 더운 지방에서 2~3일이면 상하는 토마토를 3주간 신선하게 보관 가능(가격 40센트 수준) 출처 : 포스코경영연구원(2016), 저성장시대의 맥가이버형 기술개발(POSRI 보고서)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이도영(2013), 한국 적정기술 정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과학기술정책 제23권 제4호) 포스코경영연구원(2016), 저성장시대의 맥가이버형 기술개발(POSRI 보고서) 홍성욱(2011),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과학기술정책 제21권 제2호) 김정태(2011), 위시시대 적정기술의 역할(과학기술정책 제21권 제2호) 성경모·임수연(2015), 글로벌 적정기술의 중심지 (사)나눔과기술(과학기술정책 제25권 제9호) 1) 아이티 현지에서 ‘폐기물’ 사탕수수 줄기를 드럼통 가마에 넣고 연소시켜 숯가루를 만든 뒤, 카사바를 갈아 만든 끈적거리는 액체와 혼합한 ‘숯’ 개발함으로써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벌채되고 있는 산림자원의 보호가 가능해짐 2) 교육과학기술부(2013.1), 2013년 과학기술국제화사업 시행계획 3) 인도 힌디어(語)로 기존의 것을 독창적으로 활용해 예상치 못한 상황을 극복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의미하는데, 도시 지역의 의사와 오지 지역의 환자를 연결하는 원격의료 솔루션(중국 뉴소프트), 열악한 은행 인프라를 대신한 모바일 결제 솔루션(케냐의 M-페사) 등이 있음. 4) Jugaad 혁신이 한 단계 더 발전한 개념으로 더 적은 예산으로 더 많은 것을 이루는 저비용 혁신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사례로 저가형 자동차(르노닛산 로건, 인도타타그룹 Nano), 소형저가 심도전기(GE MAC400), 초저가 스마트폰(중국 샤오미) 등이 있음.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전통시장", "생성배경": "전통시장은 명칭이 변경되기 이전에는 재래시장이라는 이름으로 통용되어 왔는데 2002년에 제정된 「중소기업의 구조개선과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을 통해 처음 법률에 등장하였다. 이 법에서 「재래시장」은 ‘일정구역 안의 건물 또는 지하도에 설치된 다수의 점포에서 도매업자˙소매업자 또는 용역업자가 상시 또는 정기적으로 모여 상품을 매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장소로서 근대적인 유통기능이 취약하여 경영현대화 및 정보화를 필요로 하거나 건물시설이 노후화되어 개˙보수 또는 재개발˙재건축을 필요로 하는 장소’로 정의되었다. 이후 수차례의 관련법 제정과 개정1)을 통해 재래시장이라는 용어가 낙후된 느낌이 강해 이름이 갖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재래시장의 명칭이 전통시장으로 변경되었다. ", "용어설명": "2013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개정을 통해 전통시장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였다. 전통시장을 “자연발생적으로 또는 사회적·경제적 필요에 의하여 조성되고, 상품이나 용역의 거래가 상호신뢰에 기초하여 주로 전통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 규정해 상인과 소비자 간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전통 상거래 방식이 유지·계승된다는 의미가 강조되었다. 또한 등록시장과 인정시장으로 구분하던 전통시장의 구분을 없앰으로써 기존에 전통시장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곳에 대해서도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현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글로벌 명품시장, 지역선도시장, 문화관광형 시장, 골목형 시장 등 특성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명품시장은 한국의 맛과 멋, 흥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전통시장으로 우리나라 특유의 활기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국제적 관광명소로 육성하기 위해 지정하는 시장을 말한다. 한국적 문화와 연계된 볼거리·먹거리·살거리·즐길거리 개발, 글로벌 수준의 서비스 제공으로 편안한 쇼핑환경 조성, 글로벌 홍보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원한도는 최대 3년간 50억원 이내의 국비와 지방비가 지원된다. 지역선도시장 육성 사업은 전통시장과 지역의 역사·문화·관광자원 등을 연계하여, 내·외국인 고객 유입촉진을 위한 지역 특화상품을 고도화하고, 상인 조직화 및 지역사회 상생·협력을 통해 지역 내 거점시장 및 글로벌 명품시장으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3년간 최대 25억원 이내의 국비와 지방비가 지원된다. 지원내용으로는 지역의 유·무형 자원과 연계된 볼거리·먹거리·살거리·즐길거리 개발, 고객 눈높이를 맞춘 편리한 쇼핑환경 조성, 지역 거점시장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 등이 있다. 문화관광형 시장은 “지역의 역사·문화·관광자원 등을 연계하여 상품·용역의 거래뿐만 아니라 그 고유의 특성을 즐기고 관광할 수 있는 곳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시장·군수·구청장이 지정한 시장”을 지칭한다. 문화관광형 시장은 전통시장이 보유한 고유의 특성을 극대화하고 지역문화와 특산물, 관광자원을 연계한 시장 활성화 전략수립을 통해 문화관광 마케팅, 문화콘텐츠 및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장별로 3년간 최대 18억원 이내의 국비와 지방비가 지원되며 시장 규모별로 차등 지원된다. 지원내용은 시장고유문화와 연계한 스토리텔링, 먹거리, 즐길거리, 볼거리, 살거리, 체험거리 조성(특성 발굴·개발), 지역특산물 브랜드화, 문화·관광콘텐츠 개발(관광자원 개발), ICT 융합, 동아리육성, 공동브랜드 개발 등 수익모델 창출을 위한 마케팅·교육·컨설팅·홍보 지원(시장 자생력 육성·강화) 등이 있다. 2015년부터 시작된 골목형 시장 육성사업은 우리의 삶과 가장 맞닿아있는 곳, 도심과 주택단지에 위치한 전통시장으로 각 시장만의 고유의 개성과 특색을 통해 지역 주민들과 어우러지는 시장을 의미한다. 즉 각 시장만의 특색있는 볼거리·먹을거리·즐길거리가 있는 “1시장 1특색” 시장이다. 시장별로 1년간 최대 6억원 이내의 국비와 지방비가 지원되며 중대형·중형·소형·초소형 등 시장규모별로 차등 지원된다. 주요 지원내용으로는 디자인접목2), ICT융합3), 핵점포4), 상품개발5) 등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3), 지역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 육성방안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www.sijangtong.or.kr) 1) 「중소기업의 구조개선과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별조치법」(2002),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2004),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2006),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2009) 2) 시장의 독특한 개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한 브랜드 개발, 상품디자인 및 공간 재설계 등 유기적 통일성을 갖추기 위한 사업 지원 3)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이 전통시장에 대한 정보 취득 및 이용방법을 쉽게 찾고, 소비활동을 원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 4) 상품 및 서비스 등으로 시장의 대표 점포 육성과 주요 TV프로그램, 일간지 기획기사 등 집중 홍보 등을 통해 고객 유입 촉진 5) PB상품을 발굴 또는 개발하여 공동브랜화 하거나 전국 확산을 위한 프랜차이즈화, 품질인증시스템 구축, 레시피 개발 등 지원 ", "작성자": "채성주 연구위원(충북연구원) \n" }, { "정책용어": "창조경제타운", "생성배경": "최근 많은 국가들이 지속가능한 성장, 혁신 역량 강화 및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과학기술을 활용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있고, 일반인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확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John Howkins가 2001년에 발간한 ‘The Creative Economy’에서 창조경제를 처음 언급하였으며, 새로운 아이디어로 제조업, 서비스업, 유통업 및 엔터테인먼트사업 등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창의성을 경제의 핵심가치로 두고 고부가가치, 일자리,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창조경제가 박근혜 정부의 주요 정책기조로 등장하였다. 정부는 창조경제의 개념을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과학기술과 ICT에 접목하여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창출하고, 기존의 산업을 강화함으로써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새로운 경제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종전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창업→성장→회수→재도전’이 원활한 선순환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여 경제성장,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업·재도전 분위기를 확산하고 있다. 창조경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려는 염원과 함께 국민 아이디어가 마음껏 사업화될 수 있는 창조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각 부처 및 산하기관에서 중복적으로 안내되어 온 창업사업화 관련 지원사업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창조경제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민이 제안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개방형 온라인 플랫폼을 지향하는 창조경제타운이 2013년 9월 30일에 신설되었다. ", "용어설명": "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은 ‘국민의 아이디어를 가치화하는 대한민국 사업 아이디어 플랫폼’을 기치로 내걸고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공공 주도의 아이디어 플랫폼이다. 창조경제타운 메인화면 창조경제타운의 아이디어 지원 프로세스는 아이디어 제안, 멘토링, 사업화 지원으로 구분된다. 창업 혹은 사업화에 관심 있는 국민이 창조경제타운 홈페이지에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창조경제타운에 등록되어 있는 멘토로부터 전문적인 멘토링을 받을 수 있으며, 공정한 평가를 통해 선발된 유망 아이템의 경우 창조경제타운과 연계되어 있는 민간, 공공 창조경제 지원 사업에 추천하여 실질적인 사업화,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창조경제타운은 원칙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회원의 아이디어를 접수받기 때문에 아이디어 제안에 제한이 없다. 아이디어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자원으로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태생의 한계로 인해 불가피하게 벤처캐피탈, 엔젤투자자, 엑셀러레이터 등 민간 기관들의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예비창업자 또는 스타트업에 기회를 주고자 문턱을 대폭 낮추어 누구나 쉽게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창조경제타운 역시 제안된 모든 아이디어에 대해 사업화 지원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다만, 회원의 창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온라인 멘토링, 온라인 동영상 교육 등 많은 회원에게 창조경제타운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유망한 특정 아이디어에만 국한된 지원이 아니라 보다 많은 수요자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하고 수요자 전체의 창업, 사업화 역량 강화 목적을 띈 복지 개념을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이 창조경제타운이다. 창조경제타운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지식기부를 통한 아이디어 실현을 지원한다. 사업화, 창업 단계별 전문가 멘토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자, 투자자, 경영 및 법률, 회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멘토로 참여하고 있다. 두 번째, 다양성을 통한 창의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누구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공유 및 소통하며 협력할 수 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구현된 다양한 성공사례 체험 및 아이디어로 도전하는 창의문화를 확산할 수 있다. 세 번째, 국민 참여를 통한 집단지성으로 다양한 아이디어의 혁신이 가능하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현황 2016년 8월 말 기준으로 3년 동안 회원 수 11만 8천여 명, 아이디어 3만 7천여 건, 방문자 수 340만여 명, 페이지뷰 2천 4백만여 건, 사업화 지원 아이디어 1만 1천여 건으로 국민의 관심과 참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창조경제타운에서 우수한 아이디어로 선발이 될 경우 인큐베이팅 아이디어로 구분하여 창업 및 사업화 관련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주요 계획 2016년 9월 말부터 홈페이지 개편을 통해 이용자 저변 확대를 위한 읽을거리 강화 및 연관 콘텐츠 서비스, 타운 자체 공모전 진행 확대, 멘토링과 평가를 분리한 아이디어 지원 프로세스, 아이디어 공개멘토링 및 평가, 모의투자 등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캠페인 활동이 가능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 "해외사례": "해외에서는 민간 차원에서 다양한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을 활용하여 창조경제 혁신 활동을 확산해 왔다. 대표적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킥스타터(www.kickstarter.com)는 아이디어와 자금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투자한 회원들에게는 투자 금액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비금전적인 보상이 제공된다. 꿈 공장으로 알려졌던 쿼키(Qurky)는 2015년 9월 22일 파산했다. 쿼키는 개인의 아이디어를 상품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회사로 냉장고 안에 계란이 몇 개 남아있는지를 스마트 폰으로 확인하게 해주는 장치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제품을 판매했었다. 한때 GE 등에서 1억 8천 달러 투자를 받고 1억 매출을 달성하기도 했으나,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데 들어간 운영비용이 만만치 않았던 게 파산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후 플렉스(Flex)에 인수되어 새롭게 오픈하였으며, 현재는 커뮤니티 주도의 발명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Y 콤비네이터(www.ycombinator.com)는 아이디어 제안자의 창업 역량을 육성해 투자자와 연결해주는 플랫폼으로 아이디어와 자금을 연결하는 측면에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과 유사하지만, 시드 자금을 제공하고 자문, 네트워크 등의 지원을 통해 아이디어 제안자를 육성하는 측면에서 큰 차별점이 있다. 또한 이노센티브는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기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외부 전문가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한다. 이외에도 캐글(www.kaggle.com), 나인시그마(www.ninesigma.com), 테크숍(www.techshop.ws) 등 다양한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이 존재한다.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 현황 구분 자본주의형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 복지형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창조경제타운) 글로벌 혁신 플랫폼 설립 주제 민간 주도 정부 주도 국제기구 주도 지원 대상 우수한 아이디어 제안자 모든 아이디어 제안자 모든 개발도상국의 아이디어 제안자 운영 방향 우수한 아이디어의 선별 지원 모든 아이디어의 발전 및 구체화 아이디어 제안자의 역량 강화 모든 아이디어의 발전 및 구체화 아이디어 제안자의 역량 강화 아이디어 멘토링 VC 전문가 재능기부 형태의 전문가 재능기부 형태의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전문가 사업화 지원 직접 제작 및 벤처캐피탈 (VC) 연계 시제품 제작, 자금, 유통판로, 마케팅 등 전 분야에 걸쳐 정부\/민간 연계 시제품 제작, 자금, 유통판로, 마케팅 등 전 분야에 걸쳐 글로벌 지원 연계 수입 분배 아이디어 제안자 및 수익 창출에 기여한 플랫폼 참여자 아이디어 제안자 아이디어 제안자 (개발을 선진국에서 하는 경우 일부 수익 배분 가능) 핵심 가치 수익 창출 창의도전 문화 확산 개발도상국 혁신 문화 확산 및 현안 해결 ",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국가지도집", "생성배경": "일찍이 근대국가 형성 이후 국토와 국가의 발전 모습을 대내외적으로 선언하고 홍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지도집을 발간해 왔으며, 특히 국가 간 영토분쟁이 최근 첨예화되면서 영토 주권을 공식화하는 수단으로서도 적극 편찬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한민국 영토 주권을 대외적으로 명확하게 선언할 뿐만 아니라 대내적으로 국토 공간 정책 및 국토교육의 기초자료와 국토공간정보의 통합의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서 2007년 이후 국가지도집을 국가적인 사업으로 발간해 오고 있다. ", "용어설명": "국가지도집(National Atlas)은 ‘한 국가를 대상으로 하며 국가의 영토 및 자연환경, 경제, 인구, 문화, 역사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에 근거한 각종 통계자료를 제공하며 해당 국가를 대표하는 지리학 및 지도학 관련 학회와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고 그들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결과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국가지도집은 중앙정부가 발간의 주체가 되어 자국을 대상으로 특정시기의 자연·인문정보를 종합적으로 수록한 지도집 혹은 지도를 포함시킨 일종의 종합적인 지리서를 말한다. 이는 한 국가의 중요한 국토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영토나 지명 문제 등에 있어서도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대다수의 유럽 및 북미 국가를 포함하여 중국·일본·호주 등 70여 개국에서 국가지도집을 발간하고 있다. 특히 국가지도집 제작에는 지도제작 정부기관은 물론이고 해당 국가의 지리학회와 지리학자의 역량을 총집결시켜 국가적 사업의 명분과 신뢰를 높이고자 노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가지도집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우리나라는 2007년 처음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현대적인 체제로 ‘대한민국 국가지도집’을 발간한 바 있다. 국내외 배포를 목적으로 국문판과 영문판을 동시에 발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09년 축소형의 영문판 국가지도집인 ‘The National Atlas of Korea’를 편집, 발간하였다. 2007년 지도집의 시간적 범위는 1990년대 이후부터 2005년 까지 급격한 경제성장과 이에 따른 전반적인 사회\/문화 및 산업구조 등을 포함하며, 특히 영토표기 문제와 관련해 특정 연대의 역사적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남북한)의 영토를 범위로 하며, 주제에 따라 일부 지역 및 국가를 포함하며,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 과거 우리나라의 국경선을 포함한 지역도 포함하고 있다. 끝으로, 내용 범위는 국토의 영역과 국경선, 자연현상, 역사, 경제현상, 인구와 도시, 정치·사회문화 등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과정에 관한 주제도 포함하고 있다. 국가지도집의 구성 체계 대분류 세부주제 페이지 수 영토 대한민국, 대한민국 전도, 영토와 해양, 강역과 행정구역, 고지도, 1:5만 지도 32 자연지리 지형, 지질, 토양, 기후, 수문, 환경, 자연재해, 식물상과 식생, 야생동물, 해양 54 인구 및 정주 인구분포와 인구성장, 인구동태와 인구이동, 인구구조, 가구와 주택, 문화와 관광, 도시와 촌락 34 경제 경제지표, 산업기반시설 및 에너지 부문, 1차 산업 및 광업, 제조업, 서비스업, 교통·통신 36 사회 및 정치 노동, 보건·복지, 여성, 교육, 정치, 세계속의 한국 36 지도설명문 개별 지도 설명문 46 1:5만 색인 1:5만 색인 40 출처 : 국토포털 홈페이지(www.land.go.kr)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1세기의 대동여지도”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발간하다, 2015년 3월 9일 국토지리정보원, 2012, 국가지도집 갱신 발간 및 서비스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국토포털 홈페이지(www.land.go.kr) ", "작성자": "이원호 교수(성신여자대학교) \n" }, { "정책용어":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생성배경": "그동안 일자리와 복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서비스 기관들이 하나둘 생겨났다. 저마다 열심히 만들었지만 정작 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들은 어디로 찾아가야 하는 지 불편함이 많았는데 이를 해소하여 일과 고용을 통한 복지향상이라는 국민의 안정적인 생활을 최대한 지원하기 위해서 설치되었다. ", "용어설명":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일명 “고용복지+센터”)는 실업 급여, 복지 상담, 신용회복 상담 등의 여러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기관을 말한다. 과거에는 취업 상담이나 실업 급여는 고용센터, 복지 상담은 지방자치단체, 신용회복 상담은 서민금융센터로 흩어져 있었으나, 2013년 고용노동부, 안전행정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등이 협의하면서 이들 서비스를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도록 추진되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고용센터(고용부), 일자리센터(자치단체), 복지지원팀(복지부, 자치단체),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여가부), 서민금융센터(금융위), 제대군인지원센터(보훈처)등 다양한 참여기관을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조직 및 운영 출처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홈페이지(www.workplus.go.kr) 2014년 10개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가 개소, 정착되었으며, ‘15년도에는 40곳, ‘16년에는 서울청 소속 9곳, 부산청 소속 10곳, 제주 2곳을 포함해서, 전국에서 30개소가 새로이 설치되어 70곳에 이르렀으며,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이용절차는 한 장소에서 고용과 복지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당창구에서 상담을 받다가 다른 부처나 기관 등의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으면 해당 기관의 창구로 연계되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복합적인 어려움이 있는 경우, 참여기관 합동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조직 및 운영 출처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홈페이지(www.workplus.go.kr)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이용사례 A씨는 남편과의 이혼과 3회에 걸친 뇌수술로 인해 우울증을 겪으며 아이와 차고에서 생활하는 등 극심한 생활고를 겪었다. 그런데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해비타트의 집수리, 적십자의 지원 등의 도움을 주었고 현재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지원받으며 취업성공패키지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전국 고용복지플러스 홈페이지(www.workplus.go.kr)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한 과제 환경부 보도자료(2015, 2016) ", "작성자": "김현호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개발사업구역", "생성배경": "광역개발권, 개발촉진지구, 신발전지역, 특정지역, 지역종합개발지구 등 지역개발을 촉진하는 다양한 제도가 운영되어 왔으나 기존의 지역개발제도는 계획권역이 중첩되고, 유사·중복적인 사업내용과 복잡한 추진체계에 따라 민간투자가 부진하여 실제 지역발전에는 기여하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러한 기존 지역개발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지난 2014년 6월에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2015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새로운 지역개발제도는 기존의 산만하고 비효율적인 지역개발제도를 통합하여 실행력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재설계하였다. 또한 지역개발사업구역의 지정권한을 종전 국토부장관에서 시·도지사로 이양하고 구역지정, 사업시행자 지정, 실시계획 승인 등 3단계를 일괄승인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지자체 및 민간주도의 사업추진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시·도에 “지역개발조정위원회”를 설치하여 타사업과의 유사·중복성을 심의하도록 의무화하고, 전문기관에서 객관적으로 사업타당성을 평가하여 사전검증을 강화하도록 명시화 하였다. 신발전지역 육성을 위한 투자촉진 특별법 제도 변경 ", "용어설명": "지역개발사업구역은 지역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자립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시행하는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1조 및 제16조에 따라 지정·고시된 일단의 구역을 의미한다. 지역개발사업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낙후지역 또는 낙후지역과 그 인근지역을 연계하여 종합적·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역개발사업, 둘째, 거점지역과 그 인근지역을 연계하여 지역발전의 전략적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특화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종합적·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역개발사업, 셋째, 국가의 특별한 사회적·경제적 목적을 위하여 집중적으로 연계·개발하기 위한 지역개발사업으로 고속철도와 그 주변지역, 국방·군사시설이 설치된 또는 설치될 지역의 주변지역 등이 해당된다. 지역개발사업구역은 지역개발계획에 따라 지역개발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이나 지역개발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으로 난개발의 우려가 없는 소규모 지역(3만㎡ 미만)에 입지를 결정할 수 있다. 지역개발사업구역은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입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첫째, 광역도시계획, 도시·군기본계획에 부합되는 지역, 둘째, 지역개발사업이 고용증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 지역발전에 이바지하는 공익성을 갖출 것, 셋째, 지역개발사업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사업일 것, 넷째, 지역개발사업이 해당지역의 특성 및 여건에 부합할 것, 다섯째, 지역개발사업의 재원조달 및 투자계획 등이 실현 가능할 것, 여섯 째, 지역개발사업을 인근 지역에서 시행중이거나 시행이 예정된 다른 법령에 따른 개발사업과 연계함으로써 지역발전의 효과가 클 것 등이다. 「낙후지역형 지역개발사업구역」에 한해 법인세·소득세를 감면하고 취득세·재산세의 감면비율·기간을 조례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감면대상은 창업\/사업장신설 기업은 투자금액 100억원 이상, 시행자는 총사업비 1,000억원 이상으로 감면비율은 창업\/사업장신설 기업은 3년간 100%, 2년간 50%, 시행자는 3년간 50%, 3년간 25%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5), 지역개발사업 추진 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 예규 제98호, 지역 개발 및 지원에 관한 업무처리지침 노컷뉴스(2015), “충북도, 지역개발사업구역 3개소 지정”(www.nocutnews.co.kr\/news\/4505547) ", "작성자": "채성주 연구위원(충북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화폐", "생성배경":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걸친 불황과 공동체 내 자산 유출 현상의 심화, 공동체 경제의 확충 등의 논의과정에서 지역통화 혹은 지역화폐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지속가능한 사회와 행복한 공동체를 만드는 데 지역화폐를 통해 실천을 하고 있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면서 많은 지방정부들이 직접 지역화폐 정책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 "용어설명": "지역화폐란 국가의 공식화폐와 달리 소규모 공동체 안에서만 쓰이는 화폐이며, 일반적으로 지역교환 거래체계(Local Exchange Trading System)의 줄임말인 레츠(LETS)로 널리 알려졌고, 지역통화와 품앗이 등의 표현으로도 사용한다. 지역화폐는 일반적으로 특정지역에만 통용되는 화폐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또 하나의 지불수단으로 법정화폐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화폐는 공동체화폐(community currency), 보완화폐(complementary currency), 전환\/이행화폐(transition currency), 가치절감화폐(depreciative currency)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지역통화의 형태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지역 내 자원순환을 촉진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안에서 화폐화하지 못한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지역활성화’라는 목적을 실현하고 있다. 지역화폐(통화)는 첫째, 이자는 축적수단으로 변질되어 소수에 집중되기 때문에 이자를 붙이지 않고, 둘째, 특징 집단(회원)이나 지역사회에서 통용되고, 셋째, 회원이나 지역사회에 의해 자유 발행되며, 넷째, 자발적 가입(수용)과 상호부조로, 다섯째, 경제적 측면(지역경제활성화)과 사회적측면(공동체활성화)이 공존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지역화폐는 수평적 호혜관계와 상호부조 촉진, 및 지역경제의 자립과 활성화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지역화폐를 도입하고 있다. 지속적인 경기침체 속에서 지역화폐의 역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내생적 지역발전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첫째, 지역의 경제주체를 활성화하고 새롭게 만들어내는 역할 둘째, 지역내 교환을 촉진함으로써 지역내 생산과 소비를 증대시키는 역할 셋째, 개별 시민들의 삶의 방식을 더 지역적이고, 더 지속가능하게 바꾸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다. 즉, 지역내 경제주체, 지역내 교환 지역주민들의 삶의 방식이라는 세 가지 측면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국내에는 1996년 ‘녹색평론’을 통해 개념이 소개된 뒤 1998년 3월 처음으로 신과학운동 조직인 ‘미래를 내다보는 사람들의 모임’이‘미래화폐’라는 지역화폐제도를 처음 도입했다. 이후 경기 안양의 ‘고잔 품앗이’, 경남 진주의 ‘상봉레츠’, 서울 송파구의 ‘송파품앗이’ 등 30여개의 지역화폐가 생겨났다. 각 지역이나 단체의 사정에 따라 시스템 운영의 부침이 심하여 안정적으로 지속되고 있는 곳은 송파구 자원봉사센터의 ‘송파품앗이’와 대전의 ‘한밭레츠’를 비롯한 극소수의 지역과 단체에 국한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동안 일부 시민사회단체 등 소규모 단위로 시도돼 왔는데,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들까지 나서 지역화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강원도는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처음으로 지역화폐를 도입하기로 했다. 2016년부터 지역 자금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지역공동체를 복원하며, 지역 내 자금의 선순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연간 4조원 규모의 지역화폐 유통 사업을 시범 운영한다. 수원에서도 100여명의 시민들이 ‘수원시민화폐 추진모임’을 꾸리고 10만원씩을 내 2014년 9월부터 3개월간 시범운영하였다. 현금을 전자화폐형 시민화폐로 바꾼 뒤 농산물매장, 음식점, 생활용품점 등 지역 가맹점에서 물건을 사고팔 때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충남 홍성군 홍동면에서는 ‘톨’, ‘뜰’, ‘잎’ 지역화폐를 사용하고 있으며, 지역화폐를 구상하는 모임을 매주 금요일 마다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인천시 강화군이 도입한 지역화폐 ‘강화사랑상품권’이 발행 1개월 만에 약 3억 원어치 팔리면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강화사랑상품권’은 지역 내 영세 상가, 골목상권 등을 살리려고 발행한 지역화폐로 인천 10개 군·구 가운데 강화군에서 처음으로 도입됐다. 강화농협에서 3% 할인된 금액으로 상품권을 구입해 식당, 미용실, 전통시장 등 지역 1천300여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 "해외사례": "지역화폐는 1983년 캐나다의 작은 마을 코목스밸리에서 처음 탄생했다. 당시 코목스밸리는 공군기지 이전과 목재산업 침체로 실업자가 넘쳐났다. 컴퓨터 프로그래머 마이클 린턴이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통화시스템인 ‘레츠’(LETS’Local Exchange Trading System)를 만들어 주민들끼리 노동력과 물품을 교환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3천개 이상의 지역화폐가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경우 500개, 프랑스는 250개, 미국과 일본은 각각 200개 이상의 지역화폐를 갖고 있으며 매년 그 수가 늘고 있다. 회원 2천명으로 1990년대 세계 최대 규모의 지역화폐로 분류된 ‘블루마운틴 레츠’가 있는 호주와 뉴질랜드에도 300개 이상의 지역화폐 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남미와 아시아에서도 지역화폐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현재 지구촌에서 유통되고 있는 지역화폐는 크게 실물화폐, 전표·수표, 가상화폐 등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실물화폐 형태의 대표적인 사례는 2006년부터 미국 매사추세츠주 버크셔 카운티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버크셰어’다. 5개 은행 13개 지점에서 95달러를 내면 100버크셰어를 환전 받을 수 있다. 버크셰어를 사용하면 5% 할인을 받는 셈이다. 버크셰어는 주유소, 식품점 등 400여개의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시중에 유통되는 규모는 230만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전표,수표 형태는 영국, 헝가리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통장, 적립카드 등을 통해 관리되는 가상화폐 형태에는 사회복지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돼 시카고를 비롯해 미국 몇몇 도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타임달러시스템 등이 있다. 지역화폐의 변화시기를 3세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세대는 LETS, SEL, 타임뱅크로 대표된다. 1980년대에 레츠(프랑스 SEL)와 타임뱅크 실험으로 1983년 캐나다에서 시작하여 1990년대까지 점차적으로 성장했다. 제2세대는 이타카, 팔마스, 레기오 등이 대표적이며, 1991년 이타가 아우어에서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에 제2의 바람이 확산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독일의 Regio(킴카우어), 브라질의 공동체은행, 영국의 Transition Towns(석유위기 대응 친환경도시운동 시민단체)이다. 제3세대는 지방정부의 참여가 이루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 출현했으며, 대표적인 사례는 로테르담 실험으로 2002년에 시작하여 NU로 알려진 Dutch 프로젝트이다. ", "참고자료문헌": "니시베 마코토, (2002), 지역통화 LETS에 대하여, 녹색평론 2002년 7-8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2014), 지역화폐와 지역경제발전,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2014). 『지역화폐 A to Z』,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창우(2015). “지역화폐로 만들어가는 행복한 마을공동체”,『KDI 경제교육』2014년 7월호. KDI 충남연구원(2015). “사회적경제와 지역화폐”,『웹진』제82호, 충남연구원 한성일(2014), 『지역화폐운동의 유형과 특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경제학 박사학위논문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통합 재정사업 평가", "생성배경": "2016년도부터 관계부처(기획재정부, 미래창조과학부, 지역발전위원회) 합동으로 「통합 재정사업 평가 지침」에 따라 일반재정, RD, 지역사업 등 분야별 칸막이식으로 운영되던 기존의 각종 재정사업평가를 통합하여 부처단위의 종합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기존에는 재정사업자율평가(국가재정법 제8조), 기금사업운영평가(국가재정법 제82조),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간평가(연구성과평가법 제8조), 지역발전사업평가(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9조)가 별도로 실시되었으나, 사업 수행부처가 소관 재정사업을 자율적으로 평가하고 기재부·미래부·지역위(이하 메타평가부처)가 확인·점검(메타평가)한 평가결과를 재정운용에 활용하도록 통합·변경되었다. ", "용어설명": "평가대상은 원칙적으로 예산, 기금이 투입되는 모든 재정사업이며, 각 부처별로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이후 분야별·부처별로 메타평가(상위평가)1)를 실시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지역발전위원회·미래창조과학부(2016), 2016년 통합 재정사업 평가 지침(’13~’15 회계연도 평가)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16), 2016년 통합 재정사업 평가 결과 1) RD사업의 경우 연구성과평가법상의 상위평가, 지역발전사업의 경우 국가균형발전특별법상의 종합평가를 메타평가로 지칭한다. 2) 평가대상은 사업수 기준으로 2016년 50% 수준, 2017년 70% 수준, 2018년 이후 100%로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3) 일반 재정사업 기준으로 계획, 관리, 성과 및 환류 단계의 11개 지표로 평가하였다. 4) 관리, 결과 단계의 4개 지표로 간소화하였다. 5) 2016년 세출구조조정 목표는 평가대상사업 총예산의 1%이다. 6) 재정운용 우수부처에 대한 기관포상금 7.5억원이 2015년 신설되었다. 7) 2015년 기준, 단위사업은 일반재정(1,771), 정보화(240), RD(234) 등 총 2,245개이다. 8) 소액사업 소액사업의 기준은 일반재정 10억원 미만, 정보화사업 5억원 미만이다. 9) 사업 수 기준 상대평가 실시 부처의 경우, ‘미흡’ 등급 사업만으로 지출구조조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경우 ‘보통‘ 등급 사업까지 지출구조조정 대상에 포함하여 지출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 "작성자": "김성훈 센터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프라임(Prime)사업", "생성배경": "교육부는 2015년에 들어와 교육전문가, 학부모, 교원 등으로 구성된 「교육개혁추진위원회」을 통해 교육부문의 구조개혁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자유학기제 확산, 공교육정상화 추진, 지방교육재정 개혁,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일˙학습병행제 확산 등 5대 교육개혁 과제를 본격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이 중에서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활성화를 위해,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교육 인재양성 방안」 시안 마련(2015.8월), 대학구조개혁 결과 발표(2015.8월), 「대학구조개혁법」 수정안 발의(2015.9월) 등을 추진하였고, 이어서 대학이 산업수요에 맞게 학과개편과 정원조정을 추진하도록 지원하는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사업 즉, 프라임(PRIME : PRogram for Industrial needs - Matched Education) 사업의 세부 추진계획을 2015.10월에 발표하였다. 이상과 같이 프라임사업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입학 자원 급감1) 청년 실업률 증가, 창조경제 시대로의 전환 등 급변하는 사회˙산업구조에 부응하기 위해, 대학의 기능 조정(학과개편 및 정원조정)을 통해 산업인력의 양적˙질적 미스매치 해소를 유도할 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대학은 오랜 기간 공급자 중심의 인력양성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산업·사회 현장에서 원하는 인력양성 기능이 취약하였고, 그 결과로서 대학의 인력 공급과 산업계의 인력 수요 간의 미스매치가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프라임사업은 산업수요 중심의 자율적인 대학 체질개선을 통해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기초한 인력 미스매치의 양적 조정과 학생의 진로역량 강화를 주된 정책목표로 설정하였다. 프라임사업 추진방향 프라임사업은 정책목표의 달성 및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①학생 중심의 교육개혁을 위한 자율성과 유연성을 대학에 부여, ②교원 신분˙학생 정원 유지 등 대학 구성원(교직원, 학생)과의 합의, ③선제적이고 자율적인 대학의 변화 요구에 충분한 재정적 뒷받침 등을 핵심적인 추진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프라임사업은 전국 4년제 대학(과학기술원(대), 원격대, 대학원대학 등 제외)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총 3년 간, 대학의 자발적인 양적˙질적 구조개혁을 지원(2016년 2,012억 원)하며, 재정지원 종료 후 5년 간 사후 성과관리를 진행하여, 구조개혁 노력이 대학의 체질 개선으로 뿌리내리도록 할 계획이다. 그리고 사회수요에 맞는 학사구조 개편과 학생 중심의 학사제도 개선을 위해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과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의 두가지 사업유형으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선도모델 창출과 성과 극대화를 도모해 나갈 계획이다. 프라임사업 유형별 사업내용 및 지원규모 사업유형 사업내용 지원규모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사회 변화와 산업수요 중심으로 대학 전반의 학사조직과 정원 조정 선도 총1,500억 원(9개교 내외) 대학별 평균 150억 원 최대300억 원(1개교)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창조경제, 미래 유망산업 등 특정 분야 중심의 인력 양성을 위한 개편 총500억 원(10개교 내외) 대학별 평균 50억 원 프라임사업 추진을 통해 첫째, (양적 조정)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을 기초로 사회˙산업수요 중심의 학사구조 개편과 정원 조정 등 대학의 체질개선을 유도하고, 둘째, (질적 개선) 지식의 전수가 아니라, 지식 창출과 문제 해결의 능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대학 교육의 축과 흐름을 이동하게 하고, 셋째, (지역 연계) 국가 전체적인 미스매치 해소 뿐만 아니라, 지역의 여건과 산업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에서 대학의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교육부는 프라임사업의 세부 추진계획(안) 발표(2015.9) 이후, 공청회˙간담회(2015.10), 기본계획 확정 공고(2015.12), 사업계획서 접수(2016.3.30.~31), 선정평가(2016.4)2) 등의 과정을 거쳐 총 21개 대학3)을 지원 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지역˙권역별로 대형 유형은 수도권 3개교, 비수도권 6개교 등 총 9개교를, 소형 유형은 5개 권역(수도권, 대경˙강원권, 동남권, 충청권, 호남˙제주권)별로 2~3개교씩 총 12개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21개교의 프라임 분야로의 정원이동 규모는 총 5,351명으로 해당 대학의 전체 입학정원(48,805명)의 약 11%에 해당하는 규모이며, 2017학년도 입학정원부터 반영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교육부 보도자료(2015.6),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교육 인재양성 방안」시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2015.8), 교육부, 강도 높은 교육개혁을 위한 로드맵 제시 교육부(2015.10),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 기본계획(시안) 교육부(2015.11), PRIME 사업 기본계획(시안) 관련 대학 관계자 간담회 자료 교육부 보도자료(2016.5),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 21개교 선정 1) 2030년 미충원 규모가 약 16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2) 선정평가는 1단계 서면평가, 2단계 대면평가 절차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사업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원 대학을 최종 선정하였음. 3) 총 75개 대학(대형 27개교, 소형 48개교)이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였으며, 이 중 최종 선정된 대형 유형과 소형 유형의 선도대학에 대해 각각 연간 약 150억 원, 50억 원을 지원함.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아동친화도시", "생성배경": "1996 년 이스탄불에서 열린 인류 거주문제에 대한 UN 국제회의(해비타트Ⅱ)는 도시가 모두에게 살기 적합한 곳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데에 결의하였고, 나아가 ‘아동의 안녕’이야말로 건강한 도시, 민주적 사회, 굿거버넌스의 궁극적 평가지표임을 선언하였다. 또한, 1948년의 세계인권선언 그리고 1989년의 유엔아동권리협약을 통해, 협약 당사국들은 모든 아동의 성장과 안녕을 보호 할 수 있는 환경과 삶의 질을 보장하자는 데에 합의하였다. 특히, 현재 총 196 개국이 비준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은 각 도시들에게 시설 및 서비스 확충, 아동의 참여와 의견 반영, 국제연대 등 새로운 도전 과제들을 부과하고 있다. 유니세프는 이와 같은 전세계적 움직임에 동참하여 아동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 사업을 시작했고, 각 지역정부들과 협력하여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는 1996년 개최된 유엔회의에서 최초로 발의되었고, 2000년 이탈리아에 위치한 유니세프 리서치 센터에 아동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 사무국을 설립하여 전세계 아동친화도시 사업을 지원하며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현재 아동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 사업은 유니세프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각 나라의 실정에 맞게 추진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 "작성자": "아동친화도시사무국 (http:\/\/childfriendlycities.kr\/) " }, { "정책용어": "공유도시", "생성배경": "공유경제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많이 진행됐으나 공유도시는 서울을 비롯한 일부 도시에서 정책적으로 추진하는 개념으로 이론적 배경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정보통신의 발전에 따른 공유도시의 활성화와 스마트시티와 같은 도시의 첨단화에 기반을 두고 출현하였다. 또한 저성장, 고령화, 도시쇠퇴와 같은 사회적 변화와 소유보다 사용에 중점을 두는 소비패턴의 다양화에 따라 공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12년 9월 20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세계최초로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하고 도시공간의 공유화를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용어설명": "공유(Share, 共有)란 물건, 공간, 재능, 시간, 정부 등을 함께 나누어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말하며, 공공의 소유를 의미하는 공유(公有)와는 구분된다. 서울시는 공유도시(Sharing City)를 “시민사회, 기업, 공공부문의 소통과 협업을 통해 공유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도시”로 정의한다. 공유허브(sharehub)는 공유도시를 “물건, 시간, 재능, 정보 등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것을 함께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유휴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시민들의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서 공유가 활성화된 도시”로 정의한다. 공유도시 서울 추진배경 서울특별시(2012).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 추진계획”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서울혁신기획관(2012),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 추진계획. 서울혁신기획관(2015),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 2기 추진계획. 장윤배 외(2016), 공유도시 이론과 실현방안. 수원: 경기연구원. ", "작성자":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 \n" }, { "정책용어": "관광품질인증제", "생성배경": "관광산업 규모의 확대는 관광시설 및 서비스 품질에 대한 불만 증가를 동반하고 있으나 관광이 지닌 서비스의 속성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관광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관광품질 향상이 선결되어야 함으로 관광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관광품질을 관리하는 방법의 하나로 관광품질인증제는 관광객에게는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사업자에게는 자발적으로 서비스 품질 개선을 하도록 유도하는 기제(機制)로 작용하여 관광의 질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정 수준이상 품질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관광품질 인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관광품질 인증은 소비자에게 믿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객관적 지표가 되고 있다. ", "용어설명": "관광품질인증제란 관광시설, 관광서비스, 관광상품 등이 제공하는 품질이 적정한지 정당한 절차를 통해 공적 기관(중립적인 기관)이 증명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관광진흥법에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며, 정책실행을 위하여 제도로써 운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제품품질은 적합성(일이나 조건 따위에 꼭 알맞은 성질)을 측정하지만, 관광품질은 적정성(알맞고 바른 특성)을 측정한다는 것이 중요한 차이이다. 일반적으로 관광품질은 관광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관광객의 지각(知覺)으로, 품질은 기대 품질과 지각된 품질의 차이로 설명된다. 이처럼 관광에서는 주로 서비스 품질의 개념으로 사용됐는데, 서비스의 품질이 제공자, 소비자,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표준화가 어렵다. 그러나 관광품질인증제를 통해 관광품질은 관광사업자의 서비스 이행표준과 표준화된 평가 기준으로 관광품질 서비스 수준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일정 수준 표준화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의 관광품질 인증은 숙박시설, 음식점, 관광쇼핑, 여행상품 등 분야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단체 혹은 지자체 등 인증기관도 다양하다. 이처럼 기존 관광품질 인증제도는 시행하는 기관이 다르고, 평가 기준 항목과 고려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혼란을 줄이기 위하여, 관광산업의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상위 개념의 통합적 인증제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졌다. 한국관광공사에서는 굿스테이, 한옥스테이, 코리아스테이, 우수쇼핑점 등의 인증을 통합하여 한국관광 품질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대상은 공중위생관리법상 숙박업, 관광진흥법상 한옥체험업,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관광면세업(사후면세)까지 대상이 된다. 이는 그동안 한국관광공사에서 추진해온 분야를 통합한 것이므로 아직 엄밀한 의미의 통합관광인증제라고 할 수는 없다. 2017 한국관광 품질인증제(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공사에서 진행되는 한국관광 품질인증제는 품질인증을 받고자 하는 사업자가 관광공사에 신청을 하면 유관 분야 5년 이상 경력자로 평가단을 선발하고 평가 항목과 인증의 전문성과 기준에 따라 서류 심사, 현장 평가, 불시 또는 암행 평가, 품질인증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인증 여부가 결정된다. 한국관광 품질인증의 유효기간은 3년으로 인증업소에 대해서는 내외국인 대상 홍보 마케팅, 교육, 서비스 모니터링, 컨설팅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지원된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kto.visitkorea.or.kr) ", "해외사례": "외국의 관광품질인증제도 운용 현황을 보면, 기존의 관광관련 인증제도로는 관광품질 향상과 요구가 높아지는 소비자에게 대응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통합적 품질인증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홍콩과 호주는 숙박, 상점, 음식점 등 관광사업체에 대해 해당 상품 및 종사원 서비스 품질을 보증하는 관광품질 통합인증제를 각각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주의 경우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통해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하기 위해 포지셔닝하고자 관광품질과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통합적 관광품질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통합적 관광품질 제도는 각국의 관광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기관, 민간사업자 단체 등 개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품질 인증에 국가 차원의 품질인증을 부가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를 강화시키고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해외 관광품질인증제도 구분 홍콩 QTS 호주 T-QUAL 뉴질랜드 Qualmark 스페인 Q 인증마크 대상 상점, 관광숙박시설, 레스토랑, 헤어살롱 등 기존의 인증받은 관광업체 모든 숙소 및 관광업소 모든 관광업체 목적 관광업체 인식 개선,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홍콩의 쇼핑 명성 강화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 품질 관광경험과 정보 제공 관광산업 활성화 관광업계 자발적인 품질관리 및 고객들에게 품질정보 제공 주관기관 홍콩관광진흥청 호주정부관광청 뉴질랜드 관광청 스페인 관광품질원 평가방법 현장평가, 전문컨설턴트 평가 관광품질심의회 평가 현장평가, 피드백평가 - 등급혜택 인증마크 부여, 글로벌 마케팅 및 홍보 지원, 전문 컨설턴트 자문, 다양한 포럼 참여 마케팅 지원, 마크 부여 인증마크 부여, 홍보 및 가이드 제시 - 출처 : 오훈성, 김향자(2013) ", "참고자료문헌": "오훈성, 김향자(2013), 한국관광의 질적 발전을 위한 관광품질 관리 정책추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kto.visitkorea.or.kr) ", "작성자": "김향자 선임연구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n" }, { "정책용어": "스마트사회 간접자본", "생성배경": "스마트사회간접자본(Smart Social Overhead Capital; 스마트 SOC)에 대한 국제적 관심은 2009년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이 경기부양책에 스마트 SOC사업을 대거 포함시키면서 시작되었다. 또한, 스마트사회 간접자본은 사회인프라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제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질의 고용창출 등 단기적 경기부양과 장기적 성장잠재력 확충을 달성할 수 있는 미래유망산업이라는 점에서 그 관심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 "용어설명": "스마트사회간접자본은 교통, 전력, 교육, 의료, 환경 등의 분야를 디지털화하고 센싱(Sensing)1) 결과를 상호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분석˙예측하고 최적으로 대응하는 인프라를 의미한다. Smart Traffic(교통)은 교통흐름을 최적으로 제어하고 다양한 교통수단 간의 연계를 통합해 부분최적화가 아닌 교통 전체의 최적화를 추구하는 시스템이며, Smart Greed(전력)는 전력흐름을 지능적으로 제어하고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는 지능형 전력 시스템이다. Smart Edu(교육)는 교육용 PC와 TV등을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해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 양방향 개인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이고, Smart Healthcare(의료)는 디지털화된 개인의 의료정보를 네트워킹해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Smart Eco(환경)는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해 대기환경, 하천수질 등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상하수도관 등 용수공급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처럼 스마트사회간접자본은 자율적(autonomous)이고, 양방향(interactive)소통이 가능하며, 선제적(proactive)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기존 사회간접자본과는 확연하게 구분지어진다. 기존 SOC와 스마트SOC의 차이점 기존 SOC 접근방식 스마트 SOC 접근방식 인간의존도 Dependent(타율적) 사건 대응 및 문제해결 시 사람의 주의, 판단. 개입이 필수 Autonomous(자율적) 많은 경우 사람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문제를 스스로 알아서 인지하고 처리 운영방식 Unidiredtional(일방적) 니즈와 무관한 동질적 서비스 중앙집중적인 자원배분 Interactive(쌍방적) 다양한 니즈에 부응하는 맞춤형 서비스 분권적, 시장경제적 자원배분 데응방식 Reactive(대응적) 문제가 발생한 후에야 대응 사람의 요구가 있을 때 대응 Proactive(선제적) 사전적으로 문제의 소지를 제거 명시적 요구가 없어도 해결책을 제시 출처 : 삼성경제연구소(2009), 제696호, “SOC 투자의 新조류, 스마트SOC”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삼성경제연구소(2009), 제696호, SOC 투자의 新조류, 스마트SOC 한국정보화진흥원(2017),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1) 센싱(Sensing) : 센서의 작동으로 물체 또는 소리˙빛˙압력˙온도 등을 탐지˙관측˙계측하는 일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생활SOC ", "생성배경": "생활SOC란 사람들이 먹고, 자고, 자녀를 키우고, 노인을 부양하고, 일하고 쉬는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필수 인프라를 의미하며, ‘국무총리 훈령 제2조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정책협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에서는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생활SOC)을 보육·의료·복지·교통·문화·체육시설, 공원 등 일상생활에서 국민의 편익을 증진시키는 모든 시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넓게 해석할 경우 일상생활의 기본전제가 되는 안전과 기초인프라 시설까지 포괄할 수 있는 열려있는 개념이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유비쿼터스도시(U-City)", "생성배경": "유비쿼터스도시(U-City)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도시(city)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용어이다. 유비쿼터스는 ‘동시에 어디에나 존재하는’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고 있다. 지금은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유비쿼터스란 단어를 IT분야에 처음 사용한 마크 와이저(Mark Weiser) 는 컴퓨터를 사용할 때 일 자체보다는 컴퓨터 조작에 더 신경을 써야 하는 모순을 지적하면서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환경을 구상하였다. 즉 사람이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사람을 이해하고 학습하며 사람이 하는 일에 맞춰 작동하는 인간중심의 컴퓨터 환경이 곧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개념이 도시에 접목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이다.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구축사업이 본격화되고, 국내에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개념이 알려지면서 도시의 발전전략을 고심하던 지자체가 이 개념을 도시에 접목하여 U-City의 개념을 발표하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U-City가 태동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용어설명": "U-City의 용어 및 개념은 2008년 3월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법적인 명칭과 지위를 부여받았다. 동 법률에서는 U-City를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유비쿼터스도시기술을 활용하여 건설된 유비쿼터스도시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관련 용어정의 용 어 개 념 정 의 유비쿼터스 도시기술 ˙유비쿼터스도시기반시설을 건설하여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건설˙정보통신 융합기술과 정보통신기술 유비쿼터스 도시기반시설 ˙도로, 철도, 공원, 녹지, 학교 등 도시기반시설 또는 공공시설에 건설˙정보통신 융합기술을 적용하여 지능화된 시설 ˙초고속정보통신망,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 및 기타 정보통신망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의 제공 등을 위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 등 유비쿼터스도시의 관리˙운영에 관한 시설 유비쿼터스 도시서비스 ˙유비쿼터스도시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행정˙교통˙복지˙환경˙방재 등 도시의 주요 기능별 정보를 수집한 후 그 정보 또는 이를 서로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유비쿼터스 도시건설사업 ˙유비쿼터스도시계획에 따라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도시기반시설을 설치˙정비 또는 개량하는 사업 출처 :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의 내용 재정리 U-City는 궁극적으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기반시설에 건설˙정보통신 융합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해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지능화된 시설 및 정보통신인프라, 도시통합운영센터 등의 유비쿼터스도시기반시설을 통하여 정보를 가공해서 행정, 교통, 보건, 방재 분야 등에 다양한 유비쿼터스도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09),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2009~2013) 국토교통부(2013), 제2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2014~2018) 문창엽외(2012), 유비쿼터스도시정책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신동빈외(2011), U-City 시대의 도시공간 변화 및 도시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안승원(2008), Ubiquitous City 이해와 기획, 기다리 유럽 북해지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smartcities.info) ",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 \n" }, { "정책용어": "자율관리어업", "생성배경": "자율관리어업은 어촌계나 업종별로 구성된 어선어업협회, 단체, 조합 등이 그 구성원들 간 협의에 의해 스스로 수산자원 조성 관리, 불법 어업 예방, 어장 환경개선, 공동생산판매 등에 관한 자율 규약을 정하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어업기반을 만들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이다. 궁극적으로는 소속된 어업인 모두의 소득증대를 위한 것으로 주로 어업인 의식 개혁 및 실천을 통한 ‘새어촌 운동’의 성격을 갖고 있다. ", "용어설명": "자율관리어업이란 어업인들이 스스로 자체규약을 정하여 수산자원을 조성·관리하고 불법어업을 예방하는 활동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처음 도입되었으며 자율관리어업 참여 공동체 수도 2001년 시작 당시 63개소(5천 명)에서 10년이 지난 2011에는 893개소(63천 명)로 확산되어 약 12배 이상 증가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자율관리어업의 추진체계는 자율관리어업공동체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협의회, 추진지원단, 지도자협의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관리어업공동체에서는 자율관리위원회 구성, 규약 제정 및 심의, 사업 시행 등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시도로 구성된 지역협의회에서는 공동체 선정, 사업 평가, 기술지도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추진지원단은 해양수산부이며, 주로 행정, 예산, 제도적 지원을 맡고 있다. 그리고 지도자협의회는 자율관리어업의 안정적 정착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큰 역할이다. 자율관리어업 추진체계 출처 : 수산정보포털(2015), 「자율관리어업 홍보책자」(http:\/\/www.fips.go.kr) 자율관리어업 추진체계 역할 및 기능 구분 수행기관 내 용 자율관리 어업 공동체 어촌계, 공동체 자율관리위원회 구성 자율관리 규약제정 자율관리규약 심의 및 지원 요청(지역협의회) 자율관리사업 실시 지역협의회 시도 자율관리 참여 공동체 선정 자율관리규약 심의 사업실태 평가, 개선방안 협의, 기술지도 자율관리추진 문제점 개선 건의(추진지원단) 추진지원단 수산자원정책과 추진협의회 건의사항 검토 자율관리공동체 활성화 방안 자문 행정·예산·제도적 지원방안협의 지도자 협의회 공동체의 지도자들이 대표자를 선출하여 평가위원단을 구성 시·도별 자율관리어업 정보 교환 자율관리 지원방안 및 문제점 개선·건의 자율관리어업의 안정적 정착유도 출처 : 수산정보포털(2015), 「자율관리어업 홍보책자」(www.fips.go.kr ) 자율관리어업은 수산 관련 법령의 테두리 내에서 지속가능한 어업생산기반 구축, 지역별 어업별 분쟁해소, 어업인들의 소득향상과 어촌사회 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어장관리, 자원관리, 경영개선, 질서유지 등을 어업인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여 실천하고 있다. ", "해외사례": "해외에서는 일본의 자율관리어업이 활성화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자원수준을 초과한 과잉 어획노력량의 문제가 현실화되었으며, 일본 수산업계는 이 상황을 극복하고자 원양어업보다 비교적 유리한 여건에 있는 연안어업의 장점을 살려 자원의 보전 및 어업경영의 개선을 꾀하고자 자원관리형 어업을 주창하게 되었다. 대표적 사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오모리현 三澤市漁協의 북방대합관리 와카야마현 勝浦漁協의 공동어업관리 미야자끼현 日向市日向漁協의 기건망어업 윤번제 북해도의 常呂漁協의 큰가리비 생산관리 오이따현 姬島村漁協의 어기제한 및 자원조성 치바현 夷偶東部漁協의 닭새우 생산관리와 소비확대 에히메현 東豫市漁協 청년어업자 단체의 꽃게관리 카나가와현 橫兵市漁協의 어가조절 북해도 齒舞漁協의 소득균등화 카고시마현 野間池漁協의 재배어업 시즈오까현 坂井平田漁協의 대황, 감태관리 ",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11.7.22), 자율관리어업 10년, 어촌발전을 선도하다 수산정보포털(2013), 자율관리어업 홍보책자 한국수산경제신문(2013.9.16), 자율관이어업 선진화방안 자율관리어업 홈페이지(www.jayul.go.kr)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접경권초광역발전지원", "생성배경": "정부는 글로벌 시대에 대응한 대외개방형 국가경쟁력 제고와 지역상생을 선도하는 새로운 성장지대 육성을 위해 2008년 7월 신지역발전정책을 수립하면서, 초광역개발권 중 접경지역을 남북교류ㆍ접경벨트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초광역개발권 기본방향(2008년 12월) 및 기본구상(2009년 12월)이 발표되고, 후속조치로서 접경지역발전종합계획(2011년 7월) 수립 및 접경지역지원특별법 개정(2011년 5월 19일)이 이루어졌다. 이는 접경지역을 하나의 초광역권으로 설정하고 생태자원의 우수성과 비무장지대(DMZ)가 가지고 있는 평화의 상징성, 양호한 접근성 등 생태ㆍ평화ㆍ경제적 잠재력을 활용하여 접경지역을 세계적인 생태평화의 상징 공간으로 육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용어설명": "접경지역은 접경지역지원특별법 제2조에 의해 비무장지대 또는 해상의 북방한계선과 잇닿아 있는 시ㆍ군과 민간인통제선 이남의 지역 중 민간인통제선과의 거리 및 지리적 여건 등을 기준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경지역에 해당하는 범위는 인천광역시(강화군, 옹진군), 경기도(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고양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강원도(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춘천시) 및 비무장지대 중 파주시 군내면에 위치한 집단취락지역 등 15개 시ㆍ군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접경지역의 이용ㆍ개발과 보전을 조화롭게 이룰 수 있도록 계획과 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접경지역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노력할 의무를 갖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접경지역발전종합계획에서는 접경지역을 세계적인 생태ㆍ평화의 상징공간으로 육성하려는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접경지역 일원에 다양한 생태자원 및 문화유산 등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각종 규제로 소외되고 저발전된 접경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며, 통일시대를 대비한 완충지대로서 경제통합 배후도시로 만들어 나갈 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관계법령에서도 접경지역 발전 지원을 위해 접경지역특화발전지구를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역발전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사업시행자에게 자금을 보조ㆍ융자 또는 알선 등 지원하고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 및 조세를 감면하며, 도로 등 기반시설 설치, 민자유치사업, 주민고용 등을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정부는 접경지역종합발전계획에 따라 접경지역 15개 시ㆍ군에 2030년까지 20년간 18조8천억 원을 투입하여 생태관광벨트를 육성하고 동서녹색평화도로를 만드는 등 5개 전략 165개 세부사업의 시행을 추진하고 있으며, 부처별로는 행정자치부의 접경권초광역개발사업, 국토교통부의 신성장지역동력사업, 문화체육관광부의 접경권생태관광사업, 환경부의 생물권보전지역지정사업 등이 있다. ", "해외사례": "유럽연합(EU)은 낙후된 접경지역을 개발하고 접경지역간의 상호활동을 증대시켜 통합된 공동체의 내부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1990년부터 접경지역개발계획(INTERREG)을 수립하여 개발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과거 유럽 제철산업의 중심지였던 프랑스-벨기에-룩셈부르크의 접경지역은 지역경제와 사회침체를 억제하고 안정된 지역경제의 재구조화를 이루기 위해 지역경제ㆍ사회ㆍ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접경지역의 공동개발인 P.E.D. 개발을 실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역경제의 재구조화뿐만 아니라 도시계획ㆍ행정ㆍ사회적 통합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기적이고 전체적인 공동개발계획을 시도하고 있다. 접경초광역권의 비전과 목표 및 구상도 출처 : 행정자치부(201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안), p.35,59,63 ", "참고자료문헌": "문남철(2002), 유럽연합의 접경지역 개발전략, 대한지리학회지, 37(4) 행정자치부 보도자료(2009.12), DMZ 를 세계적인 생태-평화벨트로 조성 행정자치부(2010), 접경권 초광역개발의 기본구상 실현을 위한 세부 실천방안 최종보고서 행정자치부(201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안) ",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 \n" }, { "정책용어": "로컬푸드(Local food)", "생성배경": "로컬푸드(지역먹거리)에 대한 논의는 광우병(MCD), 소해면상뇌병증(BSE), 구제역 등의 피해로 인해 나타나게 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요구와 지역농업에 대한 위기로 시작되었고, 1990년대부터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기존의 식량체계에서 어려움에 처해 있던 가족농들은 생존전략으로 새롭고 더 건강한 농산품의 생산과 마케팅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지역 소비자들에게 더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농업생산과 유통여건의 악화, 소비자들의 질 좋은 먹거리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지면서 기존의 식량 체계에서 탈피하여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의 전환과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2000년대부터 본격적인 로컬푸드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n ", "용어설명": "로컬푸드는 일반적으로 특정지역 내에서 농업인들이 생산한 먹거리를 가능한 한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먹거리를 매개로 관계를 맺어주는 활동이며,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적정가격을 보장하면서도 최대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방법을 사용하여 일정지역에서 생산·가공되는 것으로 직거래나 공급체인의 단축을 통해서 지역주민들에게 유통되는 농산물 및 식품을 의미한다. 특히, 로컬푸드는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지역에서 소비하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로 볼 수 있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로컬푸드와 관련하여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온라인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POS-Mall 활성화 및 농수산물·중기 전용 홈쇼핑을 개국하는 등 ICT 활용 직거래를 활성화하며, 로컬푸드 직매장 확대((‘15) 100개(농협 75) → (‘16) 140개), 꾸러미사업 확대, 상생 직거래 장터 개설 지원, 농산물 택배시스템 개선 등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2009년에 설립한 (사)로컬푸드운동본부(http:\/\/www.lfk.or.kr)에서는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그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운동으로, 농장에서부터 식탁까지 즉,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거리를 최대한 줄여 먹거리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확보하고, 환경적 부담을 경감시키며, 더 나아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사회적 거리를 줄여나가자는 운동을 하고 있다. 또한, 완주로컬푸드영농조합법인에서는 건강밥상 꾸러미를 주력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쇼핑몰을 통한 판매, 직거래 장터 운영, 아동결식 지원 사업 등을 병행하고 있으며, 김포시 로컬푸드는 신선하고 저렴한 지역농산물 공급하고, 로컬푸드체험단을 구성과 ‘얼굴 있는 먹거리’를 실천하고 있다. 이 밖에 세종시 로컬푸드는 사업 활성화를 위해 건식가공품·습식가공품·반찬류 등 각종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농업인가공지원센터를 건립하고, 지역 학교와 공공기관 등에 지역 농산물을 식재료로 공급하는 ‘공공급식지원센터’도 설립·운영할 방침이다. 로컬푸드의 개념 \n ", "해외사례": "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취지로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을 전개하면서 ‘지역에서 뿌리를 둔 食(먹을거리)과 農(농업생산)의 재생’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신토불이(身土不二)와 맥을 같이하는 일본의 지산지소운동은 직매소 활동, 농산가공 활동, 학교급식 등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특히, 학교급식에서 지역의 초·중·고교는 지역농산물을 90% 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의 지산지소는 단순한 지역농산물의 생산·소비에서 벗어나 지역농산물을 연계한 다양한 지역경제 활성화 운동의 하나로 확대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윤장원 외 1명(2016), 로컬푸드의 성장요인 분석 주상현(2015), 로컬푸드 성공요인 분석과 정책적 함의 김영란(2014),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연구 윤종상(2013), 생산자·소비자가 함께하는 로컬푸드 발전방안 : 텃밭꾸러미 사례를 중심으로 서장원(2013), 우리나라 로컬푸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김자경(2013), 로컬푸드 지원조례와 공동자원(commons)의 운영원리-지원조례를 둘러싼 쟁점과 함의 장현욱 외 2명(2013),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연구 김미숙(2012), 건강욕구와 로컬푸드 운동 : 전북 익산시의 로컬 푸드 판매를 중심으로 위클리공감 블로그(koreablog.korea.kr)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 }, { "정책용어": "종합비즈니스센터", "생성배경": "종합비즈니스센터는 중소기업과 수출 지원기관이 주로 산업단지 바깥에 소재해 있고, 한국산업단지공단도 공장설립 지원역할에 기능이 국한되는 등 기업지원서비스 기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제3차 무투회의(무역투자진흥회의-정부 각 부처 합동, 2013.9.25)에서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 "용어설명": "종합비즈니스센터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지역 중소기업의 마케팅, 수출촉진 등 중소기업의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와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산업부에서는 제3차 무투회의에서 결정된 산업단지 혁신역량강화 및 기업지원서비스 확대를 위해 2013년부터 현재까지 5개 센터(군산, 청주, 김해, 익산, 울산)를 신규 조성 중이거나 건립 중에 있다. 각 지역의 종합비즈니스센터는 지역의 중소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첫째,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장비·시설 등 지원, 둘째, 수출지원센터 설립을 통한 수출 지원, 셋째, 제품홍보관, 다목적 회의장 등의 운영을 통한 마케팅 지원, 넷째, 중소기업, 소상공인 및 근로자를 지원할 수 있는 유관기관 및 단체 유치 지원과 함께 금융, 경영, 마케팅 등의 상담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관계부처합동회의 자료(2013.9.25.), 3차 투자활성화 대책-환경분야 및 산업단지 규제개선중점 국가법령정보센터, 「인천광역시 종합비즈니스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국가법령정보센터, 「구미시 종합비즈니스 지원센터 운영 규정」 지역정보포털 홈페이지(www.oneclick.or.kr 지역발전포털 블로그(blog.naver.com\/redis12)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 }, { "정책용어": "주택바우처 제도(Housing Voucher Program)", "생성배경": "월세의 증가, 임대료의 상승 등 주택임대시장의 변화는 바우처 제도의 도입을 논의하게 된 계기가 된다. 이는 안정적 주거생활이 보장되지 않고서는 개인의 존재, 가족의 가치 및 국가에 대한 신뢰 등이 추구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개인의 주택 선택권을 존중한다는 주거복지의 차원에서 제도가 도입되기에 이른 것이다. 주거급여 지원절차 출처 : 마이홈 홈페이지(www.myhome.go.kr) ", "용어설명": "‘주택바우처 제도’란 저소득층의 임대료가 소득의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임대료의 일부를 쿠폰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주택바우처 제도는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지원되는 대표적 주거비 보조 프로그램으로 원래는 쿠폰, 증서 등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을 의미하나, 넓게는 임차인에게 임대료를 보조해 주는 방식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독일, 프랑스 및 스웨덴과 같은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임차인뿐만 아니라 자가 거주자까지 확대하여 제공하기도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08년부터 도입이 제기되어 온 주택바우처 제도는 2013년부터 지방자치단체 2∼3곳의 1,500가구를 시작으로 매년 대상 가구를 늘리는 방식으로 앞으로 최소 2년∼최대 5년의 시범사업을 통해 전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 9월 10일 국토교통부는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사회보장위원회에서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방안’ 중에 이와 같은 방안을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2015년 6월부터 시행되는 주택바우처 제도의 주거급여 개편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대상가구를 중위소득 43%(4인 가구 189만원) 이하로 확대 초기 행정·재정적 부담을 고려하여 43%로 설정, 제도정착에 따라 상향 검토 생계급여 및 주거급여 수급자 선정기준 (단위: 원\/월) 구분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생계급여 선정기준(중위소득 29%) 471,201 802,315 1,037,916 1,273,516 1,509,116 1,744,717 주거급여 선정기준(중위소득 43%) 698,677 1,189,640 1,538,978 1,888,317 2,237,656 2,586,994 * (소득인정액 ≤ 생계급여 선정기준) 「기준임대료(실제임차료)」 전액 지원 * (소득인정액 >생계급여 선정기준) 「기준임대료(실제임차료) -자기부담분*」 지원 * 기준임대료는 최저주거기준 지역별 기준임대료 및 대상가구가 실제 지불하는 임대료를 고려하여 지급 실제 지불하는 임대료가 기준임대료보다 적은 경우 기준임대료가 아닌 실제 임대 료에서 자기부담분 공제 * 기준임대료는 최저주거기준 주택바우처 제도의 기준임대료 (단위 : 만원\/월) 구분 1급지(서울) 2급지(경기·인천) 3급지(광역시·세종) 4급지(그 외) 1인 19.5 17.4 14.3 13.3 2인 22.5 19.5 15.4 14.3 3인 26.6 23.6 18.4 17.4 4인 30.7 27.6 21.5 19.5 5인 31.7 28.7 22.5 20.5 6인 이상 36.9 33.8 25.6 23.6 출처 : 국토교통부, 2015, 정책마당(www.molit.go.kr\/USR\/WPGE0201\/m_35449\/DTL.jsp) 4급지(1.서울\/2.경기·인천\/3.광역시·세종\/4.그 외), 가구원수별로 구분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기준액보다 적은 경우 자기부담분이 없이 기준임대료 또는 실제임대료 전액 보조 * 생계급여 기준액 : 중위소득의 29% 이하, 4인가구 127만원 임차가구 지원기준 선정기준 (소득인정액 ≤ 생계급여 선정기준)「기준임대료(실제임차료)」전액 지원 \n(소득인정액 >생계급여 선정기준)「기준임대료(실제임차료) -자기부담분*」지원 자기부담분 (소득인정액 - 생계급여 선정기준) × 30% 출처 : 마이홈, 주거급여 (https:\/\/www.myhome.go.kr) ③ 주거유형별 지원방법 차별화 임차가구에는 임차료를, 자가가구에는 유지수선비를 보조 자가가구에 대한 보조는 주택 노후도를 평가해 최대 950만 원까지 주택수선을 실시 개편제도 요약 비교 구분 개편 전 주거급여 개편 후 주거급여 근거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주거급여법+국민기초생활보장법 소관 부처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지급 대상 소득인정액이 현금급여기준선(중위소득 33%) 이하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43% 이하 지원 기준 (현금급여기준액-소득인정액)의 약 22% 거주형태, 주거비 부담 등을 종합 고려하여 지급 임차 주거급여액 전액 현금 지급 좌동 자가 주거급여액 중 일부만 현금, 일부는 공제하여 주택개량 지원 주택개량 강화 소요예산 7,285억원 약 1조원 가구당 평균 월지급액 9만 원 약 11만 원 전달 체계 지자체 좌동(주택조사는 LH에 의뢰) 출처 : 마이홈 홈페이지, 주거급여(www.myhome.go.kr\/hws\/portal\/cont\/selectContHousingView.do#guide=HB001) ", "해외사례": " 선진 복지국가들이 주택바우처 제도를 도입한 것은 1970년~1980년대 재정위기를 겪으며 상대적으로 재정 부담이 높은 공공임대주택 공급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한 데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각 나라별 주택 재고량의 부족현상이 점차 해소되고, 공공이 직접 건설하여 공급하는 것보다 민간공급이 더 효율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다양한 형태로 도입된 것이다. 최초 주택 임차료의 현금 보조정책은 1901년 네덜란드 주택법에 명문화된 것이 시초이며, 이후 본격적인 추진은 오스트리아(1968년), 프랑스(1977년), 독일(1977년) 등의 유럽국가에 이어, 호주(1978년), 영국(1982년), 스웨덴(1991년) 등 대부분의 OECD 국가로 확산되었다. 주택바우처 제도 시행에 대표적 국가인 미국은 1984년 시범적으로 임대료 바우처(Rental Voucher)를 도입하며 시작하였으며, 1998년 주택 선택 바우처(Housing Choice Voucher) 프로그램을 통해 가구가 소득의 30% 정도를 임대료로 지불하도록 운영 중이다. ※ 현재 지역 중위소득의 50% 미망인 저소득층, 노숙자, 기준 이하의 주택 거주자, 소득의 50%를 임대료로 지불하는 자 등을 대상으로 차등지급 하고 있다. 전체 주거비 보조 가구는 약 495.2만 가구(전체 가구의 4.4%) 수준이며, 이중 주택선택 바우처 가구는 208.5만 가구(전체 가구의 1.9%)이나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국가별 주거비 보조 프로그램 현황 구분 프로그램 목적 미국 주택 선택 바우처(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임대료 부담 능력의 향상 빈곤층 밀집지역의 분산유도 기존 주택의 품질 향상 유도 영국 주거 급여(Housing Benefit) 최저소득의 보장 지방주택 수당(Local Housing Allowance) 주거비 부담능력의 향상, 소득 보조 독일 주택수당(Wohngeld) 주거비 부담능력의 향상 최저 주거기준의 충족 사회보장의 주거 급여(Housing Component of Sozialhilfe) 소득 보조 스웨덴 주택 수당(Housing Allowance) 주거비 부담능력의 향상, 소득보조 최저주거기준의 충족 연금수령자 대상 주거 보조(Housing Supplement for Pensioners) 소득 보조 출처 : 이종아(2012), KB daily 지식 비타민: 주택바우처 제도의 이해,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3), 주택바우처(주거급여), 정책마당, 주택 정책 박신영(2013), 주택바우처 도입에 따른 대안과 문제점 검토 -지속가능한 주거복지를 위하여-, 한국감정원, 부동산포커스, Vol.63: 39∼48 박은철(2012), ‘서울형 주택바우처 운영개선 및 발전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시정연 2011-PR-53 이종아(2012), KB daily 지식 비타민 : 주택 바우처 제도의 이해,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이코노믹 리뷰(2013), ‘[부동산용어] 주택바우처제도’ 국토교통부(2015), 보도자료(새로운 주거급여 시행) 마이홈 홈페이지(www.myhome.go.kr), 주거급여 ", "작성자": "황지욱(전북대학교 교수) \n" }, { "정책용어": "지방소득세", "생성배경": "세계적 추세인 지방화와 분권화에 부응하면서 복지와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겪고 있는 열악한 재정여건의 개선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의 재정자립도는 1995년 63.5%에서 2015년 45.1%로 18.4%p 오히려 낮아지고 지방재정의 중앙의존도만 고착화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하고 있어 지방자치제 발전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지방의 재정수요 증가에 비해 세입의 증가가 미미했음을 의미하며 가장 큰 이유는 지방재정의 근간을 이루는 지방세제가 재산과세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세수 신장성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체재원의 핵심 재원인 지방세의 안정성과 신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방소득세 도입을 통해 소득과세의 비율을 확대함으로써 과세 자주권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 "용어설명": "지방소득세는 2009년까지의 주민세 소득할과 사업소세 종업원할을 통합하여 2010년에 신설하였다. 이로써 종업원할과 재산할로 구성된 사업소세의 경우 종업원할은 지방소득세 종업원분으로, 재산할은 주민세 재산분으로 각각 편입되고 사업소세는 폐지되었으며 자치구의 재정을 고려하여 종전 사업소세분 세수는 구세로 남겨두었다. 지방소득세는 단순한 세목의 변경일 뿐 과세대상, 세율 등 세제상 변화는 없으며 국세인 소득세, 법인세의 세액을 과표로 10% 세율의 부가세(surtax) 형태로 과세하기 때문에 국세의 세수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2013년 9월 정부의 취득세 인하에 따른 재정보전 대책의 일환으로 「지방소득세 독립세 전환」 추진하여 진행하고 있다. 지방소득세의 구조 출처 : GRI 정책연구(2014), 지방소득세 독립세 전환에 따른 세무행정 조직개편에 관한 연구 ", "현재 용어의 사용": "지방소득세는 소득세·법인세의 납세의무가 있는 개인 또는 법인을 대상으로 과세되는 지방세로 소득의 크기에 따라 과세되는 개인지방소득세, 법인지방소득세, 특별징수분 지방소득세로 구분된다. 2014년부터 국세(소득세·법인세)의 부가세 형태로 운영 중인 지방소득세를 국세와 분리하여 독자적 과세체계로 개편하였으며 국세(소득세·법인세)의 소득금액을 과세표준액으로 사용하여 누진세율을 적용하는 형태로 개편하였다. 세율은 국세의 10% 수준에서 소득별 누진세율 방식을 적용하고 특별징수는 종전과 동일한 부가세율 10%를 적용하고 있다. 지방소득세 부가세 구조는 종전 부가세율 10%에서 독립세 전환에 따라 개인지방소득세 독립세율 0.6~3.8%, 법인지방소득세 독립세율 1.0~2.2%, 특별징수 부가세율 10%로 적용하고 있다. 지방소득세 과세 구조 출처 : GRI 정책연구(2014), 지방소득세 독립세 전환에 따른 세무행정 조직개편에 관한 연구 ", "해외사례": "OECD 국가들의 지방소득세 과세방식을 비교하여 보면 과표를 별도로 산정하는 완전독립세방식(예 : 스웨덴)과 과표를 국세와 공유하는 일반독립세방식(예 : 스페인), 국세의 세액을 과세표준으로 하는 부가세방식(예 : 한국, 이탈리아), 국세와 지방세가 공동으로 과세하는 공동세방식(예 : 독일)으로 나누어진다(배진환, 2013). ", "참고자료문헌": "GRI 정책연구(2014), 지방소득세 독립세 전환에 따른 세무행정 조직개편에 관한 연구 배진환(2013), 지방자치와 재정분권 실현을 위한 지방소득세 도입 이영희, 김대영, 하능식(2011), 법인세분 지방소득세 안분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황욱, 이재은, 김성태(2010), 지방소득세 독립세 전환 및 세원이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작성자": "김선기 선임연구위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방재정 투·융자심사", "생성배경": "지방의회 구성(1991년), 민선 자치단체장 선출(1995년) 등 1900년대 들어와 지방자치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자치단체장 선거에서의 공약 남발과 당선된 자치단체장의 무리한 공약 이행 과정에서 재정의 건전성과 효율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인기 위주의 선심성˙전시성 사업을 추진하면서 재정의 방만한 운영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투자사업에 대한 무분별한 중복˙과잉투자 및 재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여 1992년도에 「지방재정법」 시행령 개정(제30조제2항)과 지방재정 투˙융자심사규칙 제정(내무부령제570호)을 통해 지방재정 투˙융자심사 제도를 도입하였다. ", "용어설명": "지방재정 투˙융자심사는 「지방재정법」 제37조의 규정에 근거하여 지방재정의 계획적˙효율적 운영을 도모하고 각종 투˙융자사업에 대한 무분별한 중복˙과잉투자를 방지하여 지방재정의 건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이다. 투˙융자심사는 국가계획과 지방계획을 연계하여 건전하고 생산적인 지방재정 운영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주요 투자사업 및 행사성 사업에 대하여 예산편성 전에 사업의 타당성, 재원조달능력, 사업우선순위 등을 사전 검토하고, 「지방재정법」 제36조제3항에 따라 중기지방재정계획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예산을 편성토록 하고 있다. 지방재정 투융자사업 추진절차 출처 : 행정자치부, 지방재정 투융자사업 심사 매뉴얼, 2013.6 중기지방재정계획 반영 후 투˙융자 심사를 의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정변경 또는 예측하지 못한 사업의 경우 차기계획 반영 조건으로 추진 가능(사정변경 또는 예측하지 못한 사업이라 함은 국가정책사업의 계획변경 또는 연도 말에 긴급히 결정된 사업, 국회 심의과정에서 추가된 사업 등을 의미함)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행정자치부(2013), 지방재정 투˙융자사업 심사 매뉴얼 한국지방재정학회(2010), 지방재정 투˙융자 심사 제도개선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2), 지방재정분석 종합보고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2), 지방재정분석 통계자료 행정자치부,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3), 2013년도 지방재정분석편람 1)(시˙도) ① 총사업비 40억 원 이상 사업, ② 총사업비 10억 원 이상의 외국차관도입사업, 해외투자사업 또는 다른 시˙도와 공동으로 하는 사업, ③ 총사업비 5억 원 이상의 공연˙축제 등의 행사성 사업 또는 홍보관 사업, (시˙군˙구) ① 총사업비 20억 원 이상 사업, ② 총사업비 5억 원 이상의 외국차관도입사업, 해외투자사업 또는 다른 시˙군˙구와 공동으로 하는 사업, ③ 총사업비 3억 원 이상의 공연˙축제 등의 행사성 사업 또는 홍보관 사업 2)다만, 행사성 경비는 계획수립 이후 사업시행 이전에 투˙융자심사를 의뢰해야 함.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행복)생활권", "생성배경": "주거, 통근ㆍ통학, 서비스, 여가 등이 인근 지역에 걸쳐 진행되고 단순한 시ㆍ군ㆍ구 경계를 넘어서는 다양하고 다차원적인 서비스 수요가 일반화된 최근의 지역여건 변화에 따라, 과거 중앙정부가 추진하던 광역경제권정책은 공간범위가 넓고 인위적이며 기초생활권정책은 주민의 실제 생활권 범위와 불일치하여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발전정책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지역간 과다경쟁ㆍ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유기적인 생활서비스 연계를 통해 상생발전과 주민 복리증진에 공동으로 대처할 필요성에 따라 주민의 실제 생활공간에 기반한 지역행복생활권 도입이 추진되었다. ", "용어설명": "지역행복생활권은 생활 인프라, 일자리ㆍ교육ㆍ문화ㆍ복지 서비스가 충족되는 통상 2~4개 시ㆍ군 등이 연계된 주민 일상생활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역공간이 중심이 되어 주민생활과 밀접한 사업을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중앙정부는 관계부처 협업을 통해 개별사업 단위가 아닌 지역 단위의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지역발전위원회는 생활권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을 위해, 인구규모, 지리적 인접성, 공공ㆍ상업서비스 분포의 특성 등을 유연하게 적용하여 첫째, 농어촌 성격이 강한 지역으로 상호 연계성이 높아 지역별로 기능별 특화 및 역할 분담이 중요한 농어촌 시ㆍ군으로 구성되는 농어촌생활권(인구 10만 명 전후의 농어촌 시ㆍ군), 둘째, 지역 거점기능을 수행하는 중소도시와 인근 농어촌 시군으로 구성되는 도농연계생활권(인구 50만~10만 명 전후의 중소도시 및 인근 농어촌), 셋째, 광역시 등 지역 중추기능을 수행하는 대도시, 특화된 중소규모 도시가 연담된 중추도시생활권(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권 및 중소 연담도시권)의 3개 생활권 유형을 제시하였다. 지역행복생활권의 개념 출처 : 지역행복생활권 추진 가이드라인(지역발전위원회, 2013) ", "현재 용어의 사용": "지역발전위원회는 지역발전정책의 컨트롤 타워로서 지자체에서 생활권을 구성하면 관련부처와 함께 생활권별 핵심프로젝트를 선정 후 사업타당성을 거쳐 2014년에는 시범사업을 선정ㆍ지원하고, 2015년부터는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다. 주민생활과 관련된 핵심 5대 분야 중 생활권 관련 사업은 다음과 같다. 지역행복생활권 관련사업 분야 관련사업(예시) 생활권 기반확충 상하수도ㆍ혼잡도로 개선 등 생활인프라 공동 조성ㆍ이용 통합적 대중교통운영체계 구축 등 연계교통서비스 확충 폐기물처리시설, 화장장 등 환경 시설 공동 설치ㆍ운영 일자리 및 경제 활성화 주민직업교육 공동 운영, 도농간 일자리 매칭 생활권 농산업 클러스터 육성 및 노후산단 재정비 등 교육여건 개선 생활권 내 학생 등하교 편의를 위한 학교군 조정 통학버스 운행 노선 확대, 농어촌유학 프로그램 운영 평생교육 프로그램 연계 등 지역문화 및 생태 공동의 관광자원 개발 및 문화행사 공동 개최 숲 가꾸기 등 병충해 공동 방재 하천 및 어장의 공동 보전ㆍ관리 지역 의료ㆍ복지 생활권 단위 거점 복지센터 운영 도시병원 연계한 농어촌 의료여건 개선 전문 서비스 인력 공동 활용 등 출처 : 지역행복생활권 추진 가이드라인(지역발전위원회, 2013) ", "해외사례": "일본에서는 권역 전체에서 필요한 생활기능을 확보하고 지방권으로의 인구 정주를 촉진하기 위하여, 주민생활에 필요한 도시기능이 집적된 중심도시와, 농촌수산업ㆍ자연환경ㆍ역사ㆍ문화유산을 보유한 주변 시정촌(기초적 자치체)이 연대협력하는 ‘정주자립권(定住自立圈)’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www.soumu.go.jp\/main_sosiki\/kenkyu\/teizyu\/index.html)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행복생활권 추진 가이드라인 송미령(2013), 지역행복생활권의 의미와 과제, 지역발전위원회 대한민국정책정보지 ‘공감’ 홈페이지(www.korea.kr\/gonggam) ", "작성자": "이희정 교수(한양대학교) \n" }, { "정책용어": "지역거점병원", "생성배경": " 2005년 7월 「지방의료원 운영 및 설립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보건복지부에서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을 수립하였다. 보건복지부는 이 계획에 따라 공공보건의료체계 개편을 추진하면서 지방의료원과 적십자병원을 지역거점병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도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 계획에서는 지역거점병원의 주요 기능을 ‘양질의 2차 진료서비스 제공’과 ‘포괄적이고 공익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으로 정의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역거점 공공병원은 급성기 병상과 적정한 시설·장비를 갖추고 전체 의료 행위(ADRG 기준)의 50% 정도를 포괄하는 임상진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기본적 의료 요구를 충족하며, 응급의료·재활·장기요양·호스피스·가정간호 등 민간병원이 제공하기 어려운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보건의료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하는 기관이다. 또한 지역거점 공공병원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보건의료기관인 보건소, 민간 병의원, 복지시설 등과 연계체계를 구축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2014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지방의료원 33개와 적십자병원 5개소가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 운영평가에서는 각 지역거점 공공병원이 ①양질의 의료, ②합리적 운영, ③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 ④공공적 관리 등 4가지 영역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된다.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 중 지역거점 공공병원 육성 사업에 투입되는 국고 지원은 중앙정부의 일반회계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총 2,743억 원이 지원되었다. 이 중 지방의료원은 연간 최소 171억 원에서 최대 864억 원이 지원되어 합계 2,303억 원이 지원되었고, 적십자병원은 시설보강과 장비보강 사업에만 총 440억 원이 지원되었다. ", "해외사례": "일본의 공공의료기관은 ‘국립기관’과 ‘공적의료기관’으로 구분되며, 공적의료기관은 도도부현, 시정촌(공립), 일적(일본적십자사), 제생회, 후생연, 북해도사회사업협회, 국민건강보험단체연합회 등이 경영하는 병원을 말한다. 이중 자치단체 설립 공공병원의 첫 번째 역할은 지역의 중핵병원으로서 소규모병원이라도 지역의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내과·외과 외에도 소아과·정형외과·안과·피부과·산부인과 등 종합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과 유사하게 전쟁을 겪은 바 있는 베트남은 2000년대 들어서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서 저소득층과 오지 지역 주민을 위한 말라리아 관리를 증진시키고, 저소득층 가계, 전쟁 피해자 및 군인을 위한 의료보험의 도움을 확대하는 등 보건의료분야 수혜 정도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민간병원 및 공공병원 전국 분포도 공공보건의료 전달 체계 출처 : 보건복지부(2012), 2011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지역거점 공공병원 현대화 사업 ", "참고자료문헌": "보건복지부(2011),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 결과 보고서 보건복지부(2012), 2011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 지역거점 공공병원 현대화 사업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3.11.25), 2013 년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 결과 발표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9), 일본 공공병원 관리조직 사례조사를 위한 해외출장 보고서 ", "작성자": "오병기(전남발전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 \n" }, { "정책용어": "지역중견·강소기업(스타기업)", "생성배경": "기존 ‘중소기업-대기업(중소기업이 아닌 기업)’의 이분법적 분류체계는 중소기업 졸업 후에 부담이 급증함에 따라 많은 중소기업들이 성장을 기피하는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중간 영역으로서의 중견기업 개념을 도입하고, 중견기업 육성정책의 지원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제기됨에 따라 2011년 「산업발전법」을 개정하여 중견기업의 정의, 지원근거, 부담완화기간 등에 관한 규정을 최초로 마련하게 되었다. 이후 2014.1월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이하 중견기업법)」이 새로이 제정되면서 기존 「산업발전법」상의 관련 근거 규정은 삭제되고 주무부처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중소기업청으로 변경되었다. ", "용어설명": "중견기업이란 「중견기업법」 제2조제1호에 따라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을 졸업한 기업으로서 ①「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또는 채무보증제한기업집단에도 속하지 않는 기업, ②「중견기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에 따라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인 기업(외국법인 포함)이 해당 기업의 주식 등을 30% 이상 직\/간접 소유하면서 최다출자자가 아닌 기업, ③「중견기업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에 속하지 않는 기업, ④「중견기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2호에 따라 「통계법」 제22조에 의해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상의 금융업(64), 보험 및 연금업(65),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66)을 영위하는 기업이 아닌 기업을 말한다.\n 중견기업의 정의 및 범위 한편, 강소기업(히든챔피언, 스타기업 등)은 명확한 법적 판정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①RD투자의 규모 및 매출액 비중이 일반기업보다 높고, ②그에 따른 성장성과 수익성이 일반기업보다 높은 기업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견·강소기업 중에서 본사 또는 주력 사업장이 비수도권인 14개시도, 즉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을 지역중견·강소기업이라 할 수 있다. 중견기업 지원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2010년 세계적 전문 중견기업 육성전략, 2011년 산업발전법 개정 이후, 2012년에는 중견기업이 수출과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국가경제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관계부처 합동(제130차 비상경제대책회의)으로 ‘2조 달러 경제와 희망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중견기업 3000+ 프로젝트’를 마련한 바 있다. 그리고 2014년 중견기업법 제정 이후 2015년에는 중견기업이 한국경제의 중추로서, ‘창조경제’로의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면서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의 견인차라는 점을 고려하여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2015~2019) 중견기업 성장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동 기본계획에서는 2019년까지 중견기업 5,000개, 중견기업 일자리 155만 개, 수출 970억 달러, 한국형 히든챔피언 100개 육성 등을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①중소 → 중견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②중견 후보기업군 발굴·육성, ③핵심역량 고도화를 통한 글로벌기업 육성, ④사회적 책임 확산 및 정책기반 확충 등을 위한 다수의 정책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n 중견기업 지원정책의 변화과정 출처 : 중견기업정보마당(www.hpe.or.kr)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관계부처 합동(2015), 제1차(2015~2019) 중견기업 성장촉진 기본계획 제130차 비상경제대책회의(2012.8), 중견기업 3000+프로젝트(www.ahpek.or.kr ) 산업연구원(2012), 글로벌 강소기업의 성공요건 및 정책과제 산업연구원(2013.11), e-kiet 산업경제정보 제130차 비상경제대책회의(2012.8), 중견기업 3000+프로젝트 중소기업청(2016), 「2015년 중견기업 실태조사」 \n 1) 「중견기업법」 제25조에 따라 중소기업청장은 중견기업 확인요령(중소기업청 고시 제2014-42호)에 의거하여 중견기업자의 신청에 의하여 중견기업 해당 여부를 확인하는 중견기업 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음. 2) 강소기업(작지만 강한 기업)은 독일의 경영학자 헤르만 지몬(Hermann Simon)이 처음으로 사용한 ‘히든챔피언(Hidden Champion)’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헤르만 지몬은 히든챔피언을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기업, 각 분야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1~3위 또는 소속 대륙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업, 매출액이 40억 달러 이하인 기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히든챔피언에 속하는 기업들은 평균 60년 이상의 기업수명, 평균 매출액 4,300억 원, 평균 성장률 8.8%, 분야별 세계시장 점유율 33% 이상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3) 중소기업 규모 기준을 업종별 3년 평균 매출액으로 단일화, 4가지 상한기준(자본총액 1,000억원 이상, 상시근로자 1,000명 이상, 자산총액 5천억원 이상 등) 중 자산총액 5천억원만을 존치시키고 모두 폐지함. 4) 자산 5조원 이상 외국법인 등이 30% 이상의 지분을 소유하면서 최대출자자인 기업을 중견기업에서 제외함. 5) 제도변경 전의 기준을 계속 적용할 경우, 2014년 중견기업수는 2013년말 보다 217개가 증가한 4,063개로 추산됨.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n " }, { "정책용어": "(지역)산업생태계", "생성배경": "생태계(ecosystem)는 기본적으로 생태계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의존, 공생, 공진화(co-evolution), 경쟁과 협력, 가치창출과 가치공유 등을 핵심 개념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의 핵심 개념들이 경제·산업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배경은 기업 간 물자 및 에너지의 흐름을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산업생산에서 가치사슬의 분화로 기업 간의 상호의존성이 과거에 비해 훨씬 커졌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발전의 주요 트렌드로 산업과 기술의 융합화가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될 수 있는 산업 환경에 대해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것도 산업생태계가 주목받고 있는 주된 배경의 하나이다. ", "용어설명": "산업생태계는 특정 산업군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주요 기업들뿐만 아니라 소재 및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와 완제품을 제공받는 수요자, 경쟁자 및 보완재를 생산하는 업체들까지 산업 환경 내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생태계의 유기체들처럼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시스템 또는 경제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산업생태계는 특정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핵심 기업(keystone player)뿐만 아니라 공급자와 수요자, 경쟁자 및 보완재를 생산하는 업체들을 포함하는 확장된 네트워크(extended network), 이외에 제도 기관 및 관련 산업의 기타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아우르는 개념인 것이다. 지역산업생태계의 기본구조 출처 : 김영수·박재곤·정은미, 산업융합시대의 지역산업생태계 육성방안, 산업연구원(2012)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이동희, 구진경, 박지혜(2014), 산업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서비스 클러스터 활성화 전략 지식집약서비스를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김영수, 박재곤, 정은미(2012), 산업융합시대의 지역산업생태계 육성방안, 산업연구원 권오혁(2013),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방안, 국토(통권380호)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전략식품산업", "생성배경": "기존의 농가를 대상으로 한 평균적 지원방식을 개선하여 지역의 특화된 농산업을 중심으로 기술과 경영이 조화롭게 융합된 시스템 농업의 구축을 통하여 농가소득을 증대시키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지역의 특색과 여건에 맞는 농산업을 육성하고 생산위주의 농업을 1·2·3차 산업과 연계된 농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지자체의 자율성과 책임성 확대를 통해 지방농정 활성화를 도모해 나가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지역전략식품산업을 들 수 있다. ", "용어설명": "지역전략식품산업은 농어촌지역에 있는 유·무형의 향토자원을 발굴·개발하고, 1·2·3차 산업으로 연계·발전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 지역 농산업 주체들간 네트워크에 의한 가용자원의 최적 활용을 통해 농업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 및 농가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는 200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광역클러스터사업을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사업으로 확대 개편하였고, 이 사업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전략품목 육성과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산·학·연·관의 네트워크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n 지원대상 : 지자체, 사업추진단 지원방식 : 국비 50%, 지방비·자부담 50% 지원근거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16조(낙후지역 및 농산어촌의 개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14조(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의 수립), 제16조(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의 추진), 제51조(농촌지역산업의 진흥 및 개발) 추진경위 농업·농촌 종합대책 수립(2004. 2. 23) : 지역농업 발전전략: 대통령 업무보고(2004. 3. 8) - 지역농업클러스터 구축 지역농업 클러스터 시범사업단 20개소 선정(2005. 5) 지역농업 클러스터 본사업 추진방안 마련(2007. 7) : 지역농업 클러스터 신규사업단 22개소 선정(2007. 12) 지역단위의 분산·중복투자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광역경제권 연계를 통하여 사업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광역클러스터사업으로 변경 (2009 중기 재정투자계획 시) 광역클러스터 12개 사업단 선정(2009. 4)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사업으로 사업명칭 변경(2010. 4) \n ", "해외사례": "이탈리아 : 에르벳(Ervet) 클러스터 이탈리아 에르벳 클러스터는 장기간 자연적으로 형성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지방정부가 본격적으로 클러스터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게 되었음. 이 지역은 1950년대부터 20년간 농업의 현대화를 추진하였고 농업과 관련한 다양한 회사들이 입주하기 시작하면서 1970년대 이후 클러스터 성장기로 진입하게 됨 에르벳 클러스터는 지역특산물을 배경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2차 세계대전 후 산업단지 형태로 조성이 이루어졌으며 소기업 중심의 전통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지방정부가 클러스터 형성에 개입하기 시작하였으나 지방정부가 직접 개입하기보다 유한회사 설립 등을 통하여 클러스터를 조성했음 2008년 입주기업은 43만개 이상으로 이중 97% 기업은 종업원 20명 미만으로 기업당 평균 종업원 수는 5.2명임 이 지역은 6개 대학이 위치해 있고 15만명 이상의 학생과 6,400명의 교수와 연구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학생의 40%는 타 지역에서 유입되고 있음. 연간 이탈리아 특허의 17%가 이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음 \n ", "참고자료문헌": "양영석(2013), 지역전략식품산업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2012), 광역 도단위 식품산업단지 조성 타당성 연구 안병일(2010),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방향 지역농업연구원(2010),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식품산업의 발전방안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n " }, { "정책용어": "HOPE 프로젝트",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보도자료(2013.7), 박근혜정부 지역발전정책 방향제시(지역희망(HOPE) 프로젝트)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www.region.go.kr ) ", "작성자":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특화산업(新)", "생성배경": "산업통산자원부(舊지식경제부)는 2011년 7월 경제정책조정회의를 통해 종전 선도산업(광역), 지역전략산업(시도), 지역특화산업(시군구)의 3단계 체제로 지원하고 있던 지역산업지원사업을 2013년부터 선도산업(광역)과 新지역특화산업(시도)의 2단계 체제로 통합·단순화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지역전략산업의 일부를 2단계(2012~2014년) 광역선도산업에 포함하여 2012년부터 지원하기 시작하였고, 1999년부터 시행하고 있던 지역전략산업의 경우 2012년 말 지원을 종료하였다. 이러한 개편과정에서 기존 시군구 중심으로 지원하던 지역특화산업을 시도 단위로 재정립하는 것으로 지원방향을 설정하였다. 기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예산 및 추진방식으로는 시도 단위로 산업을 육성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시군구 단위 소규모 연고자원 위주의 지원으로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제한적이었고, 또 2009년부터 신규 사업(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 지역혁신센터조성사업, 지자체연구소육성사업)이 거의 없어 지원예산이 매년 축소되고 있어 그간 지역경제를 견인해 온 지역 중소기업들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지역경제 전반의 활력이 저하될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촉진을 위해 기존 연고자원 산업화에 초점을 맞춘 지역특화산업을 고용창출형 新지역특화산업으로 개편하게 된 것이다. ", "용어설명": "新지역특화산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산업지원사업 추진체계 개편에 따라 2013년부터 신규로 지원 중인 산업으로서, 시도 단위에서 육성이 가능하면서 지역 내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新지역특화산업 육성방향 구 분 지역특화산업(현행) 신지역특화산업(개편) 추진 단위 시군구 위주 시도 중심 지원 분야 지역연고자원 고용창출형 산업 추진 방식 개별 기획·운영 TP 통합 기획·운영 성과 관리 실적지표 위주 고용·매출 비중 확대 출처 : 지식경제부, 신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개편 가이드라인, 2012.12 신지역특화산업의 유형 구 분 유 형 1 유 형 2 유 형 3 유 형 4 유 형 5 산업 지역주력산업 지역연고산업 뿌리산업 문화융합 생활산업 지식기반 서비스산업 대상분야 시도의 주력산업 시군구의 연고자원 산업 제조업 기반 숙련산업 문화, 생활 관련 산업 서비스 산업 예시 정보가전 등 생물, 한방 등 금형, 주조, 용접 등 섬유·패션, 가구, 화장품, 가방 등 디자인, MICE, S\/W, 컨설팅 등 출처 : 지식경제부, 신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개편 가이드라인, 2012.12 세부적으로 新지역특화산업의 유형을 ①현재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거나 향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시도 차원의 지역주력산업, ②기존 연고산업(자원) 중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높아 시도 차원에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지역연고산업, ③소재를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기초 공정산업이자 제조업 기반산업에 해당하는 뿌리산업, ④근로자의 숙련도, 브랜드 가치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되며 지역 내 고용창출 효과가 지대한 문화융합생활산업, ⑤지식을 이용해 상품과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크게 향상시키거나 지식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식기반서비스산업 등 5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식경제부(2012), 신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개편 가이드라인 지식경제부(2012), 2013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 세부지침 산업통상자원부(2013), 제4차 지역산업지원위원회 안건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1),신지역산업 발전전략 계획수립 1)산업별 10개 이내의 표준산업분류코드(KSIC 5단위)를 설정하여, 광역선도산업과의 중복을 사전에 차단하였음. ", "작성자":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창업보육센터", "생성배경": "1997년 초 정부는 대기업중심 산업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대안으로 중장기적으로 벤처기업육성을 추진키로 하고,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벤처기업육성 특별조치법을 제정, 벤처창업 및 성장지원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이후 정부는 1998년부터 대학·연구기관의 전문성과 유휴 공간 등을 활용하여, 창업보육센터(BI : Business Incubator) 건립·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2011년까지 총 3,783억 원(건립 2,764억 원, 운영 842억 원 등)을 투입했고 2006년 이후 260∼280개의 BI를 통해 창업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는 창업초기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표적 창업지원 정책 및 인프라로 자리 잡았으며 전국적으로 4,818개 창업기업이 입주하여 연간 약 2조 4,800억 원의 매출과 2만 1천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성과를 보였다(2010년 말 기준). ", "용어설명": "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or)는 기술과 아이디어는 있으나, 제반 창업 여건이 취약하여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창업초기기업(예비창업자)을 일정기간 입주시켜 기술개발에 필요한 범용기기 및 작업장 제공, 기술 및 경영지도, 자금지원 등 창업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통하여 창업 활성화 및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기업의 멘토 및 디딤돌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제2조 제7항에서는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창업자에게 시설·장소를 제공하고 경영·기술 분야에 대하여 지원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장을 창업보육센터로 정의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1998년 29개의 창업보육센터로 시작해 2015년 현재 전국적으로 278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운영 중이다. 창업보육센터의 노후시설 개선, 일반건물의 BI전환 등에 소요되는 건립비(리모델링)와 창업보육센터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 등 일부 지원하고 있다. 건립비는 전체 사업비의 70%(3억 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고 나머지 비용은 사업자가 부담하고 있으며 운영비는 창업보육센터 운영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 지원하고 있다. 연도별 창업보육센터 운영 현황(1998~2015) 구분 1998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5 지원예산 63 468 163 183 168 189 306 353 380 227 보육센터 29 219 309 265 269 269 279 286 280 278 ", "해외사례": "세계 최초의 창업보육센터는 1959년 미국 뉴욕 주에 있는 바타비아(Batavia) 지역의 바타비아 기술센터(Batavia Industrial Center)이다. 미국 창업보육센터의 주요 기능은 창업에 필요한 지원서비스와 내·외부 전문가 연계, 마케팅, 회계\/세무, 지적재산권, 자금 및 정부지원금, 개인투자자나 벤처캐피털 연계, 기술 상업화나 이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입주기업도 다양하며 입주 기간은 평균 3년이지만 생명공학 분야처럼 연구개발이 오래 걸리는 업종은 제조업 기업보다 더 오래 입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보육센터 대부분은 졸업제도를 두고 있으며, 보육센터 운영주체는 전체의 약 70%가 비영리 기관이다. 핀란드의 테크노폴리스 벤처스(Technopolis Ventures Ltd)는 200여 개의 지식기반 하이테크 창업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핀란드 최대 비즈니스 창업 기관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의 생존율 86%, 연평균 성장률 50%로 하이테크 창업기업을 육성하는 데 매우 성공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스라엘의 기술창업보육사업은 1991년에 시작되었으며 외국으로부터 국내로 이주하는 내국인의 보유기술을 창업으로 연결시키고 혁신적인 기술아이디어를 가진 국내 기술인 창업을 촉진할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즉, 이스라엘 창업보육사업의 특징은 기술적인 경험이 많은 신규 이민자들의 고용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창업보육센터 개념도 ", "참고자료문헌": "김주미(2011), 우리나라 창업보육센터 현황 및 개선 방향 중소기업청(2013), 2012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벤처창업 촉진을 위한 지원시스템 구축 중소기업청 보도자료(2011. 8. 25), 창업보육센터, 선진형 제3세대 플랫폼으로 재편 창업보육센터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www.bi.go.kr) ", "작성자": "오병기 책임연구위원(광주전남연구원) \n" }, { "정책용어": "창조경제", "생성배경": "선진국은 수년 전부터 기술과 지식에 의한 효율성과 생산성 증가를 통해 부를 축적해 온 그간의 경제성장 패러다임(지식경제)이 한계1)에 도달함에 따라 종전에 존재하지 않는 혁신적 기술과 창의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창조경제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미국, 영국, EU 등 주요 선진국들은 창조와 혁신을 통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첨단기술, 문화, 예술 등 각국의 강점에 기반한 경제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변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 역시 경제운영의 패러다임을 국민의 창의성에 기반한 선도형 성장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40여년간 우리 경제의 성장을 이끈 추격형 전략(노동ㆍ자본 요소투입형 산업경제 → 추격형 기술ㆍ지식에 기반한 지식경제)이 글로벌 경제위기와 신흥 산업국가의 추격 등에 따라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 "용어설명": "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란 용어는 뉴스위크(2000년 8월 27일)가 미국 기업이 21세기에 생존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를 중시하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 한편, 영국의 존 호킨스(John Howkins)는 2001년 「The Creative Economy」란 저서를 통해 ‘창조경제란 창조적 인간, 창조적 산업, 창조적 도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경제체제로 창조적 행위와 경제적 활동이 결합되어 뛰어난 가치와 부를 창출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창조경제 개념과 관련하여 창조산업을 중심으로 보는 관점2) 주력산업과 신산업의 창조화3) 또는 모든 영역에 걸친 창조성의 산업화로 보는 관점, 기존 추격형(모방형) 경제시스템에서 창조형 경제시스템으로의 전환(즉, 경제성장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보는 관점 등에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을 뿐,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개념이 정립되지 못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 그럼에도 2013년 초반 정부에서는 창조경제를 경제부흥, 일자리 창출 등의 국정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전략으로 설정하고, 세부적으로 ‘과학기술을 통한 창조경제 기반조성’, ‘ITㆍSW 융합을 통한 주력산업의 구조 고도화’ 등 20개의 국정과제를 제시하였다. 이후 정부는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을 확정(2013.6.4)함으로써 국가정책 차원에서의 창조경제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였다. 동 계획에서는 창조경제의 개념을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과학기술과 ICT에 접목하여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창출하고, 기존산업을 강화함으로써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새로운 경제전략’으로 규정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연구원(2013), 산업연구원 학술세미나 자료 미래창조과학부(2013.4),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 업무보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3),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 관점 및 사례 관계부처 합동(2013.6), 창조경제 실현계획 보도자료 1)기술ㆍ지식의 일반화, 이에 따른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하락 등 2)대표적인 논의로 UNCTAD는 2008년 연차보고서(Creative Economy, 2008)에서 창조경제를 디자인, 출판ㆍ인쇄ㆍ미디어, 시각예술, 문화유적, 전통문화, 공연예술, 시청각산업, 뉴미디어, 창조적 서비스 등의 창조산업을 중심으로 국가와 국제적 차원에서 점차 진화되고 있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음. 3)과학기술계에서는 창조경제의 개념을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 주력산업과 IT 간의 융합을 통한 창조화나 BT, NT, 브레인웨어, 서비스 등의 신성장동력산업의 창조화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음. ", "작성자": "정택영 책임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 }, { "정책용어": "창조지역사업", "생성배경": "창조지역사업의 주요 추진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발전이 진일보하기 위해서는 성장과 발전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그동안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획일적으로 적용되어 온 평가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즉, 모든 지역을 하나의 잣대로 평가하는 ‘비교의 비극’을 탈피하여 지역마다 고유의 정체성을 찾고 차별화된 잠재력을 살려 스스로 살고 싶은 지역을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시설물 건립, SOC 등 하드웨어 위주의 지역개발사업보다 특화된 소프트웨어로 지역의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자연자원, 역사문화 자원 등을 활용하여 지역별로 새롭고, 특색 있는 사업을 설계하도록 유도하여 지역의 자존심과 정체성을 고양하고, 살고 싶은 마음이 생겨나게 하려면 감성적인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지역발전과 관련한 지자체의 자구적·창조적 노력과 함께 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등을 통한 민간의 참여 확대가 강조되고 있는 최근의 시대적 상황에서 창조지역사업은 지자체와 시민사회 간 협력적·융복합적 지역개발에 필요한 정책이기도 하다. 창조지역사업의 추진배경 과거의 지역발전 앞으로의 지역발전 갈등적 지역주의 한 가지 잣대로 비교 소외의식·피해의식 떠나고 싶은 지역 상생적 지역주의 지역마다 다른 잣대로 개발 자존심과 차별성 살고 싶은 지역(애향심) 물질적, 양적성장 경제적 H\/W 상징적 대형프로젝트 정신적, 삶의 질 향상 문화적 S\/W 주민 체감형 소규모 지역사업 외생적 개발 중앙정부 시혜적 정부주도 내발적 개발 분권적 자조개발 정부-기업-주민 파트너십 ", "용어설명": "창조지역사업은 2011년부터 지역발전위원회가 행정자치부, 농림축산식품부, 국토교통부와 함께 공동으로 추진 중인 지역개발사업으로서 ‘지역별로 차별적인 사업(Only-one)을 발굴하여 지역의 창조성과 독창성을 극대화하고, 지역의 자원을 특화 발전시켜 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유·무형 자산을 토대로 창의적 발상으로 지역 주민의 참여하에 일차적으로 주민의 행복을 위해 이루어지는 중장기적 관점의 지역개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동 사업은 적은 예산을 가지고도 창조적 발상으로 다양한 부가가치를 만들고, 각 지역 고유의 특색 있는 콘텐츠 만들기에 집중하여 주민들의 자긍심 고취와 ‘살고 싶은 내 지역 만들기’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 사업의 특징이자 핵심 내용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보도자료(2014.11~12), 창조지역사업 성공사례 지역발전위원회 보도자료(2013.9.27), 2014년 신규 창조지역사업 선정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발전정책의 성과와 과제 지역발전위원회(2013), 창조지역사업 현장을 가다 지역발전위원회(2010), 창조지역 가이드북 1)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74개 사업에 대해 국비 544억 원을 지원하였음.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친환경농업직불제", "생성배경": "친환경농업은 농업이 가지고 있는 홍수조절, 토양보전 등 공익적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화학비료와 농약사용을 최소화하여 생산한 안전한 농산물로 소비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장해 주고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의 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농업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안전한 농산물 공급과 환경부하 감소를 위한 목적으로 1999년부터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에 대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으로 친환경농업직불제를 도입·시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우리나라에서 직불제가 도입된 것은 농산물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한 1997년 경영이양 직불제이며, 이후 농가 소득보전, 농업의 공익적 기능 유지, 농촌 공동화 방지 등의 목적 아래 다양한 직불제가 도입됐다. 이와 관련하여, 친환경농업직불제는 친환경농업 실천농업인들에게 초기 소득 감소분을 보전함으로써 친환경농업의 확산을 도모하고, 농업의 환경보전기능 등의 공익적 기능을 제고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이 밖에도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직불제로는 소득보전직불제, 쌀농업직불제, 경영이양직불제, 조건불리지역직불제, 경관보전직불제, 생산조정보상직불제, 친환경·안전축산물직불제 등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 농림축산식품부의 친환경농업직불제의 현행 지원 기준은 같은 필지에 친환경농산물을 계속해 생산하는 경우 최초 지급연도로부터 필지별로 무농약·저농약은 3년(3회), 유기인증은 5년(5회)으로 지원 기간을 한정하고 농가당 지급 면적도 최고 5ha까지로 제한하고 있다. 유기지속직불금은 유기농산물을 생산하여 직불금을 최장 5년간 지급(불연속인 경우 5회 지급)받은 필지에 대해 추가 3년간 지급(불연속인 경우 3회 지급)하도록 하고 ’10년까지 친환경농업직불금을 3회 수령하여 유기 5회 지급대상에서 제외된 필지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농업직불제의 사업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업대상 친환경농업 인증을 받은 농업인으로서 친환경농업 직불금을 받고자 하는 농업인 지급한도 농가당 0.1~5.0ha 지급단가 논 : 유기 600천 원\/ha 무농약 400천 원\/ha 저농약 217천 원\/ha 밭 : 유기 1,200천 원\/ha 무농약 1,000천 원\/ha 저농약 524천 원\/ha 유기지속직불 : 논 300천 원\/ha 밭 600천 원\/ha ", "해외사례": "유럽연합(EU)을 비롯하여 미국, 캐나다 등 수출국에서 한국, 일본, 중국 등 수입국에 이르기까지 각국의 실정을 고려한 다양한 직불제가 실시되고 있다. 국가 여건변화와 새로운 정책과제에 대응하여 직불제도의 개편도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은 2012년 농업법 제정과정에서 고정직불제(DP), 가격보전직불제(CCP), 수입보전직불제(ACRE) 등을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대신에 새로운 방식의 경영안정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EU는 소득보장직불제에서 단일직불제로 전환한 이후 과거의 실적에 근거한 직불제에 대해 지급근거를 둘러싼 논의가 진행되면서 직불제의 감축을 검토하고 있다. 반면에 일본은 미국이나 EU와는 달리 농산물 수입국 입장에서 직불제의 확대를 통한 경영안정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은 최근 시장개방에 대응하여 직불제 예산을 농림수산예산의 40%까지 확대하는 등 농정에서 직불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직불제와 관련된 핵심은 경영안전형직불제로서 호별소득보상제도, 공익형으로 친환경농업직불제, 농지물보전관리직불제, 중산간지역직불제 등이 있다. ", "참고자료문헌": "김호석 외 2명(2005), 농업보조금과 수질오염 : 친환경직불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3), 세계농업 제149호 농림축산식품부(2015),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사업시행지침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 }, { "정책용어": "행복주택", "생성배경": "철도나 유수지 등 낙후된 지역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한편, 도심공동화와 함께 문화지체현상 등 사회적 아노미현상이 점차 만연하고 있는 시점에서 2013년 4월 1일 정부에서 부동산종합대책을 발표하고 행복주택 시범사업 지구지정을 제안하였다. ", "용어설명": "행복주택은 도심 내 낙후지역에 건설되어 서민층의 실질적인 임대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사회적 활동이 왕성한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대학생 등 공급물량의 60%를 젊은 사회계층에게 우선 공급하게 되므로, 문화적 이용 및 경제적 소비수준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아서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철도로 단절되어 있던 공간을 연결하고, 공공문화복합공간을 개발하여 기존 거주자들과 함께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공유하며, 단지 내 복합상가 단지와 함께 소규모 재래시장을 활성화하고, 사회적기업 육성, 창업·취업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행복주택은 대학생·신혼부부·사회초년생 등을 위해 직장과 학교가 가까운 곳이나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곳에 짓는 임대료가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이다. 행복주택이 지어지는 곳에는 행복주택 외에 국공립어린이집, 고용센터, 작은도서관 등 다양한 주민편의시설도 함께 만들어짐으로서 입주민 기본 삶의 질을 보장하고 있다. 행복주택 선정기준은 개념에 부합하는 도심 내 철도부지 및 유휴 국·공유지를 우선 검토하고, 그 가운데 임대수요가 충분한 수도권 도심지를 우선 선정하되, 특정지역에 치우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한편,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의 효과가 크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 그리고 도심재생효과, 입체개발 및 복합주거타운 조성여건이 양호한 낙후지역 및 유휴 토지를 우선 검토한다. 국토교통부는 2016년 3월 현재 서울·부산시 등 11개 시·도에서 제안한 49곳(1만8천호) 사업을 선정하여, 정부목표(14만호)의 80%수준인 11만호에 대한 입지를 확정하였다. 특히 지자체 공모를 추진하면서 국공유지 활용형, 도시재생형, 산업단지 직주근접형 등 사업모델을 다양하게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2015년 행복주택 추진현황 행복주택사업 참여 지자체는 ’14년 5천호 → ‘15년 9천호 → ’16년(상반기) 1만6천여호 등으로 늘어나면서 젊은층 유입을 원하는 지자체들의 염원과 주거안정을 위한 행복주택사업 취지가 부합된 결과로 풀이된다. 부산시의 경우 젊은이가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청 앞 중심지역에 행복주택 2천호를 추진하는 등 전국에 걸쳐 사업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 "해외사례": "일본, 홍콩, 프랑스, 독일 등 많은 선진국에서도 행복주택과 유사한 형태로, 철로상부, 유휴 국공유지 등을 활용하여 복합적으로 개발한 사례가 있다. 특히 프랑스 리브고슈(Rive Gauche)가 대표적이다. 선로로 단절된 센 강 변과 인접 13구역을 폭 100m, 길이 3㎞, 면적 약 200만㎡의 인공대지로 연결하여, 주거기능 30%, 업무·상업기능 35%, 교육기능 10%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1985년 시작하여 아직도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 토통이네(2013.11), 행복주택 현장 (가좌지구) 방문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 희망이 넘치는 따뜻한 행복주택 동아일보(2013.9.27), 행복주택 11월 2차 선정 한국토지주택공사(2013), 행복주택 사업안내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6. 3. 1), 행복주택, 이제는 지자체가 앞장선다 행복주택 홈페이지 (www.molit.go.kr\/happyhouse\/info.jsp )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 "생성배경": "영국의 보수당 연정이 지역정책의 새로운 거버넌스로 지역기업협의회를 설립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RDA 광역권은 인위적 ·정치적으로 설정되어 개별 지역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지역 차원의 기능적 경제권의 설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둘째, RDA의 하향식(top-down) 정책추진과 관료제적 운영으로는 지역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 · 결집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자체의 자율성과 권한을 강화하는 실질적인 분권화의 확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셋째, RDA 설립 이후 지역 간 격차가 해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RDA 성과가 대체로 공공부문의 확대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지역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의 성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RDA를 폐지하고 LEP를 설립하게 된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2008년 금융위기에 따른 국가재정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경제적 목적1)과 함께 신노동당 집권 기간 동안 해체된 대도시 지역의 부활과 RDA 권역 내 도시지역 간의 갈등문제를 완화하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 "용어설명": "영국은 2010년 5월 보수당 연정(보수당+자유민주당)이 들어서면서 지역정책의 공간 단위가 기존 광역단위에서 로컬단위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1999년부터 신노동당 정부가 광역단위로 설립 · 운영하던 지역개발청(RDA: Regional Development Agency)2)이 폐지되고, 이를 대신할 로컬단위의 지역기업협의회(LEP: Local Enterprise Partnership)가 설립 · 운영되고 있다. 지역기업협의회는 지자체와 지역기업계의 협력기구(joint body)로서 산업계가 주도하고 있다3). 이러한 지역기업협의회의 설립은 영국의 지역정책이 공적 영역 및 정부역할을 중시하는 정책을 폐기하고 대신에 기능적 · 경제적 차원에서 시장 중심의 민간주도 정책으로 급선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박재곤(2013), 영국 지역기업협의회 (LEP) 의 운영현황과 시사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김재홍(2011), 잉글랜드 광역경제권 정책의 전환 : RDA 의 폐지와 LEP 창설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1호 정준호(2011), 영국 보수당 연정 지역정책의 중앙집권화, 지역경제(통권 제23호) 1)기존 RDA의 중앙정부 주도에서 지자체와 지역 산업계 주도의 LEP로 전환하면서, LEP는 중앙정부의 지원 없이 운영자금을 독자적으로 마련해야 하고, 지역성장기금(RGF)은 기존의 RDA에 비해 예산규모가 1\/4로 축소되었다. 2)RDA에 대해서는 지역의 다양한 니즈를 전체적으로 통합·조정하여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지역발전의 기반을 구축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準정부기관(Quangos)으로서 예산 효율성, 자율성 및 공공책무성 등에서 문제점을 드러냈다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고 있다. 3)LEP의 운영위원회를 지역기업인 중심으로 구성하고 기업인을 의장으로 선출하게 하는 등 지역 산업계가 주도권을 행사하는 운영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4)39개 LEP의 평균 인구는 약 150만 명이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공간정보사업(Spacial Data Project)", "생성배경": "저탄소 녹색성장, 경제활성화, 유비쿼터스 환경의 콘텐츠가 주요 이슈로 대두되면서 우리 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핵심이 되는 스마트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스마트 사회의 핵심 구성요소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컨버전스(Convergence),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정보기술(Smart Information Technology)이라고 볼 수 있으며, 결국 ‘지능화 사회’를 의미한다(국토교통부, 2013). 이런 지능화 사회에서는 공간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는데, 1996년 정부가 제1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본계획(1996∼2000)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공간정보사업이 탄생했다. ", "용어설명": "공간정보사업은 국가의 효율적 관리와 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정보화 사업이다. 2009년「국가공간정보에관한법률」이 제정되어, 동법 제6조에 따라 국가공간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을 촉진하고 새로운 정책과 전략마련을 위해 기존의 이차원적 ‘지리정보’를 넘어 삼차원적 ‘공간정보’를 담는 ‘국가공간정보정책기본계획(2010∼2017)’이 수립되었다. 공간정보사업은 이러한 법·제도적 기반 아래 추진되는 사업들을 말한다. 공간정보를 활용한 21세기 지도체계 출처 : 국토교통부, 2013. (www.nsdi.kr\/kor\/01_nsdiis\/sub02_01.do) 공간정보사업은 기본공간정보, 공간정보관련 표준 공간정보, 유통(메타데이터 포함) 공간정보, 기술 공간정보, 인적자원, 파트너십, 법·제도, 조직 등의 요소로 구성된 국가공간정보인프라 (NSDI: National Spacial Data Infrastructure)와 이를 활용하기 위한 공공·민간부문의 활용체계 및 공간정보 산업을 망라한다(김선태, 2010, 국토교통부). 특히 국가공간정보인프라(NSDI)는 전자지도에 지형, 건물, 도로, 지하시설물 등 모든 국토정보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사이버 국토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공간정보사업은 산업·행정·교육·문화 등 모든 영역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공간정보를 매개로 제조업과 IT산업이 융합될 때 신산업이 창출된다.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출처 : 국가공간정보포털(www.nsdi.go.kr\/menuno=2682) 따라서 국가에서 추진하는 국가공간정보인프라(NSDI)는 물류, 교통, 환경, 자원개발 등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통해 국민의 삶과 일터, 쉼터에 대한 다양한 공간정보를 제공하며, 공간정보를 콘텐츠로 하는 소자본 창업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국방, 환경, 방재관리 업무 효율화 등으로 ‘개발과 환경의 공존’을 위한 과학적 의사결정을 돕는다. 태풍, 홍수, 산불, 지진 등 재난재해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공항, 항만, 도로, 철도 등 SOC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국가공간정보사업의 추진성과의 추진내용 구분 제1차 국가GIS사업 (1995~2000) 제2차 국가GIS사업 (2001~2005) 제3차 국가GIS사업 (2006~2008) 지리정보 구축 지형도, 지적도 전산화 토지이용현황도 등 주제도 구축 도로, 하천, 건물, 문화재 등 기본지리정보 구축 국가\/해양기본도, 국가기준점, 공간영상 등 구축 중 응용시스템 구축 지하시설물도 구축 추진 토지이용, 지하, 환경, 농림, 해양 등 GIS 활용체계 구축사업 추진 3차원 국토공간정보, UPIS, KOPSS, 건물통합 등 활용체계 구축 추진 중 표준화 국가기본도, 주제도, 지하시설물도 등 구축에 필요한 표준제정 지리정보 교환, 유통 관련 표준 제정 기본지리정보 1건, 지리정보구축 13건, 유통 5건, 응용시스템 4건의 표준제정 지리정보표준화, GIS국가표준 체계 확립 등 사업 추진 중 기술개발 맵핑기술, DB Tool, GIS S\/W 기술개발 3차원 GIS, 고정밀 위성, 영상처리 등 기술개발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을 통한 원천기술 개발 중 인력양성 정보화근로사업을 통한 인력양성 오프라인 GIS교육 실시 오프라인 및 온라인 GIS교육 실시 교육교재 및 실습프로그램 개발 오프라인 및 온라인 GIS교육 실시 교육교재및 실습프로그램 업데이트 유통 국가지리정보유통망시범사업 추진 국가지리정보유통망시범사업 추진 총 139종 약 70만 건 등록 국가지리정보유통망 기능 개선 및 유지관리 사업 추진 중 지원연구 국가GIS구축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연구과제 수행 국가GIS현안과제 및 중장기 정책지원과제 수행 2007년 까지 국가GIS현안과제 수행, 2008년 변화된 정책 환경 지원을 위한 지정과제 수행 집행예산(억 원) 2,787 4,550 4,438 출처 : 국토교통부, 2013, (http:\/\/www.mltm.go.kr\/USR\/policyData\/m_34681\/dtl.jsp?id=567) 이러한 공간정보산업은 공간정보와 유무선 통신기술, 위치추적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융·복합 서비스 및 지능형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발전하고 있다. 향후에는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공간정보산업이 기존 단선형 산업에서 네트워크형 산업으로 진화하여 모든 영역에서 핵심요소로 활용될 것이다. ", "해외사례": "선진국은 이미 국가공간정보인프라(NSDI)를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94년부터 연방지리정보위원회(FGDC)에서 공간정보 표준화, DB 구축, 산업육성 등을 적극 추진해 오고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여러 산업과 서비스 부문에서 공간정보가 폭넓고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공간정보시장은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공간정보산업은 연평균 35%, 특히 상업부분은 연평균 100%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공간정보는 개인의 고품격 생활, 기업과 정부의 서비스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요소가 되어 앞으로도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외국의 국가지리정보체계 부문별 현황 구분 일본 미국 캐나다 유럽 기본 공간 정보 기본적이며 기반이 되는 3종류(기본 공간데이터, 공간데이터기반, 디지털 화상)를 국토공간데이터기반으로 지정하여 구축 다양한 사용자들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지리정보인 국가지리정보프레임워크(National Digital Geospatial Data Framework, NDGDF) 구축 각종 기관이 소유한 다양한 데이터와의 통합 및 활용 개발, 부가가치 창조가 가능한 캐나다공간 정보기반(Canadian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 CGDI) 구축 독일 : 국가, 연방정부, 민간의 협력 하에 German SDI 구축 핀란드 : 중앙·지방, 정부·산업·유저가 함께 Finnish SDI 구축 표준 공간정보 표준으로 국가표준(JIS)과 정부기술기준 운영 공간정보 분야 JIS 수는 총 9건(자국 공간정보의 JIS 제정은 3건, ISO 표준의 JIS 제정은 6건), 다수의 기술기준 운영 자국 공간정보 교환표준으로 G-XML 운영 공간정보 표준으로 국가표준(ANSI), FGDC 기관표준 통합운영 공간정보 분야 국제표준 주도국 국가표준 총 53건 중 31건이 자국공간 정보를 국가표준화 한 것 자국공간정보 교환표준으로 SDTS 운영 공간정보 표준으로 국가표준(CAN\/ CGSB) 운영 미국과 함께 북미지역표준화 공동추진 및 국제표준기구 활동 적극 참여 국가표준 5건 중, 4건이 자국공간정보를 국가표준화한 것 자국 공간정보 교환 표준으로 DIGEST 운영 프랑스 등은 유럽 표준화기구(CEN) 중심으로 국내외 표준 활동 추진 독일 : ISO\/OGC를 따른 데이터모델 ALKIS\/ATKIS 영국 : 자국 공간정보 교환표준으로 NTF 운영 유통 인터넷을 통한 기본 지리정보의 제공 클리어링하우스 확충 등 유통환경 정비 연방정부의 모든 지리정보와 서비스가 등록된 GOS(Geospatial One Stop)의 포털사이트 geodata.gov 개설 각종 지리정보 검색 및 서비스 제공 지리정보 구축을 위한 협력체제 구축 경비 분담을 통해 민간도 인터넷을 통해 정부의 지리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제공 프랑스 : e-government 서비스를 위한 카탈로그 개발 네덜란드 : 클리어링하우스 프로젝트를 민간분야까지 확대 핀란드 : 시민을 위한 무료서비스 및 유료의 전문적 서비스, 기업들이 사용자에게 국가지리정보를 공급 기술개발 GIS를 기본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산업의 창출 및 관련 기술과의 연계 도모 민간분야 인식 증대 및 적극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공간 기술산업협회(Spatial Technologies Industry Association, SITA)에서 관련 이슈 연구 지오매틱스 전문가 양성 및 성장산업 지원, 지오매틱스 교육홍보로 캐나다의 지오매틱스 부문의 경쟁력 및 능력 강화 산업 산학관민이 g-contents 유통추진협의회를 조직하여 경제산업성이 사업공모 고도의 지리정보기술 개발을 가속화시키기 위한 산업 협력체계 프로그램 구성 협력체계 지방공공단체와의 협력, 지역 지원 국제협력의 추진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및 민간업계 등의 협력 하에 효율적인 NSDI구축 도모 경쟁적 협력협정 프로그램(Competitive Cooperative Agreement Program, CCAP)도입 지리정보 공유 촉진을 위한 연방-주·지방 정부의 협력체계 프로그램 구성 민간과의 협력 하에 지역 능력 개발에 투자 정부, 지방정부, 민간 분야의 폭 넓은 협력체계 구성 NSPIRE를 통해 유럽 전 지역 국가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성 제도정비 지리정보의 전자화·유통 촉진을 위한 제도·가이드라인 정비 폭 넓은 지리정보의 이용설비를 위한 비용, 허가규정 및 기타 제반환경 조성 출처 : 국토교통부(2010),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0-2015) ",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공간정보산업 진흥법」및「공간정보산업 관리규정」 국토교통부(2013), 국가공간정보 기본계획 국가법령정보센터,「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국토교통부(2010),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국토교통부 정책자료(2013), 국가공간정정책 기본계획 국토교통부(2009), 공간정보사업 현황자료집 국토교통부(2011), ‘2010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에 관한 연차보고서’ 김병국, 배상근(2013), ‘대한민국 공간정보의 힘, 지능형국토정보기술 혁신사업’, 뉴스레터, Vol.61 n.4: 15∼23 김선태(2010), ‘국가공간정보 사업에 2015년까지 4조1천억 투입’, 나라경제, 경제정책해설, 국토교통부 : 42∼23", "작성자": "황지욱(전북대학교 교수) 작성자 : 황지욱 교수(전북대학교) \n" }, { "정책용어":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생성배경":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에 따른 부작용을 시정하고 지역개발 및 국가 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세종특별자치시가 설치됨에 따라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t ", "용어설명": "세종특별자치시의 효과적인 설치와 운영을 위해 제정된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은 국가의 책무, 세종특별자치시의 관할구역, 세종특별자치시지원위원회, 특별지원 및 특례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17개 조항과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2), 지역발전정책의 성과와 과제 국가법령정보센터,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 "작성자": "송우경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거점체력관리센터(국민체력100)", "생성배경": "최근 들어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국민의 건강한 육체를 바탕으로 한 행복한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국민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국민의 96.7%가 과학적 체력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부족(46.3%), 비용(32.0%), 프로그램 부재(21.7%) 등의 문제로 4.6%만이 이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감소하기 위해 예방의학 관점에서 국가 차원에서 국민의 체력을 과학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 "용어설명": "국민체육진흥기금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민체력 100(국민체력인증 기본계획)은 100세 시대에 부응하여 신체활동 감소로 저하 일로에 있는 국민의 체력과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생활습관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대국민 체육 복지 정책을 의미한다. 개인별 체력상태와 라이프 사이클에 의거하여 국민의 체력 상태를 과학적 시스템을 통해 측정·평가한 후 맞춤형 운동처방 및 상시 체력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다. 한편 거점체력관리센터는 지역주민들의 체력측정, 운동처방, 체력증진 교실 및 인증기능을 공식적으로 수행하는 지역밀착형 서비스 접점을 의미한다. 국민체력100 사업에서 측정하는 체력 측정 출처 : http:\/\/nfa.sports.re.kr ", "현재 용어의 사용": "현 정부에서는 연세대 평생건강의학센터와 협업하고 있는 원주시, 보건소에 거점체력센터를 설치한 서울시 성동구, 청주 의료원과 협업하고 있는 청주시 등을 벤치마킹한 거점체력센터를 2015년 7월 현재 서울에 4곳, 부산과 전남에 3곳, 경기, 강원, 충북, 경북에 2곳, 인천, 광주, 대전, 충남, 전북, 경남, 제주에 1곳 등 26개소를 운영 중이고, 2017년에는 68개소로 확대하여 2017년부터는 매년 100만 명에게 체육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해외사례": "선진국들은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사회적 의료부담을 줄이기 위해 체육활동 참여를 핵심전략으로 삼고, 예방의학 관점에서 관련 연구와 국가적인 투자를 활발히 하고 있다. The Cooper Institute는 1981년부터 미국인의 건강체력수준(FITNESS GRAM)을 개발하여 미국인의 과학적 체력 관리에 기여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체육과학연구원(2007), 국민체력인증기본계획연구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2013.9.2),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력100’(국민체력인증 기본계획) 발표 국민체력 100 홈페이지(www.nfa.sports.re.kr) ", "작성자": "이봉구 교수 (동의대학교) \n" }, { "정책용어": "기술성숙도\/기술준비수준(TRL)", "생성배경": "TRL은 1989년 미국 NASA의 Sadin이 항공·우주 분야 RD 프로그램의 기술투자 위험도를 관리할 목적으로 처음 도입하였으며1), 1995년에 J. C. Mankins가 NASA 백서에 “Technology Readiness Levels”를 발표한 이후 미국 국방부(DoD)2)·에너지부(DOE)3), 영국 국방부(MoD) 등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널리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 "용어설명": "기술성숙도\/기술준비수준(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은 특정 기술이 제품(System 또는 Subsystem)에 적용되기 전 기술(재료, 부품, 소자 등)의 개발단계 또는 기술성숙 정도를 객관적 지표에 근거하여 측정·평가·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한다. TRL은 특정 시점에서 기술성숙도를 기초연구단계부터 양산단계까지를 9단계로 구분하고, 이를 기준으로 특정 기술의 성숙도를 평가하거나, 이종 기술 간의 성숙도를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TRL 단계별 정의 단계 구분 정의 세부 설명 1 기초 연구단계 기초 이론\/실험 기초이론 정립 단계 2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 특허 등 개념 정립 기술개발 개념 정립 및 아이디어에 대한 특허 출원 단계 3 실험 단계 실험실 규모의 기본성능 검증 실험실 환경에서 실험 또는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본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 개발하려는 부품\/시스템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 4 실험실 규모의 핵심성능 평가 시험샘플을 제작하여 핵심성능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단계 컴퓨터 모사가 가능한 경우 최적화를 완료하는 단계 5 시작품 단계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확정된 소재\/부품\/시스템의 실험실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경제성 미고려) 개발 대상의 생산을 고려하여 설계하나 실제 제작한 시작품 샘플이 1~수개 미만인 단계 6 파일럿 규모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파일럿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가 완료된 단계 생산기업이 수요기업 적용환경에 유사하게 자체 현장테스트를 실시하여 목표 성능을 만족시킨 단계 성능 평가 결과에 대해 가능하면 공인인증 기관의 성적서 확보 7 실용화 단계 신뢰성평가 및 수요기업 평가 실제 환경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 부품 및 소재개발의 경우 수요업체에서 직접 파일럿 시작품을 현장 평가(성능뿐만 아니라 신뢰성에 대해서도 평가) 가능하면 KOLAS 인증기관 등의 신뢰성 평가 결과 제출 8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표준화 및 인허가 취득 단계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 의약품의 경우 식 약청의 품목허가 9 양산 단계 사업화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를 위해 품질관리가 중요한 단계 6-시그마 등 품질관리가 중요한 단계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분야별 TRL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2008.12 주 : TRL 단계별 정의는 기술 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배윤호, 최석철(2009), 국방시스템 기술전이지원을 위한 기술성숙도 도출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 제26권 제3호, 한국경영과학회 한국산업기술평가원(2008), 산업분야별 TRL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평가원(2007),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의 TRL 평가 기준 1)처음에는 기술성숙도를 7단계로 구분하였으나, 이후 9단계로 확장하였다. 2)미국 국방부(DoD)는 NASA의 TRL 단계별 정의를 국방무기 개발분야의 특성에 맞게 재정의(H\/W와 제조기술의 TRL 정의를 분리, 차이점으로 제조기술 TRL은 1~3단계 없이 4~9단계로만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3)사업의 위험관리 도구·수단으로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중이다. 4)(사례) 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이 미성숙 단계라면 그만큼 개발에 따른 위험이 높으며, 그 위험은 개발일정의 지연 및 비용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실 예로 미국 회계감사원(GAO)이 2006년 국방무기 개발사업 52개에 대한 분석결과, 미성숙 기술의 적용을 개발일정의 지연 및 비용 상승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함에 따라 미국 국방부는 사업관리상의 위험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TRL 6단계 이상에 도달한 성숙기술에 한하여 국방무기 개발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있다. 5)방위사업청은 2006년 「방위력 개선사업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RD과제 제안서 접수 및 개발과정에서 선행연구, 탐색개발, 체계개발 등 개발단계에 따라 TRL을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2012년 정부RD의 효율화 및 축소를 위해 ‘무기체계 연구개발 투자주체 선정 등에 관한 지침’을 제정하여 정부와 민간기업의 투자비율 등과 관련하여 TRL 6단계 이상은 민간기업 투자 위주로 추진하고, TRL 4단계 이상에 대해서만 ‘공동투자’, ‘기존 무기체계 개조·개량을 포함한 경우’, ‘민수전환이나 수출가능성 있는 사업, 군 소요량 많고 개발 성공 가능성 높은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6)한국산업기술평가원(ITEP)은 산업기술 분야에 TRL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①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의 TRL 평가 기준(2007년), ②산업분야별 TRL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2008년) 등을 수행하였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녹색기후기금(GCF, Green Climate Fund)", "생성배경":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어느 한 국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인 공동의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1997년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채택에 합의하면서 탄소배출량 감축(mitigation)과 기후변화적응(adaptation)이라는 두 가지 명제를 제시하였으나 아직까지 별다른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선진국은 개발도상국들이 무분별한 산업화와 낮은 기술수준을 이용하여 온실가스의 증가를 확대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개발도상국들은 지금까지 산업화를 주도해 온 선진국들의 책임이 더욱 크다고 반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으로 개도국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이 감축에 앞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기금의 조달 및 집행을 수행할 기구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 "용어설명": "2010년 12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 멕시코 칸쿤회의에서 녹색기후기금(GCF; Green Climate Fund)을 설립하고, 2020년까지 연간 1천억 달러 규모의 기금을 조성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2011년 12월 더반회의에서 ‘녹색기후기금설계위원회(선진국 15개국과 개도국 25개국 등 40개국 참여)’가 마련한 기금설계방안이 채택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Deloitte(2012), 녹색기후기금 유치의의와 향후 시사점, Weekly Insight 국가법령정보센터, 「녹색기후기금의 운영지원에 관한 법률」 임소영, 강지현(2013), 녹색기후기금(GCF)의 모니터링 방법론 연구, 산업연구원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녹색환경지원센터", "생성배경": "한국은 1960년대부터 급속한 산업발전을 이루었으나 성장 중심의 산업발전으로 1980년대부터는 자연환경 파괴, 대기·수질·소음·진동 등 다양한 환경오염이 발생하게 되었다. 울산·여수·시화지역 산업단지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및 악취 문제, 대구지역 염색폐수, 페놀유출 등 대규모 환경오염사태가 발생하였고, 팔당·충주호 등 상수원 유역의 비점오염원과 같은 지속적이고 관리가 어려운 환경오염이 나타났다. 중앙정부는 환경오염문제에 대해 지역특성을 무시한 획일적 규제와, 오염발생 사후 처리 등 일시적인 해결로는 더 이상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을 직시하고, 1990년대에 들어서 환경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과 지역 특성에 맞는 해결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 1994년 「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환경전문가, 민간단체 등의 협의를 거처 1998년부터 2005년까지 광역자치단체별로 환경기술개발센터를 설립하였다. 이곳에서 지역의 산업체 특성에 따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및 보급, 산업체를 지원·육성하며, 지역에서 자율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의 주된 사업내용은 기술개발연구로 센터가 지역대학 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2011년 4월 녹색환경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일부 법령을 개정하여 각 지역 센터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의 사업을 대행할 수 있는 규정을 신설하여 센터의 재정 자립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녹색환경지원센터는 지역의 대학교와 기업체 및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지역의 환경개선 및 보전을 위한 조사 연구, 환경기술 국제교류,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관련 교육사업 및 환경산업체 지원 등 지역의 녹색성장 활성화와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녹색환경지원센터는 1998년부터 환경부가 지정·운영해 온 각 지역의 환경기술개발센터의 새로운 이름이다. 녹색환경지원센터는 기존의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를 2011년 4월 개칭하여 그 기능을 확대한 것으로 환경기술개발 및 연구사업 뿐만 아니라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교육사업과 국가기관 위탁사업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는 지역의 환경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지역의 환경관련 대학, 연구기관, 기업체, 단체, 행정기관 등의 협력체로서 연구인력·시설·장비 및 정보·자료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환경 현안을 파악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지역 특유의 환경오염현상을 조사·연구하며, 기업체에 대한 환경기술지원 실시 및 환경산업 육성 등의 사업을 추진해왔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 홈페이지(http:\/\/www.geca.or.kr) 환경법률신문(2011.10.27), 녹색성장 이끌 18개 녹색환경지원센터 출범 환경부(2010), 환경 30년사 ", "작성자":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 }, { "정책용어": "동서통합지대", "생성배경": "지난 2004년 경상남도의 남해안시대 구상을 시작으로 2010년 남해안 발전종합계획이 수립되는 등 남해안의 동서간 연계성 강화에 대한 국가정책적 노력이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수도권과 같은 거대 경제권에 맞먹는 새로운 경제축을 동으로 부산에서 서로 목포와 무안까지를 포함하는 남해안지역에 조성하자는 것이다. ", "용어설명": "동서통합지대의 구상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국민 대통합을 위한 지역균형발전’의 세부과제 중 하나이다. 동서통합지대는 광역연계사업이 고도화된 형태로서 섬진강 양안의 경남 서부지역과 전남 동부지역 일대에 산업육성, 문화교류, 연계교통망 등의 확충을 통해 지리적, 기능적, 문화적 연계·협력 인프라를 조성하여 동서화합과 남부경제권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현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동서통합지대의 중심 내용은 서부 경남에 속하는 사천(우주항공 RD클러스터), 남해(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 하동(해양플랜트 RD클러스터) 등과 동부 전남의 광양, 여수(신소재 철강화학 RD클러스터)을 모두 포용하는 경제권을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5.1), 섬진강 일대 ‘동서통합지대’조성 본격화 송부용(2013), 동서통합지대 구상과 실천방안, 시사정론 전라남도(2013), 섬진강유역 동서통합지대 관광교류협력방안 심포지엄 자료집 헤럴드경제(2013.5.1), 「동서통합지대 하동·광양에 조성」관련 보도자료 뉴시스(2015.3.6.), 「섬장강 100리 테마로드」관련 보도자료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생태산업단지(EcoIndustrial Park)", "생성배경": "20세기 들어서 인류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천연자원 고갈 위기와 심각한 환경오염을 경험하게 되었고, 환경오염에 대한 전 지구적 차원의 공동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후변화협약·생물다양성협약 등의 국제환경협약이 성사되었지만 각국의 산업에 직·간접적인 규제와 경제·통상활동 제한 등이 발생되어 새로운 형태의 산업발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착안된 것은 1990년대 성립된 산업생태학(Industrial ecology)이다. 산업생태학은 자연생태계처럼 에너지와 물질이 잉여 되거나 모자람 없이 순환되는 시스템을 산업에 적용시킨 것으로 한 기업에서 배출하는 폐기물을 다른 기업에서 원료로 활용하여 경제적 이익과 동시에 환경보전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1990년대 미국에서 산업단지개발에 적용되기 시작하였고, 생태산업단지라는 용어는 1993년 미국의 인디고개발(Indigo Development)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 후 1995년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대통령위원회(PCSD:President’s Council on Sustainable Development)가 생태산업단지를 시범사업으로 채택하면서 실천적 개념으로 발전·정착하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지난 40여년 간 한국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였던 산업단지가 환경오염원이 되어 지역사회와의 갈등이 적지 않았고, 국제협약 등의 영향으로 2002년 생태산업단지(Eco-Industrial Park) 추진계획이 발표되었다. 그 뒤 2003년에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 "용어설명": "생태산업단지란 먹이사슬로 공생하는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산업에 적용하는 개념으로 산업단지 내의 기업과 기업, 공장과 공장을 서로 연결시켜 생산공정에서 배출되는 부산물, 폐기물, 폐에너지 등을 다른 기업이나 공장의 원료 또는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도록 재자원화하여 산업단지 내의 부산물이나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산업단지를 말한다. 생태산업단지 출처 : 세종데일리 기사(2012년04월24일)(http:\/\/sjdail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26) 생태산업단지는 경제적 효율성과 환경보전성을 동시에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제조 및 서비스업체의 공동체라 할 수 있으며, 단일 부산물 교환 패턴이나 네트워크, 재활용 기업체, 환경기술회사, 그린상품 제조업체, 단일의 환경목적으로 설계된 산업단지, 환경친화적인 하부구조나 환경친화적으로 건설된 단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은 2002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계획이 발표된 후 2003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청정산업지원센터(KBNCPC)에서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은 2005년부터 2025년까지 3단계에 걸쳐 20년간 추진된다. 1단계(2005~2009)는 오염물 무배출(Zero-emission)을 목표로 산업단지 내 기업과 기업 또는 주변지역의 기업을 연계하는 사업으로 총 5개의 시범사업을 진행하였다. 2006년 항구적인 사업추진체계의 구축을 위해 사업전담기관을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 이전하였다. 2단계(2010~2014)에서는 각 지자체에 허브단지와 스포크단지를 구축하여 자원순환네트워크의 광역적 확산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기존 5개 지역에 3개 지역을 추가하여 총 8개 지역에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3단계(2015~2025)는 한국형 생태산업단지 구축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출처 : EIP생태산업단지 통합정보망 홈페이지 ", "해외사례": "일본에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추진되고 있는데 제1유형은 기업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순수한 생태산업단지, 제2유형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에코타운 프로젝트, 제3유형은 무배출(Zero-Emission)을 지향하는 산업군집형태로 구성된다. 일본의 지역 차원의 생태산업도시 개념도 제1유형 사례 : 코쿠보 생태산업단지, 에바라 생태산업단지 제2유형 사례 : 기타규슈 에코타운 제3유형 사례 : 시멘트공장 군집(타이헤이요 지역의 13개 공장), 맥주공장 군집 (아사히맥주회사의 37개 생산 공정상의 공장단지) ", "참고자료문헌": "생태산업단지 홈페이지(https:\/\/www.eip.or.kr)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http:\/\/www.kicox.or.kr)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2004), 생태산업단지의 이해 한국산업단지공단(2010),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 5차년도 연차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03.10.16),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착수키로 - 시화, 울산, 충주등 3개 산업공단을 시범단지로 추진 - 이재준 외(2003), 생태산업단지 개발전략 및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3) 공형옥(2012), 국내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박사논문 ", "작성자":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 }, { "정책용어": "자활기업", "생성배경": "자활기업은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자)이 자활근로사업을 거쳐 자립하는 자활사업 경로의 최종단계로서 저소득층의 공동 창업을 통한 탈빈곤을 지향하며, 사회적기업·사회적협동조합과 같은 사회적경제 기업의 모태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등 취약계층의 (고용)일자리 창출 및 (복지)사회서비스 제공을 중요한 역할로 수행하는 공동체이다. 자활사업 경로 출처 : 중앙자활센터(2015) 홈페이지(www.cssf.or.kr) 자활사업을 통한 창업 단계(자활근로사업 → 자활기업) 출처 : 보건복지부(2015), 2015년 자활사업안내 기존 자활공동체에서 자활기업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설립요건을 완화하였는데, 그 이유는 수익형 기업으로의 육성 및 사회적 기업으로의 전환을 활성화하여 장래 자립 성장을 유도하고자 하는 제도의 추진 목적을 보다 명확하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 "용어설명": "자활기업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5조 및 제18조에 따라 2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동 법에 따른 급여를 받는 사람) 또는 차상위자(저소득층: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의 120% 이하인 사람)이 상호 협력하여, 조합 또는 공동사업자1)의 형태로 탈빈곤을 위한 자활사업을 운영하는 업체로서 보장기관(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업체를 말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에 따라 2012년 8월 2일부터 기존 자활공동체가 자활기업(공동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설립요건 중 구성원수 요건이 기존 2인 이상의 사업자에서 1인 이상의 사업자(다만, 1인 사업자는 자활기업이 아닌 개인 창업으로 관리)로 완화되었다. 지원대상 자활기업의 경우 ①자활기업 구성원 중 기초생활수급자가 1\/3 이상, ②모든 구성원(자활기업 참여자)에 대해 시장진입형 표준소득액 이상의 수익금 배분 가능 등의 지원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지원요건을 갖춘 자활기업에 대해서는 사업계획 및 기술지원 등의 타당성과 사업 수행능력 등을 고려하여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데, 자활을 위한 사업자금의 융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는 사업의 우선 위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달구매 시 자활기업 생산품의 우선구매, 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채용할 경우 인건비 지원, 창업 후 3년 이상 자활기업에 대한 기계설비 구입 및 시설보강 사업비 지원(5천만 원 이내) 등을 최대 3년간 지원할 수 있다.2)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재)중앙자할센터(2015), 2014 자할기업 백서 보건복지부(2015), 2015년 자활사업안내 자활정책연구소(2014), 자활정책연감 보건복지부(2014), 보도자료(2014 전국자활기업대회 개최) 복건복지부(2013), 2013 종합자활지원계획(내일(My Job) 드림 프로젝트 추진계획(안)) 자활정책연구소(2012), 사회적경제와 자활기업 보건사회연구원(2010), 자활정책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향 1)「부가가치세법」 제2조제3호의 규정에 의해 사업목적이 영리이든 비영리이든 관계없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 2)자활사업 지원을 위한 관리지원기관으로는 2014년까지 중앙자활센터(1개)-광역자활센터(14개)-지역자활센터(247개)가 구성·운영되고 있음. 3)업종별로는 청소·소독·방역이 301개(25%), 건축이 213개(18%), 돌봄서비스가 183개(15%), 식품제조 및 판매가 180개(15%), 기타(재활용, 택배, 농축산, 세차, 세탁 등)가 327개(27%)임. 4)자활기업 중에서 사업 규모의 확대로 광역단위로 추진한 필요한 사업의 경우는 광역자활기업(광역자치단체에서 인정)으로, 전국단위로 추진한 필요한 사업의 경우는 전국자활기업(보건복지부에서 인정)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시행 중임. 5)광역자활기업(2개 이상의 기초지자체의 자활기업이 연합하여 구성한 경우)으로는 2014년 기준 사랑보듬이, 크린서비스센터, ㈜반올림, 크린케어, 행복하계협동조합, 고운손간병, 전북광역로컬푸드 등 31개가 인정받고 있음.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정부3.0과 지방3.0", "생성배경": "정부와 민간의 관계가 일방향 관계에서 협력관계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모바일ㆍSNS 확산에 따른 정책과정에의 참여, 투명성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 정부의 현주소는 공공정보에 대한 접근 제약으로 정책의 투명성ㆍ수용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정부 내 칸막이로 적시성 있고 효과적인 정부운영에도 한계를 가져왔다. 이제 공공정보에 대한 접근을 과감하게 허용하고 이를 민간부문에서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정책의 투명성과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 나가야 할 시점이며 박근혜정부는 국정과제로 정부3.0을 선포하고 세부 추진전략을 마련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정부3.0이란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ㆍ공유하고 부처간 칸막이를 없애고 소통ㆍ협력함으로써 국정과제에 대한 추진동력을 확보하고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이다. 이는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 정부-국민간의 소통과 협력을 확대하고 국가보다 국민 개개인의 행복에 초점을 두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민간의 창의와 활력이 증진되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부처간 칸막이를 뛰어넘는 통합형 정부운영을 지향하고 있다. 정부가 직접 개입하지 않고 민간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플랫폼 정부를 구현코자 한다. 정부의 운영 패러다임의 변화 구분 정부1.0 정부2.0 정부3.0 운영방향 정부중심 국민중심 국민 개개인 중심 핵심가치 효율성 민주성 확장된 민주성 참여 관 주도 동원방식 제한된 공개, 참여 능동적 공개, 참여 개방ㆍ공유ㆍ소통ㆍ협력 행정서비스 일방향 제공 양방향 제공 양방향ㆍ맞춤형 제공 수단(채널) 직접 방문 인터넷 무선인터넷, 모바일 출처 : 정부3.0추진 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국민 모두가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과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일자리ㆍ신성장 동력 창출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정부3.0을 구현해나가고 있다. 정부3.0 비전과 전략 출처 : 정부3.0추진 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정부3.0 중점 추진과제 소통하는 투명한 정부 1) 공공정보 적극 공개로 국민의 알권리 충족 2)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 활성화 3) 민관 협치 강화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 4) 정부 내 칸막이 해소 5) 협업ㆍ소통 지원을 위한 정부운영 시스템 개선 6)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 구현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 7)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통합 제공 8) 창업 및 기업활동 원스톱 지원 강화 9) 정보 취약계층의 서비스 접근성 제고 10)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 창출 출처 : 정부3.0추진 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행정자치부는 구체적 실행을 위하여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국무총리 소속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킨 바 있다. 공공데이터 개방이 정부3.0의 가장 중요한 과제임을 감안할 때 동 위원회는 정부3.0 핵심과제 중 하나인 공공데이터에 관한 정부 주요 시책과 계획을 심의ㆍ조정하고 추진상황을 점검ㆍ평가하는 민ㆍ관 협력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지방3.0은 이러한 정부3.0의 4대 가치(개방, 공유, 소통, 협력)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구체적 실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부3.0이 중앙정부, 지방정부, 그리고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인데 반해 지방3.0은 지방자치단체에 추진해 나갈 실천과제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해외사례": " EU : 2003년 ‘공공정보의 재활용에 관한 지침’을 제정해 민간 사업자가 공공기관의 정보를 재활용해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 영국 : '정보자유법’ 마련으로 “정부가 소유한 모든 형식의 기록에 대한 접근은 일반적인 권리”로 규정해 공공정보 활용을 유도하고 있으며 특히 2010년 공공정보 공개 사이트(data.gov.uk)를 구축하였고 OGL(Open Government License)을 도입해 사용자들이 어떤 절차와 허가를 받고 공공정보를 활용해야 하는지 안내 미국 : 연방정부 차원의 데이터 통합 웹사이트 ‘data.gov’를 구축해 운영 중이며 이 웹사이트에서는 데이터 성격에 따라 원천 데이터, 활용 데이터, 지리정보로 구분해 제공. 2011년까지 약 39만여 건에 달하는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172개 주무부처와 산하기관이 참여해 공공정보를 공개 ", "참고자료문헌": "정부3.0홈페이지(www.gov30.go.kr) 관계부처 합동(2013), 정부3.0 추진 기본계획 행정자치부(2013), 지방3.0 추진 기본계획 한국정보화진흥원(2013), 정부3.0 새로운 대한민국을 꿈꾸다 ", "작성자": "이여진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생성배경": "국가RD 투자가 수도권과 대전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수도권의 경제력 집중을 가속화하고, 지방의 RD 투자가 부족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인력과 인프라의 효율적 활용을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의 혁신기반 구축과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2000년 제1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00~2004)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 "용어설명": "정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8조에 근거하여 지방의 과학기술진흥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을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및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세우고 이를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다.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 포함해야 할 사항으로는 연구개발사업의 지원, 과학기술기반구축의 지원,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촉진, 지방의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정보유통체제 구축 등에 관한 지원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지방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정부는 예산의 범위 안에서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에 있는 대학연구기관 등이 수행하는 사업에 드는 비용을 출연하거나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방과학기술종합계획은 그간 1차(2000년-2004년), 2차(2005년-2007년), 3차(2008년-2012년) 종합계획과 2013년에 수립된 4차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을 토대로 지방의 RD 투자 확대를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정택영 책임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 }, { "정책용어": "캠퍼스혁신파크",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강원대학교 캠퍼스 산학협력단지 추진방안,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 자료. 김천일·신소영·김익환, 2016, ‘대학 캠퍼스 공간적 지표에 의한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23(4), 3-10. 류승한, 2014, ‘캠퍼스 산업단지 육성,’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정책기획팀 내부자료. 정성훈, 2006, 지역 산학연 협력 모델의 지방화에 관한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성훈, 2015, ‘한국의 정부주도형 지역 산학연 협력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4), 631-638. 정성훈·홍진기·류승한·이성은·이주현, 2014, 창조경제와 지역산업발전 방안,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정책기획팀 내부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캠퍼스 산업단지 추진 방안,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내부 자료 ", "작성자": "정성훈(강원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친환경농산물 인증(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cation)제도", "생성배경": "환경보전 및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가 증대되면서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항균제 등 화학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보전하기 위한 정부차원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그동안 증산위주의 고투입농법에 의존해 온 결과 농업환경이 악화되어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위협하고 지나친 농약사용으로 토양미생물, 천적감소 등 생태계 교란, 수질오염 및 농산물의 농약잔류문제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국제규범이 제정됨에 따라 국내농업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환경보전 및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제고에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제도로서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시초는 1993년 유기, 무농약재배 농산물에 대한 품질인증이며, 1996년 저농약재배 농산물에 대한 품질인증이 실시되었다. 이후 1997년 제정된 「친환경농산물 육성법」을 기초로 친환경농산물 품질인증 및 표시제도를 시행하였고, 2006년 개정 이후 친환경농산물은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의 3종류로 간소화되었다. 2010년부터는 저농약농산물의 신규인증이 중단되고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의 2종류로 단순화되었으나, 저농약농산물의 경우 갑작스런 중단에 따른 소비자 및 생산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 인증농가는 2015년까지 유효기간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012년도에 변경된 친환경농산물 인증마크는 국가가 인증한 품질 좋고 안전한 농식품임을 알 수 있도록 국새 모양의 초록색 사각표지로 소비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하였으며, 인증마크 변경에 따른 혼란과 생산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존 로고사용은 2013년 말까지 병행하여 사용되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은 인증신청 → 인증심사 → 심사결과통보 → 생산·출하과정조사 → 시판품 조사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인증방법으로는 생산농가가 희망하는 경우 인증기준 적합 여부를 심사하고, 인증여부를 통보해 주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친환경농산물 품질기준은 「친환경농업법」에서 정하고 있으며「친환경농업육성법」제2조 2항에서는 친환경농산물을 친환경농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농산물이라 정의하고 그 생산방법과 사용자제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유기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을 의미하며, 무농약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3이하를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이다. 저농약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의 살포횟수는 1\/2이하, 최종 살포일은 2배수를 적용하고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2이하로 사용하여 생산된 농산물을 의미한다. ", "해외사례":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는 미국의 NOP(National Organic Program), 일본의 유기 JAS(Japan Agriculture Standard), EU의 EEC No. 2092\/91, 호주의 유기 및 바이오 다이나믹 제품에 대한 국가 규정(National Standard for Organic and Bio-Dynamic Produce) 등과 성격이 유사하다. ", "참고자료문헌": "이금호(2013),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연구 양시윤(2011), 친환경농산물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신용광, 황윤재(2011),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국 농무부 홈페이지( www.usda.gov ) 세계유기농업운동연맹 홈페이지(www.ifoa.org) ", "작성자": "은희창 이사(한국지역연구협동조합) \n" }, { "정책용어": "국토환경계획 연동제", "생성배경": "성장 및 개발 위주의 국토정책으로 야기될 수 있는 환경 파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간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간 연계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이를 위한 구체적 실행수단은 미흡하였다. 국가와 도시의 경쟁력에 있어 지속 가능한 발전의 중요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정부는 「환경과 조화되는 국토개발」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국토-환경계획 연동제」를 도입하였다. ", "용어설명": "국토-환경계획 연동제란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이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과 계획내용에 대하여 상호 보완하고 협력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수립 시 상호 연계를 내용으로 하는 「국토기본법」과 「환경정책기본법」 개정안이 2014년 12월 국무회의를 통과하였다. 국토-환경계획 연계근거 신설 등으로 국토계획은 친환경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환경계획은 국토의 공간구조, 지역 내 기능분담 방향 등을 고려하여 추진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전 정부의 국정과제인 「환경과 조화되는 국토개발」의 세부과제로 「국토-환경계획 연동제」 추진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양 부처 간 협업 TF를 통해 연동제 방안을 합의하고 국토정책위(위원장 총리) 심의를 거쳐 확정(2013.12)하였으며 법 개정안도 통과(2014.12)되었다. 「국토기본법」에는 국토계획 수립 시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정한 환경보전계획의 내용을 고려하도록 명시하였으며, 「환경정책기본법」에는 환경보전계획 수립 시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의 내용을 고려하도록 개정안에 명시토록 하였다. 국토계획-환경계획 연동제 체계화의 방향 출처 : 환경부(2013), 국토환경정책포럼 ", "해외사례": "국토-환경계획 연동제는 독일의 공간계획(Raumordnungsplane 등)과 경관생태계획(Landschaftsplan)의 연계사례, 미국 워싱턴주의 환경정책법(SEPA)과 성장관리법(GMA) 통합사례 등과 성격이 유사하다.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5),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연계로 친환경적 국토관리 강화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간 협업을 통한 ‘국토-환경계획연동제’ 도입 본격 추진 최영국 외(2002),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체계의 연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최영국(2013), 환경과 조화된 국토개발을 위한 국토정책과 환경정책 협력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최희선 외(2008), 도시개발사업에서 환경생태계획의 체계적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독일 건축 도시 및 공간 연방 연구소(Federal Institute for Research on Building, Urban Affairs and Spatial Development) (http:\/\/www.bbsr.b und.de\/nn_23566\/BBSR\/DE\/Veroeffentlichungen\/Sonderveroeffentlichungen\/2012\/ ROB2011.html) 워싱턴 행정법 (Washington Administrative Code)\n(http:\/\/apps.leg.wa.gov\/ wac\/default.aspx?cite=197-11)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5.1.26) ", "작성자": "권영섭 센터장(국토연구원) \n" }, { "정책용어":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 "생성배경": " 우리나라는 국토의 80% 이상이 농어촌지역이다. 그러나 농어촌지역은 대부분 낙후되고 생활환경이 불편하여 대다수의 청년층이 대도시로 이동하였고, 이로 인해 농어촌의 저소득 문제와 농어촌의 공동화 현상이 서로 맞물려 농어촌 문제가 더욱 심화되는 악순환이 발생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서도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 산업기반 및 편익 복지시설 등을 통해 농어촌을 삶과 휴양산업이 조화된 도농상생의 복합정주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t ", "용어설명": "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생활권· 영농권이 같은 3~5개 마을을 소권역으로 설정하여 생활환경정비, 경관개선, 소득기반확충, 지역역량강화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주민참여형 상향식 사업이다. 지역주민이 공동체적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반시설 및 지역의 자원이나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소득증대 기반시설을 구축하여 지역주민의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 농림축산식품부에서 200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지역주민, 지자체 등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상향식 사업으로 농어촌마을의 경관개선, 기초생활 환경정비, 소득기반 확충 등을 통해 농어촌사회의 유지와 국가균형발전 도모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은 동일한 생활권, 영농권, 수리권 등으로 서로 동질성을 가지며, 잠재력이 있는 마을들을 상호 소규모 권역단위로 구성하여 그 지역이 가진 생태적, 문화적, 역사적 자원을 특성에 맞게 종합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최종목표 출처 : 저자 작성 참고로, 2005년부터 추진되어 온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2010년부터 포괄보조금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농산어촌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생활편의 기초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민의 농촌유입을 촉진함으로써 농산어촌의 인구유지 및 지역활성화 도모를 목적으로 함)으로 편입되어 운영되어 왔다. 그리고 소도읍육성사업과 거점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은 2010년부터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은 2014년부터는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추진된다. 또한 2010년부터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등은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으로,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은 2014년부터는 신규마을조성사업 및 지역창의 아이디어사업과 합쳐져 창조적 마을만들기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전원마을조성사업, 농어촌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 등은 2010년부터 신규마을조성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신규마을조성사업은 2014년부터는 창조적 마을만들기로 명칭이 변경 추진된다. ", "해외사례": "미국의 오지개발사례 : 폐광촌 Aspen시의 부활 지역특성 Aspen시는 1890년 이전에는 인디언 거주지역으로서 눈덮인 산과 수려한 자연경관을 지닌 지역임 은광(銀鑛)탄광도시(은)로 비교적 부유한 광산촌을 형성했으나, 1890~1930년대에는 미 정부의 금광중심정책으로 쇠퇴되기 시작되면서 폐광촌으로 전락 주요개발 및 성공요인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세계적 스키장 개발을 본격 추진 국제스키연맹월드 챔피언십을 유치하여, 세계적 스키명소로 자리매김함 문화중심지 전략 병행 괴테 탄생 200주년기념회 개최로 문화중심지로 부상 공항, 도로망, 철도, 리조트 등의 인프라 구축으로 휴양도시로 부활 직접적인 성공요인 - 비전 제시자 Friedl Pfifer와 산업자본의 투자자 Walter Paecke의 만남으로 관련 사업들이 구체화됨 ", "참고자료문헌": "박창규, 김혜영(2011), 지역주민의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 관광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농촌개발원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2007), 농촌마을종합개발 모델개발 연구 배승종(2010), “DEMATEL 및 내용분석기법을 활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문제점 및 개선방안의 정량적 분석”, 농촌계획 16(3) 채종훈(2010),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경제적 성과와 파급효과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사)지역특화자원사업화연구센터 회장) \n" }, { "정책용어": "닥터헬기 서비스", "생성배경": "섬마을이나 깊은 산속에 사는 주민들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통편이 불편하여 응급처치의 어려움 및 곤란, 불안감이 증대됨에 따라, 응급전용 헬기를 도서·산간지역과 근거리 지역에 배치하여 운용하기 위한 장치이다.\t ", "용어설명":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닥터헬기는 ‘응급의료 전용헬기’로 도서·산간 지역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의사가 탑승하고 각종 응급의료 장비 등이 구비되어 응급환자 치료 및 이송전용으로 사용하는 헬기이며, 지자체 혹은 소방서 등의 관공서가 이들 응급의료 전용헬기를 구비하여 운영하는 제도를 닥터헬기 서비스라고 한다. 응급의료 전용헬기는 최대 출동거리 600km에 최대 시속 254km로 주변에 섬이 많은 인천과 목포 지역에 2대가 최초로 투입되었으며, 지금은 강원도, 경상북도 등의 지자체에서도 활용 중이다. 응급의료 전용헬기에는 환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 약물 주입기, 인공호흡기 등 최첨단 의료장비가 탑재되어 있어, 그동안 응급환자 이송을 담당했던 소방헬기와는 달리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헬기는 출동 요청을 받으면 병원에서 의사를 태우고 5분 이내 응급환자가 있는 현장으로 즉시 출동하는 체계로 운영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보건복지부는 2011년 5월부터 응급의료 취약지(도서지역 등)를 대상으로 의사가 탑승하는 전용헬기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리고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 전용헬기 보급을 점차적으로 늘려 2016년 국내 5호는 충남, 6호는 전북에서 운용되고 있다. 응급의료 전용헬기(닥터헬기) 출동체계도 출처 : 중앙응급의료센터(http:\/\/www.1339.or.kr\/egen\/inf.emb81.do) ", "해외사례":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국가 34개국 중 우리나라를 제외한 32개국은 응급의료 전용헬기를 운용 중에 있다. 일본의 경우 1995년 고베 대지진을 계기로 응급의료 전용헬기 도입을 검토하였으며 1999년 후생노동성에서 시범사업 진행 후 본격적인 헬기 도입을 추진하여 현재는 일본 전국에서 42를 운용하고 있다. 닥터헬기 운용 효과는 중증 환자의 신속한 이송으로 사망률 27%, 중증 후유증 45%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치료비 절감 효과(46.1%)와 치료기간 감소효과(16.7%)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은 보험회사 또는 구급전용회사 등 민간기반 형태로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비용의 87%는 보험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13%는 회비로 운영하고 있다. 응급의료 전용헬기 이송으로 외상 사망률 1\/3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 "참고자료문헌":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1.1.14), 복지부, 의사 탑승 응급전용헬기 5분 이내 뜬다. - 5월부터 도서지역에 응급의료 전용헬기 출동서비스 실시-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1.4.14), 복지부, 도서 주민 위해 응급의료 전용헬기 띄운다!!! - 의료기관은 인천 가천의대 길병원, 전남 목포한국병원, 항공사는 대한항공 선정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2.8.30), 2012년 닥터헬기 배치지역 강원도, 경상북도로 선정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7.9.6), '하늘을 나는 응급실' 닥터헬기, 5,000명 이송 돌파 ", "작성자": "이재훈 원장(경북테크노파크) \n" }, { "정책용어": "도시권\/다지역협약(Multi Area Agreements)", "생성배경": "투자, 노동 및 주택시장이 행정구역을 넘어서 작동되기 때문에 기능적 경제지역이 중요해지면서 핵심적인 경제개발 이슈에 대응하여 지방정부의 행정구역을 초월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거버넌스의 일환으로 다지역협약(MAA: Multi Area Agreements)이 탄생하였다. MAA는 영국의 RDA(Regional Development Agency) 시스템 내에서 2008년에 도입된 지역(region)간 또는 소지역(sub-region)간 협력체로서 총 15개가 구성되었으나, 2010년 신보수당 정권이 RDA 시스템을 폐기하고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동 시스템에 흡수되었다.\t ", "용어설명": "MAA는 영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컨소시엄 간에 집단적인 목표와 성과 창출을 위해 공동으로 체결하는 자발적 협약이다. 이 협약의 목적은 개별 지방정부의 행정적 범위를 넘어선 경제개발, 교통, 토지이용계획, 실업대처, 자본투자 및 기반시설 개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원을 마련하는 데 있다. MAA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지방정부간 파트너십이 형성되어야 하며, 3년에 걸쳐 지방정부 그룹, 유관기관 그리고 중앙정부간에 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은 각 주체 등이 공유된 목표와 성과지표에 동의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 주체들은 기존의 자원을 연계하여 도시재생, 교통, 기술 등과 관련하여 공유된 목표와 정해진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협력하고 책임을 공유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MAA는 2006년 ‘강하고 번영하는 지역사회(Strong and Prosperous Community)’란 백서에서 처음 언급된 이래 지방정부간 협업(joint working)을 통한 도시권 거버넌스(city-region governance)에 대한 대안으로 추진해왔다. 2007년 가을 13개 지역이 MAA를 협의하기 시작하여 2008년 7월 최초로 7개 지역(Tyne Wear; Tees Valley; South Hampshire; South Yorkshire; Bournemouth, Poole and Dorset; Leeds; Greater Manchester)이 MAA를 체결하였고 2010년 3월 까지 15개 MAA가 체결되었으며 5개 지역이 협의 중이다. 이후 노동당 정부가 ‘Local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Act 2009’를 제정하면서 보다 강화된 MAA가 도입되어 Leeds와 Greater Manchester의 2개 지역에 법정도시권(statutory city-region)이 시범적으로 출범하였으며 북부의 주요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8개 도시권이 구성되어 있다.\t ", "해외사례": "다지역협약은 영국에서 탄생하여 도시권(city-region)정책으로 발전하였고, 2009년 보수당과 자유당 연합정부가 출범하면서 또 다른 하위지역간 협력프로그램인 지방기업파트너십(LEP: Local Enterprise Partnership)으로 교체되어 2012년 9월 현재 39개 지역에서 LEP를 체결하고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지방정부간 협약으로는 일본의 정주자립권협정을 꼽을 수 있으며 중심시와 주변 시정촌간 자율적 협정을 통하여 협력에 기반한 정주여건 개선이 목적이며 2013년 3월 현재 74개 권역이 협정을 체결하였다. ", "참고자료문헌": "김선기(2011), “영국 지방정부간 협력과 상생”, 「자치행정」 11호 10-14 김동주 외(2010), 「글로벌 도시권 육성방안 연구(Ⅰ)」, 국토연구원 Pemberton, S(2011), “Cooporation and Win-win Approaches between Local Governments: Lessons from Multi-Area Agreements(MAA) in the United Kingdom”, 「2011 지역발전 컨퍼런스」 자료집. Mark Stanford(2013), “Local Area Agreements(LAAs) and Multi-Area Agreements(MAAs)” Hilary Russell(2010), “Research into multi-area agreements : Long-term evaluation of LAAs and LSPs”, European Institute for Urban Affairs,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HM Treasury, (2007).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and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Review of Sub-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 "작성자": "김선기 선임연구위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 { "정책용어": "산업단지 캠퍼스", "생성배경": "대학 중심의 산학협력 추진만으로는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인력 양성 및 고용효과 제고에 한계가 있다고 인식하여, 대학-기업 간 공간적 융합환경 조성 및 기술이전 활성화를 통한 신산업 창출로 이어지는 산학협력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대학설립·운영 규정’ 개정(안)을 공표하고(2011.2) ‘산업단지 캠퍼스 설치 기준’ 등 세부내용을 고시로 제정(2011.6) 및 개정(2012.9)하였다. ", "용어설명": "산업단지 캠퍼스는 산업단지 내 또는 산업집적지에 대학·대학원의 일부를 이전하여 교육-RD-고용이 연계된 대학-기업이 물리적·화학적으로 일체화된 캠퍼스를 의미한다. 기존의 대학 중심 산학협력 모델과 달리 협력 주체 간 접근성 제고를 통한 상시적·현장 밀착형 산학협력으로 인재 육성의 질과 고용 연계를 제고하고, 나아가 일자리 창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단지캠퍼스는 산학융합연구실, 장비지원센터, Business Lab 등 필수시설과 대학과 기업의 여건 및 산업단지 특색을 고려한 선택시설로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산업단지캠퍼스 개념 출처 : 산업단지 캠퍼스 사업 설명회 (교육부, 2014) 산업단지 캠퍼스 주요시설 및 내용 구분 시 설 명 내 용 필수 시설 산학융합연구실 대학과 기업이 연구실과 인력(학부 3~4학년, 대학원생)을 공유하여 연구개발 및 교육을 수행하는 연구실 장비지원센터 공동 활용이 가능한 실험·연구 장비 등을 구축하여 연구개발·교육·기업지원에 활용 산업체 재직자 교육센터 산업체 재직자 교육에 활용 Business Lab 기업체 수요를 바탕으로 교수, 대학원생, 기업연구원의 협력연구를 통한 창업 및 사업화 공간 Business Solution 센터 산단 및 지역 중소기업의 사업기획, 경영, 디자인, 마케팅, 회계 등을 자문·지원 활동 선택 시설 산학협력단, 복지시설, 행정시설 등 대학, 기업 및 산업단지 특색과 여건을 반영한 자율시설 및 환경 개선시설 등 출처 : 산업단지 캠퍼스 개념 및 구성(교육부, 2013)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2011년도부터 산업단지 캠퍼스에 산업계 인력수요를 반영한 현장적합형 교육과정 운영 및 산학융합연구실 등의 기업 연구활동 지원을 통해 ‘교육-RD-고용’이 연계된 창조경제형 산학융합 모델을 구축하는 ‘산업단지 캠퍼스 조성사업’을 개시하고, 2015년까지 총 45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여 전국적으로 15개 산업단지 캠퍼스를 선정 및 대학별 연간 10억 원 이내를 3년간 지원하였다. 한편 교육부는 대학이 산업단지 안에 건물을 임차하거나 건물의 일부를 분양받은 경우에는 해당 건축면적 이상의 교지를 확보할 필요 없이 산업단지 캠퍼스를 설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설립인가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대학 설립·운영 규정’을 개정하였다(2014년 2월). 연도별 산업단지 캠퍼스 선정 및 운영 현황 선정 년도 선정 대학 2011 경남정보대, 조선대, 한남대 2012 배재대, 창원대 2013 동서대, 한남대 2014 경기과학기술대, 인천대 2015 남부대, 신안산대 소계 전국 15개 대학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2015) ", "해외사례": "스웨덴 왕립공대(KTH)와 스톡홀롬 대학이 연합하여 시스타 사이언스시티 내에 ‘IT 대학’을 설립하였으며, 선진산학협력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http:\/\/www.kista.com) ", "참고자료문헌": "교육부(2013, 2014), 산업단지 캠퍼스 조성사업 추진계획 교육부(2012), 산업단지 캠퍼스 설립운영 매뉴얼 김범식, 정병순, 김묵한(2010), 스웨덴의 IT산업 클러스터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 서울연구원 김승환 외(2004), 선진국 산업클러스터 재생 성공사례 연구, 정책기획위원회 ", "작성자": "이희정 교수(한양대학교) \n" }, { "정책용어": "산학연통합정보망(eCluster)", "생성배경": "산학연통합정보망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온라인 활동 수행을 위한 정보망으로 구축되었으며, 기존의 산업단지 정보망인 e-산단 포털사이트를 확대 구축한 것이다. 용어와 관련된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은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단지에 업종별로 산학연 협의체(미니 클러스터)를 구성해 활발한 산학연 협력을 유도하고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및 역량강화, 정주여건 및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해 산업단지를 혁신클러스터로 변화시키기 위한 사업을 말한다. 이 사업은 2004년 6월 제45회 국정과제회의를 통해 7개 시범단지(창원, 구미, 울산, 반월·시화, 광주, 원주, 군산)를 선정하고 2005년부터 그 추진이 본격화되었다. ", "용어설명": "산학연통합정보망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온라인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사업 주체 간 정보교류와 네트워킹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망이다. 정보망이 지원하고 있는 사업의 이름을 빌려 산업클러스터 통합정보망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의 전신인 e-산단 정보화는 산업단지의 디지털화를 위해 2004년 7월까지 각 산업단지별 포털사이트를 구축하고 산업단지 내 입주 기업의 정보화 및 전자상거래 지원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였다. 이에 비해 산학연통합정보망은 2005년부터 광역본부 체계에서의 온라인 포털 서비스를 지원하고, 산학연 간 네트워크 기반의 자생적 클러스터 조성 및 산업생태계 구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 연구소, 클러스터 주치의 등의 클러스터 관련 정보 제공과 산학연관 협의체인 클러스터의 온라인 활동 지원에 역점을 두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산학연통합정보망은 2005년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지원하는 온라인 정보시스템으로 출발하였으나, 지금은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2009.4, 사업명칭 변경)을 위한 정보시스템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산학연통합정보망은 크게 6개 광역클러스터(수도권, 충청권, 대경권, 동남권, 호남권, 강원권)별 포털 사이트와 이를 총괄하는 허브사이트(www.e_cluster.net) 그리고 각종 클러스터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로 구성 및 운영되고 있다. 허브사이트에서는 클러스터 소개와 클러스터 DB, 뉴스 및 공지, 산업단지정보, 기업\/생산제품정보, 농공단지 현황 정보 등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산학연 네트워킹 지원을 위한 핵심정보인 클러스터 DB는 2015년 8월 현재 378개 대학, 565개 연구소, 431개 지원기관 정보와 함께 타 기관 연계를 통해 장비 및 인력정보가 서비스되고 있다. 미니클러스터를 비롯한 각종 클러스터를 위한 커뮤니티 사이트는 기업을 중심으로 대학, 연구소, 지원기관 등 지역의 혁신 주체들이 상호협력, 공동학습, 정보공유 등을 일상적이고 지속적으로 펼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으로 산학연통합정보망의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다. CMS(Cluster Management System)은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을 통해 추진되는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업종·기술별 산학연 협의체, 미니클러스터), 농공단지 클러스터 구축(전국 농공단지 대상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초광역 클러스터 구축(타 권역 유사·연관 클러스터의 교류 및 공통과제 지원), 녹색융합 기술개발 등의 실시간 과제관리를 지원한다. 산학연통합정보망 주요기능 출처 : 산학연 통합정보망 홈페이지 ", "해외사례": "해외의 클러스터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샌디에이고 바이오 클러스터(Bio-Cluster), 스웨덴의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Kista), 핀란드의 오울루(Oulu)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산학연통합정보망과 같이 국가 차원에서 특정사업의 온라인 활동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으며, 클러스터 관련 사이트 예는 다음과 같다. 스웨덴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http:\/\/kista.com\/) 핀란드 오울루(http:\/\/www.technopolis.fi\/en\/technopolis\/Space\/oulu\/) ", "참고자료문헌": "산학연 통합정보망 홈페이지(https:\/\/www.e-cluster.net) 지역발전포털 홈페이지(http:\/\/www.redis.go.kr) ", "작성자": "정택영 책임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 }, { "정책용어": "웰니스관광 협력지구", "생성배경": " 웰니스관광 협력지구는 정부가 웰니스 관광 자원을 발굴하고 지역 거점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 되었다. 즉, 웰니스관광 협력지구는 건강, 휴양 등과 관련된 지역의 특색있는 웰니스관광 자원과 주변 관광 자원 및 기반시설을 연계하여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육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2018년 경상남도(산청, 함양, 합천, 거창, 통영, 거제, 고성)를 시작으로 매년 선정 추진한다. ", "용어설명": "웰니스관광은 건강과 치유 등을 목적으로 한 관광을 통해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새로운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트랜드를 의미하며, 건강(Health), 스파(spa), 서비스(service), 돌봄(care), 목적지(destination), 휴식(relaxation), 관리(treatment) 등이 웰니스관광과 연관되어 있다. 표 1. 웰니스 관광 정의 사례 구분 내용 Smith Puczko (2009) -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치료를 찾는 형태의 관광 Voigt, Howat, Brown (2013) - 육체적, 정신적, 정서적, 지적, 사회적 차원을 포함하는 체험 포함 - 웰니스 시설에서 위 다섯 가지의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가치와 지각 전현미, 김정기 (2015) - 웰니스 개념을 바탕으로 심리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추구 - 웰빙, 피트니스 관광이 결합된 개념으로 관광을 통해 삶의 질 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관광의 새로운 트랜드 Global Wellness Institute (2015) - 전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이끄는 활동, 선택, 라이프 스타일 의 적극적인 추구로 정의 자료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8.2),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모델 개발 연구 웰니스관광의 거점을 육성하는 ‘웰니스관광 협력지구(클러스터)’는 지역이 보유한 잠재력 있는 웰니스관광 자원을 중심으로 시설, 자원, 관련 사업체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지역관광과 연계하여 정부·지자체·민간 등의 참여를 촉진하는 네트워크형 클러스터로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는 사업으로 성공적 사업추진을 위해 수요창출 네트워크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그림 1.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Integrated 모델 자료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8.2),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모델 개발 연구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2018년 경상남도, 2019년 충청북도, 2020년 강원도를 웰니스관광 협력지구(클러스터)로 2021년 경상북도를 웰니스관광 예비 협력지구로 선정하여 지역의 웰니스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고 있다. 표 2. 웰니스관광 협력지구 내용 구분 내용 경상남도(산청, 함양, 합천, 거창, 통영, 거제, 고성) - 산청·함양·합천·거창을 중심으로한 한방 항노화 웰니스관광 과 통영·거제·고성을 연계한 해양 웰니스관광을 육성 충청북도 (충주, 제천) - 충주는 깊은 산 속 옹달샘, 계명산 자연휴양림 등 중심으로 한 다양한 명상과 치유의 숲 프로그램 운영 제공 - 제천은 한방자연 치유센터, 리솜 포레스트 등의 시설 통한 자연치유 운동요법, 한방심리 상담 등을 제공 강원도 (평창, 정선, 동해) - 평창 용평리조트 발왕산, 정선 파크로쉬 리조트웰니스, 동해 무릉건강숲 등 시설을 중심으로 지역 특유의 음식·향기·소리 치유 상품 등을 개발해 오향 웰니스관광 협력지구로 육성 경상북도 (영주, 영양, 영덕, 봉화, 울진) - 영주 국립산림치유원을 중심으로 한 산림치유 자원과 영양의 장계향문화체험교육원 등 이색적인 관광을 육성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18.5.8.,‘19.4.24.,‘20.5.18.,‘21.5.23.), 참고 재작성 표 3. 웰니스관광 협력지구 지원 지원연도 지원지역 지원예산 합 계 국 비 지방비 2018 경상남도 800 400 400 2019 경상남도 800 400 400 충청북도 800 400 400 2020 경상남도 800 400 400 충청북도 800 400 400 강원도 800 400 400 2021 경상남도 600 300 300 충청북도 800 400 400 강원도 800 400 400 경상북도 200 100 100 (단위 : 백만원)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18.5.8.,‘19.4.24.,‘20.5.18.,‘21.5.23.), 참고 재작성 ", "해외사례": " 오스트리아 클러스터 웰니스 티롤(Cluster Wellness Tirol) 오스트리아 서부에 위치한 티롤주는 공공의 관점에서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 타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웰니스관광의 질적 및 양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클러스터 웰니스 티롤(Cluster Wellness Tirol)은 관광 분야의 전문지식과 메카트랜드인 웰니스의 결합을 구현한 클러스터로 Best Alpine Wellness Hotels Austria, Physiotherm, Stanglwirt 등 120 여개의 기업의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웰빙과 알파인 헬스 관광, 헬스케어 마켓, 스파 관광, 메디컬 관광을 4대 주요 서비스 분야로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표 4. 클러스터 웰니스 티롤의 서비스 분야 구분 내용 알파인 헬스 관광 - 겨울 스포츠를 즐길 지역적 자연환경의 보유로 알파인 헬스관광의 이상적 장소로 적극 활용 - 스파 관광과 일반 관광의 개념을 확장 및 연계하여 새로운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 헬스케어 마켓 - 웰니스 클러스터의 중요 파트너인 개인이나 소기업 등 작은 규모의 조직 대상 - 사업전략, 웰니스관광 마케팅, 연구 및 개발, 기술 교육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 스파 관광 - 스파시설에 필요한 기술적 서비스 제공(신소재개발 및 비용절감 효과) - 인구 특성, 웰니스 개념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 등에 대한 연구 진행 - 신체적 제약이 있는 관광객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 - 생활 과학 클러스터와 협업 진행 메디컬 관광 - 헬스, 의약품, 관광을 연계한 새로운 모델 제시 - 생활과학 클러스터와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한 메디컬 관광 프로젝트 진행(상품개발 및 인프라 포함) - 국제협력 네트워크 참여 자료 : Standort-tirol 공식 누리집(standort-tirol.at\/page.cfm?vpath=index), 재인용 ", "참고자료문헌": "김경희, 황대용(2019).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 Journal of Agricultural Community Development. Vol. 26. No. 2. 69-84 김경희, 황대용(2019). 농촌 치유관광의 회복경험. Journal of Agricultural Community Development. Vol. 26. No. 3. 113-126 김병헌(2016). 웰니스 관광의 개념과 활성화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관광진흥연구, 제4권 1호 김상윤(2021). 한국과 일본의 웰니스관광정책 동향 분석 및 정책적 함의.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2. No. 6. pp 183-195 한국관광공사, 「웰니스관광 산업분류 구축방안」 (2018.12) 한국관광공사,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모델 개발 연구」 (2018.12)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웰니스관광 25선 선정, 건강과 힐링 관광 본격 육성」(2017.5.24.)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몸과 마음의 휴식을 찾는 지역 웰니스 관광 거점 육성」(2018.5.8.)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9 웰니스 관광 거점으로 충주, 제천 신규 선정」 (2019.4.24.)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코로나19로 지친 일상을 치유할 관광 거점 육성」 (2020.5.18.)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건강한 삶을 지키는 관광 거점 육성」 (2021.5.23) Global Wellness Institute. (2018). Global wellness tourism economy. Ma, S., Jhao, X., Gong, Y., Wengel, Y. (2021). Proposing “healing tourism” as a post-COVID-19 tourism product, Anatolia, 32(1), 136-139. ", "작성자": "배도용(한국산업기술진흥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4.01\n\n" }, { "정책용어": "마이스터고", "생성배경": "저출산 영향 등으로 전문계고 학생이 감소하고 학벌중심 사회구조 등 으로 전문계고 학생의 대학진학률이 취업률을 역전함에 따라, 전문적인 직업교육 발 전 및 산업계 수요에 직접 연계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마이스터 고가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으로 마련되었다.\n ", "용어설명": "마이스터고는 최고의 기술중심교육으로 예비 마이스터(Meister)를 양성하는 산업수요 맞춤형 특수목적고등학교로, 산업체·지자체와 협력하여 졸업 이 후 우수기업에 취업이 가능하고, 취업 확정자는 최대 4년간 입영을 연기할 뿐 아니 라 중소기업 취업 시 산업기능요원으로 대체 복무가 가능하며, 군 복무 시에도 특기 분야에 근무할 수 있고, 3년 이상의 직장 경력을 쌓으면 재직자 특별 전형을 통해 일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수업료·입학금이 지원되고, 우수학생과 저소득 층에게는 별도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기숙사제공·산업체·직업전문학교 연수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교육부에서는 2008년 이후 매년 기계·에너지·철강·해양 등 지정분야별 산업수요 적합성, 학교개편방향, 지자체·산업체의 육성의지, 교육과정 편성의 적합성, 교원 활용방안 등 산·학 연계가 잘 되어 있고 졸업생의 산업체 연계 채용이 가능한지를 고려하여 마이스터고를 선정 및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이 전국단위로 모집하며 각 분야 44개 학교가 지정되어 있고, 학생 선발권의 범위나 선발방법이 다양하다. 한편 정부는 고용률 70% 달성과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 발표(2014년 10월,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정부부처, 기업, 산업별 인적자원협의체(SC, Sector Council) 및 지역인적자원개발협의회(RC, Regional Council)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현장실습 및 취업을 연계·지원할 수 있는 ‘산-학-관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과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스위스 도제식 직업학교’를 확대할 방안을 마련하였다(도제 시험학교 수(안): 3교(‘15년 → 10교(‘16년) → 20교(‘16년)). 마이스터고 학생의 성장경로 출처 : 마이스터고 홈페이지(www.meister.go.kr), 2016년 신입생모집요강 마이스터고 운영 현황 번호 학교 개교년도 지정분야 소재지 협약기업수 1 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 2010년 뉴미디어콘텐츠 서울 130 2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 2016년 해외건설·플랜트 서울 - 3 서울로봇고등학교 2013년 로봇 서울 118 4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2010년 에너지 서울 170 5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2010년 기계 부산 411 6 부산자동차고등학교 2010년 자동차 부산 125 7 부산해사고등학교 2012년 해양 부산 57 8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2010년 기계·메카트로닉스 대구 194 9 대구소프트웨어고등학교 2016년 SW·SW융합 대구 36 10 대구일마이스터고등학교 2015년 자동차 대구 70 11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 2017년 도시형 첨단 농업 대구 - 12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2010년 전자·통신 인천 189 13 인천해사고등학교 2012년 해양 인천 43 14 광주경영고등학교 2017년 소프트웨어 광주 - 15 광주자동화설비공업고등학교 2010년 자동화설비 광주 74 16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2015년 소프트웨어 대전 79 17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2010년 전자·기계 대전 102 18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2010년 기계·자동화 울산 46 19 울산에너지고등학교 2012년 에너지 울산 68 20 현대공업고등학교 2015년 조선해양플랜트 울산 28 21 수원하이텍고등학교 2010년 메카트로닉스 경기 158 22 평택기계공업고등학교 2010년 자동차·기계 경기 164 23 삼척마이스터고등학교 2013년 발전산업 강원 35 24 원주의료고등학교 2010년 의료기기 강원 152 25 충북반도체고등학교 2010년 반도체장비 충북 47 26 충북에너지고등학교 2013년 차세대 전지 충북 52 27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 2012년 바이오 충북 72 28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2012년 SMT장비 충남 53 29 연무대기계공업고등학교 2012년 자동차부품제조 충남 42 30 한국식품마이스터고등학교 2015년 식품 충남 24 31 합덕제철고등학교 2010년 철강 충남 30 32 군산기계공업고등학교 2010년 조선·기계 전북 152 33 김제자영고등학교 2017년 농생명자원 식품 전북 - 34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 2010년 기계 전북 233 35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2014년 말 산업 전북 16 36 여수석유화학고등학교 2013년 석유화학산업 전남 14 37 완도수산고등학교 2014년 어업 및 수산물 가공 전남 42 38 전남생명과학고등학교 2013년 친환경농축산 전남 86 39 한국항만물류고등학교 2010년 항만물류 전남 82 40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2010년 전자 경북 115 41 금오공업고등학교 2010년 모바일 경북 163 42 영천상업고등학교 2018년 식품품질관리 경북 - 43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2013년 철강 경북 59 44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등학교 2013년 원자력발전설비 경북 76 출처 : 마이스터고 홈페이지(www.meister.go.kr)2016년 02월 29일 기준\n ", "해외사례": "핀란드 헬싱키 인근 에스프시에 위치한 옴니아(Omnia)는 현장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기능인을 양성하는 거대한 직업학교이다(학생 1만여 명, 교직원 700여 명). 라틴어로 ‘모두’라는 뜻을 가진 ‘옴니아’ 직업학교에서는 모든 직업의 종류를 현장 중심으로 교육하며 다양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n ", "참고자료문헌": "교육부(2014),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 제55회 국가정책조정회의 교육부(20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방안, 제5차 국가고용전략회의 마이스터고 홈페이지(www.meister.go.kr) 마이스터고·특성화고 포털(www.hifive.go.kr) \n ", "작성자": "이희정 교수(한양대학교)\n " }, { "정책용어": "정주자립권(定住自立圈) 제도", "생성배경": "일본은 지역의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급격한 인구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지역 단위에서 안심하게 생활할 수 있는 지역을 형성하여 3대 도시권으로의 인구유출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3대 도시권의 주민에게도 각자의 생활 유형에 따라 거주 선택지를 제공하고 지역으로의 인구 유입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4월부터 전국에 전개되었다. ", "용어설명": "일본의 시정촌(市町村)이 주체가 되어 추진하고 있는 제도로서, 중심시(中心市)의 도시기능과 주변 시정촌의 농림수산업, 자연환경, 역사, 문화 등 지역적 특성이 가진 각각의 매력적인 자원을 활용하고자 한 것으로, 지역간 역할 분담을 하는 것이다. 즉, NPO와 기업 등 민간과의 상호 역할 분담을 통한 연계 협력으로 지역 주민의 생명과 삶을 지키며 지역 전체의 필요한 생활기능을 확보하여 지역에 주민이 정주(定住)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정책이다. 정주자립권의 이미지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정주자립권의 이미지 출처 : 일본 총무성(2013)자료로부터 인용 아울러 정주자립권 구상 추진의 개요는 중심시 선언, 주변시정촌과의 협정체결, 공생비전 제시 등 3단계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주자립권의 이미지 출처 : 일본 총무성(2013)자료로부터 인용 ", "현재 용어의 사용": "2009년 정주자립권 구상이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2015.8.1.기준) 94개 권역(순계 420개 시정촌, 총계 443개 시정촌(주변시정촌 중복 포함 시))의 정주자립권이 형성되었으며, 116개 시가 중심시를 선언하였다. 나가노현(長野) 이이다시(飯田市) 등 중심시 76개 시가 주변 343개 시정촌과 정주자립권형성 협정 체결을 완료한 상황이다. 또한 아키타현 유리혼조시 등 24개 시가 정주자립권 형성 방침의 책정을 완료하였으며, 아오모리현 하치노에시 등 89개 시가 정주자립권 공생 비전 책정을 완료하였다. 시정촌 기준으로 볼 때 전국 약 1,700여 개 시정촌 중 420개 시정촌이 정주자립권 구상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해외사례": "우리나라가 계획하고 있는 ‘지역행복생활권’ 구상 시 일본의 정주자립권 구상의 사례가 많이 소개되었으며, 이와 유사한 제도로 영국의 지역기업협력제도인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가 있다. 또한 규모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광역 단위에서 지역발전을 추진하고 있는 미국의 Oregon주의 Metro가 있으며, 이 기구의 경우 지역 주민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에 의해 기구가 운영된다는 특징이 있다. ", "참고자료문헌": "일본 총무성(2013), 定住自立· 構想の進況今後の展開について 신두섭(2013), 일본의 정주자립권 구상 최근 현황과 시사점, 지역발전위원회 토론회 자료 일본 총무성(2015), 全の定住自立 の取組況について ", "작성자": "신두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n" }, { "정책용어": "도시녹화운동", "생성배경": "도시의 환경 악화는 매우 이른 시기부터 시작되었다. 주거지, 상업지역, 공장지역 등이 혼재하고, 물류유통이 활발한 도시지역은 토지이용 효율이 매우 높아 기존 산림녹지지역과 하천 등이 개발압력으로 소실되어 동식물은 물론 인간의 정주지로서도 적합하지 못한 환경이 되었다. 특히 도로포장률이 높아지면서 태양복사열에 의한 대기온도 상승으로 여름철 열섬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1990년대부터는 도시미기후 조절에 효과적인 도시녹화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올랐다. 도시녹화로 조성된 숲(도시숲)은 소음방지, 산소배출, 기후조절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도시숲은 여름 한낮 평균기온을 3∼7도 낮춰주고, 평균습도는 9∼23% 높여준다. 버즘나무는 하루 평균 에어컨 5대(49㎡ 기준)를 5시간 가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또 도심 가로수로 심어진 큰나무(폭 30m, 높이 15m)는 자동차 소음의 75%를 막아준다. 대기정화 기능도 탁월하여 느티나무 한 그루(연면적 1600㎡)는 연간 이산화탄소 2.5t을 흡수하고, 산소 1.8t을 내뿜는다. 성인 7명이 연간 필요로 하는 산소량이다. 이와 함께 숲을 15분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혈압이 2.1% 각각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숲 조성은 2000년대에 들어서 기후변화협약 등의 영향으로 매우 활발해진다. 부산의 100만 그루 나무심기운동으로 대표되는 지자체의 활발한 도시녹화사업이 진행되었고, 도시녹화 및 환경보전운동에 관련된 시민단체가 다수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기업들의 사회공헌도 활발해져 수익금의 일부를 도시녹화기금으로 기부하는 사례도 늘어났다. ", "용어설명": "도시녹화운동이란 산림청이 전 정부의 공약사항인 도시녹화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2013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도시인구의 증가, 대기오염 및 도시열섬현상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빈발 등 녹색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생활권 주변에 녹색공간을 확대하여 국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가·단체·기업이 도시숲의 조성·이용·관리에 직접 참여하여 생활권 주변 도시숲에 대한 녹색거버넌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것이다.\t 도시숲 녹색거버넌스의 개념도 출처 : 산림청 홍보물(2013)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림청 보도자료(2013.5.27), 숲 속의 도시, 도시 속의 숲을 만들어 갑니다 산림청 홍보물(2013), 이야기를 담은 숲, 도시에 스며든 숲, 행복한 초록세상 ", "작성자":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 }, { "정책용어": "마이스(MICE)산업", "생성배경": "MICE산업은 1990년대 후반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등의 동남아 국가가 전시·컨벤션산업 육성을 계기로 경제 도약의 전기를 맞이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MICE산업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서, 또 정보 및 지식교류 인프라로서 산업 및 무역 발전에 근간을 제공하는 미래성장 동력산업으로 부상함에 따라 중국, EU 등 세계 각국은 MICE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 각종 지원정책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1996년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이어서 2009년 MICE산업을 한국의 미래를 이끌 17대 신성장 동력산업의 하나로 선정하여 집중 육성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처럼 많은 국가들이 MICE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이유는 MICE 방문객이 지출하는 금액이 단순 레저나 관광 목적의 일반 여행자보다 높고, 전후방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1)「제3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2014~2018)」에 따르면 MICE산업의 핵심인 국제회의산업의 경우 국제회의 참가자 1인당 지출액은 2011년 기준 2,585달러로 일반 관광객의 평균 지출액(1,409달러)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마이스(MICE)산업은 글로벌 차원의 산업정보 교류에도 크게 기여하여 교역확대와 산업발전을 병행 촉진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n ", "용어설명": "마이스(MICE)산업은 기업회의(Meeting)2), 포상관광(Incentive Tour), 컨벤션(Convention), 전시사업(Exhibition) 등 4개 분야를 포괄하는 서비스산업이다. 기업회의(Meeting)는 기업 및 단체가 아이디어 교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토론, 정보교환, 사업 등을 목적으로 개최하는 회의를 의미한다. 포상관광(Incentive Tour)은 기업이 비용의 전체 또는 일부를 부담하여 조직원들의 성과에 대한 보상 및 동기부여를 위해 표창과 연수 등의 목적으로 실시하는 포상여행을 의미한다. 컨벤션(Convention)은 아이디어 교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토론, 정보교환, 사업 등을 목적으로 개최되는 회의, 즉 Meeting보다 규모가 큰 회의로서 UIA(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기준3)에 부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국제단체, 학회 등이 주최하는 총회나 학술회의, G20정상회의, APEC회담 등이 컨벤션의 대표적인 예이다. 마지막으로 전시(Exhibition)는 전문 전시시설에서 유통업자, 무역업자, 소비자, 관련 종사자 및 전문가,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특정 제품·기술·서비스와 관련된 기업 및 기관들이 정보를 교환하거나 거래 및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지는 행사를 의미한다. MICE산업의 범위 출처 : 저자작성 이러한 MICE산업은 회의실, 전시시설 등과 같은 대규모 장치시설을 필요로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시, 컨벤션 시설 외에도 관광, 숙박, 이벤트, 공연, 교통, 광고, 통신, 통역·번역 등의 연관 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어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MICE산업 중 국제회의 시장 구조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2013.12), 제3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기홍, 서병로(2011), MICE 산업론, 대왕사 황희곤(2012), 한국MICE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관광투자 뉴스레터 문화체육관광부(2016), 보도자료 박의서, 오성환(2010), 사례 중심의 MICE 기획과 운영, 세림출판 송용주(2016), MICE산업 인프라 구축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한국경제연구원 한국관광공사(2013), 2013 MICE 참가자조사 한국관광공사(2015), 2014 MICE 산업통계 조사·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9), MICE 시설과 인접지역 복합화 추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1), 컨벤션 지원정책 개선방안 황희곤(2012), 한국MICE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관광투자 뉴스레터 \n 1)MICE산업은 그 자체의 부가가치 창출보다 전후방 연관산업(예: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통신업 등)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높아, COEX·KINTEX(한국), IMEX(독일 프랑크푸르트), EIBTM(스페인 바르셀로나), GIBTM(UAE 두바이), ALBTM(미국 볼티모어), CIBTM(중국 베이징), AIME(호주 멜버른) 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MICE시설을 공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기업회의와 달리 정부기관, 공공단체, 학술단체와 같은 공공성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회의(Conference)의 경우 컨벤션(Convention)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3)(Type A) 국제기구(IGO, NGO)가 개최하거나 후원하는 회의(단, 참가인원 50명 이상), (Type B) 국제기구가 개최하지 않을 경우 국제기구가 속한 국가단위의 조직(지부)가 개최하는 국제적인 성격의 회의(단, 참가자의 40% 이상이 외국 참가자, 참가국가 5개국 이상, 회의기간 3일 이상, 전시회가 병행되거나 참가자가 최소 300명 이상 등의 조건 충족 시에 한함) 4)국제회의복합지구는 ‘국제회의시설 및 국제회의집적시설이 집적되어있는 지역’을 의미하며, 국제회의집적시설은 ‘국제회의 복합지구 안에서 국제회의시설의 집적화 및 운영 활성화에 기여하는 숙박시설, 판매시설, 공연장 등의 시설’을 의미함.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n " }, { "정책용어": "지방재정조정제도", "생성배경": "지방재정조정제도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에 제공하는 최소한의 행정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재원을 보장해 주기 위해 국가마다 도입하고 있으며, 특히 지자체 간 재정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또는 자치단체 간 재원을 이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과 지방정부 간의 재정적 연계 고리가 오래도록 지속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제도의 도입 이유는 크게 정부 간 존재하는 수직적·수평적 재정불균등을 시정하거나, 국가적 이해관계 또는 국가와 지방이 상호 이해관계를 갖는 사업들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 "용어설명": "지방재정조정제도(Local Fiscal Equalization Scheme)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수직적 재정불균등이나 지방정부 간의 수평적 재정불균등을 바로잡기 위하여 재정자원을 재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지방재정조정제도의 유형으로는 사용조건에 따라 일반보조금(general grants)과 특정보조금(categorical grants)으로 구분된다. 이는 다시 배분방법에 따라 공식과 사업별, 그리고 매칭 방식에 따라 정액보조, 정율보조, 정액교부, 조건교부 등으로 구분한다. 정율보조의 경우 보조규모 제한에 따라 폐쇄형 정율보조금과 개방형 정율보조금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일반보조금과 특정보조금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 포괄보조금(block grant)이 있다. 우리나라 지방재정조정제도의 체계는 크게 지방교부세제도와 국고보조금제도로 구분된다. 지방교부세제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요와 세입 간 재원부족이 발생하면 이를 보전할 목적으로 교부하는 제도이며, 국고보조금제도는 지방자치단체 간 재정력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특정사업에 대한 장려 목적의 조건부 보조금의 성격을 가진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세분하면 아래 표와 같다. 우리나라 지방재정조정제도의 체계 * 분권교부세 제도는 2014년까지 한시적 운영 후 2015년부터 보통교부세로 통합되었으며, 담배에 부과되는 개별소비세의 20%를 재원으로 하는 소방안전교부세가 신설됨 출처 : 저자 작성 ", "현재 용어의 사용": "지방재정법 제4조 제1항에는 정부가 지방재정조정제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교부세와 보조금 관련 업무 추진 시에 지방재정 조정제도의 의의 및 필요성, 활용 등에 이 용어를 수시로 사용하고 있다. ", "해외사례": "해외 많은 국가에서 지방재정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단일 국가인 일본, 영국, 프랑스의 경우 수직적 조정을 위한 일반보조금을, 그리고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은 평형교부금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방국가인 독일에서도 평형교부금을 운영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회계별·연도별 세입순계예산 규모 추이 (단위 : 억 원) 회계·재원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지방세수입 500,799 523,001 539,381 537,789 581,842 594,523 세외수입 505,825 491,671 553,003 620,437 221,162 202,489 지방교부세 281,990 319,377 352,063 355,750 352,272 315,849 조정교부금 - 439 583 466 - - 보조금 320,333 322,947 351,046 368,379 392,392 417,917 지방채 55,337 65,386 44,359 83,272 49,120 48,207 보전수입 등 내부거래 - - - - 211,966 153,605 계 1,664,284 1,722,822 1,840,436 1,966,093 1,808,754 1,732,590 * 2013년까지는 결산액, 2014년은 최종예산액, 2015년은 당초예산액임. 회계 및 재원별에서 ‘지방 채’는 2013년까지는 종전 세입구조에 따라 ‘지방채및예치금회수(600)’과목에 편성된 금액이며 ‘보전수입등및내부거래’과목은 기존 세외수입 과목 등을 개편하여 ‘14년부터 신설한 과목임 출처 : 행정자치부(2015) ", "참고자료문헌": "서정섭, 조기현(2007),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용환, 박충훈(2005), 재정조정제도 변화에 따른 합리적 재원배분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행정자치부(2015),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개요(상,하):예산개요 및 기금운용개요 ", "작성자": "신두섭 수석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방투자지원포털(COMIS) 제도", "생성배경": "기업이 지방에 투자 시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방문해야 했으나, 지방투자지원포털(COMIS)을 통해 지역별 투자지원 정보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 투자가에게 지방투자 의욕을 고취하고 적합한 입지를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나눔 마당에서 지방투자 질문과 애로사항을 등록할 경우 산업단지공단 E-기업도우미에서 실시간으로 민원 사항을 처리해 줌으로써 기업인들이 지방투자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지방투자 의향 기업과 지자체, 산단공 간의 정보교류 활성화를 통해 지방 투자를 촉진코자 마련된 것이다. 산업자원부는 2006년 12월, 13개 비수도권 지자체와 공동으로 ‘기업이전 및 지방투자 지원시스템(COMIS)’을 구축하고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2010년 4월 종합적 지역투자 정보를 제공하는 지방투자지원포털시스템인 코미스(http:\/\/www.comis.go.kr)를 새롭게 개편하여 본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방투자지원포털시스템(COMIS)은 14개 비수도권 시도 지역으로의 기업이전이나 지방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기업들이 정부보조금 등 이전 지원혜택과 지역별 투자환경에 대한 정보 및 관련 행정지원을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이다. 새롭게 개편한 지방투자지원포털시스템은 지방투자 기업지원제도, 산업단지 분양정보, 지역별 투자환경 등 지방투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기업인들과 지방투자가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주제별로 크게 지역정보안내, 지역투자정보, 지방이전제도, 자료마당, 나눔마당의 5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박재곤(2010), 지방투자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개선방안, 산업연구원 코미스포탈 홈페이지(www.comis.go.kr)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 }, { "정책용어": "지역발전포털(REDIS)", "생성배경": "2009년 당시 지경부 산하에 있던 지역경제종합정보망(ReNet)과 행정자치부 정보망인 E-eye 시스템을 통합해 지역발전 통합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지역발전포털(REDIS)을 개통하였다. REgional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의 약자인 REDIS는 신(新)지역발전 정책관리의 효율성 제고 및 중앙-지역 간 지역발전정책 공감˙소통의 기회 확대 차원에서 포털 형태로 개편되면서 대국민 서비스를 본격화하였다. ", "용어설명": "지역발전포털(REDIS)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시행령 제13조5항 및 제6조에 의거하여 지역발전사업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포털사이트를 말한다. 지역발전위원회가 총괄하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영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역발전포털 레디스의 기본 운영방향은 지역경제, 산업, 문화관광 등 기초 통계 및 지역발전사업을 DB 구축을 강화하여 지역발전 정책 활용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포털의 비전과 목표는 지역발전사업 추진실적 종합평가 온라인 시스템 지원을 통한 평가 경쟁력 제고는 물론, 지역정보 교류기능을 강화한 소통 및 협력 플랫폼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지역발전포털 시스템은 크게 온라인 평가지원시스템(경제발전계정, 생활기반계정, 제주특별자치도계정, 세종특별자치시계정, 지역행복생활권), 지역발전사업 3대DB(지역발전사업DB, 지역발전네트워크DB-지원기관DB, 지역현황정보DB-지역통계DB), 지역발전콘텐츠(지역뉴스, 컬럼˙기고문, 일자리정보, 지역행사, 리더 인터뷰, 우수사례, 정책자료, 북리뷰, 영상자료 등) 3개로 구분된다. 지역발전포털 주요내용 출처 : 지역발전포털(REDIS) 홈페이지 ", "현재 용어의 사용": "지역발전포털 레디스는 2,000개가 넘는 중앙부처, 지자체, 연구소, 유관기관 등에 산재하는 지역발전 관련 정보를 한곳에 모은 지역정보 내비게이터이다. 특히 2015년도부터 본격 서비스 중인 「한눈에 보는 지역정보」는 지역발전사업(지특회계사업)현황, 지역발전 지원기관, 일자리 정보, 지역통계 등 지역발전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통합 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지역발전정책의 핵심인 지역행복생활권에 대한 평가지원시스템 및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레디스는 지역발전포털 활성화를 위해 블로그,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하여 문화, 산업, 명소, 일자리, 복지, 교육 등 지역관련 콘텐츠를 스토리텔링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발전사업 관련 정보 포털의 허브로서 정책관련 정보 접근의 편리성 제고 및 종합적 자료 구축을 통하여 관심 있는 지자체 및 일반인들에게 차별화된 지역 발전 종합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눈에 보는 지역정보」 시스템 화면 출처 : 지역발전포털(REDIS) 홈페이지 ", "해외사례": "우리나라 지역발전포털과 같이 평가데이터 구축을 기반으로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유사 사이트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는 eurostat, inforegio, IEG 월드뱅크 등으로 성공사례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평가 결과를 공개함으로써, 소통과 협력 플랫폼으로서 정책 활용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지속가능한 개발포털 홈페이지(www.sustenn.com) 지역발전포털 홈페이지(www.redis.go.kr) IEG 월드뱅크 홈페이지(www.ieg.worldbankgroup.org) ", "작성자": "윤태웅 전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지중해 파트너십", "생성배경":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에 접하고 있는 지정학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회ㆍ문화ㆍ경제활동이 내륙에 집중되고 있어서 해양수산 현장의 의견 수렴 및 지역 현안 사항과 건의사항에 대한 중요성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박근혜정부 들어서 해양수산부가 부활하고, 바다를 통해 국민의 꿈과 행복을 실현시켜 나가기 위한 노력이 구체화되고 있으며, 지중해 파트너십이 그 중심에 있다. ", "용어설명": " 최근 바다를 접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해양수산부가 힘을 모아 해양수산정책 발전을 위해 정보 공유와 업무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중해(地中海) 파트너십 협약 체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중해(地中海)의 의미는 지방(地)과 중앙(中)이 하나되어 바다(海)로 나아가자는 뜻으로, 2013년 6월 현재 전국 72개소 시군구와 해양수산부 41개 실과소가 참여하여 업무교류를 활성화하고 건의사항을 수렴하는 ‘소통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지방과 중앙이 하나 돼 바다로 나가자는 취지로 마련된 지중해 파트너십은 접경지역의 재해방지시설, 어업지도선, 어장 자원 관리, 섬 지역 교통 편의성, 해양환경 변화 등 다양한 사안들을 파트너십을 통해 고민하고 해결해가려는 취지를 갖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해양수산부는 ‘글로벌과 미래’의 키워드를 내세우면서 향후 5대양 6대주로 진출하는 ‘글로벌 해양경제 영토’를 확대하겠다고 하면서 지중해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와 파트너십을 구축한 지자체는 지역 현안 및 건의사항에 대해 연 1회 이상 업무협의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중해 파트너십 구축은 해양수산부를 둘러싼 다양한 정책고객들과의 쌍방향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시스템이므로 바다신문고, 장관과의 대화방 등과도 연계하여 범국가적으로 운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 "해외사례": "유럽에서는 유럽지중해파트너십(EUROMED; Euro-Mediterranean Partnership)이 운영 중에 있다. 여기에는 유럽의 남쪽인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북아프리카 및 중동지역의 16개 국가(알바니아, 알제리아,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이집트,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모리타니아, 모나코, 몬테네그로, 모로코, 팔레스타인, 시리아, 튀니지, 터키 등)들이 참여하여 2008년부터 Union for the Mediterranean(UfM)을 결성하고, 경제, 환경, 에너지, 건강, 이주, 문화 등에 걸쳐 광범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주요 아젠다는 다음과 같다. 지중해 및 연안지역 오염 방지 교통체계 연결 및 개선을 통한 접근성 향상 재해 안전 태양에너지 개발 및 보급 등 ", "참고자료문헌": "Chang Nina(2008), 유럽, 지중해, 중동의 지역협력체제의 배경과 전망에 관한 연구, 지중해지역연구 제10권 제3호,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European Union(2013), Euro-Mediterranean Partnership European Commission(2013), Euro-Mediterranean partnership 기호일보(2013.6.14), 해수부의 지중해 파트너십에 기대한다 아주경제(2013.6.9), 해수부 -지자체, 지중해 파트너십 구축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4050 뉴스타트 지원사업", "생성배경": "인생 100세 시대에 대비하여 지역 평생학습체제를 구축하여 전생애에 걸친 국민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4050 뉴스타트(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지원사업이 추진되었다. 정부는 ’07년 12월과 ’14년 1월, 2번에 걸쳐 「평생교육법」을 개정하여 국가-시·도-시·군·구-읍·면·동으로 이어지는 국가평생교육 추진체계를 마련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17개 시·도는 ’12년 8월까지 평생교육진흥 조례 제정을 완료하였다. ’11년에 ‘시·도 평생교육 활성화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12년부터 4050 뉴스타트 지원사업으로 변경되었다. ", "용어설명": "4개의 세부사업으로 나뉘어지는 4050 뉴스타트 지원사업은, 교육부 산하의 공공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사업을 수행·관리하고 있다. 4개의 세부사업은 1)시·도 평생교육진흥원의 설치 또는 지정·운영 지원을 하는 ‘시·도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 2)시·군·구 시책과 연계한 평생교육 서비스를 통해 학습공동체 형성 및 학습형 일자리 확대를 위한 ‘평생학습도시 조성’, 3)읍·면·동 단위에서 주민과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수요에 대응한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근거리 학습 접근성 제고를 위한 ‘행복학습센터 운영’, 4)시·도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보를 수집 제공하여 주민의 평생학습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다모아 평생교육정보망 구축’ 사업이다. 4050 뉴스타트 지원사업 추진체계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시·도\/시·군·구 기본계획 수립 사업공고 지원대상 지자체 최종 선정 사업비 교부 및 관리 사업관리 총괄 실행계획 수립 사업신청 지자체 계획 평가 및 결과보고(→교육부) 성과관리 컨설팅 및 연구 사업결과 보고(→교육부) 참고자료 개발 사업신청서 및 운영 계획 작성·제출 사업 시행 사업 성과관리 및 자료조사 협조 사업결과 및 정산 보고(→교육부, 국가진흥원) 출처 : 교육부(2014), 2014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기본계획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는 ‘시·도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통해 17개 시도 중 10개의 시도에서 ‘시·도 평생교육진흥원’을 운영하고 있고, 서울, 전북이 올해 (’14년) 신규로 운영 예정이다.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통해 227개 시·군·구 중에서 118개의 도시가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었다. ‘행복학습센터’는 전국 16개 시군구에서 84개의 센터가 시범운영 중이다. 또한 ‘다모아 평생교육정보망’은 11개 시·도에 구축·운영 중이다. 세부사업별 주요내용 세부사업 사 업 내 용 시·도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 시·도 평생교육진흥원이 평생교육의 중추역할을 하고, 지역 수요에 기반한 정책 및 사업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수행 평생학습도시 조성 평생학습 인프라와 지원계획이 우수한 평생학습도시의 주민 평생학습 사업을 운영하도록 재정적 지원 행복학습센터 운영 주민의 근거리 학습권 보장을 위한 읍·면·동 단위 행복학습센터 운영 다모아 평생교육 정보망 구축 교육유관기관, 교육현장 등에 산재된 교육자원을 한번에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출처 : 교육부(2014), 2014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기본계획에서 자체 편집 ",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 사업신청서 및 운영 계획 작성·제출 사업 시행 사업 성과관리 및 자료조사 협조 사업결과 및 정산 보고(→교육부, 국가진흥원) 출처 : 교육부(2014), 2014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기본계획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는 ‘시·도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통해 17개 시도 중 10개의 시도에서 ‘시·도 평생교육진흥원’을 운영하고 있고, 서울, 전북이 올해 (’14년) 신규로 운영 예정이다.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통해 227개 시·군·구 중에서 118개의 도시가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었다. ‘행복학습센터’는 전국 16개 시군구에서 84개의 센터가 시범운영 중이다. 또한 ‘다모아 평생교육정보망’은 11개 시·도에 구축·운영 중이다. 세부사업별 주요내용 세부사업 사 업 내 용 시·도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 시·도 평생교육진흥원이 평생교육의 중추역할을 하고, 지역 수요에 기반한 정책 및 사업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수행 평생학습도시 조성 평생학습 인프라와 지원계획이 우수한 평생학습도시의 주민 평생학습 사업을 운영하도록 재정적 지원 행복학습센터 운영 주민의 근거리 학습권 보장을 위한 읍·면·동 단위 행복학습센터 운영 다모아 평생교육 정보망 구축 교육유관기관, 교육현장 등에 산재된 교육자원을 한번에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출처 : 교육부(2014), 2014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기본계획에서 자체 편집 해외사례 일본 시즈오카시에서는 「사회교육법」에 따라 11개 생애학습센터를 시·정·촌 단위에 배치해 운영중이다. 각 센터는 여성회관, 보건센터, 재해방재공원 등과 복합시설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생애학습센터가 없는 구도심에는 마을단위의 생애학습교류관을 21개소 설치하여 운영중이다. 시즈오카 생애학습센터 사례 출처 : 교육부(2014), 2014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기본계획 참고자료·문헌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www.nile.or.kr ) 교육부(2014), 2014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기본계획 ", "작성자": "박태준 선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농어촌공동체회사", "생성배경":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전통적 산업기반인 농˙어업 비중 축소와 관련 일자리 감소, 교육˙복지˙의료 서비스 등에 대한 수급 불균형 등은 농촌이 당면한 큰 과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경제적 투자매력이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기업 활동이 부족하다 보니 축소된 농업을 상쇄할만한 일자리가 충분치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는 2009년 9월 ‘농˙어촌 공동체 회사 육성계획(안)’을 발표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2010~2014년)’에 농촌 경제활동 다각화 부문 세부추진 과제의 하나로 ‘농촌 공동체 회사 발굴˙육성’을 포함하였다. 2010년 7월 「삶의질향상특별법」을 개정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하였다. ", "용어설명": "농촌 공동체 회사란 ‘농촌 주민과 귀농˙귀촌 인력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기업의 경영 방식을 접목하여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농촌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조직’을 말한다. 즉, 공동체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성, 공익성,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농촌형 사회적기업이라 할 수 있으며, 농촌 활성화를 위한 내생적 발전 수단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농촌 공동체 회사 유형은 활동 목적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농˙식품 산업형은 마을 공동 전통식품 제조, 로컬 푸드, 학교 급식 식자재 공급, 농가 레스토랑 운영, 친환경 농자재 생산, 지역공동 마케팅 등을 포함한다. 둘째, 도˙농 교류형은 도시민 웰빙센터, 농촌체험관광 네트워크, 경관 및 환경 유지˙보전사업, 마을단위 휴양법인, 문화공방 운영 등을 포함한다. 셋째, 지역 개발형은 읍˙면 재래시장 활성화 법인, 시˙군 지역개발 컨설팅센터, 지역경제 디자인센터 운영 등이 해당한다. 넷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형은 주거복지센터 운영, 통합˙거동 불편자 교통서비스 제공, 반찬 배달, 노인복지센터, 방과 후 공부방 운영, 결혼이민 여성의 외국어 강사 활용 사업 등이 해당한다. 다만, 2015년도 농촌 공동체 회사 우수사업 지침에서는 기존 유형을 변경해 사회 서비스 제공형, 복합형, 소득사업형으로 개념화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촌에 잠재해 있는 공동체 조직을 발굴하기 위해 2010년 5월 140개 시˙군을 대상으로 ‘농˙어촌 공동체 회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219개 조직이 농˙어촌 공동체 회사로 육성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여기에 ‘들녘경영체’ 등을 포함할 경우 1,084개소에 달하였으며, 이 중 도˙농 교류형이 33%로 가장 많았다. 2010년 10월에는 농림축산식품부와 고용노동부 간의 농˙어촌형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MOU가 체결되었다. 이를 통해 두 부처는 2012년까지 100개의 농어촌 공동체 회사를 사회적기업으로 지정하여 농촌에 1천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농촌 활성화를 도모하기로 하였었다. 2012년 농촌의 일자리는 482만 개로 집계되었으며 이 중 농촌 공동체 회사를 통한 일자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농촌 공동체 회사 활성화를 위해 2011년에는 예산을 확보하여 54개소의 우수 사업을 선정, 5천만 원(국고 50%, 지방비 25%, 자부담 25%) 범위 내에서 농촌 공동체 회사 활동 추진에 필요한 기획˙개발˙마케팅˙홍보 등을 지원하였다. 또한, 2013년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공동경영체를 공동체 회사로 육성하기 위해 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취약계층에 일자리 및 사회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공동경영체를 농˙식품형 예비사업기업으로 지정하였고, 사회적 협동조합 활성화 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을 확대하였다. 2016에도 계속 농촌 공동체 회사 우수 사업 지원 지침을 마련해 지원 중이다. 관련 예산은 농특회계 지자체 경상보조 형태로 매년 30억 원 규모이며 개소당 최대 5천만 원을 지원한다. 사회 서비스 제공형과 복합형은 최대 3년간 지원하며 1차 연도 성과가 우수한 회사는 차년도 추가 지원이 이루어진다. ", "해외사례": "선진국에서는 농촌 공동체 회사와 유사한 커뮤니티비즈니스가 지역공동체 회복과 지역 활성화의 대안으로 주목받은 지 오래다. 영국은 5만 5천 개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조직이 활동 중이며 시장 규모가 50조 원으로 추정된다. 일본도 8천 개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조직이 활동 중이며 시장 규모가 3조 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 김제완, 정태길, 양동수(2012),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우리나라 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농림축산식품부(2015), 2015년도 농촌공동체회사 우수사업 지원 시행지침 농림축산식품부(2013),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농림축산식품부(2009), 농어촌 공동체회사 육성계획(안)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0), 농어촌공동체회사 사례집1˙농어촌 일자리 창출, 사회적기업이 앞장선다!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0), 농어촌활력의 중심, 농어촌공동체회사가 뜬다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1), 농어촌 활력 농어촌공동체회사로 시작하다 : 2011년도 신규사업 54개소 최종선정 농림축산식품부(2011), 2011 농어촌공동체회사 사례집 농림축산식품부(2009), (2010-2014)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 박병홍(2010), ‘농어촌 공동체회사 육성정책의 주요내용’, (재)지역재단 제15차 지역리더포럼 ‘농어촌 공동체 회사와 순환공생의 지역만들기 : 현황과 과제’ 박진서(2011), ‘농어촌공동체회사 정책의 현황과 향후과제’, 농정연구 통권 37호 (2011년 봄), 농정연구센터 배호열(2011), ‘농어촌공동체회사 육성정책과 과제’, (재)지역재단 창립 7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오내원 외(2010),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 (2의 1차 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완주군(2011), 완주군일자리종합추진계획 유정규(2011), 농어촌공동체회사 육성정책의 개요와 발전과제, 지역과 발전 제6호(2011년 겨울) 이정배(2012), 농어촌형 지역공동체사업(커뮤니티비즈니스)의 성공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 농어촌공동체회사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덕기(2012), 전남지역 농어촌공동체회사 활성화 방안, 전남발전연구원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경관농업", "생성배경": "농어촌 경관이 갖는 잠재적 가치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경관을 잘 가꾸는 것이 농어촌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농어촌 경관은 축제 개최 및 도농교류를 통해 소득 증대와 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창군의 메밀밭을 활용한 효석문화제, 고창군의 청보리밭 축제, 하동군의 메밀·스모스 축제, 남해군의 다랑이논 등이 좋은 사례이다. 농어촌 경관은 그 잠재력이 높은 동시에 난개발의 영향에 취약하여 한번 훼손되면 회복이 쉽지 않다.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농어촌 경관을 보전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농어촌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은 다양하다. 산, 하천, 숲 등 자연적 요소와 농경지로 이루어진 농업적 요소, 주택들로 구성된 마을 등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져 농어촌 경관을 형성한다. 경관농업이란 농어촌 경관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특히 농업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 할 수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영국에서는 1987년에 농촌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보조금 지원사업으로 환경민감지역사업(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ESAs)을 도입하였고, 1991년에 농촌경관 보전과 함께 레크리에이션(그린투어리즘) 향상을 위한 보조금 지원제도로 전원관리사업(Countryside Stewardship Scheme: CSS)을 시행하였다. 2005년부터는 농촌환경 및 경관을 통합적 맥락에서 관리·보전하기 위하여 ESAs와 CSS를 합쳐 환경관리사업(Environmental Stewardship: ES)을 수립해 시행해 오고 있다. 환경관리사업은 농민과의 일종의 협약제도로, 농민들은 농촌환경 여건과 질적 수준에 따라 차등화 되어 있는 협약 내용을 이행하고 이에 대한 보조금을 받게 된다. 2004년 제정된 일본의 경관법은 경관이 국민 공통의 자산임을 강조하고 규제와 동시에 지자체 자주 조례에 강제력을 부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경관법은 크게 ‘경관계획’과 ‘경관지구’의 2단 체계로 구성되는데, 경관계획이 신고·권고를 기본으로 하는 완만한 규제인 반면, 경관지구는 이보다 규제가 엄격하다. 또한 비영리법인과 공익법인이 포함된 ‘경관정비기구’를 구성해 행정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 여타 시민단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주민 합의에 의해 상세한 경관 규칙을 만드는 ‘경관협정’, 행정·주민·공공시설 관리자 협의에 의해 경관 규칙을 만드는 ‘경관협의회’ 등이 시행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성주인(2005), 농촌 경관관리 실태와 정책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외(2007), 농촌경관 관리 및 지원 시범사업에 대한 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외(2009), 농어촌 경관관리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외(2010), 농어촌 경관관리정책의 추진동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 (2013), 농림축산식품사업시행지침서 정철모 외(2004), 녹색농업관광 활성화를 위한 경관농업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0(1) pp57-64 ", "작성자": "채종현 부연구위원(대구경북연구원) \n" }, { "정책용어": "경관보전직불제(Direct Payment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생성배경": "최근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촌의 경관을 아름답게 가꾸어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농촌관광 등에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정책을 세계 각국에서 시행하고 있다. 농촌경관자원은 농촌관광을 위한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도시민들에게 심미적 휴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국민 모두에게 공공재로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농촌경관을 어떻게 관리하고 보전하느냐에 따라 역할을 달리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농촌지역에 농업외적 개발수요가 증가하면서 농촌다움(rurality), 주변환경 등과는 어울리지 않는 경관훼손사례가 증가하고, 농업ㆍ농촌 내부적으로도 생산ㆍ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각종 경관 저해시설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농식품부는 농촌의 경관을 아름답게 가꾸어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제고함으로써 도시민의 여가수요 증대에 부응하고자 2005년부터 농어촌 경관을 직접적인 정책대상으로 하는 사업인 경관보전직불제를 시범 실시하고, 2008년부터 본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경관작물 식재에 대해 지원하는 농식품부의 경관보전직불제는 지역별로 특색있는 경관작물의 재배를 유도함으로써 농촌경관을 아름답게 가꾸어 도농교류 및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제도이다. 즉, 농촌경관의 형성ㆍ유지를 통하여 농촌의 어메니티를 증진시켜 농촌관광을 활성화하고 이를 농민 소득 증대와 농촌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는 농촌 환경계획인 동시에 농촌지역개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주민간에 협약을 체결하고 주민 스스로 마을 경관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공동으로 관리하고 지역별로 특색있는 경관작물을 선택하여 집단적으로 재배함으로써 농촌다운 경관을 형성ㆍ유지ㆍ개선하는 조건을 이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경관보전직불제는 지역축제 등과 연계가 가능하고 농촌관광사업을 하고 있는 마을을 우선적인 대상지역으로 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는 경관보전직불제를 농가단위 경관작물 위주에서 작물 재배를 포함하는 마을경관 영역으로 확대하여 주민참여를 통한 경관의 형성과 보전 기능을 강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경관보전직불제는 시장ㆍ군수와 마을경관보전활동계획에 대한 협약 체결 후 농지에 경관작물 재배관리 및 마을경관보전활동을 통해 마을경관을 아름답게 가꾸어 이를 지역축제, 도농교류 등과 연계하여 농외소득창출 및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제도이다. 지원조건으로는 농지를 대상으로 마을단위 경관작물 식재면적이 경관작물 2ha 이상, 준경관작물 10ha 이상 집단화하여 경관작물을 재배관리 및 마을경관보전활동 시 경관보전직불금을 지급하고 있다. ", "해외사례": "우리나라 경관보전 직불제도는 영국의 ES(Environment Schemes), 프랑스의 CAD(Le Contrat d’Agriculture Durable), 일본의 농촌경관ㆍ자연환경보전재생지원사업 등과 성격이 유사하다. ", "참고자료문헌": "김광남(2010), 농촌경관 보조금 정책에 관한 연구 박진현(2012), 경관보전직불제에 대한 이해집단간 의식 비교연구 성주인(2005), 농촌 경관관리 실태와 정책 방안, 농촌경제연구원 엄대호(2005), 경관조전직불제의 현황과 과제 송미령, 박경철(2005),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www.maf.go.kr) ", "작성자": "은희창 지역사업본부장 ((주)인포마스터) \n" }, { "정책용어": "공동미니복합타운(Joint Multi Service Complex)",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황지욱(전북대학교 교수)\n\n\n\n\n\n" }, { "정책용어":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생성배경":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는 국가RD 사업의 효율성·생산성1) 제고를 위해 1999년부터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사업별 조사·분석·평가를 직접 시행하다가, 2005년 「성과평가법」제정을 계기로 부처·연구회 자체평가 및 국과위 상위평가·특정평가로 운영되는 평가체계2)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문재인정부는 자율과 책임의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을 국정과제로 제시하고 이에 맞춰 연구자 중심 국가연구개발 평가체계 개편을 추진 환경 조성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자 중심의 연구제도·시스템 혁신을 위하여 평가전문위원회를 개최하여 새로운 RD 평가체계 추진 방향 등을 논의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평가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정부3)는 RD투자 확대에 따른 투자효율성 제고를 위해 1999년부터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를 도입·운영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 동법 시행령 제20조에 근거하여 수행하고 있고, 이 중에서 평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성과평가법)」4)에 근거하여 ①RD사업 평가(중간평가-자체·메타5)), ②출연기관 및 연구기관 평가 등 2개 분야의 평가체계로 구성·운영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체계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부자료(2017) RD사업의 중간평가(자체-메타평가) 및 특정평가, 출연기관 및 연구기관 평가 등의 성과평가는 성과평가 기본계획(5년 단위)6)과 성과평가 실시계획(1년 단위)에 근거하여 실시하고 있다. 여기서 RD사업의 중간평가는 중앙부처에서 추진하는 RD사업의 성과 등을 당초 3년 주기로 평가하였으나, 2016년 통합 재정사업 평가체제로 변경되면서 1년 주기로 평가하는 것으로 개편되었다. (1단계) 중앙부처가 소관 연구개발사업에 대해서 먼저 ‘자체평가’를 시행하고, (2단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자체평가의 적절성을 평가과정의 충실도, 평가결과의 적정성, 지출구조조정의 적정성 등 3개 항목 기준으로 점검하고, (3단계) 메타평가협의회(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발전위원회 등)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일반재정사업, 지역사업 등 3개 분야별로 메타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특정평가는 RD사업의 중간평가와 별도로「성과평가법」제7조에 근거하여 ①장기간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 ②사업간 중복조정 또는 연계가 필요한 사업, ③다수 중앙행정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 ④국가적·사회적 현안으로 대두된 사업 중에서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평가대상 사업7)을 선정하여 사업간 유사·중복성, 성과의 효과성과 추진체계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이다. 출연기관 및 연구기관 평가는 출연 연구기관장의 경영실적과 연구사업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도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출연기관(25개) 및 부처 직할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임무중심형 평가와 공통기준형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임무중심형 평가는 연구기관의 자율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기관장 임기 주기에 따른 고유임무 중심의 맞춤형 기관평가로 운영되고 있으며, 공통기준형 평가는 연구기관의 경영실적(매년 평가)과 연구성과(3년 주기 평가)를 담당 부처 또는 연구회 주관 하에 자체평가를 먼저 시행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상위평가를 통해 자체평가 결과의 적절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과학기술심의회(2017), 2017년 국가연구 개발사업 성과평가 실시계획 미래창조과학부(2015), 2015 국가연구 개발사업 자체평가 지침 미래창조과학부(2014), 국가연구 개발사업 표준 성과지표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12), 2013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11), 제2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 1)국가RD투자는 최근 10년간 연평균 10.1%씩 증가한 결과 2011년 기준 GDP 대비 4.03%(세계 2위)에 달하나, 연구성과의 질적 성과는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한 수준(5년간 논문 피인용 횟수 4.07회로 세계 평균 5.13회에 미달, 기술무역수지는 59억 달러(2011년 기준) 적자로 OECD 34개국 중 최하위권 등)에 머물고 있다. 2)전체 국가RD사업에 대해 매년 부처가 자율적으로 평가한 다음 국과위가 상위평가를 수행하고, 주요 사업은 특정평가를 통해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3)1999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과학기술부, 간사: 과학기술부장관)→2004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과학기술부 內 과학기술혁신본부, 간사: 과학기술혁신본부장)→2008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교육부, 간사 : 청와대 교육과학문화수석)→2010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교육부, 간사 : 청와대 미래전략기획관)→2011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대통령 직속 행정위원회)→2013년 국가과학기술심의회(미래창조과학부, 간사: 미래창조과학부장관) 4)2005년 국가RD 사업에 대한 성과중심 평가제도의 조기 정착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예산 조정 및 배분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성과평가법」을 제정하였다. 5)2016년도부터 기획재정부, 미래창조과학부(現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발전위원회 합동으로「통합 재정사업 평가 지침」을 따라 기존 상위평가 대신 메타평가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6)2011년에 과학기술의 질적 성장과 창의적 연구개발을 목표로 하는 제2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2011~2015)을 수립하였다. 7)특정평가 대상사업을 체계적·합리적으로 발굴·선정하기 위해 관련 부처·일반연구자 대상의 수요조사, 외부지적사항(국회, 감사원) 등에 기초하여 후보사업을 발굴하고, 후보사업에 대한 성과조사·분석 결과, 기존 평가결과 등에 근거한 평가전문위원회 검토,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최종 평가대상사업을 도출하고 있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작은 영화관", "생성배경": "영화 관람은 도시민들의 가족 단위 대표 문화여가활동이지만 CGV나 롯데시네마 등과 같은 영화관 시설이 없는 지방도시나 농·어·산촌 지역 주민들은 영화 관람 기회를 쉽게 얻지 못하고 있다(예: 2017년 현재 전국 평균 4.2회, 서울시민 평균 5.9회, 광주 5.4회, 대전 5.1회, 대구 4.8회, 부산 4.7회 등 대도시 시민 평균 5회 이상, 전라남도 2.0회).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 소외 지역의 여가 향유 기회 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작은 영화관 1곳당 최대 5억 원의 국고를 지원하여 3D영화까지 상영할 수 있는 대도시의 멀티플렉스 수준의 시설을 건립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연간 문화예술 관람횟수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2014. 12.), 문화향수실태조사. ", "용어설명": "전 정부는 ‘문화융성’을 국정 기조로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 구현을 위해 문화로 국민행복 가꾸기, 문화로 창조경제 이끌기, 문화국가 만들기와 관련된 다양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작은 영화관은 이러한 과제 중 하나로 여가 공간 및 인프라 부족으로 발생하는 소외와 차별이 없는 보편적 문화 복지 환경 조성과 국민의 문화향유기회를 확대할 목적으로 문화 소외 지역주민들을 위해 건립·운영되는 2개 관(각 관 좌석 수 50석 내외) 규모의 상시 상영 영화관을 말한다. 문화로 행복한 삶 출처 : 문화관광체육부(2015. 1. 22.), 2015년 문화관광체육부 업무계획.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김제시(지평선 시네마), 장수군(한누리 시네마), 임실, 고창, 무주, 무안, 완주, 홍천, 강화 등 25개의 기초지자체(문체부 지원 13개소, 지자체 추진 12개소)에서 작은 영화관을 운영·추진 중이며, 문화체육관광부는 ‘17년까지 총 230개 기초지자체 중 극장이 부재한 109개 기초지자체 전체에 작은 영화관을 설립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전북 장수군 한누리 시네마 출처 :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226319 subMenu=articletotal ", "해외사례": "해외의 경우 소도시 소재 영화관은 지역민들의 여가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운영은 정부지원보다는 협동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일본에서 ‘미야코 영화생활협동조합’이 1996년 설립한 ‘시네마린’을 들 수 있다. 이는 일본 유일의 협동조합 영화관으로 85석과 62석 규모이며, 2013년 기준 조합원은 1만 7,670명으로 미야코시 전체 인구의 30%가 조합원이다. 미국 미네소타 주 모리스는 주민 수가 5천여 명밖에 안 되는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1940년 설립된 모리스극장을 2010년 ‘모리스극장 협동조합’으로 전환하여 필요한 자금을 확보함으로써 지역공동체의 중요한 여가문화공간으로 전환, 이전보다 훨씬 더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주민이 4천여 명에 불과한 캐나다의 작은 도시 울프빌의 경우 마을에 있던 오랜 영화관이 2000년 문을 닫자 ‘아카디아영화관 협동조합(Acadia Cinema Cooperative)’을 설립하고 멀티플렉스에서 상영하지 않는 영화를 보고자 하는 마을 주민을 위한 비영리 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문화관광체육부(2015), 2015년 문화관광체육부 업무계획 문화체육관광부(2014), 문화향수실태조사 서울연구원(2014), 서울인포그래픽스 제138호 ", "작성자": "이봉구 교수(동의대학교) \n" }, { "정책용어": "지역농업특성화사업", "생성배경": "한국의 농업은 지난 60년 동안 급격한 대·내외적 여건 변화에 따른 농업 환경의 악화를 경험해 왔으며, 농업·농촌 지역의 활성화를 목표로 중앙정부 주도의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어 왔다. 최근에는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농업 부흥 전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개별 시·군의 창의적 사업 추진을 지원하고 지역 간 차별화 전략을 활용하는 지역농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역농업 측면에서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지역농업특성화 지원사업과 비교우위품목 경쟁력제고사업의 시행은 실질적인 지역농업의 경쟁력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시·군 단위의 지역농업은 품목 개발, 조직화, 산업화의 중요한 사업단위이며, 농산업 및 농촌 활력화의 근간이 되어 왔다. 농산업의 융·복합과 시장 경쟁력을 갖춘 특화된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농업의 재발견과, 특성화된 지역농업 발전을 이끌어 갈 리더 주체 육성, 그리고 핵심 사업주체 역량 향상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었다. 시·군 농업기술센터는 지역농업의 혁신과 미래성장을 이끌어가는 지역농업의 가장 핵심적인 조직이며, 거세지는 수입개방의 파고와 지역 간 경쟁 심화를 극복하는 데 중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자원의 투입과 관리를 핵심 작목과 특성화된 사업 아이템에 집중함으로써 사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 "용어설명": "지역농업특성화사업은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추진되는 사업으로 2년간 약 10억 원을 지원해 시·군 여건에 맞는 주도 사업에 기술-교육-예산을 집중해 육성하는 방식의 사업이다. 지역농업특성화사업은 지역특성에 맞는 선도품목을 발굴해 기술, 교육, 예산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지역농업의 소득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 유도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1) 목적 달성을 위해 1센터 1유형을 선택하여 특성화를 집중 추구하며, 지역 간 경쟁 개념을 도입하여 ①선정 평가 시행 ②사업비 차등 지원 ③사업 성과 관리(기획, 중간, 결과 평가회 정례화)를 시행한다. 특징은 시행 단계에서 진흥청, 도 기술원, 시·군 센터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한 역할 분담으로, 특화 연구·개발 효과의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것과 시·군 단위 지역협의체를 구성·운영하여 시·군 센터 중심의 협력체계, 즉 ‘클러스터 방식’의 추진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점이다. 지역농업특성화사업의 배경 및 목적 출처 : 농촌진흥청(2013), 지역농업특성화 평가운영 및 경제성 분석, p7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종안(2014), 지역농업 특성화사업의 의미와 성과, 농정연구 Vol.50, 농정연구센터 농촌진흥청(2013), 지역농업특성화 평가운영 및 경제성 분석 농촌진흥청(2009), 지역농업특성화사업 추진 매뉴얼 농촌진흥청(2009), 시군 지역농업특성화 중장기 목표와 전략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2014), 지역농업특성화사업 기술지원 정책 연구용역 1) 자료 : [지역농업특성화사업 추진 매뉴얼], 농촌진흥청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발전 5개년 계획(부문별계획, 시도발전계획)", "생성배경":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제4조)에 의거, “5+2 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한 ‘제1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09~’13년)이 수립되었다. ’13년 종료되는 ‘제1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에 이어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14~’18년)에서는 “국민에게 행복을, 지역에 희망을” 비전으로 하는 새로운 지역발전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발전 5개년계획 체계도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 수립지침(안), 2014. 3. ", "용어설명":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근거한 법정계획(균특법 제4조)으로 정부는 복지ㆍ의료ㆍ교육ㆍ문화ㆍ환경ㆍ일자리 등 주민체감형 정책 강화와 함께 지자체 주도의 시ㆍ도 및 지역생활권계획에 기반한 상향식 계획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부문별 계획안과 시ㆍ도발전계획(지역생활권발전계획 포함)을 기초로 하여 5년 단위로 수립토록 규정하고 있다.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의 특징 구분 제1차 계획 제2차 계획 계획체계 부문별 계획 + 광역발전계획 부문별 계획+시ㆍ도 계획 (지역생활권발전계획 포함) 내용 광역선도사업 등 대규모 프로젝트 위주 복지ㆍ의료ㆍ교육ㆍ문화ㆍ환경ㆍ일자리 등 주민체감형 정책 강화 성격 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 중심의 하향식 계획 지자체 주도의 시ㆍ도 및 지역생활권 계획에 기반한 상향식 계획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 수립지침(안), 2014. 3.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은 박근혜정부의 새로운 지역발전정책인 ‘지역희망(HOPE) 프로젝트’를 실현하는 데 중심적 위치에 있는 것으로서 첫째, 지역발전정책의 비전과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다. 부문별 발전계획안은 중앙부처의 종합적인 지역발전정책 추진계획이면서, 시ㆍ도별 발전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계획이다. 그리고 시ㆍ도별 발전계획은 시ㆍ도별 발전 비전과 목표를 정립하고, 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총동원하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이다. 둘째, 지역발전의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지역발전특별회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특히 부처간ㆍ지역간 유사 사업의 중복을 피하고 사업간 조정ㆍ연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강조한다. 셋째, 시ㆍ도간 발전 비전의 공유와 시ㆍ도별 계획 수립시 지역생활권계획을 반영함으로써 시ㆍ도와 생활권간, 시ㆍ군ㆍ구간 비전의 공유와 협력을 증진시키고자 한 것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2013), 광특회계지침 설명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4),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 수립지침(안) 아시아뉴스통신(2013.9.22), 국가균형발전특별, 전면 개정 지역발전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2009), 지역발전 5개년계획안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창조경제혁신센터", "생성배경": "박근혜정부는 우리나라의 경제 활력을 되찾고 다시 도약하기 위한 패러다임을 창조형으로 전환하고 혁신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창조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창조경제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지역 현장으로의 창조경제 확산과 실현이 중요하고, 그간의 꾸준한 투자를 통해 지역별 테크노파크, 중소기업지원센터 등 지역 혁신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어 혁신 주체간 연계·협력할 경우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바, 지역에 내재되어 있는 기존 자원의 효과적인 연계·활용을 통해 지역 주도로 지역 맞춤형 발전 모델의 발굴·추진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창업 관련 정책 발표 및 민간의 참여 등을 통해 창업 기반의 확대 및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분위기가 관 주도와 중앙 중심에서 민간 주도 및 지역 자율로 확산될 필요성과 함께 지역 인재의 아이디어가 사업화로 연결되기 위한 지역 창업생태계 조성이 절실하였다. 따라서 지역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활용하여 지역 인재의 창업활성화, 기업 경쟁력 제고, 제품·서비스의 세계시장 개척 등을 통해 지역경제 혁신을 이끌어 갈 지역 단위의 창조경제 전진기지로서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 설립이 추진되었다. ", "용어설명": "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 전략산업을 발굴·육성하고 창의적 지역 인재의 아이디어 사업화를 통한 창업 도전과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및 글로벌 진출 등을 오프라인 현장에서 밀착 지원한다. 이를 통해 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은 지역 내 관계기관 및 지원사업의 연계 서비스로 시장 진출, 애로기술 해결 등에 대한 원스톱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014년 9월부터 운영되고 있는 전국 17개 지역의 18개 혁신센터는 지역별 산업 특성과 지원 대기업의 역량을 특화사업에 초점을 맞춰 운영하고 있는데, 각 지역 센터는 정부·지자체·지원 대기업이 상호 협업하는 일대일 전담지원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세터에는 각각 1개의 전담 대기업이 참여하고 있는데, 이는 대기업의 자원, 경험 등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별 전담 대기업은 혁신센터에서 발굴한 사업모델에 대해 상품 개발, 판로 확보, 해외시장 진출까지 지원하여 지역의 벤처·중소기업이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역별 기업현황 2016년 7월말로 출범 2년차에 들어선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과 중소기업 혁신, 지역특화산업 육성 및 청년 일자리 매칭 등을 지원하는 지역 창조경제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고, 출범 1년동안 1,135개의 창업기업과 1,605개의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하여, 2,834억원의 투자유치를 이끌어 냈으며, 혁신센터가 보육한 창업기업에서 약 1,605억원의 매출 증가 및 1,359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서, 주요 역할은 창업지원, 중소기업 혁신, 특화산업 육성, 지역 밀착형 사업, 대·중소기업 상생, 글로벌 진출로 나눌 수 있다. 창업지원으로는 창업보육센터, 테크노파크 등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협업을 통해 아이디어 단계부터 기업의 성장 단계까지 전(全) 주기에 걸친 지원을 하는 창업 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예비 창업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파악하여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술이 우수한 기업에게는 입주공간, 멘토링, 투자자 연결, 글로벌 진출 등의 종합서비스를 한곳에서 제공하고 있다. 또한, 법률\/금융\/특허 전문가가 상주하고 있어 기업의 성장 단계별로 전문 컨설팅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중소기업 혁신으로는 전담기업이 가진 사업 노하우와 네크워크, 기술력을 기반으로 지역內 유망 중소기업에게 상품개발, 판로확보 및 해외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고 있다. 특화산업 육성으로 지역특성 및 전담기업의 강점 분야를 고려해 선정된 지역 특화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 중이다. * 전북(탄소소재), 충남(태양광), 광주(수소차), 충북(뷰티·바이오), 부산(유통·영화) 등 지역 밀착형 사업은 전통시장 개선, 전통문화 사업화, 관광 상품 발굴 등 주민들이 지역 경제 활성화를 체감할 수 있는 지역 밀착형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대·중소기업 상생으로는 혁신센터를 통해 전담기업의 사업 밸류체인에 혁신센터 보육기업이 연계되어 상호 윈윈하는 상생사례도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진출로는 다양한 글로벌 진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전담대기업 플랫폼, 해외진출 지원기관 등과 연계하여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 KIC 연계 해외진출 프로그램(경기), 글로벌투자박람회(경기), 글로벌 벤처스타 프로젝트(대전), GEP 프로그램(충남) 등 (전문화된 지역 특화산업과 프로그램 운영) 각 지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원기업의 풍부한 경험과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특성에 전문화된 프로젝트에 집중하고 있는데, 각 프로젝트는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과 전문화된 산업군으로 발전시키고 RD 및 마케팅 등을 긴밀하게 지원한다. 지역별 창조적 일자리 (고용존 운영)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기존 일자리를 넘어서 스타트업, 전략 사업의 신규 인력수요를 창출하는 본격적인 청년 취업지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16년 4월부터 센터 내 공간 마련 및 인력배치를 통해 고용존을 운영 중으로, 전담 대기업, 청년희망재단 등과 협력하여 창조적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5년 7월 17일에 개소하여 1년 365일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하루 300~400명이 방문하여 1년 누적 75,000명에 이르고 있다. 최근 1년 간 서울의 풍부한 창업 네트워크와의 교류·협력을 추진하여 창업활성화를 주도하고 식문화, 패션 등 도시생활 스타일 분야의 사업화 지원을 통해 창조경제 문화 확산 거점으로서 경제혁신을 선도하고 있는데, 출범 후 1년간 창업·중소기업 216개사를 발굴·육성 중이며 130억원의 투자유치, 154명 신규 고용창출 및 25억여원의 매출 증가로 성과 창출을 본격화했다. 5개 대학연계 창업카페 운영(총32회), 대학 창업보육센터 연계 창업교육·워크숍 등 실시(106회, 3,807명 참여), 부산, 경북 등 지역 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지역엔젤양성교육 추진(132명 배출) 등 전국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주도했다. 패션·디자인 분야 12개 스타트업 및 푸트테크 분야 50개 스타트업 발굴·육성 등 도시생활문화(life cycle) 재해석을 통한 신규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 "해외사례": "세계 각국의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을 예로 들 수 있다. 세계는 개방형 혁신의 흐름 속에서 실리콘밸리의 성공 모델을 바탕으로 자국 내 혁신 생태계 조성을 강화하고자 지역 및 도시 기반의 로컬(local)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미국 뉴욕의 실리콘앨리, 영국 런던의 테크시티, 독일 베를린의 실리콘알레, 이스라엘 텔아비브 스타트업 시티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참고자료문헌":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참고자료, 2014.11.15., 창조경제혁신센터 아이디어 사업화를 위한 전주기적인 서비스 제공(www.msip.go.kr)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참고자료, 2014.12.18., 경북 창조경제 트라이앵글(대구-경북(구미)-포항) 구축, 경북지역 창조경제생태계 조성에 박차! 본격 시행 !!!(www.msip.go.kr)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참고자료, 2016.7.19.,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민간창업생태계와 협업 통해 창업·혁신 주도(www.msip.go.kr)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참고자료, 2016.7.28., 2년차 창조경제혁신센터, 빠른 성장과 글로벌 진출 견인(www.msip.go.kr) ", "작성자": "정택영 책임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 }, { "정책용어": "공동농업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 "생성배경": "유럽연합은 1962년 로마조약에 따라서 농산물시장을 규제하고 국내 상품가격 지지를 위하여 공동농업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을 도입하였다. 공동농업정책 도입 이후 유럽연합으로서의 통합이 이루어지기까지는 개별 회원국별로 농산물 가격보조에 따른 재정부담 증가, 과잉 농산물 처리 문제가 나타났다. 1980년대 초반까지 구조개선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그 성과는 제한적이었다. 우루과이 라운드 이후에는 직접지불과 농촌정책을 강화했으며, 최근 공동농업정책의 축도 농촌정책과 환경정책 등으로 정책의 축이 이동하고 있다. 1992년 공동농업정책 개혁을 통해 구조조정이 이루어졌으며, 직접지불을 중요한 보조정책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2003년에는 소비자의 관심, 환경보전의 중요성, 정책의 단순화, WTO규정과의 합치성 등으로 고려해 공동농업정책을 개혁하였다. 직접지불을 생산비 연계와 상호준수의무를 부과한 단일직불로 전환하였다. 특히 공동농업정책 개혁의 틀을 제1기둥(시장 및 농업소득)과 제2기둥(농촌개발)으로 확립하여 시행하였다. 유럽연합의 농업예산은 유럽 농업지도보증기금(Agricultural Guidance and Guarantee Fund, EAGGF)에서 운영된다. 보증기금(Guarantee Fund, Pillar1)은 직접지불금을 포함한 시장개입정책에 사용되며 회원국들의 공동재정부담 책임이 없는 반면 집행이 의무적이고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보증기금 제2축(Pillar 2)은 구조조정지원에 사용되며 회원국들도 공동재정부담 책임을 진다. 선택 가능한 정책도구, 관련 유럽연합 예산, 7년 단위의 국가\/지역 공동자금조달 내용을 명시하고 있는 국가농촌발전계획은 농촌발전규정의 정책도구를 집행하기 위한 기초이며, 현재는 2007-2013년의 계획기간을 마치고 2014-2020에 돌입하였다. ", "용어설명": "공동농업정책은 유럽연합의 농업보조를 위한 시스템이다. 공동농업정책은 농산물의 최소가격 보장, 유럽연합 밖의 특정 물품에 대한 수입세 등을 포함하여 가격 보조 계획을 통해 곡물과 경작지에 대해 직접 보조금을 제공한다. 공동농업정책의 추진 목적은 농가에게는 적절한 생활수준을, 소비자에게는 적정한 가격으로 품질 좋은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농업의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것이다. 공동농업정책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식품의 안전이나 환경 보호, 채산성, 대체 연료 등의 중요성에 꾸준히 관심을 더해가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박성재 외(2008), 선진국형 농정으로서의 전환을 위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외(2013), 농업ㆍ농촌정책의 연속성 제고를 위한 농정 추진체계 정비의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상만(2012.7), EU 공동농업정책 개혁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제143호. 정호근(2012.3), EU 공동농업정책과 농정개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제138호. 최정섭 외(2004), 유럽연합 공동농업정책의 개혁과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European Commission(2009) Agricultural Policy Briefs no.1 OECD, 2011, Evaluation of Agricultural Policy Reforms in the European Union. 1)좋은 품질의 경작 조건을 유지하고, 농업경영의 다각화 및 생산자 조합 설립 유도를 통해 농촌 발전에 기여하며, 환경에 기여하는 농업 시스템을 유도한다.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 "정책용어": "농촌활성화지원센터", "생성배경": "농촌지역개발정책은 농촌지역 문제해결을 통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확보와 주민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향상을 목표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함께하는 우리 농촌운동』의 일환으로 2017년까지 『색깔 있는 마을 만들기』5천개 육성을 추진 목표로 삼고 있다. 하지만, 농촌 고령화와 과소화마을의 증가, 공동체 와해 등 활력 저하로 많은 마을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마을주민주도의 지속적인 마을 발전을 촉진할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핵심 광역 중간지원조직으로 「농촌활성화지원센터」를 출범시켰으며, 『색깔 있는 마을 만들기』를 위해 정책지원, 지역인적자원 육성·관리, 현장포럼 지원, 정보교류, 조사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 "용어설명": "농촌활성화지원센터는 농촌 지역 발전의 원천인 혁신의 창출과 확산을 지원하여 지식 기반 자본(KBC: knowledge-based capital)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일종의 중간지원 거점조직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농촌활성화지원센터는 지자체와 현장포럼 일정 및 지원방안 등을 협의하여 진행하고, 매년 정책지원, 지역인적자원 육성·관리, 현장포럼 지원, 정보교류, 조사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 등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되며, 이를 종합보고서로 작성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및 지역자치단체에 제출하는 업무를 진행한다. 농촌활성화지원센터 주요업무 주요 업무 내용 정책지원 마을, 권역, 지역단위 신규사업이나 정책·제도 건의 지역인적자원 육성·관리 현장활동가, 마을리더, 민간 전문가 육성 현장포럼 지원 마을자원 분석, 주민역량평가지원, 관련 전문가 및 퍼실리테이터 지원 정보교류 마을발전 관련 정부, 우수사례 수집·배포 네트워크 구축 민간기관, 관계전문가, 마을리더·행정기관 등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조사·연구 마을 활력화를 위한 연구과제 발굴·조사 등 농촌활성화지원센터 체계도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3 ", "해외사례": "해외사례로는 미국의 NERCRD(Northeast Regional Center for Rural Development)과 영국의 전국농촌네트워크가 농촌활성화지원센터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NERCRD는 농촌지역을 지방 혹은 전국적 수준으로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을 하고자 한다. 또한, 소규모 마을 및 농촌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연구 진행과 지방·전국 단위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농촌개발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 프로그램 운영 등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전국농촌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농촌개발관련 네트워크 조직이 232개로 파악될 정도로 지방에서부터 국가, 국제단위까지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일종의 연합체 조직으로서, 대학이 농촌기업과 단체 및 조직체에 지식 전파를 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특히 농촌개발 성공모델에서 도출된 성공 사례와 경험의 교환 및 공유를 통해 농촌개발 성공모델의 전파를 수행한다. 농촌활성화지원센터 해외사례(미국, 영국)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3 ",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3.3.27), 농촌 마을 살리는 광역중간지원조직 만든다 농어촌활성화센터의 모델 정립 연구(2012), 한국농어촌공사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업무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2013), 김두순 외2인, 한국농촌지도학회 ", "작성자": "은희창 지역사업본부장(㈜인포마스터) \n" }, { "정책용어":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지원금", "생성배경": "도시 간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기존의 경직적ㆍ분절적 행정구역체제는 환경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채 자치단체의 자립기반과 경쟁력을 저해하고 있다는 주장이 확산되었다. 그 근거는 인구과소 지역의 자립기반 약화와 행정비효율 발생, 인구과밀 도시지역의 생활권과의 괴리 및 경쟁력 정체, 분절적 행정구역으로 인한 효율적 국가경영의 저해 등이다(행정자치부, 2009).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2000년대 중후반부터 일부지역에서 지역발전과 주민 생활여건 개선 등을 위해 자치단체 간 통합 주장이 본격적으로 제기되었으며, 2009년 행정자치부는 이를 촉진 및 지원하기 위해 자율통합 지원계획을 발표하게 된다. 자율통합 지원계획에서 발표된 자치단체 통합 인센티브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추진 직접비용을 국가가 지원하는 것으로 주민투표 비용은 국가예산(예비비)에서 지원하며, 그 외 통합전산시스템 정비, 청사 정비 및 이사, 도로표지판 교체 등의 통합부대비용도 예산범위 내에서 국가가 부담한다. 둘째, 국가기관 통합에 따른 인건비 절감액을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교육청 등의 통합에 따른 인건비 절감분은 소관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해당지역 관계기관의 사업예산에 반영한다. 셋째, 통합 이전 교부세액을 5년간 보장하는 것으로 통합된 자치단체는 기관운영비ㆍ민간이전경비 등에서 절감된 예산을 지역사회사업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보통 교부세를 일정비율 범위 내에서 추가 교부하는 것이다. 다섯째, 신설되는 통합 자치단체에 일반구 또는 대동(大洞)을 설치하는 것으로 통합 시ㆍ군에 인구 50만 이하라도 일반구 설치가 허용되며, 통합 자치구에는 보조기관을 둘 수 있는 대동이 허용된다. 여섯째, 인구 100만명 이상의 통합시에 대한 특례로서, 통합시에 한하여 부단체장 1명이 증원되고, 시장에게 관할구역 내 소방서장에 대한 지휘ㆍ감독권이 부여된다. ", "용어설명":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 지원금은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35조에 따라 통합 지방자치단체에 통합되기 직전 연도의 폐지되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보통교부세 총액의 100분의 6을 추가로 지원해주는 제도를 말한다.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35조에서 “「지방교부세법」 제4조제1항에 따른 교부세액과 별도”라고 규정한 것은 정부가 자율통합 지원금의 재원을 지방교부세의 재원과는 별도로 조성하여 자율통합 지원금을 지급하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정부는 「지방교부세법」 제4조제1항에 따른 교부세액으로는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에게 지방교부세를 교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통합 지방자치단체에게 지방교부세를 교부하고, 그에 추가하여 지원하는 자율통합 지원금은 「지방교부세법」 제4조제1항에 따른 교부세액이 아닌 별도의 재원으로 지원하라는 의미이다.1)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행정자치부(2009), 주민의 삶의 질 개선과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치단체 자율통합 지원계획 법제처 법령해석 사례 홈페이지(moleg.go.kr\/lawinfo\/lawAnalysis) 1)법제처 법령해석 사례 홈페이지(http:\/\/www.moleg.go.kr\/lawinfo\/lawAnalysis) ", "작성자": "신두섭 수석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 { "정책용어": "TDPC(지역개발정책위원회)", "생성배경":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의 지역개발정책위원회(Territorial Develop-ment Policy Committee)는 1999년 1월에 설치되었다. 설립 목적은 지역 경쟁력 향상과 거버넌스 증진, 정책 지표 개발에 중점을 두어 도시와 농촌 지역의 정책을 발전시키고, 회원국 간의 정책 경험을 공유하는 데에 있다. 한국은 회원국으로서 매년 개최되는 지역개발정책위원회의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초기에는 국토교통부가 지역정책 전반에 대해 일괄적으로 대응해 왔으나, 농촌지역정책의 전문성과 특수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2008년 12월 회의부터는 농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함께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 "용어설명": "지역개발정책위원회의 주요 활동으로는 정책 포럼과 지역 정책 리뷰, 정책 보고서 발간 등이 전개되고 있다. 지역정책 논의 기조(paradigm)는 보조금 위주(subsidies)의 지역정책보다는 지역의 경쟁력 증진을 위해 지역에 대한 투자(investment)에 중점을 두면서, 분야별 연계 및 지역에 기반한(multi-sectoral place-based) 정책과 지역 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중앙, 지역, 민간 등의 다차원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를 형성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OECD(2013), 29th meeting of the Territorial Development Policy Committee meeting OECD 대한민국 대표부(2010), 지역개발정책위원회 2011∼2012년도 사업계획 권인혜(2011), OECD 지역개발정책위원회 개황과 농촌지역정책작업반의 최근 활동 외교부(201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지역개발정책위원회(TDPC)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 }, { "정책용어": "미니복합타운", "생성배경": "중·소규모의 지방산업단지는 그동안 산업시설용지 위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단지에 입주하거나 입주할 계획인 중소기업은 농촌지역의 초고령화 현상에 따라 현지 주민을 고용하기 어려워졌다. 또한 임대주택, 보육원, 유치원, 학교, 문화시설 등 근로자 정주환경을 확보하기 어려워 외지인을 고용하기도 쉽지 않은 실정으로 기업 활동과 투자에 장애가 되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지방중소규모 산업단지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미니복합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n ", "용어설명": "미니복합타운은 지방의 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개선하고, 찾아오는 일자리로 만들기 위해 산업단지 개발과 함께 근로자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하는 소규모 단지개발 사업이다. 미니복합타운에는 근로자의 주거여건 개선을 위해 임대주택, 행복주택 등을 공급하고, 도서관, 영화관 등 문화시설과 육아 및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보육원 및 유치원을 설치하며, 다문화가족 및 북한이탈주민 등 사회취약계층의 고용을 지원하고 있다. 미니복합타운은 지자체장이 지구를 지정하고,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기업이 개발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미니복합타운 개념도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n ", "현재 용어의 사용": "국토교통부는 미니복합타운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2014년 1월 14일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였다. 동법 제46조의2(지원단지의 조성 등의 특례)를 개정하면서, 산업단지 내 또는 산업단지 인근지역에 입주기업 종사자 등을 위한 주거·문화·복지·교육시설 등을 위한 지원 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원단지의 조성은 산업단지 개발 사업으로 할 수 있고, 입주기업 종사자 등의 주거마련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지원단지에서 건설·공급되는 민영주택에 대하여는 입주예정기업 및 교육·연구기관의 종사자 등에게 건설량의 50%(수도권 과밀억제권역은 30%)의 범위에서 특별공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미니복합타운 사업을 통해 행복주택을 공급하여 지방 중소산업단지의 정주여건 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12년 2월 포천시와 예산군을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한데 이어, 10개 지역을 추가하는 등 총 12개 지역에 미니복합타운 사업 추진을 검토하였다. 이중에서 7개 지역이 지구지정을 완료하였으나, 기장군 등 나머지 지역은 자금조달, 수요부족, 사업성, 민간투자 부진 등으로 인해 사업을 재검토하는 등 추진이 지연되고 있다. 미니복합타운 사업지역 개요 시·도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시·군 기장 포천 강릉 충주 제천 예산 완주 영광 장흥 고령 창녕 함안 면적(천㎡) 340 158 70 100 276 48 408 52 190 66 128 150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참고자료(2015.2.5, www.molit.go.kr) 및 각 시·군 홈페이지 참조\n ",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2.5, www.molit.go.kr) 및 각 시·군 홈페이지 참조\n 해외사례\n 미니복합타운은 과학기술도시(technopolis)를 소규모로 집약시킨 변형적 형태라고 볼 수 있다(강병수, 2004). 테크노폴리스는 산(産)·학(學)·주(住)의 세 기능이 조화된 도시환경과 정주여건을 바탕으로 고급 노동력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지역발전을 도모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쓰꾸바 과학도시, 미국의 Route 128, 실리콘밸리, RTP(Research Triangle Park), 프랑스의 소피아 앙티폴리스(Sophia Antipolis), 대만 신죽첨단산업단지, 우리나라의 대덕 테크노밸리 등이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테크노폴리스가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대형의 도시체계를 갖추고 있는 반면, 미니복합타운은 지방 중소도시의 산업단지를 거점으로 소규모 정주체계를 갖춘 것이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김정홍, 2009).\n 참고자료·문헌\n 강병수(2004), ‘테크노폴리스의 형성과 성장의 역사적 과정’, 도시행정학보 V.17 n.2: 65∼83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2.7.4), 함안칠서, 창녕대합 미니복합타운 사업지에 선정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5.2.5), 정부는 미니복합타운 사업을 적극 지원할 계획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2.6.28), 미니복합타운사업 전국 확대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2.7.4), 함안칠서, 창녕대합 미니복합타운 사업지에 선정 \n ",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n " }, { "정책용어": "프랑스 계획계약제도", "생성배경": "계획계약제도는 프랑스에서 1884년 이후 5년 주기로 현재까지 7차1)에 걸쳐 중앙정부(CIADT, DATAR)와 지자체(레지옹)가 국가와 지역의 이익이 조화되는 지역개발 프로젝트를 공동 선정하고, 투자계획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동 제도는 1982년 지방분권 실시와 함께 지자체가 지역계획을 독자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우선사업을 조화롭게 추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중앙정부는 계획계약을 통해 지자체의 계획을 조정하고 지역 간에 지방비 분담률을 차등화 함으로써 지역 간 발전격차를 해소할 목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프랑스 계획계약체계 출처 : 국토연구원, 프랑스의 계획계약제를 벤치마킹한 한국형「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필요(국토정책 Brief 제13호), 2003.5 국내에서는 프랑스의 계획계약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20조)의 개정을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춘 지역발전투자협약 제도를 2009년에 처음 도입하였는데, 이후 지역발전투자협약 제도의 시행을 위한 관련 세부규정의 구체화, 제도적 기반조성 등의 후속조치가 미흡하여 오랜 기간 동안 실제 운영으로 연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2017년 문재인정부에서 균형발전과 더불어 강력한 지방분권을 동시 추진하는 新정책기조가 제시됨에 따라 지역발전투자협약이 본격 시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갖추어질 수 있게 되었고, 이에 지역발전위원회 주도하에 기존의 지역발전투자협약을 균형발전계획계약으로 명칭 변경을 추진하는 한편, 새로운 계획계약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세부 운영방법2)(계약 대상사업의 범위, 계약절차 등)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연구원(2011),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 실천방안(국토정책Brief 제319호) 배준구(2006), 프랑스의 지역계획과 계획계약 전훈(2006),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개발과 국제협력 : 프랑스 계획계약과 유럽연합구조기금의 시사점 , 지방자치법연구 제11호 국토연구원(2003), 프랑스의 계획계약제를 벤치마킹한 한국형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필요(국토정책 Brief 제13호) 1)제1차 계획계약(1984~1988)에서 제7차 계획계약(2014~2018)까지 5년 주기로 시행 중이다. 2) 계약 대상사업 범위, 계약절차, 계약유형, 사업계획의 시간적˙공간적˙내용적 범위, 국비 및 지방비 투자분담방안, 참여 주체의 책임, 계약 성과에 대한 평가 등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초광역", "생성배경": "패트릭 게데스는 1915년 대도시가 주변지역으로 확장되는 광역화 현상을 도시 연담화(conurbation)라는 용어로 설명하였고, 1961년 고트망(Gottmann)에 의해 미국 보스턴-워싱턴 회랑지역(Bos-Wash)에 대한 실증 연구로 이어지게 되었다. 고트망이 보스턴-워싱턴 회랑지역(Bos-Wash)을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라 명명한 이후, 1980년대 이후 세계화 및 국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도시들의 역량이 중시되면서 세계도시(world city, global city) 개념이 등장했다. 이들 세계도시가 주변지역으로 확장되는 광역적 공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글로벌 도시지역(global city-region), 메가시티리전(mega-city region), 메가리전(mega region) 등의 초광역권 개념이 급부상했다. 플로리다는 최근 연구에서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는 29개의 메가리전을 제시한 바 있는데, 우리나라 서울-부산경부축이 주요 메가리전의 하나로 포함되었다(Bloomberg Cityab 2019). ", "용어설명": "초광역권은 복수의 도시와 지역들이 인구성장 및 외연적 확산 등을 통해 연속성을 갖게 된 거대 도시·경제권역이다. 일반적으로 초광역권이란 ‘행정구역은 구분되어 있으나 일상생활 또는 경제활동이 기능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공간집적체’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지역경쟁력 향상을 위해 광역협력을 위한 권역을 설정하고 다양한 사업 추진을 계속 시도해 왔다. 노무현 정부는 인접 광역자치단체 간 유사한 업종에서의 인력 및 기술개발, 생산기반 구축 등 기능별 역할분담과 협력을 위해 ‘4대 초광역경제권’ 형성을 추진하였다. 이명박 정부는 지역경쟁력 강화와 분권을 위해 ‘5+2 광역경제권’ 정책을, 박근혜 정부는 국민의 행복 관점에서 ‘56개의 지역행복생활권’을 설정하고 광역협력사업을 추진하였다. 문재인 정부는 지역 주도의 연계·협력을 통해 단일 행정구역을 넘어 초광역적 정책·행정수요에 대응하여 지역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초광역협력 지원전략」을 추진중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초광역협력의 개념은 지역 주도의(주체) 연계·협력을 통해(방식) 단일 행정구역을 넘어(공간) 超광역적 정책·행정수요에 대응하여(내용) 지역의 경쟁력 제고(목적)이다. 메가시티는 인접지역 간 협력의 한 형태로서 경쟁력이 있는 대도시권 형성을 지향, 초광역협력은 기능적·공간적 협력을 포괄한다. 초광역 기능별 유형은 초광역적 행정수요 대응, 일일 생활권 구축, 산업·인재양성 생태계 조성으로 실제 초광역협력 프로젝트는 여러 유형으로 복합화될 수 있다. 구분 초광역적 행정수요 대응 일일 생활권 구축 산업·인재양성 생태계 조성 개요 목표 기능연계, 인·물적 자원 공유 → 지역 경제·행정 편익 증진 → 주민의 삶 개선 지역 간 거리·이동시간 단축 → 공동의 초광역 경제권 및 일일 생활권 형성 특화산업 자원·역량 연계 →모듈형 네트워크 협력·구축 →지역 산업 신성장 동력 확충 사례 생태환경 개선, 에너지 수급 보건·복지·재난 공동 대응 문화·관광 진흥 광역 대중교통망 확충·연계 물류체계 개선 도심융합특구 등 거점조성 신산업벨트 조성 초광역 공유대학 모델 운영 가치사슬 연계구조 구축 초광역 기능별 유형은 대도시권 형성, 중소도시권·강소권, 초광역 선형 벨트로 구분할 수 있다. 구분 대도시권 형성 중소도시권·강소권 초광역 선형 벨트 개요 목표 공동 경제·생활권을 형성하는인접지역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도시권 형성 지역 간 공동 이슈 대응 및자원 활용 → 지역 역량 강화 및 효율적공동사업 추진 이격 지역 간 초광역 벨트 구축 → 공동 자원 활용 및 이슈 대응 사례 메가시티 조성 → 산업, 교통, 생활인프라 등 공동계획 수립 →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및 기본계획 구상 등 지리산권관광개발조합 → 통합적 관광개발 미래상 수립, 교통 등 인프라 정비 초연결 AI 헬스케어 → 광주 : 데이터거점 → 부산 : 실증거점 → 경기도 : RD 거점 ", "해외사례": " 구 분 주요 내용 [미국] 초광역 경제권 (Mega-region) (주요내용) 지리·경제적으로 연계된 대규모 초광역권(Mega-region)을 10개로 구성하고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노동시장 공유, 협력 인프라 구축 * (서부) 농업 및 첨단기술, (남부) 에너지 산업, 물류, 금융, (동부) 금융, 교육, 제조업 등 (특징) 지역 중심의 거버넌스 구축과 재정 지원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업 추진 - 우선순위가 높은 지자체 간 협력사업(광역교통망, 교통혼잡, 환경 등)을 중심으로 시범사업 추진 - 중앙정부 지원금 및 지방정부 출연금을 활용해 안정적 재원 보장 [영국] 도시권 중심의 광역화 (city-region) (주요내용) 광역단위 대신 맨체스터, 리즈, 리버풀 등 주요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8개 도시권(City-Region)을 형성하여 분권 추진 (특징) 권역 내 지방정부들이 연합지자체(Combined Authorities)를 구성, 중앙정부와 분권 협상을 통해 수행사무 결정 - 지자체 간의 ‘다지역 협약(MAA: Multi Area Agreement)’을 체결하여 중복투자 방지 및 우선순위 결정, 주택·교통·도시재생·교육훈련 등 정책 공동추진 [일본] 간사이 광역연합 (특별지방공공단체) (주요내용) 2부(府), 6현(縣) 및 4시(市)가 연합하여 구성한 특별지방자치단체로, 12개 자치단체의 총인구는 약 2,067만 명(’21년) ※ 일본 최초의 광역연합체로 ’10년 12월 설치 (특징) 자치단체 간 상호 협의한 규약에 따라 7개 분야의 사무(방재, 산업 진흥, 의료, 자격시험·면허 등)를 공동처리 * 주요 사무는 응급 의료용 헬리콥터 운영(’21년 세출예산의 약 64%) - 주요세입은 지방정부 분담금, 국고보조금, 사용료·수수료 수입 등 [프랑스] 리옹 메트로폴 (특별지위 자치단체) (주요내용) 중부지역의 59개 코뮌(기초정부)으로 구성된 특례적 지위를 지닌 지방정부로, 총인구는 약 140만 명(’20년) ※ 프랑스에서 가장 큰 3개 메트로폴 중 하나로 ’15년 1월 설치 (특징) 주민 생활 관리(먹는 물과 오수처리 등), 삶의 질 향상(도시계획, 대중교통 확충 등), 지역경제(창업·고용 창출 등) 등 사무 수행 - 주요 세입은 기업지역경제세, 취등록세·에너지세, 거주세·토지세·쓰레기처리세, 국가교부금 등 ", "참고자료문헌": "관계부처합동(2021. 10.14.), ‘균형발전 정책의 새로운 핵심 전략, 지역이 주도하는 “초광역협력”보도자료 금성근·이정석(2019), ‘부울경 광역권 형성 촉진방안 - 광역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부산연구원 대전세종연구원(2021), 대전세종포럼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구상을 위한 방향과 과제’, 통권 제76호 박경현·이윤석·허동숙·최예술·정준호·강민규(2020),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 연계 발전 방향' 국토연구원 이상대(2020), ‘수도권도 살고, 지방도 사는 메가시티 전략’,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No. 433 ", "작성자": "김봉원(지역사회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관광개발기본계획", "생성배경": "우리나라는 80년대 들어서 국민들의 여가생활에 대한 인식 변화, 아시안게임('86)과 올림픽게임(‘88) 등 국제행사 등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관광자원 개발이 확대되었다. 관광개발은 경제·사회는 물론 국토 전반의 정책과 연관성이 매우 높은 분야일 뿐만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는 물론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등 여러 부처와 관련되어 정책이 추진되는 분야로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더욱이 '91년부터 시작된 지방자치제를 계기로 지역단위의 관광개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소득 및 생활양식, 가치관 등 사회 전반적으로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관광수요 및 행태의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 전국의 관광개발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이에 정부는 '93년 관광진흥법의 개정을 통해 관광개발기본계획 및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을 법정계획으로 규정하였으며, '89년에 계획이 수립된 전국관광장기종합계획을 제1차 관광개발기본계획(1992~2001년)으로 확정하였다. 이후 제2차 관광개발기본계획(2002~2011년)을 거쳐 현재는 제3차 관광개발기본계획(2012~2021년)이 발효 중에 있다. ", "용어설명": "관광개발기본계획은 관광진흥법에 의해 10년 단위로 수립되는 법정 장기계획이고,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개발에 대한 종합계획이며, 관광개발의 효율적 추진을 유도하는 전략적 기본계획이다. 관광개발기본계획의 범위와 주기를 관광진흥법에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관광개발기본계획이 관광개발 정책을 관장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 의하여 수립되는 계획으로서 국가적인 계획의 위상을 설명해 주고 있다. 관광진흥법 제49조 1항의 규정을 보면,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관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관광개발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라고 되어 있다1). 관광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관광개발기본계획의 내용적 범위는 전국의 관광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으로 관광여건 및 동향분석, 수요·공급에 대한 사항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관광개발기본계획의 내용 범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관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관광개발기본계획 (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 을 수립하여야 한다. ① 전국의 관광 여건과 관광 동향에 관한 사항 ② 전국의 관광 수요와 공급에 관한 사항 ③ 관광자원의 보호·개발·이용·관리 등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④ 관광권역의 설정에 관한 사항 ⑤ 관광권역별 관광개발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⑥ 그 밖에 관광개발에 관한 사항 출처 : 관광진흥법 제49조 또한 계획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사항은 ‘관광자원 보호·개발·이용·관리 등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이라는 한 줄로 표기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하여 다수의 전략과제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계획내용을 수립하고 있으나 보호·개발·이용·관리라는 용어는 포괄적이어서 관광개발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다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제3차 관광개발기본계획에서는 다음 그림과 같이 관광개발은 시장, 자원, 주체적 관점에서 상호작용이 이뤄지도록 해야 하며 관광개발의 정책은 관광개발 요소를 원활하게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지원 역할을 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관광개발 정책영역의 확장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1), 제3차 관광개발기본계획(안)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향자(2011), 제3차 관광개발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2012), 제3차 관광기발기본계획 한국관광연구원(2000), 제2차 관광개발기본계획(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1), 제3차 관광개발기본계획(안) 관광진흥법 제49조 1)관광개발기본계획에서 전국이라 함은 동 계획은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의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 "작성자": "김향자 선임연구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n" }, { "정책용어": "지역문화진흥법", "생성배경": "2000년대 들어서 ‘문화의 세기’가 주창되면서 문화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초반, 지역 간 문화적 불균형을 해소하고 문화를 통한 지역 분권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러한 관심은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요구로 이어졌다. 특히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체계와 법률적 기반이 부재하다는 의견이 커졌다. 한편 다양한 지역문화의 가치를 계승하여 발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문화행정체계의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에 지역문화진흥법은 2004년 12월 초안이 마련되고 지속적인 여론 수렴을 통하여 의원발의로 법 제정이 추진되던 중 폐기되기도 하고 재발의(再 發議) 과정을 거쳐 9년이 흐른 2014년 1월 28일 법이 제정되었다. 지역문화진흥법은 지역문화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지역 간의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지역별로 특색 있는 고유의 문화를 발전시킴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국가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법 제1조). 동 법은 지역문화진흥의 기본원칙과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수립, 지역의 생활문화진흥, 문화도시 문화지구의 지정 및 지원, 지역문화재단의 설립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지역문화진흥법의 목적 출처 : 조광호(2014), 지역문화진흥법 시행령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용어설명": "지역문화진흥법에서 ‘지역문화’란 「지방자치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또는 공통의 역사적ㆍ문화적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ㆍ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법 제2조). 동 법의 취지에서 중요한 것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하여 정책을 수립하는 것으로, 이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로 규정하고 있다. 법 제6조 1항에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 매 5년 마다 수립ㆍ시행ㆍ평가하도록 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이 지역문화에 있어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기능과 역할은 첫째,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정책 및 사업의 기본원칙과 기준 제시, 둘째, 중앙정부와 지역의 정책 거버넌스 형성과 매개를 위한 기본 매체, 셋째, 정책 및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실효성을 발생시키는 정책수단이다. 지역문화진흥법 제6조 1항 8번에 해당하는 사항은 지역문화진흥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내용을 보면, 1.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지역 간 또는 관련 단체 간 협력 및 교류에 관한 사항, 2. 고유한 지역문화의 보존ㆍ발굴 및 활용에 관한 사항, 3. 문화환경 취약지역 지원 등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에 관한 사항, 4.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한 조사ㆍ연구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역문화진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으로 되어 있다.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수립 시 포함 내용 1. 지역문화진흥정책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2. 지역문화의 균형발전 및 특성화에 관한 사항 3. 생활문화 활성화에 관한 사항 4. 지역문화전문인력의 양성에 관한 사항 5. 문화도시 육성에 관한 사항 6. 생활문화시설의 설치 및 운영 활성화에 관한 사항 7. 기본계획 시행에 필요한 예산 및 재원에 관한 사항 8. 그 밖에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출처 : 지역문화진흥법 제6조 1항 또한 4조에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본계획을 반영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실정에 맞게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시행계획을 5년마다 수립ㆍ시행ㆍ평가하여야 한다’라고 하고 있다. 이는 국가에 의한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과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지역문화진흥시행계획이 법정 계획으로서 실행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기본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 부재한 상황에서, 법률에 국가에서 수립하는 지역문화진흥계획과 함께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하는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시행계획에 대하여 규정함으로써 실질적인 지역문화 육성을 꾀하기 위함이다. 동 시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령 제4조 7항에 규정되어 있는데, 1. 해당 지역의 지역문화진흥정책의 기본방향, 2. 해당 지역의 문화적 특성 및 실정에 맞는 지역문화진흥정책의 개발 및 추진에 관한 사항, 3. 시행계획 추진에 필요한 예산 및 재원(財源)에 관한 사항, 4. 문화환경 취약지역 지원 등 문화격차 해소에 필요한 사항, 5. 지역문화전문인력의 양성 및 지원, 6. 그 밖에 지역문화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문화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시행령\/ 지역문화진흥법 시행규칙 조광호(2014), 지역문화진흥법 시행령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2009), 지역문화진흥 중장기 발전방안 ", "작성자": "김향자 선임연구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n" }, { "정책용어": "수산공익직불제", "생성배경": "수산·어촌 분야의 공익형 직불제는 수산업과 어촌지역의 다원적 기능을 배경으로 등장하였다. 수산업은 수산자원·식량공급·해양환경·해양과학·해상경계 관리와 보전의 다원적 기능을 수행하며, 어촌 지역사회는 어업 등 다양한 경제활동과 더불어 관광·문화·교육·생태·안보 분야에 기여하는 주체이다. 류정곤 외(2019)는 수산업과 어촌지역이 해난구조, 국경해역 감시, 문화보존 및 교육에 기여하는 가치가 8,891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산자원의 감소와 기후 변화, 조업권을 둘러싼 국가 간 분쟁, 전통수산업의 쇠퇴, 어촌경제 침체, 어촌 인구소멸 등 대내외적 환경변화로 인해 수산·어촌이 지니는 긍정적인 외부효과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수산공익직불제는 이러한 외부효과를 공익적 가치로 인지·분석하여 관련 산업과 사회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2021년에는 수산공익직불제의 확대 시행을 통해 수산업과 어촌의 지속가능성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형태로 보조금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수산·어촌 분야의 직불금 제도는 유럽연합의 공동수산정책(CFP: Common Fisheries Policy)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CFP는 어업의 사회·경제·환경적 기능과 외부효과를 고려하여 자원관리, 산업 구조조정, 친환경화 등을 위한 직불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노르웨이와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에서는 휴어기 실업급여 개념의 소득보전 직불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와 캐나다에서는 특정 어종의 조업금지 또는 자원감소 등에 대응한 조기은퇴 및 허가환수 직불제를 시행 중이다. 미국의 경우, 최근 COVID-19로 인한 수산업의 경제적 타격을 보완하고 공익적 기능을 유지하고자 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과 주정부에서 어업경영체(Fishery-related Business)에 직불금을 지원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수산업·어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r 뉴욕주 홈페이지 Marine Fisheries Relief Program, https:\/\/www.dec.ny.gov 미국 해양대기청 홈페이지, https:\/\/www.fisheries.noaa.gov 유엔식량농업기구 홈페이지, Subsidies and fisheries, https:\/\/www.fao.org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https:\/\/www.mof.go.kr 류정곤 외, 2019, 우리나라 수산업·어촌의 공익적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유제범, 2020, 수산업·어촌 공익기능 증진 직접지불제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제1717호, 국회입법조사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수산분야 공익형 직불제 도입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2021, 수산공익직불제 시행지침. ", "작성자": "최지연(한국해양수산개발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경제협력권사업", "생성배경":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을 개정하여(‘14.1) 행복생활권, 경제협력권 등을 신설하는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2014년 2월 발표한「경제혁신3개년계획」에도 반영하였다. 일자리·부가가치 창출 및 지역경제 활력제고를 위해 14개 시·도 간 자율협의를 통해 구성된 17개 경제협력권산업을 지원한다. 경제협력권사업은 17개 경제협력권 내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RD)와 기업지원(비RD) 과제지원으로 기술개발에는 경제협력산업별 유망품목의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 전·후방 연관기업들 역할 분담하여 제품개발과 사업화 추진을 지원하고 기업지원에 있어서는 시·도 간 경제협력권산업 생태계 조성 및 지역기업 역량 강화를 위해 산업별 여건·특성에 부합하는 기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산업통상자원부는 ‘17년도 총 1,895억(RD 1,456억 원, 비RD 419억 원) 규모를 지원한다. 경제협력권산업 현황(17개 협력권, 시도별 39개 협력산업) 협력산업 참여 시·도 협력산업 참여 시·도 주관 참여 주관 참여 조선해양플랜트(1) 경남 전남 이차전지 충남 충북 조선해양플랜트(2) 부산 울산 기능성화학소재 대전 충남 화장품 뷰티 충북 제주 지능형기계 경북 대구,대전 의료기기 강원 충북 에너지부품 광주 전북 기계부품 충남 세종 바이오활성소재 전남 전북,강원 광·전자융합 광주 대전 자동차융합부품 경북 대구,울산 기능성하이테크섬유 대구 경북,부산 차량부품 부산 경남 친환경자동차부품 전북 광주 나노융합소재 울산 경남,전남 휴양형 MICARE 제주 강원 ", "용어설명": "지역의 산업생태계(기업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시·도 간 자율적 협력을 통해 구성된 경제협력권 내 핵심 대표산업을 육성하여 일자리·부가가치 창출과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기존의 인위적인 광역경제권을 탈피하는 등 지리적 근접성보다 산업생태계 중심으로 경제협력권을 구성하는데, 그 원칙은 협력산업 관련 타깃기업군 중심으로 지원하되, 전·후방 연관 기업에 대해서도 포괄적으로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지원내용은 협력산업별 중장기 발전전략, 기업특성·수요조사, 관련 지역혁신 기관 역량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반영하도록 기획되었다. 17개 협력산업 별 유망품목 협력산업 경제협력권 유망품목 조선해양 플랜트1 경남, 전남 ① 해양플랜트 LNG 이송저장 시스템 ② Subsea 부품·기자재 ③ 화재폭발 감시방지 및 부식방지 기자재 ④ 해양플랜트 지원선 DECK예인 시스템 ⑤ 조선해양플랜트 생산자동화 설비 ⑥ 조선해양 융·복합 기자재 조선해양 플랜트2 부산, 울산 ① 지능형 해양플랜트 시스템 제품 ② LNG연료 공급 모듈 ③ 오프쇼어 리프팅 시스템 ④ 오프쇼어 밸브 및 피팅류 모듈 ⑤ 해양플랜트 안전진단 모듈 ⑥ 화공 플랜트 코크 드럼 모듈 ⑦ 극저온용 진공단열 파이프 ⑧ 잭업 리그용 잭킹 모듈 화장품뷰티 충북, 제주 ① 기능성화장품(미백,주름, 자외선) ② 천연화장품 ③ 메디컬화장품 ④ 모발화장품 ⑤ 색조화장품 ⑥ 기타 일반화장품 의료기기 강원, 충북 ① 의료용 영상진단장치 ② 생체정보계측 진단기기 ③ 치료용 의료기기 ④ 나노기반 Point-of-Care 진단기기 ⑤ 미래지능형 응급의료기기 ⑥ 의료용경 및 생체분자영상시스템 ⑦ BT생체인터페이스기반 신경조절시스템 ⑧ 치과 및 정형제품 ⑨ 바이오기술기반 체외 진단기기 휴양형 MICARE 제주, 강원 ① 휴양형 전시기획, ② 인센티브 투어(산업형) ③ 헬스테인먼트 ④ 전시디자인서비스 ⑤ 의료검진서비스 ⑥ 헬스케어리조트 클러스터 ⑦ 스마트 MICARE 플랫폼 ⑧ 의료관광서비스 ⑨ 웰니스리조트 클러스터 ⑩ 의료·헬스케어관광 인트라\/아웃\/인바운드 연계 플랫폼 ⑪ Pre-Post Medi Tour형 지원 프로그램 이차전지 충남, 충북 ① 분리막 ② 집전체 ③ 전해액 ④ 양극재료 ⑤ 음극재료 ⑥ 셀 기능성 화학소재 대전, 충남 ① 디스플레이용 화학소재 ② 반도체용 화학소재 ③ 에너지·환경소재 ④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⑤ 생활용품 소재 지능형기계 경북, 대구, 대전 ① 하이테크 산업용 섬유기계 ② 경량소재 정밀가공기계 ③ 지능형 수송기계 ④ 고기능성 농업용기계 ⑤ 금속가공정밀기계시스템 ⑥ 사출성형기계시스템 ⑦ 공장기계시스템 ⑧ 스마트 절삭가공시스템 및 유니트 ⑨ 특수목적용 지능기계 및 모듈부품 ⑩ 생산공정자동화장비\/검사장비 에너지부품 광주, 전북 ① 태양전지 ② 심부지열 ③ 이차전지 ④ 단주기ESS 기계부품 충남, 세종 ① 유체\/유공압 기계부품 ② 전동부품 ③ 기능성 금속구조물 ④이송유닛 광·전자융합 광주, 대전 ① 광정보네트워크 ② 광정밀시스템 ③ 신광원조명시스템 ④ 지능형센서 ⑤ 초정밀전자부품 기능성 하이테크섬유 대구, 경북, 부산 ① 신기능성신감성의류용소재 및 제품 ② 생활자재용소재 및 제품 ③ 글로벌문화융합형패션잡화 ④ 방호·보호용 엔지니어링 소재 및 제품 ⑤ 고성능 건축용 소재 및 제품 ⑥ 해양방재환경용 섬유소재 및 제품 ⑦ 자동차용 내장재제품 ⑧ 자동차용 기능성소재 및 내장재 ⑨ 전기전자용 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⑩ 위생의료용 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⑪ 환경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⑫ 토목용 섬유소재 및 제품 친환경 자동차부품 전북, 광주 ① 환경규제대응 흡배기계 및 보기류 핵심부품 ② 경량고기능 차체 및 샤시부품 ③ 에너지효율향상 구동 및 전동화부품 ④ 그린전장부품 ⑤ 특수목적용 특장시스템 및 핵심부품 바이오 활성소재 전남, 전북, 강원 ① 천연물식의약소재 ② 뷰티소재 ③ 합성첨가물대체제 ④ 식자원생산지원소재 자동차 융합부품 경북, 대구, 울산 ① 지능형운전지원장치 ② 차량통신시스템 ③ 차량감성부품 ④ 차량경량화융복합부품 ⑤ 샤시제어기기 ⑥ 전력효율향상모듈 ⑦ 인간친화형안전융합부품 차량부품 부산, 경남 ① 내연기관 고효율 부품 ② 고감성내장부품 ③ 차체 경량화 부품 ④ 충돌안전용 전장부품 ⑤ xEV 구동형 모터 ⑥ Engine free sys ⑦ 능동형 샤시부품 ⑧ 철도차량부품 나노융합소재 울산, 경남, 전남 ① 나노소재 ② 수송기계 친환경 내외장재 ③ 에너지 저장·변환·전달 소재 ④ 정보전자용 나노융합소재분야 시·도 간 자율적 협의를 통해 협력산업을 선정하여 경제협력권을 구성하였으며, 시·도별로는 3건 이내의 협력에 참여하게 된다. 지방비 매칭을 의무화하고 협력권별 협의를 통해 주관 시·도를 선정함으로써 지역의 참여와 책임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산업생태계 육성 및 지역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관련 분야 기업에게 기술개발(RD: 비즈니스협력형, 지역협력형) 및 역량강화·시제품제작·디자인·시험인증 등 기업지원서비스(비RD)를 병행 지원한다. 사업유형 및 내용 유형 지원방법 내용 제원 RD 비즈니스 협력형 산업생태계 조사, 수요조사등을 발굴한 비즈니스협력 커소시엄을 대상으로 유망 품목의 개발·사업화 (지원규모) 연차별 과제당 10억원 내외 (지원기간) 과제당 3년 이내 (지원방식) 지정공모 국비 지역 주도형 지역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통해 고용 및 일자리 창출 지원 (지원규모) 연차별 과제당 4억원 이내 (지원기간) 과제당 3년 이내 (지원방식) 지정공모 또는 자유공모 지방비 비RD 경제 협력형 협력산업 관련 타겟 기업군 중심으로 지원 (지원규모) 기업수요에 따른 합리적 예산규모 (지원기간) 과제당 3년 이내 (지원내용) 기술지원 \/ 사업화지원 \/ 인력양성 (지원방식) 지정공모 + 자유공모 국비 지역 주도형 지방비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4.3.31), 지역산업육성사업 개편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6),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 지원계획 공고 ", "작성자": "이경미 단장(충북지역사업평가단) \n" }, { "정책용어": "성장촉진지역개발사업", "생성배경":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 지역발전사업에 대한 개편 작업이 이루어졌다. 지방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한다는 취지하에 이전의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가 2010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었고 포괄보조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성장촉진지역 개발사업은 광역 · 지역발전특별회계를 개편하면서 등장하였다. 광역 · 지역발전특별회계는 광역계정, 지역계정, 제주발전계정으로 구분되었다. 광역계정은 중앙정부 부처에서 예산 편성을 하는 사업군이고, 지역계정은 시·도 및 시·군·구에서 예산 편성을 하는 사업군이다. 성장촉진지역 개발사업은 지역계정의 시·군·구 자율편성사업 중 하나의 사업이다. 시·군 ·구 자율편성사업은 시·도가 자율로 예산을 편성하여 지역발전사업을 하는데 과소투자의 우려가 있는 시·군·구 지역발전사업에 대하여 계속사업 및 신규사업의 소요를 별도로 산정해서 시·군·구별 예산 한도를 배분하는 체계로 되어 있다. 기능별 사업 구분의 방식을 취하는 시·도 자율편성사업과는 달리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은 지역의 특성을 중심으로 사업을 구분한다. 지역의 특성에 따른 구분은 도시, 농산어촌, 특수상황지역 등과 같은 3개의 기본적 구분에 더하여 지역의 낙후도를 감안하여 성장촉진지역을 추가로 설정한다. 그래서 이를 3+1 지역 구분 방식으로 하기도 하였다. 바로 이 지역의 낙후도를 감안하여 선정된 전국 70개 성장촉진지역 시·군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발전사업을 성장촉진지역 개발사업이라 한다. 한편 2015년부터는 국토부는 성장촉진지역 시·군 중 해당 도지사가 낙후도 수준을 평가하고 차등지원함으로써 도 지역 내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지역 활성화지역’을 선정하여 지원한다. ", "용어설명": "성장촉진지역이란 생활환경이 열악하고 개발수준이 현저하게 저조하여 해당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도로, 상수도 등의 지역사회기반시설의 구축 등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특별한 배려가 필요한 지역이다. 소득, 인구, 재정상태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생활환경이 열악하고 개발수준이 낮아 지역발전에 필요한 기반시설 구축 등 지원이 필요한 지역을 국토부와 행자부가 매 5년마다 공동으로 지정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성장촉진지역 등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특성 있는 지역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특별법(2015.1.1.) 국토교통부(2015.3.27.), 22개 낙후 시·군, ‘지역활성화 지역’ 지정 국토교통부(2014.9.25.), 성장촉진지역 재지정 고시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4.12.18.) 지역개발, 지역주도+맞춤형으로 패러다임 전환 기획재정부(2014.5.2.)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송미령·권인혜(2011),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작성자": "송미령(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획조정실장) \n" }, { "정책용어": "특화발전프로젝트", "생성배경": "박근혜정부는 새로운 지역발전정책(HOPE 프로젝트)을 기존 중앙정부 주도의 추진방식에서 주민과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역할을 하는 자율형 추진방식으로 전환하고, 이를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실천과제로서 시·군 단위의 지역행복생활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프로젝트와 함께 시·도 단위의 특화발전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화발전프로젝트는 시·도별로 미래성장동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 비전 및 발전전략, 지역경제 활성화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특화분야를 선정하고, 이들 특화분야와 관련한 각종 세부 사업(기존 사업, 신규 사업)을 패키지로 추진하는 시책이다. 한편, 시·도별 특화발전프로젝트의 확정 시, 시·도에서 신청한 프로젝트 중에서 지역공약과 연계한 프로젝트를 우선하여 고려하였다.1) 정부는 2014년 3월 ‘제5차 무역투자진흥회의 및 지역발전위원회 연석회의’에서 부처 합동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였는데, 여기서 시·도별 1개씩 총 15개의 프로젝트 후보안2) 및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후 2014년 9월에 개최된 ‘지역발전위원회 제10차 회의’에서 시·도별 발전전략에 부합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15개 프로젝트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80개의 세부사업3)을 확정하였다. 특화발전 프로젝트 선정현황(2014.9월 기준) 부산 글로벌 영상산업특성화 도시 조성 대구 SW 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 인천 일자리 양산형 서비스산업 허브 구축 광주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대전 국방 ICT융합 기업생태계 조성 울산 친환경 전지 융합산업 육성 경기 접경지역 생태평화벨트 조성 강원 건강·생명 클러스터 조성 충북 세계적 바이오밸리 조성 충남 디스플레이 메가클러스터 구축 전북 농생명 허브 조성 전남 서남해안 해양관광 육성 경북 IT 융복합 창조생태계 구축 경남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 제주 용암수 융합산업 육성 ", "용어설명": "특화발전프로젝트는 지방·중앙 간 역할분담, 민·관 협업 등을 통해 추진하는 시책으로서, 중앙정부는 총 15개 프로젝트, 80개 세부사업에 5년간(2014~2018년) 총 2조 원의 국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방·중앙 간 역할분담과 관련하여 지자체는 프로젝트의 기획, 입지 지원, 관련 기업 유치활동 등을 주도하고, 중앙정부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핵심기반 조성, 지역기업들의 기술개발, 창업, 마케팅 등에 필요한 재정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지자체가 적극적인 기업 유치활동 등을 통해 민간투자를 유도하여 생산시설 투자 및 고용 확대를 추진하는 민·관 협업을 주된 추진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5), 내부자료(지역특화프로젝트 점검결과 보고서)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행복생활권·특화발전프로젝트(안) 관계부처 합동(2014), 지역주도 맞춤형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 제5차 무역투자진흥회의 및 지역발전위원회 연석회의 의안 1)지역공약 관련 대통령 지시사항(2013.12.23, 지역공약은 지역에 대한 약속이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정책수단인 바, 최대한 지역 입장에서 지역공약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접근할 필요가 있다.)에 따라 15개 프로젝트 중 지역공약과 연계되는 프로젝트를 11개 선정하였다. 2)지역 발전전략과의 부합성,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도, 지역공약 연계 여부 등의 프로젝트 선정기준에 따라 시·도가 자율적으로 발굴·제시한 프로젝트 중에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도출하였다. 3)프로젝트별 세부사업 선정을 위해 지자체 및 재정 당국과 수차례 협의를 실시(2014.4~6월)하였고, 프로젝트와의 부합성, 지역의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되, 각 시·도별 형평성도 최대한 배려하여 선정하였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주민결연제도", "생성배경": "주민결연제도는 지역발전위원회가 2013년 7월에 발표한 ‘지역희망(HOPE) 프로젝트’의 6대 분야 17개 실천과제 중 ‘(분야)지역행복생활권 기반 확충 - (실천과제)지역 주도˙협력 발전체계 구축’의 추진을 위한 세부 과제로서 최초 제안되었다. 동 제도는 미국 보스톤시의 ‘소화전 입양(Adopt-A-Hydrant)1)’, 호놀룰루의 ‘쓰나미경보기 입양(Adopt-A-Siren)’,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공원벤치 입양(Adopt-A-Park Bench)’, 과천시의 ‘도로 입양2)’ 등의 사례에서 착안한 것이다. 즉, 주민결연제도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수평적 소통에 기반한 민·관 협업을 통해 공공부문의 혁신과 효율성 향상을 실현하고, 이처럼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에서 시작하여 궁극적으로는 주민이 주도하는 지역의 발전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 "용어설명": "주민결연제도가 시행 가능한 분야로서 ‘공공시설 관리’와 ‘취약계층 돌봄’ 분야를 제시하였다. ‘공공시설 관리’ 결연제도의 경우 소화전(의용소방대), CCTV(자율방범대), 동네공원(주민자치위원회), 이면도로(시민단체), 축대˙옹벽˙공원벤치(이˙통˙반장) 등의 공공시설에 대한 시설안전 관리, 고장수리˙신고, 환경정비 등을 주민 참여를 통해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 구성원으로서 주민의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취약계층 돌봄’ 목적의 주민결연제도는 일본의 ‘산파 파견제도3)’, 청주시의 ‘실버행복드리미 사업(독거노인 결연)’ 등의 사례에서 착안하여 독거노인(새마을부녀회), 소년소녀가장(아파트부녀회), 쪽방촌(주민자치위원회), 결식아동(녹색어머니회), 결혼이민여성(여성단체) 등을 대상으로 1일1회 안부전화, 정기방문, 생활지원 등을 주민 참여를 통해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취약계층이 지역 사회의 관심과 보호를 받고 있다는 소속감을 높이고, 지역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희망(HOPE) 프로젝트(제1차 지역발전위원회 의안)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발전 5개년계획(부문별 계획) 1)미국 보스턴시의 소방공무원들은 겨울마다 애를 먹었다. 거리의 소화전(hydrant)들이 눈에 파묻혀 그 주변을 청소하느라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입해야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fA(Code for America)의 펠로 한 명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냈는데, ‘소화전 입양(Adopt-A-Hydrant)’이란 스마트폰의 앱(App)을 만든 것이다. 이 앱을 깔면 자기 집이나 사무실 주변의 소화전 위치를 알 수 있다. 그중 하나에 자신 또는 회사나 단체의 이름을 걸어놓고, 눈이 오면 ‘입양’한 소화전 주위의 눈을 치우도록 한 것이다. 누군가 이름만 건 채 일을 제대로 않으면 다른 사람이 대신 치우고 들어갈 수 있도록 게임의 규칙을 도입해 시민 참여를 자발적으로 이끌어냈다. 2)과천시는 이면도로를 개인 또는 단체에게 입양시켜 도로 환경정비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3)산모가 자택에서 출산할 경우 마을의 산파(출산경험이 있는 여성 등)를 파견하여 지원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 "정책용어": "광역도시계획\/MPO", "생성배경":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추이에 따라 국민 대다수가 광역도시권에 거주하게 되면서 도시공간의 외연적 확산 및 연담화와 생활권의 광역화로 인해 도시를 광역단위로 관리할 필요성이 증가하였으나, 기존의 개별 도시 또는 지자체만으로는 광역적 도시현상에 적절히 대처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따라서 이들 지역을 하나의 계획권으로 묶어 관리함으로써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규제와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필요성이 커졌다. 광역화된 도시의 효율적인 관리가 도시계획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1991년 「도시계획법」 개정시 광역도시계획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광역시설의 설치와 관리에 중점이 두어져 있었고 제도도입 이후 활성화 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광역 도시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으로 성격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어 2000년 「도시계획법」 개정시 새로이 구성하였고 이후 2001년 1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로 계승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시의 광역화는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의 공공서비스 격차를 증대시킬 우려가 크고, 광역도시계획이 도시 상호간 공동계획이므로 함께 계획을 수립하다보면 지자체간 권한 및 이해관계 대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시정책의 효율화와 지자체간 분쟁 및 이해관계 조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조정을 신청하거나 광역도시계획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용어설명": "광역도시계획은 2개 이상의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시 또는 군의 공간구조 및 기능을 상호 연계시키고 환경을 보전하며 광역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도지사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한 광역계획권의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을 말한다. 즉 대도시의 무질서한 확산과 연담화를 방지하고 도시간 공간구조 및 기능의 상호 연계로 적절한 성장관리를 도모하며 광역시설의 중복 및 비효율적 투자를 예방하기 위해 광역계획권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광역도시계획은 광역계획권을 대상으로 장래 20년을 목표로 수립하는 장기적인 전략계획이며, 도시ㆍ군계획체계에서 최상위 계획이다. 광역도시계획 수립시 담아야 될 내용으로는 광역계획권의 공간구조와 기능분담에 관한 사항, 광역계획권의 녹지관리체계와 환경보전에 관한 사항, 광역시설의 배치ㆍ규모ㆍ설치에 관한 사항, 경관계획에 관한 사항, 광역계획권에 속하는 특별시ㆍ광역시ㆍ시 또는 군 상호간의 기능연계에 관한 사항(광역계획권의 교통 및 물류유통체계에 관한 사항, 광역계획권의 문화ㆍ여가공간 및 방재에 관한 사항) 등이다. 광역도시계획이 수립된 지역에 대하여 수립하는 도시기본계획은 당해 광역도시계획에 부합되어야 하며, 도시기본계획의 내용이 광역도시계획의 내용과 다른 때에는 광역도시계획의 내용이 우선한다. 이러한 광역도시계획 및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장기적인 발전방향은 도시관리계획에서 구체화되고 실현된다. 한편, 광역도시계획을 공동으로 수립할 때에는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에 관한 협의 및 조정이나 자문 등을 위하여 국토계획법 제17조의2에 따라 광역도시계획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광역도시계획협의회는 관계공무원, 광역도시계획에 관하여 학식과 경험이 있는 자 등으로 구성한다. 광역도시계획협의회에서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에 관하여 협의ㆍ조정을 한 경우에는 그 조정 내용을 광역도시계획에 반영하여야 하며, 해당 시ㆍ도지사, 시장 또는 군수는 이에 따라야 한다. 광역도시계획협의회는 권한과 역할에서 낮은 수준의 도시간 협의체라고 본다면, 보다 강화된 형태의 조직체로는 광역계획기구(MPO;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가 있다. MPO는 광역도시권에 속한 다수의 지자체들이 토지이용, 주택, 교통, 환경개선, 경제개발 등 광역적인 공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하는 계획기구이다. MPO는 계획기관으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지자체간 협의, 상호교류, 공동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협동조직으로서의 역할과 지역 내 여러 지자체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ㆍ분석하여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국토교통부 홈페이지(www.molit.go.kr) 국토교통부(2011), 토지이용 용어사전 ",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 \n" }, { "정책용어":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생성배경": "지식정보가 개인 삶의 질 또는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지식기반사회 속에서 창의성과 통합적 사고 사고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의 중요성 및 국민의 생애주기별 평생학습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성숙한 시민사회 성장 및 지역 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의 종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도서관은 국가 지식경쟁력을 높일 가장 좋은 투자처로서 기존의 지식정보 자원의 수집ㆍ축적ㆍ제공이라는 단순한 역할 및 기능에서 상상력과 창의력의 원천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우리나라 도서관 진흥을 위한 비전과 방향, 주요 정책과제 등을 추진하기 위해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수립이 추진되었다. 특히 2007년 「도서관법」 4차 전면개정으로 기존의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구축을 위한 도서관발전 종합계획(2003~2011)」의 수정ㆍ보완을 통해 도서관 관종별, 소관 부처별 분산된 도서관 관련 정책의 일관성 확보 및 체계적인 정책수립을 통해 도서관 간 상호 협력관계를 조성할 수 있는 국가 지식정보 발전의 기반으로 추진하기 위해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을 마무리하고 제2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2014~2018)을 수립하였다. ", "용어설명": "「도서관종합발전계획」은 「도서관법」 제14조에 근거하여 국가발전을 견인할 도서관 진흥을 위하여 5개년간의 국가 중기계획이며, 공공도서관 및 학교도서관의 지속적 확충을 통해 국민의 도서관 이용률 증대와 도서관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한 ‘공공도서관 U-도서관서비스 시스템’과 단일 회원증으로 참여 도서관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통합도서서비스시스템’ 구축을 추진한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에 이어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지식정보의 소통과 공유로 행복한 삶과 미래를 창조하는 도서관’이라는 비전 아래 3대 정책목표와 7대 추진전략, 20대 정책과제 및 92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수립배경 출처: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2년도 시행계획 추진실적(201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 "작성자": "이여진 지역사업평가센터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국토 및 지역개발기획단(DATAR)", "생성배경": "국토 및 지역개발기획단(DATAR)은 1963년 프랑스에서 드골 대통령이 지역균형발전과 경제성장 잠재력 증대를 목적으로 설치한 총리 직속기관이다. 초기 DATAR의 정식 명칭은 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du territoire et a l’attractivite regionale으로 지역정책의 실천(l’attractivite regionale)을 강조한 것이다. DATAR은 국토정비, 주택 및 관광 등을 중심으로 한 국토균형발전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각 부처의 관련 조직을 통합하여 운용해 왔으며 프랑스 경제발전에 일익을 담당해 왔다. ※ DATAR는 CGET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지역발전정책론(율곡출판사, 2015)의 제11장 프랑스의 지역발전정책 동향과 시사점(배준구) 참고.\n ", "용어설명": "DATAR은 2005년 명칭이 DIACT(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et a la competitivite des territoires)로 변경되었으나, 2009년 사르코지 대통령 취임 후 국토발전정책 기조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다시 DATAR(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du territoire et a l’attractivite regionale)로 복원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DATAR은 지역매력(l’attractivite regionale)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 DATAR과는 개념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DATAR의 명칭 변화 및 특징 구분 DATAR 탄생기 DATAR 변화기 DATAR 재출범기 기간 1963∼2005 2005∼2009 2009∼현재 명칭 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du territoire et a l’action regionale 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et a la competitivite des territoires 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du territoire et a l’attractivite regionale 특징 국토균형발전 추진을 위한 지역활동(l’action regionale) 중심 유럽연합 등 세계화에 대응한 국토경쟁력(competitivite des territoires) 중심 지역특화발전 및 도시재생정책 등의 추진을 통한 지역매력(l’attractivite regionale) 중심 출처 : 김광익, 프랑스 범정부 국토정책 담당조직, DATAR가 새롭게 재출범, 국토정책 제300호, 2010\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DATAR 홈페이지 www.datar.gouv.fr\/organigramme(2015), DATAR organigramme Jean-Benoit Albertini(2006), De la DATAR a la nouvelle DIACT : la place des questions economiques dans la politique d’amenagement du territoire, Revue francaise d’administration publique. 안석교(2013), 21세기 한국경제의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 김광익(2010), 프랑스 범정부 국토정책 담당조직, DATAR가 새롭게 재출범, 국토정책 제 300호. \n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n " }, { "정책용어": "한국형 계획계약제도-지역발전투자협약", "생성배경": "한국형 계획계약제도(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는 지방정부가 지역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정부는 안정적인 예산을 지원하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협력모델로서, 각 지역에서 실제로 필요한 사업들을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다수의 부처가 연계, 포괄보조형식으로 지원하여 안정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토록 하는 제도이다. 즉 기존의 단일 중앙부처 중심의 지역 지원 사업과 달리 지역주도로 발굴한 사업계획에 대해 중앙과 지자체간 수평적 협의·조정 과정을 거쳐 협약을 체결하면,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를 통해 각 지역이 당면한 과제인 인구감소 및 고령화 대응, 일자리창출 및 사회인프라 확충 등을 위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합리적 계획수립이 가능하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18.3) 등을 통해 본 제도에 대한 예산 우선지원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 제도정비: 계획계약 사업에 예산 우선지원 근거마련, 각 지자체별 혁신협의회에서 사업 기획·제출 및 균형위(전문위원회) 심의·의결 등 수도권 제외 14개 광역지자체별로 수립한 ‘사업계획’을 대상으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기초지자체를 원칙으로 하되 광역시 및 이와 유사한 행정구조를 가진 광역지자체도 가능하며, 시·도별로 2개 이내로 사업계획을 제출하면 균형위에서 10개 내외 선정, 각 사업계획에 3년간* 총 100억원 내외 국비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재원분담은 5:5 비율을 원칙으로 하되, 투자협약예산의 한도 내에서 지자체 재정상황 등을 감안하여 차등지원 가능하다. * 1차년차(30%) → 2년차(30%) → 3년차(40%) 사업구성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최소 2개 부처 이상의 사업들을 단위사업으로 구성하되, S\/W 사업과 H\/W 사업으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각 부처의 개별적 칸막이 사업들을 재설계하여 묶음 형태로 제안한 지자체의 사업계획에 대해 중앙과 지자체간 수평적 협의·조정 과정을 거쳐 상호 협약 체결이후, 협약을 체결한 사업들에 대해 관계부처에서는 협약내용에 따라 우선적 지원이 가능해졌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혁신도시 시즌 2", "생성배경": "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지방이전에만 초점을 맞추던 기존 정책에서 벗어나, 혁신도시 발전에 대한 정부지원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법률 개정 후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혁신도시 시즌 2(‘18~’30)는 혁신도시를 지역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혁신도시별로 만든 발전계획을 토대로 실현가능성 및 타 계획과의 연계 방안을 검토하여, 혁신도시별 특화된 발전을 지원하고, 정주여건 개선, 주변 지역과의 상생발전을 통해, 지역의 자립적인 발전기반 조성에 중점을 두고 지역 전략산업과 이전 공공기관등 지역 내 혁신 기반을 감안하여 혁신도시별 발전테마를 선정하고, 특화된 발전전략 및 관련사업을 발굴하여 진행된다. 총 131개, 4.3조원 수준의 사업이 반영되어 있으며, 분야별로 살펴보면 특화발전 지원 2.9조원(67%), 정주여건 개선 1.1조원(26%), 상생발전 0.3조원(7%)으로 구성되어 있다. * (재원 조달계획) 4.3조원=국비 1.7조원 + 지방비 1.3조원 + 민자 등 1.3조원 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혁신도시별로 발전재단을 설립하여 특화발전 전략 이행 주도 및 산·학·연 협력 증진을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상생발전 기금 조성을 의무화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혁신도시 시즌 1과 시즌 2 비교 시즌1 ('05.~'17.) 시즌2 ('18.~'30.) 추진주체 중앙정부 (Top Down방식) 지방정부 (Bottom Up방식) 정책비전 수도권집중 완화 및 자립형 지방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新지역성장거점 육성 추진목표 공공기관 이전 완료 가족동반 이주율 제고, 삶의 질 만족도 향상, 지역인재 채용 확대, 기업입주 활성화 정책대상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지역주민, 지방대학생, 혁신도시 입주기업 등 추진과제 공공기관의 차질없는 이전 이전기관 종사자 지원 수도권 종전부동산 매각 이전기관의 지역발전 선도, 스마트 혁신도시 조성, 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주변지역과의 상생발전, 추진체계 재정비 법적근거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지역별 발전테마 도시 지역 혁신기반 도시 지역 혁신기반 부산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기술원 등 공공기관\/ 연구개발특구(해양플랜트 등) 충북 가스안전공사 등 공공기관\/ 친환경에너지부품소재센터 및 앵커기업(한화큐셀 등)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연구기관 및 기업\/ 연구개발특구(의료기기ㆍ소재) 전북 농진청, 농업과학원 등 공공기관\/ 농수산대학, 연구개발특구(농생명) 광주ㆍ전남 한전, 한전KPS 등 공공기관 및 유관기업\/ 연구개발특구(스마트그리드) 경북 한국도로공사, 교통안전공단 등 공공기관\/ 지원기관(자동차부품진흥재단) 울산 석유공사, 동서발전 등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 국가산단(에너지), 대학(UNIST) 경남 세라믹기술원, 국방기술품질원 등 공공기관\/ 항공국가산업단지(사천) 강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보심평원 등 공공기관\/ 의료기업, 기업도시(의료복지) 제주 국토교통인재개발원 등 공공기관\/제주관광공사, 제주컨벤션뷰로 등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도시재생뉴딜", "생성배경": " ㅇ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ㆍ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ㅇ 도시재생 대상지역은 인구감소, 사업체 수 감소, 생활환경 악화와 관련된 5개 법정지표를 기준으로 선정한다.(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13조 및 시행령 제17조) 인구감소 사업체 수 감소 생활환경 악화 지난 30년 중 가장 많았던 시기에서 20% 이상 감소 최근 5년간 3년 연속 감소 지난 10년 중 가장 많았던 시기에서 5% 이상 감소 최근 5년간 3년 연속 감소 20년 이상 노후건축물 50% 이상 ㅇ 도시재생 추진절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ㅇ 뉴타운 등 도시 재개발 사업은 대규모 철거방식으로 추진되면서 부동산 가격 급등, 철거 후유증 등 부작용이 생겨날 때, 기존 도시재생 사업은 재생계획 수립 중심으로 추진되어 주민들이 체가할 수 있는 성과가 미약, 지원 수준도 미흡(지역당 50억원)한 상황에서 국가적 문제가 되고 있는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정부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 추진을 지칭한다. - 정부지원은 3년간 46곳에 불과, 지원 예산도 연 1,500억원 수준. 전국 2,300곳의 읍면동(전체의 2\/3)이 쇠퇴 중이며, 2017년 시범사업 접수 결과 219개 지역이 신청할 정도로 수요가 많고 시급한 상황 ㅇ 도시재생 뉴딜의 차이점 ㅇ 도시재생 뉴딜의 목표 -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H\/W)과 주민들의 역량강화(S\/W)를 통해 도시를 “종합 재생”하기 위한 뉴딜사업 추진(노후 주거지의 환경 개선과 도시 경쟁력 회복 사업 중점 시행) - (주거복지 실현) 거주환경이 열악한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여 기초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고, 저렴한 공적임대주택 공급 - (도시 경쟁력 회복) 쇠퇴한 구도심에 혁신 거점공간을 조성하고 도시기능을 재활성화 시켜 도시의 경쟁력을 회복 - (사회 통합) 주민참여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이익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고 소유주와 임차인, 사업주체와 주민간 상생유도 - (일자리 창출) 업무, 상업, 창업 등 다양한 일자리 공간을 제공하고, 도시재생 경제조직 등 지역 기반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ㅇ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주요 과제 (1) 노후 주거지를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정비 생활인프라 공급, 소규모 정비 등을 통해 노후주거지 환경 개선 생활인프라 공급 : 저층 주거지에 마을주차장 등 아파트 수준의 기초 생활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을 개발 소규모 주택정비와 임대주택 공급 : 저층 노후주거지의 집주인이 낡은 주택을 새로운 주택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주택 개량 및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에 대한 지원강화 노후 주거지 내 스마트홈, 제로 에너지 등을 적용한 양질의 공적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기존 주민(임차인)에게 우선 공급 (2) 구도심을 지역의 혁신거점으로 조성 혁신 거점 공간을 조성하여 구도심 중심기능 회복 및 지역의 경쟁력 강화, 역사·문화 자산을 활용한 지역 특화발전 지원 혁신 거점 : 쇠퇴한 구도심의 중심기능(행정·상업·산업·문화)을 회복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혁신 거점 공간을 조성 - 도심 지역의 혁신거점 역할을 하는 복합 앵커시설인 ‘(가칭)도시재생어울림 플랫폼’을 조성하여 청년 일자리, 주거공간 등 마련 - 쇠퇴한 도심의 산업 기능을 회복하고 첨단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공업지역 등을 ‘(가칭)도시재생 첨단산업단지’로 재생 스마트 시티형 도시재생 : 쇠퇴한 마을을 대상으로 스마트기술을 접목하여 주민 생활편의를 향상하는 스마트형 도시재생 시스템 구축 - 주민 주도의 ‘스마트 거버넌스’, AI,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지역이 당면한 문제를 도출, 이를 ‘스마트 솔루션’을 접목해 해결 지역 특화발전 : 문화 재생 및 골목상권 재생 뉴딜사업, 건축경관 재생 기반 구축 등을 통해 지역별로 특화된 재생 유도 (3) 지역 기반의 거버넌스 활성화 지역 주민의 역량강화 및 도시재생 경제주체 육성을 통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축 주민역량 강화 : 지자체의 ‘도시재생대학’을 활성화하여 지역이 주도하는 교육체계를 구축하고, 주민이 실천할 수 있는 교육 실시 - 지자체의 주체별사업단계별.유형별 맞춤형 교육, 정부의 표준프로그램 개발, 성과평가, 사후관리강화 등을 통해 지역사회 역량제고 도모 - 주민과 서비스 디자이너, 전문가가 함께 도시재생 수요를 발굴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 도시재생 컨설팅단’ 운영 현장지원센터 활성화 : 도시재생 사업지역의 현장지원센터를 거버넌스의 중심 및 지역 주민 서비스의 통합 플랫폼으로 활성화 주민주도 조직 구성 : 사업 발굴 및 추진 등의 의사결정을 주민이 직접 할 수 있도록 주민협의체 등 주민주도 조직의 구성을 유도 - 지방공기업, 연구원, 대학 등이 지역의 지원기구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주민주도 조직을 보완하고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 (4) 둥지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대응 도시재생 사업지역 내 자발적인 상생협력을 활성화하고, 도시재생 이익을 지역사회가 함께 공유하는 선순환구조 확립 상생협약 활성화 : 임대인?임차인?지자체의 자발적인 협력을 위한 ‘상생협약’ 제도 신설(도시재생법 개정, `17.12월), 협약체결을 활성화 공공임대상가 공급 : 기금 융자 등을 통해 내몰린 기존 상인, 청년 창업자 등이 입주할 수 있는 임대료 안심공간(공공임대상가) 조성 지원 선순환구조 확립 : 주민 참여, 주민 주도의 도시재생 경제주체* 활성화 등을 통해 재생사업의 이익이 지역사회에 환원되도록 유도 (5) 맞춤형 일자리 창출 계획수립 → 사업시행 → 운영관리의 단계별로 전문인력 양성, 사업주체 육성, 관리체계 구축 등을 통해 맞춤형 일자리 창출 계획수립 단계 : 지역현장 중심 교육체계 구축을 통해 ‘코디네이터’, ‘주민주도 경제주체’ 등 도시재생 전문인력 양성 사업시행 단계 : 신재생 에너지, 집수리?임대관리, 마을정원 관리 등 도시재생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지원 운영·관리 단계 : 임대주택 및 마을공동시설 운영·관리, 육아·노인 돌봄, 집수리 등을 주민이 주도하는 일자리 모델 마련 파급효과 창출 : 지자체가 일자리 창출 지표를 설정하여 사업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활성화계획에 반영) ㅇ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유형은 대상지역 특성, 사업규모 등에 따라 5가지로 구분 사업유형 사업의 내용 우리동네살리기(1) (소규모 주거) 생활권 내에 도로 등 기초 기반시설은 갖추고 있으나 인구유출, 주거지 노후화로 활력을 상실한 지역에 대해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 및 생활편의시설 공급 등으로 마을공동체 회복 주거지지원형(2) (주거) 원활한 주택개량을 위해 골목길 정비 등 소규모 주택정비의 기반을 마련하고,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및 생활편의시설 공급 등으로 주거지 전반의 여건 개선 일반근린형 (준주거) 주거지와 골목상권이 혼재된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공동체 활성화와 골목상권 활력 증진을 목표로 주민 공동체 거점 조성, 마을가게 운영, 보행환경 개선 등을 지원하는 사업 중심시가지형 (상업) 원도심의 공공서비스 저하와 상권의 쇠퇴가 심각한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기능 회복과 역사·문화·관광과의 연계를 통한 상권의 활력 증진 등을 지원하는 사업 경제기반형 (산업) 국가·도시 차원의 경제적 쇠퇴가 심각한 지역을 대상으로 복합앵커시설 구축 등 新경제거점을 형성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 □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현황 ㅇ 2014년 13개 지역 ㅇ 2017년 68개 지역 □ 도시재생 일반지역 ㅇ 2016년 33개 지역 □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0309 도시재생뉴딜과 사회적경제 접목을 위한 협업 시스템 구축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1030 도시재생 성공은 “일자리 · 지역경제 활성화” 에 달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1120 뉴딜사업지_문화적 도시재생 위해 문화영향평가 받는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90102 도시재생지역 상가내몰림 방지를 위해 정부 지자체 적극 나선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90402 도시재생 뉴딜사업 첫 마을관리협동조합은 인천 만부마을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90510 연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성과 가시화 강조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웹사이트 (http:\/\/www.city.go.kr) ", "작성자":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LINC+(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생성배경": " ㅇ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사업은 기존 LINC 사업의 고도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후속사업으로 (가칭)Post-LINC로 불리던 LINC사업의 후속사업과 2016년 7월에 발표된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지원사업”의 물리적 융합을 통해 탄생한 사업이다. * LINC+ :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college) Cooperation ㅇ LINC+ 사업은 학교 특성과 유형에 따라 4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학교 특성에 따라 일반대와 전문대, 사업유형에 따라 ‘산학협력 고도화형’과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으로 구분한다. ㅇ 대학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의 다양화를 핵심 추진전략으로 설정하고 기존에 산업체에만 한정하였던 산학협력의 범위를 지역사회까지 확대하여 대학의 자율성을 부여하는 형태로 개편하여 추진중에 있다. ㅇ LINC+ 사업에서는 대학 재정지원사업 최초로 ‘사회적기여(Social Impact)’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LINC+ 사업에서의 사회적기여라는 개념은 대학의 내부적 변화에 한정되었던 재정지원 사업의 성과가 지역사회 및 국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대학 자체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대학에서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지역 경제 및 사회에 미치 영향력을 지수화(Index)하는 방법, 대학에서 육성된 인재의 사회적 가치, 대학에서 스타트업 기업의 영업 수익이 등이 영향을 미치도록 되어 있다. ㅇ ‘산학협력 친화형'으로 대학을 변화시킨 LINC사업(’12~’16)의 성과를 기반으로 ‘산업선도형 전문대학*’으로 대학 체질 혁신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데,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산업수요 맞춤형 우수인력 양성,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핵심아이디어 제공 등 산업발전 선순환 체제에 기여하는 대학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ㅇ 기업은 대학을 통해 기술을 체화한 신규 실무인력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대학은 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비즈니스 모델 창출 등을 통해 지속적인 산학협력의 선순환 체제를 확립하고자 한다. ㅇ 지역사회 발전을 선도하는 비즈캠퍼스 구축을 통한 대학과 지역사회의 상생발전 도모코자 하는 사업이다. ① (대학 자율성 확대) 기존 하향식(Top-Down) 사업운영에서 대학 자율적인 사업을 계획·운영하는 상향식(Bottom-Up)으로 사업 추진 ② (산학협력의 다양화) 공학중심에서 인문사회·문화·예술콘텐츠, 서비스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 확대 및 확산 ③ (산학협력의 개방화) 졸업생, 지역사회 등 산학협력의 범위 확대 및 쌍방향성 체제 확립 ④ (산학협력 친화형 전문대학 체제 구축) 교원업적평가 내실화, 산학협력 중점교수 제도 안착, 중소기업 토탈 지원서비스(URI센터 등) 등을 통한 산학협력 친화형 전문대학 체제 구축 [관련 근거] 2017년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사업 기본계획 (단계평가) 2년 간 추진실적의 서면 및 발표심사를 통해 사업대학을 평가(매우우수\/우수\/보통)하고, 사업비 재배분 및 하위 20% 내외 대학은 비교평가 대상* 포함** * 단계평가 하위 20% 대학과 신규진입 희망 대학 간의 재진입 및 신규진입 평가 ** 단, 성과미달대학은 비교평가 대상에서 제외됨 ㅇ LINC와 LINC+ 사업 간 유형 구분 LINC 사업 (‘12~’16년) LINC+ 사업 ('17년~) 일반대 전문대 일반대 전문대 기술혁신형 산학협력선도형 산학협력 고도화형 15교 10교 55교 내외 15교 내외 현장밀착형 현장실습집중형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 42교 20교 20교 내외 44개교 내외 ㅇ LINC+ 사업은 지난 ‘16년 7월 발표된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방향*에 따라 추진하는 첫 번째 사업으로 대학의 비전, 여건 및 특성에 기반한 자율적 산학협력 모델 창출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 대학의 자율성을 대폭 확대, 대학 재정지원사업들을 단계적으로 개편하여 “연구, 교육, 산학협력, 대학자율역량강화”로 사업구조 단순화 2016년 사업구조 사업구조 개편(안) BK 21 플러스 사업 연구 지원 대학\/전문대 특성화 지원 대학 특성화 사업(CK)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SCK) \t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 (PRIME)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 (CORE) 산학협력 지원(LINC+)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 여성공학인재양성사업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전문대 산학협력 선도 대학 육성사업 대학자율역량강화 지원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연구특성화 교육특성화 ㅇ LINC+ 사업 단계평가는 1차로 기존 75개* 대학을 평가하여, 상위 80%에 해당하는 대학을 향후 3년간(2단계, ’19년~’21년) 계속 사업비를 지원하는 대학으로 우선 선정하였다. * 산학협력 고도화형 55개교,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20개교 ㅇ 2차로 상위 80%에 해당하지 않는 대학과 새롭게 사업 수행을 희망하는 대학*간 비교평가를 거쳐, 향후 3년간(2단계, ’19년~’21년) 사업비 지원 대상 대학을 추가 선정하였다. * 신규 진입 신청 대학: 27개교 ㅇ 기존 LINC+ 사업 수행대학 대상 단계평가 결과 1차로 61개 대학을 선정하고, 최종 비교평가를 통해 14개 대학을 추가로 선정하여, 총 75개 대학을 향후 3년간 계속 지원할 예정이다. ※ ’19년 대학별 지원규모 : 산학협력 고도화형 37억 내외,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10억원 내외 -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 대학과 산업체간 공동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채용연계성이 강한 사회맞춤형 학과의 선도모델 확립 - (산학협력 고도화형) 대학별 여건과 특성에 맞는 상향식(Bottom-up) 방식의 대학별 자율 산학협력 선도모델 개발 추진 (1) LINC+ 사업성과 창출을 위한 기반 강화 추진 ㅇ (기업신속대응센터 역할 강화) 대학별로 구축된 기업신속대응센터(URI)의 활성화를 통하여, 기업애로기술 지원 및 비즈니스 모델 구축* 지원 강화 * (예시) 수익형 학교기업 활성화, 비즈니스 아이템의 (기술)사업화 유도 등 ㅇ (산학협력 친화형 인사제도 안착) 교원업적평가 시 산학협력 성과의 교수연구업적 대체 실질 적용율 확대 및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안착 유도 (2) 대학생 현장실습 시 학생 권익 강화 ㅇ (학생 권익 및 실습 안전 확보) 학생 중심적 현장실습 운영을 통한 기업에 맞는 직무능력 및 열정 페이노동문제 등의 해소로 안전하고 올바른 직업의식 함양 도모 - 산재보험 의무 가입*으로 산업현장에서 학생 보호 장치 마련 및 안전한 실습환경 조성을 위한 안전사고성희롱 예방교육 및 지도(참관) 의무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123조에 따른「현장실습생에 대한 산업재해보상보험 적용범위」확대(’18.9.11, 고용노동부고시) : (기존) 직업계고 학생 → (개정) 4년제 및 전문대학 학생까지 확대 (3)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확산 ㅇ (캡스톤디자인 과정 활성화) LINC+ 사업 1단계 추진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학생 참여 기회 확대 유도 ㅇ (창업 관련 프로그램 확대) 대학 내 체계적인 (재)창업 지원 프로그램 마련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창업 체험 기회 제공 확산 유도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신활력 플러스", "생성배경": "‘신활력 플러스’는 농촌에 구축된 시설·인력·조직 등 지역자산을 활용하여 특화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 등 자립적 발전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지역개발사업등으로 구축된 지역자산과 민간조직을 활용한 특화산업 육성등으로 자립적 성장기반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역의 고유자원을 활용한 특화산업* 육성 및 고도화를 위한 신상품 개발 등 RD, 시설·장비 고도화, 앵커기업 유치 등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신활력 플러스를 중심으로 산업·문화·복지 등을 연계한 통합계획을 수립하고, ‘계획협약’을 통해 실행력을 제고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화산업 : 향토자원을 활용한 제조업, 역사·문화·경관자원을 활용한 관광산업 등을 포괄함 (구)신활력사업이란 : 산업쇠퇴, 인구감소 등으로 소외되고 낙후된 지역이 지역혁신을 통하여 새롭게 활력을 회복하여, 전 국토의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국민소득 2만불 시대 달성과 국민통합의 이중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이었다. 2005~2010년 낙후된 70개 시군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 기업유치 등 양적인 성장과 함께 농산업융복합, 혁신주체 양성 등 우리 농촌의 자립적 발전을 위한 기본적 역량 배양을 목적으로 하여, 기존의 낙후지역 지원사업이 소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시설지원에 치우쳤던 것과는 달리 농·산·어촌형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낙후도가 현저한 70개 지역을 먼저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3년마다 추진실적을 평가하여 그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신활력지원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는 지역은 퇴출하고, 낙후도를 개선한 지역의 발전역량을 강화시켜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한 사업이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향토산업", "생성배경": "1993년 우루과이라운드 농산물협상 타결에 의하여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출범하여 농업의 국제화가 가속화되었다. 농업개방에 따른 취약한 농촌지역의 경쟁력 문제가 심화되어, 농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한 관련법이 2004년 제정되었고 이때부터 지역별 향토산업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 확립되었다. ", "용어설명": "향토산업이란 학문적으로 정립된 용어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시·군단위의 지역성과 문화적 전통성이 있는 자원이나 생산과정을 기초로 상품화 또는 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을 의미한다. 유사한 용어로 지역산업, 지역특화산업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향토산업은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향토’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향토산업의 유형은 투입단계별, 산업유형별, 향토자원 유형별로 구분이 가능하나 산업화의 목적성이 가장 높으므로 산업유형별 분류가 중요하다.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향토산업육성사업은 농어촌지역에 부존되어 있는 농수산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무형 향토자원을 발굴하여, 이를 1·2·3차 산업이 연계된 복합산업으로 육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및 소득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사업이다. 2007년부터 추진되어 매년 30개 이내의 지원대상 사업을 선정하여 제품 및 브랜드 개발, 마케팅, 향토자원의 지적재산권화 등 소프트웨어 분야와 시설·장비구축 등 하드웨어에 대한 포괄지원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지역경제활성화와 지방의 자립화를 위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규제개혁을 추진함으로써 민간의 활력을 최대한 활용한 차별화된 특화사업의 발굴·발전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지역특화발전특구사업을 추진하였고, 박근혜정부 들어 중소기업청으로 지원업무가 이관되었으며 ’15년 현재 등 총 166개 특구가 지정되어 육성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용자(2010), 사례비교를 통한 향토산업육성사업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이동필 외(2007), 신활력지역지원사업 평가·성과 측정을 위한 지표개발 및 향토 산업육성을 위한 체계적 지원방안·평가지표 개발 지역특화자원사업화 연구센터(2010), 향토산업육성사업 추진성과 분석 연구용역 보고서 배민식(2007), 우루과이라운드 농산물협상 ", "작성자": "최재홍 교수(경북대학교) \n" }, { "정책용어": "일학습병행제", "생성배경": "우리나라의 직업교육훈련은 학교가 주도하는 교과중심으로 진행되어,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과 기업에서 필요한 실무능력에 차이가 생기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학생들은 실질적인 업무능력보다 기업의 채용시험에 통과하기 위해 공인어학성적과 수상경력 같은 스펙을 쌓는 반면, 기업은 실무능력이 부족한 신입사원을 다시 교육하는데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 "용어설명": "일학습병행제도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기업 현장(또는 학교 등의 교육 등의 교육기관)에서 장기간의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훈련을 마친 자의 역량을 국가(또는 해당 산업계)가 평가하여 자격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기업일학습 홈페이지(www.bizhrd.net) 고용노동부 콘텐츠 홈페이지(moel-contents.co.kr) ", "작성자": "전용진 부장(㈜비디) \n" }, { "정책용어": "지역혁신협의회", "생성배경": " 지역내 혁신역량 결집과 지방분권형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자체별 지역혁신협의회 구성을 추진하였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시도지사는 시도의 균혀발전계획심의 등을 위해 지역혁신협의회 설치를 의무화하게 되었다. 다양한 혁신 주체의 참여를 독력하고, 지역혁신 활동을 주도하기 위한 실질적 기능을 부여하였다. 위원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이하 균형위), 지역혁신기관, 기초단체장 등의 추천을 받아 20여명 규모로 시도지사가 위촉되고, 분야별 분과협의회는 별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지역 발전계획 및 사업에 대한 심의·조정, 평가·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신규과제 발굴 등의 혁신 활동을 주도하도록 되어 있다. 국가균형발전계획, 지역발전투자협약 등 지역내 부처 공모사업의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하며, 전년도 균형발전사업 및 자체 추진 사업에 대한 평가, 지역 전략산업에 대한 모니터링·컨설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지원체계는 지역혁신지원단과 지역혁신지원센터로 나뉘어 협의회 활동 지원 및 연계·협력을 촉진하도록 되어있다. 지역혁신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혁신 활동과 기능을 집중하고, 혁신기관 간 연계·협력을 통한 플랫폼 기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역할 및 권한이 강화되었다.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유도하고, 협의체가 이미 구성된 경우 지역혁신협의회 내 분과협의회를 신설하고, 중소기업 분과(창업, 벤처정책 포함), 지역혁신성장 분과, RD혁신 분과등을 통합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지역혁신협의회가 명실상부한 지역혁신의 거점으로 지역내 부처 공모사업등에 대한 사전 타당성 검토 및 우선순위 조정 기능을 제도화하는 등 협의회를 강화시켰다. 또한 지역혁신협의회를 통해 혁신기관 간 연계·협력 프로젝트를 유기적으로 추진하고, 균형위 중심으로 중앙부처 협의를 추진하여 지역혁신체계 개편되고 관계부처 TF를 구성하고 운영하게 되었다. 기관 간의 기능적 연계·차별화가 가능하도록 주점기능을 설정하여 지역혁신기관 간의 연계·협력이 가능해졌다. 지역혁신협의회 중심으로 시도 발전전략을 총괄 기획하게 됨으로써 지역혁신지원단에서 혁신 기관의 기능·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기획 및 평가 전담기관을 지정·운영하고, 기획·평가가 연계가 이루어졌다. 지역혁신기관을 통한 시도 출연사업에 대한 평가 강화되어 중앙부처 공모사업 또는 자체사업 형태로 시도에서 지역혁신 기관에 출연하는 각종 사업에 대한 평가체계가 구축되었고, 중장기적으로 혁신기관에 대한 지자체의 자체평가 도입 검토가 가능 하게 되었다. 시도주도로 혁신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프로젝트 발굴 및 제안, 중앙부처는 규제·제도개선 등의 맞춤형 지원방안 마련하는 기반이 되었고, 지역발전투자협약(계획계약) 제도를 통해 지역혁신협의회 심의를 거친 자립적 사업(다부처·다년도)기획을 포괄 지원하게 되었다. 구분 체계별 구성내용 균특법 지역혁신협의회의 설치 목적과 기능을 규정하고 있음 시·도 지역혁신협의회의 설치 목적과 근거 : 균특법 제28조 1항 시·군·구 지역혁신협의회의 설치 목적과 근거 : 균특법 제29조 균특법시행령 협의회의 위원구성, 주요기능, 지원단의 기능, 예산 지원 근거를 규정하고 있음 협의회의 구성과 운영 : 균특법 시행령 제 32,33조 지원단의 기능과 예산 지원 근거 : 균특법 시행령 제32조의2 지자체별관련 조례 협의회의 회의, 운영방법, 분과협의회 구성 등을 규정하고 있음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18.8.8. [ 지역혁신 협력체계 구축방안]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18.10. [지역혁신협의회 업무편람] ", "작성자":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국가혁신클러스터(법명칭: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8.03.29. - [정부-지자체-유관기관이 하나 되어 「국가혁신클러스터」에 기업 투자를 유치한다]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8.10.24. - [시도별 혁신거점인 「국가혁신클러스터」 본격 시동]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보도자료, 2018.10.25. - 국가혁신융복합단지(국가혁신클러스터) 지정 및 육성 계획(안)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보도자료, 2018.09.11. - [국가혁신클러스터 등 문재인 정부 균형발전 전략, 본격 추진] 『국가균형발전법 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9.21일부터 시행 ", "작성자":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스마트팜 혁신밸리", "생성배경": "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규모화·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모두 갖춘 일종의 산업단지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18.4.16(월) 제5차 경제관계 장관회의를 통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스마트팜 확산 방안」 발표하면서,‘스마트팜 확산’을 정부의 혁신성장 핵심 선도사업 중 하나로 선정하고, 첨단농업의 거점이 될‘스마트팜 혁신밸리’를 ‘22년까지 4개소 조성할 예정이다. (개념)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의 개념으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RD), 판로개척 기능이 집약되어,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거점이다. (구성)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핵심시설은 ①보육센터, ②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③스마트팜 실증단지로 창업보육센터, 실증단지를 기본 요소(20ha+α)로 하여, 연계 사업군(정주여건 등) 패키지로 지원할 예정이다. 생산·유통, 교육, RD, 창업·비즈니스 등 기능을 최대한 집적화 청년·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복지·문화서비스 사업과 연계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모델을 발굴하여, 농업인과 기업 참여 유도 * 에너지 자립형, 자원순환형, 수출거점형, 기능성식품·바이오산업 거점형 등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예비타당성 면제사업", "생성배경":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이란 대형 신규 공공투자사업을 면밀하게 사전 검토하는 제도로, 사업추진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재정당국이 대규모 투자사업의 착수여부를 객관적인 타당성에 근거하여 결정하기 위해 1999년에 도입한 제도로, 현재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 이면서 국고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건설·RD·정보화사업, 중기지출 500억원 이상인 복지 등 기타사업을 대상으로 예산편성 前에 타장성을 개관적으로 검증하는 제도로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제도 도입 이후 20년간(‘99~‘18) 총849개 사업(386.3조원)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수행하여, 불요불급한 대형사업 추진에 제동, 재정효율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SOC 예산 축소(‘09년 24.7조원 → ‘19년 19.8조원) 기조 下 사업우선순위 설정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국가 재정법 38조 2항 10호에 따르면 지역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사업목적 및 규모 추진 방안 등 구체적 사업계획이 수립된 사업이고 국무회의에서 의견이 확정된 사업에 한해서 예비타당성 검토 면제 요건이 되는데 기업과 일자리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이에 따라 수도권과 비 수도권간의 성장의 격차가 확대되었다는 판단에 따라 공공인프라가 취약한 지역의 발전을 유도하고 국가 균형 발전을 목표로 2019년 1월 29일 정부는 국무 회의에서 의결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시·군·구 자율편성사업", "생성배경": "기존 특정보조금이 사용 용도와 조건 등에 있어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세부적이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 및 자유재량을 저해한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2010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새롭게 개편하면서 200여 개 지역개발사업을 18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4개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통합하고 포괄보조금으로 운용하도록 하는 지역개발 포괄보조금 제도를 도입하였다(기획재정부, 2010년 5월). 지자체 자율성 제고 및 새로운 지역발전정책들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2015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를 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하면서 생활기반계정, 경제발전계정, 제주계정 및 세종계종 총 4개 계정 9개 사업군으로 운영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2014),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기획재정부(2014), 지역발전특별회계 편성방향 기획재정부(2015), 보도자료(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운영 방향 설명)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 },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발전계획", "생성배경": "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은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에 따라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6조)에 근거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광역경제권 발전계획(5년 단위) 및 광역경제권발전 시행계획(1년 단위)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광역경제권의 발전방향 및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전략 및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광역경제발전 시행계획은 매년 발전계획의 세부 추진을 위한 1년 단위의 계획으로 지식경제부장관이 관련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고, 지역발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게 된다. 광역위원회는 시·도지사와 협의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발전위원회와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한다. 주요 내용은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에 포함된 추진사업, 일반회계 등의 재원을 활용하여 추진하는 광역경제권 30대 선도프로젝트 사업, 비재정사업으로서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해 추진할 사업계획, 그 밖에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해 지역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계획들이다. 광역경제권 발전계획과 광역시행계획의 추진체계는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총괄계획을 수립하고, 지식경제부는 수립지침 및 가이드라인을 컨설팅 하고 광역위원회에서는 계획수립 TF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광역경제권 발전계획과 광역시행계획은 광역위원회 사무국이 계획을 수립한 후 광역위원회의 심의를 받고 확정한다. 확정된 계획은 중앙행정기관 및 지역발전위원회에 제출하고 지역발전계획이 확정되면, 그러한 내용에 적합하게 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을 수정·보완해야 한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최정은(호남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선임연구원) \n" }, { "정책용어": "BTO\/BTL", "생성배경": "사회간접시설에 대한 외국자본 등 민간 투자를 촉진하고 효율적인 사회간접시설의 확충·운영을 위해 1994년에 「사회간접자본시설에대한민간자본유치촉진법」이 제정되었고, 2005년에 법명이 변경되어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 법에 정의된 민간투자사업의 추진방식에 따라 BTO(Build-Transfer-Operate), BTL(Build-Transfer-Lease), BOT(Build-Own-Transfer), BOO(Build-Own-Operate)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사회기반시설은 각종 생산활동의 기반이 되는 시설, 당해 시설의 효용을 증진시키거나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시설 및 국민생활의 편익을 증진시키는 시설로서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전기통신설비 등을 말한다. 민간투자사업의 이해 출처 :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2013), 알기쉬운 도시계획 용어집, p133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2013), 알기쉬운 도시계획 용어집 기획재정부(2010), 시사경제용어사전 ", "작성자":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 }, { "정책용어": "다원적 기능", "생성배경": " 농업의 다원적 기능(multi-functionality)은 농업 지원의 감축과 무역자유화의 확대에 대한 수입국 및 유럽연합(EU)의 대응논리로 시작된 개념이다. 1992년 리오선언(Rio Earth Summit)을 통해 농업의 다원적 기능(MFA: Multi- functionality of agriculture)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후, 농업의 다원적 기능이라는 용어는 특히 식량 안보와 지속가능한 개발 등과 관련하여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농촌 개발에서 국제 무역협상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다원적 기능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 "용어설명": " 다원적 기능이란 농업의 생산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효과이자 공공재의 성격을 갖는 결합생산물의 총칭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농업은 식량생산과 함께 사회에 유용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있는 반면에 시장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가치를 평가하여 이에 대한 정당한 보수를 지불하지 못한다. 이러한 긍정의 외부효과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시장기능에 의존할 경우, 사회적으로 유용한 재화와 서비스가 과소 생산되고, 시장에서는 자원배분의 비효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시장의 불완전한 기능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국가의 개입이 정당화될 수 있다. 여기서 국가의 개입은 환경, 식품안전, 생산윤리 등의 농업 부문에서 보상 차원의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t ", "현재 용어의 사용": " 국내 농업·농촌 기본법에서는 “농업은 국민의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국토환경보전에 이바지하는 등 경제적·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간산업으로서 국가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의 기반이 되도록 하고… 농촌은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보존하는 풍요로운 산업·생활공간으로 발전시켜 이를 미래세대에 계승되도록 함을 이 법의 기본이념으로 한다”라고 하여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인정하고 있다. 주로 이야기되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나열하면 가족농 보존, 농촌인력 고용의 유지, 농촌 문화유산 보전, 농촌사회 유지, 생물적·생태적 다양성 보존, 농업·농촌을 이용한 여가 선용 제공, 농촌 관광자원 공급, 토양과 물과 공기의 정화, 관개시설 보존, 생물에너지 보존, 음식의 질과 안정성 향상, 농촌경관, 식량안보, 동물복지의 함양 등이다. ", "해외사례": " 유럽연합의 농업·농촌 정책에서는 다원적 기능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며, 이를 촉진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수단들을 마련하고 있다. 유럽농업의 새로운 비전은 두 가지 측면에서 전개된다. 하나는 유럽농업의 중심을 물량에서 품질로 전환시키는 것이며, 품질이란 단순한 식품 안전성과 우수성을 넘어서서 생산지역의 향토성과 긴밀하게 연계된 개념이다. 두 번째는 농업이 식량생산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고 경제, 사회, 문화적 영역으로 확대된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의 다원적 기능은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공유하고 있는 역사와 문명의 토대와 연계되어 유럽의 정체성을 구축 가능케 해준다. 1990년대 후반기에 등장한 이른바 ‘유럽농업모델’이라는 이름으로 함축되는 이러한 유럽 농업정책의 새로운 비전과 개념은 기존정책의 결과와 모순, 시장과 사회의 새로운 요구와 도전, 그동안 축적해 온 경험과 미래를 향한 의지를 반영한다.\t ", "참고자료문헌": "이재옥(2000),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쟁점과 대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주호(2003), DDA 농업협상과 농업의 다원적 기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오세익 외(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의 가치평가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오세익 외(2004),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강혜정(2007), OECD, 농업의 다원적 기능 논의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오현석 외(2006), 유럽연합의 농촌정책의 발전과정 연구, 지역아카데미 ", "작성자": "채종현(대구경북연구원 책임연구원) \n" }, { "정책용어": "문화관광 축제", "생성배경": "축제란 축하 의식인 축전(祝典)과 제사 의식인 제전(祭典)이 합해진 용어이다. 과거 축제가 제사 등 의례적 측면이 강했다면, 현재의 축제는 놀이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방자치 제도가 도입되면서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문화에 기초한 축제를 활발하게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지역축제는 향토문화를 체계적으로 보전하는 데 기여하며 지역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며, 경제적 파급효과를 발생시킨다. 1995년부터 시작된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관광 축제 지원 사업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 및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축제 중 관광 상품성이 큰 축제를 매년 선정하고 있다. 문화관광 축제는 문화적 측면과 함께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경제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잠재력 있는 문화관광 축제를 선정하여 관광진흥개발기금과 해외 홍보 및 축제 컨설팅을 지원함으로써 국가 및 지역의 대표 관광 상품으로 육성하고 있다.\n ", "용어설명": "문화관광 축제는 각 특별시·광역시에서 3개 이내, 각 시·도에서 7개 이내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추천하면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에서 선정하게 된다. 이 때, 축제의 콘텐츠, 축제의 운영, 축제의 발전성, 축제의 성과 등을 추천 기준으로 선정한다. 1997년 10개를 시작으로 2017년에는 41개 문화관광 축제를 선정하였다. 김제지평선축제, 문경전통찻사발축제와 얼음나라화천산천어축제가 대표축제, 강진청자축제 등 7개가 최우수 축제, 10개가 우수 축제, 21개가 유망 축제가 되었다.\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2014), 2015년도 문화관광축제 선정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4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3년 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문화관광부(2006),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 \n ", "작성자": "김영준(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 연구위원)\n " }, { "정책용어": "협동조합", "생성배경": "협동조합은 지난 2008년 국제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 시장 자본주의의 한계를 극복할 유력한 경제주체로 주목받고 있다. 스위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에서는 협동조합 기업이 물가인상을 막고, 안정적이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튼튼한 지역경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소비자·생산자협동조합은 경제위기에서도 지역경제 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UN은 2012년을 ‘세계 협동조합의 해’로 정하고 협동 중심의 사회적 경제를 강조하고 있다. UN은 공동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요구를 실현하고자 모인 자율적이고 자발적 조직인 협동조합이 공동소유와 민주적 관리 기업으로 사회 경제적 발전에 이바지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하고, 협동조합 방식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 활동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기존 시장에서 포괄하지 못하고 사회적으로 배제된 분야에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약자의 자생력을 강화할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합 활성화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용어설명": "협동조합은 투자자 소유회사(영리회사)와 대비되는 ‘이용자 소유회사’이며,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은 협동조합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enterprise)를 통해 공동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모인 사람들의 자율적 단체(association)’로 정의하고 있다.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비교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비교표로 구분,협동조합,주식회사(상장회사)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협동조합 주식회사(상장회사) 소유 제도 소유자 조합원 주주(주식소유자) 투자한도 개인의 출자한도 제한 원칙적으로 출자 제한 없음 지분거래 없음 지분거래 가능 가치변동 출자가격의 변동이 없음 주식시장에서 수시 변동 투자상환 상환책임 있음 상환책임 없음 통제 제도 의결권 1인 1표 다수의 평등한 지배 주 1표(주식 수에 비례) 소수 대주주의 지배 경영기구 조합원에 의해 선출된 이사회 이사회에서 선출한 경영자, 또는 선출직 상임조합장 주주에 의해 선출된 이사회 이사회에서 선출한 경영자, 또는 대주주의 자체 경영 수익 처분 제도 내부유보 내부유보를 강하게 선언 사회적 협동조합은 100% 유보 내부유보는 제한적 이용배당 협동조합 배당의 원칙 출자배당에 선행함 없음 출자배당 출자금의 이자로 이해 배당률의 제한, 일부 미실시 위험을 감수한 대가로 간주 제한 없음 ", "현재 용어의 사용": "「협동조합기본법」은 주무부처를 기획재정부로 하고 다른 협동조합과의 협력 근거를 마련하였고, 기획재정부 장관은 협동조합에 관한 정책을 총괄, 자율적 활동 촉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협동조합기본법」은 기존 개별 법률과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 법률에 따라 설립된 협동조합(농업협동조합법, 1957년; 중소기업협동조합법, 1961년; 수산업협동조합법, 1962년; 엽연초생산협동조합법, 1963년; 신용협동조합법, 1972년; 산림조합법, 1980년; 새마을금고법, 1982년;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1999년)에 대해서는 기본법 적용을 배제(협동조합기본법 시행은 2012. 12. 1)하고 있다. 협동조합기본법에서는 일반적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구분하고 있다.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의 비교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의 비교표로 구분,협동조합,사회적 협동조합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설립목적 조합원의 필요 공익적 목적 법인격 법인 비영리법인 설립 시·도지사 신고 기획재정부(관계부처)인가 감독 없음 있음 사업 업종 및 분야 제한 없음 (금융·보험 제외) 공익사업 40%이상 수행 지역사회 재생, 주민권익 증진 취약계층 사회서비스 및 일자리 제공 공공위탁사업, 공익증진사업 등 부수사업 소액대출 및 상호부조 법정적립금 잉여금의 10% 이상 잉여금의 30% 이상 배당 가능 금지 정산 정관에 따라 잔여재산 처리 비영리법인, 국고 등 귀속 출처 : 서울시 협동조합 상담센터(2013), 협동조합 이해하기 일반적 협동조합은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 생산, 판매, 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으로 영리법인으로 명시하지 않고 법인으로 명시(비영리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으며, 사회적 협동조합은 협동조합 중 지역주민들의 권익, 복리증진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거나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협동조합으로 비영리법인으로 명시, 기타 협동조합 설립목적과 기본원칙은 그대로 적용한다. 설립절차는 일반적 협동조합은 발기인 5인 이상 모집 → 정관작성 → 설립동의자 모집 → 창립총회 의결 → 관할 시·도지사 설립신고 → 이사장에게 사무인계 → 출자금납입(현물출자 가능) → 설립등기이고, 인가절차 없이 등기 할 수 있으며, 최소자본금 규정도 없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발기인 5인 이상 모집 → 정관작성 → 설립동의자 모집 → 창립총회 의결 → 기획재정부장관 설립인가 신청(60일 이내 인가) → 이사장에게 사무인계 → 출자금 납입(현물출자 가능) → 설립등기로 이루어진다. 주요사업으로 일반적 협동조합은 설립목적에 따라 필요한 사업을 자율적으로 정하되, 교육, 훈련, 정보제공, 협동조합 간 협력, 홍보 및 지역사회를 위한 사업 등은 정관에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인·허가가 필요한 사업을 위해서는 관련 법률에 따라 사업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신용 및 공제 사업은 허용되지 않는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지역사회 재생,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주민들의 권익·복리증진, 기타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사업, 취약계층에게 복지·의료·환경 등의 분야에서 사회서비스 및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 국가·지자체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기타 공익증진 사업 중 하나 이상을 주 사업(전체 사업량의 40%)으로 해야 한다. 신용 및 공제 사업은 허용하지 않지만, 조합원 대상 납입출자금 한도 내에서 소액대출과 상호부조는 가능하다. 협동조합의 유형 협동조합의 유형표로 협동조합의 주 목적,조합원의 참여동기,주된 사업의 성격,다양한 협동조합 모델의 정보를 제공한다. 협동조합의 주 목적 조합원의 참여동기 주된 사업의 성격 다양한 협동조합 모델 조합원의 필요충족 (호혜적 동기) 생활·소비 구매대행 구매협동조합 서비스나 자산공유 이용협동조합 사업·경영 일자리 제공 직원협동조합 공동업무 대행 사업자협동조합 상호제공·상호이용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 사회적 목적의 실현 (공익적 동기) 사회적 협동조합 보건의료 의료사회적 협동조합 출처 : 서울시 협동조합 상담센터(2013), 협동조합 이해하기 협동조합의 유형은 소비구매협동조합, 소비이용협동조합, 직원협동조합, 사업자협동조합,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의료사회적협동조합 등 7가지가 있다. ", "해외사례": "☞ 협동조합과 관련한 용어 및 개념은 사회적기업 관련용어 및 개념 참조. ",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2012),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서울시 협동조합 상담센터(2013), 협동조합 이해하기 황영모(2012), 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적 경제의 준비와 실천, 전북발전연구원, 이슈브리핑 Vol 74.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n" }, { "정책용어": "행정중심복합도시", "생성배경":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참여정부에서부터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다. 정부는 수도권의 과밀문제를 해소하고 지방의 자립적·혁신적 발전역량을 확충하기 위한 분산정책의 일환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함께 혁신도시, 기업도시 건설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 "용어설명":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중앙행정기관 등의 이전계획에 따라 수도권 소재 중앙행정기관 및 그 소속기관이 이전하여 행정기능이 중심이 되어 건설되는 복합도시를 말한다. 그러므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행정기능 중심의 복합형 자족도시,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쾌적한 친환경도시, 편리성과 안전성을 함께 갖춘 인간중심도시, 문화와 첨단기술이 조화되는 문화·정보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행정중심복합도시는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내·외 홍보 등에 활용하고자 국민공모를 통해 세종시로 도시 명칭을 확정하였다(2006년 12월). 2012년 2월 현재 세종시는 21개 생활권 중 8개 생활권의 부지조성공사, 청사, 광역도로 등 56건의 공사를 추진 중이다. 그리고 세종시는 2012년 7월 1일 정부직할특별자치시로 법적 지위를 부여받고 세종특별자치시로 공식 출범하였다. ", "해외사례": "수도 기능의 이전사례로 말레이시아의 사이버자야·푸트라자야(마하티르 수상은 행정수도 이전적지를 1993년 결정하고 1999년부터 수상청 이전을 시작으로 부처 이전을 시작), 브라질의 브라질리아(내륙지역 개발과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46년 연방헌법에 수도이전을 규정하고 1960년 리오데자네이로에서 천도) 등을 들 수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단계적 이전계획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단계적 이전계획표로 구분,중앙행정기관,소속기관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 분 중앙행정기관 소 속 기 관 36개 기관 (10,452명) 16개 기관 (9부, 2처, 2청, 1실, 2위원회) 20개 기관 1단계 (12개, 4,139명) ’12년 이전 중심 관리 국무총리실 조세심판원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 국토 관리 국토해양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농림 해수 농림수산식품부 - 2단계 (18개, 4,116명) ’13년 이전 교육 문화 교육과학기술부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산업 과학 지식경제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 지역특화발전특구기획단 무역위원회 전기위원회 광업등록사무소 연구개발특구기획단 사회 복지 보건복지부 -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산업재해보상보험심사위원회 국가보훈처 보훈심사위원회 3단계 (6개, 2,197명) ’14년 이전 중심 관리 법제처 - 국민권익위원회 - 독립 배치 국세청 - 소방방재청 - - 한국정책방송원 - 우정사업본부 출처 : 지역발전위원회, 2012, 지역발전정책의 성과와 과제(정책자료집). ", "참고자료문헌": "역발전위원회(2012), 지역발전정책의 성과와 향후과제 한국토지공사(2005), ‘세계의 혁신도시를 가다’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 "작성자": "송우경(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한옥마을", "생성배경": "한옥마을이 중요한 정책적 요소로 대두된 것은 문화재청 주도로 1984년 안동하회마을, 월성양동마을을 비롯한 6개 전통마을이 「문화재보호법」상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면서부터이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 지자체의 주도로 서울 북촌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 등 비문화재급 도시한옥마을에 대한 보전 및 활용정책이 추진되었다. 또한 2000년대 후반부터는 한스타일 육성종합계획(2007), 국가한옥센터 개소(2010) 등 기존의 한옥마을 보전 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한옥ㆍ한옥마을을 조성하겠다는 정책적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 "용어설명": "현재 국내에 한옥마을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의는 없으며, 가장 유사한 의미로서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시행령」(시행 2015.6.4.) 상에 한옥 또는 한옥마을 조성에 대한 지원을 받고자 할 경우에 한옥마을은 일단(一團)의 범위 안에서 한옥이 10호 이상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2013년 현재 한옥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있는 54개 지자체의 대부분은 한옥마을을 ‘한옥이 집단적으로 존치되어 있어 보전 및 보호 또는 진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해당 도지사, 시장, 군수가 지정ㆍ공고한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는 한옥밀집지역으로, 전라남도의 경우에는 한옥보존시범마을로 명명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권영상(2011), 한옥마을 지원정책을 통한 역사문화가로경관 조성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2013), 한옥 정책·제도·사업 ", "작성자": "김현숙(전북대학교 교수) \n\n" }, { "정책용어": "특수상황지역개발사업", "생성배경": "남북분단 및 도서의 지리적 여건 등으로 인해 경제˙사회적 여건의 변동 등에 따라 구조적으로 불리한 환경에 처하게 되어 소외된 지역주민들의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를 위해 시작한 개발 사업이다. 지방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한다는 취지하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가 2010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었고 포괄보조금 제도가 도입된 바 있다. 특수상황지역은 접경지역 15개 시˙군 및 도서지역 19개 시˙군˙구의 185개 도서를 사업 대상 범위로 한다. ", "용어설명": "특수상황지역이란 구조적으로 불리한 환경에 처하게 되어 일정기간 동안 관계 중앙행정기관에 의한 행정지원 등 특수한 지원 조치가 필요한 지역을 의미한다(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2조). 이러한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된 특수상황지역개발사업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을 기반으로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접경 15개 시군과 186개 개발대상 도서를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행정안전부 공식홈페이지(www,mogaha.go.kr ) 발전사업 편람(2016), 지역발전위원회 ", "작성자": "희창 이사(한국지역연구협동조합) \n\n" }, { "정책용어": "투자선도지구", "생성배경": " 투자선도지구는 ’15년부터「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발전 잠재력이 있는 지역전략사업을 발굴하여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고 지역성장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도로서, 지정시 각종 규제특례*, 조세감면(발전촉진형), 지자체의 자금지원, 기반시설에 대한 국고보조(발전촉진형) 등이 종합적으로 지원된다. 민간투자·일자리 창출 등 지역 내 파급효과가 큰 기존 지역개발사업 또는 신규 추진 지역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공모·선정한다. - 주변 거점과의 연계발전, 지역 특화산업 등 다양한 S\/W 정책의 융복합 등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新 성장거점으로 육성 투자선도지구로 지정되면 건폐율·용적률 완화, 인허가 의제 등 각종 규제특례와 함께 발전촉진형의 경우 세제 감면, 재정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패키지로 지원받는다. 투자선도지구 주요 인센티브 투자선도지구 주요 인센티브표로 구분,발전촉진형,거점육성형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 분 발전촉진형 거점육성형 혜 택 재정지원(도로, 주차장 등 기반시설) - 조세감면(법인세, 소득세 등) - 규제특례(건폐율·용적률 완화, 특별건축구역, 인허가의제 등 73개) 자금지원(지자체) 인허가 지원 등 * 건폐율·용적률 완화, 특별건축구역 지정, 주택공급 특례, 인허가 의제(임대전용 산단, 관광특구, 문화산업진흥지구 지정) 등 선택적용 ** 투자선도지구는 발전촉진형과 거점육성형으로 구분, 발전촉진형은 낙후된 성장촉진지역 70개 시·군 등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 외 지역은 거점육성형으로 선정 ’15년도 투자선도지구로는 남원주 역세권 개발(강원 원주시), 에너지융합 산업단지(울산 울주군), 한국전통 발효문화산업(전북 순창군), 미래형 첨단복합도시(경북 영천시) 4곳을 선정 ’15년도 투자선도지구표로 공모시행,발전촉진형,거점육성형의 정보를 제공한다. 공모시행 발전촉진형 거점육성형 2015년 전북 순창 한국전통발효문화산업* 강원 원주 남원주 역세권 개발* 경북 영천 미래형 첨단복합도시 울산 울주 에너지융합 일단산업단지* ’16년도 투자선도지구로 충북 영동 ‘레인보우 힐링타운’, 전남 진도 ‘진도해양복합관광’, 충남 홍성 ‘내포 도시첨단산업단지’, 경남 김해 ‘김해 국제의료관광융합단지’, 광주광역시 ‘광주송정KTX역’ 등 5개 사업을 선정 ’16년도 투자선도지구표로 구분,지자체,사업명,주요 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 분 지자체 사업명 주요 내용 발전 촉진형 충북 영동군 레인보우 힐링타운 지역자원(포도, 국악, 일라이트 등)을 매개로 복합치유공간 개발 전남 진도군 진도 해양복합관광 숙박시설(콘도)을 중심으로 진도군내 이색관광자원 연계 거점 육성형 충남 홍성군 내포 도시첨단 산업단지 IT, 자동차부품 등에 특화한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수소자동차 부품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프리존과 연계하여 두 제도간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예정 경남 김해시 김해 국제의료관광 융합단지 노후화된 안동공단 재개발을 통한 국제의료관광융합단지 조성 KTX 지역경제 거점형 광주 광역시 광주송정KTX역 광주송정역 네트워크체계 구축(복합환승센터 개발) 및 융복합단지 조성 적용대상 및 유형 적용대상 : 수도권·제주를 제외한 지역개발사업* 중 발전잠재력이 있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지역 전략사업 * 산업단지, 물류·유통단지, 관광단지, 관광휴양시설, 역세권 등 유형 : 성장촉진지역·특수상황지역에 적용되는 발전촉진형 투자선도지구와 거점지역에 적용되는 거점육성형* 투자선도지구로 구분 * 18년부터 거점육성형 투자선도지구를 1)일반형과 2)KTX지역경제거점형으로 세분화 주요 인센티브 건폐율·용적률 완화 등 73종 규제특례, 세제 감면 및 재정지원(개소당 100억원 이내, 발촉형에 한함) 등 투자선도지구 유형별 개요 투자선도지구 유형별 개요표로 구분,발전촉진형(발촉형),거점육성형(거점형)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발전촉진형(발촉형) 거점육성형(거점형) 일반형 KTX지역경제거점형 대상지역 낙후지역(성장촉진·특수상황지역) 낙후지역 외 지역 투자·고용 500억 투자 또는 100인 고용 1,000억 투자 또는 300인 고용 규모 3만㎡이상 10만㎡이상 면적기준 無 혜택 재정지원(도로, 주차장 등 기반시설) - 조세감면(법인세, 소득세 등) - 규제특례(건폐율·용적률 완화, 특별건축구역, 인허가의제 등 73개) 자금지원(지자체) 인허가 지원 등 * 필요시, 국토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투자·고용규모 기준 완화 가능 투자선도지구 지정 절차 전문평가기관검토 평가기관 지정 신청 시도 관계기관 협의 국토부 국토정책위 심의 국토부 지정 국토부 관보 고시 국토부 일반 열람 시도\/시군구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null" }, { "정책용어": "창조도시", "생성배경": "창조도시는 유럽을 중심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지속된 각종 도시문제(산업 공동화, 실업, 범죄, 공동체 해체, 도시 재정위기 등)에 대해 전통적인 도시 관리 방식이 한계에 직면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개념이다. ", "용어설명": "창조도시(Creative City)에 대해 학자마다 다소 다른 개념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하며 지속적인 영감을 주는 재화를 일상적인 삶 속에서 생산·유통·향유·학습하는 시스템을 갖춘 도시’를 의미한다(임상오). 리차드 플로리다(R. Florida)는 창조계층이 원하는 환경을 체계적으로 갖춘 도시를 창조도시라 정의하고 창조도시의 요건으로 기술(Technology), 인재(Talent), 관용(Tolerance)을 제시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창조도시 대신에 창조지역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도시뿐만 아니라 농어촌 지역에서도 창조사업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창조지역이란 ‘다른 지역과 차별성 있는 비교우위의 사업 아이템을 통해 지역의 잠재능력과 정체성을 찾고, 경제·사회·문화적 가치를 새롭게 창출하는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창조지역에 대한 지역의 공감대를 조성하고 창의적인 사업발굴을 유도하기 위해 지역발전위원회는 관계부처와 함께 2011년부터 전국 공모를 통해 매년 50억 원 내외의 규모로 20여 개 창조지역사업을 선정, 지원하고 있다. ", "해외사례": "창조도시의 대표적 사례로 이탈리아의 볼로냐,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등을 들 수 있으며 일본의 마치즈쿠리(마을 만들기)로 유명한 가나자와, 오사키 등도 창조도시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창조지역 선정사업(2015년) 창조지역 선정사업(2015년)표로 권역,시도,부처,사업명의 정보를 제공한다. 권역 시도 부처 사업명 서울권 서울 국토부 (중구) 건강과 문화가 흐르는 Urban Health City Community 강원권 강원 행자부 (춘천시) 김유정 소설 愛 담긴 실레이야기 사업 농식품부 (횡성군) 주민이 함께하는 안흥 찐빵 세계화 프로젝트 농식품부 (영월군) 술이 솟는 샘(酒泉) 술샘 마을 육성사업 충청권 충북 농식품부 (괴산군) 유기농 로컬 Food를 이용한 전통 천연 발효 융·복합 사업 농식품부 (증평군) 장뜰두레 농경문화 보존사업 충남 농식품부 (부여군) 그림책 읽는 마을찻집, 기억의 정서적 탯줄을 잇다 농식품부 (서천군) 유네스코 무형유산 한산 모시 짜기 전승 및 육성사업 경기권 경기 행자부 (양주시) 무명 전통복원을 통한 슬로우 패션마을 만들기 사업 국토부 (부천시) 움직이는 문화 공감 3.0 부천 호남권 광주 국토부 (광산구) 다시 쓰는 농촌, 일상·경험·마을을 더하는'더하기 지구' 전북 농식품부 (김제시) 청소년 녹색 뇌(腦) 프로젝트 농식품부 (고창군) 선사의 맛을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농식품부 (순창군) 순창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치유마을 조성 전남 농식품부 (곡성군) 곡성심청 스토리 공감 행복누리 사업 농식품부 (영암군) 자연을 살리는 체험학교-선애(仙愛) 마을 농식품부 (진도군) 전통민속 상·장례 문화 新 커뮤니티 만들기 영남권 경북 농식품부 (문경군) 백두대간 산길 따라 국민 안전 지킴이 사업 농식품부 (군위군) 아이들의 웃음소리 넘쳐나는 희희낙낙喜喜樂樂기쁨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경남 농식품부 (함양군) 함양백연(白蓮)산업 육성 및 명소화 제주권 제주 농식품부 (서귀포) 창조형 미래인재 관광 도슨트(Tourism Docent) 육성사업 ", "참고자료문헌": "임상오(2008), 창조도시, 월간 '국토'8월호 지역발전위원회(2010), 창조지역 가이드북 지역발전위원회(2010), 지역과 발전 창간호 지역발전위원회(2015), 2014년도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 ", "작성자": "송우경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창조경제 지역전략산업", "생성배경": "그간의 지역경제 대책이 재정지원에 대한 높은 의존, 지역간 형평성을 고려한 지원, 경직된 규제의 잔존, 기업 투자 유치의 차별성 부족 등으로 실질적 성과 창출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정부는 2015.12월 창조경제 시대에 부합하고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지속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경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발전방안은 시ㆍ도가 잘 할 수 있는 산업(지역전략산업)을 선택해서 세계적 수준의 기업환경을 조성하고, 정부 지원도 맞춤형 패키지로 집중하는 것을 핵심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앞서 제7차 국민경제자문회의(2015.10월)에서 시ㆍ도별 지역전략산업(2개)1)을 상향식으로 선정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핵심 규제를 해당 지역에 한정하여 폐지하는 ‘규제프리존’ 도입이 제안된 바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민경제자문회의, 창조경제 확산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방안(2015) 관계부처 합동, 규제프리존 도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방안(2015) 1)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설립 완료(2015.7월)에 따라, 이들 센터들을 지역경제 발전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역전략산업의 1개 이상은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분야 산업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2) 시ㆍ도경제협의회(10.29일), 지자체 통합설명회(11.2일), 지자체 실무자 통합설명회(11.11일), 권역별 설명회(11.13~18일), 창조경제혁신센터 참여기업 간담회(11.27일) 등을 통해 지자체ㆍ지역기업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였다. ", "작성자":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지자체연구소육성사업", "생성배경": "1973년도에 국가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대덕연구학원도시 건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대덕연구단지의 기반조성 및 연구소 건설에 착수하였다. 대덕연구단지는 1974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의 입주를 시작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정부출연연구기관, 학교, 민간기업연구소의 입주를 통해 산학연 연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2005년도에 ‘대덕연구개발특구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재정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와 특구지원본부를 설립하였다. 2011년에 광주와 대구를 각각 특구로 추가 지정하였고, 2012년에는 부산을 특구로 추가 지정하였다. 또한, 2012년에 특구지원본부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으로 명칭변경 하였다. ", "용어설명": " 연구개발특구란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의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목적으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정 고시된 지역을 말한다. 특별법에 정의된 첨단기술기업, 연구소기업(산), 대학교(학), 공공연구기관(연) 등이 특구에 입주할 수 있고, 입주한 기관들은 고용보조금 지원, 세제 지원, 부담금 감면 등 많은 행정적 지원을 지원받는다. 특구 내 산학연 기관들은 기관 간 교류·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연구개발 및 사업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국내에는 4개의 특구(대덕, 광주, 대구, 부산)가 지정되어 있다. 각각의 특구는 특화분야를 가지고 특성화(차별화)를 추구하고, 혁신 주체별 역량강화를 통해 지속발전형 혁신 클러스터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특구별 주요현황 특구별 주요현황표로 특구,대덕특구,광주특구,대구특구,부산특구의 정보를 제공한다. 특구 대덕특구 광주특구 대구특구 부산특구 비전 미래 첨단융합산업 허브(HUB) 구축 광기반 융복합 중심의 개방형 연구 산업화 거점 조성 IT기반 소재부품 융복합 글로벌 클러스터 조성 RD기반 조선해양플랜트 혁신클러스터 구축 지정년도 1974년 2011년 2011년 2012년 지정년도 5개 지구 (약 67.8㎢) (대덕연구단지, 대덕테크노밸리, 대덕산업단지, 북부 그린벨트 지역, 국방과학연구소 일원) 7개 지구 (약 18.7㎢) (첨단 1,2,3지구, 신룡지구, 나노지구, 진곡지구, 대학·기타지구) 7개 지구 (약 22.3㎢) (테크노폴리스 지구, 성서첨단산업 지구, 융합RD지구 Ⅰ·Ⅱ, 의료RD지구, 지식 서비스 RD지구 Ⅰ·Ⅱ) 4개 지구 (약 14.1㎢) (RD융합지구, 생산거점지구, 사업화촉진지구, 첨단복합지구) 특화분야 IT융복합, 바이오의약, 나노융복합, 신재생에너지 광기반 융복합, 바이오 소재, 디자인 문화 컨텐츠, 스마트 그리드, 친환경 자동차부품 스마트 IT 융합기기, 의료용 융복합기기·소재, 그린에너지 융복합, 메카트로닉스 융복합 광기반 융복합, 바이오 소재, 디자인문화 컨텐츠, 스마트 그리드, 친환경 자동차부품 ", "해외사례": "해외 주요특구 현황비교 해외 주요특구 구분,실리콘밸리(미국),시스타(스웨덴),소피아 앙티 폴리스(프랑스),중관촌(중국)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실리콘밸리(미국) 시스타(스웨덴) 소피아 앙티 폴리스(프랑스) 중관촌(중국) 주력분야 IT, BT 이동통신 IT, BT, 의료과학 등 신소재기술, IT, BT 위치 샌프란시스코 인근 10여개 도시로 구성 스톡홀름시 북서쪽 20㎞ 지점 프랑스 남부의 니스, 칸느, 그라스, 앙티브 일원 중국 북경시 서북부 면적 3,885㎢ 2.3㎢ 23㎢ (녹지비율 65%) 海淀園 340㎢ 외분산위치한 4園 27.5㎢ 주요기관 스탠퍼드 대학 9,000여개의 IT 및바이오 관련 기업 세계 100대 첨단기업 본사의 20%가 위치 왕립공대, IT 공대, 에크레온 연구소 등 에릭슨, MS, 컴팩 등770여개 기업 유럽통신표준연구소(ETSI), 국립정보과학 대학(ESSI) 등 70여개 연구교육기관 IBM 등 68개국의 1,260여개 기업 북경대 등73개 대학 및230여개 연구기관 IBM, MS, 인텔 등 1,400여개 기업 주요 성과 현재 ‘세계 최고의 클러스터’로 각광 1인당 부가가치가 세계 클러스터 중 1위 ’01년 지역 총생산은 2,050억불로 한국 GDP의 절반 산업구조 고도화, 입주기업 기술력 향상 세계 무선 이동통신의 지식공급지로 부상, 유수 연구기관 및세계적 기업 유치 글로벌 기업의 신기술 기반형성으로 다국적 기업의 유럽본부 유치 중국 3대 클러스터 중최고의 기술력, 경쟁력 보유 ’88년 이후 연평균 30%이상의 성장세 북경시 전체 공업 생산액의 60% 이상 차지 ",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미래창조과학부(2014), 제2차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 변경(안)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홈페이지(www.innopolis.or.kr) ", "작성자": "박태준 선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n" }, { "정책용어": "지역행복도(삶의질만족도)", "생성배경":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산업화 초기 성장거점개발 방식을 통해 울산(자동차ㆍ석유화학), 창원(기계), 포항(제철) 등 공업도시가 육성되었다. 이후 경제 성장의 과실을 주변 지역에 확산시키기 위해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동서6축고속도로 등이 건설되었다. 현재에는 경제 성장 못지않게 국민이 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행복도를 높이는 것이 지역발전정책의 중요한 목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2013년 정부는 국가의 비전을 ‘국민에게 행복을, 지역에 희망을’ 주기 위해 지역희망(HOPE)프로젝트를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지역행복생활권 기반 확충, 교육여건 개선ㆍ창의적 인재 양성, 일자리 창출ㆍ지역경제 활력 회복, 지역문화 융성ㆍ생태 복원, 사각 없는 지역 복지ㆍ의료, 지역균형발전 시책 지속 추진 등 6대 분야에서 17개 과제가 제시되었다. ", "용어설명": "행복은 개인이 삶에 대해 느끼는 기쁨과 만족을 의미하므로, 지역행복도는 일정 공간 내에서 지역주민이 자신의 삶에 대해 경험하는 만족도로 정의내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행복을 느끼는 인구 비율(Composition), 공간영향(Area Effect), 공공서비스, 그리고 환경의 쾌적성 정도를 파악하여 지역행복도를 산출한다. 인구 비율의 관점에서는 행복을 느끼는 다수가 일정 공간 내에 거주한다면 그 지역의 행복도가 높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행복한 지역일지라도 소수는 불행하다고 느낄 수 있으므로, 최대한 등질지역 단위 혹은 세밀한 공간 단위에서 행복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간영향은 이웃효과(Neighborhood Effect)라고도 하는데, 이는 이웃하는 행정구역으로부터 주고받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행복도 산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별 지역은 각기 다른 이웃영향을 받음으로써 이를 계량화하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실제 지역행복도 산출 시 이를 고려하는 경우는 드물다. 다음으로 일정 공간 내에 병원, 도서관, 우체국 등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접근성이 양호할 경우 행복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대개 일정 지역 내 병원 수 혹은 병상 수 등이 지역행복도를 대표하는 대리지표로 이용된다. 다만 총량적인 지표보다는 병원에 도달할 수 있는 시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지역주민의 체감도를 파악하는 데 보다 적절할 것이다. 지역행복도 측정의 의미 지역행복도 측정의 의미표로 구분,의미,고려 사항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의미 고려 사항 행복인구 비율 지역민 다수가 행복을 경험할 경우 지역의 행복도 역시 증가 평균의 함정 공간영향 지역행복도는 이웃지역으로부터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받음 계량화의 어려움 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가 양호한 지역이 행복도 증가 공공서비스의 접근성 환경의 쾌적성 쾌적한 생활환경을 보유한 지역이 행복도 증가 측정지점의 대표성 및 오염물질의 행정경계 초월 마지막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이 지역의 행복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지역의 환경성을 파악할 때 측정 지점(Point)이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지를 검토해야 하며, 미세먼지 등 행정구역의 경계를 넘는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적절한 산정 방식도 고민해야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박종순(2011), ‘삶의 질과 상대적 박탈의 지리학: 1981-1991년간 런던시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2권, 2호, p. 61-71 이원종 외(2015), ‘지역발전정책론’, 율곡출판사, 서울 지역발전위원회(2013), ‘박근혜정부 지역발전정책 방향 제시’, 지역발전위원회 보도자료 통계개발원(2015), ‘국민 삶의 질 측정과제와 향후과제’, 통계개발원 워크숍 자료 ", "작성자": "박종순(지역발전위원회 정책연구팀 정책연구관) \n\n" }, { "정책용어": "지역특화센터", "생성배경": "지역의 우수역량을 강화하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요소투입형 경제구조를 지식기반형 경제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지역혁신사업이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으며, 지역특화센터사업은 이 중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된 지역전략산업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지역전략산업육성사업은 1999년 대구, 부산, 광주, 경남의 4개 지역에서 시작하였으며, 2002년부터는 울산, 경북, 강원, 대전, 충남, 충북, 전남, 전북, 제주의 9개 지역으로 지원대상이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각 지역은 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수단으로 지역특화센터라는 인프라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전략산업 집적화단지 또는 혁신거점을 조성하여 장비 및 시설을 구축하고 제품 연구개발, 각종 시험·분석, 시제품생산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으로서 지역거점기관(전문생산기술연구소 또는 테크노파크)의 소속기관 혹은 독립 법인으로 설치된 기관을 말한다. 지역특화센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①창업·보육에 관한 사항, ②장비활용, 시험·분석·평가에 관한 사항 ③기술이전 거래, 마케팅 등 사업화 지원에 관한 사항, ④산학연 공동연구개발에 관한 사항, ⑤보유 장비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⑥기술·경영지도 및 교육에 관한 사항, ⑦기타 지역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하여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지역특화센터 3대 주요기능 지역특화센터 3대 주요기능표로 구분,주요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주요내용 공동연구개발 자체인력 또는 기술연구소·대학 인력을 활용하여 기업 참여의 공동RD(재정지원), 지역기업 발주 수탁RD 등을 수행 연구개발지원 장비활용, 시험·분석·평가, RD 조사·기획, 특허분석, 기술이전·거래, 제품화RD(RD관련 시제품 제작, 디자인, 금형 등) 등의 기술적 지원서비스 제공 시생산지원 일시적인 생산대행 지원, 시장조사 등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박정훈(2013), 지역특화센터를 활용한 지역산업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산업기술평가원(2007), 테크노파크와 지역특화센터의 입주기업 현황분석을 통한 기업지원정책방향 연구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 지역특화센터 현황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역특구", "생성배경": "지역경제 활성화와 자립화를 위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규제개혁을 추진함으로써 민간의 활력을 최대한 활용한 차별화된 특화사업을 발굴˙발전을 제도적으로 하고자 국가균형발전전략의 일환으로 2004년 3월 「지역특화 발전 특구에 대한 규제특례법」 제정을 통하여 도입하였다. ", "용어설명": "지역특구 제도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특화 발전 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지역을 특구로 지정하여 선택적으로 규제특례를 적용하는 제도이다. 전국에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규제를 지역특성에 맞게 완화하거나 권한을 이양하여, 각 지역이 특색 맞게 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03.6월 국가균형발전 7대과제(낙후지역 대책수립, 공공기관 지방이전, RD 지방지원 비율확대 등)중 하나로 시작되었으며 '04.3월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특례법” 제정 이후 수십 차례의 개정(타법개정 포함)을 통해 현재 58개의 법률에 대한 129개 규제특례가 법제화되었다. 지역특구 제도의 주요 특징 지역특구제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인 입안으로 지역별 규제특례를 적용하는 특정구역을 설치하여 지방 스스로가 특화된 개발전략을 추진함으로써 각 지역 내 규제개혁을 추진하고 지역경제의 발전 및 자립화를 위한 새로운 모멘텀을 창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규제특례 이외 재정˙세제 지원이 없다는 점에서 연구개발특구, 관광특구 등 타 유사제도와 차별화된다. 지역특구로 지정되면 개별법의 적용을 배제하고 별도 규정을 적용하는 특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각 부처의 예산사업에 참여시 우대를 받을 수 있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지역 고유의 특화발전전략과 연계하여 지역특구제도를 활용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특구지정은 기초지자체가 특구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고 주민 공청회˙지방의회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중소벤처기업부에 특구지정을 신청하면 특례 관련 관계행정기관 협의 후 지역특구 실무위원회 검토를 거쳐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하고 지역특구를 지정˙고시하게 된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지역특구제도의 실효성과 극대화를 위하여 매년 기초지자체가 제출한 성과보고서를 토대로 전문가를 활용한 성과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우수특구를 선정하여 포상을 실시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17 현재 144개 지자체에 190개 지역특구가 지정˙운영 중이다. 그동안 정부는 ‘04년 12월 최초 지정 이후 ‘09년부터 연평균 10여 개 내외의 지역특구를 신규 지정해왔다. 지역특구 신규 지정 현황 지역특구 신규 지정 현황표로 년도,'04,'05,'06,'07,'08,'09,'10,'11,'12,'13,'14,'15,'16,'17,지정해제,합계의 정보를 제공한다. 년도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지정해제 합계 특구 수 6 35 31 25 22 14 11 8 3 5 8 11 16 7 12 190 초기 농수산, 특산물 등 1차 산업 중심에서 최근에는 2·3차 산업(제조업, 에너지, 관광 등)으로 확대 발전해 나가는 추세이다. (향토자원 92개, 관광레포츠 47개, 교육 30개, 산업연구 17개, 의료˙복지 4개, 합이 190개) 시도별로 보면 전남(22개), 경북(21개), 충남(12개), 전북(11개), 충북(11개), 강원(12개),경남(12개), 경기(13개), 등 전국 지자체에서 고루 활용하고 있다. ", "해외사례": "1980년대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에 도입된 프리코뮌(Free Commune), 일본의 구조개혁특구, 종합특구 등이 있다. ", "참고자료문헌": "국회 예산정책처(2010), 지역특화발전특구사업평가 (사)한국기업평가원(2012), 지역특구 성과평가를 통한 지역특구제도 발전전략 한광식, 광역경제권 정책과 지역특화발전특구정책, 월간 「국토」 산업통상자원부(2011), 지역특구연례보고서 중소기업청(2016),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현황 ", "작성자": "이여진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n" }, { "정책용어": "지역의무공동도급제", "생성배경": "지역의무공동도급제는 지방에 소재한 중소건설업체의 보호 및 지역경제의 활성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공동도급을 통한 자발적 기술이전(대기업 → 중소기업) 유도, 지방 중소건설업체의 수주율 제고 등을 위해 1994년에 도입하여 시행 중인 제도이다.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하 지방계약법)」 제29조 제2항 및 동법 시행령 제88조 제6항의 규정에 따라 공동계약1)의 경우에는 공사현장을 관할하는 시ㆍ도에 주된 영업소를 보유하고 있는 1개 이상의 지역 건설업체와 일정 비율 이상으로 공동계약의 체결을 의무화하고 있다.2)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안전행정부 보도자료(2013) 국토연구원, 지역경제 활성화에 따른 건설산업 역할강화 방안(2009) 광운대 건설법무대학원,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의 위헌성에 관한 연구(2013) 1) (동법 제29조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계약담당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계약상대자를 2명 이상으로 하는 공동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2) (예시) 충남에서 발주하는 공사의 경우, 서울업체는 충남지역 업체와 40% 이상으로 공동수급체를 구성(서울업체 60~51% + 충남업체 40~49%)하여야 한다. 3) SDR(Special Grawing Rights, IMF 특별인출권)은 4개 통화(달러, 유로, 파운드, 엔)의 교환비율을 감안하여 산정(일정기간의 일별 원\/SDR 환율평균)된다. ", "작성자":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지역의무 공동도급제", "생성배경":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지역중소건설업체의 어려움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중소건설업체가 건설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임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전체의 30%도 안 되는 실정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지역간 균형발전 및 대중소 건설업의 상생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은 공사규모에 관계없이 지역업체와 공동수급체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중소업체들의 실질적인 수주물량을 확보토록 하는 제도가 지역의무 공동도급제이다. ", "용어설명": "지역의무 공동도급제는 지자체장이 해당 지역에 소재한 업체의 일정 비율(40~49%)을 참여시켜 컨소시엄을 구성한 업체로 입찰자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예컨대 충남에서 발주하는 공사는 서울업체가 최소 51%, 충남업체가 최대 49%의 비율로 공사를 수행하게 되는 구조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역의무공동도급의 적용은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 시공업체의 참여기회를 보장하고 원활한 경영을 뒷받침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ewsis(2013.7.1), 모든 지자체 지역의무 공동도급제 금액제한 없앤다 행정자치부 보도자료(2013.7.1), 지역의무 공동도급제 금액 제한 철폐 정보통신신문(2013.4.30), 지역의무공동도급, 모든 지자체 공사에 적용 한국자치경제연구원(2013.7), 지방자치단체 발주공사 지역의무 공동도급 적용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역상생형 일자리사업", "생성배경": "통상적인 기업투자, 일자리 창출을 넘어 지역 경제주체인 노·사·민·정 간의 상생협약을 통해 적정 근로조건, 노사관계 안정, 생산성 향상, 원·하청 개선, 인프라·복지 협력을 도모하며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의 확산 방안입니다. 수도권외 지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중소·중견·대기업을 포함한 경제주체가 역할이 명확하게 규정된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지역·업종 특성을 감안해 최소 고용규모 및 투자규모를 설정하여, 통상적인 투자, 일자리 창출을 넘어 상새엽약이 없었다면 어려웠을 사업모델을 이끌어내고 각자의 역할을 충실이 규정하는 협약을 체결하며, 협약에 적정 근로조건 수용, 노사관계 안정, 생산성 향상, 고용·투자 확대, 원·하청 개선, 고용안정 보장 등 내용이 포함되도록 상생형 지역일자리 기업이 되기 위한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지역·산업·기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지만 크게 ‘임금 협력형’과 ‘투자 촉진형’으로 구분되며 그 밖에 다양한 창의적 유형이 존재합니다. ① 임금 협력형 : 대기업의 신규투자 지속가능한 고용이 가능하도록 대기업의 안정적인 투자와 적정한 임금 수용을 통해 일자리 창출하고 근로자의 실직소득 증대 등을 위한 복지혜택 서비스·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하는 패키지 지원 예) 근로자, 공공임대, 행복주택, 직장 어린이집 확대, 산단 복합문화센터 등, 기업·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지방세 감면, 관내 도로건설 등 ② 투자 촉진형 : 중소·중견기업의 신속 투자 숙련향상 교육훈련 등 생산성 향상 협력 및 입지지원, 설비 고도화를 위한 재정지원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패키지 지원 예) 근로자-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훈련비 등, 기업·지방투자촉진보조금, 법인세 감면, 공장부지 임대료 경감,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설비투자 금융 등 *패키지지원이란 : 노사가 상생협약을 성실히 이행하는 것을 전제로 지자체·중앙정부는 지역·산업·기업별 특성에 따라적용 가능한 방안을 조합하여 패키지로 지원하는 것. 보조금 등 일부 혜택은 요건을 충족할 경우 바로 지원 가능하나, 공모사업 등 일부 혜택은 우대하는 방식으로 지원함. 지자체는 지방세 감면, 부지지원, 투자보조금, 근로자 복지 혜택 제공 등 상생협약 내용에 따른 지원을 병행하기도 함 지자체·중앙정부 패키지 지원 주요내용 (*표시는 법 개정사항) 지자체·중앙정부 패키지 지원 주요내용표로 산업부,지자체,중앙정부의 정보를 제공한다. 산업부 지자체 중앙정부 기업 재정사업 투자보조금 (투자규모 일부 보조, 예: 10%) 공유지 대부요율 인하(5→1%) 수의계약 허용 관내도로건설 등 인프라 구축 부동산 취득세 50%이상 감면·재산세 75% 감면(5년) 임대전용 산단 임대료 할인 (년 임대료 인하 : 조성원가 3→1%) 펀드지원, 중기 전용자금 마련, 우대보증 공급(보증료율 감면 등)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보조율 가산(+3~10%p) 및 한도상향 *국유지 대부요율 인하(5→1%), 장기임대(최대 50년), 수의계약 *투가세약공제 우대 등 법인세 감면 근로자 행복주택 및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 공동지원 근로자 건강증진 사업 청년내일채움공제 추가 지원 (예:3년형 3,000만원(청년600,기업600,정부1,800+지자체 추가 지원금)) 직장 어린이집 설치비 확대 거점형 공공어린이집 우대 지원 산단 기숙사·통근버스 지원(3년) 복합문화센터(문화·복지·편의 기능)등 산단내 편의시설 확충 지역 직업계고·전문대 상생형 기업 맞춤형 교육 고용증대세대,中企취업청년 근로소득세 감면 등 기타 기존지원도 요건 해당시 수혜가능 기업·업종·지역별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방안을 조합하여 패티지로 지원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문화체육관광부 위클리공감 ", "작성자":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n" }, { "정책용어": "지역산업진흥계획", "생성배경": "산업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수도권과 지방 간 불균형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정부는 지방경제 문제의 본질이 기본적으로 ‘산업의 문제’이고, 지역산업의 활성화가 지역균형발전을 달성하는 근본적인 대안이라는 인식하에 1999년 대구 섬유, 부산 신발, 경남 기계 및 광주 광산업 등 4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산업발전종합계획을 추진하였으며, 2002년부터는 기존 4개 지역 이외에 비수도권 9개 지역까지 확대하여 추진하고 있다. 시·도 간의 특색 없는 중복지원, 복잡다기한 사업구조, 나눠주기식 예산배정, 지원기관 간의 연계부족 및 업무영역 중복 등의 문제점이 중앙주도 하향식(Top-down) 분산투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서 주요 지원 사업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틀(framework)의 사업체계를 모색하기에 이르렀고, 2010년부터 매년 시·도가 자율적으로 지역산업발전종합계획에 기반을 둔 산업육성 계획인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15년부터 지역사업을 지역주도 및 주민체감형으로 추진키로 함에 따라 광역선도사업과 新 특화사업으로 이원화되어 있던 지역사업을 경제협력권사업(시·도 간)-주력사업(시·도)-풀뿌리기업육성사업(시·군·구) 3개 사업으로 개편하여 추진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역산업진흥계획은 지역 내 산업육성 전반을 조망하는 중장기 ‘지역산업발전종합계획’에 기반을 두어 각 지원사업의 통합적 기획 및 추진을 위한 통합계획으로서, 지역의 여건·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책임 하에 수립하는 자율 계획이다. 본 계획은 1년 단위의 지역산업 육성 예산실행계획이며, 중앙과 지역 간 역할분담 및 연계협력을 통한 사업추진 체계를 가진다. 2013~2015 지역산업진흥계획 비교 2013~2015 지역산업진흥계획 비교표로 구분,2013년 계획,2014년 계획,2015년 계획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2013년 계획 2014년 계획 2015년 계획 주요 수립내용 ’13~’15년도 종합계획(재정투자계획 포함) ’14년도 예산실행계획 지역산업발전계획과 연계한 ’15년도 시행계획 대상사업 및 지원예산 지역특화사업 2,300억 원 신규(1,561억 원) 계속(739억 원) 지역특화사업2,528억 원 선도사업(산업협력권사업) 광역경제권거점기관지원사업 지역주력사업2,662억 원 경제협력권사업2,375억 원 혁신도신연계지원 112억 원 풀뿌리기업육성사업 798 억 원 대상산업 新특화산업+선도산업 특화산업+선도산업(협력산업) 협력산업+주력산업+연고(전통)산업+지역자율선정산업 수립주체 14개 광역지자체 14개 광역지자체 14개 광역지자체 지원주체 테크노파크(정책기획단) 테크노파크(정책기획단+기업지원단) 테크노파크(정책기획단+기업지원단) 지역사업평가단 수립시기 新특화산업 추진과 연계(’13.2~4) 지역산업발전 종합계획과 연계(’13.10~’14.2) 지역산업발전 종합계획과 연계(’14.08~’14.12) 지역산업진흥 정책자문단 지역정책, 산업전문가 등(총 12명) 지역정책, 산업전문가 등(총 15명 내외) 지역정책, 산업전문가 등(총 24명 이내) 차등 지원규모 국비 30% 국비 20% 국비 10%~30%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2010년도 지역산업 진흥계획 수립지침(안),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연구원(2011), 지역산업육성 지원제도의 개편방안 산업통상자원부(2013,2014), 2015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안) 산업통상자원부(2013,2014),2015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 ", "작성자": "이경미 원장(충북지역사업평가단) \n\n" }, { "정책용어": "지역산업마케팅 지원사업", "생성배경": "지역산업마케팅 지원사업은 지역산업 육성에 의한 혁신역량 강화를 마케팅과 연계함으로써 마케팅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 중소기업을 수출기업으로 육성하여 지역의 수출 저변을 확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 중인 사업이다. 2010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現 지역발전특별회계)의 개편 이후 지역개발계정(現 생활기반계정)·제주특별자치도계정 사업(시·도 자율편성)으로 추진 중인 ‘지역특성화산업 육성사업(산업통상자원부, 포괄보조금사업)’의 내역 사업(표 참고)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가 지역 내 수요를 반영하여 자체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는데, 사업 내용은 크게 해외시장 개척과 국내전시회 개최 지원으로 구별된다. 해외시장 개척의 경우 세부 프로그램으로 해외 무역사절단 파견, 해외전시회 참가, 시장개척단 파견, 수출상담회 개최, 해외 바이어 초청 등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해외 수출마케팅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전시회 개최 지원의 경우는 한국전자전, 한국기계전, 서울모터쇼, 대구국제섬유박람회 등의 전시회 참가 지원을 통해 해외 우수 바이어와의 수출 상담기회를 제공하여 수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방 중소기업 및 지역 주력·협력산업(舊 특화·선도산업을 개편하여 2015년부터 명칭 변경)의 마케팅을 종합 지원하는 사업으로서 지방기업의 해외전시회 참가, 시장개척단 파견 등 해외시장 개척 및 지역산업의 전시회 개최를 지원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과거 시·도별로 각기 다양한 산업육성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마케팅 지원사업이 개별 추진되어 사업간 유사·중복, 효과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드러남에 따라 2005년부터 지역산업마케팅 지원사업으로 통합하여 시행 중이다. 지역특성화산업 육성사업(생활기반계정)의 내역사업(2014년 기준) 지역특성화산업 육성사업(생활기반계정)의 내역사업(2014년 기준)표로 마케팅 관련 내역사업,非마케팅 내역사업의 정보를 제공한다. 마케팅 관련 내역사업 非마케팅 내역사업 지역산업 마케팅지원(15개 시도에서 시행) 해외 패션의류전시회 및 패션쇼 참가 지원 섬유산업 국내판로 개척 대구패션 페어개최 공동브랜드(쉬메릭) 육성 하이서울브랜드사업 지원 지역우수기업브랜드화 사업 구미디지털전자산업관 제천한방바이오 박람회 개최 패션산업 지원 서울인쇄산업 육성 지역중소기업디자인산업 육성 우수기업 성장동력화 주얼리산업활성화 기반 구축 친환경염색산업센터 건립 원부자재수급센터 건립 실크산업혁신센터 건립 거창승강기센터 건립 출처 : 기획재정부,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지침, 2014.5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 201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사업안내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1), 지역산업지원사업 공통운영 요령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역발전지원기관별 포털시스템(Factory On, COMIS, RITIS 등)", "생성배경": "지역발전위원회는 2009년부터 중앙부처, 지자체, 중간관리조직, 지역혁신기관 등에서 생성한 지역발전 관련 자료 및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접근ㆍ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지역발전포털(REDIS)1)을 운영하고 있다. REDIS는 각종 분야별로 개별 운영 중인 기관별 포털ㆍ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2) 지역발전 관련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제공하는 지역정보 내비게이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 작성 지역문화ㆍ관광 분야의 경우, 문화포털(공공문화정보통합관리시스템, 문화체육관광부)은 문화분야 유관기관, 지자체, 민간단체 등이 구축하고 있는 문화 소식, 공연전시 정보, 예술지식자료(1,700여건의 문화동영상) 등을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관광지식정보시스템(Tourgo,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국가관광정보화 추진전략계획」에 근거하여 지자체 등과 연계하여 관광통계, 관광자원, 관광지식, 관광법령, 관광GIS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국토 분야의 경우, 국토포털(Land Portal, 국토지리정보원)은 시ㆍ군ㆍ구별 인문지리정보를 통합 구축하여 디지털화한 국토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공간정보오픈플랫폼(Vworld, 국토교통부)은 시ㆍ도, 시ㆍ군ㆍ구, 읍ㆍ면ㆍ동 단위로 국가공간정보(지적정보, 건축물정보 등)를 2D\/3D 형태의 지도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기타 분야의 경우, 생활안전지도포털(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국민들이 생활주변 위험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안전정보(교통, 재난, 보건식품, 치안, 사고 등)를 지도상에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농산어촌지역개발공간정보시스템(RAISE,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농촌중심활성화, 창조적마을만들기 등 농산어촌 지역개발 사업의 공간정보를 지도상에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지역정보포털(OneClick, 한국지역진흥재단)은 전국 240여 개 기초지자체별 지역축제 행사, 문화행사, 향토문화행사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포털(REDIS) 홈페이지(www.redis.go.kr)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홈페이지(www.ntis.go.kr) 산업기술RD종합정보시스템(e-RD) 홈페이지(www.ernd.go.kr) 지역사업관리종합시스템(RITIS) 홈페이지(www.ritis.or.kr) 중소기업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SMTECH) 홈페이지(www.smtech.go.kr) 국가RD특허성과관리시스템(RIPIS) 홈페이지(www.rndip.or.kr) 장비활용종합포털(ZEUS) 홈페이지(www.zeus.go.kr) 산업기술개발장비플랫폼(e-Tube) 홈페이지(www.etube.re.kr) 지방투자정보시스템(COMIS) 홈페이지(www.comis.go.kr) 공장설립온라인지원시스템(FactoryOn) 홈페이지(www.femis.go.kr) 문화포털(공공문화정보통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www.culture.go.kr) 관광지식정보시스템(Tourgo) 홈페이지(www.tour.go.kr) 공간정보오픈플랫폼(Vworld) 홈페이지(www.vworld.kr) 국토포털(Land Portal) 홈페이지(www.land.go.kr) 생활안전지도포털 홈페이지(www.safemap.go.kr) 농산어촌지역개발 공간정보시스템(RAISE) 홈페이지(www.raise.go.kr) 지역정보포털(OneClick) 홈페이지(www.oneclick.or.kr) 1)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시행령 제13조 제5항에 의거하여, 지역발전위원회의 총괄 하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구축 및 운영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 2) 지역발전위원회는 정부 3.0 발전전략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 2013.6월에 개최된 지역발전정보협력컨퍼런스를 계기로 지역발전 관련 기관별 포털ㆍ정보시스템과의 상호 연계협력을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 작성자 :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지역문화지표", "생성배경": "우리나라의 지역문화정책은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문화예술활동의 지원, 문화예술진흥, 문화복지 등의 단계를 거쳐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단계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산업경제에서 지식경제를 거쳐 창조경제 시대로 진입하면서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소프트 콘텐츠의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체계적 자원개발 추진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의 대중적 활용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지역문화 개발˙육성˙발전 정책의 세분화와 전문화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문화 진흥정책 및 지역문화 사업수행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지역의 문화수준 진단 및 성과 평가, 나아가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기준 마련 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 "용어설명": "지역문화지표는 지역문화라는 추상적 개념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량적 준거를 의미한다. 즉 지역의 문화적 지향과 가치에 근거하여 각종 문화현황과 정책, 그리고 시민들의 문화수요의 흐름과 동향 등을 수리적(數理的)으로 판별하기 위한 항목의 체계적인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는 1983년 UNESCO의 권고에 따라 문화지표를 처음으로 도입한 이래 1995년 민간차원의 문화예술 활동도 포함한 문화지표를 도출하였다.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의 특징 제2차 지역발전 5개년계획의 특징표로 대분류,중분류,세부지표,자료출처의 정보를 제공한다. 대분류 중분류 세부지표 자료출처 지역문화 정책 정책수립 지역문화정책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유무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문화분야 발전을 위한 보고서 발행 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정책실행 기초자치단체 출현 지역문화진흥기관 설립 유무 재단진흥원연합회 제출자료 외부 문화전문인력 고용건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지역문화관련 조례제정 및 입안 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정책예산 기초자치단체 예산 대비 문화정책 예산 비율 각 기초자치단체 홈페이지 예산자료 인구 천 명 당 문화정책 예산 규모 각 기초자치단체 홈페이지 예산자료 지역문화 자원 문화유산 2012년 시도지정문화재 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2012년 등록문화재 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문화기반시설 작은도서관 수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인구 십만 명 당 문화기반시설 수 2012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면적 당 문화기반시설 수 2012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인구 천 명 당 서점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영화스크린수 영화진흥위원회 제출자료 2012 전국 극장 현황 대표 공연장 및 전시장 어린이시설 유무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대표 공연장 및 전시장 장애인좌석 유무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문화시설활용 대표 공연장 가동일 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대표 전시장 가동일 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문화자원 인구 천 명 당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지역축제 수 문화체육관광부 통계포털 일인 당 장서수 증가치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문화 관련 특성화지구 유무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일인 당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축제경비 문화체육관광부 통계포털 지역문화 활동 활동지원 문화원 총액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공모사업 총액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활동현황 전문예술법인 예술단체수 예술경영지원센터, 국내외 문화예술기관·단체 DB 일인당 도서대여수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문화예술프로그램수 증감률 안전행정부 2012 합동평가 활동인력 학예사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법정사서직원 확보율 안전행정부 2012 합동평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노동부 지정 공예분야 명인 수 한국산업인력공단 제출자료 문화재 관리 인력 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문화관광해설사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지역문화 향유 문화향유 문화향유를 위한 무료공연 진행 건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문화예술교육강좌 개설 및 운영 건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문화복지 문화이용권 예산대비 집행률 안전행정부 2012 합동평가 소외계층 대상 문화관련 프로그램 운영 건수 기초자치단체 제출자료 다문화지원센터 설립유무 여성가족부 다누리, 201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자료 4개 대분류 12개 중분류 37개 세부지표 2005년에는 문화환경 조응, 수용자 중심의 확보, 문화정책과의 연결, 국가통계 시스템과의 연계, 문화영역의 확장을 고려하여 새로운 문화지표를 도출하였다. 한편 2012년에 실시한 ‘지역문화 지표개발 및 시범적용’을 토대로 전문가 자문 및 검토를 통해 문화정책, 문화자원, 문화활동, 문화향유 등 4개의 대분류 이하 총 37개의 지역문화지표를 선정하였다. 해당 연구에서 전국 229개 기초자치단체(특별·광역시의 구와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도시 포함, 세종시(연기군 제외) 전체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실시했다. 시·군·구 통합 전체 지역문화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경기도 수원시였으며, 군 지역에서는 전라남도 강진군, 구 지역에서는 서울특별시 송파구가 지역문화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해외사례": "일본 이시가와 현 가나자와시의 경우 창조적 활동, 도시생활, 창조적 도시 인프라, 역사유산·도시환경·쾌적성, 균형 잡힌 경제적 기반, 시민활동, 공공행정 등 7개 영역으로 나누어 문화지표를 개발하였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경우는 문화발전을 위한 계획 수립 시 발전 가능성 제고를 위한 지표로서 문화영역(문화교육, 투자, 리더십), 문화자산(도시의 미적특징, 공간), 지역민의 참여정도와 성과(창의력, 연계성) 등 3개 측면을 활용하고 있다. 미국의 Americans for the Arts는 2012년 미국 내 모든 카운티(county)들의 문화예술생활의 폭, 깊이 그리고 특성에 대한 이해와 비교를 돕기 위해 예술 활동, 자원, 경쟁력, 그리고 지역의 문화 특징 등 4개 영역을 포함한 지역예술지표(Local Arts Index)를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문화관광체육부(2013), 지역문화지표 개발 및 시범 적용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2), 지역문화 정책 분석 및 발전 방안 아츠인덱스 홈페이지(www.artsindexusa.org) ", "작성자": "이봉구 교수(동의대학교) \n\n" }, { "정책용어": "지역문화재단", "생성배경": "1995년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중앙정부와 자치단체, 민간의 역할 분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문화분야는 1997년 경기문화재단을 시작으로 문화예술 영역을 전문기구에 위임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형태로서의 지역문화재단이 나타난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도시 간 경쟁에서 지역고유의 문화예술과 지역민의 문화향유 등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면서 지역특성에 맞는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주체로서 지역문화재단을 설립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역문화재단은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시장, 군수가 주체가 되는 비영리재단법인으로서 기본적으로 「민법」 제32조 및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제28조 제2항과 「지역문화진흥법」 제19조(지역문화재단 및 지역문화예술위원회 설립 등)에 의해 설립된다. 일반 민간 재단과 동일하게 「민법」상의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고 있으나 「지역문화진흥법」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하여 지역문화예술진흥 및 종합예술지원체계 구축 등 재단설립목적과 사업내용, 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 등을 규정함으로써 민\/관 협치에 의한 조직으로서의 위상과 성격을 분명히 하고 있다. 설립주체에 따라 광역문화재단과 기초문화재단으로 구분되며, 2014년 12월 현재 광역문화재단 13개, 기초문화재단 50개 등 총 63개의 지역문화재단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2015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문화체육관광부, 2015 충북문화재단중장기발전방안, 충북문화재단, 2014 지역문화재단의 운영성과 분석 및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1 ", "작성자": "김효정(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대표) \n\n" }, { "정책용어": "지역낙후도", "생성배경": "지역 간의 격차는 어느 정도 불가피하고 오히려 자연스러운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지역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허용 가능한 지역 간 격차의 수준 또는 낙후도 정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정책의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지역개발 또는 지역낙후 정도에 대한 객관적 판단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역낙후 정도에 대한 최소한 수긍할 수 있는 객관적인 판단기준이 존재해야만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집행 대상 지역(target area)을 설정하고, 정책 집행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정책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2004년에 제정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하 「균특법」)에서는 다양한 낙후지역 선정기준을 마련하여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법 제2조제5호에 따라 오지, 도서지역, 접경지역, 개발촉진지구 등을 낙후지역으로 규정하였고, 행정자치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연평균 인구감소율, 재정상황, 소득수준 등의 지표를 종합평가하여 생활환경이 열악하고 개발수준이 현저하게 저조한 낙후지역을 신활력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원하였다. 이후 2009년 「균특법」 개정을 통해 성장촉진지역과 특수상황지역(접경지역, 도서지역)을 낙후지역1)으로 규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공공투자사업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설정에 있어서도 지역낙후도를 중요한 기준의 하나로 채택하고 있다. 1999년부터 대규모 사업2)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사업의 경제성ㆍ타당성뿐만 아니라 정책적 타당성 측면에서 지역낙후도를 반영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역낙후도는 법적 용어정의가 없지만, 통상적으로 타 지역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주민의 생활환경이 열악하고 소득수준이 낮아 인구가 감소하면서, 문화ㆍ경제ㆍSOC 등의 개발수준이 현저하게 낮은 정도를 의미한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낙후지역을 선정하여 지원하거나 현재의 낙후 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낙후도지수를 산정하게 된다. 여기서 ‘지역’이란 국가라는 공간의 하위 단위로서 통상적으로 어떤 공통적 또는 상호보완적 특성(예: 역사성, 문화성 등)을 기준으로 지리적으로 연속된 공간범위를 지칭한다. 하지만 지역정책이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그 대상 범위가 설정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낙후지역개발정책의 경우 시ㆍ도 또는 시ㆍ군을 기준으로 지역을 구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편, ‘낙후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적인 관점에서 지역 간의 격차 정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격차의 원인은 크게 생산요소의 차이와 생산기술의 차이에 있다. 생산요소의 차이는 주로 부존자원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역에 따라 인구, 자본, 자연자원, 지리적 접근성 등 생산에 투입되는 요소의 양과 질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생산기술의 차이란 지역별로 생산요소를 결합하는 방식의 차이로, 혁신의 발생과 파급 정도, 공간적 집적의 정도에 따라 동일한 생산요소를 투입한다 하더라도 생산량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낙후지역은 생산요소가 원래 부족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생산요소가 경제적 효율성을 따라 성장지역으로 유출됨으로써 지역간 격차가 발생하는, 즉 낙후도가 확대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개발연구원(200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분석 방안 연구 한국개발연구원(2012), 지역낙후도지수 및 순위 적용에 대한 기준연도 변경 한국개발연구원(2008), 지역개발정책의 방향과 전략 한국개발연구원(20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ㆍ보완 연구(5판) 정책분석평가학회(2005), 지역간 낙후도 연구 행정자치부(2004), 낙후지역 선정지표 개발 기획재정부(2008), 균형발전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1) 광특회계 지역개발계정으로 분류하여 시군구 단위의 자율편성이 가능한 포괄보조금을 지원하였음. 2) ①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면서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건설(SOC)사업, 정보화사업, 국가연구개발사업, ② 중기재정지출이 500억 원 이상인 사회복지, 보건, 교육, 노동, 문화 및 관광, 환경 보호, 농림해양수산, 산업ㆍ중소기업 분야의 재정사업 3) 지표별 가중치(%) : ① 인구증가율(8.9), ② 제조업 종사자 비율(13.1), ③ 도로율(11.7), ④ 승용차 등록대수(12.4), ⑤ 인구당 의사수(6.3), ⑥ 노령화 지수(4.4), ⑦ 재정자립도(29.1), ⑧ 도시적 토지이용비율(14.2)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역R&D", "생성배경": "지역RD(또는 지방RD)는 2000년대 초반 지역발전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지역산업정책과 지역과학기술정책의 양 부문에서 각기 상이한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지역산업정책에서 지역RD는 지역산업의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수단으로써 「국가균형발전특별법」과 지역발전특별회계(舊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에 근거하여 (국가적 차원의 산업정책 추진을 위한 국가RD와 차별화하여) 지역발전정책의 일환으로 17개 시·도 지자체 주도로 추진 중인 국가RD 사업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지역과학기술정책에서는 국가RD 투자가 수도권과 대전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수도권의 경제력 집중을 가속화하고, 지방의 RD투자가 부족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인력과 인프라의 효율적 활용을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지방RD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과학기술기본법」(제8조)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지방과학기술종합계획(1차 2000년~2004년, 2차 2005년~2007년, 3차 2008년~2012년, 4차 2013년~2017년)과 연도별 시행계획을 토대로 지방의 RD 투자 확대를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면서 ‘대전지역을 제외한 비수도권’의 공간에서 추진되는 (지역발전특별회계 뿐만 아니라 일반회계에 근거한) RD를 지방RD로 구분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역RD는 지역발전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세부 정책 분야 또는 정책 수단으로서 국가RD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국가RD가 국가정책에 의거하여 중앙정부의 주도로 RD 과제를 기획·집행하는 반면에, 지역RD는 지역정책의 목표 실현을 위해 RD 과제의 기획이 지역(지자체, 지역혁신기관 등)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최소한 지역의 요구사항이 반영되는 상향식(bottom-up) 기획으로 전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RD가 집행되는 공간적 범위보다는 추진 방식, 즉 지역이 RD 기획에 관여 또는 참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국가RD와 지역RD를 구분하는 중요한 잣대이다. 이처럼 지역RD는 수혜 대상이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비에 대응하는 지방비의 매칭이 수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5), 2015년 지역발전사업 평가결과(내부자료) 정종석(2012), 지역 RD 개편방향, 산업연구원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역특화산업", "생성배경": "IMF 사태 이후 고사위기에 놓인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하여 시·도별 지역실정에 맞는 산업육성을 지자체 주도로 시작한 것이 지역특화산업 개념의 생성배경이다. 정부의 지역산업정책과 관련하여 2003년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 및 지역혁신발전 5개년 계획에서 자립형 지방화의 핵심과제로 지역혁신특성화사업을 선정하면서 ‘지역연고산업’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2009년에는 ‘지역연고산업진흥사업’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으로, 연고산업인 경우 2015년부터는 풀뿌리기업육성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용어설명": "2003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지역연고산업을 각 지역의 자연자원, 역사 및 문화자원, 축적된 기술 및 숙련 등 지역특화자원을 활용하는 산업으로서, 시장 규모가 작아 시·도의 주력성장 견인산업이 될 수는 없으나, 고용 및 소득 창출, 정주체계 안정 및 지역사회의 활력증진을 위해 육성이 필요한 산업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지역특화산업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전략산업이 13개 광역시·도 단위로 추진되는 반면에 특화산업은 기초지자체 단위로 선정되어 지역 내 특화자원의 발굴 및 산업화 지원이 주요 목표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특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정부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및 「산업기술혁신촉진법」에 근거하여 지역발전의 핵심주체인 산·학·연이 중심이 되어 하드웨어(지역혁신센터, 지자체연구소)와 소프트웨어(RD, 인력양성, 네트워킹, 마케팅)를 연계·지원함으로써 지역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자립형 지방화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2015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풀뿌리기업육성사업은 세종시를 포함한 14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과제에서 RD 및 비RD를 동시에 수행하는 사업체계로 변경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1), 2011년 지역산업지원사업 안내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2), 지역발전위원회 발표자료(지역연고산업육성) 산업통상자원부(2011), 2011년 지역산업진흥계획 ", "작성자": "최재홍 교수(경북대학교) " }, { "정책용어":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공장)", "생성배경": "중소기업진흥공단1)이 1989년 인천 주안에 지식산업센터를 처음 설립한 이후, 지식산업센터는 수도권 중소 제조업체의 입지확보를 위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5년 ‘아파트형공장 자금지원제도 개선방안’을 통해 민간건설업체에 대한 자금지원과 세금감면 등 정책적 지원이 시행되고, 1996년 공공기관으로 한정되어 있던 공급주체를 민간업체로 확대한 이후 서울, 인천, 성남, 부천 등 수도권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민간주도의 지식산업센터 설립이 급속히 확대되었다. 한편, 2003년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이하 산집법)」 개정으로 기존 제조업의 생산시설 외 연구개발업, 지식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과 지원기능이 집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원시설의 경우도 물류, 금융, 보험, 교육, 의료, 무역, 판매(입주업체가 자가 생산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만 허용), 문화, 복지(어린이집·기숙사) 관련 시설까지 입주할 수 있게 되었다. 지식산업센터는 공업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도시의 토지이용을 고도화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입지 형태로서, 현대화된 시설을 통해 입주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도심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공장의 집단화와 미관 개선을 통해 주거환경 훼손과 도시기능 저해를 방지함으로써 도시환경의 개선은 물론 무등록 공장의 합법화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 ", "용어설명": "지식산업센터는 「산집법」 제2조제13호의 규정에 따라 동일 건축물에 제조업,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을 영위하는 자와 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집합건축물을 말한다. 여기서 집합건축물이라 함은 동법 시행령 제4조의6에 따라 ①지상 3층 이상이고, ②6개 이상의 공장이 입주할 수 있고, ③지상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건축면적의 300% 이상인 경우로 규정하고 있다. 1991년 「공업배치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2003년 「산집법」으로 개정)에 관련 규정이 처음 마련된 이후 오랜 기간 아파트형공장이란 명칭이 사용되었으나,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에 속하는 사업체의 입주가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2010년「산집법」개정을 통해 현재의 지식산업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연구원(2014), 저소득층 밀집지구 지식산업센터 건립 추진 타당성, 용역보고서 산업연구원(2011), 지식산업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지역경제 한국지역개발학회(2013), 비수도권 지식산업센터 입주업체의 연계효과에 관한 연구 1)1999년까지 전국에 12개의 지식산업센터(총 259,403㎡ 규모)를 공급하였음. 2)연구개발업, 과학기술서비스업, 광고업, 영화·방송프로그램 제작업, 출판업, 디자인업, 포장 및 충전업, 교육서비스업, 경영컨설팅업, 번역·통역서비스업, 전시·행사대행업 등 3)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관리업, S\/W개발·공급업, 자료처리서비스업,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 전기통신업 등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생성배경": "참여정부는 2004년 수도권의 과밀화 방지를 위한 사업장 신·증설 제한, 공장총량제 등 네거티브 방식의 입지규제가 오히려 수도권의 난개발을 초래함에 따라 수도권 기능 분산 및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지방 투자촉진을 위한 지원 제도로서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도입하였다. 보조금이 처음 도입된 2004년에는 입지, 투자, 고용, 교육훈련 등 네 가지 종류의 보조금으로 운영하였으며, 2008년까지는 주로 보조금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기업의 지방투자를 적극 유도하여 지역경제의 활력을 제고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매년 보조금 제도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2009년 개정에서는 입지보조금을 부지구입비의 70%(기존 50%)로 확대하고, 일반지역의 국비지원 비율을 70%(기존 50%)로 확대하는 등 지원범위와 국비지원 비율을 대폭 확대하였다. 2010년 개정에서는 지방자치단체당 보조금 지원예산의 최고 한도를 15%로 설정하여 특정 지역에 보조금 지원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2011년 개정에서는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외에도 신·증설 투자 지방기업을 지원 대상에 포함시켜 보조금의 특정 지역 편중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2012년 개정에서는 보조금 지원 대상 기업과 지원규모 결정 시 투자규모뿐만 아니라 고용창출 규모를 고려하는 근거를 마련하였고, 중견기업과 해외진출 국내복귀(U턴)기업을 지원 대상에 포함시켰다. 2013년 개정에서는 지역의 대규모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사·동종업종이나 협력업체 등으로 이루어진 투자기업群과 대기업의 지방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편하였다. 2014년 개정에서는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큰 설비투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지방 신·증설투자 지원 대상 업종을 확대하는 등 보조금 지원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편하였다. 이상과 같은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제도는 최근 6년간(2009~2014년) 539개 기업에 6,051억 원을 지원하여, 9조 1,547억 원의 투자와 23,902명의 고용 창출을 유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용어설명":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은 지역발전특별회계(경제발전계정)를 토대로 지방자치단체(시·도)가 유치한 지방투자기업(2004년 수도권 소재 지방이전 기업 → (확대) 2011년 지방 신·증설 투자기업 → (확대) 2012년 해외진출 국내복귀(U턴)기업) → (확대) 2014년 개성공업지구 입주기업의 백업라인 구축 등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11조, 제19조)과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지방자치단체의 지방투자기업 유치에 대한 국가의 재정자금 지원기준, 2014년 1월 29일 11차 개정)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2015). 보도자료(산업부, 지난해 지방투자 기업에 1,042억 원 지원-지방투자촉진보조금, 이렇게 활용한다) 산업통상자원부(2013), 지역산업정책백서 COMIS(지방투자정보시스템) 홈페이지(www.comis.go.kr) 박재곤(2010), 지역투자보조금의 개편방향과 세부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방재정 위기관리 제도", "생성배경": "우리나라 지방재정은 전체적으로 재원이 부족한 상황이며,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무리한 사업 추진으로 불건전한 재정운영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경기침체의 지속, 세입 감소, 사회복지비의 증가와 함께, 지자체의 투자사업 부실우려 발생, 지방공기업을 포함한 부채 증가 등으로 재정 위기가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은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사전 예방 및 사후 관리적 측면에서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기준은 없으나, 재정압박정도 및 회생방식에 따라 재정압박(fiscal distress), 재정위기(fiscal crisis), 재정파산(fiscal bankruptcy)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방재정위기(fiscal crisis)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각 국가별로는 행ㆍ재정 여건 및 제도목적에 따라 상이한 개념을 활용하고 있는데, 파산상태, 재정압박상태, 재정 자율성 저하 상태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재정재생단체, 조기건전화대상 단체로, 미국에서는 파산, 위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 유사용어로는 모라토리엄(채무지불유예), 파산, 청산, 법정관리(워크아웃) 등이 있다. 재정압박정도 및 회생방식에 따른 분류 재정압박(fiscal distress) : 재원부족으로 행정서비스 공급기능이 취약한 상태이나 자구노력으로 극복 가능한 수준 재정위기(fiscal crisis)는 재정압박이 지속되어 재정책임(임금지불, 채무상환 등) 의무이행의 애로가 발생한 상태로서 강력한 자구노력과 외부지원 요구 재정파산(fiscal bankruptcy) : 채무상환 이행능력을 상실하여 자치단체 자력으로 재정건전성을 회복할 수 없는 상태 ", "현재 용어의 사용": "재정위기는, 재원부족과 불건전한 재정운영 등의 2가지 측면에서 발생하는데, 이 두 가지가 동시에 발생하는 지방자치단체는 더욱 악화되어 심각한 재정위기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행정자치부가 ’11년 9월 6일 지방재정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재정위기단체의 지정기준 및 절차 등(제65조의 2), 재정건전화계획의 제출시기 등(제65조의 3), 재정투자사업 예산편성 제한(제65조의 4)의 규정을 신설, 실질적인 재정위기관리제도인 ‘재정위기사전경보시스템’을 도입하여 2012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재정위기단체 지정절차는 4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면 그 절차 및 내용은 아래와 같다. 재정위기단체는 조속한 건전화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는데(지방재정법 제55조의 3~제55조의 4), ‘위기단체지정 및 건전화계획’을 주민에게 연2회 공개, 재정건전화계획(위기관리위원회 심의, 지방의회 의결) 제출과, 지방채 발행이나 신규투자사업 추진에 있어서 재정운용상 제한을 받게 된다. (1단계) 7개 재정지표 분기별 모니터링(행자부) 7개 재정지표 분기별 모니터링표로 관점,재정지표,산정방식,주의 기준,심각(위기) 기준의 정보를 제공한다. 관점 재정지표 산정방식 주의 기준 심각(위기) 기준 재정 수지 ① 통합재정수지적자비율 세입 - 지출및순융자──────────통합재정규모 25%초과 30%초과 채무 관리 ② 예산대비채무비율 지방채무 잔액─────────총예산 25%초과 40%초과 ③ 채무상환비 비율 지방채무 상환액────────일반재원 12%초과 17%초과 세입 관리 ④ 지방세 징수액현황 당해연도 월별 누적 징수액────────────최근 3년 평균 월별징수액 50%미만 0%미만 자금 관리 ⑤ 금고잔액 현황 당해연도 분기말 잔고────────────최근 3년 평균 분기말 잔고 20%미만 10%미만 공기업 ⑥ 공기업 부채비율 부채──────순자산 400%초과 600%초과 ⑦ 개별공기업 부채비율 (2단계) 재정건전성 심층진단(지방재정위기관리위원회 소위원회) 세입전망, 가용재원규모, 채무상환능력, 공기업부채 등 분석 (3단계) 자치단체 재정위험등급 심의(지방재정위기관리위원회*) 지자체의 의견청취 및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재정위험의 심각성 여부를 판단하여 등급 지정 여부 심의 * 2차관(위원장), 행자부ㆍ기재부ㆍ국조실 1급, 민간전문가 (4단계) 재정위기단체 지정ㆍ통보(행자부장관), 단체의 조치사항 이행 ", "해외사례": "해외의 유사제도에 따른 사례로는 미국의 연방파산법(Federal Bankruptcy Act)법에 의한 캘리포니아 오렌지카운티(’94), 미시건주 디트로이트시(’14)와, 미국의 주법에 의한 첼시시(’91), 뉴욕시(’75, 90년대 초), 워싱턴(’95)의 사례가 있다. 일본에서는 (구) 지방재정재건법의 신청주의 및 자율재건에서 재정건전화법으로 전환하여 지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조기건전화대상단체, 재정재생단체로 지정하는 등 한 단계 강화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사례로는 일본 유바리시(’09)가 있다. ", "참고자료문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지방재정위기관리제도 개선방안 (서정섭 외 3인) 신두섭, 2014. 일본의 지방재정위기관리 제도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내부 토론자료) 남황우, 2007. 일본의 지방재정건전화법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연구, 서울시립대 박완규, 2009. 지방재정 건전성 관련 법령ㆍ제도 및 일본사례로부터의 시사점, 지방재정과 지방세, 20호, 한국지방재정공제회 행정자치부, 2014. 지방재정위기관리 제도(보고자료) ", "작성자": "신두섭 수석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방소비세 제도", "생성배경": "의존재원과 재산과세 중심의 지방재정 구조로 인해 재정자립도의 지속적 하락, 지역경제와 지방세의 연계 부족 등이 초래되면서 지방재정의 구조적 취약성 보완을 위한 자주재원 확충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내국세의 감소, 종합부동산세제의 정상화에 따른 지방교부세 감소(부동산 교부세 규모, ‘08년 2.9조 원, ‘09년 1.5조 원, ‘10년 1.0조 원) 등 지방재정 여건 악화로 인한 지방재정 확충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상생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틀 마련이 요구되었으며, 2010년부터 도입되었다. ", "용어설명": "지방소비세는 지방재정의 자주재원 확충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따른 세원확충 효과가 자치단체 세입으로 이어지게 하기 위해 국세인 부가가치세의 11%(기존 5%→11% 인상, ‘13.12.26 개정)를 지방세로 전환한 것이다. 이것은 광역세인 시˙도세의 성격을 가지며, 교육재정 자연감소분은 교부금 교부율 인상(20%→20.27%)으로 보전하게 된다. 지방소비세의 배분은 각 시˙도의 민간 최종 소비지출액 비율에 따라 배분하게 되며 재정 격차 완화를 위해 지역별 가중치를 적용하게 되는데 지역별로 수도권 100%, 비수도권 광역시 200%, 기타 300%의 가중치를 두게 된다. 도의 지방소비세액=지방소비세 총액 ×〔(해당도의 소비지수×가중치)\/각도의 소비지수에 가중치 곱한 값의 전국 합계액〕 ", "현재 용어의 사용": "지방세법 제6장에서는 지방소비세의 과세대상을 부가가치세법 제4조를 준용하게 하고 있으며, 납세지원칙을 준용하고 있다. 지방소비세액의 세액은 부가가치세법의 과세표준에 100분의 11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으로 하고 있다. 지방소비세와 관련하여 지방세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항 등에 관해서는 부가가치세법을 대부분 준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지방세관련 통계 지방세 성질별 비중 (단위 : %) 지방세 성질별 비중표로 구분,2007,2008,2009,2010,2011,2012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소득과세 15.8 15.4 16.2 16.6 17.2 17.3 소비과세 17.0 17.9 16.7 20.4 19.9 19.0 재산과세 47.6 46.7 46.6 45.0 46.0 47.0 기타과세 19.6 20.0 20.5 18.1 16.9 18.1 * 2006~2010년 결산 기준, 2011~2012년 예산 기준 출처 : 행정자치부(2012) OECD 국가 지방세 성질별 비중(‘08년) (단위 : %) OECD 국가 지방세 성질별 비중표로 구분,연방제국가,단일국가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연방제국가 단일국가 미국 독일 평균 영국 프랑스 일본 평균 주정부 지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소득과세 41.7 5.4 52.2 - 42.6 9.1 - - 55.2 39.9 소비과세 56.0 23.2 42.7 37.2 46.7 20.6 - 20.2 17.2 19.8 재산과세 2.3 71.4 5.1 72.3 6.5 69.4 100.0 50.5 26.7 35.8 기타과세 - - - 0.6 4.3 0.9 - 29.3 0.9 4.5 * OECD, Revenue Statistics(2010), 연방제 8개국, 단일 24개국 출처 : 행정자치부(2012) 자치단체 수입 중 지방세 비중 (단위 : %) 자치단체 수입 중 지방세 비중표로 구분,2010,2011,2012,2013,2014,2015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지방세 30.1 30.4 29.3 27.4 32.2 34.3 * 2013년까지는 결산액, 2014년은 최종예산액, 2015년은 당초예산액 기준 출처 : 행정자치부(2015) ", "해외사례": "우리나라와 유사한 조세제도를 취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보통세 중 간접세의 일종으로 분류하여 과세하고 있다. 세법상 국세인 소비세와 지방소비세를 총칭하여 ‘소비세 등’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소비세 4%와 지방소비세 1%가 부과된다. 일본의 소비세 인상 과정 및 향후 계획 (단위 : %) 일본의 소비세 인상 과정 및 향후 계획표로 구분,~ 2014년 3월 31일,2014년 4월 1일,2015년 10월 1일~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 2014년 3월 31일 2014년 4월 1일 2015년 10월 1일~ 소비세율 4.0 6.3 7.8 지방소비세율 1.0(소비세액의 25\/100) 1.7 2.2 합계 5.0 8.0 10.0 출처 : 일본 국세청(2013)(www.nata.go.jp) 일본에서도 지방소비세를 2단계로 나누어 2014년도에 소비세 6.3%, 지방소비세 1.7% 등 합계 8%의 인상을 하였으며. 2015년도 10월 1일부터 소비세 7.8%, 지방소비세 2.2%의 합계 10%의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신두섭(2012), 지방소비세 개선 과제, 지역발전위원회 토론회 자료 행정자치부(2012), 지방소비세˙소득세 확대발전방안 행정자치부(2015), 2015년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개요 국가법령정보센터, 「지방세법」 일본 국세청 홈페이지(www.nta.go.jp) ", "작성자": "신두섭 수석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 { "정책용어": "지방대학특성화", "생성배경": "비수도권에 위치한 고등교육법상의 학교(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등)인 지방대학은 경제·사회·문화·복지 인프라 및 인구의 수도권 집중과 2018학년도부터 대학입학정원이 고교졸업자 수를 초과하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학생모집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다시 지방대학과 지역의 발전에 악영향을 미쳐 국가차원의 균형발전을 저해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지방대학특성화를 통한 육성방안이 마련되었다. ", "용어설명": "대학의 특성화란 대학이 자체적으로 수립한 발전계획에 따라 경쟁력 있는 분야와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집중 육성하여 대학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대학 시스템을 개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대학특성화란 개별 대학특성, 비교우위 및 지역 여건에 맞는 특성화 분야(학과, 학부, 프로그램 등)를 육성, 교육·연구기자재 및 실험실습 장비 등 기반조성, 제도개선,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장학금 지원 등을 통하여 대학 특성화를 견인하고, 지역 창의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는 2014년부터 대학의 강점분야, 지역의 산업 수요 등을 반영한 지방대학의 특성화 분야를 집중 지원하여 수도권 대학과 경쟁할 수 있도록 지방대학을 육성하고 있으며, 또한 대학이 자율적인 구조조정과 연계하여 대학별 특성화 분야를 설계하여 발전시킴으로써 대학 경쟁력 제고 및 대학별 특색 있는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국정과제로 ‘지방대학 지원확대’를 선정하여(2013년 2월), 지역과 함께 창조경제를 견인하고 창의적 인재양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5년 동안(2014년~2018년) 1조 원 이상을 투자하는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시행계획’을 발표하였으며(2014년 2월), 2014년에는 사업비 1,945억 원 규모로 80개 지방대학 265개 사업단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는 지역사회의 수요와 특성을 고려하여 지방대학을 지역 창조경제 조성의 주인공으로 육성하는 동시에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한 정원 감축 및 사회적 변화를 수용한 학사 구조 개편 등 대학의 체질개선을 기대하는 것이다. 권역별, 유형별 선정 현황 권역별, 유형별 선정 현황표로 유형\/권역,대학자율(Ⅰ)(대학 자율성),국가지원(Ⅱ)(학문균형 발전),지역전략(Ⅲ)(지역 동반성장),계의 정보를 제공한다. 유형\/권역 대학자율(Ⅰ)(대학 자율성) 국가지원(Ⅱ)(학문균형 발전) 지역전략(Ⅲ)(지역 동반성장) 계 수도권 대학 서울권 6 6 - 12 경기·인천권 4 5 - 9 지방 대학 충청권 8 12 1 21 대경·강원권 5 10 1 16 호남·제주권 6 7 1 14 동남권 7 9 1 17 2016년 대학 특성화 사업 재선정결과 발표 (교육부, 2016) ", "해외사례": "일본 이시카와현에 위치한 가나자와공업대학은 전교생이 7,000명이 넘지 않는 4년제 특성화 지방사립대로서 잘 가르치는 대학으로 정평이 나 있다. 공학교육기초센터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고, 모르는 것은 언제든지 개인교습을 받을 수 있는 수리공교육연구센터를 운영한다. 2010년 기준 일본 대학랭킹 공학교육부문 1위, 종합 2위, 취업률 99%를 달성하는 놀라운 성과를 달성하였다.(www.kanazawa-it.ac.jp) ", "참고자료문헌": "교육부(2014),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시행계획 최상덕 외(2008),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특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병주 외(2010),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을 통한 대학특성화 실태 분석, 교육재정 경제연구 제19권 제4호 오영재 외(2003), 지방 사립대학의 특성화 전략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1권 제1호 교육부(2016), 보도자료, 2016년 대학 특성화 사업 재선정평가[신규포함] 최종 결과 발표 ", "작성자": "이희정 교수(한양대학교) \n\n" }, { "정책용어": "지방과학연구단지", "생성배경": "지방과학연구단지육성사업은 지역에 연구개발거점을 조성해 지역 과학기술혁신과 지역발전을 선도한다는 목표로 2004년 참여정부 때 시작했다.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를 근거로 지역에 과학연구단지를 지정해 산·학·연 협력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정부는 과학연구단지에 입주한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 등에 대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민간기술개발 지원, 과학기술인 상호교류, 과학기술 국제화 촉진, 과학기술인력 양성, 과학기술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정보의 관리·유통체제 구축, 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고도화 등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 "용어설명": "과학연구단지는 산·학·연 협동을 바탕으로 연구개발 능력을 극대화하고 지역간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과학연구단지는 처음에는 연구기능과 교육기능이 강조되어 왔지만 점차적으로 생산기능도 포괄한 종합적인 과학기술집적지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지방과학연구단지라 함은 정부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광역시·도 지자체의 산업계·학계·연구계가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 협력하여 효율을 높이고, 국내외 첨단 벤처기업을 유치하거나 육성하기 위하여 조성한 단지를 말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 「과학기술기본법 및 과학기술기본법시행령 전국과학연구단지협의회 홈페이지(www.koreasp.or.kr)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n" }, { "정책용어": "지방공기업", "생성배경": "지방자치단체는 공익적 차원에서 스스로의 조직과 재원으로 주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공공사업이더라도 사업의 성질에 따라서 경제성을 중시해 왔다. 기업채산원리에 따라 운영하고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을 현행법에서는 지방공기업으로 규정하여 자치단체로부터 독립시켰으며 경영, 재무, 노동관계에 대해 지방자치법과는 다른 부분으로 인정하고 있다. ", "용어설명": "지방공기업이란 지자체가 주민의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직·간접으로 경영하는 사업 중 「지방공기업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을 말한다. 「지방공기업법」에서는 지방공기업을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기업을 설치·운영(행정조직형태)하거나, 법인을 설립(지방공사·공단, 민관공동출자법인)하여 경영하는 기업”으로 규정함으로써 상하수도, 공영개발 등과 같은 직접경영방식(지방직영기업)과 도시개발공사, 시설관리공단 등과 같은 간접경영방식(지방공사·공단)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전에 자치단체 출자가 50% 미만인 지방출자·출연법인(제3색터)이 지방공기업의 유형에 포함되었으나 2014년「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따로 관리하고 있다. 지방공기업의 특징 지방공기업의 특징표로 구분,특징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특징 설립주체 지방자치단체 사업영역 주민의 복리증진을 위한 공익사업으로서 수익성이 있는 사업 경영원칙 공익성과 수익성의 조화, 독립채산 원칙 예산회계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복식부기 예산관리 및 회계 운영 재원조달 수익자부담원칙 관리책임 직영기업 : 관리자 지정, 지방공사ㆍ공단 : 사장(이사장)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강재규(2011), “방공기업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비교공법학회 특별학술대회 논문. 안전행정부(2014), 2014년 지방공기업 정책방향. www.cleaneye.go.kr 지방공기업경영정보공개시스템(2015). www.erc.re.kr 지방공기업평가원(2015). ", "작성자": "김선기(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원장) \n\n" }, { "정책용어": "주민직접참여제도", "생성배경": "주민직접참여제도는 ‘주민’이 지방자치의 주체이자 객체인 형태로 지방의 자치권을 가지고 공공문제에 직접 참여하여, 정책에 대해 직접적으로 주권을 행사하는 방식이다. 민주정치의 이상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주민이 주도권을 갖는 직접참여제도는 스위스와 미국에서 일정 수 이상의 주민이 국가 또는 지방정부에 조례의 제정이나 개정, 폐지를 요구할 수 있는 제도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2년 이후 지방자치가 출범함에 따라 주민직접참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과거 자문위원회, 도시계획위원회 등과 같이 수동적이고 간접적인 참여방식에서 주민의 직접적인 참여방식으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지방자치의 제도적 성숙기로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 "용어설명": "주민직접참여제도는 지역 주민들이 주민투표, 주민소환, 주민소송, 주민발의, 주민감사청구, 주민참여예산제도 등 자치법규 등에 규정된 직접 참여제도를 통해 정책 결정이나 집행 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민직접 참여제도 종류 주민직접 참여제도 종류표로 참여제도,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참여제도 내용 조례제정·개폐청구 지방자치법: ‘99년 8월 관련 규정 제정 일정 주민 수 이상의 연서(連書)로 당해 자치단체장에게 조례 제정이나 개정, 폐지를 청구 할 수 있는 제도 주민감사 청구 지방자치법: ‘99년 8월 관련 규정 제정 지자체의 사무처리가 법령에 위반되거나 공익을 현저히 해친다고 인정될 경우 청구하는 제도 주민투표 지방자치법: '94년 3월 관련 규정 제정 주민투표법: '04년 1월 관련 규정 제정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결정사항에 대해서 주민투표를 통해 주민이 직접 결정하는 제도 주민소송 지방자치법: ‘05년 1월 관련 규정 추가 지방자치단체의 위법한 재무회계 행위에 대하여 지역주민이 자기의 권리나 이익에 관계없이 그 시정을 법원에 청구하는 제도 주민참여 예산제도 지방재정법: ‘05년 8월 관련 규정 추가 지역주민들이 예산편성과정에 참여하여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제도 주민소환 지방자치법: ‘06년 5월 관련 규정 제정 주민소환에 관한법률: ‘07년 5월 법률 제정 선출직 지방공직자에 대하여 소환투표를 실시하여 임기종료 전에 해직 시키는 제도 출처 : 한국정책학회(2015) 주민참여제도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연구 조례 제정 및 개폐청구제도는 지방자치법 제15조 제1항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19세 이상 주민의 연서로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제도가 시행된 이후 2003년부터 급증하였는데 이 중 약 68%가 학교급식지원 조례안으로 나타났다. 주민감사청구제도는 시˙도나 시˙군˙구에서 처리한 일이 법에 위반되거나 공익을 해한다고 인정되는 경우, 일정 수 이상의 주민이 뜻을 모아 상급기관에 감사를 요청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1999년 8월 31일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도입되었음에도 청구요건, 절차의 엄격성, 감사결과의 불신, 청구대상의 제한, 서명수집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제 운영은 미흡한 편이다. 2000년 3월 제도 시행 후 2005년 지방자치법을 개정하여 청구요건을 완화한 후 청구건수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투표제도는 「지방자치법」에 근거 조항을 두고 2004년 1월 29일 「주민투표법」이 공포되어 2004년 7월 30일에 시행된 제도이다. 주민투표제는 「지방자치법」 제14조에 그 법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투표대상 및 절차 등 세부적 요건은 「주민투표법」에서 규정되었다. 주요 특징으로는 주민 투표 전에 의회가 청문회를 통해 제안 측 주장을 수용하고,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공청회 개최가 가능하다. 최초의 주민투표는 2005년 7월 실시된 제주도 행정구조 개편 주민투표로써 단일 광역자치안이 채택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주민소송제도는 영국의 시민소송인 ‘납세자소송’에서 출발하여, 미국 각주로 전파된 제도로써, 일본도 1948년 미국의 납세자소송을 그 도입모델로 받아들였다. 국내에서는 1962년 舊 「지방자치법」에서 도입되었으나 미활용으로 폐지되었다가 2004년 「지방분권특별법」상에 주민참여 확대와 관련된 조항이 마련됨에 따라, 2005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되고 2006년 시행되는 과정에서 부활하게 되었다. 최초로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제기되었는데, 그 사유는 탄천변 도로의 일부 구간을 사용할 수 없게 됨에 따른 예산의 낭비였으나, 2011년 12월에 기각처리 되었다. 처리주민소송은 복잡한 소송과정, 장시간 소요, 주민의 참여 저조 등으로 인해 활용실적이 저조하다. 주민참여예산제도는 2011년 3월에 개정된 지방재정법개정과 지방재정법 시행령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의장은 지방예산 편성과정에 주민이 참여하는 절차를 마련해야 하는 사항이 의무사항이 되었다. 이 경우 예산 편성과정에 참여한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수렴된 의견이 지방의회의 예산안에 첨부되어야 한다. 주민소환제도는 지방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등 선출직이나 임명과정에 지방의회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공무원을 해직하도록 주민이 결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지방자치법」 제20조 주민소환에 근거하며 관련 절차 및 효력에 대해서는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하고 있다. 최초의 주민소환은 2007년 9월에 시행하였으며 경기도 하남시의회 2명이 의원직을 상실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주민직접 참여제도(지방자치법) 과정 주민직접 참여제도(지방자치법) 과정표로 구분,청구대상,청구자,제한대상,심사등,발의,청구후,확정,결과통지등,이의·불복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청구대상 청구자 제한대상 심사등 발의 청구후 확정 결과통지등 이의·불복 주민조례 제·개폐 청구 *법령위반, 지방세부과, 행정기구·공공시설 설치 등 제외 19세이상주민(조례로 규정) *시도, 50만이상 대도시 : 1\/100, 1\/70 *시군구 : 1\/50~1\/20 범위내 서명 선거기간중 서명요청금지 (공선법§33) 지자체장(조례규칙 심의회) - 지방의회부의(수리후 60일내) *부의결과를 청구대표자에게 통지 *이후 지방의회의 의결 절차에 따름 - - - 주민감사청구 지자체 및 장의 권한사무가 법령 위반, 공익을 저해할 경우 19세이상주민 *시도 500명, 시군구 200명미만 연서 사무처리일부터 2년 경과시 제기 불가 상급기관(감사청구심의회) 감사실시(60일이내) 감사종료 및 공표 (통지)청구대표자, 단체장에게 - 주민소송 주민감사 청구 후 위법한 재무회계 행위에 대해 단체장 대상 감사청구를 경유한 주민이 90일이내 행정법원에 소송제기요건인 경우에 한해 주민소송 제기(이 경우 1인소송가능) - 청구수리후 60일 내 감사 미종결 - 감사결과 조치요구 미이행 또는 이행조치 불복 등 소송고지(단체장 신청에 따라 법원이 이해관계자에게 고지) 법원결정 및 심리후 판결(3심제) 단체장(확정판결조치의무), 주민(승소시 실비청구), 단체장(손해배상청구, 변상명령) 미지불시 손해배상청구(민사소송, 60일이내) 주민투표 자치단체 주요 결정사항 *국가사무 등 제외 19세이상주민 의회, 단체장 *주민청구시 청구권자 총수의 1\/20~1\/5 범위내 서명 선거일전 60일~선거일까지 서명불가 *주민투표일 지정불가 *소환사유 제한없음 지자체장(주민투표 청구심의회) 지자체장(청구요지공표) 투표실시(공고일부터 20~30일) *단, 소환투표는 주민투표, 공직선거(대선, 총선제외)등과 동시실시가능 투표권자 총수의 1\/3이상 투표(미달시 미개표) 유효투표수 과반수 득표시 확정 확정사항이행(2년내 번복 불가) (통지)지자체장 (보고)의회 1\/100서명으로 소청(상급선관위)→소송(시군:관할고법, 시도지사:대법) *국가정책 주민투표는 소청·소송대상 아님 주민소환 선출직 지방공직자 *비례대표제외 19세이상주민 *시도지사(10\/100), 시·군수(15\/100), 지방의원(20\/100) 이상 서명 관할선관위 *소명:소환 투표대상자 관할선관위 직 상실(결과공표지점) (통지)중앙·당체장, 의회, 청구인대표자, 당사자 출처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2017. 10. 21 (www.mois.go.kr)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공공관리학회 학술대회(2016), 주민직접참여제도의 제도분석-개선과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대통령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2014), 지방자치발전 종합계획 한국정책학회(2015), 주민참여제도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연구 행정안전부 홈페이지(http:\/\/mois.go.kr) 1)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5조(지방자치발전 종합계획의 수립) 제1항 “지방자치발전위원회는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방자치발전 종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작성자": "안홍기 연구위원(국토연구원) \n\n" }, { "정책용어": "젠트리피케이션", "생성배경":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라는 단어는 1888년 ‘Memories and Proceedings of the Mancheter Literary Philosophical Society’란 문헌에서 최초로 등장했지만, 현재의 용법으로는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Ruth Glass)에 의해 처음 사용되는 것으로 저소득 노동자와 그들이 살던 주거지가 중산층 사람들의 이입으로 대체되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영국의 전통적인 중간계급인 신사계층을 의미하는 젠트리(Gentry)에 어원을 두고 있음. ", "용어설명": "사회학에서 이 용어는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도심에 있는 노후 주택지역으로 이사를 와서 지역을 고급화하고, 기존의 저소득층 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조명래(2013), 젠트리피케이션의 이해, 월간 문화사회, 6월호. 3-11면. 김걸ㆍ남영우(1998), 젠트리피케이션의 쟁점과 연구동향,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83-97면. 위키백과 (ko.wikipedia.org) 조선닷컴 (news.chosun.com) ", "작성자": "차미숙(국토연구원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작은 도서관", "생성배경": "작은 도서관은 1960년대 문맹퇴치와 농촌계몽을 기치로 출발한 마을문고, 1970년대의 새마을문고, 1980년대의 노동근로자 및 도시빈민을 위한 ‘노동도서원’과 ‘지역주민 도서실’ 등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90년대에는 「도서관및독서진흥법」에 따라 문고 설치 권장과 함께 선교목적의 ‘종교시설 문고’가 확산되었고, 2002년 경기도 부천에서 민관협력으로 시작된 “동네마다 작은 도서관 만들기 운동”이 사회적인 호응을 얻으면서 2004년 「문화비전21」에 의거 정부 주도의 “1만 개 작은 도서관·이웃도서관 확충 운동”이 추진되었다. 2006년에는 국립중앙도서관 내에 “작은 도서관 진흥팀”이 신설되었고 2008년부터 작은 도서관 업무를 도서관 정보정책기획단 도서관진흥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운영주체·이용자대상·운영장소 등에 따라 작은 도서관의 개념·형태·역할은 다양하였으며, 2009년 3월 「도서관법」개정 및 2012년 2월 17일 제정된 「작은도서관진흥법」에 의거 작은 도서관에 대한 개념 및 역할 등이 비로소 명확해졌다. ", "용어설명": "2009년 3월 개정된 「도서관법」에 의하면 작은 도서관은 ‘공중의 생활권역에서 지식정보 및 독서문화서비스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으로서 동법 제5조에 명시된 공립 공공도서관의 시설 및 도서관 자료 기준에 미달하는 도서관으로 정의된다. 한편 국립중앙도서관의 ‘작은 도서관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계획’에서는 작은 도서관 조성 시 저소득층 밀집지역을 우선 선정대상으로 제안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작은 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사회복지적 측면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작은 도서관은 접근성이 용이한 유휴공간 혹은 노후시설의 리모델링을 통한 생활밀착형 소규모 문화공간으로서 지역주민들이 독서 및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문화예술적 문제에 대한 의견과 각종 생활정보를 상호교환·공유하는 지역주민의 사랑방 역할, 더 나아가 자연스럽게 지역공동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서관법 시행령」에 따른 작은 도서관 시설 및 자료 기준 「도서관법 시행령」에 따른 작은 도서관 시설 및 자료 기준표로 시설,도서관자료의 정보를 제공한다. 시 설 도서관자료 건물면적 열람석 33m2 6석 이상 1,000권 이상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2012. 12.), 작은 도서관 운영 진단 및 컨설팅 지원 연구. 연도별 작은 도서관의 분포 현황 연도별 작은 도서관의 분포 현황표로 목,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의 정보를 제공한다. 목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공 립 669 809 894 888 1.302 1,364 사 립 2,680 2,655 3,057 3,798 3,932 4,231 전 체 3,349 3,464 3,951 4,686 5,234 5,595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2016. 5), 2015년도 작은 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지방자치단체의 작은 도서관 관련 조례 지방자치단체의 작은 도서관 관련 조례표로 구분,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세종,계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세종 계 조례 광역 1 1 1 1 1 1 1 1 1 1 1 1 1 13 기초 4 9 4 7 5 5 5 19 4 5 6 5 11 7 10 106 출처 : 작은 도서관 홈페이지(http:\/\/www.smalllibrary.org\/helper\/data\/) ", "현재 용어의 사용": "문화체육관광부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전국의 작은 도서관 수는 2013년 4,686개소(공립 888개소, 사립 3,798개소), 2014년 5,234개소(공립 1,302개소, 사립 3,932개소), 2015년 5,595개소(공립 1,364개소, 사립 4,231개소)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다문화, 청소년, 장애인, 종교인 등과 같은 특정인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특수목적의 작은 도서관은 989개소(17.7%)이며 일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작은 도서관은 4,606개소(82.3%)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작은 도서관 이용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고, 작은 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행사, 소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작은 도서관 운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은 도서관이 정보 사랑방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마을 공동체의 중심으로 소통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작은 도서관 홈페이지(http:\/\/www.smalllibrary.org)를 구축·운영 중이다. 한편 작은 도서관(문고·마을문고 포함) 관련 조례 및 시행규칙을 제정한 지방자치단체 수는 2012년 말 현재 광역지자체 10곳, 기초지자체 52곳 등 총 62곳에서 2016년 7월 말 현재 광역지방자치단체 13곳과 기초지방자치단체 106곳 등 총 119곳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해외사례": "미국의 경우 인구 25,000명 미만의 지역에 봉사하는 도서관을 통틀어서 작은 도서관이라 칭하며, 펜실베이니아 주 Milanof-Schock 도서관, 알래스카 주 Haines Borough 공공도서관 등이 우수한 사례이다. 일본의 경우 가정문고 혹은 지역문고 형태로 지역 주민의 문화 욕구 충족과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브라질 꾸리찌바시는 저소득층 시민들의 정보 및 교육 기회 확대, 청소년의 휴식 공간 및 안전환경 제공을 위해 “지혜의 등대(Farol do Saber)”를 45개소 운영하고 있다. 또한, 평소 독서 기회를 얻지 못했던 농촌 등 소외지역 주민의 문화욕구 충족을 위해 나무 상자 형태의 미니도서관인 “문학의 상자(Arca das Letras)”를 2004년 현재 11개 주 415개소에서 운영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5년도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및 운영 평가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2012), 작은 도서관 운영 진단 및 컨설팅 지원 연구 국립중앙도서관(2006), 작은 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http:\/\/www.smalllibrary.org ", "작성자": "이봉구 교수(동의대학교) \n\n" }, { "정책용어": "자치경찰제도", "생성배경": "우리나라에서 자치경찰제도가 최초로 논의된 것은 1948년으로 정부조직법 제정 시 미군정과의 논의에서 시작되었으나 실제 도입되지는 않았다. 1955년 정례국무회의에서도 자치경찰의 도입이 포함된 경찰 법안이 심의되었지만 치안행정 공백의 우려 등으로 국회에 회부되지도 못하고 폐기되었다. 자치경찰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김대중 정권 시기라 할 수 있는데, 지방자치와 분권의 완성을 위한 절충형 자치경찰제의 도입을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하였고 자치경찰법안도 마련하였다. 이 자치경찰법안에서는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일원 체제로 운영되고 자치경찰이 보충적 역할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는데, 당시 검경 간 수사권 독립이 쟁점화되면서 결국 경찰법 개정안은 통과되지 못하였다.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기존의 자치경찰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여 국가경찰시스템을 그대로 둔 채 기초자치단체장 직속기관으로 자치경찰대를 설치하는 자치경찰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바 있다. 역대 정부별로 도입이 검토되었던 자치경찰 모형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역대 정부별 자치경찰제 모형 역대 정부별 자치경찰제 모형표로 구분,김대중정부,노무현정부,이명박정부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김대중정부 노무현정부 이명박정부 실시 단위 광역 기초 기초 조직 형태 국가경찰기관 소속 시·군·자치구의 직속기관 시·군·자치구의 직속기관 자치 경찰 사무 독립적·자율적으로 고유의 경찰권을 행사하되 광역적 사건·사고와 대규모 집회시위, 대간첩작전 등 국가적 비상사태에는 시도 경찰청에 상호협력의무를 부과하고, 경찰청장이 직접 지휘·감독·조정 생활안전·지역교통 및 지역경비에 관한 사무와 지방자치단체 소관 특별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 생활안전 사무, 지역교통 및 지역경비에 관한 사무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소관 특별사법경찰관리 업무(보건, 위생, 주정차·환경 단속)를 수행 인사 관리 경찰청 및 그 소속 기관 직원 전원과 경정(또는 총경)이상의 전 경찰관은 국가공무원으로 하고, 시·도에 근무하는 여타 공무원은 지방공무원으로 하되 상호교류 시·군 및 자치구에 자치경찰대를 설치하되,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하여 자치경찰대를 신설 또는 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소속 자치경찰공무원은 특정직 지방공무원으로서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임용 특정직 지방공무원으로서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임용 출처 : 최종술(2009)에서 재정리. ", "용어설명": "자치경찰제도는 지역적 특수성에 부합하고 지역주민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 중인 제도이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경찰체제를 중심으로 하는 집권형과 지방정부소속의 자치경찰을 별도로 운영하는 분권형, 그리고 국가와 지방정부가 각기 분할통제를 시행하는 통합형이 있다. 각국의 경찰유형 각국의 경찰유형표로 구분,특징,해당국가,사례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특징 해당국가 사례 분권형 많은 경찰행정기관 경찰권에 대한 심한 제한 시민의 자유를 위해 높은 수준의 범죄를 감내함 벨기에, 캐나다, 네덜란드, 스위스, 미국 미국의 경찰 제한된 권한 지방의 통제 법집행권한의 분산 집권형 법집행의 성패에 관한 국가경찰이 책임 개인의 권리보다 사회적 권리 우선 프랑스, 이탈리아, 핀란드, 이스라엘, 태국, 대만, 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 프랑스의 경찰 단일 사법시스템 지방정부보다는 국가소속 공무원 통합형 국가와 지방정부의 분할 통제 전국적 기준 하에 지방의 통제를 받는 경찰서비스 일본, 호주, 브라질, 영국, 독일 영국의 경찰 영국 내무장관의 직접통제 지방경찰위원회의 관여 모든 기관이 단일기준과 규제를 따름 출처 : Barker 외(1994): p.40.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오승은(2017), 일본의 통합형 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29(3). 최종술(2009), 우리나라 자치경찰제(안)의 변천과정과 비교. 「한국행정학회동계학술대회자료집」 Barker, Thomas, Ronald Hunter Jeffrey Rush(1994). Police system Practice: An Introduction. NJ: Prentice-Hall. ", "작성자":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 \n\n" }, { "정책용어": "자원순환 도시농업(도시농업 지원센터)", "생성배경": "도시민이 농업이나 농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따라 도시생활 주변에서의 도시농업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뿐만이 아니라 도시에서 나오는 빗물, 음식물쓰레기, 다양한 재활용 물질 등이 자연에 방치되거나 소각, 매립됨에 따라 자연환경 훼손이 심각해지자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이러한 유휴한 자원들을 가공하여 농업활동에 활용한 환경친화적인 농업방식을 활용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도시농업은 도시민이 농업이나 농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원예를 비롯하여 텃밭농원을 활용한 활동들을 의미한다. 이는 원칙적으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은 유기농업이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도시에서 음식물쓰레기, 다양한 재활용 물질 등이 대량으로 버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퇴비 등을 개발하여 농업에 활용하는 도시농업을 자원순환 도시농업이라 한다. 이러한 활동들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시민들이 자발적이고 자치적인 도시농업을 지원하고 도시농업 활성화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도시농업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도시농업을 통한 장애인·노인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2012), 경기복지재단 서울시 도시농업 마스터플랜 보고서(2013), 서울시 ", "작성자": "은희창 지역사업본부장(㈜인포마스터) \n\n" }, { "정책용어":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 "생성배경":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는 길을 중심으로 지역의 역사ㆍ문화, 자연생태 자원을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ㆍ관리ㆍ상품화하는 사업이다. 최근 도보관광 수요가 증가하고 지역의 고유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여행문화가 창출되면서 문화생태 탐방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는 점적인 관광자원을 네트워크화 하여 지역간 교류 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추진되고 있다. ", "용어설명":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를 지역의 관광자원을 특성 있는 주제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하는 길로 조성하고 있다. 시설물 설치를 최소화하고 탐방로 주변의 역사ㆍ문화ㆍ관광자원을 연계하여 흥미 있는 이야기를 제공하여 문화적이며 친환경적인 탐방로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 고유의 이야기를 주제로 길, 관광자원, 탐방지원 시설을 일체화하여 관리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영준, 박경열 (2008), 스토리가 있는 문화ㆍ생태탐방 천리길 추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2016),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지정현황 문화체육관광부(2009), 문화생태탐방로 기본계획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2009),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 가이드라인 연구 ", "작성자": "김영준 연구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n\n" }, { "정책용어": "예비타당성조사", "생성배경": "1999년 예비타당성조사의 도입 이전, 경제적 타당성이 미흡한 대규모 공공투자사업의 추진으로 인한 예산낭비와 부실시공의 문제점이 국가재정의 주요 현안으로 대두되었다. 절차적으로 사업 시행부처가 예산을 일단 편성한 이후 기술성 위주의 타당성조사를 실시하였을 뿐, 일단 사업이 착수되면 경제적 타당성에 문제가 있더라도 해당 사업의 중단 또는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또한, 예산편성 이전에 사업의 우선순위, 재정 투자시기, 재원 조달방법 등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역시 부재하였다. 이에 정부는 대규모 공공투자사업의 부실화로 인한 예산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1999년 5월「예산회계법」시행령 제9조의2를 개정하여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개발 사업에 대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도록 의무화하였다. 기존의 타당성조사가 기술적 항목 위주로 검토된 반면, 예비타당성조사는 경제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조사기관도 타당성조사의 경우 사업 시행부처가 직접 주관하였으나, 예비타당성조사는 조사결과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 것으로 개편되었다. ", "용어설명": "예비타당성조사는 1999년부터 시행 중인 제도로서 「국가재정법」제38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의 규정에 따라 대규모 신규 사업(타당성조사비, 설계비 등의 국고지원이 없었던 사업)에 대한 예산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기획재정부장관 주관으로 실시하는 사전적인 타당성 검증·평가를 말한다. 이는 대규모 재정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조사를 통해 재정사업의 신규투자를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투명하고 공정하게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예산낭비를 방지하고 재정운영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예비타당성조사는 국가직접시행사업, 국가대행사업, 지방자치단체보조사업, 민간투자사업 등 정부 재정지원이 포함되는 모든 사업을 대상으로 ①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면서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건설(SOC)사업, 정보화사업, 국가연구개발사업, ②중기재정지출이 500억 원 이상인 사회복지, 보건, 교육, 노동, 문화 및 관광, 환경 보호, 농림해양수산, 산업·중소기업 분야의 재정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개발연구원 공공관리투자센터, 2015년도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연차보고서 국가법령정보센터, 「국가재정법」, 「국가재정법 시행령」 기획재정부(2012), 2012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한국개발연구원(20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연구 수정·보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1),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1판) 1) 현행 예타신청‘(年 2회, 7월·11월) → 예타대상 선정(4개월) → 예타수행’을 ‘예타신청(연중, 1∼12월) → 예타대상 선정(2개월) → 예타수행’으로 변경함.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연구개발(R&D) 특구", "생성배경": "1973년도에 국가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대덕연구학원도시 건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대덕연구단지의 기반조성 및 연구소 건설에 착수하였다. 대덕연구단지는 1974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의 입주를 시작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정부출연연구기관, 학교, 민간기업연구소의 입주를 통해 산학연 연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2005년도에 ‘대덕연구개발특구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재정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와 특구지원본부를 설립하였다. 2011년에 광주와 대구를 각각 특구로 추가 지정하였고, 2012년에는 부산을 특구로 추가 지정하였다. 또한, 2012년에 특구지원본부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으로 명칭변경 하였다. ", "용어설명": "연구개발특구란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의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목적으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정 고시된 지역을 말한다. 특별법에 정의된 첨단기술기업, 연구소기업(산), 대학교(학), 공공연구기관(연) 등이 특구에 입주할 수 있고, 입주한 기관들은 고용보조금 지원, 세제 지원, 부담금 감면 등 많은 행정적 지원을 지원받는다. 특구 내 산학연 기관들은 기관 간 교류·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연구개발 및 사업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국내에는 4개의 특구(대덕, 광주, 대구, 부산)가 지정되어 있다. 각각의 특구는 특화분야를 가지고 특성화(차별화)를 추구하고, 혁신 주체별 역량강화를 통해 지속발전형 혁신 클러스터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특구별 주요현황 특구별 주요현황표로 특구,대덕특구,광주특구,대구특구,부산특구의 정보를 제공한다, 특구 대덕특구 광주특구 대구특구 부산특구 비전 미래 첨단융합산업 허브(HUB) 구축 광기반 융복합 중심의 개방형 연구 산업화 거점 조성 IT기반 소재부품 융복합 글로벌 클러스터 조성 RD기반 조선해양플랜트 혁신클러스터 구축 지정 년도 1974년 2011년 2011년 2012년 규모 5개 지구 (약 67.8㎢) (대덕연구단지, 대덕테크노밸리, 대덕산업단지, 북부 그린벨트 지역, 국방과학연구소 일원) 7개 지구 (약 18.7㎢) (첨단 1,2,3지구, 신룡지구, 나노지구, 진곡지구, 대학·기타지구) 7개 지구 (약 22.3㎢) (테크노폴리스 지구, 성서첨단산업 지구, 융합R D지구 Ⅰ·Ⅱ, 의료RD지구, 지식 서비스 RD지구 Ⅰ·Ⅱ) 4개 지구 (약 14.1㎢) (R D융합지구, 생산거점지구, 사업화촉진지구, 첨단복합지구) 특화 분야 IT융복합, 바이오의약, 나노융복합, 신재생에너지 광기반 융복합, 바이오 소재, 디자인 문화 컨텐츠, 스마트 그리드, 친환경 자동차부품 스마트 IT 융합기기, 의료용 융복합기기·소재, 그린에너지 융복합, 메카트로닉스 융복합 광기반 융복합, 바이오 소재, 디자인문화 컨텐츠, 스마트 그리드, 친환경 자동차부품 출처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홈페이지(www.innopolis.or.kr)에서 자체 편집 ", "해외사례": "해외 주요특구 현황비교 해외 주요특구 현황비교표로 구분,실리콘밸리(미국),시스타(스웨덴),소피아 앙티 폴리스(프랑스),중관촌(중국)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실리콘밸리(미국) 시스타(스웨덴) 소피아 앙티 폴리스(프랑스) 중관촌(중국) 주력 분야 IT, BT 이동통신 IT, BT, 의료과학 등 신소재기술, IT, BT 위치 샌프란시스코 인근 10여개 도시로 구성 스톡홀름시 북서쪽 20㎞ 지점 프랑스 남부의 니스, 칸느, 그라스, 앙티브 일원 중국 북경시 서북부 면적 3,885㎢ 2.3㎢ 23㎢ (녹지비율 65%) 海淀園 340㎢ 외분산위치한 4園 27.5㎢ 주요 기관 스탠퍼드 대학 9,000여개의 IT 및바이오 관련 기업 세계 100대 첨단기업 본사의 20% 가 위치 왕립공대, IT 공대, 에크레온 연구소 등 에릭슨, MS, 컴팩 등770여개 기업 유럽통신표준연구소(ETSI), 국립정보과학 대학(ESSI) 등 70여개 연구교육기관 IBM 등 68개국의 1,260여개 기업 북경대 등73개 대학 및230여개 연구기관 IBM, MS, 인텔 등 1,400여개 기업 주요 성과 현재 ‘세계 최고의 클러스터’로 각광 1인당 부가가치가 세계 클러스터 중 1위 ·’01년 지역 총생산은 2,050억불로 한국 GDP의 절반 산업구조 고도화, 입주기업 기술력 향상 ·세계 무선 이동통신의 지식공급지로 부상, 유수 연구기관 및세계적 기업 유치 글로벌 기업의 신기술 기반형성으로 다국적 기업의 유럽본부 유치 중국 3대 클러스터 중최고의 기술력, 경쟁력 보유 ’88년 이후 연평균 30%이상의 성장세 북경시 전체 공업 생산액의 60% 이상 차지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2014). 제2차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 변경(안) ",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미래창조과학부(2014), 제2차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 변경(안)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홈페이지(www.innopolis.or.kr) ", "작성자": "박태준 선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n" }, { "정책용어": "스마트시티(Smart City)", "생성배경": "스마트시티(Smart City)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설˙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하고 있다(「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항). 기존 개별 컨트롤타워에 의해 운영되는 기존 도시와 다르게 도시 전체가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물리적 도시시설 및 공간에 대한 정보와 서비스, 데이터를 (IoT, CPS(Cyber Physical Systems), 빅데이터 솔루션 등의 ICT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도시인 것이다. 스마트시티의 구현을 위한 기술요소는 크게 인프라,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되며, 세부적으로는 도시, ICT 및 공간정보 인프라, 사물인터넷(IoT), 데이터공유, 알고리즘, 도시서비스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기존 도시와 스마트시티의 도시문제 해결방식 비교 기존 도시와 스마트시티의 도시문제 해결방식 비교표로 도시문제,기존 도시,스마트시티,효과의 정보를 제공한다. 도시문제 기존 도시 스마트시티 효과 교통혼잡 교통 혼잡 도로 확장 또는 신규 도로 건설 혼잡도로 정보의 실시간 전달 → 혼잡하지 않은 도로로 우회할 수 있도록 유도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로 원활한 교통흐름 유도 도로 확장 및 신규 도로 건설비용 절감 영국 M42고속도로의 경우 통행시간 20%, 교통사고 50% 감소 주차공간 신규 주차장 건설 빈 주차공간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 전달 카세어링 서비스 등을 통해 차량의 도시진입 최소화 유도 주차공간을 찾기 위한 시간, 차량연료 등 절감 불법주차로 인한 지·정체 도로구간 감소로 차량 운행속도 향상 범죄발생 경찰인력의 전지역 투입 지능형 CCTV 등을 통해 범죄 발생시 경찰인력 즉시 투입 및 대응 국내에서 스마트 방범시스템을 도입 지자체의 경우 범죄발생률 20% 감소 상하수도 누수 지점의 파악 곤란 누수지점을 센서를 통해 전달받아 즉각적인 조치 가능 40~50% 누수예방 (카타르 도하, 중국 베이징, 브라질 상파울로 등) 쓰레기 정기적으로 쓰레기 수거 쓰레기통에 센서를 부착˙적용하여 쓰레기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쓰레기통이 가득 찬 경우만 수거 미국 신시내티의 경우 쓰레기 배출량 17% 감소 재활용 쓰레기 49% 증가 가로등 저녁 일정 시간 동안 가로등 점등 가로등에 센서를 부착하여 사람들이 가로등 근처에 접근한 경우만 점등 스페인 바로셀로나의 경우 연간 30% 정도의 에너지 절감효과 발생 출처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SmartCity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2016. 스마트시티 7대 기술요소 스마트시티 7대 기술요소표로 구분,주요 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 분 주요 내용 인프라 도시 인프라 스마트시티는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적이지만 하드웨어 발전 병행 ICT 인프라 유무선 통신 인프라의 도시 전체 연결 공간정보 인프라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 융합을 위해 공간정보의 핵심 플랫폼 개발 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도시 내 각종 인프라와 사물을 센서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연결 데이터공유 데이터의 자유로운 공유 및 활용 지원 서비스 알고리즘 데이터의 처리, 분석 등 활용능력 중요 도시 서비스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및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 조성 출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및 시사점(ICT융합 심층리포트), 2017.2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7),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및 시사점(ICT융합 심층리포트)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7), 스마트시티 관련 국가건축정책위원회(2016), SmartCity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국토교통부(2009),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2009∼2013) 국토교통부(2013),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2014∼2018) 1) U-City란 용어는 2008년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동 법률에서는 U-City를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유비쿼터스도시기술을 활용하여 건설된 유비쿼터스 도시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비쿼터스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로 정의하였다. 2) 유비쿼터스종합계획(1차: 2009∼2013년, 2차: 2014∼2018년)에 근거하여 추진된 U-City 구축사업은 전국 70여 개의 지역에서 추진되었는데, 2016년 8월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으로 개명 및 방향을 전환하여 재추진 중이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생태관광지역", "생성배경": "인류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야기된 환경오염문제는 단지 대기˙수질˙토양의 문제로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경제성장으로 관광수요가 급증하였고, 관광지에도 숙박˙식당 등의 대규모 시설들이 들어서면서 자연환경이 파괴되었다. 이와 함께 생물서식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면서, 생물종 보존에 빨간불이 들어오기 시작하자 관광형태도 변하기 시작하였다.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그린투어리즘, 녹색관광, 에코뮤지엄 등 환경부하가 적은 관광형태가 나타났고, 우리나라에는 1990년대 중반에 이러한 신개념의 관광형태가 소개되면서 녹색체험관광, 전통문화체험관광 등이 유행하다가 2000년대부터는 생태관광이 자리잡게 되었다. 생태관광은 2004년 기준으로 세계 관광시장의 7%를 차지하는 등 매년 20~30%의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생태계보전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관광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 "용어설명": "생태관광지역은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에서 자연자산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통하여 환경의 중요성을 체험˙교육할 수 있는 지역이다. 환경부는 2013년 3월 「자연환경보전법」을 개정하면서 생태관광지역 지정제를 도입하였는데 생태관광지역을 지정함으로써 지역과 그 지역의 고유한 자연자원˙경관을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고, 전국의 생태관광지역을 차별화하여 균형적인 생태관광을 육성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환경부 보도자료(2013.12.05), 자연과 지역을 살리는 행복한 여행 환경부(2017), 생태관광 환경부 생태관광 홈페이지(http:\/\/www.ecotour.go.kr) ", "작성자":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n" }, { "정책용어": "새뜰마을사업(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프로젝트)", "생성배경":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는 박근혜정부의 ‘지역희망(HOPE) 프로젝트’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의 일환으로서 위험 잠재지역(건물, 축대 등의 노후붕괴 위험지역, 산사태, 상습 침수 등 자연재해 우려 지역), 생활환경이 비위생적인 지역, 생활인프라가 미흡한 지역(상하수도, 소방도로, 급경사, 재래식 화장실 등의 문제가 있는 지역) 등 주거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삶의 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추진 중인 사업이다. 전국 354개의 달동네, 쪽방촌을 대상으로 시행한 실태조사(2013년, 지역발전위원회·한국지방행정연구원) 결과, 128만 가구가 최저주거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이 같은 취약지역의 주민들은 주거환경, 생활인프라, 안전 등에 대한 개선 요구가 높은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에 대한 주민 체감도 제고 차원에서 취약지역1) 지원을 강화·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제10차 지역발전위원회(2014.9월)’에서 지역행복생활권·특화발전프로젝트와 함께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는 것으로 심의·의결하였다. 이후 동 프로젝트의 대상지 선정 등을 위한 세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2015년부터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제반 절차를 차질 없이 이행하였다. ", "용어설명":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프로젝트’의 추진방식과 관련하여 지역행복생활권 내 ‘취약지역’은 지자체 간 협업을 통해 제안하고, 지역발전위원회는 지자체가 제안한 지역(농어촌지역, 도시지역) 중에서 일정한 선정기준2)을 적용하여 국고지원 대상을 선정하는 상향식 공모방식으로 진행하였다.3) 국고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지역에 대해서는 안전 확보, 생활·위생인프라, 일자리·문화, 복지 등 휴먼케어, 집수리 지원, 주민역량 강화 등과 관련한 사업 예산을 일정 기간(도시지역 4년, 농어촌지역 3년) 지원한다. 취약지역별로 최고 70억 원 이내(사업비의 70%, 지방비 30% 매칭)에서 마을(가구 수)규모에 따라 차등 지원(200가구 이상 지역 최대 70억 원, 100가구 최대 35억 원 등)하고, 사업의 세부 내용별로 지원 한도(예: 농어촌지역의 빈집 철거 시, 일반주택은 동당 1백만 원 이내, 슬레이트 주택은 동당 2.4백만 원)를 적용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5), 보도자료(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프로젝트 사업대상 85개소 선정) 지역발전위원회(2015), ’15년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프로젝트 대상지 선정 등을 위한 세부 가이드라인 지역발전위원회(2014), ’15년 지역행복생활권사업 추진계획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행복생활권·특화발전프로젝트(안) 1)상하수도 등이 미흡한 주거 취약지역은 농어촌에 약 1,200개, 도시에 약 350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2)농어촌지역은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이 높고, 노후주택, 재해·안전·위생 등이 취약하고 수돗물 공급 및 하수도 시설이 미흡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도시지역의 경우는 불량도로(4m 미만 도로)에 접한 주택비율 등 3개 항목의 물리적 지표 중 2개 항목 이상이 일정수준 이하로 낙후된 지역을 위주로 선정함. 3)’14.12 사업선정 가이드라인 배포, ’14.12~’15.2 공모 4)전국 162개 지역(농어촌 90개소, 도시 72개소)에서 사업을 신청하였고, 민·관의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1차 서류심사, 2차 현장실사를 거쳐 선정 안을 마련하였음.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산학협력 중심대학", "생성배경": "대학을 통해 산업집적지에 기술개발, 인력양성, 기반구축 등 기술혁신 수단을 종합적으로 연계·지원하여 산업단지의 연구기능 및 네트워크 능력을 대폭 확충함으로써 ‘혁신 클러스터’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대학은 산업단지의 RD 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산학협력 체제를 개선하고 교수 및 학생평가, 교과목의 개편, 교수 임용, 행정지원 등 대학 시스템을 산학협력 중심으로 재편하였다. ", "용어설명": "참여정부의 ‘新산학협력 비전 및 추진 전략(2003년 9월 25일)’에 따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주관하고 교육인적자원부와 산업자원부의 정책협력으로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각 지역별로 산학협력 체제의 구축 및 확산을 선도하기 위한 산학협력 중심대학(HUNIC, Hub UNiversity for Industrial Collaboration)을 지정하였다. 산학협력 중심대학은 산업집적지를 ‘혁신클러스터’로 전환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와 긴밀한 협력을 이끌어 나가는 선도역할을 수행하며, 권역 내 혁신자원간 유기적 관계를 이끌어 갈 수 있는 허브(Hub) 역할 수행을 목표로 하였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환식, 나승일 (2001), 대학중심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부(2011), 2010 대학산학협력 백서 교육부(2011), 대학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단 역량강화 방안(안) ", "작성자": "류세선 대표이사(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現 쿠보텍) \n\n" }, { "정책용어": "산지유통센터(APC)", "생성배경": "1991년 이전에는 산지유통시설이 저온저장고와 소규모 선별시설 정도로 매우 미미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소비지에 대형유통업체가 등장하면서 농산물 유통환경이 빠르게 재편되기 시작하였다. 대형유통업체는 농산물 상품화 개념뿐만 아니라 효용적 가치를 창출하기 시작하였다. 소비지 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농산물산지유통 시설도 단순한 부가가치 창출에서 소비지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체계로 변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대형유통업체의 원물조달 체계가 도매시장 및 벤더업체 중심에서 산지유통조직으로 확대되면서 산지유통조직과 대형유통업체 간의 직거래 개념이 활성화되었다. 이 시기에 농산물산지유통 시설은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집하, 선별, 포장, 저장 등의 과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건립되었고 산지유통시설의 명칭도 포장센터, 청과물 종합 처리장 등에서 농산물산지유통센터(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APC)로 재편되었다. 2004년 한국과 칠레의 FTA타결을 계기로 산지유통시설이 규모화·전문화 체계로 변화되었다. 세계 각국과의 동시다발적인 FTA체결에 따라 산지유통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과수 주산지를 중심으로 거점 농산물산지유통센터(거점 APC)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정부에서 거점 APC를 지원한 것은 국내 농업의 체질 개선을 통해 국내외 농산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산지유통조직 및 농산물 브랜드를 육성하여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함이었다. ", "용어설명": "산지유통센터(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APC)는 ‘산지 농산물 유통의 규모화와 체계화를 위하여 전문화된 산지유통조직이 운영하는 농산물의 집하, 선별, 포장, 상품화, 저장, 출하기능 등을 단일 부지에서 수행하는 복합적 시설’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농산물산지유통센터는 ‘농산물산지유통센터 지원사업에 근거하여 지원된 시설 및 보완된 시설’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거점 APC는 FTA 기금에서 지원되는 사업에 근거하여 설립된 산지유통센터로 한정된다. 정부는 정책적 범위에 따라 산지유통시설을 분류하고 있지만 현실적 기능과 운영주체를 전제로 분류하게 되면 농산물산지유통시설의 범위가 상당히 모호해진다는 주장이 있다. 과거부터 산지유통시설을 운영한 주체가 기존 집하장에 자부담으로 선별시설과 저온저장고 시설을 확장한 경우가 있다. 중앙정부 및 지방 정부의 APC지원 사업이 아닌 여타 정책사업으로 건립되거나 시설이 보완된 경우도 있다. 또한 일반 산지유통센터 중에 거점 APC규모에 달하는 산지유통조직이 있지만 거점 APC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산지유통시설 관련 기능과 주체 등이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향후 산지유통시설의 개념 및 역할 구분이 명확히 정비될 필요가 있다. ", "해외사례": "일본에서는 농협 유통사업의 혁신을 위해 새로운 산지유통주체로서 최근 VFS(vegetable fruit station)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는 매입과 계약생산, 배송시스템을 융합한 유통센터가 판매채널을 관리하는 체계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이바리끼현 전농본부의 VFS인데 1995년에 결성하여 2000년 39억 엔인 사업실적이 2003년에는 85억 엔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VFS는 전통적 농협 공동판매사업이 대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 확대라는 시장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생산부회의 조직이 전업적 대농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다. (거점)산지유통센터의 기능 산지유통센터의 기능표로 구분,기능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 분 기 능 마케팅 경영 전략 시장지향형 마케팅 전략 수립 ·표적시장, 표적고객에 대한 시장 정보 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 도입, 브랜드화) 위험과 불확실성 관리 원료 농산물 조달 원료 농산물의 안정적 확보(생산 계약, 인도 계약) 품종, 파종, 수확, 재배(사육) 조건 및 물량 인도 시기 등이 명시된 계약 추진 생산자의 계약 이행 및 불이행에 대한 제재 공동선별 및 공동계산(pooling) 처리 및 생산 관리 선별(등급), 규격, 포장(표준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절단 등) 예냉 등 수확 후 처리 저온저장 저온수송 품질관리(식품안정성 관리 등) 제품 판매 및 촉진 유통경로 및 판매방식 선택(시장 판매, 계약 약정 판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판매시기 가격수준, 가격결정 방식 계약조건에 대한 교섭력 확보 ·광고·홍보 및 판매 촉진 수확 후 관리기술 및 가공처리설비 적정 기술 도입(선별기, 예냉기, 저장 가공시설 등) 시설 및 설치 관리의 효율화 시설배치(layout)의 합리화 출처 : 김동환 외(2005), 권역별 거점산지유통센터 최적배치방안 및 운영지침 연구; 운영지침 부문, 농식품신유통연구원. ", "참고자료문헌": "최지현 외(2005), 권역별 거점산지유통센터 최적배치방안 및 운영지침 연구 : 최적배치부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동환 외(2005), 권역별 거점산지유통센터 최적배치방안 및 운영지침 연구 : 운영지침 부문,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최병옥 외(2010), 농산물 산지유통시설의 효율적 활용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권용덕(2007), 경남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활성화 방안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황의식 외(2004), 산지유통 혁신을 위한 공동마케팅조직 발전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승용 외(2011), 산지유통정책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작성자": "채종현 부연구위원(대구경북연구원) \n\n" }, { "정책용어":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생성배경": "산업단지 관련 법률체계는 70~80년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산업단지 개발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관련 법률이 양산되면서 복잡다기한 체계를 이루다가 1991년 1월부터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의 양대법 체계로 통폐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산업입지와 관련한 법률의 체계는 상위법으로서의 ‘국토기본법’이 있으며 그 밑으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기본으로 하여 산업입지법과 산업집적활성화법이 구체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은 산업의 집적(clustering)을 활성화하고 공장의 원활한 설립을 지원하며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지속적인 산업발전 및 균형 있는 지역발전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부 내용이 2015년 5월 18일 개정(법률 제13312호)되어 8월 19일에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은 그 안에 제1장 총칙 3조에 해당한다.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의 수립배경은 첨단지식산업의 성장, 융·복합화의 진전 등 산업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산업정책도 유관산업 촉진, 산·학·연 연계강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도입된 계획이다. 이는 동시에 지역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기업·대학·연구소를 집적하고, 생산·기술·자원배분을 집중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 의의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5년 단위의 「산업집적 활성화 기본계획」수립을 명문화하였다. 아울러, 정부의 창조경제가 新 산업 트렌드로 자리 잡음에 따라 유망산업 발굴, 산업·지역 간 연계 및 협력 방안의 재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제3차 산업집적활성화 기본 계획”(’14~’18년)을 수립함으로써 성장유망산업에 대한 산업정책 방향의 재정립을 추진하고자 한다. ", "용어설명":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은 성장유망산업 현황, 지역별 성장유망산업 발전전략, 산업의 집적 및 연계 촉진 방안, 산업집적지 경쟁력 제고 방안 제시를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수립기간 5년 단위의 중기 계획이다. 수립의 절차는 시도 및 관계부처 협의 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고시하며, 산업집적 관련, 정부의 최상위 계획으로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산업정책 수립 시 주요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토종합계획, 지역발전 5개년 계획 등 관련 계획과 조화되도록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상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내용 제3조(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 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5년 단위로 전 국토를 대상으로 산업집적의 활성화에 관한 기본계획(이하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고 고시하여야 한다. 이를 변경할 때에도 또한 같다. 개정 2013.3.23. ②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정 2010.4.12.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성장유망산업의 입지수요, 지역별 집적 및 특화와 그 연계방안에 관한 사항 2. 지역별 산업집적을 촉진하기 위한 산업입지 및 인력수급에 관한 사항 3. 산업집적기반시설의 확충에 관한 사항 4. 산업이 낙후되거나 쇠퇴한 지역의 지원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산업집적 및 지역산업의 발전에 관한 사항 ③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사”라 한다)의 의견을 듣고, 국토교통부장관 및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변경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3.3.23., 2015.5.18. ④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계획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09.4.22., 2011.4.14., 2013.3.23. 1. 「국토기본법」 제6조제2항에 따른 국토종합계획 2.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4조에 따른 지역발전 5개년계획 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도시·군계획 4. 「수도권정비계획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수도권정비계획 5.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에 따른 산업입지공급계획 ⑤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산업발전에 관계되는 사업을 수행하거나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이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9.2.6.] 제3조의2(지역산업진흥계획의 수립 등) ① 시·도지사 및 대도시 시장(「지방자치법」제175조에 따른 서울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의 시장을 말한다)은 5년 단위로 관할 구역의 산업집적활성화 등 지역산업의 발전을 위한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1.7.25. ②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산업의 집적 등 지역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과 관련계획의 비교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과 관련계획의 비교표로 구분,제4차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지역발전 5개년계획,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제4차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지역발전 5개년계획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법적근거 국토기본법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계획기간 2011~2020(4차 수정) 2014~2018(3차) 2014~2018(3차) 계획목표 경쟁력 있는 통합 국토 지속가능한 친환경 국토 품격 있는 매력 국토 세계로 향한 열린 국토 주민이 실생활에서 행복과 희망을 체감 행복한 삶의 기회를 고르게 보장 자율적 참여와 협업의 동반자 관계 정책 사각지대 해소 성장유망산업의 지역별 특화 산업의 집적 및 산업 간·지역 간 연계 촉진 산업집적지의 경쟁력 제고 정책수단 지역특화, 광역적 협력 강화 자연친화적, 안전한 국토공간 쾌적하고 문화적인 도시·주거환경 조성 등 지역행복생활권 활성화 일자리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제고 교육여건 개선, 창의적 인재양성 등 시도별 성장유망산업 육성 경제협력권 사업 추진 투자촉진을 위한 산업 인프라 개선 특징 국토의 이용·개발·보전, 인구, 산업의 정책방향 제시 장기계획 중앙정부와 지자체(시도)의 기존 계획을 모두 포괄 중기계획 지역산업발전과 관련된 정책 가이드라인 중기계획 수립주체 중앙정부 중앙정부 + 시·도 중앙정부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내용(2004. 2),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내용(2009. 12),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내용(2014. 12),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 (2014, 9) 지역산업발전계획 국가법령정보센터,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http:\/\/www.motie.go.kr) 지역사업관리종합시스템(http:\/\/www.risedu.or.kr) ", "작성자": "이경미 원장((재)충청지역사업평가원) \n\n" }, { "정책용어": "산업단지", "생성배경": "세계 최초의 산업단지는 1896년 영국의 맨체스터에 조성된 트래포드(Trafford) 공업단지로 알려져 있는데, 산업단지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이다. 특히, 1950~70년대에 산업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산업단지가 공장입지 공급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 산업단지가 확산된 이유는 경기호황에 따라 산업용지 수요가 크게 늘어났고 대량생산 방식 도입 이후 생산라인이 수평적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2년 울산공업센터 조성을 시작으로 1964년 서울에 한국수출산업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본격적인 산업단지 시대가 개막되었다. 과거에는 기업의 생산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입지공급이 이루어졌으나 최근 들어 각종 기업지원 시설과 근로자들의 후생복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설의 입주도 가능해졌다. ", "용어설명":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제2조 제5호)에 따르면 산업단지란 공장˙지식산업관련시설˙자원비축시설˙물류시설 등과 이와 관련된 교육˙연구˙업무˙지원˙정보처리˙유통시설 및 이들 시설의 기능 제고를 위하여 주거˙문화˙환경˙공원녹지˙의료˙관광˙체육˙복지시설 등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포괄적 계획에 따라 지정˙개발되는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쉽게 말하면 산업단지란 제조업과 첨단 지식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공장과 각종 지원서비스 시설을 유치할 목적으로 조성된 일단의 토지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산업단지는 포괄적 개발계획에 의해 개발되고 개발 후 단지 인프라 및 입주기업에 대한 관리 및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공업용지와는 차이가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 산업단지 개발은 주로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데 동법은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각종 인˙허가 절차 및 단지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비용부담 등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로 구분되며 산업단지의 유형에 따라 개발주체와 조성 목적이 각기 상이하다. 산업단지 개발은 산업단지 개발사업 시행자가 단독 또는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개발 방식에는 공영개발 방식, 민간개발 방식, 절충 방식, 위탁시행 방식 등이 있다. 2017년 현재 전국의 산업단지는 1,168개인데 국가산업단지 43개, 일반산업단지 635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3개, 농공단지 467개로 일반산업단지의 비중이 가장 높다. 산업단지의 유형과 지정 목적 산업단지의 유형과 지정 목적표로 국가산업단지,일반산업단지,도시첨단산업단지,농공단지의 정보를 제공한다.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 지정 목적 국가기간산업 및 첨단과학기술산업 육성 산업의 지방분산 촉진, 지역경제 활성화 지식˙문화˙정보통신산업 등 첨단산업의 육성 농어민 소득 증대 지정 주체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 "해외사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산업 정책적 목적 달성을 위하여 산업단지를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또한, 영국과 미국 등 서구 선진국들도 직˙간접적으로 산업단지 개발에 개입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개발도상국에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거점개발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단순한 생산 중심의 공업단지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형태의 산업단지가 등장하고 있는데 대학이 주도하는 연구단지, 공업˙상업˙업무기능이 결합한 업무단지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참고자료문헌": "건설부˙국토개발연구원(1991), 공업단지 개발편람 국토개발연구원(1994), 공업단지 개발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1998), 한국의 공업단지 한국산업단지공단(2014), 2014 산업입지요람 한국산업단지공단(2014), 산업단지 50년의 성과와 발전과제 한국산업단지공단(2016), 산업단지 현황통계보고서 16.1분기 ", "작성자":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보조금, 교부금, 출연금", "생성배경": "보조금 : 국고보조금은 보조금 이외에 부담금, 교부금, 조성비, 장려비, 위탁금 등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보조금의 범위를 다양하게 해석하여 장려적 보조금과 지방재정보전보조금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명칭은 실정법상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운영에 있어서는 ‘보조금’ 또는 ‘국고보조금’ 이란 통칭을 사용하였다. 교부금 : 지방재정조정제도에서는 지방자치단체 간 재정력 격차해소, 일정한 행정수준 유지재원의 보장, 국가·지역 시책사업의 구현 유도, 천재지변 등 각종 재해의 신속한 복구를 위하여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방재정조정제도 중에 하나가 지방교부세이다. 출연금 : 정부출연금은 민간에 대한 이전 지출에 해당한다. 국가사업으로 국가가 직접 집행해야 하지만 정황 상 정부가 직접 집행하는데 문제나 어려움이 있거나 민간 기업이 이를 대신하여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경우, 국가가 사업을 하는 것에 대한 지원금을 지급하게 된다. ", "용어설명": "보조금 :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게 용도를 지정하여 지급하는 자금으로 정부가 시책 상 필요하다고 인식하거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사정 상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예산의 범위 안에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을 집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는 자금이다. 보조금의 지급대상이 되는 사업을 보조사업이라고 한다. 보조금의 기능으로는 행정유지를 위한 자금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를 보조하는 것이다. 교부금 : 정부가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는 자금을 통합적으로 내포한다. 교부세로 불리기도 한다. 교부금은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제정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이다. 특정사업을 자방자치단체에 위임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이다. 지방교부금은 정부가 지방교부세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집행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재정적 지원이다. 출연금 : 국가가 해야 할 사업이지만 여건상 정부가 직접 수행하기 어렵거나 또는 민간이 이를 대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국가가 재정상 원조를 할 목적으로 법령에 근거해 민간에게 반대급부 없이 금전적으로 행하는 출연을 말한다. 정부출연금은 민간에 대한 이전 지출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앙관서의 장이 관리·운용하는 정부관리기금에 대한 기금 전출금이나 기업회계, 비금융 공기업에 대한 경상 전출금, 자본 전출금과는 구분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한국지방세연구원, 2012.8.31. 지방재정조정제도의 평가와 개선방안 (김필헌 외 3인) 광주발전연구원, 2012.9 자치구 재원조정교부금 합리적 배분방안 연구 (민현경 외 4인) 대영문화사, 2009.1.15. 행정학사전 (이종수) 한구행정DB센터, 2014.2.25. 지방재정론 (라휘문) 행정학용어표준화연구회, 2010.11.23.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유동해, 하동석) ", "작성자": "신두섭 수석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 { "정책용어": "문화영향평가", "생성배경": "세계사에서 유래가 없는 압축 성장을 달성한 개발연대를 지나 우리의 문화정체성을 향상시키고 문화적 관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에서 이 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시책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시초는 문화영향평가가 핵심전략에 포함된 2003년부터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다 문화연구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등의 연구 성과 축적을 토대로 2013년 「문화기본법」에 문화영향제도가 규정됨에 따라 비로소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 "용어설명": "문화영향평가(Cultural Impact Assessment)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각종 계획과 정책을 수립할 때, 문화적 관점에서 국민의 삶과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문화적 삶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강화, 확산시키고 문화적 권리나 문화향유의 저감, 문화의 파괴 등 부정적 영향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역량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 문화기본법 제5조 4항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계획과 정책을 수립할 때에 문화적 관점에서 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이하 이 조에서 “문화영향평가”라 한다)하여 문화적 가치가 사회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2014년부터 총 14개의 문화영향평가 시범사업을 추진했으며, 2016은 개별평가와 종합평가를 시행하였다. 2014년 시범사업에는 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문체부), 폐산업시설 문화재성 사업(문체부), 도시재생사업(국토부), 행복주택 프로젝트(국토부) 4개사업, 2015년에는 새뜰마을(지역위·농식품부), 글로벌 명품시장 육성(중소벤처기업부), 세운상가 활성화 종합계획(서울시),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서울시), 강원도 마을공동체 만들기사업(강원도) 5개였다. 평가는, 과제별로 선정된 연구기관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개별평가’(1단계)와 문광연(문화영향평가센터)이 전문가 평가단을 통해 개별평가의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 등을 구체화하는 ‘종합평가’(2단계)로 진행된다. 문화기본법 시행령은 평가주체와 평가방법을 규정하고 있는데, 평가는 개별평가와 종합평가로 구성되고 평가 전문기관은 문체부 장관이 지정한다. 지정대상은 국공립 연구기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연한 연구기관,「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대학 등이다. 여기서 전문기관이 개별평가를 담당하며, 상위평가인 종합평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년 3월 문체부장관 지정)이 담당하고 있다. 평가대상은 중앙행정기관 및 자치단체가 신청을 하며, 지표는 문화기본권과 문화정체성에 대한 것으로 구성되며, 주로 문화향유, 문화 다양성, 문화경관 및 문화유산,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개별평가의 평가지표(2015년) 개별평가의 평가지표표로 평가 항목,평가지표,측정 항목,평가방법 예시의 정보를 제공한다. 평가 항목 평가지표 측정 항목 평가방법 예시 문화기본권 1.문화격차에 미치는 영향 영향의 양태 영향의 경로 영향력의 크기 영향력의 지속성 사업계획서 및 추진현황 자료 분석 통계자료를 활용한 추세분석 및 시뮬레이션 설문조사 결과 활용 심층인터뷰 델파이기법 초점집단면접(FGI) 2.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3.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체성 4.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 5.문화적 경관에 미치는 영향 6.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출처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홈페이지, 2015년 문화영향평가 연구(양혜원) 종합평가의 평가지표(2015년) 종합평가의 평가지표표로 평가 항목,평가지표,세부 평가지표의 정보를 제공한다. 평가 항목 평가지표 세부 평가지표 문화기본권 1.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문화접근성 문화향유수준 2.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표현 및 참여 기회 생활문화예술 참여 3.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종 다양성 소수집단의 문화적 표현에 대한 차별 문화정체성 4.문화경관 및 유형문화유산 등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관 및 유형문화유산 등의 보호 문화경관 및 유형문화유산 등과의 조화 5.무형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 무형문화유산의 보존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활용 6.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 문화공동체 출처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홈페이지, 2015년 문화영향평가 연구(양혜원) ", "현재 용어의 사용": "문화영향평가와 유사한 용어로는 예산사용 재정사업의 성별영향평가, 고용영향평가, 부패영향평가, 규제영향평가, 균형발전영향평가 등이 있다. ", "해외사례": "영국의 쉐필드시는 문화 및 미디어, 첨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신(新)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시내 철강공업지역이었던 곳을 문화산업지구(CIQ, cultural industrial quarter)로 지정하였다. 또한 지구 내에 문화산업 관련 기업들이 집적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고 최근에는 문화산업지구 중심부에 업무와 생활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더 큐브(the cube) 사업과 디지털산업업무공간개발 사업(CE:SY, Creative Exchange: South Yorkshire)을 추진하였다. ",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http:\/\/www.mcst.go.kr) 양혜원(2015), 2015년 문화영향평가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 ", "작성자": "김영준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 { "정책용어": "문화산업지구", "생성배경": "국가 및 지역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성장산업으로서 문화산업 분야가 급부상하면서 문화산업지구는 문화산업 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기업과 인력 등을 공간적 집적을 통해 문화상품의 지속적 개발과 유연적 생산을 도모하고자 도입되었다. 문화산업 육성에 있어 문화산업지구는 전략적 시스템 혹은 핵심적 기반시설이 될 수 있으며, 세계적으로 영상 및 소프웨어산업, 영화산업, 디자인 및 공예산업, 출판 및 인쇄산업, 방송 및 광고산업, 공연예술산업지구 등의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 "용어설명": "일반적으로 문화산업지구는 산업지구 중에서 문화산업으로 특화된 지구를 의미하지만 제도적으로는 문화산업단지, 문화산업진흥지구, 문화산업투자진흥지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문화산업단지는 1999년 「문화산업진흥기본법」제정에 따라 기업, 대학, 연구소, 개인 등이 공동으로 문화산업과 관련한 연구개발, 기술훈련, 정보교류, 공동제작 등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 토지·건물·시설의 집합체이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개발된 산업단지를 의미하며, 단지조성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또는 도시첨단산업단지의 지정·개발 절차에 따른다. 문화산업진흥지구는 2006년 「문화산업진흥기본법」개정을 통해 문화산업진흥지구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로 본다. 문화산업진흥지구는 콘텐츠 관련 시설 밀집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지역으로, 집적화를 통한 문화산업 관련 기업이나 대학, 연구소 등의 영업활동, 연구개발, 인력양성, 공동제작 등을 장려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지사가 지정한 지역을 말한다. 즉, 문화산업단지는 인위적으로 단지를 조성하여 기업 및 연구소 등을 집적시키는 반면, 문화산업진흥지구는 이미 유사시설 등이 집적화된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내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것이므로, 기존 산업시설의 집적화 여부에 따라 구분되며 2009년 「문화산업진흥기본법」개정을 통해 병행·시행하고 있다. 문화산업투자진흥지구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문화산업진흥을 위해 30억 원 이상의 투자유치가 가능한 문화산업 기반이 조성되어 있거나 갖추어질 예정인 지역, 문화산업 관련 기업 및 연구소 등 문화산업 연구개발, 인력양성 등을 장려하고 촉진할 수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투자자가 희망하는 지역, 투자유치를 촉진하는 데 유리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문화산업단지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청주 등 8개 지역을 지정하였으나 부산, 대구, 대전, 부천, 전주는 단지지정 협의단계에서 진흥지구로, 광주는 사업 자체를 전환함으로써 청주와 춘천 등 총 2곳만이 조성·운영되고 있다. 문화산업진흥지구는 총 11곳이 지정·운영되고 있으며, 각종 부담금 면제(대체산림자원 조성비 등 4종) 및 각종 인허가 혜택(공공하수도 공사시행, 하천도로 공사시행 및 점용 등 9종), 세제혜택(취득세·등록세 면세, 재산세 50% 면제 등) 등을 지원하고 있다. 문화산업투자진흥지구는 2010년 광주 CGI센터권역, 국립아시아문화전당권역, KDB생명빌딩 등 3곳을 지정하였다. 투자진흥지구에 30억 원 이상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하여 법인세, 소득세를 3년간 100%, 그 후 2년간 50% 감면혜택과 취득세, 등록세, 재산세 면제 및 국·공유 재산에 대한 각종 혜택과 시설물 지원, 입지, 투자, 고용, 훈련보조금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문화산업단지 및 진흥지구 지정현황(2012년 10월 현재) 문화산업단지 및 진흥지구 지정현황표로 문화산업단지,문화산업진흥지구의 정보를 제공한다. 문화산업단지 문화산업진흥지구 지역 중점 유치업종 비고 지역지정 중점 유치업종 부산 영상, 게임 지구전환 부산(08.2.29) 영상, 게임 대구 게임, 모바일콘텐츠, 디자인 지구전환 대구(08.2.29) 게임, 모바일콘텐츠, 뉴미디어 광주 디자인, 캐릭터, 공예 사업전환 대전(08.2.29) 첨단영상(영화), 게임 대전 영상(영화 중심), 게임 지구전환 부천(08.2.29) 만화, 애니메이션 부천 출판만화 고시 전주(08.2.29) 한 스타일, 영상 춘천 애니메이션 고시 천안(08.2.29) 문화디자인 청주 에튜테이먼트 콘텐츠산업 지구전환 제주(08.2.29) 디지털영상, 모바일콘텐츠 전주 디지털영상 지구전환 인천(08.12.2) 차세대 실감형 콘텐츠 고양(08.12.2) 방송영상(방송, 영화, 게임, 애니) 안동(10.1.21) 영상, 공예, 공연\/전시산업 성남(10.2.17) 게임사업 및 IPTV 산업 ", "해외사례": "영국의 쉐필드시는 문화 및 미디어, 첨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신(新)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시내 철강공업지역이었던 곳을 문화산업지구(CIQ, cultural industrial quarter)로 지정하였다. 또한 지구 내에 문화산업 관련 기업들이 집적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고 최근에는 문화산업지구 중심부에 업무와 생활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더 큐브(the cube) 사업과 디지털산업업무공간개발 사업(CE:SY, Creative Exchange: South Yorkshire)을 추진하였다. ", "참고자료문헌": "정헌일(2011), 지역문화산업정책의 변천과 발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2009),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투자진흥지구 지정 및 개발관리전략연구 이창호(2011), 투자진흥지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연구 제43권 권호혁(2000), 지방문화산업육성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서봉만(2013), 인천문화산업진흥지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연구, 인천발전 연구원 ", "작성자": "김효정(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대표) \n\n" }, { "정책용어": "문화도시", "생성배경": "1984년부터 유렵연합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럽문화수도(유럽문화도시)는 아메리카, 아랍문화수도사업으로 확산되면서 문화적인 도시의 가치와 의미가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 계기를 형성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후반 부천, 서울, 춘천, 강릉 등 지자체 단위로 문화도시 전략을 추진하였지만 2002년 대선공약사업인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2004~)를 시작으로 경주역사문화도시, 전주전통문화도시, 공주부여백제역사문화도시 등을 지역거점 문화도시로 지정하면서 국가정책으로 본격화되었다. ", "용어설명": "우리나라에서 정책적 차원에서 문화도시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00년 1월 28일 개정된 도시계획법 제5조 제1항에서 문화도시를 시범도시 유형의 하나로 규정하면서 부터이다. 이후 지역거점문화도시 조성사업, 2012년 동아시아 문화도시선정사업 등 정책사업과 연구\/논문 등을 통하여 문화도시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형성되어 오다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문화도시는 ‘문화예술\/문화산업\/관광\/전통\/역사\/영상 등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문화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동법 제15조(문화도시의 지정)에 따라 지정된 도시’로 규정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2016 동아시아 문화도시 공모 및 선정결과 발표,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5 문화도시문화마을조성사업현황, 문화체육관광부 자료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 전문가 간담회 자료, 김효정, 2013 문화도시문화마을 선정 및 지원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3 지역거점문화도시 조성기본계획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7 ", "작성자": "김효정(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대표) \n\n" }, { "정책용어": "도시형공장", "생성배경": "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산업기반시설이 취약했던 우리나라는 1990년 이전까지 다양한 공업입지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특정지역에 대규모 공업단지를 조성하여 공업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왔다. 하지만 당시 공업입지 관련 법률이 너무 복잡·다기했기 때문에 부처 간 정책 조정에 어려움을 야기했고 입지수요에 부응한 적기·적소의 공업용지 공급에도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관련 법령에 의한 용도지역과 공장설치의 제한이 상이하고, 공업단지의 경우 근거법에 따른 지정권자와 사업시행 및 관리권자가 다원화되어 있어서 일선에서의 혼선과 비효율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따라 특정지역에 대단위 공단 위주의 계획입지를 집중적으로 조성하던 공급자 위주의 공업입지정책의 틀을 바꾸기 위해 입지관련 법률의 통폐합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1991년 종전의「공업단지관리법」,「공업배치법」 등을 통합하여 상공부가 주관하는「공업배치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이 때 도시형공장의 규정(이후 내용 변경 없음)이 도입되었다. ", "용어설명": " 도시형공장은「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이하「산집법」) 제28조와 동법 시행령 제34조에 따라 첨단산업의 공장, 공해발생정도가 낮은 공장 및 도시민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공장 등(산업통상자원부장관 지정)을 의미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2013), 지역산업정책백서 경기도(2004), 수도권 공장 신·증설 규제의 합리적 개선방안 연구 1) ①「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특정대기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을 설치하는 공장, ②「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을 설치하는 공장으로서 같은 법 시행령 별표 10의 1종사업장부터 3종사업장까지에 해당하는 공장, ③「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배출하는 폐수배출시설을 설치하는 공장, ④「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폐수배출시설을 설치하는 공장으로서 같은 법 시행령 별표 13의 1종사업장부터 4종사업장까지에 해당하는 공장 ", "작성자":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도시첨단산업단지", "생성배경": " 그간 산업단지가 시장과 인력을 갖춘 도시지역보다는 도시 외곽 위주로 지정되어 도시지역 입지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됨에 따라 도시지역 입지공급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2001년에 도시첨단산업단지제도를 도입하였다. ", "용어설명": " 도시첨단산업단지란 지식산업·문화산업·정보통신산업, 그 밖에 첨단산업의 육성과 개발촉진을 위하여 도시지역 안에 지정된 산업단지를 말한다(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지식산업·문화산업·정보통신산업 등 첨단산업의 육성, 여러 지역에 산재한 개별 첨단산업 입지의 집적화, 벤처기업 전용단지·문화산업 단지·소프트웨어 진흥단지 등 첨단산업육성을 위한 단지를 개발하는 경우에 지정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1), 토지이용 용어사전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단지공단(2012),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국가·일반·도시첨단·농공단지) 산업통상자원부(2013),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3차 무역투자활성화회의 ", "작성자": "류세선 센터장(한국금형산업진흥회) \n\n" }, { "정책용어":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생성배경":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는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철학과 추진방향을 국민에게 알리고, 지역발전 정책성과를 홍보하기 위해 2004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는 범부처 종합행사이다. 특히, 2017년에는 문재인정부의 첫 박람회로서 새정부 출범에 따른 국정과제와 연계한 국가균형발전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국민˙지역의 관심도 제고를 위한 소통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행사의 운영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동 박람회는 개최연도에 따라 지역혁신박람회, 지역투자박람회˙지역발전주간, 지역희망박람회 등으로 그 명칭이 변경되어 왔는데, 시기별로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전략˙방향에 따라 행사명, 행사내용의 주안점 등에서 약간의 변화만 있었을 뿐,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세부 실천방안 및 협력방안 논의, 성과 점검, 지역별˙부문별 우수사례 발굴˙확산 등 행사의 기본적인 골격은 큰 변화 없이 계속 유지되고 있다. 2017년 균형발전박람회의 경우 공급자(정부) 중심의 단순 정책홍보가 아닌 정책 수요자(국민)의 의견이 반영되는 ‘소통과 참여 중심’의 행사로 구성하고, 또 지역 및 국가 발전의 주역으로서 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청년과 일자리 중심’의 프로그램을 강화˙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이전의 박람회 대비 차별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전 정부별 박람회의 주요 특징 및 중점방향을 살펴보면, 참여정부 시기인 2004~2007년에는 ‘지역혁신을 통한 자립적 지방화’의 전략을 정부와 지역이 함께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2008~2012년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투자촉진, 광역경제권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과 관련한 정책방향 논의 및 성과(지역투자, 수출, 고용 등) 홍보 위주로 행사를 진행하였다. 2013~2016년에는 ‘지역에 희망을, 주민에게 행복을’이라는 슬로건 하에 생활권정책 중심으로 지역발전 정책의 다양한 성과를 공유하고 창조경제 시대의 새로운 지역 정책인 ‘규제프리존’ 홍보에 초점을 맞추었다. 균형발전박람회 개최 현황(2004~2017년) 균형발전박람회 개최 현황표로 구분,2004~2007,2008~2012,2013~2015,2017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2004~2007 2008~2012 2013~2015 2017 명칭 지역혁신 박람회 지역투자 박람회 지역발전 주간 지역희망 박람회 균형발전 박람회 연도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장소 부산 대구 광주 서울 서울 서울 대구 광주 창원 부산 광주 인천 경기 부산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17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추진계획(안), 2017.10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2017), 2017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추진계획(안) 산업통상자원부(2016), 2016 대한민국 지역희망박람회 추진계획(안)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 대한민국 지역희망박람회 추진계획(안)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농촌관광마을", "생성배경": "농촌지역이 겪고 있는 인구감소, 고령화, 생산연령감소 및 노후주택비율 상승, FTA 체결 등의 사회적·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농촌지역 경제활성화 및 지역경쟁력 증진을 위하여 정부가 마련한 대안이다. 기존 농업생산의 양적생산으로부터 소비자 지향의 질적 생산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농촌공간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체험, 휴식, 관광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 "용어설명": "광의적으로는 녹색농촌체험마을(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전통테마마을(농촌진흥청), 산촌생태마을(산림청) 등을 포함하며, 「도시와 농어촌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에서는 소정의 요건을 갖추고 관련절차에 따라 국가 및 지자체의 의해 지정받은 마을을 의미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농촌관광마을은 체험마을 개발형태로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촌마을종합개발, 아름마을, 어촌체험마을, 농촌전통테마마을, 산촌생태마을, 정보화마을 등이 있다. ", "해외사례":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해 일본에는 농산어촌휴가법이 제정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농촌휴가법을 제정하였다. 해외 유사제도로는 프랑스의 민박 지트(Gites), 영국의 팜 할러데이(farm holiday), 일본의 팜 인(farm inn) 등이 있다. 농촌관광마을 사업 농촌관광마을 사업표로 사업명,추진 부처,목적,사업 내용,대상,사업량,사업비의 정보를 제공한다. 사업명 농촌전통테마마을 녹색농촌체험마을 산촌생태마을 정보화마을 추진 부처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부 산림청 안전행정부 목적 농촌전통문화 및 지식의 발굴·활용 농촌 주민소득 증대와 지역활성화 도시민의 관광수요를 이용하여 농촌체험 관광 유치 농가소득향상에 기여 산촌지역 자원활용 소득원 개발 산촌주민의 삶의질 향상 및 지역균형발전 정보이용환경 조성 교육을 통한 정보생활 격차해소 지역특산물 상거래 판매지원 사업 내용 마을 고유의 테마 및 먹거리 자원의 체계적 발굴 하드웨어 측면 체험학습시설, 마을환경 정비 등 소프트웨어 측면 고유체험프로그램 운영매뉴얼 개발, 주민 교육 등 마을공동 농촌체험시설 및 경관조성, 생활편의 시설, 기타 S\/W 관련 사업 등 생산소득기반, 산촌체험시설 조성 생활기반 조성, 마을경관 개선 등으로 산촌마을의 생활환경 개선 초고속 인터넷망, 마을정보센터, 가구별 PC보급, 정보이용환경 구축 마을별 홈페이지, 중앙컨텐츠 구축 대상 전통을 보유하고, 보존·발전이 가능한 농촌마을 그린투어를 위한 마을협정체결결과 주민합의가 갖추어진 마을 산촌진흥지역으로 지정·고시된 법정리 산촌마을 농산·어촌의 마을 사업량 (’09) 170개소 442개소 204개소 370개소 사업비 2억원\/개소당 -국비\/지방비 50% -1억씩 2년간 지원 2억원\/개소당 -국비\/지방비 50% 14-16억원\/개소당 -사전설계(1년) 국고100% -마을조성(2년) 국고 70%, 지방비 30% 3억원\/개소당 -국비\/지방비 50% 출처 : 김미령(2011) 수정. ", "참고자료문헌": "김미령(2011), 농촌관광마을조성사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강릉지역 어메니티관광개발 조성마을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보미, 이응진(2010), 농촌관광마을에서 갈등이 마을 운영성과와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민 간 갈등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6(2). pp. 43-61 ", "작성자":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n" }, { "정책용어": "농지관리기금", "생성배경": "농지관리기금은 대규모 영농을 육성시켜 효율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농업인들이 안정적으로 농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는 농지를 최대한 보전하되 새로운 농지를 조성ㆍ개발하여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 "용어설명": "농지관리기금은 영농규모의 적정화, 농지의 집단화, 농지 조성 및 효율적 관리, 해외농업개발에 필요한 자금지원 및 공급을 목적으로 도입하게 되었으며, 농지은행, 새만금, 시화호 등이 농지관리기금에 뿌리를 두고 진행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농지관리기금은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이 기금은 대부분 농지보전부담금을 통해 조성된 것이다. 농지법 제38조에 따르면 농지보전부담금은 한정된 자원인 농지를 보전ㆍ관리 및 조성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지를 다른 용도로 전용(轉用)하는 자에게 부과하는 원인자부담 성격의 경제적 부담을 말하며, 이 부담금은 2002년 농지전용사업자에 대해 국민식량의 공급기반인 농지의 대체조성 비용으로 부과한 농지조성비(1975년)와 농지전용으로 발생하는 개발이익을 환수하여 농어촌 구조개선사업 재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부과된 농지전용부담금(1992년)을 통합한 것이다. 한편, 농지관리기금의 주요사업으로는 농지이용관리사업, 농지보전사업, 농지조성사업 등을 들 수 있다. 농지이용관리사업 : 영농규모화사업, 농지종합정보화사업, 쌀전업농교육훈련사업 등 농지보전사업 : 경영회생지원농지매입사업, 농지연금사업 등 농지조성사업 : 농지조성사업, 담수호수질개선사업, 해외농업개발사업 등이다. ", "해외사례": "프랑스 SAFER(토지정비농사창설회사) SAFER의 설립목적은 농업기본법(농업의 방향정립에 관한 법률)에 의한 농업구조개선에 있다. 즉, SAFER의 운영사례는 농업경영체의 육성 등을 위해 농지가격의 상승을 억제하고, 선매권을 활용하여 전업경영체의 육성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사례이다. 선진국에서 농지선매권 등을 활용하면서 농지시장에 강하게 개입한 사례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프랑스 SAFER의 사례는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프랑스 SAFER의 핵심 7대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프랑스 SAFER의 주요 기능 프랑스 SAFER의 주요 기능표로 기능,주요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기 능 주 요 내 용 영농정착 및 농업경영체 육성 청년 영농정착(가족농, 회사형태) 점진적 형태, 겸업적 형태, 기타 형태 영농 재정착 정착단위의 규모화 농림업의 생산조건 개선을 위한 필지정비 및 농지방치 예방 농지정비 필지정비(필지 교환, 규모화) 임차농의 유지, 발전 농업자본 참여자를 위한 토지전매 농업경영체 간의 균형발전 및 생산분야별 균형발전 경영규모화 유휴한계농지에 대한 이용계획 수립 환경보호 토지시장 감독, 정부의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토지소유방향의 유도 국립공원 등과 연계한 토지자원 농촌경제개발 농촌개발계획(관광, 레저 등)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토지제공 공공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농촌 및 도시근교 지역의 토지정비 단지화, 농업경영체 보호 및 재정착 유도 도시화지역의 농업구조의 재조정 환경보호 및 도시근교지역에서의 농업 공간보호, 환경 및 경관 보호 지방자체단체의 관련 활동 지원 농촌토지시장의 투명성 제고와 시장 조절 토지시장 정보의 배포 토지시장 동향 감독 토지시장 관련 컨설팅 비고 : 농지은행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김홍상\/김경덕, 200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를 재구성함 비고 : 농지은행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김홍상\/김경덕, 200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를 재구성함 ", "참고자료문헌": "최인호(2013), 농지연금제도에 대한 연구 전태목(2007), 농지은행사업의 효율적인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권영진(2006), 한국농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 : ‘농업생산’에서 도시와 연계된 ‘농촌종합개발’ 전략으로 김홍상, 김경덕(2004), 농지은행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종훈(2011), 농지연금제도의 안정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n" }, { "정책용어": "농어촌자원복합산업", "생성배경": " 지역별 특화 향토자원의 발굴, 6차 산업을 위한 융·복합산업의 집중육성 방안 등은 농어촌의 다양한 자원을 기반으로 한 복합산업에 대한 이목을 더욱 집중시키고 있다. 현재 농어촌지역의 향토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주체 양성 및 지역혁신체계[RIS] 구축, 지역 부존 향토자원의 발굴 및 산업화에 필요한 RD 기반 구축, 농수산업·향토식품특산품 가공 등 제조업 육성 및 기업투자 유치, 농어촌 체험휴양서비스업 및 도농교류 활성화 기반 구축을 위해 농어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용어설명": " 농어촌의 다양한 자원을 기반으로 농어촌산업의 1·2·3차 복합산업화를 통해 창출된 산업을 일컫는다. 농어촌자원복합산업으로 창업 및 기업유치를 활성화함으로써 지역의 경제활동 다각화와 소득 및 고용기회 증대를 도모하고, 농어촌 지역 부존자원의 발굴 및 산업화에 필요한 생산, 유통, 제조, 가공, RD, 마케팅 기반구축, 향토기업 집적화 기반조성, 농어촌 체험, 휴양 서비스 제공 등 농어촌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농림수산식품부(2012), 농어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사업 2013년도 예산신청 가이드라인 농림수산식품부(2012), 농어촌산업화 정책 성과평가 및 향후 발전방안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2008), 농어촌산업정책 추진체계 개편 방안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n" }, { "정책용어": "농어촌서비스기준", "생성배경": "2000년대 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농어촌 주민들에게 적절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농어촌에서의 삶의 질을 증진하고 사회적 통합을 달성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한국에서도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범부처적인 투자를 지속해 왔다. 하지만 삶의 질이나 공공서비스 공급에 있어 도농간 격차 그리고 선진국 농어촌과의 격차가 여전히 큰 상태이다. 농어촌 삶의 질이 낙후한 이유 중 하나로 그간의 정책 성과 목표가 하드웨어 중심의 투입지표 위주로 설정되어 있어 농어촌 주민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이에 더해 2010년부터 삶의 질 향상 대책에 포함되는 단위 사업 상당수가 기초생활권 정책에 의해 통폐합 및 포괄보조화 됨에 따라 중앙정부, 광역ㆍ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준거로 삼을 만한 새로운 정책목표의 기준 제시가 필요해졌다. 이러한 정책 수요에 대응하여 정부는 2010년 7월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하여 ‘농어촌서비스 기준 제도’를 도입한 후 2011년 1월부터 동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농어촌서비스 기준이란 ‘농어촌 지역에서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최소한의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 항목과 수준’을 의미한다. 여기서 최소한의 항목과 수준이란 어떤 농어촌 지역에서도 주민의 삶의 질 제고와 복지 향상에 있어 공평한 서비스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적 최소 수준(national minimum)을 의미한다. 정주공간으로서 농어촌 주민들이 떠나지 않고 나아가 도시민들의 귀농ㆍ귀촌을 촉진하는 데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서비스 접근성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선진적 정책수단이라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농어촌서비스 기준은 농어업인 등이 일상생활을 하는 데 요구되는 공공서비스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서비스 항목과 그 항목별 목표치를 의미한다. 동법의 시행령에서는 별표를 통해 농어촌서비스 기준의 서비스 항목과 항목별 목표치를 제시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서비스 항목별 목표치의 세부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고시하였다(농림축산식품부 고시 제2011-5호). 농어촌서비스 기준의 서비스 항목과 항목별 목표치 세부 내용 농어촌서비스 기준의 서비스 항목과 항목별 목표치 세부 내용표로 부문,항목,세부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부문 항목 세부내용 1. 주거 가.주택 최소주거기준 이상 주택(거주가구) 비율을 90% 이상으로 한다. 나.난방 읍지역 도시가스 보급률을 50% 수준으로 하고, 도시가스 보급이 어려운 지역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등 난방비 저감 정책을 우선 추진한다. 다.마을공동시설 경로당, 마을회관 등 마을공동시설의 유지관리 및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라.상수도 면지역 상수도 보급률을 75% 이상으로 한다. 지자체는 원수의 수질을 검사하고, 먹는 물 수질기준에 따른 수질관리를 해야 한다. 마.하수도 하수도 보급률을 71% 이상으로 한다. 2. 교통 가.대중교통 도보 15분 거리 내 버스 정류장에서 노선버스, 순환버스 등 대중교통을 하루 3회 이상 이용할 수 있다. 수요부족으로 대중교통 운행이 어려운 지역은 수요대응형 준공공교통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나.여객선 도서지역의 경우 모든 본도에 1일 왕복 1회 이상의 여객선이 운행된다. 도서의 주민은 여객선 운임의 일부를 지원받는다. 다.인도(人道) 읍ㆍ면 소재지에 접근하는 주요 농어촌 생활도로 정비 시 차도와 구분된 인도를 확보하도록 노력한다. 3. 교육 가.유치원ㆍ초등 학교ㆍ중학교 지역여건에 맞는 적정 규모 학교를 육성하고 적절한 통학수단을 제공한다. 나.고등학교 시ㆍ군에 1개교 이상 우수 고등학교를 육성한다. 다.폐교 폐교 시 학생들의 통학 및 폐교시설의 재활용 대안에 대해 공청회 등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한다. 라.방과 후 학교 교과 과목, 특기 적성 등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참여 비율을 70% 이상으로 한다. 마.의견 수렴 시ㆍ군에 지자체와 교육청, 주민 등으로 구성된 교육발전위원회를 설치한다. 바.평생교육 읍ㆍ면별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거점시설이 1개 이상 운영된다. 4. 보건 의료 가.진료 서비스 시ㆍ군 내에서 내과, 한방과, 물리치료실 등 중요과목 의사 진료가 가능하다. 나.순회방문 마을별로 월 1회 이상 보건소 등의 전문 인력의 순회 방문을 받는다. 다.의약품 구입 자동차로 20분 내에 일반의약품 구입이 가능하다. 5. 복지 가.노인 도움이 필요한 노인은 주 1회 이상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나.청소년 자동차로 30분 내에 청소년센터에 도달할 수 있다. 다.아동 자동차로 20분 내에 초등학생들을 위한 아동센터 등 방과 후 돌봄 시설에 도달할 수 있다. 라.영유아 일정한 수요가 있는 지역에서는 자동차로 20분 내에 소규모 영유아 보육시설에 도달할 수 있다. 마.다문화가족 자동차로 30분 내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시설에 접근할 수 있다. 교통 불편으로 센터이용이 어려운 경우 방문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6. 응급 가.응급 서비스 응급환자 발생 시 기본적인 응급 장비가 마련된 구급차가 30분 내에 도착하여 응급처치를 한다. 나.도서ㆍ벽지에 대한 응급 서비스 낙도ㆍ벽지에 헬기ㆍ선박을 이용한 환자 이송체계를 구축한다. 다.소방 서비스 화재 발생 신고 접수 후 5분 내에 소방차가 현장에 도착하는 비율을 55% 이상으로 한다. 라.도난 방지 도난방지 등을 위한 방법용 CCTV가 주요 간선도로 길목에 설치되어 있다. 마.경찰 서비스 112 신고 시 출동시간을 10분 이내로 한다. 7. 문화 가.독서 읍ㆍ면 내에서 도서 열람 및 대출이 가능하다. 나.문화시설 및 프로그램 자동차로 30분 내에 문화예술회관 등 문화시설에 도달할 수 있고, 월 1회 이상 문화 프로그램과 분기별 1회 이상 전문 공연프로그램을 관람할 수 있다. 다.찾아가는 문화프로그램 찾아가는 문화 프로그램과 지역 자체 문화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연 2회 이상 찾아가는 문화 프로그램을 향유할 수 있다. 8. 정보 통신 가.초고속망 농어촌 어디에서나 초고속망 접속이 가능하고, IPTV 시청이 가능한 광대역 통합망 구축률을 80% 이상으로 한다. 출처 : 김광선 외(2011), 2011 농어촌서비스 기준 이행실태 점검ㆍ평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모든 농어촌서비스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시ㆍ군은 아직 없다. 하지만 농어촌서비스기준 제도를 도입한 2011년 이후 기준 이행실태가 점차 향상되고 있다. 2013년에는 2011년과 비교하여 21개 항목의 이행실태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해외사례": "영국에서는 2000년 『농어촌 백서(Our Countryside: the future)』를 발간하여 농어촌 발전의 비전을 제시하고, 비전을 달성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 수단의 하나로서 농어촌서비스 기준을 제정하고 공표하였다. 2000년 『농어촌 백서』에 공표된 농어촌서비스 기준은 14개 부문에 대해 36개 기준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2004년부터는 핵심적인 기준만을 선정하여 8개 부문 13개 서비스 기준으로 개편되었고, 2007년부터는 공공서비스 공급에 대한 기존의 국가 기준을 각 지역 실정에 맞게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OECD에서는 농어촌정책컨퍼런스(독일 쾰른, 2008년 4월)와 농어촌지역정책워킹그룹회의(프랑스 파리, 2008년 11월) 등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서비스 전달’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를 진행해 왔으며, 그 결과 2010년에 농어촌 정책 리뷰 ‘농어촌서비스 전달 개선을 위한 전략’을 내놓으며 관련 논의를 회원국 전체로 확대하였다. ",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송미령 외(2009), 기초생활권 생활 서비스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외(2010),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어촌 서비스 기준’ 도입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광선 외(2010), 농어촌 서비스기준 운용방안 및 농어촌 통계기반 구축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김광선 외(2011), 2011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광선 외(2012),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 실태와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윤병석(2012), 2011 농어촌서비스기준 통계 자료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작성자": "채종현 부연구위원(대구경북연구원) \n\n" }, { "정책용어": "규제자유특구(규제프리존)",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0190103 규제자유특구 하위법령 전부개정령안 입법예고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0190116 14개 시·도 “찾아가는 규제자유특구 설명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0190415 지역과 함께하는 혁신성장, 규제자유특구제도 17일 시행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0190417 지역단위 규제샌드박스, 규제자유특구 제도 본격 시행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0190717 규제자유특구 최초 지정을 위한 심의위원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81026 산업부-규제자유특구-시도별 혁신거점인 ·국가혁신클러스터· 본격 시동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81227 2019년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산업부 주요 지역정책 설명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권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센터", "생성배경": "적정규모의 지역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력, 시설, 장비를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재배치하는 것을 응급의료체계(EMSS :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라 하고「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지정기준, 방법 및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특별시·광역시·시·도별로 1개소를 지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의료자원의 분포, 주민의 생활권, 주민의 수 등을 감안하여 추가로 지정하거나 2개 이상의 시·도에 1개소를 지정할 수 있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주민의 접근간격을 고려하여 특별시 및 광역시는 인구 100만 명당 1개소, 도는 인구 50만 명당 1개소를 원칙으로 시· 도지사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제30조의 규정에 따라 지정할 수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세계 각국은 그 나라에 적합한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저마다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크게 영-미 모델과 불-독 모델로 분류하지만 다양한 모델들이 세계에는 존재하고 있다. 영-미 모델(Anglo-American model)은 병원 전 단계의 처치를 의사가 아닌 사람이 담당하는 것으로 주로 응급구조사 특히 전문응급구조사가 담당한다. 따라서 의료지도가 중요시되며, 응급의학의사가 이들을 직·간접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한다. 이런 모델은 호주, 캐나다, 코스타리카, 홍콩, 뉴질랜드, 싱가포르, 대만, 영국, 미국 등에서 볼 수 있다. 불-독 모델(Franco-German model)은 병원 전 단계 처치를 의사가 제공한다. 의사가 응급의료체계의 일원으로 참가하지만 경우에 따라 현장에서 의사의 지도하에 전문응급구조사가 처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 외에 병원 전 처치를 간호사가 담당하는 네덜란드 모델, 지역에 기반을 둔 응급센터에서 응급의료서비스를 담당하는 사라예보 모델, 매우 위중한 응급환자만 구급차를 통하여 응급센터에 들어갈 수 있는 일본모델이 있다. ", "참고자료문헌": "국가법령정보센터,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5.1.26) 중앙응급의료센터 홈페이지(www.nemc.or.kr) 중앙응급의료센터, 2014 응급의료 통계연보(2015) ", "작성자": "김석중(강원발전연구원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생성배경":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하 법) 제30조에 의해 지역별 특성과 비교우위에 있는 지역의 특화발전을 지원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지역발전특별회계의 관리운영은 기획재정부 장관이 하도록 되어 있으며(법 제31조), 회계는 경제발전 계정(부처편성), 생활기반 계정(지자체편성), 제주특별자치도 계정 및 세종특별자치시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다(법 제32조). ", "용어설명": " 지역발전특별회계는 과거 참여정부 당시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이하 균특회계)’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균특회계는 예산을 일괄하여 패키지로 지원하고, 지역이 자체 우선순위에 따라 원하는 사업을 선택하여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중복투자를 줄이고 투자효율을 높이고자, 기존의 지방양여금을 폐지하면서 각 중앙부처가 분산 추진하던 균형발전 관련 사업을 하나의 특별회계로 통합한 것이었다. 2005년 도입 당시에는 지역개발 계정, 지역혁신 계정, 제주 계정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정부에서 광역지역발전 특별회계(광특회계)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구성도 광역 계정, 지역 계정, 제주 계정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업별˙부처별 칸막이, 단위사업 중심 지원의 한계가 지적되어 이를 극복하고자 포괄보조금 방식을 도입하였으며, 시˙도 간 연계사업을 중점지원하려 하였다. 이후 정부에서 지역생활권이 도입됨에 따라 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이 폐지되고 지역발전 계획체제로 개편되면서, 광특회계도 지역발전회계로 명칭이 변경(2015년 1월 1일 시행) 되었으며 ‘17년 10월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하였으며 법안에는 지역발전특별회계를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로 변경내용이 담겨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신두섭(2012), 2012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운용과 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원희, 권혁준(2013),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사업의 집행실태 및 사례연구, 국회예산정책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기획재정부, 2010-2015 나라살림(예산) ", "작성자":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 \n\n" }, { "정책용어": "광역권 관광개발", "생성배경": "문화체육관광부는 인접한 2개 이상의 시·도 관할 구역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한 특성을 가진 자연·문화·역사자원 등이 있어 연계 개발하고 관리하는 것이 자원의 개발·이용·관리 측면에서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을 ‘광역관광권’이라 정의하고 있다. 광역관광권은 복수의 지방자치단체가 포함되는 공간적 광역성과 행정구역을 넘어서 계획과 집행이 이루어지는 기능간 통합성을 특성으로 한다. ", "용어설명": "광역권 관광개발은 관광객의 광역지역간 이동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지역관광 경쟁력을 키우고, 지역별 관광개발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도입되었다. 광역권 관광개발은 관광객 이동의 증가와 광역화에 따른 대응체계를 만들어 줌으로써 관광객에게는 만족스러운 관광경험이 가능하며, 지역은 관광자원의 연계 개발을 통하여 지역관광 수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규모의 경제 및 관광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영준(2009), 광역권 관광개발 활성화 방안,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 전략, 지역발전위원회 2010년 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2011), 문화체육관광부 ", "작성자": "김영준(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 연구위원) \n\n" },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 "생성배경": "지방화·세계화가 진전되면서 공간·산업의 경계를 넘어서는 연계를 통해 경제·산업·환경·사회통합 등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간의 지역발전 지원사업을 통해 구축된 성과를 활용하고 지역간 혁신자원의 상호 의존성 또는 보완성을 제고하여, 경쟁과 협력을 통해 상호 공동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연계사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 "용어설명": "광역경제권 내 시·도간 또는 광역경제권간 시·도의 연계·협력 촉진과 다양한 분야의 지역간 협력사업 추진을 통해, 시너지 효과 제고와 광역경제권 발전의 구체화 도모를 위한 사업이다.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에는 해당 광역경제권의 발전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는 다양한 부문의 시·도간, 연계·협력 사업과 장비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서비스, 기획 및 네트워킹 등 모든 지원유형의 세부 사업이 포함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의 목표는 지역간 연계·협력 강화를 통한 시·도 단위 정책추진의 한계와 문제점 보완(단기), 지역산업정책을 혁신형·창조형으로 전환(중기), 글로벌 경제 거점지역 구축을 위한 산업 및 혁신기반 확충(장기)이다. 이러한 로드맵 하에 추진되는 구체적인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은 2010년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신규 사업을 원칙으로 하며 기존 사업을 광역으로 재편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5+2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 규모는 국비 540억 원(2011년 기준)이며, 사업제안기관 및 사업시행주체는 TP, 대학, 정부기관(지자체), 기업이 될 수 있다. 특히, 평가는 기존의 RD 평가 방식을 탈피하여 지역사업의 특성에 맞게 지역경제 기여도와 지역간 연계·협력 수준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광역경제권별로 설치된 광역경제발전위원회(「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28조)에서 기획·선정의 역할을 하고 있다.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 현황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 현황표로 권역,선정과제(2010년~2013년, 3년)의 정보를 제공한다. 권역 선정과제(2010년~2013년, 3년) 충청권 충청권 부품 패키징 산업육성 사업 등 총 6개 과제 호남권 글로벌 그린몰드메카 구축 사업 등 총 7개 과제 대경권 IT융합 SMART 금형기술 고도화 사업 등 총 4개 과제 동남권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근거리\/원거리 RADAR 시스템 개발 등 총 4개 과제 강원권 차세대 마그네슘 제련 국산화를 위한 초경량 부품 소재 개발 등 총 2개 과제 제주권 제주유배문화의 녹색관광자원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사업 등 총 2개 과제 ", "해외사례": "유렵연합(EU)의 지역간 협력 프로그램 INTERREG가 대표적인 사례로, EU 전체의 경제수준을 상위 15개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낙후지역발전, 주요지역 지속발전, 광역지역간 협력교류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국경지역간 협력, 국가간 협력, 지역간 협력 등을 추진 중(INTERREG IV: EU Territorial Cooperation, 2007년-2013년)에 있다. 노르웨이 BIA 프로그램도 무역 및 산업에 대한 RD 투자증대 활성화를 위해 분야에 제한 없이 열린 경쟁체제의 제품·서비스·프로세스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의 지역혁신창출공동체형성 사업은 여러 기관에 분산된 기술개발자원의 상호활용 촉진을 위해 연구기관협의회 운영 및 기업 원스톱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INTERREG 프로그램 추진경과 유럽연합의 INTERREG 프로그램 추진경과표로 구분,INTERREG,INTERREG Ⅰ,INTERREG Ⅱ,INTERREG Ⅲ,INTERREG Ⅳ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INTERREG INTERREG Ⅰ INTERREG Ⅱ INTERREG Ⅲ INTERREG Ⅳ 형태 시범사업 본사업 본사업 본사업 본사업 기간 1989 1990-1993 1994-1999 2000-2006 2007-2013 예산(억 유로) 0.21 10.82 26 58 75 세부 프로그램 국경지역간 협력 국경지역간 협력 국가간 협력 국경지역간 협력 국가간 협력 국경지역간 협력 국가간 협력 지역간 협력 국경지역간 협력 국가간 협력 지역간 협력 사용예산 ERDF(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 홈페이지 「지역과 발전」 가을호(2011), 지역발전위원회 광역연계협력사업에 3천억 원 투입 지원, 산업일보 INTERREG IVC Programme Manual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n" },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발전위원회", "생성배경": "이명박 정부는 지역 및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역발전정책 추진을 위하여 전국을 광역권 단위의 ‘5+2 광역경제권’으로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구로서 광역경제권 발전위원회(이하 “광역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광역경제권은 인구규모, 산업연계성, 역사문화 동질성,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인구 500만 내외의 5대 광역경제권(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과 인구 100만 내외의 2개 특별광역경제권(강원권, 제주특별자치도)으로 설정하였다. 광역위원회의 주요기능은 첫째, 광역경제권 발전계획(5년 단위) 및 광역시행계획(1년 단위)의 수립이다. 광역위원회가 수립주체로서 광역경제권 내 시·도간 종합적 계획으로 광역경제권 단위에서 지역발전의 공동목표를 수립한다. 둘째, 광역경제권 내 시·도간 협력사업의 발굴 및 재원분담이다. 광역경제권에서 규모의 경제와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산업·인력양성·과학기술·발전거점·교통물류·문화관광 등에서 시·도간 연계·협력이 요구되므로 자문단 등을 활용하여 시·도간 연계·협력이 가능한 과제를 발굴, 기획 및 재원분담 방안을 수립한다. 셋째, 광역경제권 사업의 관리 및 평가이다. 광역시행계획의 추진실적에 대한 자체평가 및 광역경제권 사업에 대한 평가를 광역위원회가 광역단위로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집행실적의 모니터링과 추진실적의 자체평가를 실시한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최정은(호남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선임연구원) \n\n" }, { "정책용어": "관광특구", "생성배경": "관광특구 제도는 관광시설이 밀집된 지역에 야간 영업시간 제한을 배제하는 등 외국인 관광객의 관광활동을 촉진하고자 1993년에 도입된 제도이다. 최초 관광특구의 개념은 자유로운 경제활동의 보장을 위하여 관련 법령 및 규제를 완화하는 경제특구 모델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실제 제도 도입시, 영업시간 제한을 완화하여 외국인 관광객의 불편을 해소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후 관광특구는 지자체 중심으로 관광특구진흥계획의 수립·시행 및 평가를 의무화 하고, 정부에서는 관광진흥개발기금의 보조 및 융자를 시행하는 등 관광 여건을 집중 정비·조성하는 지역으로 제도를 운용해 오고 있다. ", "용어설명": "관광진흥법 제2조에는 ‘관광특구란 외국인 관광객의 유치 촉진 등을 위하여, 관광활동과 관련된 관계 법령의 적용이 배제되거나 완화되고, 관광활동과 관련된 서비스·안내체계 및 홍보 등 관광여건을 집중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서, 관광진흥법에 의하여 지정된 곳’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관광특구는 외국인 관광객이 집중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련 산업을 진흥시키고 기반시설을 정비함으로써, 국제적 관광지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관광특구는 시장·군수·구청장의 신청으로 시·도지사가 지정한다. 관광특구 지정은 외국인 관광객 연간 10만명 이상(서울특별시는 50만명), 관광안내시설, 공공편익시설 및 숙박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을 것, 임야·농지·공업용지 또는 택지 등 관광활동과 직접적 관련성이 없는 토지의 비율이 10%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분리되어 있지 아니할 것 등 네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시장·군수·구청장은 관광특구진흥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하며, 시·도지사는 이를 평가하여 우수 관광특구에 대해서 지원하거나 미흡한 특구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관광특구로 지정되면 특구내 호텔업을 경영하는 자는 공개공지에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공연 및 음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자체장은 필요시 차마의 도로통행 금지 또는 제한 등을 할 수 있다. 관광특구내 문화·체육시설, 숙박시설, 상가시설의 사업자는 관광진흥개발기금의 융자를 받을 수 있으며, 정부는 관광특구 활성화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매년 관광진흥개발기금을 보조하고 있다. 관광특구는 2014년 3월 기준 전국적으로 13개 시·도의 28개 관광특구가 지정되어 있다. 1994년 제주도, 경주시, 설악, 유성, 해운대 등 5개소가 처음 지정된 후, 1997년 일시적인 지정요건 완화로 14개소가 신규 지정되어 대폭 증가하였다. 현재, 서울에 6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부산,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남 등 6개 시·도에 각 2개소, 경북, 충북은 3개소, 경기는 3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관광특구는 자원을 기준으로 도시형과 온천형, 산악형, 해양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광특구 지정 현황 관광특구 지정 현황표로 시·도,특구명,지정지역,면적(㎢),지정일의 정보를 제공한다. 시·도 특구명 지정지역 면적(㎢) 지정일 서울(6) 명동·남대문·북창 중구 소공동·회현동·명동·무교동 일원 0.87 2000.03.30 이태원 용산구 이태원동·한남동 일원 0.38 1997.09.25 동대문 패션타운 중구 광희동·을지로5~7가·신당1동 일원 0.58 2002.05.23 종로·청계 종로구 종로1가~6가·서린동·관철동·관수동· 예지동 일원, 창신동 일부 지역(광화문 빌딩~숭인동 4거리 0.54 2006.03.22 잠실 송파구 잠실동·신천동·석촌동·송파동·방이동 2.31 2012.03.15 강남 마이스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 일원 0.17 2014.12.18 부산(2) 해운대 해운대구 우동·중동·송정동·재송동 일원 6.22 1994.08.31 용두산·자갈치 중구 부평동·광복동·남포동 전지역, 중앙동·동광동·대청동·보수동 일부지역 1.08 2008.05.14 인천(1) 월미 중구 신포동·연안동·신흥동·북성동·동인천동 일원 3.00 2001.06.26 대전(1) 유성 유성구 봉명동·구암동·장대동·궁동·어은동·도룡동 5.86 1994.08.31 경기(4) 동두천 동두천시 중앙동·보산동·소요동 일원 0.39 1997.01.18 평택시 송탄 평택시 서정동·신장1·2동·지산동·송북동 일원 0.49 1997.05.30 고양 고양시 일산 서구·동구 일원 3.94 2015.08.06 수원 화성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장안구 일원 1.83 2016.01.15 강원(2) 설악 속초시·고성군 및 양양군 일부 지역 138.2 1994.08.31 대관령 강릉시·동해시·평창군·횡성군 일원 428.3 1997.01.18 충북(3) 수안보온천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안보리 일원 9.22 1997.01.18 속리산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상판리·중판리·갈목리 일원 43.75 1997.01.18 단양 단양군 단양읍·매포읍 일원(2개읍 5개리) 4.45 2005.12.30 충남(2) 아산시온천 아산시 음봉면 신수리 일원 3.71 1997.01.18 보령해수욕장 보령시 신흑동, 응천읍 독산·관당리, 남포면 월전리 일원 2.52 1997.01.18 전북(2) 무주 구천동 무주군 설천면·무풍면 7.61 1997.01.18 정읍 내장산 정읍시 내장지구·용산지구 3.45 1997.01.18 전남(2) 구례 구례군 토지면·마산면·광의면·신동면 일부 78.02 1997.01.18 목포 북항·유달산·원도심·삼학도·갓바위·평화광장 일원(목포해안선 주변 6개 권역) 6.90 2007.09.28 경북(3) 경주시 경주 시내지구·보문지구·불국지구 32.65 1994.08.31 백암온천 울진군 온정면 소태리 일원 1.74 1997.01.18 문경 문경시 문경읍·가은읍·마성면·농암면 일원 1.85 2010.01.18 경남(2) 부곡온천 창녕군 부곡면 거문리·사창리 일원 4.82 1997.01.18 미륵도 통영시 미수1·2동·봉평동·도남동·산양읍 일원 32.90 1997.01.18 제주(1) 제주도 제주도 전역(부속도서 제외) 1,809.56 1994.08.31 13개 시·도 31개소 2,636.47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2016.03), 내부자료 ", "해외사례": "우리나라 관광특구 제도는 미국의 관광촉진지구(TID: Tourism Improvement District), 일본의 국제관광 테마지구와 성격이 유사하다. 미국의 관광촉진지구는 특정지역의 여행 및 관광산업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제도로서 관광홍보 및 마케팅에 필요한 재원을 민간에게 모금하여 민관이 운영하는 조직을 통해 집행하는 방식이다. 관광촉진지구는 주 단위의 법에 근거를 두고 추진하고 있으며, 주로 지역마케팅기구 또는 관광협회, 주정부 등이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다. 일본의 국제관광 테마지구는 외국인 관광객 방문을 촉진하기 위하여 우수한 관광자원을 보유한 지역과 숙박거점 지역을 네트워크화하여 지정하고 있다. 국가·지자체·민간사업자 등이 협력하여 관광 프로모션 활동을 중심으로 관광환경 정비를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김영준(2007), 관광특구 제도개선 및 운영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2013), 관광특구 제도 개선방안 문화체육관광부(2013), 2012년 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한범수, 김덕기(1995), 관광특구제도 발전방안, 교통개발연구원 ", "작성자": "김영준 연구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n\n" }, { "정책용어": "공공디자인", "생성배경": "공공디자인의 개념은 1950년대 유럽 등 선진국에서 정립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당시의 공공디자인은 행정건물, 공공건물, 광장 등의 공간 설계와 이상적인 공간배치를 통해 주로 시각적 측면에서 공공장소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후 그 개념이 점차 확대되어 도시 공간의 문제해결, 실행, 효율적인 개발과 그 과정을 조직하는 것 등 단순히 시각적인 디자인을 뛰어 넘어 그 이상의 많은 영역을 포함하게 되었다.1) 이러한 개념 변화에 따라 오늘날의 공공디자인은 ①도시공간의 미적 배열이라는 미학적인 작업이기도 하지만 도시공간에 대한 역사, 사회, 문화의 배열이기도 하고, ②제품과 같이 특정한 결과물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또 그 과정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고, ③건축 등의 설계뿐 아니라 경관을 의미하기도 하며, ④디자인의 주체가 공공 조직이 될 수도 있지만 개인이나 사적인 집단이 될 수도 있고, ⑤공공디자인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작업이기도 하지만 예술과 같이 표현적이고 주관적인 인식의 영역이기도 한 것이다. ", "용어설명": "공공디자인(public design)이라 함은 협의로는 관공서, 역, 터미널, 도로, 문화유적지, 박물관, 전시관, 친수공간, 공원, 광장, 하천 등과 같이 공공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공간과 시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을 말한다. 광의로는 사유물이라 할지라도 공공적 성격을 띠는 공간과 시설2)까지 포함한다. 즉 도시 공간 및 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공공디자인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처럼 공공디자인은 대상 영역이 매우 광범위한데, 영역의 특성에 따라 공간 디자인, 시설물 디자인 및 이미지 디자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디자인의 대상 영역 공공디자인의 대상 영역표로 구분,세부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구분 세부내용 공간디자인 도시·마을 도시·마을의 경관정비 및 개선, 가로정비 등 도시 기반시설 공원, 운동장, 광장, 놀이터, 집회시설, 보도, 주차장, 터널, 도로, 철로, 교량, 육교, 고가도로, 하천, 하수처리장, 산업공단 건축 및 실내환경 마을회관, 파출소, 소방서, 우체국, 동사무소, 행정기관 건물, 시민회관, 문화재, 체육관, 공연장, 기념관, 박물관, 미술관, 공공복지시설, 공공의료시설, 휴게소,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철도역사, 지하철역, 공항, 항만, 고속도로 휴게실, 도서관 등 시설물디자인 보행 및 운송시설물 보행신호등, 펜스, 방음벽, 가드레일,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육교, 정류장, 자전거 보관소, 보행 유도등, 교통차단물, 주차시설, 주차요금징수기 등 편의시설물 벤치, 의자, 휴지통, 음수대, 화장실, 세면장, 자동판매기, 신문가판대 등 관리시설물 맨홀, 전신주, 가로등, 신호개폐기, 전력구, 분전반, 환기구, 우체통, 소화전, 방재시설, CCTV 등 정부시설물 풍향계, 온·습도계, 정보부스, 지역\/관광안내시설, 시(도)계 경계석, 지자체 상징탑, 교통정보판 등 행정시설물 제복, 가구, 문구, 표찰, 무인 민원처리기 등 이미지디자인 정보매체 이정표, 교통표지판, 지역\/관광안내도, 버스노선도, 지하철 노선도, 자동차번호판, 옥외광고판, 현수막, 포스터, 게시판, 간판 등 상징매체 공공기관 상징시스템(상징사인, 증명서, 공문서, 출판물 표지, 웹페이지 등), 주민등록증, 여권, 교통카드, 기념주화, 우표 등 환경연출 벽화, 슈퍼그래픽, 미디어 아트, 오감연출매체, 미술장식품 등 출처 : 송태갑,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발전방안, 전남발전연구원, 2013. 공공디자인은 ①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과 시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 ②디자인의 대상이 대규모 공간 및 시설로서 도시의 경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③도시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주된 역할을 한다는 점, ④공간의 기능이나 역할이 지속성을 갖는다는 점 등을 주요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처럼 공공디자인3)은 공공편의라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고, 대중을 상대로 하고, 지속성·문화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공디자인은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면서 한 사회의 질적 수준을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인프라라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송태갑(2013),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발전방안, 전남발전연구원 윤지영(2011),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미세움 김효정(2012), 디자인정책 발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강소연(2013),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립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이은정(2013), 가로경관 향상을 위한 공간이미지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공공디자인’이란 용어는 공공 공간에 대한 공공기관의 책임성을 강조하고 있는 한국·일본에서만 통용되고 있을 뿐, EU,미국에서는 ‘도시디자인’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2)교회, 사찰, 상점가, 관광지, 온천, 주유소, 주택, 정원, 공장, 옥외광고물 등 3)상업디자인(commercial design)은 기업의 이윤추구를 위한 것이고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며 유행성·소비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4)신호등 조종기, 분전함, 가두판매점 등이 무질서하게 거리를 점유하고 있는 사례, 거리를 무질서하고 혼란스러워 보이게 하는 상점 간판(전면가판, 도출간판, 입간판 등) 사례 등. 5)70개 지자체(광역 10개, 기초 60개)가 공공디자인(또는 도시디자인)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있다.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 "정책용어": "고향희망심기사업", "생성배경": "2016년 기준 전국의 기초 지자체 가운데 65세의 노인인구 비율이 33%를 넘어선 지역이 6개에 이르렀으며, 2017년부터 노인인구가 14%를 넘어서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더구나 2048년이 되면 노인인구가 48%를 차지하고, 노인인구가 50%를 넘는 기초 지자체가 62곳으로 전망되어 상당수 지역이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형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을 살리기 위한 매개체로 ‘고향’의 중요성이 높아지는데 착안한 시책이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일본은 고향세 제도를 활성화하고 있다. 개인이나 단체가 고향 등 돕고 싶은 지자체에 기부금을 내면, 기부금의 10% 한도에서 소득세인 국세와 주민세인 지방세를 돌려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면 지자체는 기부자에게 지역 특산물 등을 선물하여 보다 많은 기부금을 유도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행정안전부 정책자료, 보도자료 일본 총무성 홈페이지 ", "작성자": "김현호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 { "정책용어": "고향납세", "생성배경": "‘고향납세(ふるさと納稅)’ 구상은 2006년 10월 니시카와 카즈미(西川一誠) 후쿠이현(福井縣) 지사가 제안한 ‘고향기부금공제’가 발단이 되었다. 대부분의 사람이 지방-고향에서 태어나, 교육을 받고, 성장하면서 진학 또는 취업을 위해 도시로 나가 거기에서 살면서 납세를 한다. 그 결과, 도시지역의 지방자치단체는 세수가 발생하지만, 자신을 키워준 ‘고향’에는 세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점에 착목하여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에 얼마만이라도 납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자는 것이 이 제도의 기본취지이다. ", "용어설명": "고향납세는 자신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로 도시지역 지방자치단체)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 일정 금액 이상을 기부할 경우, 2,000엔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 일정 한도까지 원칙적으로 소득액과 합산하여 전액 공제되는 일본의 주민세제도이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加藤慶一, 國立國會圖書館調査及び立法考査局(レファレンス2010.2), “ふるさと納の現狀と課題” (카토 케이이치, 국립만난도서관 조사급 비립법 고사국(레퍼런스 2010.2)고향군납의 현상황과 과제 總務省 ふるさと納稅 (총무성고향납세) www.soumu.go.jp\/main_sosiki\/jichi_zeisei\/czaisei\/czaisei_seido\/furusato\/mechanism\/about.html ", "작성자": "박노보 센터장 (일본컨설팅센터) \n\n" }, { "정책용어": "거점면소재지 정비", "생성배경": "전통적으로 농촌 중심지는 주민들이 생활하면서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고, 필수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며, 다른 사람과 만남의 기회를 갖기도 하는 거점 역할을 해왔다. 그런데 산업화 및 도시화와 함께 농촌 인구가 줄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그동안 주민 생활의 구심 기능을 담당했던 농촌 중심지도 침체를 겪고 있다. 농촌 중심지의 침체는 배후 마을 주민들의 기초서비스 충족에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2007년부터 면소재지 중에서도 농촌 중심지로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곳을 거점면소재지로 선정하여 육성하고 있다. 면소재지의 생활편의·문화·복지시설 등을 종합적으로 정비·확충함으로써 농어촌 지역 중심공간을 육성하고 농어촌 주민들의 정주서비스 기능을 충족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 "용어설명": "배후 마을에 대해 각종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간 교환의 편의를 도모해주는 장소를 보통 ‘농촌 중심지’라 일컫는다. 우리나라 농촌지역은 일반적으로 시군청 소재지-읍 소재지-면 소재지-배후지로 이어지는 중심지 계층구조를 유지해 왔다. 면소재지는 저차 중심지로서 주민들이 기초적인 물품과 서비스를 구입하는 한편 상위 도시와의 결절기능을 수행하는 곳이다. 거점면소재지 정비란 면소재지를 대상으로 생활편의·문화·복지시설 등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편익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여 면소재지를 배후마을과 인근 면지역의 거점 정주공간으로 육성해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중앙정부 차원에서 농촌 중심지 육성과 관련하여 정책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는 안전행정부에서 주관하는 지방소도읍육성사업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 사업은 읍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으로 면소재지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은 드물었다. 그리하여 면소재지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은 최근에 추진되기 시작했는데, 2007년부터 농림수산식품부의 주관으로 시행된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이 그것이다.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은 기존에 마을 권역 단위로 진행되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특수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선정된 면소재지 마을을 대상으로 권역당 3년간 70억 원 범위에서 지원하도록 계획되었다. 생활편의, 문화·복지, 경관 개선, 상권 활성화 등 거점지역인 면소재지의 서비스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 위주로 지원한다. 2012년 이후에는 소도읍육성사업과 거점면소재지 정비사업을 통합하여 지특회계 상의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중 읍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 "해외사례": "프랑스의 탁월한 농촌거점(Pole d’exellence rurale)정책은 종래와 같이 낙후된 지역에 대하여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수동적 시점에서 벗어나, 지역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지역에 대하여 잠재력을 일깨우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보다 능동적이고 발전적인 지역정책의 시각을 가지고 있다. 선정된 농촌거점에 대해 1백만 유로 범위 내에서 프로젝트 금액의 최대 33%를 국가가 지원한다. 탁월한 농촌거점정책에서 추진하는 주요 사업은 농촌거점의 특화 유형에 따라 ① 자연·문화·관광자원의 개발 ② 서비스 제공 및 인구 유인 ③ 바이오 자원의 가치 증대(활용) 및 관리 ④ 다양한 산업 부문을 위한 기술 혁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지원메뉴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지원메뉴표로 기능별 사업,세부사업,세부 내용의 정보를 제공한다. 기능별 사업 세부사업 세부 내용 기초생활 기반확충 도로·교통 도시계획도로, 공용주차장, 주거환경 정비 등 복지시설 다목적회관, 마을도서관, 건강관리시설 등 문화시설 야외공연장, 어린이놀이터 등 운동휴양 레포츠시설, 근린공원조성, 체육공원조성 등 지역경관 개선 소득기반 재래시장 시설개선, 향토(5일)시장 정비 등 도시경관 경관계획수립, 가로경관정비, 간판정비사업, 경관저해시설 정비 등 지역역량 강화(S\/W) 교육·훈련 주민교육훈련, 교육비품 및 장비지원, 지역리더양성, 국내외 선진지 견학 등 마을홍보 지역축제 활성화, 문화·복지 P\/G, 시설물 운영관리 P\/G 지원 등 부대비용 기본계획수립비, 문화재지표조사, 사전환경성검토, 재해영향평가, 세부설계비 등 출처 : 농림수산식품부(2012), 2012년도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매뉴얼. 영국의 마켓타운 이니셔티브(Market Town Initiative)는 인구 규모가 1만~3만 명 혹은 그 이하인 농촌 중심지를 대상으로 한다. 2000년 11월 정부의 농촌백서(Rural White Paper)의 정책 지침에서는 농촌 중심지인 마켓타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재활성화를 모색하도록 하였다. 마켓타운 이니셔티브는 마켓타운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분야를 포함하는 전략적 행동계획(action plan)을 수립하고, 핵심 사업들을 실행함으로써 지역의 활기를 재생시키고 지방의 거점기능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3년 단위의 자금지원 프로그램이다. ", "참고자료문헌": "임상봉 외(2005), 정주권개발사업의 성과분석 및 향후 추진방안 연구,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엄대호 외(2008), 농촌마을리모델링 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 거점 면소재지 마을 종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농어촌연구원 성주인 외(2008), 국토 공간구조 변화에 대응한 농촌 중심지 발전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부 보도자료(2007), 농림부 거점면소재지 본격 개발 추진 농림수산식품부(2012), 2012년도 일반농산어촌 ", "작성자": "채종현(대구경북연구원 책임연구원) \n\n" }, { "정책용어": "NABIS(나비스)",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복합플랫폼(NABIS) 구축 1단계 기본계획 \/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18.11.) ", "작성자":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 { "정책용어": "GRDP(지역내총생산)", "생성배경": "지역내총생산(GRDP :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은 일정한 지역 안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로, 일정기간 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추계한 금액을 의미한다. 통계청에서는 1993년부터 국내총생산(GDP)1)과 마찬가지로 UN이 권고한 국민계정체계(SNA : System of National Accounts)에 따라 추계한 시ㆍ도별2) GRDP를 연간 단위로 공표하고 있다. ", "용어설명": "GRDP는 일정한 지역, 즉 시ㆍ도 또는 시ㆍ군ㆍ구 단위의 경제규모, 생산수준, 산업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경제지표로서 지역경제정책 수립, 평가 및 분석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전국 17개 시ㆍ도의 GRDP 합과 GDP가 일치하지는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총생산 추계에 사용되는 기초자료3)와 추계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GRDP는 어느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에 의한 것인지에 관계없이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부가가치를 모두 계상하는 반면, 지역총소득은 해당 지역주민에 의하여 발생한 소득이 어느 지역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모두 해당 지역의 총소득으로 집계하기 때문에 GRDP와 지역총소득 간에 차이가 있다. 한편, GRDP의 제조업 부가가치와 광업ㆍ제조업조사의 제조업 부가가치 간에도 차이가 있는데, 부가가치(=총산출액-중간투입비) 계산을 위한 총산출액과 중간투입비의 범위가 사업체 단위 조사인 광업ㆍ제조업조사와 총액 추계방식인 GRDP에서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4)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통계청, 「지역경제동향」(2010) 통계청, 「지역내총생산 및 지출」(2009) 1) 국민총생산(GDP : Gross Domestic Product)은 한국은행에서 분기, 반기, 연간 단위로 공표하고 있다. 2) 시ㆍ군ㆍ구 단위의 지역내총생산은 서울과 세종을 제외한 15개 시ㆍ도에서 작성하여 공표하고 있는데, 해당 자료는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제별통계 국민계정〉지역계정〉국가자산(국부) 시군구GRDP’에서 조회할 수 있다. 3) GRDP에는 지역 구분이 불가능한 국방부문 생산액과 수입관세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4) 총산출액의 경우 사업체 단위 조사인 광업ㆍ제조업조사에서는 생산액만을 포함 하는데 비해, GRDP 추계 시에는 생산액에 내국소비세를 별도로 추계하여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투입비도 광업ㆍ제조업조사에서는 사업체 단위로 조사가 가능한 직접생산비만을 계상하는 데 비해 GRDP에서는 간접생산비까지 포함하여 추계한다. 5) 소득통계는 경제의 현실 반영도를 높이고, 또 각종 경제지표(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CPI, PPI 등)의 기준년과 일치시킴으로써 통계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목적으로 5년마다 기준년을 개편하고 있는데, 2014년 7월에 기준년도를 2005년에서 2010년으로 개편하였다. ", "작성자":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 }, { "정책용어": "CGET", "생성배경": "국토균형청(CGET: commissariat general a l'egalite des territoires)은 1963년 프랑스에서 지역발전정책에 관련된 업무들이 부처 간 협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시정하고, 지역균형발전과 경제성장 잠재력 증대를 목적으로 창설된 DATAR[총리(행정수반) 직속기관, 국토 및 지역개발기획단, 국토청 등으로 표기]가 2014년 4월 두 개의 기관과 통합하여 확대 개편된 범부처 지역발전정책 전담기구이다. ", "용어설명": "DATAR(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du territoire et a l'action regionale)는 신설 후 2005년 12월에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경제변화관계부처사업단(MIME) 업무를 통합하여 DIACT(delegation interministeriel a l'amenagement et a la competitivites des territoires: 국토정비경쟁력청)로 변경되었다. 2009년 12월 DIACT는 오랫동안 사용된 DATAR의 명성을 감안하여 창설 당시의 약자와 동일한 DATAR(delegation interministerielle a l'amenagement du territoire et a l'attractivite regionale: 국토정비·지역매력청)로 명칭 변경과 함께 지역매력을 강화한 기구로 개편되었다. 2014년 3월 DATAR는 SGCIV(도시관계부처위원회사무처) 및 ACSE(국립사회연대기회균등사무처)와 통합하여 CGET로 개편되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배준구(2006), 프랑스의 지역계획과 계획계약, 부산: 도서출판 금정 ______(2013), 프랑스의 지역발전 추진체제, 프랑스문화연구, 26, 한국프랑스 문화학회 ______(2014), 프랑스 지역발전정책, 부산: 도서출판 금정 ______(2015), 프랑스의 지역발전정책 동향과 시사점, 지역발전정책론, 율곡출판사 DATAR(2013), 50 ans d'amenagement du territoire, Paris: La ocumentation francaise CGET 홈페이지(www.cget.gouv.fr) DATAR 홈페이지(www.datar.gouv.fr) ", "작성자": "배준구(경성대학교 교수) \n" }, { "정책용어": "도심융합특구", "생성배경": "202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의하면 2019년 말에 수도권 인구 비중이 50%를 초과하였고, 지방경제는 저성장 기조와 코로나 19 충격으로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가운데, 지방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서 수도권 중심으로 인구이동의 쏠림현상이 강화되고 있다.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역 간 불균형 심화, 지역경제의 침체 및 경쟁력 약화, 지방 청년들의 지역 이탈 등의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높은 가운데, 판교2밸리와 같은 혁신공간을 지방 대도시에 도 조성하여 지방에서 배우고 성장한 청년들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지방 대도시가 청년 인재, 기업 유출을 막는 게이트키퍼로서 역할을 회복시키자는 취지에서 도심융합특구가 도입되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강두용 외(2021), 코로나 팬데믹의 국내 지역경제 영향, i-KIET 114호, 산업연구원 진승호(2020), 지역경제활력, 도심융합특구로 풀자, 대전일보(2020.11.23)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19),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 국토교통부(2020), 판교2밸리 지방에도 만든다, 보도자료(2020. 9.23) 국토교통부(2020), 대구·광주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선정 발표, 보도자료(2020. 12.22) 국토교통부(2021), 2021년 국토교통부 주요업무 추진계획 국토교통부(2021), 대전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선정, 보도자료(2021. 3.10) 현대경제연구소(2021), 지역인구 현황과 시사점, 경제주평 통권 916호 ", "작성자": "송우경(산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스마트타운", "생성배경": "행정안전부에서는 대도시·신도시에 집중되어 있던 스마트 공공서비스를 농·산·어촌 지역에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전국 방방곡곡 모든 국민이 혜택을 누리게 한다는 스마트네이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타운 조성사업’은 이러한 스마트네이션 정책의 실증사업이자 실질적인 실행사업으로, 인구 감소, 주민생활안전 등 지역이 안고 있는 현안들에 대하여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서비스로 해결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용어설명": "‘스마트타운’ 사업은 스마트서비스를 통한 주민생활의 질 향상 및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크게 5개 분야(건강, 안전, 경제, 사회참여, 교통편의)의 유형으로 서비스를 구분하고 있다. 각 분야별로 대표적인 스마트타운 유형이 나타나고 있는데, 예컨대 스마트웰에이징타운(건강), 지능형 안심마을(안전), 미래형 자립마을(경제), 앙코르라이프 타운(사회참여), 교통약자 디지털 동반자(교통편의) 등이 그 것이다. 스마트타운에서 가능한 서비스 예시 분야 스마트타운 유형 서비스 (예시) 건강 스마트 웰에이징타운 [인공지능 활용 우울증·치매 모니터링 서비스] [Iot 센서 활용 고독사 방지 및 응급알림 서비스] 안전 지능형 안심마을 [CCTV연계 스마트 안심귀가 서비스] [공공 Wi-Fi 활용 유해조수 퇴치 및 농작물 도난방지 서비스] 경제 자립형 미래마을 [스마트팜 모니터링 서비스] [AR·VR 활용 로컬푸드 판매 및 체험관광 서비스] 사회 참여 앙코르라이프타운 [도시·농촌 간 인력교류 지원 서비스] [지역 디지털 콘텐츠 제작 교육 지원] 교통 편의 교통약자디지털 동반지 [노인·장애인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유휴 선박 활용 응급환자 긴급 이송 서비스] 출처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http:\/\/www.knewdeal.go.kr\/. 검색일: 2021.11 그리고 각 스마트타운 유형마다 그 목적에 맞도록 차별적인 서비스들을 도입함으로써, 정책효과성을 높이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웰에이징타운(건강)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인공지능 활용 우울증·치매 모니터링 서비스, IOT 센서 활용 고독사 방지 및 응급알림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21), 농촌디지털경쟁력강화방안 행정안전부 홈페이지(2021), http:\/\/www.knewdeal.go.kr\/ 관계부처 합동(2019),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8~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한국지역정보개발원(2020), 정보화백서 ", "작성자": "장효천(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지역균형뉴딜",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과 함께하는 지역균형뉴딜 추진방안. 2020.10.13. 관계부처 합동 한국판 뉴딜 2.0. 2021. 7. 14. 관계부처 합동 ", "작성자": "이기원(한림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행정안정부 홈페이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https:\/\/www.mois.go.kr\/frt\/sub\/a06\/b07\/localyouthjob\/screen.do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홈페이지 국내지방자치동향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 청년이 돌아와야 지역이 산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https:\/\/krila.re.kr\/publication\/localSelfgovernmentTrend\/domestic\/872?cate=keyword=page=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취·창업 등 성과 나타내 (21.08.03.) https:\/\/www.korea.kr\/news\/actuallyView.do?newsId=148891128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코로나 이전 ‘청년고용률’ 회복 위해 단계별 맞춤 정책 확대 (21.09.23.)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3385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행정안전부, 내년 68조 4844억원 편성 (2021.09.03.)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892664 ", "작성자":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지역혁신플랫폼", "생성배경": " 학령인구의 감소,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 지역경제의 침체로 지역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지방 대학이 가장 먼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지역의 분산된 역량을 결집하여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을 통해 “지역혁신체계 - 지방 정부, 대학, 기업, 시민단체, 연구소, 언론 등 다양한 지역 내 혁신 주체들이 연구 개발, 신제품 생산, 제도 개혁, 문화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역동적으로 협력하고 학습함으로써 혁신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체계 (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용어사전) ” 구축이 주요 국정기조로 대두되었다. 대학은 지역 경제·산업·사회·문화 발전의 기초가 되는 인적·물적 자원의 집약체로서 지역혁신의 중추적 역할이 기대될 수 있으나 개별대학 위주의 노력으로는 지역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어, 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지역혁신주체들이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지역혁신체계를 자율적으로 구축하여 대학의 역량을 지역으로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용어설명": " 플랫폼(platform)이란 다양한 주체들이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개방적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역혁신 플랫폼은 대학과 연계된 지역혁신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지역 내 다각적 협업의 장(場)을 의미한다. 개방과 참여, 공유와 연계, 성과의 지속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갖고 있어, 아이디어와 기술의 융·복합, 자원과 정보의 공유, 참여주체 간 협업, 사업 간 연계를 지원하고자 한다.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2020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기본계획(2020.03.)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기본계획(2021.02.)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과 시행전략(2020.04., 충남경제정책연구원) ", "작성자": "임현정(한국연구재단)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생성배경": "신산업분야에 특화된 전문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新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신산업 변화 추세에서 전문대학의 선도적인 역할 실현 4차 산업혁명 본격화에 따른 신산업 변화 지속 4차 산업혁명의 본격화로 국내·외 전반에서 신산업에 대한 관심 및 투자가 증가 추세이며, 2021년 이후로도 지속적인 성장세 예상 우리나라도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스마트팩토리,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으로 대표되는 신산업 생태계로의 확대·전환 지속 신산업 등 산업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 필요성 증대 산업계가 신산업으로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 등에 특화된 인재의 발굴 및 산업현장 투입 절실 기업에서는 신산업 관련 전문인력의 부족을 신산업 전환에 따른 애로사항 중 하나로 제기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대책 필요 신산업 특화 전문기술 인재양성 필요성 제기 전문대학은 지역산업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우수한 전문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거점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필요 추진경과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전문대학의 질 제고(52-4)’ 선정 (’17.5.) ※ 국정과제 52 : 고등교육의 질 제고 및 평생·직업교육혁신 「전문대학 혁신방안」 발표 (’19.12.)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추진 관련 현장의견수렴(’20.3.) 및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사업추진관련 현장의견수렴 (’20.7.∼9.)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지원 방안」 발표 (’20.9.11.) ’21년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예산(총 120억원) 확정 (’20.12.)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세부평가지표 개발연구 추진 (’20.12.)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사업 기본계획 수립 (’21.3.)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12개 전문대학 선정(대학당 10억씩 3년간 지원) (’21.5.)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교육부(2021),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 2021. 3. 교육부(2021), 신산업분야 특화 전문기술인재 양성, 전문대학이 책임집니다, 2021. 5. 21 한국연구재단,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 "작성자": "한광식(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농촌융복합산업지구", "생성배경": " 농촌융복합산업은 농촌의 자생적 산업 역량 강화를 바탕으로 농촌 활력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책적으로나 용어에 있어서는 6차 산업과의 근친성이 높다. 6차 산업은 1, 2, 3차 산업을 복합해 농가에 높은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는 산업을 이르는 용어로서, 국내에서 사용되는 공식 명칭이 '농촌융복합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일본의 농업경제학자인 이마무라 나라오미는 6차 산업을 “농업이 1차 산업에만 머물지 말고, 2차 산업(농축산물의 가공·식품제조)과 3차 산업(도·소매, 정보서비스, 관광 등)에까지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농촌에 새로운 가치를 불러일으키고, 고령자나 여성도 새로운 취업 기회를 스스로 창출하는 사업과 활동”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농촌융복합산업은 6차 산업을 비롯해 기존의 관련 농촌 산업 육성과 관련되는 거의 모든 사업을 아울러 하나의 용어로 공식화하면서 법제화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로 제정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5년마다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농촌융복합산업의 배경 자료 : 김광선, 2014,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농촌산업정책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융복합산업의 위상 정책 위상 개별 품목·제품 육성 ‘지역전략산업화‘로 격상 지원 대상 개별 경영체 6차산업관련 전후방연계산업 정책 목표 개별 경영체(농가, 법인) 소득 증대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 및 동반 성장 지원 방식 부문별 지원 (산업정책) 통합 지원 (산업정책+지역정책)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김광선, 2014,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농촌산업정책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송미령 외, 2021, 100세 시대,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외, 2019, 저밀도경제 기반의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작성자": "송미령(한국농촌경제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지역관광추진조직",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 { "정책용어": "지역자산화지원사업",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정성훈(강원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 { "정책용어": "청년마을", "생성배경": "저출산·고령화, 일자리부족 등으로 인한 지역의 생산인구 감소로 지역경제가 침체되고, 지방도시는 급속히 쇠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청년 인구유출은 지역사회 활력저하와 지방소멸에 대한 위기로 확산되어 지방을 살리려면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정책을 통해 청년이 살고 싶은 지역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17년 ‘청년희망뿌리단’ 시범사업을 거쳐 2018년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으로 본격화 하였으며, 울산·정읍·여수 등 21개 지역에서(인구감소, 고용위기지역 중심) 청년 107명을 선발하고 지역별로 청년공동체를 운영하였다. 초기 「청년공동체 활성화 교육·컨설팅 사업」은 마을기업, 협동조합 설립, 지역특화형 창업 등을 통해 지역에서 일자리를 희망하지만, 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선발했다. 청년들에게 지역에서 활동하는 분야별 전문가와의 멘토링을 기반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고, 지역 내 구성원들과 다양한 소통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주는 사업이었다. 사업 대상자는 지역별·모집분야별로 청년공동체(청년 5명, 멘토 1명)를 구성하고 선정된 멘토의 지원을 받아 지역정착 계획을 구체화 한다. 지역특성과 청년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고,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자문단을 운영,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네트워크 행사, 지역홍보 ucc 제작, 로컬 크라우드 펀딩을 추진한다. 청년들간 네트워크 제공을 위해 관심 분야별 현장견학, 전국대회 개최, 청년참여형 홍보기획, 영상제작, 창업 시제품 제작 지원 등 다양한 청년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참가한 청년에게는 교육비 및 활동에 필요한 실비가 제공되며, 지역 멘토들에게는 교육계획 수립 및 진행에 따른 컨설팅비가 지원된다. 청년마을 사업은 청년 유출 방지 및 도시청년의 유입을 위해 거주와 창업공간을 지원해 지역정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8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총 15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018년 청년마을을 3년 동안 운영해 본 결과 등을 반영하여 제도를 보완하여 올해는 총 12곳으로 확대하고 사업비 또한 각 5억씩 지원하여 인구감소 지역에 활력을 제고하고 있다. \n 2018년에는 전라남도 목포시 ‘괜찮아마을’, 2019년에는 충청남도 서천군 ‘삶기술학교’, 2020년에는 경상북도 문경시 ‘달빛탐사대’ 등이 선정되었다. 인구소멸이 가속화되는 자치단체의 경우 행정안전부 청년마을에 선정되면 추가 예산은 물론 지역자원(유휴공간, 문화시설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 6. 17.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21. 2. 5.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21. 4. 19.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21. 6. 27. 행정안전부,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1. 6.29.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9385 ) ", "작성자": "백운배(안동도시재생지원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 { "정책용어": "한국관광100선",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 { "정책용어": "사회적경제혁신타운",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4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선정을 위한 심의위원회를 통해 전라북도와 경상남도를 첫 사업자로 선정한 데 이어 2020년에는 대전과 대구, 충남 그리고 2021년에는 강원까지 총 6개 지역을 선정했다. 2021년 3월과 4월에 전북과 경남에서 잇따라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착공식이 진행되었다. 전북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은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성장 생태계 조성’을 비전으로,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의 사회문제 해결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9,647㎡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2022년 8월 준공을 목표로 하는 이곳에는 연대허브(사무공간, 입주공간), 공유실험(장비구축), 연구혁신(기술개발), 교류활동(강연실, 휴게실, 회의실) 등의 공간이 조성되며, 바이오푸드, 스마트문화컨텐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전북도는 인력양성 교육을 통해 매년 200여명의 사회적경제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1,220여개의 수혜기업과 총 2,192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개요’ 중 경남 사회적경제혁신타운은 창원시 대원동의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전시장에 2022년 3월 준공을 목표로 조성되고 있다. 연면적 1만1,000㎡에 총 6개 층(지하 1층 포함) 규모로 조성되는 경남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에는 도내 사회적경제 분야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나아가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인적·물적 거점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기업 입중공간은 물론 교육과 판로 지원, 홍보,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집적 공간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2020년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시행계획 공고’ 중 강원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은 지역의 특성에 맞게 지역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지역문제해결 및 지역농산물 생산·유통 확산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강원 특화형 통합돌봄서비스(G-care)를 연구개발하고 이를 확산시켜 기업성장 및 사회적가치 확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강원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은 2023년 하반기에 완공할 계획이며, 269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 228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및 113억원의 부가가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사업 성과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9), 보도자료(2020. 7.2) ", "해외사례": "EU 집행위원회는 2016년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창업기업 스케일업 지원정책(Start-up and Scale-up Initiative)’을 채택하고, 2017~2018년 ▲자금조달 ▲판로촉진 ▲법·제도개선 ▲사회혁신·기술·신사업 발굴 ▲국제적 교류 등 5가지 영역에서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했다. 2000년에 설립된 SEE(유럽사회적경제기구)는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 실행계획을 구체화했는데, 이 가운데 눈에 띄는 항목은 ‘사회적경제기업이 유럽연합 단일시장에서 범국가적으로 온전히 운영될 수 있도록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금 확보, 스케일업 지원 및 성장을 위한 생태계를 마련’하겠다는 부분이다. SEE는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를 위한 ‘재정적 생태계’를 조성할 것과 66개국 600여개 기관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글로벌 사업 협력 네트워크인 ‘유럽기업네트워크(Enterprise Europe Network)와 사회적경제 기업들과의 협력을 증진하는 한편, 유럽연합 차원에서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경제 파트너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것 등을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 "참고자료문헌": "정관영(2013), 이제는 사회적경제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21), 글로벌 이슈 리포트 zoom in, vol.6(2021.10월호) 관계부처합동(2017),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산업통상자원부, 2019년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시행계획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2020년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공고 산업통상자원부, 2021년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사업 사전검토위원회 운영계획 Social Economy Europe 웹사이트 (https:\/\/www.socialeconomy.eu.org\/) ", "작성자": "윤찬영(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지역문제해결플랫폼",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지역문제해결플랫폼: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란? https:\/\/happychange.kr\/about-platform\/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지역주민이 직접 제시한 92개의 지역문제 본격 해결 나선다 (20.09.8)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지역의 난제,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해결한다 (21.01.24.)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8개 지역문제해결 플랫폼, 순회간담회 마치고 본격 가동 (2020. 6. 23.) 산학뉴스: 함께 이루는 사회혁신… 지역문제해결플랫폼과 리빙랩이 만났다 (20.10.16.) http:\/\/www.sanha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85 ", "작성자":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고령친화우수식품", "생성배경": "소득증가와 의료기술발달 등으로 인간수명이 연장되면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었다. 이에 따라 노인층의 복지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의 발전 측면에서 고령친화산업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노인층의 의료비 증가로 노인의 건강 유지 및 개선을 위해 안전한 식품의 선택과 영양공급을 통한 예방적 건강지원방안의 요구가 증가하였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고령친화산업의 육성을 위해 ‘고령친화산업 진흥법’을 제정하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하였다. 이의 일환으로 고령친화적인 식품 중에서 우수제품을 지정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 "용어설명": "정부는 고령친화산업을 지원, 육성하고 그 발전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고령친화산업 진흥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고령친화산업진흥법 제2조)에 명시되어 있는 ‘고령친화산업’은 고령친화제품 등을 연구·개발·제조·건축·제공·유통·판매하는 업을 말하며, ‘고령친화제품’은 노인을 주요 수요자로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로 정의되고 있다. ‘고령친화식품’은 ‘고령친화산업’ 중에서 식품과 관련된 제품으로서 ‘고령자의 섭취, 영양보충, 소화·흡수 등을 돕기 위해 물성, 형태, 성분 등을 조정하여 제조·가공하고, 고령자의 사용성을 높인 제품’을 의미한다. 정부는 고령자를 위한 식품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2021년 5월 31일부터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고령자를 위한 식품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령친화산업 진흥법 시행령」을 개정해 고령친화제품의 범위에 식품을 추가하는 등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는 2021년 5월 31일부터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생산업체의 신청과 진흥원의 심사를 거쳐 ‘고령자의 섭취, 영양 보충, 소화·흡수 등을 돕기 위해 물성, 형태, 성분 등을 조정하여 제조·가공하고, 고령자의 사용성을 높인 제품‘을 우수식품으로 지정한다. 고령친화우수식품으로 지정을 받으려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적용 또는 건강기능식품 품목제조신고를 완료한 업체에서 생산되어야 하고, 고령친화식품 한국산업표준(KS)에서 정한 품질기준, 물성·영양성분 등을 조정하기 위한 적절한 제조공정, 삼킴 시 크기 등 섭취 안전성,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는 포장 형태,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표시 디자인 등의 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심사 기준 심사항목 세부 평가 내용 기본요건 실물과 제품 사진 등의 일치 평가를 신청한 제품 실물이 시험성적서 및 제품 설명서 상의 내용과 일치하는가? 고령자 요구 반영 여부 제품의 개발과정에서 사용성 평가 또는 설문조사를 통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였는가? 라벨을 고령자가 알아볼 수 있는지 테스트하였는가? * 시설 납품용은 편의성 및 조작성 관련 항목 평가 제외 기본 품질기준 고령친화식품 KS 품질기준에 적합한가? - KS의 단계 구분에 따라 우수식품에도 1~3단계 부여. * 고령친화식품 KS 미인증 제품은 품질기준 충족 여부를 심사하고, KS 인증 제품은 이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 1일 섭취 상한치가 있는 영양성분은 제품 1,000 kcal 당 해당 영양성분 상한치의 50%를 초과할 수 없다. 품질·안전 측면의 고령자 배려 고령자 배려를 위한 제조공정 고령자의 저작, 연하, 소화·흡수 등의 능력을 배려하여 경도, 점도, 부착성, 영양, 소화성 등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의 제조공정이 있고, 그 제조공정을 적용한 결과가 고령자 배려에 적절한가? 섭취 안전성 제품의 목적 및 섭취방법을 고려하였을 때 고령자가 삼키기 용이한 크기로 제조되었는가? (반)유동식의 경우, 목넘김 시 흡착 위험이 없는가? 고령자인 소비자를 고려하여 제품의 이물(경질, 연질) 관리를 실시하였는가? 편의성 및 조작성 측면의 고령자 배려 섭취 전 취급 방법 전처리, 조리 등이 필요한 제품의 경우 사용자의 편리를 고려하였는가? 포장 형태 사용자가 쉽게 포장을 개봉할 수 있는가? 포장의 취급 또는 개봉과정에서 신체의 손상 위험이 없는가? 취식용 도구가 포장에 포함된 경우, 눈에 잘 띄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가? 제품 표시사항 고령자의 가독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글자크기 및 활자체를 적용하여 표시하고 있는가?(별도 설명서가 있을 시 함께 평가) 표시를 통해 연하 용이, 영양 강화 등 제품의 용도를 쉽게 설명하였는가? 조리 또는 섭취방법 및 취급 시 주의사항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가?(별도 설명서가 있을 시 함께 평가) 연령대별 계량방법(영양섭취 기준) 안내를 이해하기 쉬운가?(별도 설명서가 있을 시 함께 평가) 고령친화식품 한국산업표준(KS) 품질기준 구분 기준 1단계(치아 섭취) 2단계(잇몸 섭취) 3단계(혀로 섭취) 성상 고유의 색택과 향미를 가지고 이미, 이취 및 이물이 없어야 한다. 경도a (N\/㎡) 500,000 이하 ~ 50,000 초과 50,000 이하 ~ 20,000 초과 20,000 이하 점도b,c (m㎩·s) - - 1,500 이상 영양 성분d,f 단백질 6 g\/100 g 이상 비타민 A 75 μg RAE\/100 g 이상 비타민 C 10 mg\/100 g 이상 비타민 D 1.5 μg\/100 g 이상 리보플라빈 0.15 mg\/100 g 이상 나이아신 1.6 mg NE\/100 g 이상 칼슘 80 mg\/100 g 이상 칼륨 0.35 g\/100 g 이상 식이섬유 2.5 g\/100 g 이상 a 단일 원재료가 아닌 경우, 경도가 가장 높은 원재료를 기준으로 하여 적용한다. 단, 씹지 않고 그대로 삼켜 섭취하는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형태의 제품은 해당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b 점도 측정이 불가한 제품(예: 젤리, 두부 등), 경관급식 제품 및 국·찌개 등의 국물의 경우, 해당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하며, LV형 점도계로 측정 가능한 상한값을 벗어나는 제품은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c 각주a 의 단서 중 정제, 캡슐, 환, 과립 및 분말 형태의 제품의 경우에는 이와 혼합 또는 함께 섭취하는 용도의 유동성 식품에 대하여 해당 기준을 적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점도조절제, 유동성 식품 등을 제품에 혼합하거나 별도로 동봉하여야 하고, 제품에 혼합된 경우에는 최종 섭취시의 형태에 해당 기준을 적용한다. d 영양성분 중 1개 이상의 항목을 충족하여야 한다. 단, 1회 섭취 열량이 500 Kcal 이상인 제품(단, 특수용도식품 및 즉석섭취·편의식품류에 한함) 및 각주 에서 경도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제품은 3개 이상의 항목을 충족하여야 한다. f 건강기능식품은 해당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 "해외사례": "일본 일본의 고령친화식품은 개호식품(介護食品)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고령친화식품제도는 일본개호식품협의회에서 자율적으로 정한 UDF(Universal Design Food)와 농림수산성에서 제정한 Smile Care Foods가 있다. UDF는 이용자의 씹는 힘에 따른 구분과 점도에 따라 쉽게씹을 수 있는, 잇몸으로 부술 수 있는, 혀로 부술 수 있는, 씹지 않아도 삼킬 수 있는 4단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Smile Care Foods는 식품섭취에 문제가 없는 일반인을 위한 식품은 청색마크, 씹는 것에 문제가 있는 사람을 위한 식품은 3단계로 구분된 황색마크, 삼키는 것에 문제가 있는 사람을 위한 식품은 3단계로 구분된 적색마크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 독일 독일은 표준화제도 신설을 통한 복지 측면과 급식·배달식이 강조된 국가로 2009년 단체 급식서비스 표준화로 노인 장기요양시설 급식기준을 마련하였고 기준을 충족한 기업은 국가인증 FIAZ 로고를 부여하였으며, 2010년에는 배달 식사서비스 표준화(DGE-EAR)로 고령층을 위한 영양 기준을 마련하였다. 일본 - 청정에너지, 지속가능한 산업, 자원의 효율적 건축, 지속가능한 수송, 친환경적 농식품 관리체계,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존 분야 등에 계획대로 추진중이며, 이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최소 1조 유로(한화 약 1,400조원)를 투자 및 유치할 계획이다. 미국 미국은 1965년 Older American Act에 의해 60세 이상 노인에게 자립 생활지원을 위한 재택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며, 고령 인구를 대상으로 한 저작이나 연하를 도울 수 있는 식품, 기능성 식품 등을 제공하는 산업이 가장 발달한 국가이다. ",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 2021년 5월 31일 보도자료 국가식품클러스터 홈페이지(www.foodpolis.kr) 김정선,김지연(2016), 고령친화식품 관련 법 제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중근 외(2011), 고령친화식품산업 활성화 지원방안,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현순 외(2020), 고령친화식품의 정책 및 산업기술 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 "작성자": "조택희(충북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 { "정책용어": "선도마을관리협동조합", "생성배경":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도시재생1)사업으로 조성된 거점시설 및 노후 주거지의 주택 유지관리를 위해 주민이 조합원으로 구성된 비영리단체들이다. 이들 중 조직운영 및 사업모델 측면에서 모범적이고 발전 가능성을 보유한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약칭 마을조합, 공공지원 필요요건을 충족한 마을관리협동조합 대상 해당 도시재생사업비로 2년간 최대5천만원 지원함)을 “선도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약칭 선도조합)”으로 선정하여 우수 마을조합을 육성하고 전국적인 확산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이다. 1)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ㆍ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함(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약칭 도시재생법 20136.4제정, 2013.12.5. 시행)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 마을관리협동조합 육성 계획 수립 후 2019년 인천 만부마을 마을관리협동조합을 시작으로 2021년 9월까지 총 70개를 선정하였고, “선도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약칭 선도조합)” 선정사업은 2021년 최초로 시행되었다. 선도조합 선정을 희망하는 26개 마을관리협동조합을 대상으로 협동조합 및 도시재생 분야 민간전문가가 서면심사·현장조사를 비롯해 조직운영 내실성, 사업모델 구체성, 실현가능성, 지자체 공공지원 충실성, 기대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목포 1897개항문화거리, 대전 안녕마을, 부산 봉산마을, 아산 꿈자을, 청주 와우, 안양 명학, 전주 인디 마을관리 사회적 협동조합 등 최종 7곳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주민 대상 마을조합 설립준비 및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기초·전문 교육을 운영하고, 법인 설립을 준비하고 있는 마을조합 대상 ‘지역기반 정책연계 창업지원사업(고용노동부 주관)’을 연계하여 마을조합 특성을 고려한 지역기반 비즈니스 발굴 및 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양적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 대표성 확보 미흡, 협동조합 방식의 조직운영 및 갈등관리 미숙, 사회적협동조합설립 인가에만 초점을 맞춘지원, 조합의 사업역량 및 전문성제고를 위해 그림 1에서와 같이 각 주체의 명확한 역할 수행과 지원방안의 미흡한 과제 등을 극복해야 한다. 그림 1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 관련 기관별 역할도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4.12. 조명의, 선도마을관리협동조합 7곳 선정·발표, 테크월드뉴스, 2021.4.12. ", "작성자": "백운배(안동도시재생지원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 { "정책용어": "한국관광데이터랩", "생성배경": "null",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연계R&D사업", "생성배경": "기존 RD 사업은 국가RD와 시·도 단위의 지역RD로 구분되어 추진되었으나 광역경제권 정책이 등장하면서 규모의 경제와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시·도간 연계RD 사업으로 확대됨에 따라 광역경제권 연계RD 사업이 새로운 사업의 영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광역경제권 사업은 광역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 연계협력사업 등으로 추진된다. 광역 선도사업은 권역 내 대표산업의 유망상품을 중심으로 지역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지원 사업으로 기업의 RD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인재양성사업은 지역의 기업지원을 위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과 대학의 연계를 확대하여 선도기업체에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대학 내 RD는 물론 산학연의 연계 RD에도 많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연계협력사업은 기존의 시·도 단위에서 진행된 사업을 광역단위로 연계·협력을 확대한 것이다. 시·도간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자율성을 부여하되 지방비 매칭을 의무화하여 책임 있는 사업수행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테크노파크, 대학,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참여함으로써 산학연관의 연계가 확대되고 있다. 광역경제권 사업은 매년 평가를 통하여 예산의 차등 지급 및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산학연관의 연계RD 사업의 적극적 수행은 물론 지역의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null", "참고자료문헌": "null", "작성자": "최정은(호남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선임연구원) \n" } ])
Out[132]:정책용어생성배경용어설명현재 용어의 사용해외사례참고자료문헌작성자01234...326327328329330BRT(간선급행버스체계) 신도시 개발 등에 따른 통행 거리 증대와 수도권 주민의 교통난을 해 소하기 위해 도... null null 콜롬비아 보고타시는 Transmilenio 사업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5), BRT 편람 모창환 외 1명(2007...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 뿌리산업특화단지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뿌리산업은 뿌리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 null null null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산업통상자원부(201... 송우경(산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MZ세대 null null null null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 창조산업 클러스터 세계경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경제 시대를 지나 지식기반경제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향후... 영국의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2001년)는 창조산업을 개인의 창의성, 기술,... 우리나라에서는 창조산업의 수도권 편중이 매우 심하고 문화산업진흥지구 및 문화산업 클... 영국에서는 1998년에 Creative Britain, 미국에서는 2000년에 Cr... 신동호(2011),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의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국 ...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제주국제자유도시 제주국제자유도시는 기업활동에 최대한 편의를 제공하고 최적의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여... 제주국제자유도시(Jeju Free International City)는 무비자 입국... null null 건설교통부(2003),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디지털제주문...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 ... ... ... ... ... ... ... 지역문제해결플랫폼 null null null null 지역문제해결플랫폼: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란? https:\/\/happychange....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 고령친화우수식품 소득증가와 의료기술발달 등으로 인간수명이 연장되면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었다. ... 정부는 고령친화산업을 지원, 육성하고 그 발전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 ... 정부는 고령자를 위한 식품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령친화산업 진흥법 시행령」... 일본 일본의 고령친화식품은 개호식품(介護食品)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고... 농림축산식품부, 2021년 5월 31일 보도자료 국가식품클러스터 홈페이지(www.f... 조택희(충북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선도마을관리협동조합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도시재생1)사업으로 조성된 거점시설 및 노후 주거지의 주택... null null null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4.12. 조명의, 선도마을관리협동조합 7곳 선정·... 백운배(안동도시재생지원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 한국관광데이터랩 null null null null null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 광역경제권 연계R&D사업 기존 RD 사업은 국가RD와 시·도 단위의 지역RD로 구분되어 추진되었으나 광역경제... null null null null 최정은(호남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선임연구원) \n 331 rows × 7 columns
실습
- 다운로드한 json파일을 불러와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 MZ세대 정보에 대한 참고자료문헌을 알아본다
- 고령친화우수식품 정보의 해외사례를 알아본다
- 인터넷 사이트를 참고한 정책용어를 알아본다
- 생성배경이 모호한 정책용어들을 알아본다
- 모두 처리했다면 아래 과정을 추가로 수행한다
- json 파일을 복사하지 않고, 파이썬에서 코드로 불러오기
- pandas dataframe 형식을 이용
- 단순 파일 읽기를 이용
- 고령화 정책 관련 자료를 모두 수집한다
- 이것도 다 하셨다면 아래 과정을 추가로 해 주세요
- 참고자료가 논문인 것들을 추려낸다
- 해당 정보들이 공유하는 특징이 있는지 확인한다
텍스트 인코딩 처리하는 법
- 인코딩 정보는 csv, tsv, json 등의 텍스트 기반 파일에 이용됨
- xlsx 등의 파일에서는 인코딩 정보를 따로 이용하지 않아도 됨
- 메모장으로 해당 파일을 열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눌렀을 때, 기본 설정된 코덱과 같이 적는다
- cp949, euckr, utf8, utf16 중 하나가 사용된 경우가 절대다수
In [219]:f = open('./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_지역발전정책용어사전_20220627.json', encoding='utf8')
In [220]:f.readlines()
Out[220]:['[\n', ' {\n', ' "정책용어": "BRT(간선급행버스체계)",\n', ' "생성배경": "신도시 개발 등에 따른 통행 거리 증대와 수도권 주민의 교통난을 해 소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고급 대중교통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고, 과도한 지하철 적자 문제에 대응한 저비용·고효율의 대중교통시스템이다. 도심지역의 도로와 교통시설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이 낮아지며 교통체증이 지속되어 필요해진 개념으로서, 2005년 말부터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에 시범적 으로 시행하고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콜롬비아 보고타시는 Transmilenio 사업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주민투표를 시행하여 주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기반으로 사업 을 추진하였다. 노선체계는 BRT 노선 보통 및 급행으로 나누고 급행은 2개 또는 3개 정류장마다 정차함으로써 속도를 높였다. 브라질의 꾸리찌바시는 BRT 인프라 구축을 위해 1965년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1974년부터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계획을 기반으로 중앙정부의 지원 없이 단계별로 구축하여 확장했다. 통합 노선망은 버스전용차로를 달리는 급행버스와 간선버스, 지역과 환승센터를 연결하는 지선버스, 그리고 환승센터를 순환하는 순환버스로 구성된다. 일본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는 통상의 버스 차량을 이용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을 말하며 신 교통시스템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해외에서는 BRT의 일종으로 인식하고 있다. 1989년 후쿠오카시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박람회의 수송수단으로 처음 도입된 이후, 2001년 최초로 실용화된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n',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5), BRT 편람 모창환 외 1명(2007), 간선급행버스체계(BRT)운영체제의 기초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수도권 교통본부 홈페이지(www.mta.go.kr)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보도자료(15-136호) ",\n', ' "작성자":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뿌리산업특화단지",\n', ' "생성배경":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뿌리산업은 뿌리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업종이거나 뿌리기술에 활용되는 장비 제조업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종을 말한다.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뿌리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업종으로 자동차, 조선, IT 등 최종 제품의 품질경쟁력 제고에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뿌리산업은 청동기시대 무기류·장신구 제작을 위한 주조에서 시작하여 제조업의 발전과정에서 산업의 핵심 요소로서 역할을 담당해 왔다. 최근 국내외에서 엄격해지는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 전력 등 에너지비용 상승에 대한 뿌리기업의 비용부담 완화, 뿌리기업들의 집적화를 통한 고도화·첨단화,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산업단지 조성 등을 유도하기 위해서 정부는 2013년부터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산업통상자원부(2014), 뿌리산업 특화단지 8곳 추가 지정, 보도자료(2014. 9.1) 산업통상자원부(2015), 뿌리산업 특화단지에 대한 정부지원 비율 10%-30% 상향 조정, 보도자료(2015. 2.12) 산업통상자원부(2017), ’17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지원사업 신청 접수, 보도자료(2017. 3.20) 산업통상자원부(2019), 뿌리산업 특화단지 4개 추가 지정, 보도자료(2019. 7.2) 산업통상자원부(2021), 뿌리 특화단지 혁신을 통해 주력산업 도약 발판 마련, 보도자료(2021. 6.23) ",\n', ' "작성자": "송우경(산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MZ세대",\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00733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MZ Generation] (한경 경제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4621cid=42107categoryId=42107 위키백과: MZ세대 https:\\/\\/ko.wikipedia.org\\/wiki\\/MZ%EC%84%B8%EB%8C%80 ",\n', ' "작성자":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창조산업 클러스터",\n', ' "생성배경": "세계경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경제 시대를 지나 지식기반경제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향후에는 창의성이 국가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의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국에서 창조경제가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탈산업화와 탈물질적 가치체계의 확산에 따라 창의성이 지역발전의 핵심적인 결정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경제운영의 패러다임을 그간의 모방ㆍ응용을 통한 추격형 성장전략에서 탈피하여 국민의 창의성에 기반한 선도형 성장전략으로 전환하기 위해 창조산업의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2013년에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을 확정 발표하고 3대 목표, 6대 전략, 24개 추진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n', ' "용어설명": "영국의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2001년)는 창조산업을 개인의 창의성, 기술, 재능 등을 이용해 지적재산권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부와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창조산업 클러스터는 동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들이 공간적으로 집적하여 긴밀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지리적 집중체로 규정할 수 있다. 창조산업 클러스터는 복잡한 창조적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창의적 인재 확보를 전제로 하며 종사자의 내적 열정과 창의성, 숙련의 다양성 등을 요구한다. 따라서 창조산업 클러스터는 창조산업을 주도하는 창조적 인력이 선호하는 추가적인 입지요인들을 충족시켜 줄 필요가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창조산업의 수도권 편중이 매우 심하고 문화산업진흥지구 및 문화산업 클러스터 등 물리적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창조산업의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지원 시스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입지적 측면에서도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특성에 부합하는 계획입지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된 파주 출판도시와 일반산업단지로 조성된 부산 센텀시티 등이 대표적인 창조산업 클러스터로 거론되고 있다. ",\n', ' "해외사례": "영국에서는 1998년에 Creative Britain, 미국에서는 2000년에 Creative America라는 계획을 통해 창조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문화창의산업(2005년) 등을 통해 창조산업의 육성을 천명하고 있다. 창조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는 영국으로 전통 숙련기술을 통해 예술적 가치가 뛰어난 문화예술품과 명품 소비재를 생산하는 특산지에 창조산업 클러스터를 집중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탈공업화로 인해 도심 공동화 현상을 보이던 브루클린이 맨해튼으로부터 파급된 문화예술활동을 받아들여 창조산업 클러스터로 변모한 사례 등이 대표적이다. ",\n', ' "참고자료문헌": "신동호(2011),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의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국 경제지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김성은, 이명훈(2011), 도시의 창조적 인력ㆍ기반ㆍ관용이 창조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6권 제5호 노춘석(2009), 영국 창조산업의 사례분석 및 벤치마킹 방안, 한국콘텐츠진흥원 이희연, 황은정(2008), 창조산업의 집적화와 가치사슬에 따른 분포특성 : 서울을 사례로, 국토연구 제58권 구문모(2005), 창조산업의 경제적 기여와 서울시의 정책적 함의,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4호 Creative Britain : New Talents for the New Economy ",\n', ' "작성자":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제주국제자유도시",\n', ' "생성배경": "제주국제자유도시는 기업활동에 최대한 편의를 제공하고 최적의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여 제주도를 국내· 외 투자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국제적인 동북아시아의 중심도시로 만들고자 추진되었다. 제주도를 국제적인 관광· 휴양도시, 첨단지식산업도시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국제자유도시로 육성· 발전시키기 위하여「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을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으로 변경하여 2002년 1월 26일 공포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2002년부터 10년간에 걸쳐 지역의 자원을 합리적, 효율적으로 개발·이용·보존하며 미래의 여건변화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성공적인 ‘제주국제자유도시’의 건설과 ‘세계 평화의 섬’ 조성을 통해 관광·휴양도시인 동시에 첨단지식·물류·금융 등이 결합된 동북아시아의 거점복합기능도시로 도약시키고자 하였다. ",\n', ' "용어설명": "제주국제자유도시(Jeju Free International City)는 무비자 입국 및 외국의 전문인력 장기체류 등 사람들의 자유로운 이동이 허용되며, 관제면제와 무역 규제완화 그리고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이 촉진되는 외환거래 규제완화를 통해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되는 동북아시아 중심도시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제주지역 개발계획이다. 즉, 제주를 국가 개방의 거점으로 개발하는 동시에 제주도민의 소득 및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였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총 29조 원을 투자하여 제주도를 홍콩, 싱가포르와 비견되는 동북아 일류의 국제자유도시로 육성하는 국가전략사업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사업이 추진되었다.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하여 특별법을 제정하여 국제자유도시개발계획이 수립되었다. 주요 내용은 첫째, 제주의 강점인 청정 환경을 바탕으로 하여 국제적인 관광산업과 항공·물류산업, 첨단과학 및 연구·교육산업, 1차 산업 등을 육성하는 것이다. 둘째, 제주도를 국제적인 자유투자지역으로 만들어 지역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주요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셋째, 국제자유도시를 추진하기 위한 특례법을 제정하고 중장정부 차원의 전담개발기구 및 지원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계획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제주를 사람, 상품, 자본 및 지식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국제적 경제, 관광 거점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건설교통부(2003),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디지털제주문화대전 홈페이지(jeju.grandculture.net) 제주국제자유도시 홈페이지(freecity.jeju.go.kr) 제주특별자치도(2007), 특별자치도 출범, 그 간의 성과와 과제 ",\n', ' "작성자":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n', ' },\n', ' {\n', ' "정책용어": "디지털뉴딜",\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제7차 비상경제회의, (2020.07.14.) 한국판 뉴딜 2.0 추진계획, 제4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 (2021.07.14) ’21년 디지털 뉴딜 실행계획, 한국판뉴딜 관계장관회의(제8차), (2021.01.06.) 디지털뉴딜 홈페이지, https:\\/\\/digital.go.kr\\/front\\/intro\\/introMain.do 디지털뉴딜 로드맵(2020-2025), (2021) ",\n', ' "작성자":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재정자주도",\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홈페이지(http:\\/\\/index.go.kr) ",\n', ' "작성자":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상생포럼",\n', ' "생성배경": "지역발전정책을 둘러싸고 발생한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지역 상호간 갈등은 지방은 물론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아울러 ‘더불어 잘사는 지역발전’을 위해 수도권-비수도권, 도시-농촌 등 지역간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국가적 관점에서 상생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지역상생포럼이 창립되었다. ",\n', ' "용어설명": "지역상생포럼은 지역과 국민 속으로 들어가 새로운 정책 방향에 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공론화의 구심점 역할을 위해 창립하게 되었다. 특히 지역현장에서의 의견을 중시하는 상향식 포럼 운영 방식으로 기존 지역발전 패러다임인 지역간 경쟁·갈등형 구조에서 협력·소통형 구조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내부자료(2012) ",\n', ' "작성자": "이정록(전남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n"\n', ' },\n', ' {\n', ' "정책용어": "농가소득안정직불제",\n', ' "생성배경": "WTO\\/FTA에 의한 개방확대와 더불어 농가소득 및 농가경영 불안정이 심화되면서 경영안정을 도모하고 장기적으로 농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농촌의 활력을 유지하는 정책수단의 하나로 소득안정직불제 도입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원칙적으로 시장개방이나 자연재해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나 수량변동이 큰 작물을 대상으로 하며, 경영리스크가 큰 일정규모 이상의 농가를 대상으로 경영안정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t ",\n', ' "용어설명": "한ㆍ미 FTA 피해대책의 일환으로 주요 농산물의 가격 하락이나 생산량 감소 등으로 주업농의 당해연도 농업소득이 기준소득보다 낮아질 경우 격차의 일부를 직불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가격이나 수량의 변화에 의해 경영 위험이 큰 일정규모 이상인 전업적인 농가를 대상으로 한다.\\t ",\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 현행 운영되고 있는 직불제로는 쌀소득보전직불제를 비롯하여, 친환경직불제, 경관보전직불제, 조건불리지역직불제, 경영이양직불제, FTA피해보전직불제, 밭농업직불제 등이 있다.\\t ",\n', ' "해외사례": "미국의 소득안정직불제 미국의 소득안정직불제는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해 농가소득을 지지하거나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소득정책의 핵심은 품목별 생산비 기준의 목표가격(생산비 기준)을 설정하고, 다양한 직불제로서 이를 보장하는 방식을 강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소득안정형직불제는 ① 융자제도, ② 고정직불, ③ CCP (또는 ACRE), 그리고 ④ 각종 수입보험 등 복수의 정책수단을 통하여 일정 수준의 농업소득을 보장하며, 소득안정망으로서 효과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의 소득안정직불제의 구조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2011),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동향과 농가소득안정 직불제의 쟁점분석에서 인용 캐나다의 농업 소득안정 프로그램(AgriStability) 농가의 대규모 소득감소에 대한 경영안정을 목적으로 운영되며, 농업소득이 기준소득의 85% 이하 감소 시 경영안정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본의 호별소득보상제도 농가소득 감소, 쌀 과잉문제 해소, 논ㆍ밭농업 활성화, 자급률 향상 등을 목적으로 2010년 쌀을 대상으로 한 모델사업을 거쳐 2011년 전면 도입되었다. 이 제도의 특징은 ‘쌀을 감산하는’ 동시에 ‘전략작물을 증산하여’ 자급률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2011),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동향과 농가소득안정직불제의 쟁점 분석 남숙경(2009), 농가소득안정을 위한 직접지불제의 개선방안 이광규(2007), WTO 쌀협상에 따른 농가소득 안정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곤(2010), 농가소득 안정과 직접지불제 개편 전농 정책실(2004), 소득안정 직불제의 문제점과 목표소득지지 정책 도입의 필요성 장상환(2002), 직불제 도입으로 농가소득 안정을 : 농업회생의 정책방향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QWL 밸리",\n', ' "생성배경": "한국의 산업단지는 1964년 구로공단을 시작으로 2010년 현재 총 901개의 산업단지가 지정되어 있다. 전국 산업단지들의 총생산액은 약 844조 원으로써 우리나라 국내 총생산액의 약 72%에 달할 정도로 한국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착공 후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산업단지가 51개(2010년 6월 기준)로, 가동 중인 국가 및 일반산업단지(227개)의 22%에 육박하여 생산성 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이들은 여전히 단순 생산 공간에 머물고 있어 창조적 인재와 기업을 유치하고 지식기반경제를 선도하는 공간적 거점으로 기능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0년 10월 27일 전국 51개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3터(일터, 배움터, 즐김터)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QWL 밸리 조성계획을 발표하였다. 시범사업지구로 반월·시화, 남동, 구미, 익산 등 4개 산업단지를 지정하고 3년(2010년 하반기~2013년 상반기) 동안 약 1조 3,7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주요 사업 내용은 쾌적한 일터, 안전한 키움터, 즐거운 놀이터, 꿈이 있는 배움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QWL 밸리의 4가지 기능 출처 : 윤종언, 2011, 근로자의 꿈을 실현하는 QWL 밸리 첫째, 쾌적한 일터 만들기를 위해 지원시설 및 복지시설(주차장, 기숙사형 오피스텔, 체육시설)의 확대, 기반시설(주차장, 도로, 하천 정비 등)의 확충, 업종고도화 촉진(지식산업센터-구 아파트형공장, 집적화단지 조성 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둘째, 안전한 키움터 만들기를 위해 산업단지 내 국·공립보육시설을 확대하여 중소기업의 경제적 부담과 관리문제를 덜어주는 한편, 산업단지 내 녹지와 공원을 활용하여 보육환경의 쾌적성과 건립 비용의 최소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셋째, 즐거운 놀이터 만들기를 위해서는 산업단지 이미지 개선 및 근로자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별 브랜드 공모 및 각종 문화 보급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단지별로 산업단지의 날을 제정하여 지자체와 주민이 함께하는 음악회, 체육행사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넷째, 꿈이 있는 배움터 만들기를 위해 산업단지 내에 대학 캠퍼스와 기업연구소, 기숙사와 지원시설 등을 입주시켜 일과 학업을 병행토록 하는 ‘산·학융합지구’를 시범지구의 중심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QWL 밸리의 성격을 가진 대표적인 해외 사례는 스웨덴의 시스타(KISTA), 프랑스의 소피아앙티폴리스(Sophia Antipolis), 핀란드의 울루 테크노폴리스(Oulu Technopolis) 등을 들 수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윤종언(2011), 근로자의 꿈을 실현하는 QWL 밸리, 지역과 발전, Vol. 4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0), 노후 산업단지를 젊은이가 모이는 선진국형 기업밸리로 재창조 산업통상자원부(2011), 일하며 배우는 복합 산업공간의 창조를 위한 ‘산학융합지구’ 조성 방안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1), 산업단지에 대학이 간다 최윤기 (2011), 산업단지 내 대학캠퍼스를 조성하는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지역과 발전, Vol. 5 ",\n', ' "작성자": "이종호 교수(경상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녹색건축인증제(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n', ' "생성배경": "2002년부터 시행되었던 친환경건축물인증제(국토해양부와 환경부 공동고시)와 2006년부터 시행되어 온 주택성능등급표시제 대상 및 인증기준이 중복됨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3년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의 시행과 더불어 개정된 제도이다.\\t ",\n', ' "용어설명": "2013년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의 시행과 더불어 개정된 통합인증제로,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과 자원절약형·자연친화적 건축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다. 인증기관의 장은 인증신청을 받으면 인증심사단을 구성하여 인증기준에 따라 서류심사와 현장실사(現場實査)를 하고, 심사 내용 점수, 인증 여부 및 인증 등급을 포함한 인증심사결과서를 작성한다. 녹색건축인증 등급은 최우수(그린1등급), 우수(그린2등급), 우량(그린3등급) 또는 일반(그린4등급)이다. 녹색건축물로 인증이 되면 지방세 감면, 건축물 기준 완화, 환경개선부담금 경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의해 녹색건축의 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는 국토교통부가 정한 인증기관에 신청하여야 한다. 녹색건축 인증기준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재료 및 자원, 물순환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 등 7개의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공동주택, 복합건축물(주거), 업무용 건축물, 학교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소형주택, 기존 공동주택, 기존 업무용 건축물, 그 밖의 건축물로 구분된다.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 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 또는 지방공단, 초·중등 교육법 제2조 또는 고등 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중 국·공립학교의 경우, 전체면적의 합이 3,000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별도의 건축물을 증축하는 경우 우수등급 이상의 녹색건축 예비인증 및 본 인증을 취득하여야 한다. 녹색건축인증 절차는 설계도면 및 관련 서류로 평가하는 예비인증과 준공도면 및 관련서류, 현장심사를 시행하는 본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녹색건축인증마크 출처 :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3). p.17. 녹색건축인증절차는 설계도면 및 관련서류로 평가하는 예비인증과 준공도면 및 관련서류, 현장심사를 실시하는 본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인증절차 출처 : 녹색건축인증제 통합운영시스템(http:\\/\\/www.g-seed.or.kr\\/?sd=1sc=1_4) 본 인증 절차 출처 : 녹색건축인증제 통합운영시스템(http:\\/\\/www.g-seed.or.kr\\/?sd=1sc=1_4) * 총괄기관 : 국토교통부\\/환경부 * 운영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인증기관 :LH 토지주택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감정원, 크레비즈인증원, 한국교육환경연구원, 한국그린빌딩협의회,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한국환경건축연구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n', ' "현재 용어의 사용":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6조(녹색건축의 인증) 및 시행령, 시행규칙,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54조 녹색건축물의 확대에서 인증과 관련된 내용 및 녹색건축물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n', ' "해외사례": "친환경건축 관련 인증제도로 영국의 BREEM(BRE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미국의 LEED(Leadership in Environmental and Energy Design, 독일의 DGNB(Deutsche Guetersiegel Nachhaltiges Bauen), 일본 CASBE (Comprehensible Assessment System for Built Environment Efficiency) 등의 인증제도가 있다. 녹색건축인증기준 평가체계 비교 출처 : 권혁삼 외(2013). p.437. ",\n',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3), 녹색인증건축물의 감정평가기법 및 제도화 방안 연구 : 친환경인증 공동주택 및 업무용 빌딩을 중심으로, 국가건축정책위원회 대한설비건설협회(2012), 녹색건축물 효율화 정책 및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263호, pp.50~57 권혁삼, 김지현, 김정곤(2013),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4(4), pp.435~447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ltm.go.kr) 녹색건축인증제 통합운영시스템(http:\\/\\/greenbuilding.re.kr) LEED 홈페이지(http:\\/\\/www.usgbc.org) ",\n', ' "작성자":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n', ' },\n', ' {\n', ' "정책용어": "재정자립도(Financial Independence Rate)",\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홈페이지(http:\\/\\/index.go.kr) ",\n', ' "작성자":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행복생활권사업",\n', ' "생성배경": "박근혜정부는 이전 정부의 기능 분산형 균형발전정책(세종시 건설, 혁신도시·기업도시 건설 등)과 광역경제권 정책(30대 선도프로젝트, 광역경제권선도산업 육성 등)이 매년 심화되고 있는 지역간 양극화 등 지역 문제 해결에는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고, 지역의 주민들이 일상 생활에서 정책 성과를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중점 추진하는 것으로 지역발전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HOPE프로젝트(2013.7월)을 통해 주민의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6대 중점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17개 실천과제가 확정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이다.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은 박근혜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이라 할 수 있는데, 지역 주민이 어디서나 생활의 불편이 없도록 기초인프라를 확충하고, 일자리, 교육·문화·복지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행복생활권’ 즉, 인접한 기초지자체들이 자율적으로 협의하여 구성한 생활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을 의미한다. 지역발전위원회는 2014.3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본격 추진하기에 앞서 중추도시권 20개, 도농연계권 14개, 농어촌권 21개, 수도권시범생활권 8개 등 63개 지역행복생활권의 구성을 완료하였다. 지역행복생활권은 종전 ‘5+2 광역경제권’처럼 중앙정부가 획일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지자체 간의 자율적 협의에 의한, 즉 시·군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인근 지역 및 시·도 협의를 거치는 지역 주도의 상향식으로 구성되었다. 지역행복생활권 유형별 구성 출처 : 지역위(2014), ’15년 지역행복생활권사업 추진계획 ",\n', ' "용어설명":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은 기초지자체가 발굴한 주민 불편해소 과제를 중점 지원함에 있어서 기존의 개별 부처별 지원방식에서 탈피하여 지역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부처별 협의를 통해 각종 사업을 조정, 패키지 지원하는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사업 추진주체 또는 지원내용에 따라 ①지역생활권과제(기초지자체간 연계·협력사업, 기초지자체 단독사업), ②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③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역생활권과제’는 생활권내 주민들의 불편 없는 생활을 위해 기초 인프라, 일자리, 교육·문화·복지서비스를 확충하는 사업들로서 관계 부처 관련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 부처가 (지역발전위원회와의 협의를 통해) 직접 지원하며, (지역행복생활권에 속하는 시·군 간의 공동 추진 여부에 따라) 생활권을 구성한 시·군들이 협업을 통해 각종 시설물, 서비스(상하수도, 의료서비스연계, 도농간 일자리 연계 등)를 생활권 내 연계 및 공동활용토록 하는 연계·협력사업과 주민생활 밀착형으로 주민 불편해소 및 삶의 질 개선(슬레이트 지붕철거, 가축분뇨처리 등)과 직결되는 단독사업으로 구분된다.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은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사업선정 및 지원을 직접 수행하며, 5대 중점분야를 중심으로 각종 시설·서비스연계, 지역자원의 공동 개발·관리 등을 포괄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새뜰마을 사업)’는 위험잠재지역(건물, 축대 등의 노후붕괴 위험지역, 산사태, 상습침수 등 자연재해 우려지역), 생활환경이 비위생적인 지역, 생활인프라가 미흡한 지역(상하수도, 소방도로, 급경사, 재래식 화장실 등의 문제가 있는 지역) 등 주거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삶의 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추진 중인 사업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14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지방의료원 33개와 적십자병원 5개소가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 운영평가에서는 각 지역거점 공공병원이 ①양질의 의료, ②합리적 운영, ③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 ④공공적 관리 등 4가지 영역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된다.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 중 지역거점 공공병원 육성 사업에 투입되는 국고 지원은 중앙정부의 일반회계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총 2,743억 원이 지원되었다. 이 중 지방의료원은 연간 최소 171억 원에서 최대 864억 원이 지원되어 합계 2,303억 원이 지원되었고, 적십자병원은 시설보강과 장비보강 사업에만 총 440억 원이 지원되었다. ",\n', ' "해외사례": "일본의 공공의료기관은 ‘국립기관’과 ‘공적의료기관’으로 구분되며, 공적의료기관은 도도부현, 시정촌(공립), 일적(일본적십자사), 제생회, 후생연, 북해도사회사업협회, 국민건강보험단체연합회 등이 경영하는 병원을 말한다. 이중 자치단체 설립 공공병원의 첫 번째 역할은 지역의 중핵병원으로서 소규모병원이라도 지역의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내과·외과 외에도 소아과·정형외과·안과·피부과·산부인과 등 종합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과 유사하게 전쟁을 겪은 바 있는 베트남은 2000년대 들어서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서 저소득층과 오지 지역 주민을 위한 말라리아 관리를 증진시키고, 저소득층 가계, 전쟁 피해자 및 군인을 위한 의료보험의 도움을 확대하는 등 보건의료분야 수혜 정도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5), 보도자료 2건(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신규 42개 선정,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사업대상 85개소 선정) 지역발전위원회(2014), ’15년 지역행복생활권사업 추진계획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행복생활권·특화발전프로젝트(제10차 지역발전위원회 의안자료) 지역발전위원회(2014), 보도자료(전국 56개 지역행복생활권 구성)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행복생활권사업 관계부처 합동 설명자료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4), 생활권협력사업 사례자료집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행복생활권 가이드라인 해설집 1) ①지역행복생활권 기반 확충, ②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③교육여건 개선 및 창의적 인재 양성, ④지역문화 융성, 생태 복원, ⑤ 사각 없는 지역 복지ㆍ의료, ⑥ 지역균형발전 시책의 지속 추진 2) NIMBY 해소, 응급의료, 주민안전, 일자리 연계, 생활인프라(상하수도, 가스 등)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초광역 클러스터",\n', ' "생성배경": "클러스터의 참여주체들은 상호의존성 또는 보완성으로 연결되어 경쟁과 협력을 통해 호혜적 이익을 창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능적 상호보완성은 단일 클러스터의 국지적인 범위에서뿐만 아니라 광역적인 공간 범위에서 클러스터 간에 활발하게 발생한다. 초광역 클러스터 구축의 필요성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단일 클러스터로는 확보하기 어려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는 데 초광역 클러스터가 유리하다. 둘째, 초광역 클러스터는 혁신주체 간에 상호 복합적인 연결체제를 형성하여 다양한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가 있다. 셋째, 정책적으로 클러스터를 관리·육성하기 위한 기구를 광역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운영비용 절감, 인력 및 정책수단 활용 등의 측면에서 효율성을 제고할 수가 있다. 혁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특정 공간내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규모의 공간 사이에서 일어나는 혁신 창출활동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초광역 클러스터의 중요성은 더욱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n', ' "용어설명": "초광역 클러스터는 광역행정구역을 초월하여 다수의 중·소규모 산업 클러스터가 거점 클러스터와 상호 연계되어 형성되는 허브-스포크형 클러스터로 정의할 수 있다. 초광역 클러스터는 시·군·구 뿐 아니라 시·도의 광역행정구역을 초월하여 형성되어있는 클러스터를 말한다. 산업활동 또는 산업지원활동은 행정구역을 초월하여 발생하는 속성을 갖고 있으나, 중앙정부 또는 지자체가 주도하는 산업정책은 행정구역을 단위로 시행되고 있다. 가령 울산의 자동차산업 클러스터는 동남권뿐만 아니라 대구, 경북지역과도 연계를 갖는 초광역 클러스터이지만 광역경제권 단위에서 동남권과 대경권은 엄연히 다른 지원 대상 공간이다. 따라서 기업간 연계 활동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통해 행정적 경계를 넘어서는 기업활동 공간인 초광역 클러스터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지역계획적 관점에서 해안 에너지·관광벨트, 서해안 신산업벨트, 남해안 선벨트, 남북 교류·접경벨트, 내륙권 등 초광역 개발권 계획이 추진되고 있으나 클러스터 관점에서 본다면 공간적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고 기업간 연계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는 약점이 있다. 이외에 광역경제권간 연계·협력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이 역시 지역간 협력에 중점을 둔 것으로 클러스터간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 않아 엄밀한 의미에서의 초광역 클러스터에 대한 지원사업은 매우 취약한 실정에 있다. ",\n', ' "해외사례": "암스테르담, 헤이그, 로테르담, 유트레히트를 연결하는 편자 모양의 광역도시권인 란트슈타트 홀란드, 나라와 고베의 문화적 자산과 항구도시인 고베, 오사카의 상업 및 산업기능이 어우러져 독특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는 일본의 간사이 지역 등이 초광역 클러스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n', ' "참고자료문헌": "보도자료: ‘남-해양관광·서-국제물류·동-에너지’ 초광역 개발(2008), 국토해양부( www.mltm.go.kr)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8),신지역균형발전정책 추진 구상 최상철(2008), MB정부의 국가균형발전 방향과 전략,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산업연구원(2003), 동남권 초광역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타당성 조사 지역발위원회원 홈페이지( www.region.go.kr) ",\n', ' "작성자": "홍진기(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n', ' },\n', ' {\n', ' "정책용어": "지방 자주재원",\n', ' "생성배경": "지방 자주재원에 대한 논의는 1985년 국무총리실 지방자치실시연구위원회를 설치하면서 시작되었고, 참여정부가 「지방분권특별법」과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을 재정하면서 지방 자주재원의 제도적인 틀을 마련하였다. ",\n', ' "용어설명": "지방 자주재원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원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수입을 말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은 지방세, 세외수입,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지방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방세와 세외수입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의사에 따라 부과˙징수한다는 의미에서 자주재원(자체재원)이라 부른다. 즉, 자주재원에는 지방세와 세외수입이 있고, 이와 대비되는 의존재원에는 중앙에서 오는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등이 있다. 용어설명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상황 개선을 위해 기존 지방세제의 틀을 대폭 개편하여 2010년부터 지방소비세와 지방소득세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지방소비세는 국세인 부가가치세 세수의 5%를 재원(세원)으로 하여 광역자치단체세로 설정하고, 그 배분은 권역별 가중치를 고려한 배분지표를 활용하여 정하고 있다. 또한 지방소득세는 현행 주민세 소득을 그대로 명칭만 변경하는 방식으로 도입하되, 종업원할 사업소세를 포함한다. 한편 지방소비세 및 지방소득세 신설에 따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재정 격차가 심화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매년 지방소비세 수입 중 일부를 지역 상생발전기금으로 조성하여 비수도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 세목별 조세제도 출처 : 한국조세연구원, 홈페이지(국내 세목별 조세 제도)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남황우(2006), 특집 :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지방의 세원개발 방안 ;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세원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지방세, No.5 이영희, 김대영(2006), 지방의 자주재원 확충 및 세수 불균형 완화, 한국지방재 정학회 세미나자료집, 한국지방재정학회 한국조세연구원 홈페이지(www.kipf.re.kr) ",\n', ' "작성자": "이정록 교수(전남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발전지수",\n', ' "생성배경": "지역별 발전정도 및 잠재역량 등 여건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지역 내 특정 부문별로도 진단·평가가 가능한 실용적 지표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지역발전지수를 개발하였다. 지역발전지수는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속하는 전국 160개 시·군을 분석 단위로 삼았다. 이 지표를 통해서 시·군의 상대적인 현황 진단, 지역발전정책의 목표 설정, 정책의 모니터링과 성과 측정 등에 합리적 의사결정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서는 2007년, 2008년 2년간의 지역발전지수(RDI: Regional Development Index)를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 방안’ 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RDI를 활용하여 2009년 12월 지역발전위원회 및 동아일보와 함께 지면을 통하여 발표하였으며, 2010년에는 기존의 지역발전지수(RDI)를 보완하는 작업을 통해 기초생활권 종합발전지표를 개발하고 역시 동아일보를 통해 지역경쟁력 지수로 발표하게 되었다. 그 이후 2012년, 2014년 격년으로 지역발전지수는 동아일보를 통해 발표된 바 있다. ",\n', ' "용어설명": "지역발전지수는 시·군 지역을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로서 개념화하고 각 영역의 발전 정도에 따라 주민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각 영역별로 발전 정도를 공식적, 객관적 통계 자료를 토대로 지수를 구성해 지역별 진단 및 상호 비교를 시도한다. 따라서 종합진단지표로서 지역발전지수(RDI)는 생활서비스 지수, 지역경제력 지수, 삶의 여유 공간 지수, 주민활력 지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지역발전지수를 구성하는 네 개의 세부 지수들이 기초생활권 내의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를 의미한다. *종합진단지표 지역발전지수(RDI)=부문별 지수의 합(생활서비스 지수 + 지역경제력 지수 + 삶의 여유 공간 지수 + 주민활력 지수) *삶터: 생활서비스 지수, 일터: 지역경제력 지수, 쉼터: 삶의 여유 공간 지수, 공동체의 터: 주민활력 지수 지역발전지수 개념 출처 : 송미령 외(2007,2008) 각 부문별 지수는 객관적 통계자료만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수행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매년 가중치를 조정`하게 된다. 가장 최근의 분석 결과는, 생활서비스 지수는 0.359, 지역경제력 지수는 0.246, 삶의 여유 공간 지수는 0.179, 주민활력 지수는 0.217를 적용하였다. 지역발전지수(RDI)의 부문별 가중치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2, 2014)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송미령 외(2007, 2008),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 재편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외(2012), 2012 지역발전지수를 활용한 농어촌 실태 분석과 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심재헌 외(2014), 2014 지역발전지수(RDI)를 통해서 본 농어촌 삶의 질 실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동수, 박형진, 전창욱, 문정호, 송미령, 류정아(2010), 광역경제권 모니터링 지표 및 기초생활권 창조 지표 개발 연구, 용역 보고서 ",\n',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메타버스",\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 제119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2020) 메타버스(Metaverse), 새로운 가상 융합 플랫폼의 미래가치, 제186회 한림원탁토론회, (2021) 로그인(Log In) 메타버스 : 인간×공간×시간의 혁명, 이승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 메타버스 비긴즈(BEGINS) : 5대 이슈와 전망, 이승환, 한상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 메타버스와 미래전략, 월간 SW 중심사회 5월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1) VR·AR디바이스 동향 및 시사점, NIPA 이슈리포트(2020-08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 미래연구포커스, Vol49. STEPI, (2021) 메타버스(Metaverse), 어디까지 해봤니?, 노경탁 등, 유진투자증권, (2021) [다시 찾아온 메타버스] 기획시리즈, 아주경제, (2021) [피할 수 없는 흐름, 메타버스] 기획시리즈, 월드투데이, (2021) [메타버스 근무일지] 기획시리즈, BLOTER, (2021) Metaverse Roadmap Overview @ http:\\/\\/www.metaverseroadmap.org\\/overview),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n', ' "작성자":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그린리모델링",\n', ' "생성배경": "이상기온 현상이 증가하며 에너지 사용량은 늘어나고 있으나 원전가동 중단 등에 따른 에너지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이와 같이 매년 거듭되는 에너지 위기를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에너지 수요저감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건축물은 에너지 사용량의 21%를 차지하여 감축잠재력이 높으며, 발전소에 비하여 단기간 공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 수요 감축에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에너지 위기 극복,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국민들의 에너지비용 부담 경감을 위하여 기존 건축물의 단열성능 개선 등을 포함하는 그린리모델링 제도를 도입하였다. ",\n', ' "용어설명": "그린리모델링이란 환경친화적 건축물 리모델링을 의미하며,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및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그린리모델링을 건축물의 단열개선 등을 통하여 에너지 성능을 20% 이상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책적으로 규정하였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정부는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12.2.22제정)에 근거하여 그린리모델링 사업 모델을 개발하였다. 2013년에는 녹색건축물 조성 활성화 및 민간부문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성공모델 창출을 목적으로 시공지원사업 및 설계지원사업을 포함하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을 선정하여 지원하였다. 2015년에는 시공지원사업 부문에 서귀포 의료원 등 5개소와 사업기획지원사업 부문에 태백석탄박물관 등 28개소를 선정하여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으로 지정하였다. 이 사업은 그동안 신축 건축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성능 개선이 어려운 기존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 ' "해외사례": "그린리모델링사업은 영국에서 추진 중인 그린딜(Green Deal) 사업, 독일의 건축물을 개보수 시 에너지절감 정도에 따른 보조금 및 저리융자 지원제도, 프랑스의 에너지절약 개보수 비용을 무이자로 융자하는 에코론 제도 등과 유사하다. ",\n',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3), 건축물 에너지 수요절감을 위한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방안, 경제관계장관회의자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 건축주 부담 줄여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 “그린리모델링 사업자를 모집합니다!” 국토해양부(2013),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선정 공모, 공고 제 2013-113호 녹색건축포털 그린투게더(www.greentogether.go.kr) 에너지경제연구원(2011), 건물에너지 효율개선을 위한 재정지원 방안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 홈페이지(Department of Energy Cimate Change) (www.gov.uk\\/government\\/organisations\\/department-of-energy-climate-change) 독일연방 교통, 건설, 도시개발부 홈페이지(http:\\/\\/www.bmvbs.de) 프랑스의 에코론 제도(www.developpement-durable.gouv.fr\\/L-eco-pret-a-taux-zero.html) ",\n',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n', ' },\n', ' {\n', ' "정책용어": "리빙랩",\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김준한·한재각(2017), 에너지 전환을 위한 리빙랩의 경험: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의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리빙랩 사례를 중심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Working Paper_201708. 성지은 외(2021), 『혁신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에서의 최종 사용자 조직화 모델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박인용(2016),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성지은·송위진·박인용(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309-333. 성지은·한규영·정서화(2016),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과학기술학연구』, 제16권 제2호. 성지은ㆍ송위진ㆍ김수은(2020),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 확산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ㆍ송위진ㆍ정병걸ㆍ최창범ㆍ윤찬영ㆍ정서화ㆍ한규영(2017),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송위진 외(2014),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에서 사용자 참여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송위진·정서화(2016),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제185호. ",\n', ' "작성자": "성지은(과학기술정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LEADER(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동연대)",\n', ' "생성배경": "유럽연합이 추진하는 농촌개발 프로그램 중 가장 혁신적이면서 성공 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LEADER(Liasons Entre Actions de Development de l’Economie Rurale) 프로그램은 1991년에 시작되어 LEAER I, LEADER II, LEADER+, LEADER++ 등의 사업 단계로 진화해 왔다. LEADER 프로그램의 탄생은, 1990년대 들어 유럽연합이 생산주의(productivist) 농업정책에서 탈생산주의(post-productivist) 농촌정책으로 농정의 무게중심을 이 동시킨 것과 깊이 관련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는 농촌공간의 우선적 기 능을 식량생산에 두어 왔다. 그러나 차츰 농촌공간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내용이 다 변화되고, 농촌지역의 인구사회적 구성도 크게 변화했다. 세계화와 더불어 진행된 지방화, 우루과이 협정 등의 정치경제적 환경 변화가 맞물리면서 기존 공동농업정책 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결과로, 1980년대 말에 유럽연합에서는 공동농업정책을 개혁하기 시작했고, 공동농업정책의 토대였던 부문적(sectoral) 접근방법을 탈피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특정 농촌지역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정책개입에 구 조정책자금(Structural Funds)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더불어 지역적(territorial)1) 접근, 다부문적(multi-sectoral) 접근, 참여적 접근(participatory approach)을 표방하는 내생적(endogenous) 농촌발전 전략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구체화시킨 정책 수단이 바로 LEADER 프로그램이다. ",\n', ' "용어설명": "LEADER 프로그램은 그 의미를 직역하면 ‘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 동연대’의 프랑스어 표현이다. 지역적, 다부문적, 참여적 접근 방식을 강조하는 농촌 개발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에 걸 맞는 사업의 구조는 수직적, 수 평적 네트워크로 요약된다. 수직적으로는 지방활동그룹(Local Action Groups, LAGs), 국가나 지방정부가 위임한 중간조직(Intermediary Body, IO), EU 집행 위원회 농업위원회의 세 층위에 걸친 파트너십의 구조로 되어 있다. 수평적으로는 사업들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유럽연합 농업위원회가 기능을 위탁한 민간조직으로 ‘지역개발을 위한 유럽 정 보 연합(Association Europeene d’Information sur le Development Local, AEIDL)’이 창설되어 LEADER에 참여하는 모든 기구, 조직들 간 네트워크의 중심 에 위치하면서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지원과 조정 기능을 수행하였다.2) U 농업위원 회는 AEIDL 외에도 별도의 ‘지리적 보고그룹(Geographical rapporteurs)’을 두 어 LAGs과 기타 행정기구들이 요청하는 자문에 대한 기술적 지원과 프로젝트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도록 하였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김정섭(2001), EU 농촌개발 프로그램: EU의 국가 간 협력사업 성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 김정섭(2002), “유럽의 농촌발전 전략과 LEADER 프로그램” 농정연구, 농정연구센터 김정섭ㆍ권인혜(2010),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강화 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제17권 제3호 김태연(2007), “EU 및 영국의 농촌과 농촌정책.” 송미령ㆍ박주영 편, 선진국 농촌정책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경 외(2002), 상향식 농촌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농정연구센터 송미령 외(2010), 농어촌 통합형 지역개발 모델 정립 및 실행계획 수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오현석 외(2006), 유럽연합 농촌정책 발전과정 연구, 지역아카데미 최정섭ㆍ권오복ㆍ김성용(199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ommission of European Communities(1997), CAP 2000: rural development. Brussels: DG Ⅵ European Observatory(March 2001), “LEADER II - Lessons from the past, tools for the future”, Rural Innovation, Dossier no.11 1)‘territorial’이라는 표현은, ‘central’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local’이나 상당한 광역의 지리적 경계를 함의하는 ‘regional’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지역적’이라고 표현했으나, 특정 공간의 물질적, 상징적 고유성을 특히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2)AEDIL은 농촌개발 관련 연구자들 및 활동가들의 네트워크 조직이다. AEDIL은 a) LAG에 대한 기술 적 지원, b) 관련 정보의 수집, 분석, 전파, c) 세미나, 포럼 등의 조직, 지원, d) 농업위원회 요구에 따른 공식 문서 및 보고서의 작성, e) 일반 대중들에게 LEADER 프로그램을 홍보하기 위한 출판사업, f) LEADER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기술적 지원 등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 3)LEADER의 대상 지역은 인구 1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의 유럽의 모든 농촌지역이다. 사업계획의 타당성 은 a) 통합주제와의 일치성, b) 지역사회 내 특정 사회적 범주의 주민들에게 미치는 효과, c) 지역 특성과 의 일치성, d) 사업의 실험적 성격, e) 방법의 타 지역으로의 전파가능성, f) 농촌개발정책의 주류를 이 루는 기타 구조정책들과의 보완성 등의 측면에서 검토된다. LAGs의 구성과 관련해서는 a) 인적 구성 비, b) 조직의 내부 구조, c) 행정적 \\/ 재정적 역량의 세 측면에서 검토된다. 4)구조정책자금은 유럽사회기금(European Social Fund: ESF), 유럽지역개발기금(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 ERDF), 그리고 유럽농업지도보증기금(European Agricultural Guidance and Guarantee Fund: EAGGF)으로 조성된다. LEADER를 통해 집행되는 지원금은 EAGGF의 지도부문 (Guidance Section), ESF, 그리고 ERDF 중 하나 이상에서 출연된 것이다. ESF, ERDF, 그리고 EAGGF의 조성목적과 운영지침은 각각 EU 규칙 2084\\/93, 2083\\/93, 그리고 2085\\/93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ESF의 경우 주로 고용안정을 위한 정책 수단의 재원으로 사용되며, ERDF는 중소기업 및 환경 관련 분야에의 인프라 투자, EAGGF의 지도부문 기금은 농촌 인프라의 개발과 개선, 농촌 문화유산의 보호, 관광의 촉진 등에 사용된다. ",\n',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n', ' "생성배경": "일반농산어촌지역은 전체 국토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낙후되고 생활환경이 불편하여 청년들의 도시이동과 인구고령화 현상으로 지역 내 인구가 감소하여 마을 공동화 현상은 물론 지역사회의 침체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한다는 취지하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가 2010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었고 포괄보조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일반농산어촌 개발 사업은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를 개편하면서 등장하였다. 농산어촌의 활성화 및 인구유출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 추진의 주목적이다. ",\n', ' "용어설명": "농산어촌의 농촌어메니티(rural amenities) 증진 및 계획적인 개발을 통하여 인구 유지 및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별 특색 있는 자원의 개발을 통하여 지역주민 소득증대와 더불어 기초생활수준을 높이기 위해 일반농산어촌 개발 사업이 추진되었다. 사업 대상은 지방자치법 제7조에 따른 도농복합시의 읍·면 및 특수상황지역을 제외한 군 지역이다.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 현황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2014), 일반농산어촌개발 사업설명회 참고자료. 충남발전연구원(2014), 농촌중심지 육성 및 정비사업의 성과분석과 향후 추진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14), 지역발전사업 편람. 충남발전연구원(2014), 농촌중심지 육성 및 정비사업의 성과분석과 향후 추진전략. 1)제10조(주민 생활기반 확충과 지역 발전역량 강화), 제34조(생활기반계정사업의 세입과 세출), 제35조의 2(제주특별자치도계정의 세입과 세출), 제35조의3(세종특별자치시계정의 세입과 세출), 제40조(포괄보조금의 지원) 2)제 38조(농어촌 지역종합개발 계획의 수립ㆍ시행), 제29조(농어촌의 기초생활여건 개선), 제39조(농어촌 거점지역의 육성) 3)제 52조(농어촌 생활환경 정비 원칙)내지 제71조(기술지원 등) ",\n', ' "작성자": "은희창 지역사업본부장(㈜인포마스터) \\n"\n', ' },\n', ' {\n', ' "정책용어": "BID\\/TOD특정지구, 계획지구",\n', ' "생성배경": "2차대전 이후 교통수단으로서 자동차가 대중화됨에 따라 미국의 도시들은 고속도로와 간선도로가 도시외곽으로 연결되어 수평적으로 확산되면서 주택지의 교외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이는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 자동차중심의 교통체계 및 통행패턴으로 인해 교통혼잡의 심화, 대기오염의 악화, 환경훼손 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자동차 중심의 사회에 대한 반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는 에너지와 자원의 절약, 환경파괴, 생태계 및 자연보호, 지구온난화와 같은 문제에 공감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자동차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대중교통중심의 개발(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미국 외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연구와 도시개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정에서 도시 외곽지역에 안전하고 깨끗한 대형 쇼핑몰이 대거 등장하게 되면서 도심의 상업지역은 점차 경쟁력을 잃기 시작하였다. 교외의 대형 쇼핑몰은 중산층 소비자들을 흡수해 갔고, 도심의 상업활동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건물과 주택의 자산가치도 점차 하락해감에 따라 세금에 의존하는 지자체의 재정도 부실해져 갔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상업개선지구(BID;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n', ' "용어설명": "TOD는 대중교통지향적인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개발전략으로, 자가용승용차에 의존하는 도시에서 탈피하여 대중교통이용에 중점을 둔 도시개발 방식이다. 이 개념은 1993년 미국 건축가 피터 캘솝(Peter Calthope)이 「The Next American Metropolis」에서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TOD는 도심지역을 대중교통체계가 잘 갖추어진 대중교통지향형 복합용도의 고밀지역으로 정비하고, 외곽지역은 저밀도의 개발과 자연생태환경 보존을 추구한다. 이는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한 교통체계와 고밀개발 및 복합적 토지이용을 통해 도시공간구조의 효율성과 쾌적성을 달성하려는 계획이며, 대중교통의 거점지역을 중점 개발하여 통행수요 감소와 보행 및 자전거 등 친환경적인 교통수단 이용을 촉진하는 도시개발방식이라 할 수 있다. TOD의 목적은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를 구현하고 도시의 무분별한 외연적 확산을 억제하며 환경오염의 감소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철, 버스 등 대중교통중심의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교통시스템 구축, 정거장을 중심으로 한 도보접근 가능지역에 중심상업지역 배치로 업무·주거·여가시설 등을 효과적으로 혼합, 자가용 이용의 억제 및 교외의 환승주차장 설치, 고밀개발지에 보행자 위주의 교통시설 건설 및 환승과 접근이 용이한 교통시스템 구축으로 보행과 대중교통과의 연계성 제고, 자전거 및 도보로 통행이 가능하고 보행에 매력이 있는 환경조성, 자동차의 속도 저감을 위한 시설의 설치 등 다양한 계획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도심의 상업지역의 경우,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정에서 심각한 쇠퇴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상업개선지구(BID)의 개념이 나타났다. BID는 특정 지역의 건물주나 사업주로부터 세금을 제외한 추가 자금을 모금하여 정부에서 제공해 왔던 공공서비스를 민간과 정부가 함께 운영하는 조직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제도로서, 도심상업지역의 환경개선과 지역전체의 효과적인 재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BID는 1960년대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어 1980년대에 미국에 도입되었으며 이후 영국 등으로 확산되었다. BID는 도시의 환경개선을 위해 환경미화, 방범강화, 지역홍보, 직업훈련 등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는 BID를 설립하고 운영에 지원하며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역할을 맡는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곽동화(2012), TOD이론의 발전과 입지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2(3), 한국디지털인테리어학회 김미경(2005), 영국의 상업개선지구(BID) 도입, 국토(283호), 국토연구원 매일경제, 매일경제용어사전(terms.naver.com) 서울특별시(2012),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n', '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투자선도지구",\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null",\n', ' "작성자":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n\\n\\n\\n\\n\\n\\n\\n\\n\\n\\n\\n\\n\\n"\n', ' },\n', ' {\n', ' "정책용어": "평생학습도시\\/행복학습센터",\n', ' "생성배경": "평생학습도시 및 평생학습센터는 인생 100세 시대에 대비하여 지역 평생학습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전 생애에 걸쳐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민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읍ㆍ면ㆍ동까지 이어지는 국가 평생교육 추진체제 완성을 통한 모든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목표로 평생교육진흥원(시ㆍ도), 평생학습도시(시ㆍ군ㆍ구), 행복학습센터(읍ㆍ면ㆍ동)으로 이어지는 추진체제 일환으로 구축되었다. ",\n', ' "용어설명": "평생학습도시는 시ㆍ군ㆍ구 시책과 연계한 평생교육 서비스를 통해 학습공동체 형성 및 학습형 일자리 확대를 목적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한 사업으로 첫째, 개인의 자아실현, 사회적 통합증진,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 하여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공동체 건설을 도모하는 총체적 도시 재구조화(restructuring) 운동을 추진한다. 둘째,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에 대한 기관간 연계, 지역사회간 연계, 국가간 연계를 통해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지역 시민에 의한, 지역 시민을 위한, 시민의 지역사회 교육운동을 전개한다. 셋째, 지역별 특성이 부각될 수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재능기부 등 사회환원 활동으로 연계한 사업 운영을 지원하고, 넷째, 정책개발, 평생학습동아리, 평생교육기관 연계체제 구축, 박람회 개최 등 평생교육 기반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기 지정된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현안을 반영한 평생교육 특화사업 개발ㆍ운영 촉진을 위한 특성화 평생교육 사업을 지원한다. 평생학습도시 전국현황 (행복학습센터) 행복학습센터는 평생학습도시와 연계하여 읍ㆍ면ㆍ동 단위에서 주민과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수요에 대응한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근거리 학습 접근성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한 사업으로 첫째, 주민의 근거리 학습권 보장을 위한 읍ㆍ면ㆍ동 단위 행복학습센터를 운영하며, 세부사업으로 행복학습센터 설치 또는 지정을 통한 시설ㆍ공간 확보, 행복학습센터 공통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수요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학습동아리 운영 등을 통한 마을단위 창조학습공동체 형성을 추진한다. 둘째, 평생교육 전문인력 및 행복학습매니저를 확보 및 배치한다. 전담인력 배치로 읍ㆍ면ㆍ동 주민과의 직접 소통을 강화하고, 각 센터간 연계ㆍ협력을 추진하며, 거점센터인 평생학습도시는 전문인력 필수, 읍ㆍ면ㆍ동 센터는 행복학습매니저를 양성 후 배치한다. 주민 대상으로 평생학습과 사회실천에 참여하도록 돕는 학습 및 취업상담을 하며, 이때 학습메니저는 지역주민의 평생학습 수요를 파악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고, 학습동아리 운영 등 주민의 평생학습 활동을 지원한다. 행복학습센터 전국현황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www.nile.or.kr) ",\n', ' "작성자": "정택영 책임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n', ' "생성배경":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이라는 용어는 2010년부터 추진된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개편과 함께 등장하였다. 당시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는 광역계정, 지역계정, 제주발전계정으로 구분되었다. 광역계정은 중앙정부 부처에서 예산 편성을 하는 지역발전사업의 묶음이고, 지역계정은 중앙정부 시˙도 및 시˙군˙구에서 예산 편성을 하는 지역발전사업의 묶음이다. 그래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이 구분된다.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은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의 하나이다.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은 시˙도가 자율로 예산을 편성하여 지역발전사업을 하는데 과소투자의 우려가 있는 시˙군˙구 지역발전사업에 대하여 계속사업 및 신규사업의 소요를 별도로 산정해서 시˙군˙구별 예산 한도를 배분하는 체계로 되어 있다. 기능별 사업 구분의 방식을 취하는 시˙도 자율편성사업과는 달리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은 지역의 특성을 중심으로 사업을 구분한다. 지역 특성에 따른 구분은 도시, 농산어촌, 특수상황지역 등과 같은 3개의 기본적 구분에 더하여 지역의 낙후도를 감안하여 성장촉진지역을 추가로 설정한다. 그래서 이를 3+1 지역 구분 방식으로 부르기도 하였다.1) 바로 이때 도시로 구분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발전사업을 하는 경우, 이를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이라 한다. 지역발전특별회계의 시·군·구 자율편성사업 구분도 출처 : 기획재정부(2014.5.2.),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에서 발췌, 수정 ",\n', ' "용어설명":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이란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에 따라 지자체가 스스로의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도시활력증진지역에 해당하는 기초 지자체에 예산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특별˙광역시의 구˙군 및 시 지역 중 도농복합형태의 시를 제외한 지역이다.2) 다만, 도농복합시 중에서 지방자치법 제3조 제3항에 따른 특별시˙광역시가 아닌 인구 50만 명 이상의 시(대도시)는 도시활력증진지역에 해당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특별법(2015.1.1.)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4.3.10.) 지역맞춤형 도시활력증진사업 신규사업 발굴 기획재정부(2014.5.2.)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송미령˙권인혜(2011),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홍경구 외(2013),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현황과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제372호. 1)최근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는 지역발전특별회계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회계의 구조 중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의 3+1 지역 구분에 더하여 지역행복생활권이 추가되었다. 지역행복생활권은 2개 이상 시˙군 및 다부처 연계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권역이다. 2)2015년 기준으로 전국 99개 시˙군˙구가 이에 해당한다. 3)2015년 기준으로 183개 사업에 대해 1,042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었다. ",\n',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n', ' "생성배경": "중앙정부에서 직접 기획·관리하는 현행 사회서비스 공급 체계로는 전국 각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 충족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보건복지부는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사업 내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적인 사회서비스 개발 사업을 매년 예산 배정 이전에 보고받아 심사 및 선정 절차를 진행해옴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서비스 투자 자율성을 크게 제약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또한 신생아, 산모, 노인, 가사, 간병 등 기존 여러 가지 돌봄서비스의 제공이 서로 괴리된, 소위 ‘칸막이 현상’으로 지역별 수요 변화에 대한 정부의 탄력적 대응이 곤란하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전국에 사회서비스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수요자 중심적 공급 체계 개편을 추진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이다.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기존의 사회서비스 공급 방식 및 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다. 수요자 중심의 지역사회서비스 혁신을 위해 사업 운영 시 지방의 재량을 대폭 확대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중앙정부는 거시적 사회서비스 정책 및 품질 관리에 중점을 두고, 지방정부는 미시적 사업 관리 및 재원 한도 내에서 자율적 사업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지역별, 가구별로 다양한 특성과 수요에 부합하는 차별적인 사회서비스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발굴, 예산 및 서비스를 집행함으로써 지역 주민이 체감하고 만족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지역 시장 형성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발굴하고 수요자의 구매력을 보전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사회서비스 시장 형성 및 일자리 창출까지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사회서비스 부문에서의 인적 자본 형성, 건강 투자, 고령 근로 촉진 등 사회 투자적 성격의 사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도록 권고하여, 궁극적으로 향후 전국의 각 지역 단위에서 미래의 성장 동력 확보 및 사회적 약자 및 취약 계층에 대한 사회경제적 자립 기반을 스스로 확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n 기존 방식과 지역자율형의 패러다임 비교 출처 : 보건복지부,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메뉴얼, 2014 \\n ",\n', ' "용어설명":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란 복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이 필요한 주민에게 복지, 보건 의료, 교육, 주거, 문화, 환경 등의 분야에서 지역 특성 및 주민 수요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2014년 기준으로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지역적으로 수요 변화의 특성이 강한 세 가지 사회서비스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건복지부의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는 대범위의 단위 사업에 해당한다. 그리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지원사업, 가사간병방문관리사지원사업이 현재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내의 중범위 내역 사업에 해당된다. 그리고 2013년부터 이러한 중범위 내역사업 세 가지가 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으로 통합된 것이다. 소범위의 자체개발사업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내 단일 또는 복수의 시·군·구, 시·도가 개발한 사업으로 기준 정보가 관리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때, 자체개발사업은 개별적으로 사업 코드가 부여된 단위를 기준으로 하며, 여러 지역의 공동 코드가 부여된 경우 사업 코드와 사업 개발 지역의 양자 기준을 종합하여 판단한다.\\n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 구조 출처 : 보건복지부, 2014년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2014 \\n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보건복지부(2013),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2013 보건복지부(2014),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2014 보건복지부(2014),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메뉴얼, 2014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제10998호, 약칭: 사회서비스이용권법), 2012.8.5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23581호), 2012.2.5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보건복지부령 제163호), 2012.10.25 \\n ",\n', ' "작성자": "홍미영(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선임연구위원) \\n "\n', ' },\n', ' {\n', ' "정책용어": "도시광산 프로젝트",\n', ' "생성배경":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광물자원의 수입과 광석 채취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도시광산 프로젝트는 자원의 새로운 원천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도시광산 혹은 도시광산 산업이 부상한 것은 중국 등 신흥공업국이 성장하면서 주요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여 도시광산의 규모가 기대 이상으로 크다는 예측이 나오면서부터다. 희유금속은 자원편재가 심하고 매장량이 적어 기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채산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여기에 특정 국가에 편중된 희유금속의 경우 국가 단위의 공급통제 정책을 추진하면서 각국의 물량 확보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영향을 미친다.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은 광물자원 및 스크랩의 수출입을 통제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중국은 대부분의 금속에 수출부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는 일부 희유금속 광종에 대해서는 외국인 투자까지 금지하면서 희유금속의 국외유출을 막고 있다. 도시광산이 대두한 다른 배경으로는 천연자원의 고갈 위험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휴대폰,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 공급증가는 단계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단기적으로 수급불균형 해소가 어렵다. ",\n', ' "용어설명": " 도시광산(Urban Mining)이란 산업원료인 광물금속이 제품 또는 폐기물 형태로 생활주변에 소량으로 넓게 분포되어 양적으로 광산규모를 가진 형태를 의미한다. 폐가전·산업폐기물 등에 축적된 금속자원 중 재활용을 거쳐 자원화 할 수 있는 금속 또는 산업으로, 고철스크랩 폐기계설비 등의 사업계 폐기물과 폐자동차·폐휴대폰 등 생활계 폐기물로 구분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 도시광산활성화를 위한 정책 관계부처합동(2011),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1~2015)” 정은미(2010), 도시광산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황용우 외(2012), “국내 도시산산업 현황분석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부(2009), 도시광산 활성화를 위한 정책 패키지 마련, 지경부 보도자료, 2009.7. ",\n', ' "작성자": "정은미(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n', ' },\n', ' {\n', ' "정책용어": "LIS(Local Innovation System)",\n', ' "생성배경": "교육부는 2020년부터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일명 RIS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이 사업의 특징은 지자체가 대학 등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자율적으로 지역혁신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임 LIS(Local Innovation System -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가 2020년 7월 10일부터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임) 는 현재 누구에게나 통용된 용어라고는 할 수 없으나, 흔히 지자체라고 하면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를 구분하는 것처럼, LIS도 RIS(Regional Innovation System)를 세부화한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음 현재 교육부가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일명 RIS사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초지자체와 전문대학(소규모대학)이 중심이 되어 효율적인 협력체계(LIS, Local Innovation System)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됨 - 국가 차원의 Top-Down방식도 필요하지만 기초자지체 차원 Bottom-Up방식이 더 요구됨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한국대학신문, RIS(광역 중심)와 LIS(기초 중심)의 체계적 구축, 한광식, 2021. 7. 27 교육부(2021),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2021. 2 국가교육회의, 대학·직업교육 혁신 방안과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 2020. 7. 10 한국연구재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수정·보완 방안 - 전문대학 산학연협력 활성화, 178~183pp 2020. 12 ",\n', ' "작성자": "한광식(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저성장시대",\n', ' "생성배경": "우리사회가 60~70년대의 고도 성장기, 안정적 성장기를 지나 저성장시대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긴요하다. 성장동력 창출의 지체 및 미흡, 고령화, 저출산 등은 저성상시대의 지속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저성장시대는 가계와 기업은 물론이고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추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대표적인 나라가 일본이다. 일본은 오랫동안 저성장시대에 빠져 있는데, 대략 1980년대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전쟁이 시작되고 끝나는 시점부터 1950~1970년대까지는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10%대를 유지하는 호황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의 버블과 1990년대의 버블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정책대응에 있어 오류가 있었으며, 이때의 경제성장률은 4%였고, 그 이후로 제로(zero) 성장시대가 이어지고 있다. 2012년부터 아베정부는 양적완화, 확장적 재정정책 등을 통해 저성장시기를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그 결과 일본에서는 신도시나 산업개발이 거의 중단되고 있으며 신도시의 경우 노인 등 경제적 약자의 수용소가 되고 있다. 소비 형태에 있어서도 소유보다는 임대, 저축 확대 등이 거의 일상화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이준구·이창용, 경제학 원론, 문우사, 2015 MBC 스페셜, “저성장시대의 살아남기,” 2016년 8월 ",\n', ' "작성자": "김현호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성장기금",\n', ' "생성배경": "지역성장기금(Regional Growth Fund, RGF)은 영국 정부의 투자 인센티브 지원제도 중 하나로 정부의 재정지출 삭감에 따라 위험에 처한 지역의 민간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2020년 중반까지 557,000개의 일자리 창출 목표)을 지원하기 위해 2011년에 도입되었다. 지역성장기금이 생성된 가장 큰 이유는 이전까지 공공부문에 의존적인 속성을 갖고 있던 지역공동체가 민간주도의 성장 경로로 이행할 수 있게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에 있다. ",\n', ' "용어설명": "지역성장기금(Regional Growth Fund, RGF)은 2010년 7월 영국 보수당 연정정부가 기존 노동당 지역정책의 근간이었던 RDA(Regional Development Agencies)를 폐지하고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s)를 설립하면서, 이를 위한 재정지원책으로 내놓은 정책이다. 현재 지역성장기금의 목표는 장기적인 경제성장에 유의미한 잠재력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민간부문의 일자리를 추가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민간부문의 투자를 활성화하는 것에 두고 있다. 지역성장기금 재원규모는 총 32억 파운드로 기금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젝트가 ‘지속가능한 민간부문에 대한 추가적인 성장의 제고’, ‘현행 공공부문 의존지역에서의 경제의 재조정(rebalance)’, ‘RGF의 지원이 없다면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는 경우’, ‘재정투자의 효율성(value for money)’, ‘국가지원 준수’ 등의 기준들을 충족해야 한다. 지역성장기금은 주로 지역개발과 연관된 새로운 시설을 신축하거나 기존시설을 증축 또는 개량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교육훈련, 일자리 지원 등 그 적용범위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그림 1 참조).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에서는 중장기 계획으로 전략경제계획(Strategic Economic Plan)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부와 LEP가 소위 성장협상을 통해 합의하게 됨으로써 그 실효성을 갖는다. 이런 과정 속에서 2014년 7월 영국정부는 39개 LEP와 체결한 제1차 성장협상을 발표했으며, 투자재원의 주된 용도는 청년교육훈련, 일자리창출, 주택건설, 교통 및 정보네트워크 등 인프라 건설로 하였다. LEP의 재정지원 및 Growth Deal 출처 : DCLG, 2014, Strategic Planning the bigger picture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4), 민관의 파트너십 구축한 영국 GOV.UK 홈페이지, 지역성장기금 가이드(www.gov.uk\\/guidance\\/regional-growth-fund-programmes-guide)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y Industrial Strategy 지역발전위원회(2014), 영국 보수당 연정의 지역발전 재정지원제도-지역성장기금 ",\n',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뉴딜정책(도시재생 뉴딜사업)",\n', ' "생성배경": "뉴딜정책(도시재생뉴딜사업)은 2013년 6월에 제정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도시재생특별법)」에 근거하여 추진해 온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도시재생 뉴딜(매년 10조 원대 규모의 도시재생 뉴딜로 노후주택 지원 및 생활여건 개선하겠습니다)”을 반영하여 도시정비, 임대주택 건설 등을 한층 더 강화한 종합적인 도시정책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을 ①지역별 여건 및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의 효용을 제공할 수 있는 도시재생 추진1), ②편의시설에 대한 주민 선호도, 미래 개발방향 등을 고려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추진2), ③지역주민 중심의 적합한 개발방식 선정3) 등과 같이 지역주민 중심의 사업으로 전환하여 추진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2017), 보도자료(5~9월 기간) 미래도시 창생과 재생을 위한 국회의원 연구모임(2017), 문재인정부 도시재생 뉴딜정책 어떻게 이뤄져야 하나 바른정당 도시재생˙스마트시티 특위(2017), 도시재생, 스마트시티를 만나다 도시재생사업단(2013), 함께하는 희망 도시재생 1) (예) 주택보급률이 100%에 미달하는 서울시의 경우, 주거환경 개선보다 주거공급 중심의 도시재생 집중 2) (예) 도로, 마을주차장, 공원, 어린이집 등 편의시설의 획일적 확충보다 지역별 여건에 맞게 전략적 선택 3) (예) 저층 노후주거지가 많은 원도심의 경우 주거환경 개선보다 전면철거를 통한 재개발이 더 효율적 4) 도시재생이 시급하고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으로 경제기반형 2곳(부산, 청주), 근린재생형 11곳(서울 종로, 광주 동구, 군산, 목포, 영주, 창원, 천안, 대구 남구, 공주, 순천, 태백)이 선정되어 있다. 5) 읍면동 기준 국내 도시의 2\\/3(2,200여 개)가 쇠퇴 중이나 정부 지원은 전국적으로 46곳에 불과하고, 국비와 지방비를 합한 재정 지원은 연 3,000억 원 수준이었다. 6) 역사˙문화 복원, 차별화된 경관˙건축, 역세권 청년주택, 공공임대상가,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사업, 찾아가는 복지, 소형주택 에너지성능 강화, 청년 창업 등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규제프리존",\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null",\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n\\n\\n\\n\\n\\n\\n\\n\\n\\n\\n\\n\\n\\n\\n\\n"\n', ' },\n', ' {\n', ' "정책용어":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n', ' "생성배경": "국내 식품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 및 식품산업 수출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식품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이 집적된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를 조성하여 RD중심·수출지향형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하에 형성되었다. ",\n', ' "용어설명": "전북 익산시 왕궁면에 2015년까지 총 5,535억 원(민자 포함)을 투자하여 150여개의 식품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이 집적된 RD·수출지향형 국가식품전문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역할 및 효과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1. 2. 24 ",\n', ' "현재 용어의 사용":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는 농림축산식품부, 전라북도, 익산시가 ‘글로벌 식품시장의 新중심’이라는 비전과 ‘2020년 세계 5대 식품클러스터 진입’을 목표로 추진하는 한국형 고부가가치 식품전문국가산업단지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 현황 위치 : 전북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 일원(호남고속도로 익산IC로부터 5분) 사업기간 : ’09년~’15년(7년) 투자규모 : 1단계 239만㎡(72만평, 국가식품산업단지) 총사업비 : 5,535억 원(민자 포함) 산단조성(3,119억 원), RD 등 기업지원시설(1,588억 원), 기업지원 서비스(828억 원) 국내·외 식품기업 145개, 민간연구소 10개 이상 유치 고부가가치 기능성식품군, 전통발효식품군, 유기가공식품군을 집중 육성 식품전문국가산업단지 내 국제적 규모의 6개 H\\/W 시설 구축 및 4개의 S\\/W사업 지원 H\\/W 시설 :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식품기능성평가센터, 식품품질안전지원센터, 식품패키징지원센터, 시험생산시설(pilot plant), 임대형공장 등 S\\/W 사업 : 인력양성지원, 식품특화기술개발, 기업지원, 식품기능성평가지원 출처 :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www.foodpolis.kr\\/info\\/info1.php) ",\n', ' "해외사례": " 네덜란드 : Food Valley 와게닝겐대학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이 결합된 대표적 식품 수출 클러스터로 2000년 클러스터 로드맵 발표 이후 단기간에 세계적 클러스터로 성장 유럽 물류 중심지인 입지를 활용하여 수입 원료를 첨단기술과 접목하여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개발·수출을 주도. 70여개 식품기업, 20여개 연구소, 1,000여개 연관업체가 입주하여 연간 640억 달러 정도의 매출을 달성 Nestle, Unilever, Danone, Monsanto, Heinz 등의 세계적 기업이 참여하고 있음 덴마크스웨덴 : Oresund Cluster Oresund대학과 연구기관, 글로벌 기업간 혁신적 RD 체계 구축 14개 대학으로 구성된 Oresund대학과 식품연구기관, 글로벌 기업간 혁신적 RD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간 980억 달러 정도의 매출과 6만 1천여 명의 고용 달성 Nestle, ARLA, TetraPak, Danish Crown Beauvais 등의 세계적 기업이 참여하고 있음 Proviva 브랜드(건강기능식품)는 기업과 농업인이 win-win하여 상업화한 사례임(연간 600억 원 정도의 매출을 달성) 미국 : Napa Valley 미국 캘리포니아 포도 주산지에 RD를 결합하여 프리미엄 와인 생산 및 관광객 (연간 1,900만 명 유치) 연간 520억 달러 정도의 매출, 고용인원 30만9천명, 글로벌 브랜드(Mondavi 등) 개발 이탈리아 : Emilia-R. Cluster 지역의 중소기업과 조합을 중심으로 햄, 치즈, 파스타 등의 전통적 특산품을 생산하고, 대학 중심의 대규모 지방연구기관을 설립함 연간 540억 달러 정도의 매출, 고용인원 10만 명, Labelling을 통한 철저한 품질관리체계 구축 프랑스 : Vitagora 프랑스 부르고뉴주 디종(Dijon)시에 위치하고, 식품기업(64개), 연구소(35개), 교육기관(8개), 지자체(7개), 협동조합(8개) 등이 모여 있는 RD 중심의 식품클러스터(www.vitagora.com) 매주 정부차원의 운영현황 보고회의를 개최하고, 식품기업이 이사회의 이사로 다수 참여하는 등 민관협력체계가 잘 구축된 클러스터 EU집행위, 중앙 및 지방정부에 지원하는 약 1,400억 원 규모의 120여개 연구프로젝트(국가 프로젝트 26개)를 수행함 주요 회원사 : Lactalis(유제품), Danone(유제품), Senoble, Unilever(차류 등), Lesieur, Merck Medication, Familiale, SEB 등 캐나다, 태국, 포르투갈 정부 등과의 교류협력 체결 ",\n', ' "참고자료문헌": "김정욱 외 2명(2012), 산업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국가식품클 러스터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종은, 송채헌(2010),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한 전문 물류센터 필요성에 관한 연구 농림축산식품부(2010),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기본계획 수립 농림축산식품부(2012), 국가식품클러스터 종합계획(안)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국토종합계획",\n', ' "생성배경": "6.25 전후, 저성장과 낮은 소득수준, 고실업, 높은 인구증가율 등으로 인한 좌절감과 패배의식이 팽배하였다. 이후 총체적인 경제난국을 타개하기 위한 종합대책으로 국토개발을 포함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2~1966)에 착수하였다. 또한, 헌법 제120조 제2항과 1963년 10월 제정된 국토건설종합계획법을 근거로 1972년에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였다. 2000년 수립된 현재의 제4차 계획부터는 개발에 초점을 두던 기존 시각에서 탈피하여 개발과 환경의 조화 및 관리에 중점을 두기 위하여 「국토종합계획」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n', ' "용어설명": "국토종합계획은 국토의 체계적인 이용·관리 및 보전을 위하여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장기적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이는 국토기본법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법정 계획이자 국토분야 최상위 계획으로서, 도계획, 시·군종합계획 등 다른 법정계획의 지침 역할을 하며, 교통, 수자원, 주택 등 부문계획과 주요 지역계획 수립시에 국토종합계획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1972년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이 최초로 수립·시행된 이후, 총 4차례 국토계획(3회 수정)이 수립되었으며, 현재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이 시행 중이다. 국토종합계획 수립경과 국토계획 수정계획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 -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1991)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정계획(1987~1991)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92~1999) -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0~2020)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국토형성의 기본골격 출처 : 대한민국정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n', ' "현재 용어의 사용": "국토종합개발계획은 제1차 계획(1972~1981년)부터 제3차 계획(1992~2001년)까지 사용되었고 제4차 계획(2000~2020년)부터는 국토종합계획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토종합계획으로 바꾼 이유는 첫째, 국토를 ‘개발’보다는 ‘관리’라는 관점에서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도록 사업을 이끌어가기 위해서이다. 둘째, 생활수준이 향상되며 더욱 높아진 ‘삶의 질에 대한 국민적 기대’를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셋째, 과거의 국토계획이 물리적 수단 공급에 주안점을 두어온 데 반해 제도적 측면과 운영의 소프트웨어, 그리고 수요자 측면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계획의 기본 틀 출처 : 대한민국정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n', ' "해외사례": "우리나라의 국토종합계획은 프랑스의 France 2020, Territories 2040 등의 계획, 독일의 연방공간정비계획(Raumordnungsplðne) 및 일본의 국토형성계획(國土形成計劃)과 그 성격이 유사하다. ",\n', ' "참고자료문헌": "권영섭 외(2015), 미래 국토를 선도하는 국토종합계획의 발전방안 연구 김동주(2012), 대한민국 국토종합계획 40년의 성과와 미래과제, 국토연구원, 국토계획 수립 40 주년 기념 국토계획 40년의 평가와 미래 세미나 대한민국정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박양호(2011), 더 큰 대한민국의 국토청사진,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국토 통권 제351호, 국토연구원·독일의 연방공간정비계획 국토연구원(2008), 상전벽해 국토 60년: 국토 60년사 정책편 일본의 국토형성계획(國土形成計劃)(www.mlit.go.jp\\/common\\/000019219.pdf) ",\n',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n', ' },\n', ' {\n', ' "정책용어": "농공단지",\n', ' "생성배경":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수도권과 일부 거점 도시들을 중심으 로 시행된 한국의 급속한 산업화 정책은 경제 선진국의 기틀 마련이라는 성과를 창 출했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물리적으로 소외된 농어촌지역이 급격히 쇠락 했고, 이로 인해 발생한 농어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농공단지 조성이 부상하였다. 1980년대 농어촌 지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확보, 지역주민의 고용 확대, 도농 간 격차 해소 등을 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발전 속도가 느린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1983년 ‘농어촌 소득원 개발 촉진법’을 제정하고, 1983년부터 농공단지 조성사업 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84년 전국 7개 시범농공단지를 시작으로 1990년 지 자체로의 지정·승인권 이양, 1997년 농공단지 활성화 대책 발표, 2007년 구조고도 화 추진 등의 과정을 거치며, 2016년 기준 427개의 농공단지가 조성되었다. ",\n', ' "용어설명":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이 살고 있는 농어촌 지역에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와 농어촌의 격 차를 줄여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기 위해 조성한 산업단지의 한 종류이다. 농공단지는 농어촌지역에 농어민의 소득증대를 위한 산업을 유치·육성하기 위 하여 지정된 산업단지이다. 농공단지개발 및 운영에 관한 통합지침에 의하면, 430 농공단지의 구조고도화 및 지역특화산업의 육성을 위해 전문단지, 지역특화단 지, 일반단지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농공단지는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정하며, 산업통상자원 부 장관 및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농촌 지역에 지정된 일반산업단지 또는 도시첨 단산업단지를 농공단지와 동일하게 지원할 수 있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과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등에 근 거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강원발전연구원(2015), 농공단지 고도화와 지역일자리 창출, 정책메모 450호 대구경북연구원(2011), 지역농공단지 리모델링으로 특화발전 꾀하자, 대경 CEO Briefing 제312호 충북발전연구원(2011), 충북지역 농공단지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4), 농산업육성을 위한 특화농공단지 제도개선 방안 연구 ",\n',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농어촌 6차산업",\n', ' "생성배경": "고령화˙과소화 등 농가 인구감소로 인한 생산인력 부족 등 농촌 전반의 활력이 저하되고, FTA 확산 등 본격적인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업의 자생적 성장기반이 위축되면서 농촌경제의 악순환이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농업농촌의 어려운 상황과 농촌 경제 활력 저하, 고령화˙과소화, 지역의 성장 역량 저하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하여 농업˙농촌의 고유한 자원과 발전경로에 입각한 농촌 활성화 전략의 목적에서 6차산업화를 추진하였다. 농업의 6차산업화 추진배경 출처 :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n', ' "용어설명": "6차산업은 농업(1차산업)과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식품˙특산품 제조˙가공(2차산업) 및 유통˙판매, 문화˙ 체험˙관광 서비스(3차산업)등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근거법령 :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14.6.3, 시행‘15.6.3)) 예를 들면, 알밤의 경우 kg당 100원에 판매되는 하(下)품을 가공하여 500원에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전분을 만들어서 판매하고 이 전분이 밤묵으로 재탄생하게 되면 몇 배의 매출로 전환하게 된다. 추가로 알밤을 활용한 체험행사의 개발˙운영, 밤껍질의 천연염 매제로 활용한다면 관광상품이 되는 등 다양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농업의 6차산업의 활용 예시 출처 :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6차산업의 원활한 정책추진을 위하여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14.6) 제정되어 체계적인 6차산업화 정책수립 및 추진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후 제1차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15~‘19)이 수립되었으며, 지역별 6차산업 활성화 지원센터가 구축 및 운영 중이다. 이외에도 6차산업 우수경영체 인증제도, 6차산업 경영체 대상 금융지원, 6차산업 경영체 경영 컨설팅 지원 등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통하여 2017년 현재 1,219명의 6차산업 인증사업자가 운영 중에 있다. 6차산업의 유형 구분 가공 음식 유통 관광 개별 농가 서산 참샘골호박농원 제주청정원 양평 다물한과 안동 화련 서산 소박한 밥상 공주 미마지 봉화 파머스마켓 홍성 풀무우유평촌목장 남원 안터원 목장 여주 은아목장 횡성 에덴양봉원 영동 사토미소 법인 등 단체 평택 미듬영농조합 보령 돼지마블로즈 영주 미소머금고 함양 상림영농조합 옥연가 당진 신평 양조장 세종 뒤웅박고을 파주 장단콩연구회 언니네 텃밭 김포 엘리트농부 예산 사과와인 제주 귤림성 원주 돼지문화원 마을 단위 양양 송천떡마을 서천 달고개모시마을 횡성 금나루 무지개마을 남원 흥부밥상 삼례 비비정마을 진도 운림예술촌 상주 승곳마을꾸러미 안동 삼배마을유통 파인토피아 봉화꾸러미 아산 외암민속마을 창원 감미로운 마을 단양 한드미마을 시군 및 광역단위 김포 인삼쌀맥주 문경 오미자 고창 복분자 제천 약채락 문경 산채비빔밥 완주 로컬푸드협동조합 고창 황토배기유통 진안 로컬푸드사업단 양평 농촌나드리 화선 산천어축제 고창 창보리밭축제 출처 :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정도채(2016),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작성자": "안홍기 연구위원(국토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희망이음 프로젝트",\n', ' "생성배경": "희망이음 프로젝트는 지역에도 일하기 좋은 기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청년인재들이 수도권 및 대기업을 선호하여 타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지역의 일하기 좋은 기업을 발굴하여 지역 청년인재의 기업 탐방을 통해 지역 우수기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상호 정보교류의 장을 마련해 지역 내 일자리의 미스매치 완화 및 취업연계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희망이음프로젝트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시·도 지자체에서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지역 우수기업과 지역 청년(대학생·고등학생) 간의 교류를 통해 지역기업에 대한 청년 구직자의 인식을 개선하고, 일자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는 대국민 프로젝트이다. 희망이음프로젝트는 교육부가 주도하는 전국 51개 산학협력의 LINC대학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하는 전국 1천 개의 지역 우수 기업 간 소통창구를 조성함으로써 청년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지역 우수기업 선정 및 청년들에게 효과적으로 홍보, 희망탐방과 이음탐방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지역 청년들에게 기업탐방 기회 제공, ‘우리지역 일하기 좋은 기업’ 현판 수여 등을 통해 기업의 대외신임도 제고 및 재직자들의 자긍심 고취, 지역 우수기업 특전 제공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희망이음프로젝트 홈페이지(www.hopelink.kr) 산업통상자원부, KIAT, ITP(2014), 지역기업·대학생 교류활성화사업 기업참가 및 탐방 안내자료 산업통상자원부, KIAT(2015), 보도자료(2015 희망이음 프로젝트 발대식 안내) ",\n',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농지은행",\n', ' "생성배경": "한국농어촌공사는 1994년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에서 타결된 10년간의 쌀시장 개방 유예 기간이 끝남에 따라, 국내 쌀 시장개방에 대비하기 위해 2005년부터 농지은행을 도입ㆍ운영하고 있다. 이 농지은행은 농지시장의 불안정 요소를 최소화하고 농지시장의 가격 및 수급안정을 도모하며, 비농민의 농지소유 허용이 농지투기문제로 전환되지 않고 전업농 육성 및 농업구조 개선을 가능하도록 하는 농지관리기구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 또는 체계이다. ",\n', ' "용어설명": "농지은행은 농지 매매와 장기 임대차, 교환, 분합 등을 통해 영농규모의 확대 및 농지 집단화를 촉진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농가소득 증대, 영농규모화사업을 통한 농업경쟁력 강화 도모를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의 주요사업으로는 농지임대수탁사업, 농지매도수탁사업, 경영회생지원사업, 농지매입비축사업, 농지매매사업, 농지임대차사업, 농지교환ㆍ분합사업, 과원규모화 매매사업, 과원규모화 임대차사업, 농지연금, 2030세대 지원 등이 있다. 농지임대수탁 : 농지법(6조와 22조)을 근거로 하여 2005년 10월부터 시행되었다. 직접 농사를 짓기 어려운 농지소유자로부터 임대위탁을 받아 농가나 농업법인에 임대하는 방식으로, 농지은행은 임차료를 받아 수수료를 공제하고 소유자에게 임대료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농지매도수탁 : 2006년 4월부터 시행되었다. 농지를 팔려고 하지만 매수자를 찾을 수 없는 소유자나 농지처분명령을 받은 농지소유자로부터 매도위탁을 받아 매입자를 물색하여, 농지를 대신 매도해 주는 방식이다. 경영회생지원을 위한 농지매입 : 자연재해나 부채의 증가 등으로 경영위기에 처한 농가의 농지와 농지에 딸린 농업용 시설 등을 농지은행에서 매입하여 그 매각대금으로 부채를 청산하게 함으로써 경영정상화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한, 한국농어촌공사가 매입한 농지는 해당농가에 장기 임대하고, 임대기간 중에 우선매입권을 보장해 준다. 농지매입비축 : 농지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경우에만 시행한다. 농지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계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또는 그러한 우려가 있는 지역의 농지를 매입한 뒤, 전업농이나 신규 창업농 등의 수요자에게 매도하거나 임대하는 방식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 현재 농지은행제도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농지은행 사이트(www.fbo.or.kr)를 참고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n', ' "해외사례": "일본의 농지은행은 시정촌농업위원회가 농지의 임대차 및 매매 등 소위 농지유동화와 구조정책을 적극적이고 합리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조직이다. 이는 농지보유합리화사업, 특히 농업경영기반강화촉진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농지유동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980년에 농용지이용증진법 제정, 농지법 및 농업위원회법 개정 이후 농지은행활동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주체로서 ‘농지은행’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일본의 농지은행은 기본적으로 시정촌농업위원회가 농지유동화와 구조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보조기관으로 운영해 온 것으로, 주요업무는 시정촌 내에서 농지의 권리 이동, 주로 농지의 이용권 이동의 콘트롤센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김홍상, 김경덕(2004), 농지은행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래정책연구실(2010), 농지은행 활성화 김수석, 황의식, 허주녕(2007), 농지은행 활성화 및 유휴농지 관리방안 연구 임세화(2011), 농지은행 경영회생지원사업의 옵션가치 추정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도시농업",\n', ' "생성배경": "세계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공간으로 소규모 도시텃밭(City Farm)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소득과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딸기 따기, 벼 베기 등 체험형 농업을 통해 흙을 만지고 자연을 접하면서 정서함양을 도모하고 있으며, 도심 열섬화와 환경문제 등으로 도시공간에서 생태환경을 보전하고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시민에게 제공하는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도시농업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도시민에게 쾌적한 녹색 공간(Green space) 제공, 소일거리 제공, 정서순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에서 텃밭을 보급하는 등 도시농업이 활발하게 시작되고 있으며, 청소년의 정서함양, 원예치료 등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도시농업’을 도시지역에 있는 토지, 건축물 등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여 농작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행위(산림, 조경 제외)로 농업(農業)이 아닌 취미와 여가 또는 학습과 체험 등의 농사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도시농업의 유형은 공간적 범위와 목적에 따라 주택활용형, 근린생활권, 도시형, 농장형··공원형, 학교 교육형 등 5가지로 구분된다. 도시민이 도시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농사활동을 말하며, 고층건물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빌딩형 식물농장, LED·지열·태양광 등을 이용한 식물공장, 주말농장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도시농업의 시작은 1994년 ‘농어촌정비법’의 농어촌 휴양사업의 일환인 관광농업과 도시 주변의 주말농장에 대한 지원제도가 계기가 되었다. 그 후 2003년 도시주민의 주말농원 수요가 증가하여 1,000㎡에 한정하여 도시주민의 텃밭용 농지소유를 허용하게 되었다. 2011년 6월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0%(500만 명) 이상을 도시농업에 참여시키는 내용을 담은 ‘도시 농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도시텃밭 확대(40 → 7,200개소), 주말농장 확대(200 → 800개소), 도시농업공원 조성(지자체별 1개소 이상 설치), 도시빌딩 녹화,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도시농업 인프라 구축 추진 등이다. 2011년 11월에 제정되고 2012년 5월부터 시행된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로 도시농업을 육성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은 5년 단위의 도시농업 육성계획, 도시농업 지원센터 설치와 전문인력 양성, 공영 및 민영 도시농업 농장의 개설 및 지원 등 도시농업을 육성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2013년 6월 농림축산식품부는 도시농업법 제5조(종합계획의 수립) 규정에 따라 제1차 도시농업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육성계획은 ‘도시농업 활성화로 도농 상생 및 삶의 질 향상’을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2017년까지 도시텃밭 면적 1,500ha와 도시농업 참여자 200만 명 달성, 도시농업 참여만족도 개선 등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2011년 전국적으로 서울시와 6개 광역시에 도시농업 관련 조례가 제정되어 있으며, 서울시 관내 15개 기초자치단체와 서울시 이외 33개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운영하고 있다. ",\n', ' "해외사례": "외국 도시농업의 주요 동향은 먼저 식량 위기에 대응하는 ‘먹을거리 생산형 도시농업’이다. 미국의 봉쇄정책으로 인한 쿠바(1990)의 도시농업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외 소련붕괴로 인한 모스크바 시민의 60%가 도시농업에 참여, 세계 1,2차 대전(1899-1920)에도 영국, 독일, 미국에서 도시농업의 보편화, 싱가포르의 도시국가 한계 극복을 위한 가금류 사육이나 채소 재배 일상화, 아프리카의 많은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도시빈민 구제를 위한 도시농업이 해당한다. 또한, 도시민의 여가활동으로 활용되는 ‘여가형 도시농업’이 있다. 독일 클라인가르텐, 일본의 시민농장, 우리나라의 주말농장 등이다. 여가형 도시농업은 서구의 ‘가드닝 활동’으로 집안에서 앞뜰과 뒤뜰, 그리고 아파트 베란다에서 이루어지는 텃밭과 정원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생활형 도시농업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제 해결방안으로 ‘공동체형 도시농업’을 들 수 있다. 영국 랜드셰어(Land share), 독일의 클라인가르텐도 사회복지적 성격을 담고 있다. 특히, 밴쿠버와 시애틀과 같은 북미의 도시농업은 40여 년간 공동체 운동과 결합하여 ‘커뮤니티 가든’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왔다(1960-70년대). ",\n', ' "참고자료문헌": "경기개발연구원(2012), 경기도 도시농업활성화 방안 서울연구원(2012), 서울시 도시농업 현황과 시사점, 서울경제 6월 서울도시농업(2013), 서울시 도시농업 마스터플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0), 도시농업의 비전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2), 주간 농업·농촌동향, 2012. 6. 25 Vol.26 ",\n',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도시재생사업(도시재생선도지역)",\n', ' "생성배경": "1980년대 이후 대규모 계획적 주거용지와 산업용지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구도심은 오히려 쇠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외곽 신시가지 개발로 인한 구도심의 인구 감소, 제조업이나 전통시장 등의 쇠퇴, 공공기관의 이전 등 도심 내 경제적 기반상실로 도시기능이 약화된 것이다. 구도심은 건축물이 노후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반시설 비율도 절대적으로 열악하고, 사회복지시설, 문화체육시설 등의 사회공공서비스가 농어촌 지역보다 낮은 수준으로 자립적인 재생추진이 어렵다는 점이 인식되면서 정부 차원에서의 도시재생사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n', ' "용어설명": "도시재생은 도시커뮤니티 유지 및 활성화 과정으로서 기존 거주자의 지속적 생활여건 확보의 물리적인 측면, 사회·문화적 기능회복의 사회적 측면, 도시경제 회복의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방식의 정비개념이다. 즉, 도시재생사업은 정부가 지원하고 주민이 중심이 되어 종합적으로 도시를 재생시키는 사업이다. 종합적 도시재생이란 도시쇠퇴문제가 단순히 주택 노후화가 아닌 실업, 노령화, 보육, 건강, 교육, 범죄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인 만큼 그 처방도 물리적 정비 중심에서 경제, 사회, 문화까지도 포괄하는 종합적 방식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 중심에는 실제 거주하는 주민이 자신이 살아가는 터전인 생활권의 재생계획 수립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각 부처 간 특성에 따른 개별적 지원방식이 아니라 부처협업패키지를 지원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그 성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개별적·산발적 사업 추진→다양한 사업을 융·복합한 종합계획 출처 : 도시재생사업단, 함께하는 희망도시재생 ",\n', ' "현재 용어의 사용": "무분별한 도시재생지역의 지정 난립을 방지하고 본격적인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 2013년 12월까지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기준 등을 포함하는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을 마련하고, 도시재생이 시급하고 파급효과가 큰 지역을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하여 2014년부터 계획수립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2014년 9월 도시재생활성화지원조례 표준안을 마련하고 2014년 11월부터 도시재생 선도지역 11곳 사업 본격 착수하여 진행되어 오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은 새로운 경제기능의 도입, 기존의 산업기능·업종 전환을 통해 고용기반을 창출하고 주변 지역으로 경제회복효과를 낼 수 있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과 지역특색을 살려, 침체된 중심시가지의 경제 활성화와 낙후한 근린 주거지역 생활환경 개선을 통해 공동체 유지를 할 수 있는 근린재생형행 도시재생사업이 있다. ‘16년도 도시재생사업은 최대 35곳을 선정할 계획으로 도시 내 공공청사 이전부지, 역세권, 폐항만, 노후산단 등을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재활성화 하는 도시경제기반형(5곳)과 중심상권 및 근린주거지 활성화를 위한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9곳), 일반 근린재생형(19곳)으로 구분하여 선정되어 사업이 추진 중이다. ",\n', ' "해외사례": "선진국에서는 도시재생이 실천적인 사업과 연계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커뮤니티 운동과 중심시가지 활성화 사업이 연계되어 있고, 일본에서는 마을 만들기 운동차원의 사업이 연계되어 있으며, 영국에서는 근린지역 재생운동(New Deal for Community)과 연계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7.4),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안」입법 예고 도시재생사업단(2013), 함께하는 희망 도시재생 백원국(2013), 주민참여형 도시재생,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자료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5), 쇠퇴도시를 다시 살리는 도시재생사업 착수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6), 신규 도시재생사업 33곳 확정 등 ",\n', ' "작성자": "장효천 원장(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말산업육성",\n', ' "생성배경": "FTA 시대 농어촌의 새로운 소득원으로서 말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시책으로, 농어촌형 승마시설 확충, 말산업 관련 전문 인력 육성, 승마 인구 저변 확대 등을 기초로 말산업을 축산업의 발전과 농어촌 활성화의 동력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이다. 말산업 관련 업종으로는 말 생산업, 사육업, 이용업, 조련업, 장제업, 재활 승마 지도업, 경마 운영업 등이 있으며, 농가의 말 생산·판매·농어촌 관광과의 연계 등을 통한 대체 소득원 창출과 도농교류, 농어촌 체험마을 활성화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n ",\n', ' "용어설명": "말산업은 1, 2, 3차 산업이 복합된, 성장 가능성이 높은 6차 산업으로 5개년 계획을 충실하게 추진할 경우, 경제규모 2.8조에서 3.8조 원, 말 두수 3만 두에서 5만 두, 사육농가 1,900호에서 3,000호, 일자리 2만 개에서 3만 개, 승마장 300개소에서 500개소, 승마인구 25,000명에서 5만 명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기타 도농교류 활성화,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 승마 대중화를 통한 국민 건강증진 기여, 재활 승마를 통한 장애인 치료, 청소년 신체발달 및 정서함양, 게임중독 예방 등에 기여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정부는 말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지역을 말산업 특구(말의 생산·조련·유통·이용 등에 필요한 인프라를 갖추고 말산업을 권역별로 육성·발전시킬 수 있는 특화된 지역)로 지정해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미국 켄터키 주, 프랑스 노르망디 주, 영국 뉴마켓 주 등이 말 산업을 지역 특구의 형태로 발전시킨 사례이다. 복합산업으로서의 말산업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2012). 말산업육성5개년종합계획 보도자료 ",\n',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축산식품부는 2012년 7월 말산업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는데, 승마시설 확충, 전문 인력 양성, 특구 지정 등 기반조성 분야와 전문 승용마 도입 및 생산농장 육성, 우수마 도입 등 경쟁력강화 분야, 학생 체험승마 및 승마대회 확대 등 승마 수요 확충분야, 말 방역관리, RD 강화 등 지속 성장기반 구축분야의 총 4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말산업육성법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말산업육성 종합계획의 추진을 위하여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2014년 1월 2일 제주특별자치도가 제1호 말산업 특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경상북도가 제2호, 경기도가 제3호 말산업 특구로 지정되었다.\\n ",\n', ' "해외사례": "해외국가의 말산업 현황 구분 주요현황 미국 말 사육두수 : 920만두 말산업 참여인구 : 460만 명(말소유자, 근로자, 서비스 제공자 등) 말산업 고용창출 : 140만 명(풀타임 근로자 45만 명) 영국 말 사육두수 : 96만두 말산업에 관심 있는 인구 : 500만 명(승마인구 240만 명) 말산업 고용인구 : 직접 5만 명, 간접 10~20만 명 호주 말 사육두수 : 120만두 승마협회 회원 수 17,600명, 등록 승용마 70,000두 말산업 고용인구 : 20만 명 프랑스 말 사육두수 : 90만두 승마장 7,500개, 승마인구 150만 명(클럽회원 52만 명) 말산업 고용인구 : 11만 명 독일 말 사육두수 : 100만두 승마장 7,600개, 승마인구 160~170만 명(클럽회원 75만 명) 말산업 고용인구 : 30만 명 일본 말 사육두수 : 80,700두 승마장 990개, 승마클럽회원 7,1000명 - 승마클럽 이용자는 연간 135만 명 이상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2012). 말산업육성5개년종합계획 보도자료.\\n ",\n', ' "참고자료문헌": "강민수(2012), 제주특별자치도 말산업 특구지정, 제주발전포럼 pp. 32-37 친환경축산(2012), 말산업 육성 5개년 계획 이렇게 추진된다, 친환경축산 12: pp.48-54 황주홍의원실(2013), 말산업 육성 발전을 위한 주요 현안 심포지엄 자료집, 서울: 황주홍의원실.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www.mafra.go.kr) 한국마사회 홈페이지(www.kra.co.kr) 말산업포털(www.horsepia.com) \\n ",\n', ' "작성자":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n "\n', ' },\n', ' {\n', ' "정책용어":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생활문화센터)",\n', ' "생성배경":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백세시대를 대비하여 은퇴 후 여가 ·문화 활동, 자원봉사 기회 확대 및 문화예술·체육 관련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복합 공간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으며, 2014년도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이후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역 유휴공간 및 시설을 활용한 생활권 단위의 복합문화센터를 조성하여, 지역사회 문화동호회 활동의 거점 공간으로 사용하여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참여형 공간조성을 목표로 한다.\\n ",\n', ' "용어설명":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시설로서, 단순히 건물을 조성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소통과 공존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의 문화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지역별 동호회 활동을 거점으로 도서관, 문예회관 및 마을회관 등을 리노베이션하고, 전문자원봉사자 중심으로 운영하여 지자체 등의 운영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활동을 통한 생활밀착형 예술 프로그램을 확대할 뿐 아니라 지역 예술가들이 상주·활동할 수 있는 사회적 선순환구조를 형성할 예정이다.\\n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지역민의 문화여가 향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복합형 커뮤니티센터(공연, 전시, 도서 등) 확보를 위해 2014년 130억 원 예산을 신규 편성해서 문화동호회 활동의 거점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사업단지 유휴공간, 폐 산업시설 등을 문화예술로 재창조하여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산업단지·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14년, 125억 원)’이 추진된 바 있다.\\n유사한 사례로 부산문화재단이 위치한 ‘창의문화촌@감만’은 폐교가 된 옛 동천초등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해 만든 복합문화커뮤니티 공간이다. 이곳은 부산문화재단의 사무공간과 문화예술인이 상주하며 창작활동을 펼치는 창작공간, 각종 예술교육시설, 커뮤니티 홀 및 주민복지시설인 감만종합사회복지관이 갖춰져 있으며, 예술가의 창작과 주민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복지가 한데 어우러지는 복합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14년 명칭공모를 통해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를 생활문화센터로 변경하였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참여 욕구를 증가시키기 위해 리모델링 사업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2015년 지원규모는 20~30개로 총 120억 예산을 지원했다. 지자체는 생활문화센터 조성이 가능한 유휴시설 또는 기존시설의 부지와 건물(또는 공간)을 확보(지자체 소유시설을 원칙으로 하며, 예외적으로 공공시설 장기사용(10년 이상) 시 신청가능)하고 총 조성사업비의 70% 이상을 지방비로 확보하여야 한다.\\n ",\n', ' "해외사례": "캐나다 토론토의 아트스케이프(Artscape)는 버려진 공간을 재생해 예술가들의 거주 및 작업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문화자산을 형성하는 창조적인 도시개발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http:\\/\\/torontoartscape.org\\/).\\n ",\n', '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2013),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업무계획 서수정(2013), 문화예술의 창작소, 도시재생의 중간지원조직 토론토 아트스케이프, 건축과도시공간 류정아(2012), 지역문화 정책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년 생활문화센터 조성 지원 사업 안내 \\n ",\n', ' "작성자": "이희정(한양대학교 교수)\\n "\n', ' },\n', ' {\n', ' "정책용어": "새마을운동 세계화\\/지구촌 새마을운동",\n', ' "생성배경": "새마을운동은 농촌개발 모델로서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UN은 아프리카 빈곤퇴치 프로그램의 하나로 새마을운동을 선택할 만큼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의 새마을운동은 농촌개발과 농촌부흥을 위한 국가정책으로 시작되어 의식전환, 소득증대, 농촌빈곤퇴치 등 경제발전과 근대화의 원동력이 되었고, 새마을운동 세계화를 통해 이런 경험을 원조에 활용하여 개도국의 자립역량을 배양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국제원조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원조의 덫에 빠지는 수원국의 문제와 원조피로가 누적되는 공여국의 문제를 탈피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UN의 새천년 개발목표 달성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권령민(2012), 경상북도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새마을운동 세계화 활용 방안,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보고서 임한성(2012), 경상북도의 아프리카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단계별 추진계획,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보고서 임형백(2012), 새마을운동의 세계화와 공적개발원조 적용을 위한 과제, 한국지방자치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4(1), pp. 131-150 노은주(2016),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의 시군 참여 활성화 방안,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보고서 ",\n', ' "작성자": "이재훈 원장(경북테크노파크) \\n"\n', ' },\n', ' {\n', ' "정책용어": "생활문화공동체",\n', ' "생성배경": "도시화가 확대되면서 이웃 간 소통 단절, 동네 단위의 공동체의식 상실, 삶의 피폐화, 지역 간 문화 격차 확대와 같은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문화예술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아마추어들의 다양한 활동은 문화체험 및 향유 욕구가 사회 저변에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생활 속에 내재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함양 및 문화예술 영역을 확대하고, 문화소외지역 주민들의 문화향유권 제고를 통해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n', ' "용어설명": "생활문화공동체는 파편화된 현대사회의 문화소외지역(예: 임대아파트단지, 서민단독주택밀집지역, 농·산·어촌 등) 주민들이 역량 있는 문화예술단체 혹은 예술가와 함께 자생적·주체적·자발적으로 지역의 고유한 역사·문화·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공동체를 만들고, 공동체 활동을 기반으로 문화예술 활동과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연대적 삶을 이어가고자 하는 하나의 방향성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즉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은 ‘개인의 행복을 국가경영의 중심에 둔다’는 국정 지침에 의거 문화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매개로 공동체 문화 회복 및 지역의 변화 유도, 지역주민의 일상 속 문화 향유 기회 제고, 문화적 격차 해소, 문화를 통해 소통하는 사회 조성 등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생활문화공동체 구축은 2008년부터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 확정된 후 복권기금 문화나눔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18개 마을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2013년 연속단체 15개, 일반 공모를 통해 신규로 선정된 13개 단체 등 총 28개 단체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여 총 34,637명(핵심주민 4,711명, 일반주민 29,926명, 문화예술 전문 인력 745명)이 혜택을 받았다. 한편 2015년도에는 총 12개 단체 내외에 주민 간담회 및 수요조사, 운영전략 개발을 위한 사전 활동 및 문화예술 활동을 매개로 한 공동체 형성(기반) 활동 등에 4억 6,4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지원현황(2013) ",\n', ' "해외사례": "스웨덴 베스테르노를란드 주의 경우 근로현장에서의 문화 활동이 근로자의 삶의 질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크로쿠스’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미국 전미교육협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는 2001년 Creative Communities Project를 통해 공공주택에 살고 있는 청소년 5,400여 명을 대상으로 예술교육을 실시하였다. 미국 시카고의 행동하는 문화(Culture in Action)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고등학생, 공공주택 거주자, 에이즈 환자, 여성 단체 등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와 작가들을 연결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n', ' "참고자료문헌":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2013 문화예술정책백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8), 문화클럽 조성 및 활성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생활문화공동체 현황 조사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결과 자료집 : 우리 동네 예술 동네 ",\n', ' "작성자": "이봉구 교수(동의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연구개발지원단",\n', ' "생성배경": "교육과학부가 ‘지방RD사업의 효율성 제고방안(2006년 12월)’의 이행을 위한 실천과제의 하나로서 ‘지역별 RD전담기구의 설치˙운영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 규정에 근거하여 2007년 부산의 연구개발지원단을 최초로 선정˙지원하였다. 이후 충북(2008년), 대구˙전북(2009년), 경기(2010년), 광주(2012년) 등의 순으로 연구개발지원단의 설치˙운영 지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였으나, 당시에는 지원단별 국비지원 규모가 1억 원 이내에 머물러 RD전담기구로서의 실질적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t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과학기술부(2013.2), 2013년도 연구개발지원단 신규사업 공고(제2013-61호) 교육부(2013), 2013년도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시행계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6),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보고서 (지역연구개발활성화사업)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http:\\/\\/www.nrf.re.kr) 한국연구재단(2015), 지역연구개발활성화사업 추진실적(상위평가 자료) 1) 2012~2015년 기간에는 지역기초연구활성화사업의 내역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2016년부터 산학연협력활성화지원사업의 내역사업으로 변경됨. 2) 연구개발지원단의 국비 지원규모(억 원) : 2011년 3, 2012년 6, 2013년 24, 2014년 32, 2015년 31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 },\n', ' {\n',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n', ' "생성배경": "글로벌 경쟁력과 정치적 자율성을 가진 대도시권 지역(Global City-Region)이 국가를 대신하여 새로운 경쟁 주체로서 세계무대에 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민생활 및 경제활동의 범위가 확장되어 단위행정구역의 경계를 넘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는 연계·통합적 경제권 육성이 시대적 대세가 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그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새로운 지역발전 모델로서 광역경제권 전략을 채택하였다. 광역경제권 정책은 세계 경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대내적으로는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광역경제권 창조를 목표로 삼고 선도 프로젝트의 추진, 관련 기반 구축, 추진 체계의 마련 등을 통해 지역특화발전을 추구한다. ",\n', ' "용어설명": "광역경제권(Economic region)은 지역간 연계 및 협력을 통해 지역경쟁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경제·산업권과 역사·문화적인 동질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 권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이명박 정부의 지역정책 패러다임(2008년 1월,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한 ‘새 정부의 창조적 광역발전전략’)에서는 인구, 산업집적, 도시입지, 인프라, 경제흐름, 역사문화 특수성, 지방행정과 지역정서 등을 기준으로 인구 500만 내외의 5대 광역경제권(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과 인구 100만 전후의, 비교적 독립적인 경제권인 2개 특별광역경제권(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으로 구성되었다. 즉, ‘5+2’ 광역경제권을 설정하여 지역 특성에 따라 각각의 특화발전 비전을 제시하였다. ‘5+2’ 광역경제권의 특화발전 비전 출처 :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 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09). ",\n', ' "해외사례": "영국은 지역정책에 광역경제권 전략을 도입한 선두주자로서, 1998년 잉글랜드를 9개의 경제권역으로 구분하면서 광역경제권 정책을 실시하였고, 2004년에는 북동부권, 북서부권, 요크셔·험버권간 연계협력(The Northern Way)도 시행하였다. 각 광역경제권 정책은 1998년 본격 출발한 지역개발청(RDA)에 의해 주도되었다. 프랑스는 기존의 도(데파르트망)를 확대하고 광역경제권에 해당하는 22개 지역(레지옹)을 신설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하였고 전국을 6개 광역경제권, 즉 슈퍼지역으로 설정한 2020년 장기 발전구상을 발표하고 추진 중이다. 일본은 2005년 8대 광역권으로 구분하고(도호쿠권, 수도권, 호쿠라쿠권, 츄부권, 긴키권, 츄코쿠권, 시코쿠권, 큐수권), 전국계획과 광역계획을 분리하여 중앙과 지방의 역할과 기능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글로벌시대의 주요국 지역발전 패러다임 변화 여건변화 국민국가\\/영토국가시대 (’90년대 이전) → 글로벌경제시대 EU출범(’93), WTO출범(’95) 지역발전 패러다임 행정구역 중심 광역발전 국가별 정책 영국 42개 카운티 (1997) → 8개 광역지방계획권(Region) 프랑스 22개 레지옹 (2000) → 6개 광역권(Grandes Regions)구상 일본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 (2005) → 8개 광역지방행정구역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 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09). ",\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2009), 전략지역발전위원회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 신지역발전정책 시리즈 2.(2009), 한국산업기술재단, 지식경제부 OECD(2007), Competitive Regional Clusters: National Policy Approaches 공감코리아 뉴스 ",\n',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농어촌 유산",\n', ' "생성배경": "인류가 소중하게 보전해야 할 가치 있는 자원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제도는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세계문화유산이 주로 독특한 지형지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달리 물리적인 것을 뛰어넘어 그것을 형성하는 산업 활동, 문화 활동 등과 생물·경관·지식체계 등이 폭넓게 결합된 총체적 자원으로서 다른 차원의 유산 제도가 논의되었다. 특히 산업화, 도시화 등으로 점차 사라져 가는 농어업·농어촌 자원 중에서도 자부심을 가지고 후대에도 지속 가능한 형태와 정신으로 유지·보전시키는 동시에 그 가치를 확대 창출할 필요가 있는 자원들은 농어업 유산 또는 더욱 확대된 개념의 농어촌 유산으로 지정,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n', ' "용어설명": "농어업 유산자원은 어떤 국가나 민족 또는 산업주체가 지역사회나 자연환경에 적응, 극복하면서 수 세기 동안 구축하고 발전시켜 온 문화나 전통 및 경관 중 농경 활동이나 어로 활동 등과 결합된 유무형의 자원을 말한다. 그러므로 농어촌 유산은 농어업이라는 산업적 성격의 유산 자원을 포함하여 농어촌의 생활, 역사, 전통, 경관, 문화 등과 연관되어 보전해야 할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자원을 통칭한다.\\t ",\n',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어촌 주민이 지역사회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랜 기간 동안 형성·진화해 온 보전·유지 및 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전통적 농어업활동시스템과, 이의 결과로서 나타난 농어촌의 경관 등 모든 산물을 농어업 유산으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농어업 유산제도를 2012년에 도입하였다. 농촌 자원의 보존·관리·가치화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14년에는 농촌자원 보전관리 방안을 담아 농수산생명자원의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농림축산식품부 및 해양수산부 공통으로 제정한 바 있다. 농어촌 유산의 대상은 전통적 농어업 활동 시스템의 결과로 나타난 다양한 범위의 경관 등 모든 산물을 대상으로 삼으며, 지정 기준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GIAHS: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기준을 바탕으로 한다. 지정 절차는 시·도나 시·군에서 유산자원을 조사·발굴하여 농림축산식품부에 신청하면 농어업유산자원지정심의위원회에서 현장조사를 거친 후 그 기준에 적합하면 국가 농어업유산으로 지정하고 FAO에 등재하고 있다. 유산자원으로 지정되면 1단계로 멸실, 훼손, 변형자원은 복원하여 유산자원의 가치, 품격, 전통성 등을 갖추도록 하고, 2단계로 유산자원의 가치를 저하시키거나 방문객에게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3단계로 유산자원을 관광 상품화하여 농어촌의 소득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FAO의 GIAHS에 세계농업유산으로 지정·신청한다는 방침이다. 2014년 4월 1일에 청산도 구들장논, 제주도 흑룡만리 돌담밭 등 2개소가 국가중요 농업유산으로 지정, FAO에 등재되었다. 구례 산수유농업과 담양 대나무밭은 국가중요 농업유산 제3호와 4호로 지정되었다. 2022년까지 국가중요농업유산 25개소, 세계농업유산 10개소를 등재할 예정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의 경우는 농촌다원적자원활용사업을 활용하여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지역은 농업유산의 보전·활용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게 되며, 유산자원의 복원, 주변 환경 정비, 관광자원 활용 등에 필요한 예산 지원도 받게 된다. 지역당 3년간 10.5억 원 규모이다. ",\n', ' "해외사례": "FAO에서는 세계환경자금(Global Environment Fund)의 지원을 받아 차세대에 계승해야 할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업이나 생물 다양성 등을 가진 농업유산을 보전할 목적으로 2002년에 GIAHS를 도입하였다. GIAHS에서 지정되는 대상은 독창적인 농업제도 및 생태경관 지역, 농업생물 다양성의 보전지역, 고유한 농사지식 체계의 적응지역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탈리아 남부의 계단식 레몬밭, 사하라사막의 오아시스농장, 이란의 고대 지하 관개수로, 일본의 전통적 따오기 공생농법 등 총 19종이 등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청산도 구들장논과 제주 돌담이 국가농업유산이자 FAO에 세계농업유산으로 이름을 올렸다. ",\n', ' "참고자료문헌": "강승진(2012), FAO 세계중요농업유산 (GIAHS) 등록을 위한 제주지역 과제와 추진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JDIFOCUS 136호 김경두(2012), 농어업 유산제도의 도입, 지역과 발전 제8호 김정희(2013), 미래를 이끄는 과거, ‘농어업유산’, 나라경제 2013 3월호. 농림축산식품부(2013),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1), 농업·농촌 유산 (遺産)제도 도입 추진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농어업 유산제도 본격 도입 윤원근, 최식인(2012), 한국 농어업·농어촌 유산 발굴과 보전, 농업전망 20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다랑이논연구회(2011),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송미령, 권인혜, ‘농어촌의 자원을말한다 (제2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자료집)’ 5-3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Yehong Sun, Myriam Jansen-Verbeke, Qingwen Min, Shengkui Cheng(2011), Tourism Potential of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Tourism Geographies ",\n', ' "작성자":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국가균형발전특별법",\n', ' "생성배경": "거점중심의 지역정책에서 탈피하여 수도권 집중 및 지역 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통해 지방의 자립을 촉진하기 위하여 참여정부 초기에 입법되었다. 외환위기 이후 수도권에 인구와 지역 총생산이 집중하는 현상을 해소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전략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2004년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그 후 수차례의 개정을 거쳤다. ",\n', ' "용어설명":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하 법)(제1조)에서는 동법이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과 지역 간의 연계 및 협력증진을 통하여 지역경쟁력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 목적임을 밝히고 있다. 법은 총 5장(제1장 총칙, 제2장 지역발전 5개년 계획 등, 제3장 지역발전 시책의 추진, 제4장 지역발전위원회 등, 제5장 지역발전특별회계)으로 구성되어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강현수(2003), 국가균형발전특별법(안)의 쟁점과 과제, 공간과 사회(20), 공간환경학회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방안 :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과 특별회계 신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산업자원부, 기획예산처(2003), 「국가균형발전특별법」 : ‘모두가 잘 살기 위한 첫걸음’ 한표환(2004),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과 상생적 국토발전전략, 국토(269) 기획재정부 홈페이지(www.mosf.go.kr) ",\n', ' "작성자":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선도산업",\n', ' "생성배경": "기존의 지역산업육성은 지역전략산업을 선정하고 기업지원의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는 부족했다는 반성으로 지역의 신성장동력과 연계한 지역산업육성을 통해 시·도간, 연계·협력 및 규모의 경제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사항이 이명박 정부에서는 광역경제권별로 2~4개 선도산업을 대표산업으로 육성하여 지속적인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였다. 또한 RD부터 생산·판매에 이르는 전·후방산업이 동반 발전함으로써 권역 내 부가가치 창출이 극대화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n', ' "용어설명": "‘5+2 광역경제권’별로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산업군을 말한다.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식경제 통합기술 청사진, 신성장동력 등 국가차원의 산업기술 정책과의 정합성 차원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1단계(2009년7월-2012년4월)에서는 총 12개의 선도산업 20개의 프로젝트에 703개 기업, 1,100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총 7,622억 원이 투입되었다. 한편, 현재 진행 중인 2단계(2012년5월-2015년4월)에서는 총 22개의 선도산업에 40개의 프로젝트가 선정되어 추진 중에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은 1단계의 시행착오를 거쳐 2단계 사업이 정착되고 있다. 2012년 5월에 시작된 2단계 사업은 오는 2015년 4월까지 지역 중소·중견 기업 1,650개사를 지원해 약 2만 5,000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하고, 약 10조 원의 매출 증대효과를 거두는 목표를 설정했다. 정부는 2단계 사업 과제를 고용성과 중심으로 평가하는 ‘고용창출형 RD’로 전면 전환하였다. 그리고 석·박사급 연구인력 채용을 조건으로 하는 채용조건부 RD를 전체 RD 사업의 10% 규모로 시범 도입한다. 또 전문학사 및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출신 인력을 채용할 경우 채용장려금을 지원해 일자리 창출을 유도할 예정이다. 광역경제권별 선도산업 권역 1단계 선도산업 2단계 선도산업 충청광역경제권 New IT, 의약바이오 의약바이오, 차세대에너지, New IT, 융합기계부품 호남광역경제권 신재생에너지, 친환경부품소재 신재생에너지, 라이프케어, 광융복합, 친환경수송기계 대경광역경제권 그린에너지, IT융·복합 그린에너지, IT융·복합, 스마트기기 부품, 첨단융합소재 동남광역경제권 수송기계, 융합부품소재 에너지플랜트, 그린화학소재, 수송기계, 조선해양 강원광역경제권 의료융합, 의료관광 기능성 신소재, 바이오메디컬, 헬스케어 제주광역경제권 물산업, MICE(관광레져) 풍력서비스, 차세대 식품융합, MICE ",\n', ' "해외사례": "영국은 North England 지역에서 디지털산업, 헬스케어과학기술, 의료기기, 첨단소재 및 공학산업을, 프랑스는 MEDICEN 지역에서 고기능 건강과 생체의학 분야, 분자의학 산업을, 일본은 近畿圈(긴기)지역에서 미래형 정보 가전·로봇, 고기능 소재, 에너지 관련 장치·기기, 바이오, 환경산업을 특화하고 있다. 광역경제권 2단계 선도산업 추진현황 출처 :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2단계 육성정책 방향, 일자리 창출 중심의 신지역산업 발전전략, 지역발전위원회(2012). ",\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글로벌경쟁의 조건-해외광역클러스터, 신지역발전정책 시리즈 3(2009), 한국산업기술재단, 지식경제부 ‘정부 5+2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2단계 사업 본격 착수’, 디지털타임스 ",\n',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마을리더",\n', ' "생성배경": "마을은 일반적으로 도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주로 농림업, 수산업, 목축업과 같은 1차 산업에 의해서 생활하는 지역사회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정부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행정자치부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마을단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마을단위로 지역주민을 이끌거나 사업의 운영주체로 활동할 수 있는 리더들이 필요하게 되었다.\\n ",\n', ' "용어설명": "마을리더는 주민들 스스로가 자신의 마을을 살기 좋게 만들기 위해 편익 증진, 경제, 교육, 문화, 복지, 환경, 도시재생, 경관 등의 분야에서 공동으로 하는 사업을 직접 이끌거나 협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즉, 주로 마을 대표, 이장, 추진위원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n ",\n', ' "현재 용어의 사용": "마을리더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마을단위의 마을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사업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역개발사업(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이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 등), 행정자치부의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역공예마을육성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을리더는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 수행자이다. 특히 농어촌지역의 마을리더는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의 리더로서 농어촌마을 운영에 대한 시행착오 최소화, 포괄보조사업 등 정부사업의 이해를 돕고, 도농교류활동 및 농어촌지역의 변화를 주도하는 지역리더이다.\\n ",\n', ' "해외사례": "유럽의 대표적인 농촌개발 프로그램인 ‘리더(LEADER·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동연대)’는 유럽 농업인들의 자존심으로 통한다. 농촌현장을 존중하는 것은 물론 농촌주민의 자율성을 반영해 예산을 지원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받아들인 ‘혁신적이고 매우 성공적인 농촌개발 전략’이기 때문이다. 리더 프로그램 추진의 대표적 성공사례로는 영국의 ‘동부 더럼 리더’를 들 수 있다. 동부 더럼 리더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이 주체다. 유럽연합(EU)이 농촌개발을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1991년 도입했다.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각종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중앙정부는 자금만 지원하고, 운영은 주민자치단체에 맡긴다. 특히 운영체계를 ‘EU 집행위원회 농업위원회-EU회원국 및 지자체-LAG(관광·환경·청소년 등 부문별로 주민들이 참여해 만든 조직)’의 3단계로 분리해 지원하는 자금과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n ",\n', ' "참고자료문헌": "박광범(2012), 지역적 특성과 리더에 의한 농촌마을만들기의 지속가능성 고찰 오승영, 박천오, 진종순(2010),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연구 김남선(2010), 마을평생교육리더 양성과정 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 황영모(2010), 농촌리더 역량이 생산자 조직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n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n "\n', ' },\n', ' {\n', ' "정책용어": "농어촌 뉴타운",\n', ' "생성배경": "2009년 이명박정부의 농정 5대 미래전략 과제의 하나였던 농어촌 뉴타운은 도시에 거주하는 30, 40대 젊은 인력을 농어촌으로 유치하여 지역 농수산업의 핵심인력으로 성장토록 지원하며, 젊은 세대 유치를 통한 미래 농어업 승계자 확보, 농어업 경쟁력 제고 및 농어촌 활력 증진 도모를 목적으로 추진되었다.\\t ",\n', ' "용어설명": "농어촌 뉴타운은 도시민들이 귀농을 하고자 해도 농어촌의 열약한 생활환경, 자녀교육 및 복지, 영농기반, 친교기반 등의 미비로 귀농으로 연결되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맞춤형 영농지원, 양질의 자녀교육 및 복지환경, 쾌적하고 저렴한 주택공급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함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한석종, 주석중(2011), 농어촌 뉴타운조성사업의 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원근(2012), 농어촌 뉴타운사업의 내실화를 위한 로드맵 한국농촌건축학회(2008), 우리나라의 농어촌 뉴타운 조성방안 한국농촌건축학회(2008), 농어촌 뉴타운 계획과 주택모델 사례연구 대전일보(2014.6.6), ‘옛 단양 농어촌 뉴타운’ 분양 순풍 ",\n',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사)지역특화자원사업화연구센터 회장) \\n"\n', ' },\n', ' {\n', ' "정책용어": "귀농·귀촌",\n', ' "생성배경": "한국에서의 귀농· 귀촌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실직으로 인한 생계형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8년 이후에는 금융위기와 베이비부머 은퇴, 전원생활 선호 등 사회, 경제적 요인이 결합되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통계청 발표자료에 따르면 2012년 한 해에 2만 7천여 가구, 4만 7천여 명이 귀농귀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2011년의 1만 503가구, 2010년 4,067가구와 비교할 때 비약적으로 증가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n', ' "용어설명": "귀농은 농업생산에 종사하려는 목적으로 외부 도시지역으로부터 농촌지역에 신규 전입하는 이동을 의미하며, 귀촌은 도시지역으로부터 농촌지역에 신규 전입하였으나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인구 이동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참고로 귀농· 귀촌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자아실현형 : 도시의 삶에서 벗어나 생태적 삶을 통해 정신적 풍요를 얻으려는 유형 영농목적형 : 상대적으로 도시보다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농업, 농촌에서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찾고자 하는 유형 농촌체류형 : 농촌에 살면서 도시의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유형 전원생활형 : 복잡한 도시보다 농촌에서 여가와 노후를 보내려는 유형 ",\n', ' "현재 용어의 사용": "중앙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사업 농림축산식품부는 2009년에 ‘귀농귀촌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귀농귀촌 정착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종합대책에는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신축 자금 등 융자사업과 주택 수리, 귀농인의 집 조성, 귀농 농업인턴, 귀농 컨설팅 등 보조사업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타 부처 및 지자체 등과의 업무 조정으로 현재까지 추진되고 있는 것은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신축자금 융자사업 등이다. 2012년에는 귀농귀촌 가구 2만 호를 정책 목표로 설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만 7천여 가구가 귀농귀촌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중앙단위의 귀농귀촌정책 추진 주체별 역할과 업무구분을 완료하기도 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귀농귀촌을 위한 종합적인 시책개발과 예산지원을 담당하면서 귀농 이전 단계의 교육을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에 위탁하여 추진하고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은 귀농귀촌 종합상담과 정보 제공, 도 농업기술원 및 시· 군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교육 및 귀농귀촌사업의 체계적인 추진과 귀농귀촌자 사후관리와 농업기술지원을 맡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표준설계도 및 농지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농협중앙회에서는 귀농창업자금 대출과 유통지원을 주관하고 있다. 지방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사업 지방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사업의 조레의 주요내용은 귀농귀촌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지원자격과 내용이 중심이며, 지원대상의 연령과 지원범위는 지역별로 상이하다. 다양한 가치관과 경험을 갖고 있던 귀농귀촌인들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조례를 개정하는 시· 군이 늘어나고 있다. ※ 현재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귀농· 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 ) 참조 ",\n', ' "해외사례": " 미국 : 미국은 귀농인들이 은퇴 농업인의 토지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초보 귀농인들에게 농장 구입비 지원 등 정부 주도로 귀농인(초보 농업인)연합회를 조직해 선배 귀농인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 일본은 2012년 4월부터 시행된 ‘신규귀농종합지원사업’을 통해 45세 이하의 청년층에게 준비기간(2년)과 독립기간(5년)의 총 7년에 걸쳐 급여 형태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도시민의 농업 부문 유입을 늘리기 위해 정부· 기관 및 민간단체에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유럽연합(EU) : 유럽연합(EU)은 2015년부터 귀농한 지 5년 이하인 40세 이하 농업인을 집중 지원할 계획으로, 1인당 연간 수령액은 회원국별로 차이는 있지만 평균 986유로를 지급할 예정이다. 영국 : 영국은 신규의 젊은 귀농인들에게 멘토링, 저금리 융자, 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대학연계교육 프로그램 및 보조금지급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최윤지(2013),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귀농귀촌정책의 현황과 과제 김부성(2013), “귀농귀촌 유치와 활성화 방안”, 강원농수산포럼 자료집 오수호(2013), 귀농·귀촌 가구의 이주·정착 특성과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이수행, 이상훈(2012), 한국 농업의 새로운 트렌드 : 귀농·귀촌 황정임, 최윤지(2012), 귀농귀촌인 영농활동 및 정주지원연구, 농촌진흥청 ",\n',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사)지역특화자원사업화연구센터 회장) "\n', ' },\n', ' {\n', ' "정책용어": "남해안 선벨트",\n', ' "생성배경": "본래 선벨트(Sunbelt)는 스노우벨트(Snowbelt)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미국의 첨단산업이 밀집하여 신산업지역을 형성한 남부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미국의 남부지역이 갖는 지정학적 특성과 도시성장의 상징성을 우리나라에 접목시킨 개념이 ‘남해안 선벨트’이다. 남해안 선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남해안에 연접한 35개 시·군·구(부산해안권 9구 1군, 전남해안권 4시 12군, 경남해안권 6시 3군)이다. ",\n', ' "용어설명": "세계 각국은 경쟁력 있는 거대 경제집적지 육성을 위해 국경과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초광역 단위의 지역개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대국인 중국과 일본에 둘러싸인 반도국가로서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에 있어,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국토의 지경학적 잠재력을 최대한 살리는 대외지향형 국토개발 전략이 긴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정부는 세계경제 대응형 국토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초광역개발 구상을 발표하였고 그 중의 하나가 남해안 선벨트이다. 남해안 선벨트는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하는데 첫째는 미국 남부지역과 유사하게 한반도에서 가장 온화한 기후조건과 많은 청정일수를 가진 남해안 일대가 향후 인구와 신산업의 성장지역이 될 것이라는 상징적 의미이다. 다른 하나는 수도권에 대응하는 대극의 신성장축이다. 남해안 선벨트 구상은 영·호남의 남해안을 하나의 초광역개발권으로 통합하여 지역감정 해소와 국가통합, 국토균형발전 등을 도모하고 수도권 대극(對極)의 동북아 신(新) 경제·물류·휴양 허브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남해안 선벨트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남해안권발전종합계획이 마련되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에 근거하여 2020년까지 부산·전남경남의 3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남해안권개발 방안과 주요사업을 발굴 제시한 ‘남해안권발전종합계획’ 이전 단계부터 현재까지 통용되고 있는 용어이다(「동·서·남해안 및 내륙권발전특별법」으로 개정). ",\n', ' "해외사례": "남해안 선벨트는 미국의 선벨트뿐만 아니라 유럽의 첨단산업 중심의 중소도시 발전축인 골드바나나(yellow-banana)와 성격이 유사하다. 유럽의 선벨트(골드바나나) 출처 :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세계의 지역혁신 체계. ",\n', ' "참고자료문헌": "세계의 지역혁신체계(2004),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안) 요약(2012.4), 국토해양부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2010), 부산광역시·전라남도·경상남도 이정록(2009), 남해안 선벨트의 국책화와 향후 과제, 지방행정연구소 2009년도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 지역발전위원회,지식경제부 ",\n',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n', ' },\n', ' {\n', ' "정책용어": "도시형 커뮤니티 비즈니스",\n', ' "생성배경": "1994년 일본에서 지역재생 및 지역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지역 문제해결은 지역 내부의 활동부터 시작하여, ‘지역을 위하여’, ‘사람을 위해서’ 등의 문제를 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로 사업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세계 경제위기 이후 지역 재생적 측면보다는 지역산업의 새로운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사업성을 추구하는 형태의 커뮤니티비즈니스를 지향하였으나 최근 도시재생 및 도시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하나로 공동보육˙공동교육, 마을부엌사업 등과 같이 지역공동체에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도시형 커뮤니티비스니스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t ",\n', ' "용어설명": "일반적으로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생활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지역이 직면한 지역사회 문제를 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 잠재자원을 활용해 비즈니스 방식을 도입하여 해결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금까지 정부나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와 달리 주민 스스로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을 위하여 비즈니스 원리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창출된 수익을 다시 지역으로 환원하는 ‘지역순환경제활동’으로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형태 등이 이에 해당된다.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사업 대상지에 따라 농어촌형, 도시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업 내용에 따라서는 관광교류 분야, 환경 분야, 복지˙보건˙의료분야, 창업취업 지원, 사회적 약자 돌봄 분야, 마을 만들기 분야, 문화˙예술˙스포츠 분야, 산업자원 연계 분야, 생활지원 분야로 구분 가능하다. 농어촌형 커뮤니티비즈니스는 마을 만들기 사업, 농특산물 판매, 관광교류 사업 등이 연계 추진되어 농어촌 일자리 및 소득창출 등을 추구한다. 반면, 도시형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원도심재생, 재래시장 활성화, 저소득층 중심으로 복지 및 의료, 교육, 문화적 수혜 범위 확대, 자원 리사이클 사업 등의 전개를 통하여 지역공동체 재생 및 경제 활성화, 공공서비스 제공 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홍선(2012), 일본 요코하마의 특별한 카페, 희망제작소 호소우치 노부타카(2007),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비즈니스 커뮤니티비즈니스 시범사업단(2010), 커뮤니티비즈니스 시범사업 매뉴얼 이은애(2012),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의 평가 및 개선과제, 서울경제 조달호(2012), 서울형 사회적 기업 성과 및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주영(2013), 도시재생의 해법, 울산발전연구원 협동조합 홈페이지(http:\\/\\/www.coop.go.kr) 경기도(2004), 수도권 공장 신·증설 규제의 합리적 개선방안 연구 ",\n', ' "작성자": "김효정 대표이사(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n"\n', ' },\n', ' {\n', ' "정책용어": "도농교류",\n', ' "생성배경": "근대화, 도시화의 과정에서 도시와 농촌은 분열과 대립의 과정을 겪어 왔다. 공업의 발전은 농업으로부터 축적된 잉여의 이전을 토대로 했으며, 도시의 발전은 농촌으로부터의 인적·물적 자원 이동을 전제로 하였고, 공업과 도시의 발전은 농업과 농촌의 상대적인 저발전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견해는 도시와 농촌간의 관계에 대한 종속론 또는 갈등론적 시각이라 할 수 있다.\\t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수립배경 출처 : 임상봉 외(2004), 14면에서 재인용. 하지만 최근 이러한 갈등론적 시각에 대한 대안으로 양자를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면서 존속하는 공생적 관계로 이해하려는 시각이 나타났다. 도시는 녹지 공간의 축소, 인구 집중,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농촌은 과소화, 경제적 활력 저하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도시와 농촌은 상대적인 면에서 각자의 장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자가 서로 교류를 하면 도농 간의 상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이 나타난 것이다. 도농교류의 종류 인적교류 물적 교류 교육·생활·문화체험 휴양·여가 활동 자매결연 1사1촌 운동 연수, 강좌 개최 고향 방문 행사 자원봉사, 일손 돕기 소식지 및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교류 귀농, 외지인 거주 제2고향 갖기 산지 직거래 인터넷 농특산물 판매 농특산품, 공예품 판매 농업위탁경영, 계약재배 휴양단지, 별장 분양 농작물, 과수, 가축 분양 땅, 주택 매매 외지인 사업 경영 및 투자 환경농업 교육 농사·수확, 농장 체험 농촌자연학습, 체험학교 바른 식생활 캠프 역사문화탐방, 전통체험 농촌생활·문화 체험 농업·지역산업 현장 견학 지역·마을축제, 행사 개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농촌관광 관광농원 주말농원 실버농장 농촌지역테마관광 민박, 펜션 운영 낚시, 등산, 야영 ·MTB, ATV ",\n', ' "용어설명": "도농교류란 사람, 물품, 서비스, 정보, 문화 등 도시와 농촌 간에 이루어지는 모든 상호작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와 농촌 사이에서 인간적 신뢰를 바탕으로 네트워크나 자매결연 등을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품·정보·자본·서비스 등 양방향적, 반복적, 지속적으로 교환되고 거래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농촌관광, 그린투어리즘, 녹색관광 등 다양한 용어와 혼용되거나 비슷하게 이해되기도 하지만, 도농교류는 자연에 대한 이해와 농촌의 활성화와 같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사람의 교류에서부터 농산물·특산물과 같은 상품, 관광·휴양·체험 서비스, 정보, 문화, 자본 등의 교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므로 녹색관광이나 농촌관광보다는 더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도농교류가 강조되는 이유는 도시와 농촌의 상호교류를 통해 농촌의 공동화를 치유하고 지역 활성화를 가능케 하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러한 기대를 바탕으로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하여 농촌진흥청, 산림청, 행정자치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다양한 정부 부처에서 도농교류와 관련된 정책 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다. 도농교류센터 운영, 1사1촌 운동, 도농교류협력사업을 비롯하여 관광농원사업, 농어촌휴양단지사업, 주말농원 사업,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 등 다양한 농촌관광 육성 관련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2007년에는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 중에 있다. 이와 함께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은 물론 각 대학 및 학교 도서관을 연계하여 교수ㆍ학습ㆍ연구 활동 및 교과학습과 지식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지식정보자원 통합ㆍ제공의 상호 협력 기반 조성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한 도서관 시설ㆍ장서ㆍ전문 인력의 운영 내실화 및 관련 법ㆍ제도 정비도 추진할 계획이다. ",\n', ' "해외사례": "유럽 국가 중에서 프랑스는 2차 대전 이후에 그린투어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농촌관광이 시작되어 상당히 일찍 시작된 나라에 속한다. 일반 도시민이 값이 비싼 바캉스를 대체하여 농촌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휴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독일은 1960년대 후반에 농촌관광이 시작되었는데, 농외소득 향상과 이농 억제가 주목적이었다. 영국은 1970년대에 본격화되었으며, 농촌의 자연·경관 유지 보전과 농가의 경영 다각화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일본은 1980년대에 본격화되었으며, 전 국민에게 농촌에서 즐기는 여유 있는 휴가를 보급하고 농촌지역 활성화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n', ' "참고자료문헌": "김병률 외(2000),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시현 외(2003), 우리나라 농촌관광 발전 방향 및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임상봉 외(2004), 도농교류의 유형별 수요분석 및 교류방안에 관한 연구, 농식품부·농어촌연구원 유정규 외(2006), ‘도농교류·정주지원기구’ 설립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규천 외(2012), 일사일촌 농촌사랑 운동의 추진 실태와 발전 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작성자": "채종현 부연구위원(대구경북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기업도시",\n', ' "생성배경": "기업도시는 민간 기업이 산업·연구·관광·레저 분야 등에 걸쳐 계획적·주도적으로 자족적인 도시를 개발·운영함으로써 민간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수도권의 과밀 문제를 해소하고 지방의 자립적·혁신적 발전역량을 확충하기 위한 분산정책의 하나로 기업도시와 함께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건설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기업도시는 산업입지와 경제활동을 위하여 민간 기업이 산업·연구· 관광·레저·업무 등의 주된 기능과 주거·교육·의료·문화 등의 자족적 복합기능을 고루 갖추도록 개발하는 도시를 말한다. 기업도시 유형에는 산업교역형(제조업과 교 역 위주의 기업도시), 지식기반형(연구·개발 위주의 기업도시), 관광·레저형(관광· 레저·문화 위주의 기업도시)이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05년부터 전국 6곳(원주, 충주, 태안, 무주, 무안, 영암·해남) 에 시범사업의 형태로 추진 중인 기업도시 중 무주(2011.1)와 무안(2013.2)은 개 발구역이 지정 해제되고 4개 기업도시는 착공되어 본격적으로 개발·분양 중이다. 원주와 충주는 지식기반형, 태안과 영암·해남은 관광·레저형으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n', ' "해외사례": "도요타시는, 1938년 고로모시에 도요타 자동차가 공장을 설립한 이후 1959년 지명을 도요타시로 개명하고 기업과 지자체가 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자동차 제품과 지역발전이란 눈부신 성과를 실현하였다. 인구 5만 명의 고로모시가 도요타 자동차의 입지로 35만 명의 도요타시로 발전한 사례다. 전국 기업도시 현황 출처 :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 2013.6.10. ‘민간정부, 기업도시 활성화 위해 발 벗고 나섰다’. ",\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2012), 지역발전정책의 성과와 향후과제 국토교통부(2015), 기업도시사업, 본격 개발·분양 추진 중 한국토지공사(2005), ‘세계의 혁신도시를 가다’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업도시개발특별법」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korealand.tistory.com) ",\n', ' "작성자": "송우경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녹색성장(green growth)",\n', ' "생성배경":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변화와 글로벌 에너지·자원고갈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었다. 특히 화석연료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고 지구온난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는 중화학, 전자산업 등 기존 주력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t ",\n', ' "용어설명": "녹색성장은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성장으로서,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로 신성장동력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신(新) 국가발전 패러다임이다. 녹색성장은 핵심 주력산업의 녹색화, 저탄소형 녹색산업 육성, 가치 사슬의 녹색화 등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환경과 경제 양축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국토, 도시, 건물, 주거단지 등 우리 생활 모든 곳에서의 녹색생활 실천 및 녹색산업 소비 기반을 마련하여 삶의 질 개선 및 생활의 녹색혁명을 추진함과 동시에 국제적 기후변화 논의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국가발전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활용된다.\\t 녹색성장 추진 방향 출처 : 녹색성장 추진 방향, 양수길(2010.11) ",\n', ' "현재 용어의 사용": "이명박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을 목표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2010년 1월 31일 제정·시행)에 근거하여 녹색성장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목표·추진전략·중점추진 과제 등을 포함한 녹색성장 국가전략을 수립하였다. 녹색성장 3대 전략은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삶의 질 개선 및 생활의 녹색혁명, 국제기대에 부합하는 국가위상 정립’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환경과 경제 양축의 시너지 극대화,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 육성:국민소득증대 및 일자리 창출, 산업구조 녹색화 및 청정에너지 확대: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저탄소형 국토개발, 생태공간 조성확대, 녹색교통체계·대중교통 활성화, 녹색소비를 통한 녹색시장 조성\\/ 국제기후변화 논의에 적극적 대응, 녹색 가교국가로서 글로벌 리더십 발휘 등 8대 과제가 추진되고 있다. 국가 녹색성장 3대 전략 출처 : 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http:\\/\\/www.greengrowth.go.kr) ",\n', ' "해외사례": "미국의 경우, 오바마 행정부는 「경기부양법」(ARRA)을 통해 에너지 관련 산업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에너지 정책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주요정책으로 인식하고 에너지의 대외 의존도를 줄여 ‘에너지 독립’을 실현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http:\\/\\/www.greengrowth.go.kr) 대한민국 건국 60년 대통령 경축사(2008. 8. 15) 산업통상자원부(2009), 해외정책연구 양수길(2010), ‘녹색성장 추진방향’, 대전시 녹색성장 세미나 발표자료 ",\n',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복합시설",\n', ' "생성배경":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는 사업들의 유사중복을 방지하고 시설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서는 둘 이상의 시설을 복합화하여 건설하는 사업에 대해서 정부가 회계의 세출예산을 편성할 때 우선 반영하고 사업별로 지원규모·보조비율 등에 차등을 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39조 제2항)\\n ",\n', ' "용어설명": "특정 기능의 시설물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기능의 시설물로 집적하여 설계·건축·운영함으로써 시설비(건축비), 운영비 등을 절감하고 이용자 증가 등으로 시설활용도 제고(운영수익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복합시설의 종류로는 교육기반 복합시설, 문화기반 복합시설, 체육기반 복합시설 기타 교통기반 복합시설 등 여러 가지 유형을 들 수가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기획재정부에서는 지역발전특별회계(이하 “지특회계”라고 한다) 예산 편성을 위하여 지자체가 신청한 차년도 예산안에 대하여 복수의 지특회계사업간 복합시설뿐 아니라 일반회계 등 타 회계 사업과 지특사업 시설을 통합 설치하는 경우, 신규로 신청하는 지특사업이 기 추진 중이거나 완공된 시설물의 활용도를 제고하거나 기능을 다양화하기 위한 경우, 사업추진 과정에서 기본\\/실시설계 통합발주사업, 부지공동이용 등으로 사업비가 절감되는 경우에 복합시설 사업으로 인정하여 우선 반영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단, 사업모델이 이미 전국적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경우, 당초 사업자체가 연계사업 등을 지원하는 사업인 경우, 주무부처의 계획·조정등에 따라 지자체간 협력·연계하는 경우, 동종(예시 : 체육관+운동장+헬스시설) 또는 유사 시설(예시 : 고추장, 된장, 육젓 등 장류 제조시설) 등의 복합시설 사업인 경우에는 예산편성상의 우대에 해당되는 시설로 인정하지 않는다. 복합시설의 예 경상남도 마산 중리초교 복합시설 \\/ BTL사업(2008년 준공) ·학교+문화시설+생활체육시설\\n·추진주체 : 교육청+지자체\\n·총사업비 : 지자체 50억 원\\n·운 영 권 : 지자체\\n·소 유 권 : 지자체 20년간 서울, 금호초교 복합시설 \\/ 재정사업(2001년 준공) ·학교+주차장+체육관+수영장+헬스장 등\\n·추진주체 : 성동교육청+성동구청\\n·총사업비 : 교육청 110억 원+구청 114억 원\\n·교육청은 체육관, 수영장 등 학생 무료 이용(년 60억 원 절감), 구청은 학교부지 무상사용(1,200평, 60억 원 절감) \\n 유사개념\\n 지자체간 연계사업이란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효과가 미치는 사업을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자체간 협약, 계약, 약정 등에 의하여 사업비를 분담하고 단일 목적의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관련 시설 등의 허브화, 광역화가 촉진되거나 개별적으로 추진하였을 때보다 사업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을 일컫는다. 개별 지자체마다 중복 추진하지 않고 관련 지자체 주민들이 공동 이용할 수 있는 단일 시설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개별 지자체로서 수행하기 곤란한 대형 사업에 대한 공동투자의 경우, 지자체간 특화된 자원, 산업, 기능, 인프라를 상호보완 및 연계하기 위한 제반 사업의 경우에 해당하며 이 역시 예산편성상의 우선 반영과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n 임대형 민자사업 방식인 BTL(Build Transfer Lease) 방식에 의하여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학교 복합시설의 경우 학교부지에 지역주민의 수요가 많은 도서관, 체육관, 수영장 등 문화시설과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등 복지시설과 주차장을 함께 건립하여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사용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시설은 지역문화 커뮤니티센터의 기능, 주민의 문화복지시설을 교육자원으로 활용하는 평생교육시설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함으로써 부족한 도시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비용절감 효과 등이 우수하여 정부에서도 국고보조금 우대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n ",\n', ' "해외사례": "일본 이치가와시의 제7중학교의 ‘학교+보육시설+문화센터+요양시설’.\\n ",\n', ' "참고자료문헌": "기획재정부(2014),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이성룡 외(2011),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학교시설 복합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n ",\n', ' "작성자": "이여진 지역사업평가센터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n \\n"\n', ' },\n', ' {\n', ' "정책용어": "과학비즈니스벨트",\n', ' "생성배경":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명박 정부의 대선 공약 사항이었던 ‘국제과학기업도시 벨트 조성’ 사업을 구체화한 것으로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환경을 구축하고 기초연구와 비즈니스가 융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2009년 1월 13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을 확정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1년 12월 31일 공포)과 동법 시행령(2011년 11월 1일 공포)이 제정되었다. 그리고 동법에 근거하여 2011년 12월 2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 과학비즈니스벨드는 거점지구를 대전 대전연구개발 특구에, 기능지구를 충북 청원군과 충남 천안시, 그리고 세종시에 각각 조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의 50개의 대덕연구개발특그에 25개를 배치하고 나머지는 광주, 대구, 포항, 울산에 각각 분산 배치될 예정이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과학비즈니스벨트와 유사한 사례로는 독일의 드레스덴(Dresden)과 미국의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 Research Triangle Park) 등을 들 수 있다. 독일의 드레스덴은 정부 주도로 기초과학연구소(Max Planck)를 유치한 뒤 프라운호퍼연구소 등 20여 개의 국내외 연구기관과 폭스바겐, AMD 등 다수의 다국적 기업들을 유치함으로써 5,000여 명의 과학자들이 지식기반 도시화를 주도하여 인구와 고용의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미국의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는 1965년 선도기관으로 국립환경보건연구원을 유치한 것을 계기로 120여 개의 연구기관과 170여 개의 첨단기업들이 입주함으로써 세계적인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성장하였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와 기능지구 출처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n', ' "참고자료문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시행계획(2012),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2012년~2017년)(2011),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안)(2009),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www.isbb.go.kr)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시행령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홍보 블로그(blog.naver.com\\/isbb2030) ",\n', ' "작성자": "이종호(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n"\n', ' },\n', ' {\n', ' "정책용어": "경제자유구역",\n', ' "생성배경": "경제자유구역은 외환위기 이후 아시아 각국이 세계 유수기업을 유치하여 자국을 국제비즈니스 중심지로 육성하고자 하는 노력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2002년 대통령의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육성 기본구상’ 발표 및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 마련, 2003년 경제자유구역 기획단 설치 및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이하 경자법)」(2002년 12월 제정, 2003년 7월 시행) 등을 통해 추진 중인 제도이다. 해외 투자자본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각종 인프라, 세제, 행정 인센티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경제활동에 대하여 글로벌 수준의 규제완화, 관세 및 조세 감면 등의 예외 조치를 허용해주는 경제특구이다. 이러한 경제자유구역은 산업·상업·물류·주거단지가 어우러진 복합개발 방식으로 국제비즈니스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산업용지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외국인투자지역 및 산업단지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n', ' "용어설명": "경제자유구역은 「경자법」에 근거하여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영환경과 외국인의 생활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외국인투자를 촉진하고 나아가 국가경쟁력의 강화와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정·운영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은 지난 10년간 기획·초기개발(2002~2007년) 및 본격개발·제도개선(2008~2012년)의 과정을 거치면서 외국인투자(FDI) 실적이 증가한 결과, 2012년 24.3억 불, 2013년 11.5억 불, 2014년 18.2억 불을 유치하였으며 2014년에는 우리나라의 전체 외국인투자(189.6억 불)의 9.6%를 차지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경제자유구역 외국인투자(FDI) 유치실적 추이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내부자료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5), 보도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11), 한국경제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의 과제 산업통상자원부(2010),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산업통상자원부(2009), 경제자유구역내 국내기업 입주촉진방안 1)경제자유구역 성과평가는 2010년에 첫 도입된 이후 전년도 성과를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하는 제도로서 2014년도의 경우 종합순위에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이 1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2위를 각각 차지하였음. 2)장기간 개발지연을 방지하고 개발지연에 따른 주민 재산권 침해 관련 민원 해소를 위해 「경자법」에 새로이 도입된 ‘지정 해제의 의제(擬制)’ 제도에 따른 결과임.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복합혁신센터",\n', ' "생성배경": "복합혁신센터는 국토교통부가 2018년 2월 발표한 혁신도시 시즌 2과 2018년 10월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2018-2022)을 근거로 ‘혁신도시 정주여건’ 제고를 위하여 혁신도시에 부족한 정주인프라(문화\\/체육\\/복지)시설과 창업지원 공간을 융\\/복합하여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역주민들의 수요가 높은 수영장, 공연전시장, 문화센터 등을 융합 설치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정주여건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활SOC복합문화시설이나 복합문화센터, 복합커뮤니티센터 등과 유사하나 「혁신도시법」에 의한 혁신도시 10개를 대상으로 정주 인프라와 창업공간을 지역별 실정에 맞게 융합하여 추진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n', ' "용어설명": "복합혁신센터는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34조(회계의 세입과 세출) ‘정주환경개선비용에 대한 지원’을 근거로 정주인프라(문화\\/체육\\/복지)와 스타트업\\/사회적 기업 창업공간을 융합한 복합주민커뮤니티 시설이다. 도서관, 전시관, 문화센터, 전시\\/공연장 등 문화시설과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주민커뮤니티시설 등을 한곳에 집약하여 주민 이용편의를 극대화하고, 기업 활동을 위한 사무공간, 회의실 등을 설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한다.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가 입주하여 센터운영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 「혁신도시법」 제47조의 3에 의거 설치\\/운영되며, 혁신도시 시즌2 핵심업무와 센터운영 및 유지관리 업무 수행 국비 1,054억 원을 투입하여 2018년부터 2021년까지 3개년 사업으로 공모를 통해 전국 10개 혁신도시별 1개씩 건립\\/추진하는 사업이며, 혁신도시별로 지역수요와 기존 인프라 등을 고려하여 주민편의, 창업 및 일자리 지원기능 등이 집적된 복합혁신센터 설치계획을 수립하였다. 혁신도시별 복합혁신센터 건립계획안(2018) 구분 주요 시설 부산 동삼동 혁신지구가 필요로 하는 보육·문화인프라 위주(어린이집, 문화강좌센터, 체육시설 등)로 구성 대구 교육인프라(육아교육ㆍ어린이집, 도서관, 문화센터, 대학 산학협력센터 등)에 특화하여 구성 광주전남 교육·문화시설(수영장, 육아지원시설, 문화교실, 동아리룸, 청년창업지원센터 등)을 위주로 구성 울산 운동 및 여가생활을 위한 시설(다목적체육관, 문화강좌실 등)을 위주로 구성 강원 혁신도시 테마를 살려 체육·건강시설(수영장, 건강증진지원센터, 사회적경제기업 판매ㆍ전시시설 등)위주로 구성 충북 정주여건 전반(고용·창업지원센터, 지역사회공헌센터,실내어린이놀이터 등)을 위주로 조성 전북 30~40대 맞벌이 거주자 지원시설(학습정보실, 육아나눔지원센터, 문화정보실 등)으로 구성 경북 젊은 층 위주의 유입으로 교육·문화시설(도서관, 소공연장, 청년취ㆍ창업 센터 등)위주로 구성 경남 육아 및 일자리 여건 강화를 위한 시설(실험ㆍ실습실, 전시실, 기업지원실, 보육시설 등)으로 구성 제주 보육·생활·체육시설(체육시설, 어린이집, 작은도서관, 놀이방 등) 위주로 구성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혁신도시시즌2 추진방안, 관계부처, 2018.2 국토교통부(2018.2.26.), 보도자료 국토교통부(2018.9.19.), 보도자료 국토교통부(2018.10.25.), 보도자료 국토교통부\\/혁신도시발전추진단,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안)주요내용, 2018.10.25 국토교통부(2019.5.13.), 보도자료 국토교통부(2019.9.23.), 보도자료 부산혁신지구 복합혁신센터 건립기본구상, 부산연구원, 2020 ",\n', ' "작성자": "김효정(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농어촌특별세",\n', ' "생성배경":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타결 및 WTO체제 출범으로 농·수산물 수입개방이 현실로 닥치자, 농어민을 보호하고 농어업 및 농어촌의 위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정부는 1994년 7월 농어촌특별세를 도입하였다. 2004년 6월까지 한시적으로 농어촌 구조개선 사업에 농어촌특별세를 운영하기로 하였으나 2003년 한·칠레 FTA가 논의되는 과정에서 10년을 연장하기로 함에 따라 과세 시한은 당초보다 연장되어 2014년 6월까지가 되었다. 2014년 기획재정부는 농특세 적용기한을 또다시 10년 연장하는 내용의 세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각종 FTA가 체결되는 상황에서 농림·어업 분야의 필요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농어촌특별세를 10년 더 유지하는 내용의 ‘농어촌특별세법 일부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기 때문이다. ",\n', ' "용어설명": "농어촌특별세는 농·어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농어촌의 산업기반시설 확충 및 농어촌 지역개발사업 등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확보할 목적으로 도입한 목적세이다. 농어촌특별세의 납세의무자는 소득세·법인세·관세·취득세 또는 등록세의 감면을 받는 자, 법인세과세표준 금액이 5억 원을 초과하는 법인, 특별소비세 납세의무자 중 일정한 자, 증권거래소 및 장외 중개회사에서 양도되는 주권을 대체 결제하는 회사, 취득세 또는 레저세의 납세의무자, 종합부동산세의 납세의무자 등이다. 「조세특례제한법」 등에 의한 감면세액과 특별소비세, 취득세 등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0.15~30%의 세율로 과세하는 부가세적 형태로 운영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국세청(2012), 개정세법 해설 김상겸(2009), 조세체계 단순화를 위한 목적세제 개편 방안 : 교육, 농어촌 특별세, 교통에너지환경세, 산업연구, 제33권 제1호(2009년 3월) pp.21-41 김용택(1994), 농어촌특별세 운용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윤권, 윤두섭(2007), 정치적·행정적 맥락 하의 예산집행 낭비 요인 분석 : 농어촌 구조개선 사업과 농어촌특별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1권 제2호 김준영(2003), 농어촌특별세와 농업재정 김준오(1999), 농어촌특별세에 의한 농업 부문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농협 조사 월보 단국대학교 협동문화경제연구소(2000), 15조원 농어촌특별세 사업 추진상황 중간평가 박현석, 이희범(2009), 목적세 정비 등 조세체계 간소화 방안, 기획재정부 임형백, 조중구(2004), 농어촌 구조개선사업의 발전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제36권 제3호, 147-166 장원석, 김호, 허승욱, 김성철(2000), 농어촌특별세 사업의 성과와 추진방향, 농업 경영·정책연구 전국농민회총연맹 전농정책실(2003), 농특세법 개정에 대하여, 농민의 길, 통권3호, 19-25 전동흔(2007), 지방세 해설 : 지방세 가산세와 농어촌 특별세가산세의 적용범위, 지방세, 제2호 통권 100호. 73-102 한국세무학회 편집부(2012), 농어촌특별세법 한국조세연구원(2010), 재정통계 : 전화세 예산 및 징수\\/인지세 예산 및 징수\\/방위세 예산 및 징수\\/농어촌 특별세 예산 및 징수, 한국조세연구원 재정포럼 ",\n',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스마트혁신지구",\n', ' "생성배경": "‘스마트혁신지구’에 대한 관심은 2021년 중소벤처기업부가 낙후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개별기업이 구축하기 어려운 공동활용 스마트플랫폼 조성을 지원하고자,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사업 공모를 시작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스마트플랫폼’은 민간기업의 투자를 전제로 제조혁신 지능형 체제, 지능형 인공지능(AI) 물류, 기업 공동활용공간, 친환경 공동기반 등 현장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성되도록 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스마트혁신지구’제도는 지역별·산업별 특성에 따라 지자체가 자유롭게 계획을 마련하되, 사업 취지에 맞게 지역 내 그린 스마트화 관련 사항을 중점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 혁신지구의 주 개념은 ‘스마트 공동시설’과 ‘친환경인프라’를 중심으로 한 중앙-지방-민간의 상호연계협력형 스마트 공동활용 플랫폼에 있다. 스마트혁신지구 개념 출처 : 대전세종연구원(2021), 대덕구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방안 연구 ‘스마트 공동시설’은 IOT, AI 등을 활용한 기반시설의 디지털화 및 Post-코로나 대비 비대면화 대응을 위한 인프라 조성과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친환경 인프라’는 기후·환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친환경소재 등) 인프라 관련 시설 조성 및 시스템 구축이 주 내용으로, 태양광, 태양열 및 폐기물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 시설, 배기가스 등에 포함된 수분과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대기오염방지시설 등이 해당된다. 공동활용스마트플랫폼 예시 지원 항목 세부 지원내용 스마트 공동시설 스마트 제조 공동 플랫폼 빅데이터, AI, 로봇 등을 도입한 시험 및 테스트베드 공간, AR 기술을 도입한 시제품 시뮬레이션 공간 등 스마트 물류 공동 플랫폼 Iot, AI 기술 등을 활용한 다품종 공유형 디지털물류시스템 등 Post-코로나 공동 플랫폼 Post-코로나를 대비하여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비대면 회의시스템, 제품홍보를 위한 AR\\/VR 활용 스튜디오 등 친환경(그린) 인프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시설, 환경관리를 위한 폐기물 처리 또는 미세먼지 저감시설 등 * 스마트그리드 : ICT 기술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높인 지능형 전력망시스템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2021),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사업 공모계획, 공고 제2021-290호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중소벤처기업부(2021),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사업 공모계획, 공고 제2021-290호 대전세종연구원(2021), 대덕구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방안 연구 국토교통부(2019),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n', ' "작성자": "장효천(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로컬크리에이터",\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 K-Startup: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https:\\/\\/www.k-startup.go.kr\\/homepage\\/businessManage\\/businessManageFunction.do?mid=30653sid=588itemSeq=300040bizCategoryCode=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로컬크리에이터 및 메이커, 지역혁신과 창업의 문 활짝 열다! (2019.10.11.)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창업국가 조성’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4,517억원 지원 (2020.01.02.)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지역경제 이끌어 갈 로컬크리에이터 140개 과제 선정 (2020.06.04.)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2:1의 경쟁률, 지역 청년들 로컬크리에이터에 열광 (2020.04.02)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지역가치 창업가’ 250개 팀 모집 (2021.03.24.) 비로컬: [로컬의시대(2)] 어느 때보다 \'로컬\'의 의미가 복잡한 시대 http:\\/\\/belocal.kr\\/View.aspx?No=660827 비로컬: [로컬의시대(4)]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로컬\'을 창조한다 http:\\/\\/belocal.kr\\/View.aspx?No=760624 비로컬: [로컬의시대(6)] 로컬크리에이터에서 로컬스타트업으로 http:\\/\\/belocal.kr\\/View.aspx?No=832386 ",\n', ' "작성자":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광역경제권 사업",\n', ' "생성배경": "경제활동 범위의 글로벌화, 세계 각국의 지역정책 광역화 추세에 대응하여 지역정책의 중점을 ‘5+2’ 광역경제권 중심으로 전환함에 따라 광역경제권의 특성과 여건에 맞고, 새로운 성장동력화가 가능한 1~2개 ‘신성장 선도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광역경제권 사업을 신설하여 지원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지식경제부 홈페이지 ",\n',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디자인센터(RDC)",\n', ' "생성배경": "지역디자인센터는 지역균형 발전적인 측면에서 지역 산업디자인의 개발촉진 및 진흥을 위하여 산업디자인진흥법 제11조의2에 의해 지역 디자인 특화사업·진흥사업·기반구축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독일 지역디자인센터_Design Zentrum Nordrhein-Westfalen_www.red-dot.org 1955년 독일 에센의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는 주 정부의 지원과 지역 단체들과의 협력체계를 확보하며 지역 내 기업들에게 디자인기업 연계 및 자문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Reddot design award”가 있다. 글로벌 디자인 어워즈로 세계3대 디자인어워즈(IF(독일). IDEA(미국), REDDOT(독일)) 중 하나이다. 규모면에서 세계최대의 산업디자인 교류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독일 레드닷 디자인사이트(www.red-dot.org) 독일 레드닷 디자인박물관 일본 지역디자인센터_고베디자인센터, KIITO http:\\/\\/kiito.jp 1927년(구관), 1932년(신관)에 시공한 2개의 건물로 이루어진 고베의 생사검사소를 리노베이션하여 2012년 8월 ‘디자인크리에이티브센터-고베’로 새롭게 개관. 지상 4층 건물로 디자인 세미나, 강연, 전시, 이벤트를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시민을 위한 디자인, 방재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가이드를 꾸준하게 진행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치빗코베(꼬마고베)_꿈의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지진ITSUMO프로젝트_재난발생시 피해 최소화 매뉴얼 디자인 중국 지역디자인센터_광동산업디자인단지(Guangdong Industrial design City) https:\\/\\/gidc.cc 광동산업디자인단지(GIDC)는 광동성 포산시(佛山市)에서 건축면적 70,000평 규모, 총 21억위안(한화 3,477억) 투자하여 2009년 개관하였다. 광동지역 일대를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첨단 산업지구로 키우겠다는 의지로 디자인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여 포산시로 입주를 원하는 디자인전문기업에게 창업지원과 사무실, 1~2명이 살 수 있는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입주기업 300여개사, 디자이너 8,3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광동공업디자인성(GIDC) 디자인전문기업 사무공간과 주거공간 입주기업 디자인어워드 수상작 상설 전시장 ",\n', ' "참고자료문헌": "산업디자인진흥법 제11조의2 (지역디자인센터의 설치 등) 광주디자인진흥원 (http:\\/\\/www.gdc.or.kr ) 부산디자인진흥원 (https:\\/\\/www.dcb.or.kr )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 (http:\\/\\/www.dgdc.or.kr ) 대전디자인진흥원 (http:\\/\\/www.didp.or.kr ) 강원디자인진흥원 (http:\\/\\/www.gidp.kr\\/gidp ) 레드닷디자인어워즈 (www.red-dot.org ) 일본고베디자인센터 (http:\\/\\/kiito.jp ) 광동산업디자인단지 (https:\\/\\/gidc.cc ) ",\n', ' "작성자": "이경남(대구경북디자인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사회적기업",\n', ' "생성배경":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속히 증가하는 실업률과 심화된 양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고령화와 저출산문제, 전통가족구조의 해체 등으로 사회서비스 수요증가에 따른 사회서비스 부문의 고용확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 활동의 증가에 따라 새로운 해법으로 등장하게 된 제도이다. 사회서비스에 대한 공급확대를 통한 적극적 고용창출전략으로 2003년부터 사회서비스 일자리사업을 추진하였다. 사회서비스 일자리사업은 고용노동부를 비롯하여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산림청, 문화재청 등 다양한 정부부처에서 참여하고 있으며 연도별 예산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공공근로사업이나 자활사업 등 정부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안정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고용노동부를 중심으로 사회적일자리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이라는 양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유럽형 사회적기업 제도 도입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2007년 1월 3일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되었고 2007년 7월 1일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되면서 2007년 10월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사회적기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n', ' "용어설명":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및 조직을 말한다. 사회적 목적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또는 사회서비스 제공, 지역사회발전 및 공익증진, 민주적 의사결정구조(서비스수혜자, 근로자,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 참여), 수익 및 이윤발생 시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재투자(상법상 회사, 이윤 ⅔이상)이다. 영업활동은 비영리법인단체˙조합˙상법상 회사 등 다양한 조직형태를 인정하며, 유급근로자 고용, 영업활동을 통한 수입이 노무비(인건비)의 30%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 「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7조의 규정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관을 말한다. 사회적기업육성법 제2조에 ‘취약 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과 ‘주주나 소유자를 위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우선적으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이를 위해 이윤을 사업 또는 지역공동체에 다시 투자하는 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회적 목적에 따라 사회적기업을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일자리제공형(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제공), 사회서비스제공형(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제공), 혼합형(일자리제공형+사회서비스제공형), 기타형(사회적 목적의 실현여부를 고용비율과 사회서비스 제공비율 등으로 판단하기 곤란한 사회적기업), 지역사회 공헌형(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이다. 예비사회적기업은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과 “부처형 예비사회적기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목적 실현,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창출 등 사회적기업 인증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수익구조 등 일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기관을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정하여 장차 요건을 보완하는 등 향후 사회적기업 인증이 가능한 기관이다. “부처형 예비사회적기업”은 사회적목적 실현,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창출 등 사회적기업 인증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기관으로서, 중앙부처장이 지정하여 장차 요건을 보완하는 등 사회적기업 인증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다.\\t 사회적기업의 개념 출처 : 사회적기업연구원(http:\\/\\/www.rise.or.kr\\/02\\/01.php) 출처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http:\\/\\/www.socialenterprise.or.kr\\/kosea\\/info.do) 사회적기업의 역사적 흐름 출처 : 고용노동부(2011), 희망의 미래 함께 가는 길 - 쉽게 이해하는 사회적기업 가이드북. p14 사회적기업 인증과 지역형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의 요건 비교 (단위 : %) 구분 사회적기업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 법령 사회적기업육성법 조례 또는 규칙 요건 ①조직형태 ①조직형태 ②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할 것 ②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할 것 ③사회적 목적 실현(취약계층 고용˙사회서비스제공 등) ③사회적 목적 실현(취약계층 고용˙사회서비스제공 등) ④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구조 ⑤영업활동을 통한 수입(매출액이 노무비의 30% 이상) ⑥정관˙규약 등을 갖출 것 해당없음 ⑦배분 가능한 이윤의 2\\/3이상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상법상 회사의 경우) ④배분 가능한 이윤의 2\\/3이상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필요한 기관에 한함) 출처 : 고용노동부(2012), (예비)사회적기업재정지원사업시행지침, p.9 사회적경제 사회(공동체)의 보편적 이익과 구성원들의 민주적 의사결정, 노동중심의 수익배분, 사회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등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화폐적˙비화폐적 자원을 배분, 생산, 소비, 교환, 분배하는 조직들로 구성된 하나의 경제영역이다.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경제 조직 사회적 경제조직은 각 조직의 고유한 사회적 목적 실현을 추구하는 기업으로서, 구성원과 공공을 위한 목표, 경영의 자율성, 민주적 의사결정과정, 수익 배분에서 자본보다 사람과 노동을 중시 등의 원칙을 따른다. \\n설립 목적과 근거에 따라,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조직이 있다.\\n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창출과 사회서비스 확충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사회적기업 육성법)이며, 마을기업은 마을공동체에 기반하여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동적 관계망을 통해 주민들의 욕구와 지역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기업, 협동조합은 공동소유, 민주적 운영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이루려는 사람들의 자발적 결성조직(협동조합기본법 및 개별 협동조합법), 자활기업은 저소득 실업자의 경제적 자활(자립)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생산 활동을 하는 기업(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다. ",\n', ' "해외사례": "유럽의 경우 사회적 경제 및 3섹터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비교적 오래 전부터 형성되어 있었던 반면 미국은 비영리조직을 통해서 발전되어 왔다. 사회적기업의 모태는 1960년대 말 이탈리아의 사회연대협동조합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1970년대에 이미 사회적기업 형태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사회적기업은 유럽과는 상이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사회적기업보다 사회적기업가라는 용어의 비중이 더 크다. 그 이유는 사회적기업의 등장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 유럽의 경우, 실업과 사회적 배제에 대한 대응으로 제3섹터의 활동변화 과정에서 사회적기업이 탄생한 반면 미국은 비영리단체의 기부나 자선기금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다. 그러나 재정적자가 누적되자 비영리단체에 대한 중단되면서 비영리단체는 재정확보 차원에서 사회적기업가의 혁신과 기업가정신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부터 비영리단체와 협력하여 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하기 위한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많은 재단에서 사회적기업가에게 자문과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2000년대에 들어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했는데, 이는 유럽의 영향도 있지만 유럽과는 달리 제3섹터 및 대안경제에 대한 시민사회의 잠재된 열망이 컸기 때문이다. 아시아권에서도 정부차원에서 사회적기업 또는 제3섹터에 적극적 관심을 보여 왔다. 이는 대부분의 국가가 1990년대 중반 경제위기 이후 평생직장과 종신고용의 허상이 무너지면서 복지제도의 개혁과정에서 취약한 공적서비스를 확충하는 수단으로 사회적기업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대부분 아시아국가에서는 유럽 및 미국의 영향으로 두 가지 접근방식이 혼재하는데 민간의 경우 유럽식 접근방법을 정부나 연구자들은 미국식 접근방법을 보이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고용노동부(2012),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시행지침 고용노동부(2015), 2015년도 사회적기업 인증 업무매뉴얼 김종범(2010), 유럽의 사회적기업 : 성과와 한계, 세계지역연구논총 28집 1호˙오내원 외(2010),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성과 평가와 지원방안 -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1\\/2차 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은선(2009), 사회적기업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영국,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7권 4호 사회적기업연구원 홈페이지(http:\\/\\/www.rise.or.kr)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홈페에지(http:\\/\\/www.socialenterprise.or.kr)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11),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 사회적기업 성장단계별 지속가능성 분석 ",\n',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n', ' "생성배경":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을 범국민적 차원으로 확대하고 농어촌 활력운동의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는 ‘함께하는 우리 농촌운동’을 전개하였다. 자조, 자립, 협력을 바탕으로 특색 있는 마을 만들기 추진 등을 통해 농촌공동체를 활성화한다는 방향 하에 색깔있는 마을을 2013년에 3,000개 육성하고, 2017년까지 5,000개로 확대·육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t ",\n', ' "용어설명":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이를 특성화·사업화·산업화함으로써 마을의 경제적·사회적 활력을 높이는 것이다. 마을의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소득을 증대하는 등 경제적 활력 높이기뿐만 아니라 복지, 문화수준 향상 등 주민들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활동을 하는 모든 마을을 대상으로 삼는다. 여기서 마을의 색깔은 농업생산, 유통가공에서 도농교류, 농촌개발 및 생활여건 개선에 이르기까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형태의 마을 발전 요소를 포괄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절대적인 유형 구분은 아니지만, 농업형, 유통가공형, 도농교류형, 생활기반형, 생활만족형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 접근하기도 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농림축산식품부(2013),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우리 농어촌 마을의 백만 가지 색깔을 찾아라 농림축산식품부(2011), (사례로 보는)색깔있는 마을만들기 : 기본공통교재 ·농림축산식품부(2011), (사례로 보는)색깔있는 마을만들기 : 표준공통교재 농림축산식품부(2011), 색깔있는 마을만들기 사례집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농어촌 고유의 자원을 살려 색깔있는 마을 만든다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색깔있는 마을 이끌어갈 농어촌 현장활동가 육성 농림축산식품부(2012), 색깔있는 마을만들기 : 현장포럼 운영 매뉴얼 스마일 재능뱅크 홈페이지(http:\\/\\/www.smilebank.kr) 윤광일(2011), 도시와 농어촌의 상생 발전을 위한 ‘스마일 농어촌운동’, 지역발전위원회, 지역과 발전 가을호 Vol.5 함께하는 우리 농어촌 운동 홈페이지(http:\\/\\/www.woorichon.kr) ",\n', ' "작성자":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n', ' },\n', ' {\n', ' "정책용어": "시가화조정구역",\n', ' "생성배경": "\'시가화조정구역’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직접 또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의 요청을 받아서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을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다(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9조 제1항, 제32조 제1항). 시가화조정구역에서는 국방상 또는 공익상 사업시행이 불가피한 것으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요청에 따라 국토교통부 장관이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목적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도시·군계획사업만 시행할 수 있다. 도시·군계획사업이란 아래의 기반시설 중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된 도시·군계획시설을 설치·정비 또는 개량하는 사업을 말한다(「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6호 제11호). 도로·철도·항만·공항·주차장 등 교통시설 광장·공원·녹지 등 공간시설 유통업무설비, 수도·전기·가스공급설비, 방송·통신시설, 공동구 등 유통·공급시설 학교·운동장·공공청사·문화시설·체육시설 등 공공·문화체육시설 하천·유수지(遊水池)·방화설비 등 방재시설 화장시설·공동묘지·봉안시설 등 보건위생시설 하수도·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 다만, 시가화조정구역에서는 마을공동시설, 공익시설·공공시설, 광공업 등 주민의 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필요한 다음의 행위에 한정하여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의 허가를 받아 그 용도변경 행위를 할 수 있다(「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81조제2항제2호 및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8조 별표 24). 관계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건축된 건축물의 용도를 시가화조정구역에서의 신축이 허용되는 건축물로 변경하는 행위 공장의 업종변경(오염물질 등의 배출이나 공해의 정도가 변경전의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함) 공장·주택 등 시가화조정구역에서의 신축이 금지된 시설의 용도를 근린생활시설(수퍼마켓·일용품소매점·취사용가스판매점·일반음식점·다과점·다방·이용원·미용원·세탁소·목욕탕·사진관·목공소·의원·약국·접골시술소·안마시술소·침구시술소·조산소·동물병원·기원·당구장·장의사·탁구장 등 간이운동시설 및 간이수리점으로 한정함) 또는 종교시설로 변경하는 행위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원상회복명령 혹은 벌칙(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내 벌금)을 부과한다. ",\n', ' "용어설명":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및 계획적·단계적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도는 시·도지사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도시·군관리계획에 의해 결정·고시한 구역을 말한다.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구역의 한 종류이며, 시가화조정구역에서는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농업, 임업 또는 어업용 건축물 건축 등을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할 수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도시의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위하여 도입된 시가화조정구역은 다음에 해당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① 도시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개발을 제한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지역, ② 도시의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개발을 유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 ③ 국가의 주요정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적 토지이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지역 등이다. ",\n', ' "해외사례": "일본에서는 도시계획법에서 계획적인 도시개발 유도 및 무질서한 시가화 현상을 방지하고자 시가화구역과 시가화조정구역을 정하고 있다. 시가화구역은 약 10년 동안 우선적으로 도시적 개발을 실시할 구역으로서 주거, 상업, 공업 등의 용도가 지정되어 있는 반면에 시가화조정구역은 용도 지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외에서의 주거수요 급증과 지역 활성화의 필요성에 적절히 대응하고, 스프롤 문제에 대응하는 토지이용의 질서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가화조정구역 내에 지구계획을 수립하도록 법으로 정해놓고 있다. 프랑스의 우선시가화지역(ZUP), 장기정비지역(ZAD), 정비확장지역(ZAC) 등도 유사한 사례로 볼 수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김제국, 중정검유(1998), 각국 시가화 억제 구역제도의 구성원리와 개발규제에 대한 비교 고찰 : 영국 그린벨트, 일본 시가화조정구역, 미국 오레곤주 농업전용 지역 그리고 한국 개발제한구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33(3). 63-78 마상열(2004), 지방도시의 시가화조정구역 내 개발실태를 바탕으로 한 도시계획법 34조8호3의 활용운용방침 및 방책에 관한 연구 : 토요하시시를 사례, Toyohashi University of Technology 박사학위논문 박재길, 이동우, 송미령, 박시현, 이규천, 성주인(2003), 도·농통합형 정주기반형성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 국토연구원 손용훈, 윤문영(2011),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의 경관인식, 한국조경학회지 39(5), 101-110 이삼수, 와다이사무, 이양재 (2010), 일본의 국토 및 토지이용계획상 토지이용의 조정 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5(3) 황한철(2004), 농촌계획 관점에서 본 국토계획법의 개선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2) 통권 23호: 51-60 Ken NAMBA, Yu SHIBATA, Masanori SAWAKI, Kunihiro NARUMI (2008), An Examination of Planning Process for Non-Agricultural Urban Quarter of the Urbanization Control Area in Hyogo Prefecture(Session03: Urban Spatial Structur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ity Planning 2008,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 MIKUNI MASAKATSU(ChibaUniv.,Fac.ofEng.)(2004), Thereal stateand problem so fthe changeinl and use in the urbanization control area. A case study in Inage-ward, Chiba-city.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Transactions of AIJ) 524호. 185-190 ",\n',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 },\n', ' {\n', ' "정책용어": "전원마을",\n', ' "생성배경": "정부는 1990년대 말부터 귀농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1990년대 중반 귀농운동본부 등 민간부문 사회단체가 주도하여 도시민들의 귀농을 촉진하는 운동이 조금씩 저변을 넓혀가고 있었다. 그런데 1997년 외환위기 직후의 폭발적인 귀농 인구 증가는 정부차원의 귀농 정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지금에 이르는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정책사업의 종류는 다양하다. 이러한 사업 중 낙후된 농어촌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어촌 활력증진과 도·농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4년부터 전원마을조성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농어촌 지역에 쾌적하고 다양한 형태의 주거공간을 조성하여 도시민의 농어촌유입을 촉진함으로써 농어촌 지역 활성화 도모할 목적으로 조성되는 마을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역특성을 살린 마을을 조성하여 여유롭고 쾌적한 삶의 공간을 제공하고, 도시민의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농촌지역을 활성화하며, 지역 주민간 공동체 형성을 강화하여 마을의 지속적인 유지·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전원마을조성사업은 현재 포괄보조금사업 중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신규마을 조성 및 재개발에 포함되어 추진되고 있다. 사업내용은 농촌인구 유지 및 지역 활성화 도모를 위해 새로운 마을의 조성 및 기존 마을의 재개발을 지원하고자 택지조성 및 주택건축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도로, 상·하수도 등 마을기반시설 설치 및 단지조성, 부지정리, 주택건축 및 분양·임대, 마을 커뮤니티 형성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인근마을에 대한 기반시설 설치 지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시행자는 시장·군수, 한국농어촌공사, 마을정비조합 등 농어촌정비법 제 56조 해당자이며, 지원대상지역은 수도권(서울·경기)과 광역시를 제외한 농촌의 면지역(성장촉진지역은 읍 포함)이다. 보조금 지원대상은 마을정비구역지정 이후 소요되는 세부설계비, 마을기반 조성 및 공동이용시설 사업비,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마을회관 설치 및 마을운영·관리 프로그램 개발이다. 마을의 규모(주택신축 기준)에 따라 사업비 범위 안에서 차등지원(국고 70%, 지방비 30%)하고 있다. 사업추진 방식은 입주자 주도형(동호회, 지방이전기업 등 입주예정자가 사업부지를 확보하여 제안한 주택건축 등 계획을 시장·군수가 마을조성계획에 반영, 추진하는 방식)과 공공기관 주도형(시·군 또는 한국농어촌공사가 사업부지 확보 및 마을 조성계획을 수립하여 입주자 모집 등 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n', ' "해외사례": "시니어계층 유입을 위한 일본의 정책 현황을 살펴보면, 일본 내에서는 단카이세대의 대량 퇴직을 배경으로 지방회귀의 움직임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도시에서 지방으로의 이주·정주를 위한 다각적인 측면에서 정책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원 정책은 1) 총무성 교류 거주 사업, 2) 지방자치단체별 추진 사업, 3) 지역활성화 센터 내 이주·교류 추진기구를 통한 교류 사업 등 3가지 분야로 나뉘어 살펴볼 수 있다. 관련용어 및 개념 전원생활 국어사전에 의하면 전원생활이라 함은 “도시를 떠나 전원에서 한가하게 지내는 생활”이라 정의되어 있다. 전원이라 함은 도시 근교와 농어촌(읍·면)지역으로서 자연환경이 좋은 곳이며, 위치상으로 도시에서 떨어진 시골이나 교외를 뜻한다. 전원생활은 도시근교 및 농어촌의 자연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적인 안정감을 추구하는 삶이다. 전원주택 전원주택은 아직 법적 혹은 건축적 용어로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넓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도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도시계획구역 외 지역에 도시의 주거환경에서 벗어난 2~3시간 소요 거리에 위치한 곳으로서 가족이나 친지들과 함께 전, 답, 야산 등을 배경으로 농촌, 어촌이나 산촌 등에 있는 전원적 또는 목가적 분위기의 주택이다. 상시주거 또는 주말이나 휴가기간에 이용할 정기주거 목적으로 건축한 단독, 연립, 빌라와 같은 주택이다. 기본적으로 전원에 있는 주택, 혹은 전원생활을 위한 주택으로 도시 주택과는 개념적, 지역적으로 정반대의 의미를 가지며, 전원이라는 공간적인 입지의 친자연적 이미지를 내포한 인본주의의 주거유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원주택단지 전원주택단지(전원주거단지)라는 용어는 아직 학술적으로나 제도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보편적인 의미로는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지 않은 지역에서 전원적인 주거환경 향유를 목적으로 개발된 일단의 주택지역’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의 과밀하고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벗어나 자연환경 속에서 거주할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주택단지로서 기존의 전원주택이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개별적으로 입지해서 발생했던 주거의 방범과 안정성, 기반시설미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택이 군집을 이루어 개발되는 형태의 전원주택지’이다. ",\n', ' "참고자료문헌": "김승희(2009), 시니어계층의 이주 및 정주지원을 위한 일본의 정책사례, 강원발전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2011), 전원마을조성사업 지침 농림부, 한국농촌공사(2006), 전원마을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박현철(2011), 전원마을조성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농어촌공사(2010), 전원마을조성사업 추진 매뉴얼 최연정 외(2002), 대안주거로서의 전원주택 추구 현상,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2호 ",\n',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주민학습조직",\n', ' "생성배경": "2000년대 들어 도심의 쇠퇴현상, 주민재정착 및 정체성 없는 지역재개발, 소득격차의 심화 등으로 인한 지역사회의 붕괴 및 지역사회 발전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행정이 감당하기에는 능력의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1990년대 이후 꾸준히 로컬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민들은 지역발전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자본으로서 문화가 강조되는 시대에 주민들의 자기 지역에 대한 정체성, 이해, 관심 및 책무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물리적 변화보다 주민들에 대한 교육이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보다 본질적 요소로 등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주민참여의 전제조건으로서 주민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주민학습의 선행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지역발전의 요소가 되어 가고 있다. ",\n', ' "용어설명":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은 기업교육에서 나온 용어로, 기업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키워내고, 조직 구성원들의 새롭고 창의적인 사고 양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함께 학습하는 훈련 조직이다. 개인학습과 팀학습, 조직학습으로 조직 내외적으로 정보를 발굴하여 조직의 전 구성원이 공유함은 물론 일상적 업무활동에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재창출하여 이를 조직 전체에 전파 보급함으로써 성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지역사회에 적용한 것이 주민학습조직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최병두(2003),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공동체운동, 한국도시연구소, 「도시공동체론」, 57-80, 한울아카데미 최승범(2007), 미래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위한 한국형 지방거버넌스 모형구축, 2007년도 한국정책평가분석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최승범(2008), Community 재생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주민학습 체계의 미래방향,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한국교육개발원(2003), 평생학습: 지식강국으로의 첫걸음 홍숙희(2001),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n',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발전투자협약 제도",\n', ' "생성배경": "대형 국책 사업의 입지 선정을 둘러싼 지역 간의 과도한 경쟁과 갈등, 국론 분열,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등이 자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는 국책 사업의 투자재원 부담과 사업의 성패 등에서 중앙정부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는 추진 방식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진단되었다. 따라서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지역개발 사업이라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책임과 역할을 공유하여 추진하는 것이 지방자치단체 간의 국책 사업 유치를 위한 무한경쟁을 방지하고 사업 추진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가 힘을 얻게 되었다. 이에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가 도입되기에 이른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이나 지방자치단체 상호 간에 지역발전을 위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사업내용 및 투자 분담 등이 포함된 지역발전투자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제20조 제1항)”고 규정하고 있다. 더불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발전투자협약에 따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매년 필요한 예산 편성 등 협약 이행을 위한 조치를 해야 한다(제20조 제2항)”고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및 「농어촌정비법」에서도 협약에 의한 지역개발사업 추진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에서는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시행자와 지역종합개발사업 시행에 관한 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제38조7)”고 규정하고 있으며, 「농어촌정비법」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농어촌 정비에 관한 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제125조)”고 규정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지역발전투자협약이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지역개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투자 분담, 성과 관리 등에 대하여 상호협약을 체결하는 제도이다. 협약을 체결한 사업은 연차별 투자계획에 따라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반영을 의무화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적 추진과 더불어 정부 정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한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는 시ㆍ군에서 시ㆍ도지사에 의견을 제출하면 지역발전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기획재정부에서 승인하고 협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각종 법령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는 실제 활발히 집행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n', ' "해외사례": "프랑스에서는 1984년부터 5차에 걸쳐 계획계약(Plan Contract)을 체결하여 왔으며, 국가경쟁력 및 지역발전을 위한 주요 사업들에 계획계약을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제도 도입에 따라서 야기되었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을 예방하고 지역 간 격차 해소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에도 지방간협력법(Interlocal Cooperation Act)을 통한 지방정부 상호간의 협력 및 지원 관련 협약 체결 규정이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구 건설교통부)(2001), 지역발전협약제도: 실천모형정리방안 김동주(2011), 해외의 도시권 정책사례와 시사점, 국토정책브리프 제325 박양호(2003), 프랑스의 계획계약제를 벤치마킹한 한국형 「지역발전협약제도」 필요, 국토정책브리프 제13호 박양호, 이원섭(2000), 지역개발 투자협약제도 도입방안, 국토연구원 배준구(2004), 프랑스 계획계약의 운영 메카니즘과 함의, 사회과학연구 제20집 1호, 35-77 안영훈(2007), 중앙-지방정부간 관계 재정립을 위한 계약방식도입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와 프랑스 계획계약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원섭(2005), 통합국토를 향한 지역간 공동발전 방안 연구(Ⅲ): 제도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이원섭(2011),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 실천 방안, 국토정책브리프 제319호 산업통상자원부(2004), 지역발전투자협약 해외조사, 산업자원부 균형발전정책과(편) ",\n', ' "작성자": "송미령 부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여성친화도시",\n', ' "생성배경": "우리나라는 최근 경제 수명과 기대 수명의 증가로 노인층과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빈곤계층, 아동이나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변화하는 시대에 다양화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도시의 기존 공공시설은 본래 의미와는 다르게 학생 등의 젊은 계층만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이거나 특정계층이나 집단의 전유물이 되어버린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 친자연적 도시환경이나 공적 시설을 구축, 설계함에 있어서 사회적 약자, 특히 여성이 키워드로 등장하였다. 이는 도시의 여성들이 대개 노인과 어린이,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존재이자 이들 약자를 돌보면서 직업활동과 사회참여도 해야 하는 이중, 삼중의 역할을 떠맡고 있기 때문이다. ",\n', ' "용어설명": "여성친화도시의 의미는 “그 도시가 여성만 살기 좋다”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주축이 된 가족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밑바탕에 깐 인간 친화적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시작단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여성친화도시는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여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의 수많은 공공시설(공원, 도서관, 공공용지, 보행로 등)은 그 지역과 시민 모두의 시설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배려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의 눈높이가 아니라 그에서 소외되는 사람들의 눈높이에 맞게 공공시설과 서비스가 운영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여성친화도시가 갖는 규범적 의의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따른 불편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남녀 모두가 행복한 도시가 되는 것에 있다. 이는 기존의 도시공공재(public good)와 정책(public pllicy),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 등에 대해 성별이슈가 제기됨으로써 물리적 환경을 비롯한 경제적 제약 혹은 사회·문화적 제약에 대한 사회적 약자들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찾기 시작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향후 도시가 보다 사회적 약자와 여성친화적 장소로 탈바꿈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이후 사회적 약자, 그 중에서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여성’의 입장에서의 새로운 시각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들은 현대 도시여성들의 생활 속 불편과 불안요소를 없애고 직업과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여성 친화적인 도시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여성이 살기 좋게 하는 행복 지향적인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 서울이나 경기도, 부산 등의 몇몇 대도시와 지방도시들에서는 여성친화도시의 개념을 도시계획과 재개발 분야에 도입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여성정책 및 양성평등정책과 연동하여 지역의 각종 정책에도 도입되고 있는데, 최근 여성가족부는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여성친화도시를 지정하고 있다. ",\n', ' "해외사례": "여성친화도시의 개념은 유럽의 독일(뮌헨\\/하노버), 영국(런던), 오스트리아(비엔나), 캐나다(몬트리올) 등지에 유사하게 도입되어 있으며, 여성친화도시의 용어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다만, 여성친화성, 양성평등도시, 도시의 성별영향분석평가 등의 용어와 관련제도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부산여성가족개발원(2009), 여성이 살기 좋은 도시 부산 만들기(Ⅰ), 연구보고서 여성가족부(2009), 여성친화도시 조성 기준 및 발전 방향, 연구용역보고서 여성가족부(2010), 여성친화도시 조성 매뉴얼 연구, 연구보고서 ",\n', ' "작성자": "홍미영 선임연구위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 "\n', ' },\n', ' {\n', ' "정책용어": "산학협력 선도대학",\n', ' "생성배경": "기존의 산학협력 사업은 대학과 산업체 및 연구소간의 관점을 달리하고 있었다. 즉, 연구관리 중심 및 활동 교원에 대한 보상과 유인도의 저조 등으로 체계적인 산학협력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 비밀유출 우려와 정부·대학 주도의 협력 추진으로 자발적 참여가 결여된 기업 그리고 유사중복 문제 및 공과대학 중심의 지원 등으로 산학협력을 대학 전반으로 확산하는 것이 미흡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육성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은 대학-기업이 공동으로 지역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과 기술개발을 통해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의 공생발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즉, 산학협력을 통해 대학교육 시스템을 개선하여 취업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지역산업 수요를 반영한 대학의 특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그동안 공과대학 중심의 산학협력을 대학 전체로 확산하고 산학협력이 교육·연구와 더불어 대학의 주류 활동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대학 체제 개편을 중점 지원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주요 지원 내용으로는 지역·산업체의 수요를 반영한 특성화 교육 및 취·창업 지원,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 체제 개편, 산학협의체 및 기술개발·협력 등 기업 지원 분야로 구분되어 있다. 지역(광역경제권) 및 산학협력 유형 등을 고려하여 5대 권역별로 기술혁신형, 현장밀착형으로 구분하여 지원하였다.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비전 및 전략 출처 : 교육부. 대학산학협력백서, 2010 유형별 수행 내용 구 분 목 표 지원 대상 예산 수행 내용 기술 혁신형 ·창의적 기술 인재 및 혁신적 연구인력 양성 ·원천·혁신 기술개발 및 기술 사업화 지원 학부+ 대학원 30~50 억 원 ·교수 임용, 승진제도 개선 ·특성화 분야 지원 ·현장실습 학점제 운영 ·캡스톤 디자인 운영 ·취·창업 교육 ·산학협의체, 산학협력가족 회사 운영 현장 밀착형 ·현장 맞춤형, 창의적 기술인력 양성 ·현장 애로 기술개발 및 기술 이전 지원 학부 중심 20~40 억 원 출처 : 교육부. 대학산학협력백서, 2010 ",\n', ' "용어설명": "정부는 2011년 5월 산학협력 지원을 통한 개방형 혁신역량 제고, 청년취업 미스매치 해소, 대학의 역할 및 책임 확대 그리고 대학 구조조정 및 특성화를 추진하고자 그동안 정부가 지원해온 산학협력 관련 재정지원 사업인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력양성사업’과 ‘산학협력 중심대학 육성사업’ 그리고 ‘지역거점연구단 육성사업’을 통합 개편하여 2012년부터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육성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참여정부의 신산학협력 비전 및 추진전략 교육부(2011), 2010 대학산학협력 백서 교육부(2011),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안) 강정화(2011),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디지털 정책연구 제9권 제3호 ",\n', ' "작성자": "류세선 센터장(한국금형산업진흥회) \\n"\n', ' },\n', ' {\n', ' "정책용어": "마을기업",\n', ' "생성배경": "외환위기 이후 계속된 고용없는 성장의 구조화, 재정건전화 기조 속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한 마을만들기 사업은 관주도 지원방식으로 추진되어 불요불급한 사업추진 및 서비스 과잉공급 등 초래하였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간접적으로만 지원하고 주민주도로 내실있는 경영을 통해 지역문제와 과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고, 지역실정을 제일 잘 아는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거버넌스를 통해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만든 정책이다.\\n ",\n', ' "용어설명": "지역에 산재한 각종 특화자원(향토·문화·자연자원 등)을 활용, 지역공동체에 기초한 비즈니스를 통해 안정적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단위 기업 혹은 지역주민 주도로 지역의 인재와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문제 해결과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 지역공동체 활성화사업을 총칭한다. 즉, 마을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각종 자원을 활용하여 안정적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단위의 기업이다. ‘마을’이란 용어는 지리적으로 타지역과 구분되는 경계를 가지면서 지역 내부에 상호이해관계나 정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곳(「지방자치법」 제3조 제3항에 따른 동(洞), 리(里) 또는 동법 제4조의2 제4항에 따른 행정동·리 및 자연마을, 마을연합(읍(邑), 면(面) 등 포함)이다. ‘주도적으로’란 용어는 마을주민 출자가 총 사업비의 10%이상이며, 출자한 주민이 참여하는 의사결정 구조를 이룰 것을 의미한다. ‘지역 각종 자원’은 지역의 특성화된 자연자원, 인적자원, 가공제품, 축제 등 유무형의 자원(’10년 향토자원 조사를 통해 발굴된 5만여개의 지역 자원 활용(www.oneclick.or.kr))이다.\\n ",\n', ' "현재 용어의 사용": "행정안전부는 2010년부터 ‘자립형 지역공동체 육성사업’이란 명 칭으로 커뮤니티 비즈니스 육성사업을 시작하다가 2011년부터는 ‘마을기업 육성사 업’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종래의 ‘지역공동체사업’은 추 진주체를 강조한 명칭이지만 커뮤니티 비즈니스에서 지역성(지역밀착성)이 가장 큰 본질적 특성임을 감안하여 사업영역을 강조한 ‘마을기업’으로 개칭하였다. 사업유형은 지역자원 활용형 마을기업(지역특산품·자연자원 활용사업, 전통시장· 상가 활성화사업, 공공부문 위탁사업)과 친환경·녹색에너지 마을기업(쓰레기·폐기 물 처리 및 자원재활용 사업, 자연생태관광·자전거활용 등 녹색에너지 실천사업), 생활지원·복지형 마을기업(저소득 취약계층 지원사업,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으로 구 분한다. 다양한 마을기업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술기반형 강소 마을기업과 유통형 마을기업, 마을기업 다변화로 도시형 마을기업과 농촌형 마을기업을 추진하고 있다. 마을기업이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과 구분되는 점은 지역성으로, 지역주민 의 자발적 활동을 통해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는 점이다. 즉, 마 을기업은 법인으로서 최소 5인 이상이 출자하면 된다는 점에서는 ‘협동조합’과 유사 하지만, 출자자 및 고용인력 70% 이상이 해당지역 주민이어야 한다는 점과 지역자 원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사회적 기업이 취약계층에 대 한 일자리 제공, 사회서비스 지원, 사회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마을기업 은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지역사회 발전을 강조한다. 마을기업과 관련한 용어 및 개념은 사회적기업과 농어촌공동체회사, 커뮤니티 비 즈니스를 들 수 있다(사회적기업 관련용어 및 개념 참조).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의 비교 구분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사업주체 공동출자자(최소 5인 이상, 주민 70%이상) 대부분 대표자 1인 공동출자자 5인 이상 사업대상 지역주민 취약계층 일반시민 및 이익집단 사업목적 지역문제 해결, 지역사회공헌, 지역경제발전, 지역커뮤니티활성화 취약계층고용창출(자활 및 고용중심), 사회복지서비스 증진 조합원의 경제적 이익(공동수익배분중심) 주관기관 행정안전부 및 지자체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n ",\n', ' "해외사례": "영국에서 시작하고 일본에서 발달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유사한 개념이다. 마을기업 사회적기업연구원(www.rise.or.kr\\/03\\/01.php)\\n ",\n', ' "참고자료문헌": "김효섭 (2012),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의 비교,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사회적기업연구원 홈페이지(www.rise.or.kr)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11),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 사회적기업 성장단계별 지속가능성 분석 행정자치부(2011, 2012, 2015), 마을기업육성사업시행지침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2013), KB daily 지식 비타민 : 마을기업에 대한 이해 및 현황 \\n ",\n',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n "\n', ' },\n', ' {\n', ' "정책용어": "마을협정(마을협약)제도",\n', ' "생성배경":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지역 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지방자치제도의 정착으로 주민참여방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환경의 형성 및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갈등 사안에 대처하기 어려운 기존 법령 체계에 대한 보완으로 주민이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주도할 수 있는 구속력 있는 절차나 제도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n ",\n', ' "용어설명": "협정제도는 주민과 주민간의 합의와 자율에 의해 지역의 경관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합리적 관리 및 보전을 목적으로 주민들의 주도에 의해 기획·성립되고 관리되는 제도를 말한다. 협정제도는 일정 구역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나 ‘건축법’, ‘경관법’ 등에 의한 용도지역제 및 경관계획 등의 일반적인 내용을 포괄하는 토지이용규제를 적용한다는 측면에서 지구단위계획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개인의 발의에 의해 양호한 지역 환경을 조성·보전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선진화된 개념의 제도라고 할 수 있다.\\n ",\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처음으로 주민주도형 도시계획의 대표적인 제도인 건축협정제의 도입 방안이 제시되었다. 건축협정제는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입법화를 추진했지만 용도(종교시설 등), 주민 합의율, 세입자 참여 등이 쟁점 문제로 부각되면서 건축협정 도입에 관련된 건축법 개정은 유보된 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 근거법을 가지며 기본적인 형식을 갖춘 협정은 경관협정이다. 경관협정은 2007년 경관법이 제정되면서 경관계획, 경관사업 등과 함께 경관법의 주요 내용으로 도입되었다.\\n ",\n', ' "해외사례": "일본의 협정제도는 크게 건축협정, 녹지협정, 마치즈쿠리협정, 경관협정으로 나눌 수 있다. 마치즈쿠리협정(마을만들기)의 경우 그 범위와 목적이 다양하여 목적에 따라 주택 및 주거환경 마치즈쿠리, 경관 마치즈쿠리, 방재 마치즈쿠리 등으로 다양하게 세분화하기도 한다. 시기별로 보면 1950년대 제정된 건축협정을 시작으로 1970년대 녹지협정과 마치즈쿠리협정이 도입되었고, 2005년 경관법 제정으로 경관협정이 도입되었다.\\n ",\n', ' "참고자료문헌": "성주인(2005), 농촌 경관관리 실태와 정책 방안 :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외(2009), 농어촌 경관관리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외(2011), 일본의 농어촌 토지이용제도 사례 및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병대 외(2009), 일본의 경관협정을 통한 마을 만들기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9(1), 71-81 원세용 외(2011), 주거환경관리를 위한 주민협정항목의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2) 장성화 외(2008), 민간주도형 도시디자인 관리 방안 연구 ; 주민협정제도를 중심으로, 전북발전연구원 \\n ",\n', ' "작성자": "채종현 부연구위원(대구경북연구원)\\n "\n', ' },\n', ' {\n', ' "정책용어": "정보화마을",\n', ' "생성배경": "정보화마을사업은 인터넷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농촌, 어촌 그리고 산촌과 같이 정보화에 소외된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과 전자상거래 등 정보콘텐츠를 구축하여 도시와 지역 간의 소득격차, 정보격차를 줄이며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n', ' "용어설명": "정보화마을사업은 2001년부터 안전행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경쟁력 있는 선진국형 농어촌 구현에 중점을 두고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 정보콘텐츠 구축 등 관련 사업을 통하여 농어촌지역을 비롯한 정보소외지역에 정보생활화를 유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며, 지역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고양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01년 1차 25개 마을 구축을 시작으로 현재 8차에 이르는 사업까지 370개 마을을 선정하여 인터넷 회선, 마을 정보센터 구축 등 정보화 기반사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각 마을 홈페이지, 전자상거래 시스템, 도농간 자매결연 사업 등 농촌 정보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정보화마을사업은 안전행정부가 지자체의 추천을 받아 사업계획서와 현지 실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된다. 마을별 수익모델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n', ' "해외사례": "블랙스버그 전자마을(Blacksburg Electronic Village, 미국의 블랙스버그 전자마을(이하 BEV, www.bev.net))은 지역 내 대학(버지니아공대)이 주도하여 지역 커뮤니티를 구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미국 최초의 전자마을이다. 블랙스버그는 인구 38,000명의 소도시이지만 주민들 대부분이 버지니아 공대와 연관된 주민이다. 정보화마을 출처 : www.invil.org BEV 버지니아공대의 기술적인 지원 하에 블랙스버그 시 당국, 지역 시민단체, 기업, 시민 등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블랙스버그의 주민활동을 도와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발전했다. 그러나 일부 서비스(추가 메일용량, 추가 커뮤니티 용량)에서는 유료화를 시행하고 있다. BEV의 사례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온라인에서 공동체 내지는 커뮤니티 구성을 위해서는 중앙 내지는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BEV도 지방대학의 연구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지만 적극적인 지방정부의 지원으로 인해 다양한 공동체의 구성과 주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BEV의 사례는 초기의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제안되었지만 시민과 지역정부, 기업, 학교가 연계되어 다양한 정책의견의 수립, 의제설정, 정책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례이다. 그리고 BEV의 사례는 인터넷을 활용한 지역 거버넌스(local E-governance)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된다. 아울러 지역의 협력과 네트워크를 구축해 시민의 삶과 질을 개선하여 사회적 자본형성과 축적까지 가능함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나파밸리(Napa Valley) 사례 광활한 포도산지를 바탕으로 와인이라는 상품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양조장(winery)별로 자사의 고유제품명을 부여하여 홍보 및 마케팅에 주력하여 인지도를 높인다.(예. DOMAIN CARNEROS, Robert Mondavi) 또한, 방문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사의 제품에 동화되도록 5개국 언어로 제작된 비디오, 와인의 생산과정 견학, 와인 종류별 특징 설명 및 제품 시음, 판매로 이어지는 마케팅 과정이 돋보이는 마을이다. ",\n', ' "참고자료문헌": "이재우(2012),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 이용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정보화마을, 지역정보화 추진정도를 중심으로 박영민(2012), 정부정책의 사회자본 형성기능과 성과에 대한 영향 연구 : 정보화마을사업(Information Network Village)에 대한 실증연구 이자성, 김종숙(2011), 정보화마을의 자립운영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경상남도 정보화마을을 중심으로 지인구(2010), 우리나라 정보격차해소와 관련한 법제도 연구 : 정보화 마을을 중심으로 정수현, 구철모, 이대용(2010), 정부주도의 농촌 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 모델의 성공요인과 수익성에 대한 연구 ",\n', ' "작성자": "한광식(김포대학교 교수, (사)지역특화자원사업화연구센터 회장) \\n"\n', ' },\n', ' {\n', ' "정책용어": "동해안 에너지벨트",\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동해안 에너지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동해안에 연접한 강원, 경북, 울산 3개 시·도의 15개 시·군·구이다. 본디 에너지벨트는 동해안 고성에서부터 울산까지 360km에 달하는 지역이 전국 어느 지역 보다 에너지 관련 산업이 많이 분포해 있고 발전 잠재력이 높기 때문에 붙여진 용어이다. 특히 동해안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원자력(고리, 울진, 경주), 석유화학(울산) 등 풍부한 에너지와 향후 LNG 인수기지(삼척), 수소연료전지·바이오매스·태양광(포항과 울산), 양성자 가속기 개발(경주), 메탄 하이드레이트(울릉도 인근 해저), 풍력발전단지(영덕) 등의 사업이 모두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여 그 특징을 살려 에너지벨트로 지칭하고 있다. 에너지산업 외에도 동해안에는 지역마다 풍부한 관광자원, 해양자원, 기간산업 등이 분포하여 관광벨트, 해양자원벨트, 에너지벨트, 기간산업벨트 등 소벨트가 형성되어 있다. 동해안의 청정해양을 중심으로 관광휴양과 그린에너지, 첨단산업이 조화된 이들을 통칭하여 블루 파워벨트라고도 한다. 생성배경 글로벌 시대 세계경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외개방형 국토구조 형성과 초광역성장지대 육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추진한 초광역개발권 구상 중의 하나이다. 동해안 지역은 대외적으로는 유라시아 진출 및 남북교류 거점지대로서의 역할과 러시아 연해주, 중국 동북 3성, 북한 동해안, 일본 서부지역을 잇는 환동해권의 중추지역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내적으로는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및 부품, 조선 등 국가기간산업의 중추지역이자 전국 발전량의 18%를 차지하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다.\\t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07년 12월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 제정, 2008년 12월 초광역개발권 기본 방향 발표 이후 동해안권 3개 시·도(경북·울산·강원)가 공동으로 동해안 1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동해안권 발전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n', ' "해외사례": "동해안 에너지벨트는 동해안 7번 도로를 따라 에너지산업이 분포해 있다는 점에서, 입지해 있는 산업의 성격은 다르나 미국의 보스턴 외곽 첨단산업이 집적한 루트 128, 영국의 M4 코리더 등과 유사하다. 미국 보스턴 루트 128(左)과 영국의 M4 코리더(右) 출처 : http:\\/\\/www.mcgrathics.com\\/personal\\/maps\\/3maps.htm 미국 보스턴 루트 128(左)과 영국의 M4 코리더(右) (계속) 출처 : Chan, Roy et al. M4 Corridor ",\n', ' "참고자료문헌": "박형서(2010), 동해안 블루벨트 개발의 비전과 추진전략, 국토 340호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2009), 지역발전위원회, 지식경제부 ",\n',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n', ' },\n', ' {\n', ' "정책용어": "메가시티",\n', ' "생성배경": "경제공간 단위의 세계화 및 광역화와 관련하여 메가시티(mega-city), 세계도시(global city), 글로벌 도시지역(global city-region), 메가시티 리전(Mega city region), 슈퍼리전(super region), 메가리전(mega region), 다중심도시지역(polycentric urban region) 등이 정책개념으로 등장했다. 현재 비수도권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간 광역연합을 구축하여, 수도권 일극 중심에서 벗어나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지역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으로써 메가시티가 추진되고 있다. ",\n', ' "용어설명": "메가시티라는 말은 ‘매우 큰 도시(very large city)’ 라는 뜻이고 메가시티를 결정하는 유력한 기준은 도시의 인구이다. 메가시티를 판단하는 기준은 3백만, 8백만을 거쳐 1천만까지로 점점 바뀌어 왔다. UN은 The World’s Citiesin 2018 보고서를 통해 인구가 1천만 명 이상인 도시를 메가시티(megacity)라고 부르고, 전 세계적으로 메가시티의 수는 2018년 33개 정도이며, 2030년에는 43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복수 거점들간의 기능적 연계를 개념화하는 연구가 유럽에서 진행되었는데, 대표적으로 홀과 패인(Hall and Pain, 2006)의 메가시티리전으로 런던, 파리 등 세계도시뿐 아니라 네덜란드 란스타드(Randstad)와 독일 라인-루르(Rhine-Ruhr) 등의 지역까지 포괄하는 다중심성을 강조한다. 메가시티리전은 10~50개 도시들이 물리적으로는 이격되어 있지만, 기능적으로는 1개 이상의 대도시권 주변으로 연계되고 클러스터화된 공간을 의미(Hall and Pain, 2006:3)한다. 한편 1990년대 이후 중국의 주강 삼각주 및 장강 삼각주, 일본의 도쿄-오사카(Tokaido) 등이 부상하면서 아시아의 거대한 인구집중 및 광역적 성장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메가리전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김예성·하혜영(2021), ‘지방자치단체 광역연합 추진현황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 제1801호 금성근·이정석(2019), ‘부울경 광역권 형성 촉진방안 - 광역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부산연구원 박경현·이윤석·허동숙·최예술·정준호·강민규(2020),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초광역 연계 발전 방향\' 국토연구원 이상대(2020), ‘수도권도 살고, 지방도 사는 메가시티 전략’,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No. 433 이정훈외(2020), ‘한반도 메가리전 발전 구상: 경기만 남북 초광역 도시경제권 비전과 전략’, 경기연구원 ",\n', ' "작성자": "김봉원(지역사회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n', ' },\n', ' {\n', ' "정책용어": "이노카페",\n', ' "생성배경": "참여정부에서는 지방의 내생적 발전을 통해 지방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자립형 지방화’를 지역정책의 핵심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기존의 지역산업육성정책과 더불어 ‘산업형 지역혁신체제 시범사업(안)’에 따라 지역혁신특성화(RIS)사업을 착수하였다.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제2차 국정과제 회의 시 ‘교류와 미팅의 장’을 통한 혁신확산 필요성이 대두 (2003년 6월 대구 구상)되면서 이를 위해 기존 지역혁신특성화(RIS)사업에 이노카페·네트워크허브운영 사업(Inno-CafeHub)을 반영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이후 2007년 산업자원부에서는 지역혁신특성화(RIS) 사업 개편을 통해 이노카페· 네트워크허브운영 사업(Inno-CafeHub)을 기존의 지역혁신특성화(RIS)에서 분리하여 2009년까지 신규 이노카페를 선정·지원하였다. ",\n', ' "용어설명": "지역 안의 산업계, 학계 및 연구 분야 전문가들의 비공식적 의견교환 장소를 말한다. 민간 차원의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혁신적 아이디어 창출과 자발적 혁신 분위기 조성을 도모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오피니언 리더의 적극적인 역할로 기업 중심의 상호이해 증진을 도모하고, 다양한 교류와 만남의 장을 형성하여 비공개적이고 심도 있는 암묵지(tacit knowledge)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노카페는 한때 산업통상자원부가 수행기관을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비정형화된 여러 형태의 카페 모델을 발굴한 바 있다. 포항 테크노파크 이노카페·컨택센터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1), 지역산업지원사업안내서 ",\n', ' "작성자": "류재선(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現 쿠보텍 대표이사)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공동체\\/공동체복원",\n', ' "생성배경": "고용없는 성장이 고착화되고 취업여건이 악화되어 일자리 창출이 매우 부진하며, 도시화의 진전과 무분별한 난개발로 도시의 공동체 터전이 공동체가 사라지고 있고, 농어촌 지역도 급속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공동체의 해체가 가속화되어 생활의 기초단위인 마을조차 유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배경이 되어 지역공동체 복원과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발전을 촉진하려는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공동체 주도의 지역발전이라는 새로운 대안적 접근이 모색되고 있다. ",\n', ' "용어설명": "일정한 지역을 주요 기반으로 하며, 지역주민과 생활전반에 걸쳐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고, 공동의 목표와 가치라는 정서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사회적 조직단위이다. 다의적 개념으로 지리적 영역(지역적 변수), 사회적 상호작용(사회적 변수), 공동유대감(문화적, 심리적 변수)이라는 세 가지 기본 개념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지역이나 장소를 함께 공유하면서 지속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유대감, 소속감을 가지고 공동의 목적과 가치를 같이하는 집단으로 정의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지역공동체 관련사업의 유형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마을 단위 지역개발사업의 일환으로써 1970년대 이후부터 행정자치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농산어촌 지역을 대상으로 한 소도읍개발사업,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지역만들기 사업 등이며, 작목반과 사업단, 영농(어)조합 등의 공동체 조직이 주체가 되어 정부와 자치단체 예산을 투입한 재정사업으로 추진한 것이 해당한다. 둘째, 풀뿌리운동형 지역공동체사업으로, 지역사회에서 주민들과 함께 시민운동의 영역에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전체의 공동체적 변화를 꾀하려는 활동이다. 자생적으로 조직화된 마을공동체 또는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빈곤층 자활, 주거복지, 환경개선, 테마형 마을만들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자조와 공조의 비영리 자원봉사적 성격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해당된다. 셋째, 기업형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활동에 기초하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사회적 경제활동을 말하며 고용노동부의 사회적기업과 안전행정부의 마을기업,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어촌공동체회사가 해당된다. 넷째, 협동조합형 지역공동체로서 상부상조의 전통적 공동체 가치에 기초하여 공동 혹은 협동활동을 수행하는 지역공동체사업이다. 전통적으로 ’60년대 이후 1차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자조합과 서민금융을 담당하는 협동조합, 소비자를 위한 생활협동조합 등이 운영되어 왔으며, 개별 특별법에 의한 협동조합의 설립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11년 12월 29일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어 다양한 분야의 협동조합이 활성화되고 있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작지만 가치 있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과제를 발굴, 국민행복 정책 공감도제고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08년 취약주민 주거지역 내 「동네마당 조성사업」을 시작, ’10년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4년부터는 시설조성사업과 병행하여 공동체활성화 프로그램 조성사업을 추가하였다. ",\n', ' "해외사례": "일본의 지역공동체는 활동단체에 의한 NPO법과 TMO(Town Management Organization) 설립에 대한 중심시가지활성화법에 의하여 시민기업가형, 7인 유지형, 지역공동체형, 실업자형으로 구분된다. 이탈리아와 영국, 핀란드 등 유럽의 지역공동체 사업은 환경형(자동차 렌트, 자전거 재활용 등을 통한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및 연계시스템의 강화)과 마을만들기형(지역식품의 유통망 확보를 통한 판매량 증가로 지역식품산업의 발전과 신선한 식품의 제공)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윤소영(2009), 공동체 활동 관련 사례분석 및 지원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최승범(2008), Community 재생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주민학습 체계의 미래방향,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염돈민(2010), 지역공동체사업(CB) 및 사회적기업 육성전략,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브리프 제81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2), 주민주도형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KRILA Newsletter 제37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3), 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 정립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행정자치부(2015), 희망마을만들기 및 지역공동체활성화 사업공모지침 ",\n',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브랜드",\n', ' "생성배경": "서구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공공부문이 가지고 있는 딱딱한 이미지와 경직된 조직을 타파해야 한다는 의식과 함께 기업가적 정부(Entrepreneurial Government)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도 기존의 행정에 그치지 않고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경영의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수출ㆍ투자ㆍ관광 등의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국가나 지역의 이미지를 개선하여 원산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졌다. ",\n', ' "용어설명": "지역브랜드는 지역 그 자체의 브랜드와 지역의 특징을 살린 상품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브랜드의 가치를 함께 높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실현하는 활동으로 지역브랜드의 개념은 아래 그림과 같다. 지역브랜드 출처 : 저자 작성 ",\n', ' "현재 용어의 사용": "1991년부터 지방화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각 시ㆍ도에서는 지역홍보를 위한 노력들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지역특산품 브랜드 구축, 홍보 광고, 관광개발, 지역축제 운영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홍보 및 발전을 꾀하고 있다. 또한, 참여정부 시대부터는 국가균형발전을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전국이 고루 잘 사는 균형사회의 건설’이라는 비전 아래 혁신주도형 지역발전을 추진함에 따라 지역브랜드는 지역 PR(Public Relations) 및 마케팅의 일환으로 다양하게 추진되게 되었다. ",\n', ' "해외사례": "뉴욕, I♥NY 1966년 파업으로 뉴욕시 경제가 취약해진 상황에서 John Lindsay 시장이 착안하여 Herald Tribune지의 한 기자는 ‘funny city’라는 표현을 만들어 냈다. 시장은 이 표현을 이용하여, 뉴욕시가 극장과 박물관이 풍부하고 문화적인 많은 일들이 생기는 도시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캠페인으로 연결하였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뉴욕시 브랜딩 시도 중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1970년대 재정위기의 막바지에 전개되었다. 당시 시내에서 범죄는 창궐하였고, 금고는 비었다. 기업과 종업원들은 도시를 떠났다. 공포가 도시를 엄습하였고 관광은 쇠퇴일로에 있었다. 도시는 과거의 영화와 위용을 잃어버렸다. 1975년 뉴욕 주는 이러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광고회사와 연계하여, 시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I Love New York(I♥NY)’의 초안을 탄생시켰다. 1976년 뉴욕 출신의 유명 그래픽 디자이너 Milton Glaser가 현재의 ‘I♥NY’ 로고를 완성하였다. 그 이후 ‘I♥NY’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가장 성공적인 브랜드 캠페인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이 캠페인은 다양한 기념품에 연계되어 오늘날까지 활용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한광식 외(2012), 농업 4.0 시대의 지역브랜드 성공전략, 백산출판사 이소영(2012),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지역브랜드 육성 전략, 지역발전위원회 한충민(2012), 지역브랜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역발전위원회 박준수(2011), 행정프로세스 관점에서 본 지역브랜드 활성화 방안 - 광주, 전남 지자체 브랜드 관리실태를 중심으로 신순철 외(2010), 지역브랜드가 살아야 지자체가 산다, 디지털북스 한국지역진흥재단(2010), 대한민국 지역브랜드, 한국지역진흥재단 염명배(2010), 지역브랜드 가치와 지방재정 : 7대 도시를 중심으로 강형기(2010), 지역브랜드의 개발과 경영 김미희, 박덕병, 노경희, 손은호(2010),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브랜드 개발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김포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선도 프로젝트",\n', ' "생성배경": "2000년대 말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전세계적인 금융 불안이 수출과 내수의 감소, 민간투자 위축 등으로 이어지는 등 실물경기 침체가 우려되던 상황에서 교통물류 SOC에 대한 과감하고 체계적인 투자가 필요함에 따라 부각되었다. ",\n', ' "용어설명": "선도 프로젝트란 이명박 정부가 ‘5+2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에 필수적인 성장거점과 광역 기반시설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사회간접시설(SOC) 중심의 개발계획으로, 총 30대 선도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선도 프로젝트 선정은 신규 사업을 중심으로 하지만, 기존 사업도 사업 내용 보완을 통하여 광역발전을 선도할 수 있다면 참여할 수 있다. 주요 선도 프로젝트에는 수도권의 제2외곽순환도로 건설과 도시철도 확충, 충청권의 자족형 세종시 건설과 고속도로 신설, 호남권의 새만금 조기개발, 광주외곽순환도로 건설, 서남해안 다도해 개발이 포함된다. 또한 강원권의 동서고속도로 건설과 원주-강릉 철도 건설, 대경권의 고속도로 건설과 대구외곽순환도로 건설, 동남권의 신공항 건설과 부산외곽순환도로 구축, 제주권의 서귀포 크루즈항과 영어교육 도시 조성 지원이 포함된다. 선도 프로젝트 출처 :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채, 부록, 해외의 지역발전정책 동향, 지역발전위원회(2009).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08년 제2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선정된 30대 선도 프로젝트는 수도권(3건), 충청권(5건), 호남권(5건), 동남권(5건), 대경권(5건), 강원권(4건), 제주권(3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도 3조 5천억 원의 국가재정이 투입된 이후 매년 4~6조 원의 국가재정이 투입되었으며 2013년까지 추진된다. 이와 같은 30대 선도 프로젝트의 추진에 따라 8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되고 약 100조 원에 달하는 생산유발 효과 등 막대한 경기부양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일본 등과 치열한 동북아 허브경쟁 등 교통물류 분야의 경쟁력이 곧 글로벌 국가경쟁력으로 직결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세계최고 수준의 SOC 확충이라는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n', ' "해외사례": "항만 분야 선도 프로젝트와 관련된 해외사례로는 시드니 다링하버, UAE 팜아일랜드,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런던 도크랜드 등이 있다. 또한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과 관련한 사례로는 두바이 국제공항자유무역지역, 싱가포르의 센토사섬, 홍콩의 오션월드 등이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국토해양부 정책 QA ‘30대 선도프로젝트 선정’(2008.9.10), 재정부뉴스,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제자유도시(http:\\/\\/freecity.jeju.go.kr) ",\n',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산업발전 로드맵",\n', ' "생성배경": "참여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2조), 「산업발전법」(제8조),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제3조, 제3조의2) 및 동법시행령 (제7조의3)에 근거하여 2002년부터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은 수도권을 제외한 13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지역산업·경제 여건에 적합한 전략산업을 선정하여 집중 지원함으로써 지역혁신역량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었다. 정부는 2008년부터 시작되는 2단계 사업 추진을 위해 1단계 사업의 성과 등을 발전적으로 검토하고 2단계 사업의 방향을 구상하였는데 그 핵심이 되는 것이 지역산업발전 로드맵(RIRM:Regional Industrial Road Map)이다. ",\n', ' "용어설명": "RIRM(Regional Industrial Road Map)은 지역별 전략산업의 중장기 발전비전, 단계별 추진목표 및 세부 전략 등을 구체화한 실행계획이다. 산업연구원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지역전략산업기획단(現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등이 중심이 되어 수립하였다. 지역별 산업발전 로드맵의 주요 내용은 권역 내 산업클러스터 및 전후방 연관구조 분석, 권역별 전략산업 및 특화 분야 선정, 산업발전 비전과 발전 시나리오 그리고 특화분야별 부문 로드맵 수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스스로 지역 내 전략산업의 투자 우선순위 조정, 전략산업별 중점 추진산업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내용으로 지역전략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중앙정부는 지역별 전략산업의 여건 및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김영수, 김선배(2007), 지역산업정책 10 년의 성과와 과제-지역산업진흥사업을 중심으로 박종화(2009), 지역산업정책 형성과정에서의 경로 의존성 : 대구권 산업발전로드맵 수립과정의 경험, 국토연구 제61권, pp.235~254 김영철, 김진찬(2011), 대구경북 전략산업에 대한 고찰, 경영경제 제41집 제1호 ",\n',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n', ' },\n', ' {\n', ' "정책용어": "BK(두뇌한국)21 플러스",\n', ' "생성배경": "BK21 플러스는 대학원생에 대한 안정적 재정지원으로 대학의 연구기반 강화 및 우수한 학문후속세대 양성에 기여한 ‘BK21사업(1단계: 1999~2005, 2단계: 2006~2012)’과, 해외학자 국내 유치를 통한 국내 대학의 교육·연구 풍토 혁신과 해외 인지도 상승에 기여한 ‘WCU사업(2008~2012)’의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여 통합 도출된 후속사업 개념이다.\\n ",\n', ' "용어설명": "BK21 플러스사업은 21세기 창조경제를 주도할 석박사급 최고급 창의인재를 양성하고, 대학 교육·연구의 창의적 분위기 제고 및 독창적인 성과 창출의 허브로서 대학의 역할 강화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BK21 플러스 사업의 기본방향은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석박사급 창의인재 양성과 연구중심대학 기반강화 및 지역대학원의 교육·연구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7년간(2013년~2019년까지) 580개 사업단을 선정, 총 3조 3143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사업유형은 첫째, 융합분야 중심 대학원 국제협력강화 등을 통한 연구경쟁력 강화 유도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인재양성형, 둘째, 특화분야 고급 실용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특화전문인재양성형, 셋째, 학문 전분야 최우수 대학원 육성 및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지원을 목표로 하는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으로 구분된다.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출처 : BK21 플러스 사업 홈페이지(bkplus.nrf.re.kr) 분야별 지원방향 및 중점 지원분야 유형 지원방향 중점 지원분야 글로벌 인재양성형 미래 국가발전 핵심분야의 대학 교육 연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 창조경제 육성을 위한 융합형 RD 분야 등 특화 전문인재양성형 새롭게 부각되는 고부가가치 특화분야 및 국가전략분야 등의 고급 실무형 전문인력 양성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전분야로 하되, 산업·공업디자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문화콘텐츠, 관광, 정보보안, 특수장비 등 특화된 분야를 중심으로 한 대학원 우선 지원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형 학문분야별 창의적 미래 핵심인재 양성 사업단과 사업팀은 각각 분리하여 선발 출처 : BK21 플러스 사업 홈페이지(bkplus.nrf.re.kr)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창조경제를 이끌 핵심분야의 고급 전문인력이 연간 1만 8,500명(과학기술분야 1만 5,700명, 인문사회분야 2,800명) 이상 육성할 예정이며, 특히 기존 BK21 및 WCU사업에 비해 지방대학에 대한 지원 비중을 크게 확대함으로써 지역산업을 이끌 첨단 기술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실적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도 함께 강조함으로써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대학원 체제 구축을 완성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밀착형 석박사급 인재도 꾸준히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n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교육부(2013), BK21 플러스 기본계획 김성수(2013), 한국 대학원지원정책의 진화과정 분석; BK21 및 WCU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7(2) BK21 플러스 사업 홈페이지(bkplus.nrf.re.kr) \\n ",\n', ' "작성자": "이희정 교수(한양대학교)\\n "\n', ' },\n', ' {\n', ' "정책용어": "산학협력단",\n', ' "생성배경": "성공적인 산학협력은 새로운 기업 창출과 고용 확대를 넘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대학의 입장에서는 귀중한 연구자금이 조달될 수 있고, 대학 연구성과가 상업적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학생의 성공적인 취업이 촉진될 수 있다. 한편, 기업의 입장에서는 제품과 공정혁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해결 방안을 획득할 수 있으며, 미래의 시장 창출을 도울 수 있는 획기적인 원천기술을 창안할 수 있다. 무엇보다 우수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회가 된다. 즉, 산학협력은 지역경제와 국가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기술혁신의 원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기인하여 1990년대 중반부터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일부 대학에서 산학관련 사업들을 추진하였으며, 2003년 개정된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본격적으로 국내 대학에 산학협력단이 설치되었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스웨덴 정부는 소위 주요 대학 도시에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지원과 신생기업에 대한 자금투자, 특허지원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기술가교망(Technology Transfer)’과 대학 내에 기업체와의 계약연구와 연구결과물의 상업적 활용을 촉진하는 ‘우수연구센터(RD Center)’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덴마크는 실제 관련 기업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박사과정 프로그램’ 및 기업과 대학의 협력과제 지원을 통해 기업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지원하는 HTF(The Danish National Advanced Technology Foundation)를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도 같은 지역과 같은 분야에 있는 기업, 교육기관 및 연구소를 하나로 묶어 시너지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쟁거점(Pole de competitivite), 공공연구 활동과 다른 사회경제 주체, 특히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Carnot 연구회(Instituts Carnot)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김환식, 나승일 (2001), 대학중심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부(2011), 2010 대학산학협력 백서 교육부(2011), 대학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단 역량강화 방안(안) ",\n', ' "작성자": "류세선 대표이사(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現 쿠보텍)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산업기술 로드맵",\n', ' "생성배경": "2005년 정부는 지역의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 기술 확보 차원에서 ‘지역산업기술 로드맵(RTRM)’을 작성토록 하였다. ‘제1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 수립 시(2004년 8월) 16개 시·도별로 각각 4대 전략산업을 선정하였는데, RTRM에는 주로 이들 전략산업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세부실천 방안을 포함한다. 당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을 중심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13개 지자체와 함께 지역산업기술 로드맵의 대상기간, 세부기술 분야 등에서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작성하였다. 지역산업기술 로드맵(RTRM)의 역할 연구개발(RD) 기획 및 과제 발굴·선정 지침서 역할 지역전략산업의 중장기 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이정표 역할 미래 수요를 파악하여 요구 제품을 도출하고 타깃 핵심기술을 도출 도출된 기술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인 기술관련 의사결정 자료 제공 신규 시장 창출, 기술우위 등 효율적인 제품화 전략을 위한 나침반 역할 출처 : KEIT, 4+9개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지역산업기술지도 발표회, 2006,08,31. ",\n', ' "용어설명": "RTRM(Regional Technology Road Map)은 국가 RD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략기술·부품소재·지역산업·중기혁신·에너지 등 대형 RD 사업을 통합·연계하는 투자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각 사업별 프로그램 간 유사과제의 중복 지원이 우려되는 비효율적 자원배분 구조를 개선하고 전략을 강화할 목적으로 수립된 지역산업 기술지도이다. 16개 시·도별로 선정된 총 64개 전략산업 중 비RD 분야인 관광·문화 등을 제외한 59개 핵심 산업기술에 대해 작성되었다. 또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과제지원 및 발굴, 지역전략산업의 중장기 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이정표 제시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인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되었다. 지역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 및 시나리오에 적합한 단계별 기술 수요를 조사하고 이에 부합하는 연구·기술개발 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지역의 혁신역량에 대한 상세하고 풍부한 DB를 구축하여, 지역산업의 기술지도(RTRM)를 작성하도록 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윤윤규, 이재호(2004), 지역산업육성과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13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6), 지역산업기술로드맵 (RTRM)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 지역산업발전계획 가이드라인 산업통상자원부(2014), 보도자료(14개 시·도 지역산업발전계획(안) 확정) ",\n',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n', ' },\n', ' {\n', ' "정책용어": "U턴기업(reshoring)지원제도",\n', ' "생성배경": "과거 선진국에 위치한 기업들은 인건비 상승 등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한 중국·인도 등 개도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했는데, 여기서 오프쇼링(off-shoring)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이후 신흥시장국의 임금 상승으로 이전된 곳에서도 비용문제에 직면하자, 다시 생산기지를 본국으로 이전하는 리쇼링(reshoring)이 활발해지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극심한 경기침체와 실업사태에 직면하고 있는 각국 정부는 국내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대적인 U턴기업(reshoring)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현재 자국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대적인 리쇼링 캠페인을 펼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으로 복귀한 기업에 각종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생산비용 등을 이유로 해외에 나간 자국 기업이 다시 국내로 돌아오는 현상으로, 기업의 생산기지 해외이전을 뜻하는 오프쇼링(off-shoring)의 반대 개념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자리창출을 위한 핵심 국정과제로 제시했으며, 한국 정부는 「해외진출 국내복귀기업(U턴기업) 지원제도」라는 이름으로 추진하고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도 2012년 3월 U턴 기업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5월에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U턴기업지원센터」를 설치하여 리쇼링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2013년 6월에는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U턴기업법)」을 제정함으로써 U턴기업 지원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U턴기업으로 선정되면, 청산컨설팅 지원, 산업단지 및 경제자유구역 우선 입주, 국내 입지·설비투자 보조금, 고용보조금, 해외인력에 대한 비자지원, 자금융자, 신용보증, 수출보증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n', ' "해외사례": "미국은 한국보다 늦게 유턴지원정책을 마련했으나 애플, 포드, GM, GE 등이 대거 동참하고 있으며, 미국정부의 유턴정책 입안과정과 반대급부(유인)에 대한 대응은 향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대만의 유턴정책은 대중국 경제의존 탈피라는 정치적 동기가 강하고, 대만과 중국의 FTA인 ECFA를 활용한다는 측면도 있다. 특히 대만의 ECFA 활용성과 관련된 부분은 한국에도 시사점을 준다. 한국의 유턴정책이 한·EU\\/한·미 FTA 체결이라는 수출환경의 변화로 촉진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10년 전부터 생산혁신을 통해 이를 준비해 왔으며, 한 예로 NECPC의 중국으로부터의 일본 내 생산거점 이전이다. 이를 위한 생산혁신에 있어 작업자의 소인수, 제품의 다품종, 납기의 단기간 등이 리쇼링 실현의 절대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박문각(2013), 시사상식사전 이언경(2013), 미국의 리쇼링 (Reshoring) 추진 동향 분석, 해양수산 vol.3 no.2 (2013 년 여름호) pp.132-149 임민경, 여지나(2013),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유턴 유형화 및 유턴정책 개선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n', ' "작성자": "윤칠석 정책기획단장(경북테크노파크) \\n"\n', ' },\n', ' {\n', ' "정책용어": "관광두레",\n', ' "생성배경": "관광두레 사업은 기존의 하드웨어 조성 위주의 관광개발에서 탈피해 정부 또는 지자체가 이미 조성한 공공시설(자원)을 활용하고 주민 주도로 지역의 관광자원을 연계해 관광사업화 함으로써 지역 내 수익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관광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기획하였다.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숙박, 식음, 여행알선, 운송, 오락과 휴양 등의 관광사업을 경영하는 관광사업체를 성공 창업하고 자립 발전하도록 지원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기본계획 수립, 예산 지원 등을 담당하며,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총괄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한국관광공사는 홍보, 마케팅을 중점적으로 수행한다. 시·군·구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사업이 이루어지며, 2013년 8월 경기 양평, 강원 양구, 충북 제천, 전북 부안, 경북 청송 등 5개 시·군을 시작으로 매년 신규 사업대상지를 선정한다. ",\n', ' "용어설명": "관광두레는 ‘관광’과 ‘두레’를 조합해서 명명한 정책사업 명칭이다. 관광은 비즈니스를 의미하고 두레는 주민공동체를 상징한다. 요컨대 관광두레란 주민 스스로 자기 지역의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서로 연계해 먹거리, 기념품, 숙박, 체험 등 관광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관광사업 공동체다. 과거 농촌사회의 공동 노동 조직과 같이 주민공동체가 협력하여 관광객을 맞이하고, 지역주민에게 관광의 혜택이 돌아가도록 한다. 시군구 단위의 관광두레 사업은 관광두레 프로듀서(PD)라고 불리는 지역 활동가를 중심으로 3개년에 거쳐 현장밀착형으로 추진되며, PD를 중심으로 주민공동체의 발굴, 사업계획 수립, 멘토링과 교육훈련 등 주민맞춤형 지원, 경영 경험과 역량 강화를 위한 파일럿 사업, 지역 내·외부의 네트워크 구축 등 안정 성장과 자립 경영을 위한 전 과정을 지원하고 육성한다. 2013년 5개 지역을 시작으로 2014년 20개 지역, 2015년 11개 지역, 2016년 8개 지역을 신규 선정하였으며, 매년 말 평가를 통해 사업 계속 추진 지역과 당해 년 완료 지역이 결정된다. 2017년 2월 말 기준 37개 지자체 154개의 주민사업체가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소득과 일자리 창출 등 정량적 성과뿐 아니라 ‘우리 지역 관광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해 보자’는 자발성과 인식 전환이 나타나는 등 정성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민공동체 주도의 관광사업체 성공 창업과 자립 경영이 관광두레 사업의 정의이자, 동시에 목표이다 관광두레 개념도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관광두레 주민이 만드는 창업 생생스토리」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관광두레 성과지표 개발 및 관리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관광두레 주민이 만드는 창업 생생스토리 관광두레 블로그(blog.naver.com\\/tourdure) ",\n', ' "작성자": "박주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n', ' "생성배경": "2000년대 초반 이후 정부RD 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국가RD 사업이 강화되면서 RD투자 증대가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투명한 범부처 RD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NTIS 구축계획 마련(2004년), 총괄주관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선정(2005년), ISP(정보전략계획) 및 ITA(정보기술아키텍처) 수립(2005~2006년) 등을 거쳐 2007년부터 부처별(기관별)로 산발적으로 관리되고 있던 국가RD 정보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1단계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시작하였다. 2010년에는 1단계 정보시스템 구축사업(2007~2009년)이 완료됨에 따라 국가과학기술 지식인프라로의 도약 필요성 등 정책적 수요를 반영하여 2단계(2010~ 2012년) NTIS 고도화계획을 추진하였고, 3단계(2013~2015년)에서는 정보 공동활용 극대화를 위한 NTIS 창조·공유계획을 추진하였고, 4단계(2016~2020년)부터는 공급자 위주의 정보제공 방식에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NTIS로 개편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차세대계획을 추진 중 이다. ",\n', ' "용어설명":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NTIS : National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는 연구개발의 기획에서 활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과학기술기본법」 제26조, 동법 시행령 제40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제25조 등에 근거하여 국가RD를 수행하고 있는 관련 부처·청(16개 대표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 국가가 진행하는 RD 관련 정보(330개 표준정보)를 한 곳에서 실시간으로 서비스하는 국가RD 정보지식포털을 말한다1).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발전단계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現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부자료(2015)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미래창조과학부(2015), 이용자 중심의 NTIS 서비스 추진계획(내부자료)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13), 2012 과학기술연감 지역발전위원회(2013), 지역발전정보협력컨퍼런스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2013.5.24), 창조·공유의 NTIS 3.0 시대 개막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2013.12.5) 2013년 NTIS 성과보고회 개최 미래창조과학부(2013), NTIS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검증 매뉴얼 미래창조과학부(2016), NTIS 4.0 발전계획 1) 일본(e-RD), 미국(NSF), EU(CORDIS) 등 선진국에서도 분야별로 과학기술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과제, 인력, 성과, 연구시설·장비 등 종합적인 정보가 서로 연계되어 있는 포털시스템은 NTIS가 세계 최초이다. 2) 국가RD 현황에 대한 다양한 조사·분석 결과와 각 부처의 참여제한, RD공고 및 관련규정 등을 수집하여 제공하며, 과제기획 시 선행과제와의 유사성을 연구자가 직접 검토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3) 사업관리, 인력, 성과, 연구시설·장비 등 국가RD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지표를 제공한다. 4) RD 지식 교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집단에서 생성된 전문지식이 필요할 때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환경의 지식공유 서비스로서 RD 백과사전, 지식 QA 뿐만 아니라, 장비 사이버 멘토링,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KISTI의 과학향기, 사이언스올 사전 등 협력 콘텐츠를 제공한다. 5)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를 기준으로 기술 간의 연관관계 및 기술의 연도별 과제 수, 예산 정보 등을 제공한다. 6) 연구자들의 발표논문 분석을 통해 중점분야 주제와 유사성이 높은 연구자들과 그 연구자들 간의 공동 협업관계를 제공한다. ",\n', ' "작성자":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혁신센터",\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null",\n', ' "작성자": "류세선 센터장(한국금형산업진흥회)\\n"\n', ' },\n', ' {\n', ' "정책용어": "초광역개발권사업",\n', ' "생성배경": "글로벌 시대에 대응한 국가경쟁력 제고와 지역 상생을 선도하는 초광역 성장지대를 육성함과 동시에 동아시아의 장소 경쟁에 부응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대외개방형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토의 신성장축을 구상하면서 대두되었다. ",\n', ' "용어설명": "초광역개발권 발전정책은 글로벌 시대를 대비하는 중장기 개방형 국토발전 전략으로서 대외적으로 동북아시대 및 통일에 대비한 미래형 국토전략이다. 대내적으로는 광역경제권간 연계·협력에 기반을 둔 지역간 상생발전 전략이다. 이를 위해 동북아 초국경적 협력 개발 기반 구축, 광역경제권간 기능 연계 및 네트워크 구축으로 신성장축 구현, 하천·산맥 등을 활용하는 국토의 녹색성장 잠재력 극대화 등을 목표로 추구하는 사업이다. 기존의 광역경제권 사업이 지역간 연계 및 협력을 토대로 권역 내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과 지역특화발전 등을 추진하는 사업이라면, 초광역개발권사업은 주로 시·도와 광역경제권을 초월하여 산업·자원·성장거점 등을 연계함으로써 국가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사업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가 국토해양부·행정안전부 등과 함께 마련한 초광역개발권은 대외개방형 4대 벨트와 내륙특화벨트로 설정한다. 동·서·남해안권과 접경지역을 대외개방형 4대 초광역개발권으로 설정하여 유라시아와 환태평양을 지향하는 정(井)자형 국토개발축을 제시하고, 4대 초광역개발권과 연계하여 내륙권의 산업·특화자원 등의 초광역적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내륙특화벨트를 지정하였다. 4+α초광역개발권은 동해안에너지·관광벨트, 서해안 신산업벨트, 남해안 선벨트, 남북 교류·접경 벨트의 4대 벨트와 내륙특화벨트를 의미한다. 초광역개발권 개념도 출처 :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 부록, 해외의 지역발전정책 동향, 지역발전위원회(2009) ",\n', ' "해외사례": "미국은 초국경·초광역 지역발전정책으로 11대 거대지역(Mega-Regions) 형성에 주목하면서 2050년에 대비한 초장기적 국가경쟁력 강화전략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특히 11대 거대지역 중 오대호와 캐스캐이디어(포틀랜드, 시애틀, 벤쿠버)에서 미국과 캐나다 사이 지형·환경·인프라 등을 공유하는 거대지역이 형성되고 있다. 남부 캘리포니아의 거대지역에서는 미국과 멕시코간 초국경적 협력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초국경·초광역 지역발전정책 출처 :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 부록, 해외의 지역발전정책 동향, 지역발전위원회(2009) ",\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국토해양부 정책 QA 이데일리 종합 NEWS 정성훈(2009), 초광역개발권의 개발방향과 성공적 추진을 위한 관리방안, 대한지리학회 ",\n', ' "작성자":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n', ' },\n', ' {\n', ' "정책용어": "분권형 지방자치",\n', ' "생성배경": "세계화 시대 경제개방의 대응 주체로서 지역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면서 OECD 선진국들은 국가권한의 획기적인 지방이양과 자치역량 제고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1년 지방자치를 시행하여 지난 20년 동안 부분적 성과를 달성하였지만 중앙정부의 권한이 여전히 강하여 실질적인 자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2003년 지방분권 3대 특별법의 하나로서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08년 2월 「지방분권특별법」의 전면 개정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지방분권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행정권한의 지방이양 미흡, 재정분권의 미약, 자치입법권의 범위 협소 등 분권형 지방자치를 달성하는 데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n ",\n', ' "용어설명": "분권형 지방자치란 국가의 한 구성요소로서 일정한 구역을 갖추고 독립된 법인격을 가진 지방자치단체가 자치권을 갖고 지역의 정책을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책임 하에 집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추진 중인 권한의 재배분과 지방이양 수준의 행정분권만이 아니라 입법분권, 재정분권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적어도 분권형 행정체계, 분권형 입법체계, 분권형 재정체계를 갖출 경우 분권형 지방자치라고 할 수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우리나라에서는 분권형 지방자치의 추진 방식으로서, 보다 실질적인 중앙권한 지방이양, 지방소득세ㆍ소비세의 도입을 통한 지방재정의 건전성 확보, 조례제정 근거규정 일제정비ㆍ확대 및 조례 청구권자 확대 등을 통한 자치입법권의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큰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세계화ㆍ지방화의 외부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과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n', ' "해외사례": "영국은 최근 자치입법권을 광역자치단체로 이양하는 방식으로 지방분권국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프랑스는 「지방이양일괄법」 제정을 통해 중앙권한을 포괄적ㆍ일괄적으로 지방이양 하였고 최근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지방정부의 자치재정권ㆍ자치입법권을 보장하는 등의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일본 역시 「지방분권일괄법」 제정을 통해 중앙권한을 포괄적ㆍ일괄적으로 지방이양하고 도주제 추진을 통해 지방정부의 자치고권(자치재정권ㆍ자치입법권ㆍ자치조직권ㆍ지역계획고권)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분권형 지방자치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n ",\n', ' "참고자료문헌": "김민훈(2011), 영국의 지방분권과 지방재정제도 개혁 동향,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제52권 제2호 김찬동 외(2011), 지방자치 20년의 도시정책 성과와 전망 : 서울시 행정관리 분야의 지방분권수준과 관련하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조성호(2010), 한국의 지방분권국가 구축을 위한 시론적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국가법령정보센터,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 \\n ",\n', ' "작성자": "권영섭 선임연구위원(국토연구원)\\n \\n"\n', ' },\n', ' {\n', ' "정책용어": "지역전략산업",\n', ' "생성배경": "수도권과 지방 간 불균형 심화로, 이를 해소할 필요성이 증가하였고, 외환위기 이후 지방산업이 더욱 위축된 상황에서 1999년부터 지역혁신체계 구축, 지역별 주력산업 발전, 지방과학기술 육성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전략산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지역전략산업은 지역의 비교우위와 경쟁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지역별 산업 집적도를 반영하였다. 1999년~2003년 동안 4개 지역(대구, 부산, 광주, 경남)을 대상으로 한 1단계 사업이 진행되었고 2002년~2007년에는 수도권을 제외한 기타 9개 지역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였으며, 2008년~2012년까지는 ‘5+2 광역경제권’ 선도 산업과 병행하여 차기 지역전략산업(Post 4+9)으로 추진되었으며, 2013년~2014년에는 지역전략산업과 지역특화산업을 통합˙조정한 신특화산업이 지원되었고, 2015년부터는 63개 시도주력산업과 16개 경제협력권산업 등으로 재편되었다. 지원 내용으로는 기업 지원의 기반이 되는 H\\/W적 ‘인프라 구축’, RD 과제를 지원하는 ‘기술개발’,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 인력양성, 마케팅 지원과 같은 패키지 형태의 ‘기업지원 서비스’가 중점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는 인적자원이 취약한 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학과 연구기관과의 산학연협력 관계 확충을 통하여 지역혁신체계의 강화를 추구한 것이다. 이 사업을 위해 1999년부터 2012년까지 3조 7,500억 원의 국비가 투입되었으며, 사업유형별 재원비중은 건축 및 장비구축 위주인 인프라 구축 43%, 기술개발 39%, 기업지원 서비스 11%, 기타 7% 등이다. 지역산업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지역의 여건 및 특수성에 입각하여 핵심 성과목표를 지역이 자율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성과목표와 연관성이 높은 전략산업에 지역의 가용자원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사업추진 형태를 변경, 종래 중앙 주도의 하향식(Top-down)에서 지역의 기획기반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n', ' "용어설명":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근거하여 지역 내 의견수렴 및 지역혁신협의회 심의를 거쳐 16개 광역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4대 전략산업을 자율적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지역전략산업’이라 칭하였다. 지역전략산업의 현황 출처 : 지역발전위원회(2016) \\n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2008), 차기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Post 4+9) 추진계획 산업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산업기술재단(2008), 13개 시˙도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본 타당성조사 보고서 KIAT(2009), 2010년 지역산업진흥계획수립지침, 산업통상자원부 KIAT(2010), 2011년 지역산업진흥계획수립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16) \\n ",\n', ' "작성자": "최재홍 교수(경북대학교)\\n "\n', ' },\n', ' {\n', ' "정책용어": "초광역개발권",\n', ' "생성배경": "초광역개발권 전략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광역경제권 상생발전의 신성장 지대 구축이라는 비전 하에, 동북아의 초국경적 경제협력 강화, 초국경 및 초광역 인프라 구축, 신성장동력 육성 및 거점 연계 강화, 지역간 공유자원을 활용한 지역공동발전, 통일에 대비한 국토기반 조성 등 5대 추진전략을 갖추고 있다. 정부는 초광역개발권으로 4대 대외개방형 벨트와 3대 내륙특화벨트를 제시하였고 2009년 4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초광역개발권 권역 설정 근거를 마련하였다. 4대 벨트는 동·서·남해안권과 접경지역을 포함하여 설정된 권역으로 정(井)자형의 국토개발축을 나타낸다. 해안권과 접경지역에 대한 초광역개발권 종합계획(해안권은 2010년 12월, 접경권은 2011년 7월에 각각 수립)에 따르면, 남해안벨트는 동남권과 호남권, 동해안벨트는 강원권과 대경권 및 동남권, 서해안벨트는 수도권과 충청권 및 호남권, 접경지역벨트는 수도권과 강원권을 포함한다. 2011년 8월에 발표된 내륙 초광역개발권 기본구상에 따르면, 내륙벨트는 태백·설악산권-소백산권-덕유산권-지리산권을 잇는 백두대간벨트, 원주-충주-오송-세종-대덕-전주 구간을 포괄하는 내륙첨단산업벨트, 대구-광주간 연계협력벨트 등 3개 내륙특화벨트로 권역이 설정되었다. 각 벨트(권역)별 개발을 위한 기본 구상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해안에너지·관광벨트는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에너지·관광산업벨트로 조성되며, 남해안 선벨트는 동북아 경제·물류 거점과 세계적인 해양관광·휴양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수도권에 대응하는 국토 남부의 신성장지대 조성을 추진한다. 서해안 신산업벨트는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하는 지식·첨단산업의 융·복합화를 추진하며, 남북교류·접경벨트는 한반도 중심의 생태·평화벨트로 육성된다. 백두대간벨트는 한반도의 생태축인 백두대간을 초광역 생태 네트워크로 보전·관리하고, 농산촌마을 정주환경 개선과 접근 인프라 확충을 추진한다. 내륙첨단산업벨트는 과학기술·첨단산업의 거점과 내륙 문화·관광지대로 육성한다. 대구-광주연계협력벨트는 의료·광산업 등 신성장동력을 육성하고 대구, 광주의 연구개발특구간 상호 연계와 문화·학술·인적교류를 촉진하여 영·호남 대표거점으로 개발한다.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보도자료: ‘남-해양관광·서-국제물류·동-에너지’ 초광역 개발(2008), 국토해양부( www.mltm.go.kr) 문정호(2010), 열린공간 및 지역육성을 위한 초광역개발권, 지역과 발전, vol. 2 ‘내륙 초광역개발의 기본구상은 이렇습니다’(2011), 지역발전 정책동향, vol. 4, 지역발전위원회 ‘2009 지도로 보는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2010), 지역발전위원회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방향’ 소개 웹사이트 ",\n', ' "작성자": "이종호(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n"\n', ' },\n', ' {\n', ' "정책용어": "탄소 밸리",\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탄소 밸리는 항공기,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등의 핵심소재로 대두되고 있는 탄소소재의 국산화 및 산업화를 앞당기기 위해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탄소소재 관련 교육·연구기관, 기업지원기관,기업체 등을 특정지역에 집적화하는 클러스터, 즉 집적화단지이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광역경제권거점기관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탄소 밸리구축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전라북도는 동사업과 연계하여 탄소소재 관련 개발 제품의 성능 분석을 위한 테스트베드가 구축되어 있다. 즉, 전주 친환경 첨단복합단지와 완주 테크노밸리 일대를 탄소소재 중심의 테마형 집적화단지(Carbon Valley)로 조성하고 ‘탄소소재 생산 집적지’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밸리 구축사업 개념도 ",\n', ' "해외사례": "미국은 1996년 미국 에너지성과 Oak Ridge 국립연구소가 주최한 ‘Carbon Product Industry Vision’ 워크숍에서 탄소소재 기술개발 전략을 논의하고 실행한 결과, 최근 일련의 계획들이 점차적으로 가시화 되고 있다. 탄소소재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일본에서도 탄소소재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1992년 ‘Carbon Alloy’라는 개념을 도입해 JSPS(일본학술진흥회), MITI(통상산업성)를 중심으로 국가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지식경제부 보도자료(2011), 꿈의 소재로 부상하는 탄소소재 산업화 시동 전라북도 보도자료(2009), 탄소밸리 구축 완성도 제고를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 문희성(2010), 소재기술혁신의 Enabler 탄소소재, LG 경제연구원 한국탄소융합기술원 홈페이지(www.kctech.re.kr) ",\n', ' "작성자": "류세선(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現 쿠보텍 대표이사) \\n"\n', ' },\n', ' {\n', ' "정책용어": "첨단의료복합단지",\n', ' "생성배경": "첨단의료산업 분야에서 아시아 최고의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의료RD 허브라는 비전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든지 첨단제품 개발에 필요한 연구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글로벌 수준의 종합적 연구 공간 제공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첨단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환경친화적 녹색융합의 첨단의료복합단지라는 실천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조성지역은 대구 경북(신서)과 충북(오송)이 선정되었으며 총 조성면적은 216만㎡(신서 103만㎡, 오송 113만㎡)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핵심인프라(신약개발지원센터\\/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첨단임상시험센터(병원))와 연구지원시설(실험동물센터(Bio Resource센터 포함)\\/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및 편의, 벤처연구시설(원스톱행정센터\\/커뮤니케이션센터\\/벤처연구센터)이 건립되고 있다. 사업기간은 2009년-2038년(단지조성 2009년-2012년)이며 총 8조 6천억 원 내외(2개 지역)가 들어가는데 이 중 시설 및 운영비로 약 3조 7천억 원, RD투자로 약 4조 9천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각종 규제의 대폭적인 완화와 함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최근 정부에서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 의료 인프라로서 기능 정립, 기반기술 구축, 기술 공유체계 확립 등 국가적인 의료 RD 기반·기술의 거점 및 글로벌 RD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교과부·지경부·복지부로 분산되어 있는 행정관리 및 재정지원 체계를 복지부로 일원화했다. 2013년 확정된 첨단의료복합단지 제2차 종합계획에 따르면 정부,지자체, 민간 합동으로 2016년까지 연구개발비 등 약 1조원을 투입하고 연구인력 확대, 핵심연구지원시설의 활용도 제고, 우수연구기관의 유치 및 산학연간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글로벌 첨단의료산업의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경과 2005년 : 제1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위원장:국무총리)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 결정 ’05.10 2007년 : 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방안 확정 ’07.6 2008년 :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08.3 \\/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구성(위원장:국무총리) ’08.11 2009년 : 대구 신서지구, 충북 오송지구 2곳을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선정 \\/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09.8 2010년 : 단지별 조성계획 결정 \\/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수립 \\/ 첨단의료복합단지 착공 대구: 합성신약, IT 기반 첨단의료기기로 각각 특성화 추진 오송: 바이오신약, BT 기반 첨단의료기기로 각각 특성화 추진 2012년 : 의료연구개발지원기관, 편의시설 구역 등 단지조성 완료 2013년 : 각종 시설·장비 시험가동 및 운영 \\/ 제2차 종합계획 확정 2016년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1차 입주기업 모집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모형 규제특례 의료법 외국 의료인(외국의사, 치과의사)의 단지 내 의료기관에서 의료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 허용 건강보험법 단지 내 의료기관에서 의료 연구개발을 위한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기술을 임상대상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요양급여 인정 약사법, 의료기기법 의료연구개발기관에서 연구개발한 의약품·의료기기 제조 시 제조업 허가 및 시설규정 등 미적용 연구목적 의약품·의료기기 수입 허가 및 신고 간소화 의약품·의료기기 제조·수입품목 허가 기준 등에 대한 국제규범 적용 생명윤리법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분과위원회를 설치, 별도 심의 단지 내 기관은 공동으로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활용 출입국관리법 외국인 연구자에 대한 체류기간 상한 연장(2년→5년) 특허법 단지 내 연구개발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 심사 인센티브 세제지원 세법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세 및 지방세 감면 국·공유재산 사용·매각 등 국·공유재산의 사용·수익·대부·매각 등의 수의계약 허용 사용·수익·대부기간 : 20년 범위 내(갱신가능) 매입 대금의 분할납부 허용(20년) 임대료 감면(입주지원) 토지나 건물 등의 임대료 감면 자금지원 숙소, 편의시설 등 부대시설 설치 지원 고용보조금 및 교육훈련보조금 등 지원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자금 조성 및 지원 입주의료연구개발기관에 대한 투자를 위한 투자조합 결성 지원 의료 연구개발에 대한 융자지원 휴·겸직 허용 대상 : 공무원이 아닌 국·공립연구기관의 연구원 내용 : 의료연구개발지원기관 및 입주 의료 연구개발기관의 근무를 위해 휴·겸직 허용(3년 이내) 주요 시설 및 기능 핵심인프라 신약개발지원센터 신약후보물질 평가·최적화, 산·학·연 공동연구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 설계·시제품 제작·성능평가, 산·학·연 공동연구 첨단임상시험지원센터 민간시설로서 첨단제품의 임상시험단계에서 실패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장 조기진입을 뒷받침하기 위한 글로벌 수준의 초기단계, 소규모 임상시험 인프라시설 첨단제품 임상시험 기술 등을 단지 밖 지역 임상시험센터 등에 확산·전파 해외 임상연구병원과의 협력 등을 통한 아시아 임상시험 중심기지 역할 수행 연구지원 시설 실험동물센터(Bio Resource센터 포함) 실험용 동물사육 및 관리, 연구용 세포·시료 보관 및 관리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임상시험용신약생산시설 연구기관 입주 및 편의시설 One-stop 행정서비스 및 편리한 정주환경을 제공 ",\n', ' "용어설명": "null",\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미국 텍사스 휴스턴 메디컬센터, 덴마크-스웨덴 메디콘밸리, 싱가포르의 바이오폴리스, 중국 푸동의료단지, 상하이 국제의학원 구역, 캐나다 밴쿠버 의료단지, 일본 고베 의료단지 등을 들 수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보건복지부(2013), 2012 보건복지 백서 국가법령정보센터,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n', ' "작성자": "이여진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n', ' },\n', ' {\n', ' "정책용어": "테크노파크",\n', ' "생성배경":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지역 중심의 자발적 혁신체계 구축을 위해 산·학·연을 연계하는 네트워크의 구심체로서 테크노파크를 조성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지역산업정책이란 개념이 태동하였다. 1995년 12월 기술하부구조확충 5개년 계획 수립을 계기로 공업단지 확충 중심의 산업정책과 개별기업 중심의 기술개발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지역기술혁신의 구심체로서 테크노파크 사업을 추진하였다. 1997년 4월 구)산업자원부에서 시범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자를 공모하였고 1997년 12월 송도, 경기, 충남, 광주, 대구, 경북 테크노파크 등 6개를 시범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자로 지정하였다. 1998년 9월에는 법률 제5578호로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이 제정되어 테크노파크 설립·운영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었다. ",\n', ' "용어설명": "테크노파크는 기술을 의미하는 테크놀로지(technology)와 공간을 의미하는 파크(park)의 합성어로 기술 및 연구개발과 그 주체인 대학과 연구소 및 기업이 모여 활동하는 공간을 지칭하는, 계획적 개발이 내포된 개념이다. 미국의 대학연구단지협회와 영국의 국제사이언스파크협회의 정의를 종합하면, 테크노파크는 연구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대학 및 연구기관과 생산을 담당하는 기업 사이에서 고부가가치산업을 중심으로 기술 이전을 촉진하여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신상품과 신공정 개발을 지원하는 중개 기능 단지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테크노파크의 개념 및 정의를 조작적으로 정의해 보면 ‘지역의 산·학·연·관의 역량을 결집하여 관련조직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기술혁신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기업의 기술혁신과 신기술창업을 촉진함으로써 지역발전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공원이자 기술혁신 조직체’라고 할 수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1997년 6개의 시범 테크노파크 지정을 계기로 포항, 부산의 2개 민간 주도형 테크노파크가 추가로 조성되었다. 2003년, 2004년에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남, 울산 테크노파크가 추가 지정되었으며 2005년 민간 TP로 경기대진, 서울 테크노파크가 지정되었다. 2008년에는 대전, 2010년 제주를 끝으로 국내에는 현재 18개의 테크노파크가 조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대 초반까지 테크노파크는 모법인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에서 정하고 있는 창업보육 등 6대 목적사업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2000년대 초반 이후 지역산업진흥사업 추진이 본격화 되면서 ‘지역산업발전계획 수립, 사업평가관리, 인프라구축, 네트워킹’ 등 역할이 추가되었다. 테크노파크는 그동안 지역산업진흥사업 추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별 전략산업이 해당 지역의 핵심산업으로 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각 지역별 테크노파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테크노파크가 산업정책기획기능을 담당하는 ‘정책기획단’과 기업지원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지원단’ 및 해당 지역 특화산업 기반의 ‘특화센터’ 등으로 조직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 동남아시아, 중동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개발도상국에서 지역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검증된 모델로서 한국형 TP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실제로 카자흐스탄, 아랍에미레이트, 베트남에 한국형 TP 모델을 수출한 바 있다. 국내 테크노파크 현황 ",\n', ' "해외사례": "해외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산업기술력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1970년대부터 테크노파크와 같은 단지를 경쟁적으로 조성하기 시작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200여 개가 운영되고 있다. 영국의 사이언스파크, 미국의 리서치파크, 프랑스의 소피아앙티폴리스, 일본의 가나가와 사이언스파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김계수(2002), 한국테크노파크의 종합경영관리시스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권영섭, 변세일(2003), 지역별 지식기반산업 육성과 지역혁신체제 구축방안, 국토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7), 2단계 테크노파크 조성사업 프로그램 기획보고서 한국테크노파크협의회 홈페이지 ( www.technopark.kr) ",\n', ' "작성자": "류세선 대표이사(한국금형산업진흥회) \\n"\n', ' },\n', ' {\n', ' "정책용어": "문화관광 연계·협력",\n', ' "생성배경": "지역 관광개발에서 연계·협력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문화관광 연계·협력으로 이어졌다. 문화관광 연계·협력은 복수의 지역에서 하나의 관광브랜드를 지향함으로써 심화되는 지역간 문화관광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또한 광역적 연계·협력은 지역별 관광기능의 차별화와 전문화를 유도하여 민간사업의 수익성과 공공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n ",\n', ' "용어설명": "문화관광 연계·협력 사업은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정부는 기초생활권,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으로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을 수립하고, 기존 행정구역을 넘어서는 연계·협력 사업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지자체간 연계·협력 사업은 광역경제권간 연계·협력과 기초생활권간 연계·협력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문화관광 부문의 사업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문화관광 부문의 광역경제권 연계·협력 사업으로는 미래사회 적응을 위한 대충청권 녹색생태관광사업(충청권), BY2C 연계·협력 사업(대경권), DMZ 인접지역의 커뮤니티비즈니스형 지리공원조성 사업(강원권), 제주 유배문화의 녹색관광 자원화를 위한 스토리텔링콘텐츠 개발(제주권), 증강체험형 개별 관광 테마파크 상품 생산기반 확립(제주권) 등이 추진되었다. 기초생활권 시·군간 연계·협력 사업으로는 생태관광 금강연계 사업(공주시 등 6개 시·군), 영산강 History Tour(장성군 등 8개 시·군), 지리산권 자전거 둘레길 조성사업(장수군 등 7개 시·군), 지리산 Eco Village 조성사업(장수군 등 7개 시·군), 중부내륙 중심권 관광 상품개발 및 공동마케팅(평창군 등 6개 시·군), 지질 관광코스 및 프로그램 개발(평창군 등 4개 시·군) 등이 추진 중이다. \\n ",\n',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문화관광 연계·협력 사업은 공동마케팅, 관광루트 및 관광상품 공동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공통의 자원을 활용하여 이해관계의 상충 없이 실질적 효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문화관광 연계·협력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공동사업 발굴과 지역사회에서의 공감대 형성이 요구된다.\\n ",\n', ' "해외사례": "일본도 우리와 유사한 문화관광 연계·협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관광청에서는 2010년 「관광권의 정비를 통한 관광여객 내방 및 체재 촉진에 관한 법률(光の整備による光旅客の訪及び在の促進にする法律)」을 제정하고, 관광자원 연계로 2박 3일 이상 체재가 가능한 관광권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관광권’이란 자연·역사·문화 등 연계 가능한 관광자원이 일체화된 복수의 자치단체 구역으로, 연계를 통하여 관광 매력성과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고자 설정된 개념이다. 일본 관광권 정비사업 개념 출처 : http:\\/\\/www.mlit.go.jp\\/\\n ",\n', ' "참고자료문헌": "김영준(2011), 지역문화관광과 연계·협력, 지역과 발전 제5호, 지역발전위원회 한눈에 보는 기초생활권 발전계획(2010), 지역발전위원회 꿈이 있고 살고 싶은 지역창조: 기초생활권 연계협력 이야기(2009), 지역발전위원회 관광권 정비에 따른 관광객 방문 및 체류촉진에 관한 법률, 일본 관광청 \\n ",\n', ' "작성자": "김영준(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 연구위원)\\n "\n', ' },\n', ' {\n', ' "정책용어": "가축분뇨 자원화",\n', ' "생성배경": "전 세계적으로 가축 사육형태가 규모화됨에 따라 가축분뇨 발생량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축분뇨를 퇴비, 액비, 에너지로 이용하는 자원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가축분뇨는 오염부하량이 큰 수질오염원이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작물에 양분을 공급하고 토양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질 자원이다. 따라서 가축분뇨를 자원화함으로써 환경오염 방지, 온실가스 저감, 화학비료 대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n', ' "용어설명": "가축분뇨는 오염부하량이 큰 수질오염원이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축분뇨 자원화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할 뿐 아니라 화학비료를 대체하여 농가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축분뇨 자원화 기술로는 퇴비화(Composting), 액비화(Liquefaction), 에너지화(Energy recovery) 등이 있다. 퇴비화(Composting) : 가축분뇨를 톱밥 또는 왕겨 등과 섞어 산소를 공급해주며 미생물학적 분해과정을 거쳐 유기질 퇴비를 얻는 기술 액비화(Liquefaction) : 가축분뇨가 호기성 미생물의 호흡을 통해 유기산, 암모늄, 인산염 등으로 분해되어 안정화된 액상비료를 얻는 기술 에너지화(Energy Recovery) : 바이오 가스 : 가축분뇨가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가수분해-산 생성-메탄 생성 단계를 거치며 분해되어 열량이 있는 메탄가스를 생산하는 기술 고체연료 : 가축분뇨를 고온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펠릿 형태로 성형ㆍ건조하여 열원 공급을 위한 연료로 만드는 기술 가축분뇨 자원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분뇨 종합정보시스템(www.nias.go.kr\\/envi)을 참고하면 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13년 5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의 기본방향은 선 지역별 가축분뇨 적정처리에 필요한 시설 확충, 후 가동률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사후관리 집중 등이다. 이와 관련하여, 2017년까지 달성할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은 ①퇴ㆍ액비 공동자원화시설 및 에너지시설 확충을 통해 자원화율 91%, 공동자원화율 17% 목표 달성 ②고품질 퇴ㆍ액비 생산체계 구축 ③민간전문관리기구 설립 등 사후관리 체계 개선 ④제도개선, RD 확대 및 평가ㆍ포상 등 4개 과제이며, 세부 16개 과제로 되어 있다. ",\n', ' "해외사례": "일본의 퇴ㆍ액비센터 기본적으로 농가에서 처리하고 남은 물량을 수거하여 자원화하고 있으며, 지역특성에 맞는 유기물자원화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가고시마현(鹿兒島縣) 미나미사쓰마시(南薩摩市) 농협 관내에는 카세다(加世田), 카와베(川?), 마쿠라자키(枕崎) 3곳의 퇴비센터가 있으며, 연간 약 1만 7,500톤의 가축분뇨를 수집하여 8,850톤 내외의 퇴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도치키현 모테기마치(茂木町)의 유기물자원화센터에서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우분, 낙엽, 왕겨 등을 이용하여 퇴비를 생산하고, 액상분뇨는 장기간 폭기(수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는 과정) 후에 목초지, 옥수수 재배지에 무료로 살포하고 있다. 독일의 윈데(Juhnde) 마을 가축분뇨, 에너지작물, 우드칩 등을 바이오매스로 활용하여 전기와 열을 생산하고, 바이오가스 생산과정에서 남은 부산물은 유기질 비료로 만들어 농가에 무료로 공급하고 있다. 착수단계에서는 마을주민, 연구기관(쾨팅엔대학 주도), 정부(에너지작물기구, 식품농림소비보호부)간의 충분한 협의과정을 거친다. 2011년 한 해 동안 4,000MWh의 전력을 생산하여 3,200MWh를 마을 자체적으로 소비하고, 나머지는 연방전력회사에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했다. 바이오매스 부산물로 만든 유기질 비료는 화학비료 사용을 25% 가량 줄이고, 제초제와 살충제 사용을 1\\/3 수준으로 줄여 마을의 유기농업 토대를 마련했다. 벨기에 플라망지역 가축분뇨 과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LM(Vlaamse Landmaatschappij ; 농지공간 파트너란 의미의 벨기에 언어)이란 단체를 만들고 그 안에 가축분뇨 수급 및 컨설팅을 담당하는 분뇨은행(Manure Bank)을 두어 가축분뇨 액비로 인한 오염부하를 최소화하고 있다. 분뇨은행은 EU의 지표수 질소 농도 기준인 50mg\\/L 이상 지역에서 생산되는 분뇨를 기준 이하 지역에서 액비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가축분뇨 수급과 농민들의 환경교육 업무를 담당한다. 미생물로 처리된 액비는 플라망지역의 조사료와 옥수수 밭에 환원하고 공휴일에는 액비 살포가 금지되며, 지중 살포를 통해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조승희(2012), 가축분뇨를 이용한 자원순환 활성화 방안, 리전인포 제290호 김원태(2011), 일본의 가축분뇨 자원화 우수사례 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태성(2011), 가축분뇨 자원화 이용현황과 당면과제, NHERI 리포트 제156호, 농협경제연구소 농림축산식품부(2013),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 류종원 외1명(2013), 경축순환농업을 위한 가축분뇨 자원화 웹기반 정보은행 구축 정광화 외4명(2012), 국내 가축분뇨 자원화 방법별 시설유형 및 적용기술 분석 하욱원(2012), 2012년 가축분뇨 해양투기 금지 이후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 김재호(2008), 가축분뇨 자원화에 관한 연구 환경부(2012), 가축분뇨 관리 선진화 종합대책 정민국 외4명(2011), 가축분뇨 자원화 연구 개발 투자의 경제성 평가 ",\n', ' "작성자": "한광식 교수 (김포대학교) \\n"\n', ' },\n', ' {\n', ' "정책용어":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n', ' "생성배경": "산업단지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기업의 공간적 집적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와 지역 간 균형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개발연대에 조성된 대부분의 산업단지는 기업들의 생산 활동에 필요한 인프라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많은 문제점을 노정하게 되었다. 참여정부에서는 2004년 6월 제45회 국정과제회의를 통해 7개 시범단지(창원, 구미, 울산, 반월·시화, 광주, 원주, 군산)를 선정하고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t ",\n', ' "용어설명":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단지에 업종별로 산·학·연 협의체(미니 클러스터)를 구성해 활발한 산·학·연 협력을 유도함으로써 산업단지를 혁신적 지식과 기술이 창조되고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한 사업을 말한다. 다시 말해 산·학·연간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여 산업단지를 고부가가치 산업클러스터로 변화시키는 것이 사업의 주된 목적이다.\\t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05년 4월에 7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하였고 2007년 11월에는 성과 확산을 위해 5개의 산업단지(남동, 성서, 녹산, 대불, 오창)를 추가 지정하였다. 2009년 4월에는 사업 명을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에서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으로 변경하였다. 2010년 2월부터는 광역경제권에 맞추어 193개 산업단지(거점단지 25개, 연계단지 168개)를 사업 대상에 포함하였고 2015년 1월에는 전국 산업단지로 사업 범위를 확대하였다. 사업의 기본모형은 산·학·연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네트워킹 사업을 통해 발굴된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이를 사업화함으로써 성과를 창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미니클러스터 운영을 통해 발굴된 협업수요를 RBD 과제로 지원하는 RBD 네트워크 운영사업, 연구개발과제의 발굴·수행·관리를 지원하는 기업성장지원센터 운영사업, 프로젝트형 산·학·연 협의체를 구성·지원하는 테마클러스터사업 등이 있다. ",\n', ' "해외사례": "영국의 트래포드 파크, 스페인의 포블레노우 등의 사례가 있으나 산업단지가 쇠퇴한 지역을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재개발한 것으로,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노후 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를 목적으로 하는 우리의 경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국가균형발전위원회·한국산업단지공단·산업자원부(2007), 한국산업클러스터 백서 지역발전위원회(2010), 2010년도 중앙부처 지역발전사업 편람 산업통상자원부(2012),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 추진계획 한국산업단지공단(2015),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RD) 사업개요 ",\n', ' "작성자":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마을만들기",\n', ' "생성배경": "1970년대 이후 주민운동의 형태로 간헐적으로 찾아볼 수 있으나,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요소의 본질에 적합한 활동은 정치적 민주화가 진행되고 지방자치가 부활된 1990년대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의 마을만들기 발전과정을 크게 3단계로 구분하면 첫 번째는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주민모임 전개시기(1990~1994), 두 번째는 주민주도의 주거환경개선 운동시작시기(1995~1997), 세 번째는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차원의 다양한 시도기(1998~현재)로 구분할 수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구 삼덕동, 경기 안산시 등에서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그린파킹, 동네벽화조성 등 마을만들기 형태의 여러 개별사업이 진행되었고 광주북구, 전북 진안군 등에서도 지자체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 지자체별로 마을만들기에 관련된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제도적인 틀을 갖추어 가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 중앙정부 차원에서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실행한 것을 계기로 2007년부터 마을만들기 조례를 제정하는 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농촌개발정책에 대한 반성과 새롭게 변화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새로운 농촌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사업들은 통칭 “마을만들기사업” 또는 “마을가꾸기 사업”으로 불리고 있다.\\n ",\n', ' "용어설명": "‘마을만들기’란 지역을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사람간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뜻한다. 협의의 마을만들기란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주체가 연대 및 협력하여 주변의 주거환경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마을의 활력과 매력을 높여 생활의 질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지속적인 활동이다. 이는 주민 스스로가 마을의 주인으로 거듭나고 주민 간에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어 주민들이 더불어서 함께 살아가는 지역공동체를 창조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한다. 광의의 마을만들기란 각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바탕으로 타 지역과의 교류와 협동에 의한 실천 운동이며 미래의 도시 및 국가성립의 기본적인 명제로 동이나 구까지 포함하는 공간적 개념과 공동체 문화 등과 같은 사회적 개념을 총칭한다.\\n ",\n', ' "현재 용어의 사용": "현재 우리나라에서 마을만들기 운동은 정치, 문화, 예술, 건축, 농업,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목적, 내용, 방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의 마을만들기 운동은 마을 디자인, 마을 가꾸기, 마을 만들기, 마을진흥사업, 생태마을운동, 공동체 운동, 주민자치운동 등으로 볼 수 있다.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은 약 14개 사업으로 주로 2000년을 전후로 다양한 부처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농수산식품부는 2001년도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농촌관광을 농림부의 주요 업무 영역으로 채택할 것을 명시하고 2002년도부터 녹색농촌체험 시범마을로 선정·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유사한 목적으로 2002년부터는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의 마을만들기 사업은 마을권역으로 확대되어 2004년부터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과 거점면 면소재지 개발사업 등으로 확대 추진되고 있다. 이밖에 농협에서 추진하던 마을가꾸기 경진대회를 농협과 농수산식품부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2006년부터 농촌건강장수마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행정자치부는 2001년 마을단위 지원사업인 아름마을 가꾸기 시범사업을 도입하여 추진하였으나 타 사업과의 중복성을 고려하여 현재 중단된 상태이며 2003년부터 읍을 지원대상으로 하는 소도읍육성종합계획, 또한 2006년부터 마을권역대상 지원사업인 “살기좋은 지역만들기”사업과 2007년부터 마을단위 지원사업인 “참살기좋은 지역만들기”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밖에 2002년부터 마을단위 농촌 정보격차해소와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정보화마을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밖에 산림청에서는 1994년부터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을, 환경부는 2001년부터 공모제방식으로 자연생태우수마을지정사업, 문화관광부에서는 2004년부터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사업을 추진하였다.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는 조례와 지원센터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n ",\n', ' "해외사례": "일본의 마을만들기는, 1960년대 이후 주민, 전문가, 그리고 지자체에 의해 ‘마찌쯔꾸리’가 태동하면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일본은 행정 주도로 조례를 제정하고 마을만들기 정보센터를 설치하여 각종 사회서비스 및 지역네크워크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의 경우 마을만들기는, 도시 내 지역에 기반을 둔 다양한 근린 공동체와 커뮤니티 조직을 기반으로 하여 정부의 정책 파트너로서 지역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커뮤니티 운동 성격으로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 주요내용은 도시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주택도시부(HUD)에서 산하의 커뮤니티를 계획하고 개발청(CPD)을 통하여 지방정부, 주정부, 국가, 지역사회 단체들 간의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커뮤니티 스스로가 경제개발 및 재활성화 전략을 추진해갈 수 있도록 재정 및 기술 지원, 지역마다 경제발전 전문가가 있어, 정부와 긴밀히 협조할 수 있다. 시정부조직과 별도로 공동체 건설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근린공동체 담당부서와 근린공동체 사업단의 구축, 근린공동체 매칭펀드 조성 등 주민참여를 촉진시키는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커뮤니티를 거버넌스 구축의 핵심단위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독일은 지방분권과 지방자치가 역사적으로 잘 발달되어 동서독 통합 이후 사회적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지역단위 정책을 실행하고 있는데, 그 한 예가 사회도시 프로그램이다. 이는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경제의 자생력을 키우고 사회통합, 공동체의 회복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서, 1999년 시작되어 2008년 기준 523지구, 326개 커뮤니티에서 실행되었다. 사회도시 구축사업의 주요 내용은 고용, 교육 및 직업훈련, 사회자본의 확충, 다양한 집단의 공동체 생활, 공공장소 및 주거지 환경개선 등이다.\\n ",\n', ' "참고자료문헌": "김선직(2009), 마을만들기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지경배(2010), 마을만들기 사업의 커뮤니티 비즈니스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정재희(2012),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본 마을만들기 - 마을만들기 해외사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대한건축학회지 vol 56, n6 이주헌·최찬환(2012), 국내의 마을만들기 지원제도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제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v.14 n.1 \\n ",\n', ' "작성자":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n "\n', ' },\n', ' {\n', ' "정책용어": "어메니티 자원",\n', ' "생성배경": "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악화된 도시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개인위생, 공중보건의 청결함과 건강성 등을 추구하는 도시계획의 새로운 목표이자 원리로서 어메니티(Amenity)가 부각되었다. 20세기 들어와 도시환경의 편리성과 안전성 그리고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자 생태적 건강성은 물론 문화적 향토성까지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OECD(1997)에서는 농촌어메니티를 농촌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요소로 사회구성원들에게 휴양적, 심미적 가치를 제공하는 자원으로 주목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보고서에서 농촌의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농촌어메니티를 적극 개발하도록 명시함으로써 농촌 지역개발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 활용되고 있다. ",\n', ' "용어설명": " 어메니티는 인간과 환경의 교감에서 쾌적함, 유쾌함, 매력성, 즐거움, 긍정적인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의 속성이나 인간의 심미적 상태를 지칭하는 복합 개념이다. 어메니티 자원은 그러한 어메니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자 어메니티 지향형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발굴, 창출, 활용해야 할 대상이기도 하다. 어메니티 자원에 대한 분류는 자연, 문화, 사회 자원으로 하기도 하고, 생명·안전어메니티, 자연어메니티, 역사·문화어메니티, 미적어메니티, 편리어메니티, 개성·종합어메니티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OECD에서는 어메니티의 생성 기원, 존재의 형태, 재산권의 주체 등에 따라 어메니티를 분류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 어메니티라는 용어가 유행하면서 부산(1994), 경기(1998) 등 많은 지자체에서 어메니티 플랜을 수립한 바 있으며 서천군은 군정 캐치프레이즈를 ‘어메니티 서천’으로 삼기도 하였다. 현재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전국적인 어메니티 자원 DB를 구축하고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연관 정보를 제공한다. ",\n', ' "해외사례": " 영국에서는 1967년 ‘공중 어메니티법(Civic Amenities Act)’과 1974년 ‘도시·농촌 어메니티법(Town and Country Amenities Act)’을 제정함으로써 도시공간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포괄적 공간계획의 원리이자 수단으로 어메니티를 활용하였다. ",\n', ' "참고자료문헌": "김세용(2008), 국토 어메니티 자원 발굴을 통해 경쟁력 있는 지역발전 모색, 국토연구원 김영주(2012),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어메니티자원 분류체계 재정립, 농촌계획, 18(1), 1-8 김은자, 이정원(2010),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 공모전을 통한 어메니티 자원활용 및 마을계획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7(4), 877-895 김현호, 오은주(2007),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발전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농촌어메니티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www.rural.rda.go.kr) 박상욱(2010), 도시재생을 위한 어메니티 활성화방안 연구 :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재철(2011), 진안군 농촌 어메니티 자원 분석을 통한 읍·면별 어메니티 증진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9(6), 12-20 손경숙(2009), 연구 및 정책대상으로서의 어메니티 어프로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61-276 오형은, 조중현(2011), 농촌체험마을의 어메니티 평가 경향 연구, 농촌사회, 21(1), 7-48 유명한(2011), 농촌지역 어메니티 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단양군 어메니티 자원을 중심으로, 정보디자인학연구, 16(0), 67-79 윤희정(2008), 도시민의 농촌어메니티자원 체험욕구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1), 28-37 이상현, 최진용, 배승종, 오윤경(2009), GIS 및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농촌 마을 관광중심성 분석 : 농촌어메니티 자원 및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5(1), 47-59 이재준, 최석환, 김선회(2010), 국토 어메니티 평가지표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8(1), 25-38 임창수(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정남수, 정호현(2010), 농촌경관자원 조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2008 농촌어메니티 100 선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6(4), 171-178 천명수(2012), 어메니티자원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 도시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추미애(2004), WTO 하의 한국 농촌발전 전략 연구 : 농촌어메니티 개발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OECD(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n', ' "작성자": "송미령(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n', ' },\n', ' {\n', ' "정책용어": "뿌리산업",\n', ' "생성배경": "뿌리산업은 국내 주력기간산업과 新성장동력산업의 기반임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작업환경 등을 이유로 3D(Dirty, Difficult, Dangerous) 업종으로 인식되어 젊은 층의 취업기피 대상이 되어 왔다. 정부는 이러한 뿌리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저평가 현상을 개선하고, 첨단화를 통해 뿌리산업의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2011.7), 「뿌리산업 특화단지의 지정 및 관리지침」(2014.1) 등 제도적 근거를 마련, 뿌리산업을 재조명하고 있다.\\n ",\n', ' "용어설명":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등을 통해 소재를 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기초 공정산업을 말한다. 주조, 금형, 용접, 소성가공 등 제품의 형상을 제조하는 공정과 열처리, 표면처리 등 소재에 특수기능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구분된다. 뿌리산업은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으나 최종 제품에 내재되어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오랜 전통과 기술력을 갖춘 뿌리산업군이 첨단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명품 제조업의 탄생을 견인하고 있다. 스위스의 손목시계, 쌍둥이 칼, 독일의 벤츠 등 세계적인 명품은 모두 튼튼한 뿌리산업의 토대 위에서 탄생하였다 6대 뿌리산업 주 조 금 형 용 접 소성가공 표면처리 열 처 리 정부는 뿌리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근거하여 뿌리산업 특화단지를 지정·고시하였다. 뿌리산업 특화단지는 경기 몰드밸리(금형), 경기 시흥 도금산업 클러스터(표면처리), 광주 금형 특화단지(금형), 전북 군산뿌리산업 특화단지(금형, 소성가공, 용접), 전북 완주 뿌리산업 특화단지(금형, 용접) 등 5곳이다.\\n ",\n', ' "해외사례": "일본은 ’90년대 ‘잃어버린 10년’을 극복하고 제조업 강국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모노쯔쿠리 국가 전략 비전을 제시하고, 「모노쯔쿠리 기반기술진흥 기본법」(’99) 및 「모노쯔쿠리 기반기술 고도화법」(’06)을 제정하여 모노쯔쿠리 기반기술에 대한 정부 Rtrms_cptn>국내 뿌리기업 분포도(’12년) 권 역 지 역 기업수(%) 산업단지 입주수(%) 수요산업 수도권 경인·중부 15,660(62.6) 4,117(26.3%) 전자·통신·자동차 동남권 부산·경남 5,033(20.1) 848(16.9%) 조선·중공업·자동차 대경권 대구·경북 877(13.7) 758(22.1%) 전자·소재·기계 호남권 광주·전라 644(3.5) 540(61.7%) 전기·전자·자동차 합계 24,997(100) 6,263(25.1%) 출처: 지식경제부(2012.12.04.), 보도자료,(주력산업과 동반성장하는 뿌리산업 생태계 구축)\\n ",\n', ' "참고자료문헌":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12), 12년, 뿌리산업의 ACE 산업화 원년으로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년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국가법령정보센터,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n ",\n', ' "작성자": "송우경 연구위원(산업연구원)\\n \\n"\n', ' },\n', ' {\n', ' "정책용어": "성별영향분석평가",\n', ' "생성배경": "일반적으로 양성평등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성 형평성(gender equity)의 개념은 여성과 남성을 처우함에 있어 “여성과 남성이 처해있는 신체적 환경적 조건과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여건에 있을 때는 그 다른 여건을 고려하여 다르게 처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성 형평성은 ‘결과의 평등’을 이루기 위한 ‘조건의 평등’을 의미한다. 즉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성평등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이다. 이에 대한 해법을 찾는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성별영향분석평가’인 것이다. ",\n', ' "용어설명": "성별영향분석평가란, 일반적인 공공정책과 사업에서 나타나는 성 차별적 영향을 제거하고 모든 정책과 사업이 균등한 수혜를 가져올 수 있도록 정책과 사업을 기획 및 집행을 하기 위하여 사전에 그 정책이 여성과 남성에게 가져올 결과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즉 정부정책과 사업, 법제 등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평등적 대안을 만들어가기 위한 도구(tool)이다. 성별영향분석평가는 특정 정책 또는 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여성과 남성의 삶의 현실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자원과 책임 및 권한에 있어서의 성별 불평등 현상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자원의 분배와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제도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데 활용된다. 성별영향분석평가는 정보를 체계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정책의 형성, 시행 및 평가과정에서 생산되는 각종 자료를 재구성함으로써 각 단계에서 성 관련 쟁점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검토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성별영향분석평가는 제도적으로 성별영향분석평가법(법률 제 11046호, 2012. 3. 16) 및 동법 시행령(대통령령 제 23656호, 2012. 3. 16)에 근거하고 있다. 현행법상에 성별영향분석평가 대상은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제정·개정을 추진하는 법령(법률·대통령령·총리령·부령 및 조례·규칙을 말한다), 법률에 따라 3년 이상의 주기(週期)로 수립하는 계획,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해당 기관의 주요한 정책으로서 추진하는 사업의 계획, 「지방재정법」 제41조제2항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의 단위사업 등이다. 따라서 성별영향분석평가의 대상이 되는 정책은 비단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수립·시행하는 모든 일반정책이 성별영향분석평가의 대상이 된다. 즉 제도나 정책, 사업계획에서 나타나는 성 차별적 영향을 제거하고 모든 정책이 성평등 방향으로 기획·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사전에 그 정책이 여성과 남성에게 가져올 결과를 검토, 분석하는 것을 지칭하는 데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사업은 중앙은 2004년, 지방은 2005년 시범분석을 시작해 현재는 전국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로 확대·실시되고 있으며, 주무부처는 여성가족부이다. ",\n', ' "해외사례": "해외에서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과 같이 여성정책에 있어 선도적 지위에 있는 국가들과 세계은행이나 ILO와 같은 국제기구 등을 주축으로 성 주류화 전략이 추진되어 오다가 현재는 유럽을 비롯한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에서 성별분석 가이드라인이나 지침 등을 통하여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특히 캐나다 등 연방제 국가들에서는 내각에서 성평등(성별) 분석을 포함할 수 있는 지침을 세울 것을 요구하고, 중앙의 여성정책 담당기구와 인적자원개발부, 법무부 등 정부부처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 공공정책과 프로그램의 성별영향분석(gender impact analysis)을 시행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여성가족부(2013), 성별영향분석평가 지침 홍미영 외(2011), 부산지역 공원이용 만족도 성별영향평가, 부산여성가족개발원 ",\n', ' "작성자": "홍미영 선임연구위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 \\n"\n', ' },\n', ' {\n', ' "정책용어": "슬로시티",\n', ' "생성배경": "슬로시티의 출발은 느리게 먹기(slow food)+느리게 살기(slow movement)운동에서 유래되었으며, 1999년 10월 ‘위협받는 달콤한 인생(la dolce vita)의 미래를 염려’한 이탈리아의 몇몇 시장들이 모인 모임(Citta lenta=Cittaslow=Slowcity)에서 시작되었다. ",\n', ' "용어설명": "슬로시티란 ‘느린 도시’라는 뜻으로 ‘향토인으로 하여금 자연 속에서 살면서 마을의 고유 먹거리와 지역의 고유문화를 느끼며 삶의 질을 향유하는 동시에 도시인(관광객)에게 마음의 고향을 제공하는 공동체 운동’을 말한다. 슬로시티는 현대문명을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자는 이념이 아니라, 보다 인간적인 삶을 추구하기 위해 느림의 미학을 강조한 생활의 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인간성 회복과 자연의 시간에 대한 인간의 기다림을 표방하고 있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인간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오래갈 미래(ancient future)를 위한 슬로시티 운동의 진정한 목적은 ‘자연(nature)과 전통문화(culture)를 잘 보호하고 동시에 경제 살리기를 추진하여 진짜 사람이 사는 따뜻한 사회,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국제슬로시티의 모토는 International network of cities where living is easy로 편한 삶, 즉 삶의 질을 위한 국제적인 연결망 구축이다. 슬로시티 운동은 ① 철저한 자연생태보호 ②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 ③ 제철·제때의 식재료와 유기농법 ④ 지역특산품·공예품 지킴이 ⑤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와 정직한 진정성 유지 등의 다섯 가지 지침을 설정하고 있으며, think globally act locally란 지방의 세계화, 즉 세방화(glocalization)를 표방한다(슬로시티\\/홈페이지). 슬로시티 구성요소 출처 : 황영모(2011), 슬로시티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전북발전연구원. ",\n', ' "해외사례": "슬로시티에는 2002년 7월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2016년 8월 기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29개국 189개 도시가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탈리아 74곳, 폴란드 17곳, 독일 12곳, 한국 11곳으로 국제슬로시티 중 4번째로 많은 곳이 슬로시티로 지정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까지 이탈리아 이외의 나라 중 가장 많은 12곳이 슬로시티로 지정되었으나, 2013년 최초의 슬로시티 중 한 곳인 장흥군이 탈락 되어 현재 11곳(신안군 증도, 완도군 청산도, 담양군 창평면 삼지천 마을, 경남 하동군 악양면(차 재배지로서 세계 최초), 충남 예산군 대흥면, 남양주시 조안면, 전주 한옥마을, 상주시 이안면, 청송군 파천면, 영월 김삿갓, 제천시 수산 박달재)이 슬로시티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이탈리아에 국제슬로시티연맹본부가 있으며, 전 세계 슬로시티 지정 도시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자매 도시 간 교류협력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슬로시티 홈페이지(http:\\/\\/www.cittaslow.kr) 황영모(2011), 슬로시티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전북발전연구원 ",\n',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 ' },\n', ' {\n', ' "정책용어": "포괄보조금(Block Grants) 제도",\n', ' "생성배경": "부처 간 이해관계에 따른 칸막이와 자치단체의 자율성 제약, 유사사업의 중복투자, 지역간 과당경쟁 등 국고보조금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적 장치이다. 이는 유사사업의 과감한 통폐합, 자치단체의 재정운영 자율성 확대, 자치계획권의 신장 등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2010년 기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가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면서 본격화되었다. ",\n', ' "용어설명": "일반적으로 보조금은 용도제한의 범위, 재원의 교부기준, 지방비 부담의 유무, 재원규모의 제한성 여부 등으로 일반보조금과 특정보조금으로 구분한다. 일반보조금(general grants)은 자치단체가 자유롭게 용도를 선정하고 집행할 수 있으며 일정한 공식에 근거하여 교부액을 산정한다. 특정보조금(categorical grants)은 해당 사업에만 지출하도록 용도를 제한한다(국고보조금이 대표적). 포괄보조금(block grants)은 특정보조금과 일반보조금의 중간 형태로, 특정보조금에서 출발하되, 용도제한과 중앙정부의 정책재량에 의한 교부기준의 자의성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보조금으로 일정한 공식으로 산정하여 교부하며 유사사업을 통한 하나의 사업군(block)은 자치단체에 예산편성권 및 사업선택권을 부여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200여 개에 달하는 사업을 24개의 포괄보조사업(19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5개의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통합하여 사업군 내에서는 자율적으로 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시·도단위에서 생활기반계정사업의 한도액(ceiling)을 설정하면, 시·도는 한도액 범위 내에서 관할 시·군에 대한 한도액을 산정하여 교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행복생활권 사업 등을 추가하여 36개의 포괄보조금 사업(30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6개의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추진 여건 미성숙, 집행지연, 실 집행률 저조 사업에 대해서는 세출구조조정을 실시하여 포괄보조사업의 내실화를 도모하고 있다. ",\n', ' "해외사례": "우리나라 포괄보조금 제도는 미국의 CDBG(Community Development Block Grant), 영국 RDA의 지역개발보조금(Single Pot 등), 일본의 지역재생기반강화교부금 등과 성격이 유사하다. 포괄보조금의 특징 출처 : 지역발전위원회 내부자료 ",\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위원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지역발전을 향한 행복한 동행(지역의 민관 자율형 협력체계 구축모델과 사례) 신두섭(2011), 포괄보조금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제, 지역발전위원회 조기현(2011), 포괄보조금제도의 운용실태와 발전방향, 한국지방재정논집 제17권 지역발전위원회(2011), 2012년도 지역발전사업 평가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송미령, 권인혜(2011),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영국통상산업부(DTI) 홈페이지(www.dti.gov.uk) 기획재정부(2014),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n', ' "작성자": "민선정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n', ' },\n', ' {\n', ' "정책용어": "시·도자율편성사업",\n', ' "생성배경": "최근 지역발전정책의 큰 변화 중 하나는 지역의 분권과 자율성 강화이다. 이는 지역이 주체가 되는 지역발전정책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 변화에 따라 기존 특정보조금이 사용 용도와 조건 등에 있어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세부적이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 및 자유재량을 저해한다는 판단하에 2010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로 새롭게 개편하면서 200여 개 지역개발사업을 18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4개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으로 통합하고 포괄보조금으로 운용하도록 하였다(기획재정부, 2010년 5월). 현재는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가 지역발전특별회계로 개편되면서 20개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5개 시군구자율편성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괄보조금이란 지자체별 예산편성 한도를 부여하고 지자체가 한도 내에서 필요한 사업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n', ' "용어설명": "20개 시·도 자율편성사업은 각 시·도가 신청한도 내에서 자율적으로 예산을 신청하며, 포괄보조사업 목적에 부합하는 범위에서 사업의 세부내용을 자율적으로 기획·설계할 수 있다. 시·도 자율편성사업은 다시 시·도가 직접 수행하는 사업과 시·군·구가 직접 수행하는 사업으로 구분되며, 어떤 사업을 시·도가 수행하고, 시·군·구가 수행할 것인지 여부는 시·도가 사업의 광역적 성격 및 성과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판단한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시·도 자율편성사업의 추진 절차는 관할 시·군·구의 신청, 지방비 부담능력 및 시·도 발전계획에 따라 시장·군수의 의견을 수렴한 후 시·도가 배분된 재원한도 내에서 종합 조정하여 각 부처에 예산을 신청하고 각 주관 부처는 요구 내용의 적정성, 조정 방향 등을 검토 후, 검토의견을 첨부하여 기재부에 예산을 요구하게 된다. 시·도 자율편성사업 역시 시·군·구 자율편성사업과 마찬가지로 소관 부처는 사업지침과 사후관리 등의 제한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하여 광역지자체의 사업기획·추진 자율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시·도 자율편성사업의 신규 사업의 경우 대상사업, 투자효율성, 시급성·집행가능성 및 물량, 단가의 적정성 등 철저한 사전 타당성을 검증하고 사전 행정절차를 이행하도록 하였다. 지자체 간 공동연계사업·시설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주민 체험도가 높고 사업효과가 명확한 사업을 우선 추진하도록 하였다. ",\n', ' "해외사례": "시·도 자율편성사업과 시·군·구 자율편성사업은 포괄보조금으로 운용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CDBG(Community Development Block Grant), 영국 RDA의 지역개발보조금(Single Pot 등), 일본의 지역재생기반강화보조금 등과 성격이 유사하다. ",\n', ' "참고자료문헌": "신두섭(2011), 포괄보조금 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제, 공감코리아 정책기고 기획재정부(2014),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관련 설명자료 기획재정부(2015), 보도자료(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운영 방향 설명) ",\n', ' "작성자":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 ' },\n', ' {\n', ' "정책용어": "지역일자리 목표공시제",\n', ' "생성배경": "지방자치단체별 경제 및 고용 여건의 편차가 커 중앙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일자리대책으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및 고용서비스 제공에 한계를 인식하여 마련된 제도이다.\\n ",\n', ' "용어설명": "지방자치단체장이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제시하고, 중앙정부는 지자체의 일자리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컨설팅, 인센티브 등을 지원하고, 그 추진 성과를 확인ㆍ공표하는 지역고용 활성화 전략이다.\\n ",\n', ' "현재 용어의 사용": "고용노동부가 201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제도로 민선 자치단체장이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 및 대책을 지역 주민들에게 제시하고, 중앙정부는 그 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컨설팅, 인센티브 등을 지원하는 중앙-지방간 일자리 협력 사업이다. 기본방향은 ① 자치단체의 자발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 지원, ② 중앙정부와 자치단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 ③ 자치단체와 지역고용 관련주체 간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이다. \u3000 첫째, 자치단체의 자발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 지원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률적인 정책이 아닌 자치단체 스스로가 지역의 여건에 맞는 일자리 관련 사업 발굴 및 정책을 추진하고, 구호 수준의 일자리공약을 넘어서서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 모델을 구축한다. 둘째, 중앙정부와 자치단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중앙과 지방이 소통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대책을 추진하고, 특히 자치단체장이 일자리에 깊은 관심을 두고 일자리 친화적인 지방행정을 펼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중앙정부와 자치단체가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고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운영한다. 특히, 중앙정부는 컨설팅, 경진대회 등을 통하여 자치단체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지원하고 우수사례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셋째, 자치단체와 지역고용 관련주체 간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자치단체와 지역의 다양한 고용 관련 주체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지역의 일자리 문제를 대처해 갈 수 있도록 추진하고 지역고용심의회(지역 노ㆍ사ㆍ민ㆍ정 협의체), 지역고용포럼 등과 연계하여 효과성을 제고한다. 공시내용은 일자리목표와 일자리대책으로 구분하되, 일자리목표는 공통목표와 개별목표로, 부문별 사업계획은 정부부문(직접일자리창출 외 5개 부문)과 민간부문(기업 등 유치 외 2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공시한다. 일자리목표에서 공통목표는 임기 중 달성코자 하는 연차별 고용률과 취업자 수 증가 및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증가와 상용근로자 증가 목표이다. 그리고 개별목표는 각 자치단체의 특성에 맞춰 추진하고자 하는 일자리대책의 개별 사업목표로서 정부부문은 직접일자리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일자리 인프라 구축, 기타이며, 민간부문은 기업 등 유치, 신설 및 확장, 기타에 대한 목표치를 제시한다. 일자리대책에서는 다양한 지역 여건 분석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대책을 발굴ㆍ공시하도록 하였고 정부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자치단체장 임기 동안의 종합계획과 매년 연차별 세부계획을 수립한다.\\n ",\n', ' "해외사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지역 고용정책의 세계적 동향을 고려하더라도 타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제도이며 국내에서 처음 시행된 정책이다. 공시제 사례로는 부동산 가격 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한 주택가격 공시, 대학공시제도(www.academyinfo.go.kr), 학교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 )의 학교정보공시, 공공기관의 경영정보통합공시시스템(알리오시스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공시, 성과공시제도, 지식자산공시제도,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공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이 있다.\\n 관련용어 및 개념\\n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고용부)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으며, 2011년부터 사업비를 민간 경상보조에서 지자체 경상보조로 변경하여, 고용노동부가 지자체와 사업계약을 체결하여 지자체가 사업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구조를 만들었다. 이처럼 지자체의 지역 일자리창출에 대한 책임성이 강화되면서 중앙정부, 지자체, 지역 노사단체, 지역 고용센터, 지역 교육훈련기관, 시민단체 등이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지역의 고용인적자원 개발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지역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하여 해당 지역의 자치단체 주도로 비영리단체(또는 법인)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지역주민의 일자리창출, 고용촉진, 능력개발 등을 추구하는 특화사업과 이와 관련된 지역고용 포럼사업과 연구사업을 말한다. 사업유형은 「특화사업」(지역차원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 고용 촉진, 능력 개발 등을 추구하는 사업)과 「포럼사업」(지역 내 고용관련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하여 지역의 고용이슈를 발굴ㆍ공론화시키고 지역고용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과 관심을 제고시키기 위한 사업), 「연구사업」(지역차원의 고용문제에 대한 실태분석 및 대안제시 등을 위한 지역별 연구사업), 「패키지사업」(위의 특화사업, 포럼사업, 연구사업 중 2개 이상이 결합된 사업으로 특화사업은 반드시 포함), 「프로젝트사업」으로 구분한다. 사업선정단계에서는 광역 자치단체 지원사업과 기초 자치단체 지원사업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기초 자치단체 지원사업」은 광역 자치단체 단위로 소속 기초 자치단체가 고용 관련 비영리법인(또는 단체)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을 발굴ㆍ제안하면 광역 자치단체 단위로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지원사업을 선정하는 방식이다. 「광역 자치단체 지원사업」은 광역 자치단체가 고용 관련 비영리법인(또는 단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을 발굴ㆍ제안하면 고용노동부 본부에서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지원사업을 선정하는 방식이다.\\n ",\n', ' "참고자료문헌":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www.reis.or.kr) 고용노동부(2010, 2011), 지역일자리공시제 추진방안 고용노동부(2015),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가이드라인 고용노동부(2010), 지역일자리공시제 매뉴얼 고용노동부(2011), 지역일자리공시제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도출 고용노동부(2010, 2011, 2015),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시행지침 김대성(2011), 전남지역 일자리공시제 내실화 방안, 리전인포 제239호 남병탁(2011), 경북지역 일자리공시제 추진현황 및 과제, 한국지역경제연구, 19집 남병탁(2012),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의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지역경제연구, 22집 모성은(2011), 지역 일자리공시제 발전방안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20집 \\n ",\n', ' "작성자":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n"\n', ' },\n', ' {\n', ' "정책용어": "산업클러스터",\n', ' "생성배경": "1980년대 초 이탈리아 북부지역(The Third Italy)의 국지적 산업지구를 중심으로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 간 협력이 기업의 경쟁력 및 부가가치를 높이며, 산업 및 지역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 시작하였다. 1990년 하버드 대학교의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가 「국가의 경쟁우위(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라는 책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설명하는 다이아몬드 모델을 제시하고 국가의 핵심적인 경쟁력은 소수의 지역클러스터(regional cluster)에 의해 주도된다고 주장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OECD가 국가혁신 체제의 주요 주제의 하나로 혁신클러스터를 다루기 시작함으로써 선진국에서 관련 연구와 정책적 관심이 획기적으로 증대되기 시작하였다.\\t ",\n', ' "용어설명": "산업클러스터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OECD(1999년)는 클러스터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사슬에 연계된 독립성이 강한 기업들과 지식생산기관(대학, 연구기관, 지식제공 기업), 연계조직(지식집약적 사업서비스, 브로커나 컨설턴트 등), 고객의 네트워크로 정의하였다. 마이클 포터는 클러스터를 특정 분야의 상호 연관된 기업체, 전문적인 부품 공급자, 서비스 공급업체, 관련 산업의 기업체 그리고 대학, 연구소, 협회 등이 함께 모여 일정 지역 내에서 경쟁 또는 협력하는 집중체로 정의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클러스터란 일정 지역에서 산업발전과 관련된 혁신주체들이 기능적 연계와 공간적 집적을 이룸으로써 산업생산 체계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체계와 기업지원 체계가 효율적으로 접합된 지리적 집중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일정한 공간적 범위 내에서 기업, 대학, 연구소, 기업지원기관 등이 모여서 상호 교류하고 협력과 경쟁을 하면서 산업발전의 시너지를 가져온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효한 정책수단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다양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클러스터 내에 위치한 기업들은 각종 혁신주체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시너지와 외부효과를 창출함으로써 클러스터 바깥의 기업보다 성장속도, 혁신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클러스터 이론에 입각한 본격적인 정책시행은 2003년 9개 시·도를 대상으로 추진된 지역산업진흥사업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2002년에 기획되어 2003년 참여정부의 출범과 함께 시행된 지역산업진흥사업은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집적지에 연구개발과 기업지원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전략산업 중심의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하였다. 2004년 6월에는 ‘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화 추진방안’이 발표되고 2005년부터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한 혁신클러스터 사업(現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이 추진되었다. 2005년에는 연구개발 위주의 대덕연구단지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하고 산업 기능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후 에서는 2~3개 시·도를 묶은 광역경제권을 대상으로 클러스터 정책의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고자 노력하였다. ",\n', ' "해외사례": "클러스터의 세계적인 성공사례들은 매우 많다. 대표적인 클러스터로는 미국의 실리콘밸리, 루트 128, 리서치트라이앵글 파크, 핀란드의 울루, 스웨덴의 시스타, 독일의 바덴뷔르템베르크, 영국의 캠브리지사이언스 파크 등이 있다. 일본의 경우는 경제산업성이 기존 산업 중심의 ‘산업클러스터 프로젝트’를, 문부과학성이 대학과 연구기관 중심의 ‘지적클러스터 창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n', ' "참고자료문헌": "산업연구원·한국산업단지공단(2001), 지역산업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국토연구원(2001), 지식정보화시대의 산업입지 및 군집체계 연구 마이클 포터(200), 경쟁론 산업연구원(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사례 연구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5), 선진국의 혁신클러스터 ",\n', ' "작성자":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 },\n', ' {\n', ' "정책용어":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n', ' "생성배경": "null",\n', ' "용어설명":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이란 전 국토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국을 기초생활권,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의 공간단위로 구분하고, 각 권역의 특성에 맞는 정책을 통해 단계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지역개발정책은 주로 행정구역(시·도, 시·군·구)을 공간단위를 설정하여 사업을 추진하였지만, 새로운 지역발전정책에서는 기초생활권(163개), 광역경제권(5+2, 7개), 초광역개발권(4+3, 7개)을 공간단위로 설정하고 있다. 기초생활권은 지역주민의 기본적인 삶의 질 향상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주민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권역으로서 국민이 전국 어디에 살든지 최저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생활공간이다. 따라서 그 목표는 163개 시·군을 대상으로 교육, 의료, 복지, 문화 등 기본적인 삶의 질 수준의 향상에 있다. 광역경제권이란 지역간 연계 및 협력을 통한 지역경쟁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제·산업권과 역사·문화적인 동질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 권역으로서 자립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규모를 기반으로 한 경쟁력 공간이며, 그 목표는 지역의 경쟁력 강화에 있다. 초광역개발권은 지역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역경제권간 또는 다른 광역경제권에 속하는 지방자치단체간의 산업·문화·관광 및 교통 등의 연계·협력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성배경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은 기존의 행정구역 중심의 산술적 균형 탈피, 지방분권과 자율을 통한 지방주권 강화, 규모의 경제와 광역화를 통한 협력,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상생발전, 대외지향형 지역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을 기초생활권,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으로 구분하고 단계적인 지역개발을 통하여 국토의 잠재역량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n', ' "현재 용어의 사용": "null",\n', ' "해외사례": "null",\n', ' "참고자료문헌":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2009), 지역발전위원회, 지식경제부 한눈에 보는 기초생활권 발전계획(2010년-2014년), 지역발전위원회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2조 ",\n', ' "작성자":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n', ' },\n', ...]
In [204]:# 판다스 사용시 보여주는 row, column 개수 조절 # pd.set_option('display.max_rows', 500) # pd.set_option('display.max_column', 500)
In [133]:json = pd.read_json('./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_지역발전정책용어사전_20220627.json')
In [134]:json
Out[134]:정책용어생성배경용어설명현재 용어의 사용해외사례참고자료문헌작성자01234...326327328329330BRT(간선급행버스체계) 신도시 개발 등에 따른 통행 거리 증대와 수도권 주민의 교통난을 해 소하기 위해 도... null null 콜롬비아 보고타시는 Transmilenio 사업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5), BRT 편람 모창환 외 1명(2007...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 뿌리산업특화단지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뿌리산업은 뿌리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 null null null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산업통상자원부(201... 송우경(산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MZ세대 null null null null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창조산업 클러스터 세계경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경제 시대를 지나 지식기반경제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향후... 영국의 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2001년)는 창조산업을 개인의 창의성, 기술,... 우리나라에서는 창조산업의 수도권 편중이 매우 심하고 문화산업진흥지구 및 문화산업 클... 영국에서는 1998년에 Creative Britain, 미국에서는 2000년에 Cr... 신동호(2011),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의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국 ... 홍진기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 제주국제자유도시 제주국제자유도시는 기업활동에 최대한 편의를 제공하고 최적의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여... 제주국제자유도시(Jeju Free International City)는 무비자 입국... null null 건설교통부(2003),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디지털제주문...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 ... ... ... ... ... ... ... 지역문제해결플랫폼 null null null null 지역문제해결플랫폼: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란? https://happychange.kr...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고령친화우수식품 소득증가와 의료기술발달 등으로 인간수명이 연장되면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었다. ... 정부는 고령친화산업을 지원, 육성하고 그 발전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 ... 정부는 고령자를 위한 식품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령친화산업 진흥법 시행령」... 일본 일본의 고령친화식품은 개호식품(介護食品)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고... 농림축산식품부, 2021년 5월 31일 보도자료 국가식품클러스터 홈페이지(www.f... 조택희(충북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선도마을관리협동조합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도시재생1)사업으로 조성된 거점시설 및 노후 주거지의 주택... null null null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4.12. 조명의, 선도마을관리협동조합 7곳 선정·... 백운배(안동도시재생지원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 한국관광데이터랩 null null null null null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광역경제권 연계R&D사업 기존 RD 사업은 국가RD와 시·도 단위의 지역RD로 구분되어 추진되었으나 광역경제... null null null null 최정은(호남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선임연구원) \n 331 rows × 7 columns
In [148]:mz = json[json['정책용어'] == 'MZ세대']['참고자료문헌'].values
In [154]:for i in mz[0].split(' '): if 'http' in i: print(i)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00733cid=43667categoryId=4366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4621cid=42107categoryId=42107 https://ko.wikipedia.org/wiki/MZ%EC%84%B8%EB%8C%80
In [159]:old = json[json['정책용어'] == '고령친화우수식품']['해외사례'].values
In [165]:for i in old[0][3:].split('. '): print(i)
일본의 고령친화식품은 개호식품(介護食品)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고령친화식품제도는 일본개호식품협의회에서 자율적으로 정한 UDF(Universal Design Food)와 농림수산성에서 제정한 Smile Care Foods가 있다 UDF는 이용자의 씹는 힘에 따른 구분과 점도에 따라 쉽게씹을 수 있는, 잇몸으로 부술 수 있는, 혀로 부술 수 있는, 씹지 않아도 삼킬 수 있는 4단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Smile Care Foods는 식품섭취에 문제가 없는 일반인을 위한 식품은 청색마크, 씹는 것에 문제가 있는 사람을 위한 식품은 3단계로 구분된 황색마크, 삼키는 것에 문제가 있는 사람을 위한 식품은 3단계로 구분된 적색마크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 독일 독일은 표준화제도 신설을 통한 복지 측면과 급식·배달식이 강조된 국가로 2009년 단체 급식서비스 표준화로 노인 장기요양시설 급식기준을 마련하였고 기준을 충족한 기업은 국가인증 FIAZ 로고를 부여하였으며, 2010년에는 배달 식사서비스 표준화(DGE-EAR)로 고령층을 위한 영양 기준을 마련하였다 일본 - 청정에너지, 지속가능한 산업, 자원의 효율적 건축, 지속가능한 수송, 친환경적 농식품 관리체계,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존 분야 등에 계획대로 추진중이며, 이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최소 1조 유로(한화 약 1,400조원)를 투자 및 유치할 계획이다 미국 미국은 1965년 Older American Act에 의해 60세 이상 노인에게 자립 생활지원을 위한 재택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며, 고령 인구를 대상으로 한 저작이나 연하를 도울 수 있는 식품, 기능성 식품 등을 제공하는 산업이 가장 발달한 국가이다
In [167]:json[['http' in i for i in json['참고자료문헌']]]
Out[167]:정책용어생성배경용어설명현재 용어의 사용해외사례참고자료문헌작성자25610111617354453566365666782102105111124128129135153179181187192214216221231274276283287290312315317323325326MZ세대 null null null null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디지털뉴딜 null null null null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제7차 비상경제회의, (2020.07.14.) 한국판 뉴딜 ...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 재정자주도 null null null null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 녹색건축인증제(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 2002년부터 시행되었던 친환경건축물인증제(국토해양부와 환경부 공동고시)와 2006... 2013년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의 시행과 더불어 개정된 통합인증제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6조(녹색건축의 인증) 및 시행령, 시행규칙, 저탄소 녹... 친환경건축 관련 인증제도로 영국의 BREEM(BRE Environmental Ass... 국토교통부(2013), 녹색인증건축물의 감정평가기법 및 제도화 방안 연구 : 친환경...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 재정자립도(Financial Independence Rate) null null null null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 메타버스 null null null null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 제119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2020) 메타버스(Met...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 그린리모델링 이상기온 현상이 증가하며 에너지 사용량은 늘어나고 있으나 원전가동 중단 등에 따른 ... 그린리모델링이란 환경친화적 건축물 리모델링을 의미하며,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 정부는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12.2.22제정)에 근거하여 그린리모델링 사업 모델... 그린리모델링사업은 영국에서 추진 중인 그린딜(Green Deal) 사업, 독일의 건... 국토교통부(2013), 건축물 에너지 수요절감을 위한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방안, 경...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농어촌 6차산업 고령화˙과소화 등 농가 인구감소로 인한 생산인력 부족 등 농촌 전반의 활력이 저하되... 6차산업은 농업(1차산업)과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식품˙... null null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정도채(2016), ... 안홍기 연구위원(국토연구원) \n 연구개발지원단 교육과학부가 ‘지방RD사업의 효율성 제고방안(2006년 12월)’의 이행을 위한 실... null null null 과학기술부(2013.2), 2013년도 연구개발지원단 신규사업 공고(제2013-61...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도시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1994년 일본에서 지역재생 및 지역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지역 문제해... 일반적으로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생활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지역이 직면한 지역사회 문제를... null null 홍선(2012), 일본 요코하마의 특별한 카페, 희망제작소 호소우치 노부타카(20... 김효정 대표이사(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n 녹색성장(green growth)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변화와 글로벌 에너지·자원고갈 위기가 심화됨에 따... 녹색성장은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성장으로서, 녹색기술과 청... 이명박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 미국의 경우, 오바마 행정부는 「경기부양법」(ARRA)을 통해 에너지 관련 산업에 ... 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http://www.greengrowth.go.kr) 대한...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n 로컬크리에이터 null null null null K-Startup: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https://www.k-star...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지역디자인센터(RDC) 지역디자인센터는 지역균형 발전적인 측면에서 지역 산업디자인의 개발촉진 및 진흥을 위... null null 독일 지역디자인센터_Design Zentrum Nordrhein-Westfalen_... 산업디자인진흥법 제11조의2 (지역디자인센터의 설치 등) 광주디자인진흥원 (htt... 이경남(대구경북디자인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 사회적기업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속히 증가하는 실업률과 심화된 양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및 조직을 말한다. 사... 「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7조의 규정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증을... 유럽의 경우 사회적 경제 및 3섹터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비교적 오래 전부터 형성되... 고용노동부(2012),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시행지침 고용노동부(2015)...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을 범국민적 차원으로 확대하고 농어촌 활력운동의 동력을 마...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 null null 농림축산식품부(2013),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 선도 프로젝트 2000년대 말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전세계적인 금융 불안이 수출과... 선도 프로젝트란 이명박 정부가 ‘5+2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에 필수적인 성장거점과 ... 2008년 제2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선정된 30대 선도 프로젝트는 수도권(3건)... 항만 분야 선도 프로젝트와 관련된 해외사례로는 시드니 다링하버, UAE 팜아일랜드,... 지역발전위원회 홈페이지 국토해양부 정책 QA ‘30대 선도프로젝트 선정’(2008.... 이경미(충청지역사업평가원 원장) \n 어메니티 자원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악화된 도시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개인위생, 공중보건의... 어메니티는 인간과 환경의 교감에서 쾌적함, 유쾌함, 매력성, 즐거움, 긍정적인 감... 어메니티라는 용어가 유행하면서 부산(1994), 경기(1998) 등 많은 지자체에... 영국에서는 1967년 ‘공중 어메니티법(Civic Amenities Act)’과 ... 김세용(2008), 국토 어메니티 자원 발굴을 통해 경쟁력 있는 지역발전 모색, 국... 송미령(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슬로시티 슬로시티의 출발은 느리게 먹기(slow food)+느리게 살기(slow moveme... 슬로시티란 ‘느린 도시’라는 뜻으로 ‘향토인으로 하여금 자연 속에서 살면서 마을의 ... 인간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오래갈 미래(ancient future)를 위한 슬로시티 ... 슬로시티에는 2002년 7월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2016년 8월 기준 유럽을 비롯한... 슬로시티 홈페이지(http://www.cittaslow.kr) 황영모(2011),... 강영주 책임연구위원(대전발전연구원) 성인지 예산 정책수행 과정에서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양성평등하게 편성, ... 성인지 예산은 모든 예산의 성평등 효과를 분석하고 적절한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성평등... 우리나라에서 중앙정부는 제도적으로 「국가재정법(제26조, 제57조)」을 개정(200... 성인지 예산은 현재 세계 90여 개국에서 시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 홍미영 외(2011), “지방정부 성인지 예산의 도입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부... 홍미영 선임연구위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 \n 통합 데이터 지도 null null null null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위키 https://www.korea.kr/s... 정택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 유럽의 지역과 도시 주간(Open Days) 2003년도에 EU 지역위원회가 브뤼셀 지역의 대표자들을 EU로 초대하여 국제기구를... 유럽의 지역과 도시 주간-OPEN DAYS」는 유럽지역위원회(Committee of... null null OPEN DAYS 홈페이지 : http://ec.europa.eu/regional_... 이여진(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지역사업평가센터장) \n 관계인구 null null null null 윤정구·조희정 역. 2021.『인구의 진화: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관계인구 만들기』.... 조희정(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 COR(유럽지역위원회) 유럽지역위원회(The Committee of the regions, CoR)는 19... 지역위원회는 경제사회위원회와 함께 유럽연합의 2대 자문기구로서 28개 회원국에서 선... null null 김은경, 2008, EU 지역정책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htt... 이원섭(국토연구원 기획경영본부장) \n 유비쿼터스도시(U-City) 유비쿼터스도시(U-City)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도시(city)를 ... U-City의 용어 및 개념은 2008년 3월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 null null 국토교통부(2009),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2009~2013) 국토교통부...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 \n 녹색환경지원센터 한국은 1960년대부터 급속한 산업발전을 이루었으나 성장 중심의 산업발전으로 198... 녹색환경지원센터는 1998년부터 환경부가 지정·운영해 온 각 지역의 환경기술개발센터... null null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 홈페이지(http://www.geca.or.kr) 환경법률신...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 생태산업단지(EcoIndustrial Park) 20세기 들어서 인류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천연자원 고갈 위기와 심각한 환경오염을 ... 생태산업단지란 먹이사슬로 공생하는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산업에 적용하는 개념으로 산업... 우리나라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은 2002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계획이 발표된 후 ... 일본에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추진되고 있는데 제1유형은 기업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생태산업단지 홈페이지(https://www.eip.or.kr) 한국산업단지공단 홈...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 국토환경계획 연동제 성장 및 개발 위주의 국토정책으로 야기될 수 있는 환경 파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 국토-환경계획 연동제란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이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 전 정부의 국정과제인 「환경과 조화되는 국토개발」의 세부과제로 「국토-환경계획 연동... 국토-환경계획 연동제는 독일의 공간계획(Raumordnungsplane 등)과 경관...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5),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연계로 친환경적 국토관리 강화 ... 권영섭 센터장(국토연구원) \n 산학연통합정보망(eCluster) 산학연통합정보망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온라인 활동 수행을 위한 정보망으로 ... 산학연통합정보망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온라인 활동을 수행... 산학연통합정보망은 2005년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지원하는 온라인 정보시스템... 해외의 클러스터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샌디에이고 바이오 클러스터(Bio-Cluste... 산학연 통합정보망 홈페이지(https://www.e-cluster.net) 지역발... 정택영 책임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지원금 도시 간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기존의 경직적ㆍ분절적 행정구...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 지원금은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35... null null 행정자치부(2009), 주민의 삶의 질 개선과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치단체 자율... 신두섭 수석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미니복합타운 중·소규모의 지방산업단지는 그동안 산업시설용지 위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단... 미니복합타운은 지방의 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개선하고, 찾아오는... 국토교통부는 미니복합타운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2014년 1월 14일 「산업... null 2.5, www.molit.go.kr) 및 각 시·군 홈페이지 참조\n 해외사례\n...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n 수산공익직불제 수산·어촌 분야의 공익형 직불제는 수산업과 어촌지역의 다원적 기능을 배경으로 등장하... null null 수산·어촌 분야의 직불금 제도는 유럽연합의 공동수산정책(CFP: Common Fis... 국가법령정보센터「수산업·어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 최지연(한국해양수산개발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 도시재생뉴딜 ㅇ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null null null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0309 도시재생뉴딜과 사회적경제 접목을 위한 협업 시스...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주민직접참여제도 주민직접참여제도는 ‘주민’이 지방자치의 주체이자 객체인 형태로 지방의 자치권을 가지... 주민직접참여제도는 지역 주민들이 주민투표, 주민소환, 주민소송, 주민발의, 주민감사... null null 한국공공관리학회 학술대회(2016), 주민직접참여제도의 제도분석-개선과 활성화 방안... 안홍기 연구위원(국토연구원) \n\n 작은 도서관 작은 도서관은 1960년대 문맹퇴치와 농촌계몽을 기치로 출발한 마을문고, 1970년... 2009년 3월 개정된 「도서관법」에 의하면 작은 도서관은 ‘공중의 생활권역에서 지... 문화체육관광부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전국의 작은 도서관 수는 2013년 4,686개소... 미국의 경우 인구 25,000명 미만의 지역에 봉사하는 도서관을 통틀어서 작은 도서...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5년도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및 운영 평가 결과보고서... 이봉구 교수(동의대학교) \n\n 생태관광지역 인류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야기된 환경오염문제는 단지 대기˙수질˙토양의 문제로만 국... 생태관광지역은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에서 자연자산의 보전 ... null null 환경부 보도자료(2013.12.05), 자연과 지역을 살리는 행복한 여행 환경부(... 장미아 전문위원(사단법인 생명의숲) \n\n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산업단지 관련 법률체계는 70~80년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산업단지 개발의 수요를 충...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은 성장유망산업 현황, 지역별 성장유망산업 발전전략, 산업의 집... null null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내용(2004. 2),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내... 이경미 원장((재)충청지역사업평가원) \n\n 문화영향평가 세계사에서 유래가 없는 압축 성장을 달성한 개발연대를 지나 우리의 문화정체성을 향상... 문화영향평가(Cultural Impact Assessment)는 ‘국가나 지방자치단... 문화영향평가와 유사한 용어로는 예산사용 재정사업의 성별영향평가, 고용영향평가, 부패... 영국의 쉐필드시는 문화 및 미디어, 첨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신(新) 경제 전략을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http://www.mcst.go.kr) 양혜원(2015),... 김영준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GRDP(지역내총생산) 지역내총생산(GRDP :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는 일정한 지역, 즉 시ㆍ도 또는 시ㆍ군ㆍ구 단위의 경제규모, 생산수준, 산... null null 통계청, 「지역경제동향」(2010) 통계청, 「지역내총생산 및 지출」(2009) ... 정종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n 스마트타운 행정안전부에서는 대도시·신도시에 집중되어 있던 스마트 공공서비스를 농·산·어촌 지역... ‘스마트타운’ 사업은 스마트서비스를 통한 주민생활의 질 향상 및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null null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21), 농촌디지털경쟁력강화방안 행정안전부 홈페이지(2021... 장효천(국가지역경쟁력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null null null null 행정안정부 홈페이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https://www.mois....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청년마을 저출산·고령화, 일자리부족 등으로 인한 지역의 생산인구 감소로 지역경제가 침체되고,... null null null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 6. 17.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21. 2... 백운배(안동도시재생지원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 사회적경제혁신타운 null null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4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선정을 위한 심의위... EU 집행위원회는 2016년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창업기업 스케... 정관영(2013), 이제는 사회적경제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21), 글로벌 이... 윤찬영(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 지역문제해결플랫폼 null null null null 지역문제해결플랫폼: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란? https://happychange.kr...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In [175]:query_expr = "생성배경 == 'null'" json.query(query_expr)
Out[175]:정책용어생성배경용어설명현재 용어의 사용해외사례참고자료문헌작성자256111618223163779095110124129166185206237300311316317321322324325326329MZ세대 null null null null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디지털뉴딜 null null null null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제7차 비상경제회의, (2020.07.14.) 한국판 뉴딜 ...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 재정자주도 null null null null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 재정자립도(Financial Independence Rate) null null null null 지방재정의 창고 재정고(http://lofin.mopas.go.kr) e-나라지표 ... 임경은 통계사무관(통계청) \n 메타버스 null null null null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 제119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2020) 메타버스(Met... 소대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 리빙랩 null null null null 김준한·한재각(2017), 에너지 전환을 위한 리빙랩의 경험: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 성지은(과학기술정책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 투자선도지구 null null null null null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n\n\n\n\n\n\n\n\n\n\n\n\n\n 규제프리존 null null null null null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n\n\n\n\n\n\n\n\n\n\n\n\n\n\n\n 로컬크리에이터 null null null null K-Startup: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https://www.k-star...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동해안 에너지벨트 null 동해안 에너지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동해안에 연접한 강원, 경북, 울산 3개 시·도의... 2007년 12월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 제정, 2008년 12월 초광역개발권... 동해안 에너지벨트는 동해안 7번 도로를 따라 에너지산업이 분포해 있다는 점에서, 입... 박형서(2010), 동해안 블루벨트 개발의 비전과 추진전략, 국토 340호 지역발...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지역혁신센터 null null null null null 류세선 센터장(한국금형산업진흥회)\n 탄소 밸리 null 탄소 밸리는 항공기,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등의 핵심소재로 대두되고 있는 탄소소재...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광역경제권거점기관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은 1996년 미국 에너지성과 Oak Ridge 국립연구소가 주최한 ‘Carbo... 지식경제부 보도자료(2011), 꿈의 소재로 부상하는 탄소소재 산업화 시동 전라북도... 류세선(前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現 쿠보텍 대표이사) \n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 null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이란 전 국토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국을 기초생활권... null null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2009), 지역발전위원회, 지식경제부 한눈에 보는 ... 권영섭(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n 통합 데이터 지도 null null null null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위키 https://www.korea.kr/s... 정택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 관계인구 null null null null 윤정구·조희정 역. 2021.『인구의 진화: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관계인구 만들기』.... 조희정(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 HOPE 프로젝트 null null null null 지역발전위원회 보도자료(2013.7), 박근혜정부 지역발전정책 방향제시(지역희망(H...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 캠퍼스혁신파크 null null null null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강원대학교 캠퍼스 산학협력단지 추진방안, 강원대학... 정성훈(강원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공동미니복합타운(Joint Multi Service Complex) null null null null null 황지욱(전북대학교 교수)\n\n\n\n\n\n 국가혁신클러스터(법명칭: 국가혁신융복합단지) null null null null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8.03.29. - [정부-지자체-유관기관이 하나 되...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규제자유특구(규제프리존) null null null null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0190103 규제자유특구 하위법령 전부개정령안 입법예고 ... 정종석 연구위원(산업연구원) \n\n NABIS(나비스) null null null null 국가균형발전복합플랫폼(NABIS) 구축 1단계 기본계획 /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1... 이연옥 책임연구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 지역균형뉴딜 null null null null 지역과 함께하는 지역균형뉴딜 추진방안. 2020.10.13. 관계부처 합동 한국판 ... 이기원(한림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null null null null 행정안정부 홈페이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https://www.mois....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지역관광추진조직 null null null null null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지역자산화지원사업 null null null null null 정성훈(강원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한국관광100선 null null null null null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사회적경제혁신타운 null null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4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선정을 위한 심의위... EU 집행위원회는 2016년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창업기업 스케... 정관영(2013), 이제는 사회적경제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21), 글로벌 이... 윤찬영(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 지역문제해결플랫폼 null null null null 지역문제해결플랫폼: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란? https://happychange.kr... 윤준식(시사N라이프)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한국관광데이터랩 null null null null null 문선옥(한국관광공사)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01\n\n In [ ]:In [ ]:# 아래 코드를 반복문으로 실행한다면
In [223]:json.loc[i]
Out[223]:정책용어 BRT(간선급행버스체계) 생성배경 신도시 개발 등에 따른 통행 거리 증대와 수도권 주민의 교통난을 해 소하기 위해 도... 용어설명 null 현재 용어의 사용 null 해외사례 콜롬비아 보고타시는 Transmilenio 사업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참고자료문헌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5), BRT 편람 모창환 외 1명(2007... 작성자 김석중 연구위원(강원발전연구원) \n Name: 0, dtype: object
In [224]:list1 = [] for i in json.index: x = json.loc[i] chk = 0 for ind in x: if '고령' in ind: chk = 1 list1.append(1) break if chk == 0: list1.append(0)
In [ ]:In [194]:def old(x, ind = json.columns): if any(['고령' in x[i] for i in ind]): return True return False
In [195]:json[[old(json.loc[i]) for i in json.index]]
Out[195]:정책용어생성배경용어설명현재 용어의 사용해외사례참고자료문헌작성자202528356680120126127149176195203213216229296308310320323325327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일반농산어촌지역은 전체 국토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낙후되고 생활환... 농산어촌의 농촌어메니티(rural amenities) 증진 및 계획적인 개발을 통하... null null 농림축산식품부(2014), 일반농산어촌개발 사업설명회 참고자료. 충남발전연구원(2... 은희창 지역사업본부장(㈜인포마스터) \n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중앙정부에서 직접 기획·관리하는 현행 사회서비스 공급 체계로는 전국 각 지역의 특성...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란 복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이 필요한 주민에게 복지, ... null null 보건복지부(2013),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2013 보건복지부(2... 홍미영(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선임연구위원) \n 저성장시대 우리사회가 60~70년대의 고도 성장기, 안정적 성장기를 지나 저성장시대에 진입하게... null null 대표적인 나라가 일본이다. 일본은 오랫동안 저성장시대에 빠져 있는데, 대략 1980... 이준구·이창용, 경제학 원론, 문우사, 2015 MBC 스페셜, “저성장시대의 살아... 김현호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 농어촌 6차산업 고령화˙과소화 등 농가 인구감소로 인한 생산인력 부족 등 농촌 전반의 활력이 저하되... 6차산업은 농업(1차산업)과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식품˙... null null 농식품 6차산업 홈페이지(http://www.6차산업.com) 정도채(2016), ... 안홍기 연구위원(국토연구원) \n 사회적기업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속히 증가하는 실업률과 심화된 양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및 조직을 말한다. 사... 「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7조의 규정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증을... 유럽의 경우 사회적 경제 및 3섹터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비교적 오래 전부터 형성되... 고용노동부(2012),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시행지침 고용노동부(2015)... 김봉원 연구위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n 지역공동체/공동체복원 고용없는 성장이 고착화되고 취업여건이 악화되어 일자리 창출이 매우 부진하며, 도시화... 일정한 지역을 주요 기반으로 하며, 지역주민과 생활전반에 걸쳐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 지역공동체 관련사업의 유형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마을 단위 ... 일본의 지역공동체는 활동단체에 의한 NPO법과 TMO(Town Management ... 윤소영(2009), 공동체 활동 관련 사례분석 및 지원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최승... 김봉원(한국지역경제연구원 원장) \n 자유무역지역 자유무역지역은 관세유보, 조세감면 등 관세법과 대외무역법 등 관계 법률에 대한 특례... 자유무역지역은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2014.1.21, 일부... null null null null 지역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는 지자체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로 2015년 7월 29일 2... 지자체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로 매년 전년도 안전관련 주요통계를 위해지표... null null 국민안전처 홈페이지(www.mpss.go.kr )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www.sa... 이여진(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지역사업평가센터장) \n 지리적 표시제 1995년 WTO의 「무역관련지적재산권협정(TRIPs)」에 따른 지리적 표시보호 움... 지리적 표시제란 우수한 지리적 특성을 가진 농산물 및 가공품의 지리적 표시를 등록˙... 현재 정부에서는 2002년부터 지리적 표시제를 실시하여 2017년 11월에 이르기까... 유럽연합(EU)에서는 지리적 표시 등록제도로서 원산지 명칭보호(Protected D...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www.naqs.go.kr) 농림축산식품부(2009),... 황지욱 교수(전북대학교) \n 공유도시 공유경제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많이 진행됐으나 공유도시는 서울을 비롯한 일부 도시에... 공유(Share, 共有)란 물건, 공간, 재능, 시간, 정부 등을 함께 나누어 활용... null null 서울혁신기획관(2012),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 추진계획. 서울혁... 오승은 교수(제주대학교) \n 거점체력관리센터(국민체력100) 최근 들어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국민의 건강한 육체를 바탕으로 한 행복한 삶에 대한 ... 국민체육진흥기금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민체력 100(국민체력인증 기본계획)은 100세... 현 정부에서는 연세대 평생건강의학센터와 협업하고 있는 원주시, 보건소에 거점체력센터... 선진국들은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사회적 의료부담을 줄이기 위해 체육활동 참...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체육과학연구원(200... 이봉구 교수 (동의대학교) \n 정주자립권(定住自立圈) 제도 일본은 지역의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급격한 인구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지역 단위에... 일본의 시정촌(市町村)이 주체가 되어 추진하고 있는 제도로서, 중심시(中心市)의 도... 2009년 정주자립권 구상이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2015.8.1.기준) 94개 권... 우리나라가 계획하고 있는 ‘지역행복생활권’ 구상 시 일본의 정주자립권 구상의 사례가... 일본 총무성(2013), 定住自立· 構想の進況今後の展開について 신두섭(2013), ... 신두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n 농어촌공동체회사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전통적 산업기반인 농˙어업 비중 축소와 관련 일자리 감... 농촌 공동체 회사란 ‘농촌 주민과 귀농˙귀촌 인력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기업의 경영 ...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촌에 잠재해 있는 공동체 조직을 발굴하기 위해 2010년 5월... 선진국에서는 농촌 공동체 회사와 유사한 커뮤니티비즈니스가 지역공동체 회복과 지역 활... 김제완, 정태길, 양동수(2012),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우리나라 법제의 현황... 송미령 선임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n 농촌활성화지원센터 농촌지역개발정책은 농촌지역 문제해결을 통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확... 농촌활성화지원센터는 농촌 지역 발전의 원천인 혁신의 창출과 확산을 지원하여 지식 기... 농촌활성화지원센터는 지자체와 현장포럼 일정 및 지원방안 등을 협의하여 진행하고, 매... 해외사례로는 미국의 NERCRD(Northeast Regional Center fo...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3.3.27), 농촌 마을 살리는 광역중간지원조직 만든... 은희창 지역사업본부장(㈜인포마스터) \n 미니복합타운 중·소규모의 지방산업단지는 그동안 산업시설용지 위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단... 미니복합타운은 지방의 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개선하고, 찾아오는... 국토교통부는 미니복합타운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2014년 1월 14일 「산업... null 2.5, www.molit.go.kr) 및 각 시·군 홈페이지 참조\n 해외사례\n... 윤정중 연구기획실장(토지주택연구원)\n 한국형 계획계약제도-지역발전투자협약 한국형 계획계약제도(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는 지방정부가 지역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null null null null null 농촌관광마을 농촌지역이 겪고 있는 인구감소, 고령화, 생산연령감소 및 노후주택비율 상승, FTA... 광의적으로는 녹색농촌체험마을(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전통테마마을(농촌진흥청), 산촌생... 농촌관광마을은 체험마을 개발형태로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촌마을종합개발, 아름마을, 어...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해 일본에는 농산어촌휴가법이 제정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농촌휴가... 김미령(2011), 농촌관광마을조성사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강릉지역 어메니티... 오승은(제주대학교 교수) \n\n 고향희망심기사업 2016년 기준 전국의 기초 지자체 가운데 65세의 노인인구 비율이 33%를 넘어선... null null 일본은 고향세 제도를 활성화하고 있다. 개인이나 단체가 고향 등 돕고 싶은 지자체에... 행정안전부 정책자료, 보도자료 일본 총무성 홈페이지 김현호 연구기획실장(한국지방행정연구원) \n\n 거점면소재지 정비 전통적으로 농촌 중심지는 주민들이 생활하면서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고, 필수적인 서비... 배후 마을에 대해 각종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간 교환의 편의를 도모해주는 장... 중앙정부 차원에서 농촌 중심지 육성과 관련하여 정책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는 안전행... 프랑스의 탁월한 농촌거점(Pole d’exellence rurale)정책은 종래와 ... 임상봉 외(2005), 정주권개발사업의 성과분석 및 향후 추진방안 연구, 농림부, ... 채종현(대구경북연구원 책임연구원) \n\n 농촌융복합산업지구 농촌융복합산업은 농촌의 자생적 산업 역량 강화를 바탕으로 농촌 활력 제고를 목적으... null null null 김광선, 2014,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농촌산업정책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 송미령(한국농촌경제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 청년마을 저출산·고령화, 일자리부족 등으로 인한 지역의 생산인구 감소로 지역경제가 침체되고,... null null null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 6. 17.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21. 2... 백운배(안동도시재생지원센터)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5... 사회적경제혁신타운 null null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4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선정을 위한 심의위... EU 집행위원회는 2016년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창업기업 스케... 정관영(2013), 이제는 사회적경제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21), 글로벌 이... 윤찬영(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 고령친화우수식품 소득증가와 의료기술발달 등으로 인간수명이 연장되면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었다. ... 정부는 고령친화산업을 지원, 육성하고 그 발전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 ... 정부는 고령자를 위한 식품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령친화산업 진흥법 시행령」... 일본 일본의 고령친화식품은 개호식품(介護食品)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고... 농림축산식품부, 2021년 5월 31일 보도자료 국가식품클러스터 홈페이지(www.f... 조택희(충북대학교) / NABIS 지원센터 ※최종수정일 : 2022.03.14\n\n In [201]:json_article = json[['), 'in i for i in json['참고자료문헌']]]
In [205]:json_article['정책용어']
Out[205]:0 BRT(간선급행버스체계) 1 뿌리산업특화단지 3 창조산업 클러스터 4 제주국제자유도시 5 디지털뉴딜 8 농가소득안정직불제 9 QWL 밸리 10 녹색건축인증제(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 12 지역행복생활권사업 13 초광역 클러스터 14 지방 자주재원 15 지역발전지수 16 메타버스 17 그린리모델링 18 리빙랩 19 LEADER(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동연대) 20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21 BID/TOD특정지구, 계획지구 24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25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26 도시광산 프로젝트 27 LIS(Local Innovation System) 29 지역성장기금 30 뉴딜정책(도시재생 뉴딜사업) 32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 33 국토종합계획 34 농공단지 35 농어촌 6차산업 36 희망이음 프로젝트 37 농지은행 38 도시농업 39 도시재생사업(도시재생선도지역) 40 말산업육성 41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생활문화센터) 42 새마을운동 세계화/지구촌 새마을운동 43 생활문화공동체 44 연구개발지원단 45 광역경제권 46 농어촌 유산 47 국가균형발전특별법 48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49 마을리더 50 농어촌 뉴타운 51 귀농·귀촌 52 남해안 선벨트 53 도시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54 도농교류 55 기업도시 56 녹색성장(green growth) 57 복합시설 58 과학비즈니스벨트 59 경제자유구역 60 복합혁신센터 61 농어촌특별세 62 스마트혁신지구 66 사회적기업 67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68 시가화조정구역 69 전원마을 70 주민학습조직 71 지역발전투자협약 제도 72 여성친화도시 73 산학협력 선도대학 74 마을기업 75 마을협정(마을협약)제도 76 정보화마을 77 동해안 에너지벨트 78 메가시티 79 이노카페 80 지역공동체/공동체복원 81 지역브랜드 82 선도 프로젝트 83 지역산업발전 로드맵 84 BK(두뇌한국)21 플러스 85 산학협력단 86 지역산업기술 로드맵 87 U턴기업(reshoring)지원제도 88 관광두레 89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91 초광역개발권사업 92 분권형 지방자치 93 지역전략산업 94 초광역개발권 95 탄소 밸리 96 첨단의료복합단지 97 테크노파크 98 문화관광 연계·협력 99 가축분뇨 자원화 100 산업집적지 경쟁력강화사업(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 101 마을만들기 102 어메니티 자원 103 뿌리산업 104 성별영향분석평가 105 슬로시티 106 포괄보조금(Block Grants) 제도 107 시·도자율편성사업 108 지역일자리 목표공시제 109 산업클러스터 110 3차원적 지역발전정책 111 성인지 예산 112 선도산업 114 지역간 연계·협력사업(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117 균형발전지표 118 사이언스 파크(해외사례) 119 산학융합지구 121 지역혁신성장계획 122 Compact City 123 행정통합 125 스마트시티&UCity 126 지역안전지수 127 지리적 표시제 131 그린뉴딜 133 생태도시 134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136 국가혁신시스템(NIS)와 지역혁신시스템(RIS) 138 로컬에너지 139 적정기술 140 전통시장 144 지역개발사업구역 145 지역화폐 146 통합 재정사업 평가 147 프라임(Prime)사업 149 공유도시 150 관광품질인증제 151 스마트사회 간접자본 153 유비쿼터스도시(U-City) 154 자율관리어업 155 접경권초광역발전지원 156 로컬푸드(Local food) 157 종합비즈니스센터 158 주택바우처 제도(Housing Voucher Program) 159 지방소득세 160 지방재정 투·융자심사 161 지역(행복)생활권 162 지역거점병원 163 지역중견·강소기업(스타기업) 164 (지역)산업생태계 165 지역전략식품산업 166 HOPE 프로젝트 167 지역특화산업(新) 168 창업보육센터 169 창조경제 170 창조지역사업 171 친환경농업직불제 172 행복주택 173 LEP(Local Enterprise Partnership) 174 공간정보사업(Spacial Data Project) 175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176 거점체력관리센터(국민체력100) 177 기술성숙도/기술준비수준(TRL) 178 녹색기후기금(GCF, Green Climate Fund) 179 녹색환경지원센터 180 동서통합지대 181 생태산업단지(EcoIndustrial Park) 182 자활기업 183 정부3.0과 지방3.0 185 캠퍼스혁신파크 186 친환경농산물 인증(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 187 국토환경계획 연동제 188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 189 닥터헬기 서비스 190 도시권/다지역협약(Multi Area Agreements) 191 산업단지 캠퍼스 193 웰니스관광 협력지구 194 마이스터고 195 정주자립권(定住自立圈) 제도 196 도시녹화운동 197 마이스(MICE)산업 198 지방재정조정제도 199 지방투자지원포털(COMIS) 제도 201 지중해 파트너십 202 4050 뉴스타트 지원사업 203 농어촌공동체회사 204 경관농업 205 경관보전직불제(Direct Payment for Rural Landscape Con... 207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208 작은 영화관 209 지역농업특성화사업 210 지역발전 5개년 계획(부문별계획, 시도발전계획) 212 공동농업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 213 농촌활성화지원센터 214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지원금 215 TDPC(지역개발정책위원회) 216 미니복합타운 217 프랑스 계획계약제도 218 초광역 219 관광개발기본계획 220 지역문화진흥법 222 경제협력권사업 223 성장촉진지역개발사업 224 특화발전프로젝트 225 주민결연제도 226 광역도시계획/MPO 227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28 국토 및 지역개발기획단(DATAR) 234 향토산업 240 시·군·구 자율편성사업 242 BTO/BTL 243 다원적 기능 244 문화관광 축제 245 협동조합 246 행정중심복합도시 247 한옥마을 248 특수상황지역개발사업 250 창조도시 251 창조경제 지역전략산업 252 지자체연구소육성사업 253 지역행복도(삶의질만족도) 254 지역특화센터 255 지역특구 257 지역의무 공동도급제 259 지역산업진흥계획 260 지역산업마케팅 지원사업 262 지역문화지표 264 지역낙후도 265 지역R&D 266 지역특화산업 267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공장) 268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270 지방소비세 제도 271 지방대학특성화 273 지방공기업 274 주민직접참여제도 275 젠트리피케이션 276 작은 도서관 277 자치경찰제도 278 자원순환 도시농업(도시농업 지원센터) 279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 280 예비타당성조사 281 연구개발(R&D) 특구 282 스마트시티(Smart City) 283 생태관광지역 284 새뜰마을사업(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프로젝트) 285 산학협력 중심대학 286 산지유통센터(APC) 287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288 산업단지 290 문화영향평가 291 문화산업지구 293 도시형공장 294 도시첨단산업단지 295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296 농촌관광마을 297 농지관리기금 298 농어촌자원복합산업 299 농어촌서비스기준 302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303 광역권 관광개발 304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 306 관광특구 307 공공디자인 309 고향납세 310 거점면소재지 정비 313 CGET 314 도심융합특구 315 스마트타운 319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325 사회적경제혁신타운 327 고령친화우수식품 Name: 정책용어, dtype: object
In [ ]: